KR102536119B1 - 웨어러블 기기용 전기회로 성형물과 그의 제조방법, 및 이러한 전기회로 성형물을 이용한 웨어러블 기기 착용 수단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기기용 전기회로 성형물과 그의 제조방법, 및 이러한 전기회로 성형물을 이용한 웨어러블 기기 착용 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6119B1
KR102536119B1 KR1020220097553A KR20220097553A KR102536119B1 KR 102536119 B1 KR102536119 B1 KR 102536119B1 KR 1020220097553 A KR1020220097553 A KR 1020220097553A KR 20220097553 A KR20220097553 A KR 20220097553A KR 102536119 B1 KR102536119 B1 KR 102536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able device
electric circuit
molding
flexible pcb
silic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7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영
김바울
김영석
Original Assignee
엘티바이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티바이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티바이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97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61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6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6119B1/ko
Priority to PCT/KR2023/011094 priority patent/WO202402986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86Programmable, customizable or modifiable circuits
    • H05K1/0292Programmable, customizable or modifiable circuits having a modifiable lay-out, i.e. adapted for engineering changes or rep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25Digital circuitry features of electrotherapy devices, e.g. memory, clocks, proces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1Electromedical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2Electromedical brushes, combs, massag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7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using laser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22Secondary treatment of printed circuits
    • H05K3/28Applying non-metallic protective coat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64Detai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 Biophys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웨어러블 기기용 전기회로 성형물에 관한 것으로, 일정한 형상과 탄성을 갖는 판 스프링; 상기 판 스프링의 내,외측의 표면을 둘러싸는 외부 실리콘; 상기 판 스프링의 내측 방향의 상기 외부 실리콘 표면에 부착되는 전기회로물인 플렉시블 PCB; 및 상기 판 스프링의 내측 방향으로 상기 플렉시블 PCB의 상부를 커버하는 내부 실리콘을 포함하고, 상기 플렉시블 PCB는 열, 광선, 진동, 전기, 초음파, 레이저를 포함하는 다양한 자극 중 적어도 하나를 환부에 제공하도록 제공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기기용 전기회로 성형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웨어러블 기기용 전기회로 성형물과 그의 제조방법, 및 이러한 전기회로 성형물을 이용한 웨어러블 기기 착용 수단{Electrical circuit molding for wearable devic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wearable device wearing means using such electrical circuit molding}
본 발명은 웨어러블 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정적인 웨어러블 기기용 전기회로 성형물과 그의 제조방법, 및 이러한 전기회로 성형물을 이용한 웨어러블 기기 착용 수단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다양한 목적과 형태를 갖춘 웨어러블 기기들이 시중에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기기들을 착용하기 위한 수단으로 벨크로 타입, 후크 타입, 지퍼 타입, 조임벨트 타입, 버클 타입 등과 같이 다양한 구성들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벨크로, 후크, 지퍼, 조임벨트, 버클 타입의 착용 수단들은 인위적인 조임 후 체결하는 방식이 대부분인데, 이 경우 신체 움직임이 부자연스러운 환자나 노약자들의 착용이 어렵고, 보호자의 도움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벨크로, 후크, 지퍼, 조임벨트, 버클 타입의 착용 수단들은 이를 너무 강하게 조임으로써 혈액순환 장애와 같은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도 제기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벨크로, 후크, 지퍼, 조임벨트, 버클 타입의 착용 수단과 같은 인위적인 조임없이 웨어러블 기기의 인체 부착을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방식의 착용 수단의 개발이 요구된다.
[선행기술문헌]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9550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개발된 것으로, 일정한 탄성을 갖고 형상 복원이 가능하도록 반원(또는 C형) 형태의 곡면 구조를 갖는 판 스프링을 내장한 실리콘 전기회로 성형물과 그의 제작방법, 그리고 이러한 안정적인 실리콘 전기회로 성형물을 적용한 웨어러블 기기 착용 수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형태에 따르면, 웨어러블 기기용 전기회로 성형물로서, 일정한 형상과 탄성을 갖는 판 스프링; 상기 판 스프링의 내,외측의 표면을 둘러싸는 외부 실리콘; 상기 판 스프링의 내측 방향의 상기 외부 실리콘 표면에 부착되는 전기회로물인 플렉시블 PCB; 및 상기 판 스프링의 내측 방향으로 상기 플렉시블 PCB의 상부를 커버하는 내부 실리콘을 포함하고, 상기 플렉시블 PCB는 열, 광선, 진동, 전기, 초음파, 레이저를 포함하는 다양한 자극 중 적어도 하나를 환부에 제공하도록 제공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기기용 전기회로 성형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전기회로 성형물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기기 착용 수단으로서, 여기서 판 스프링은 형상 복원이 가능한 C형상의 곡면 구조를 갖고, 상기 플렉시블 PCB는 환부에 제한된 파장 범위의 광을 조사하기 위한 다수의 발광소자가 배열되되, 발광소자는 가시광선(600~700㎚ 파장)이나 적외선(700~990㎚ 파장)을 조사하기 위한 발광 다이오드(LED)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판 스프링은 펼침 상태에서 최대 일(―)자 형태까지만 펴지고 그 이상은 휘지 않도록 곡면의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일측에 꺽임 방지 홈이 가공된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전기회로 성형물이 웨어러블 기기 본체의 양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C형 착용밴드로 구성되고, 상기 C형 착용밴드는 내측 끝단에 돌출된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외측 표면에 상기 결합돌기가 안착되어 고정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는 결합홈과의 결합 안정성을 위해 자석이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기기 착용 수단을 제공한다.
여기서, 결합홈은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따라 착용밴드의 직경을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C형 착용밴드의 외표면을 따라 일렬로 다수 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한 웨어러블 기기 본체는 사용자의 환부에 진동을 통한 자극을 제공하기 위한 진동 자극부가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적어도 한 쌍의 돌출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웨어러블 기기용 전기회로 성형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일정한 탄성을 갖고 형상 복원이 가능한 반원 또는 C 형상의 곡면 구조를 갖는 판 스프링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판 스프링을 실리콘 성형 몰드에 삽입하고 액상 실리콘재를 주입하여 상기 판 스프링을 둘러싸는 1차 성형물인 외곽 실리콘 성형품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외곽 실리콘 성형품의 내측 면에 양면 테이프를 부착하고 그 위에 전기회로물인 플렉시블 PCB를 부착하여 2차 성형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플렉시블 PCB를 포함하는 전기회로물을 커버하기 위한 내부 실리콘 부재를 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전기회로물의 표면에 내부 실리콘 부재를 부착하여 완성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기기용 전기회로 성형물 제조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술된 특징들로부터 본 발명은 벨크로, 후크, 지퍼, 조임벨트, 버클 타입의 착용 수단과 같은 인위적인 조임없이 편리하게 웨어러블 기기의 인체 부착이 가능한 웨어러블 기기용 착용 수단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C형의 곡면 구조를 펼치고 오므리는 인장 및 수축 동작에도 전기회로물의 손상없이 안정적인 웨어러블 기기용 전기회로 성형물을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웨어러블 기기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기회로 성형물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전기회로 성형물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기기 착용 수단의 제작 공정도,
도 3은 도 2에 의해 제작된 웨어러블 기기 착용 수단의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 착용 수단을 일자로 편 상태에서의 힘의 작용을 보여주는 도면,
도 5 및 도 6은 도 3의 단면 구조로 갖는 전기회로 성형물인 웨어러블 기기용 착용밴드의 일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
도 7 및 도 8은 도 5의 웨어러블 기기용 착용밴드의 내부 및 외부 결합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5 내지 도 8의 착용밴드 구조를 갖는 웨어러블 기기의 다양한 사용예들을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과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에서는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필연적인 부분들을 제외하고는 그 도시와 설명을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걸쳐 동일 유사한 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고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웨어러블 기기에 사용하기 위한 전기회로 성형물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이같은 전기회로 성형물은 웨어러블 기기 자체 또는 웨어러블 기기의 인체 부착을 위한 착용 수단 등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회로 성형물(1)은 플렉시블(Flexible) PCB(11)를 포함하는 전기회로물(10)을 내장하고 내,외부에 실리콘 소재로 뒤덮인 형태를 갖는 것으로서, 사용 목적에 따라 일(-)자형, 반원형(또는 C형) 등 다양한 형태의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전기회로물(10)은 열, 광선, 진동, 전기, 초음파, 또는 레이저 등과 같은 다양한 자극을 필요에 따라 사용자의 환부에 제공하도록 구성한 것으로, 예를 들면 플렉시블 PCB(11) 상에 전열소자, 발광소자, 진동자, 전기자극기, 초음파발진기, 또는 레이저발진기 등과 같은 수단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기회로물(10)의 외측 표면에는 사용 목적에 따른 일정한 형상(예: 일자형 또는 C형) 및 탄성을 가진 판 스프링(12)을 내장한 외부 실리콘 부재(13)가 결합되고, 전기 회로물(10)의 내측 표면에는 플렉시블 PCB(11) 상의 자극 수단들을 커버하는 내부 실리콘 부재(15)가 결합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전기회로 성형물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기기 착용 수단의 제작 공정도, 도 3은 도 2에 의해 제작된 웨어러블 기기 착용 수단의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 착용 수단을 일(-)자로 편 상태에서의 힘의 작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기기 착용 수단은 도 1의 전기회로 성형물(1)을 포함하고 인위적인 조임없이 웨어러블 기기의 인체 부착이 가능하도록 반원 또는 C형상의 구조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회로 성형물의 세부 구성과 제작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일정한 탄성을 갖고 형상 복원이 가능한 반원(또는 C형) 형태의 곡면 구조를 갖는 판 스프링(12; 이하 'C형 판 스프링')을 제작한다.
판 스프링(12)은 일정한 탄성을 갖는 금속 소재로 구성하며, 반원 또는 C자 형태의 형상을 기억하고 변형 후에는 즉시 복원될 수 있도록 열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판 스프링(12)은 본 발명의 전기회로 성형물(1)의 제일 안쪽 부분에 위치시키는 것으로, 펼침 상태에서 최대 일(-)자 형태까지만 펴지고 그 이상은 휘지 않도록 곡면의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일측에 하나 이상의 꺽임방지 홈(12a)을 가공한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C형 판 스프링(12)이 C자 형상을 기억하고 최대 펴짐 정도를 일(-)자 형태까지만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의 전기회로 성형물의 형태 변형의 범위를 최소화하여 전기회로물(10)과 이를 둘러싸는 실리콘재의 인장 및 수축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제거 또는 제한할 수 있고, 그로부터 전기회로물(10)에 설치된 부품들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C형 판 스프링(12)을 실리콘 성형 몰드(미도시)에 삽입하고 액상 실리콘재를 주입하여 사출 성형하는 방식으로 C형 판 스프링(12)을 둘러싼 1차 성형물인 외곽 실리콘 성형품(13; 외부 실리콘 부재)을 제작한다. 이때, 외곽 실리콘 성형품(13)은 경도가 60 이상인 경질 실리콘재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금속재인 C형 판 스프링(12)은 이형(異形)의 실리콘과의 접착력 향상을 위해 표면을 거칠게 샌딩처리하거나 부식처리하고 그 표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할 수 있다.
다음으로, 1차 성형물인 외곽 실리콘 성형품(13)의 내측 면에 실리콘용 양면 테이프(14; 도 1 참조)를 부착하고 그 위에 전기회로물(10)인 플렉시블 PCB(11)를 부착하여 2차 성형물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플렉시블 PCB(11)를 포함하는 전기회로물(10)을 커버하기 위한 내부 실리콘 부재(15)를 성형하고, 전기회로물(10)의 표면에 실리콘용 접착제(예: 본드)를 이용하여 내부 실리콘 부재를 부착하여 최종적으로 전기회로 성형물을 완성한다.
이때, 플렉시블 PCB(11)와 내부 실리콘 부재(15)는 평면 구조를 갖는 바람직하다. 내부 실리콘 부재(15)를 평면 구조로 제작하는 것은 실리콘이 전기회로물과 달리 일정한 탄성을 가지므로, 평면 구조로 설계하여 부착할 경우 이 실리콘은 C형상의 2차 성형물 안에서 수축 스트레스를 상시 받는 상태이고, 2차 성형물을 폈을 때는 인장으로 인해 오히려 스트레스를 받지 않게 되어 재료 간 접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내구력도 강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즉, C형 판 스프링(12)과 이를 포함하는 외곽 실리콘 성형품(13)은 둘다 C형상으로 성형하므로 수축력은 받지 않고 인장력만 받도록 설계하고, 전기회로물(10)과 내부 실리콘 부재는 평면 구조로 성형하여 외곽 실리콘 성형품(13)의 내부에서 평상시 수축력만 받도록 설계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웨어러블 기기 착용 수단를 펼쳤을 때 전기회로물(10)과 내부 실리콘 부재(15)의 수축력이 해제되면서 내외측 부재들이 상호 보완하여 힘을 상쇄함으로써 전기회로물(10)을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C자 형상의 곡면 구조를 갖는 전기회로 성형물이 펼쳐지는 동작을 할 때 도 3의 단면 구성상의 중립선(―­―) 위쪽에 위치된 외곽 실리콘 성형품(13)은 수축 스트레스(→←)를 받고, 중립선(―­―) 아래쪽 구성물인 플렉시블 PCB(11)을 포함한 전기회로물(10)과 내부 실리콘 부재(15)는 인장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
그러나, 이들 중립선(―­―) 아래쪽 구성물은 원래 “평면”구조로 형성된 것이므로, “C”형상의 1차 성형물 아래에 수축된 상태로 부착되면서 인장 방향으로 복원하려는 관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플렉시블 PCB(11)와 전기회로물(10)가 인장 스트레스로 인해 받는 충격은 실제로 크지 않다. 더욱이, 일정한 신축성을 갖는 외부 실리콘 부재(13)의 일부와 양면 테이프(14)가 플렉시블 PCB(11)의 변형을 잡아줄 수 있고, 내부 실리콘 부재(15) 또한 낮은 경도의 연질 실리콘으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플렉시블 PCB(11) 상의 실장부품(예; LED)에 인장 스트레스로 인한 충격을 거의 주지 않아 C형의 곡면 구조를 펼치고 오므리는 인장 및 수축 동작에도 안정적인 전기회로 성형물(1)이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3의 단면 구조로 갖는 전기회로 성형물인 웨어러블 기기용 착용밴드의 일 구성예를 나타낸 것으로, “C”형상의 1차 성형물(13) 내부에 플렉시블 PCB(11)를 포함한 전기회로물(10)이 부착된 상태(도 5)와 그 위에 내부 실리콘 부재(15)가 부착(도 6)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여기서, 웨어러블 기기용 착용밴드로 제공되는 전기회로 성형물은 예를 들어 물리치료용으로 열, 광선, 진동, 전기, 초음파, 레이저 등을 제공하여 환부에 다양한 자극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광 치료법에 활용하기 위한 전기회로 성형물의 경우, 플렉시블 PCB의 표면상에 다수의 발광소자가 일정 간격으로 실장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발광소자는 환부에 제한된 파장 범위의 광, 예를 들어 가시광선(600~700㎚ 파장)이나 적외선(700~990㎚ 파장)을 조사하기 위한 발광 다이오드(LED)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내부 실리콘 부재(15)는 투명 실리콘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다수의 LED 소자로부터 발광된 가시광선 또는 적외선은 상부의 투명 실리콘을 통과하여 사용자의 환부에 적절히 조사되어 치료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도 5의 웨어러블 기기용 착용밴드의 내부 및 외부 결합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웨어러블 기기는 본체(30)의 양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C”형상의 착용밴드(20,20'; 이하 'C형 착용밴드')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C형 착용밴드(20,20')는 내측 끝단에 도 7과 같은 돌출된 결합돌기(21)를 구비하고, 외측 표면에는 이 결합돌기(21)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도 8과 같은 결합홈(22)을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따라 착용밴드(20,20')의 직경을 조정할 수 있도록 결합홈(22)은 C형 착용밴드(20,20')의 외표면을 따라 일렬로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합돌기(21)는 결합홈(22)과의 결합 안정성을 위해 자석(미도시)이 내장된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 경우, 결합홈(22)이 형성된 착용밴드(20,20')의 내부는 금속재인 판 스프링(12; 도 3 참조)이 내장되어 있으므로 자석에 의해 결합돌기(21)와 결합홈(22)의 결합이 보다 확실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사용자는 웨어러블 기기를 팔이나 손목, 발목, 다리, 허리, 무릎 등 신체 각부에 착용한 상태로 신체 크기에 맞춰 결합돌기(21)를 이동시켜 결합홈(22)에 끼워맞출 수 있으며, 종래의 벨크로 타입, 후크 타입, 지퍼 타입, 조임벨트 타입, 버클 타입의 착용 수단들의 인위적인 체결 방식에 비해 착용이 더욱 간편하고, 혈액순환 장애와 같은 부작용을 발생시키지도 않게 된다.
또한, 도 8에 따르면, 위와 같은 착용밴드(20.20')를 갖는 웨어러블 기기의 본체(30) 내측 표면에 하나 이상의 진동 자극부(31)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진동 자극부(31)는 사용자의 환부에 진동을 통한 자극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골전도 스피커나 모터 등을 이용한 진동자, 음파 진동자와 같은 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적어도 한 쌍의 돌출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9는 도 5 내지 도 8의 착용밴드 구조를 갖는 웨어러블 기기의 다양한 사용예들을 도시한다. 먼저, 도 9a는 본 발명의 착용밴드를 갖는 웨어러블 기기를 무릎 또는 발목 부위에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무릎 또는 발목 관절의 물리치료나 무릎 또는 발목 관절 보호를 위한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도 9b는 본 발명의 착용밴드를 갖는 웨어러블 기기를 팔뚝 부분에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9c는 본 발명의 착용밴드를 갖는 웨어러블 기기를 팔꿈치에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그 외에 사용자의 손목이나 발목 또는 어깨 부위에 착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 9d는 본 발명의 착용밴드를 갖는 웨어러블 기기를 허리 또는 복부에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허리나 복부의 물리적 치료를 위해 사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도 9e는 본 발명의 착용밴드를 갖는 웨어러블 기기를 두부에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두피 치료나 두피 마사지 등의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도 9f는 본 발명의 착용밴드를 갖는 웨어러블 기기를 안면 부위에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피부 치료나 미용 등의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도 9g는 본 발명의 착용밴드를 갖는 웨어러블 기기를 목 부분에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목 디스크나 담 결림 등의 치료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상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지금까지 설명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 그 일부를 예시한 정도에 불과하며,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나타날 수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동일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요지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균등물의 많은 변화, 수정 및 대체가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 : 전기회로 성형물
10 : 전기회로물
11 : 플렉시블 PCB
12 : 판 스프링
12a : 꺽임방지 홈
13: 외부 실리콘 부재(외곽 실리콘 성형품)
14 : 양면 테이프
15 : 내부 실리콘 부재
20,20' : C형 착용밴드
21 : 결합돌기
22 : 결합홈
30 : 웨어러블 기기 본체
31 : 진동 자극부

Claims (10)

  1. 일(―)자로 펼침 가능하고 변형 후 형상 복원이 가능한 웨어러블 기기용 전기회로 성형물로서,
    상기 전기회로 성형물의 내부에 위치하고 일(―)자로 펼침 가능하도록 일정한 탄성을 가지며 변형 후 즉시 형상 복원이 가능한 반원 또는 C형의 판 스프링;
    상기 판 스프링의 내측 표면과 외측 표면을 함께 둘러싸도록 피복되는 외부 실리콘;
    상기 판 스프링의 내측 방향의 상기 외부 실리콘 표면에 부착되는, 복수의 전기회로물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PCB; 및
    상기 판 스프링의 내측 방향으로 상기 플렉시블 PCB의 상부를 커버하는 내부 실리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기기용 전기회로 성형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PCB는 열, 광선, 진동, 전기, 초음파, 레이저를 포함하는 다양한 자극 중 적어도 하나를 환부에 제공하도록 제공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기기용 전기회로 성형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PCB는 양면 테이프에 의해 상기 외부 실리콘의 표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기기용 전기회로 성형물.
  4. 제1항의 전기회로 성형물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기기 착용 수단으로서,
    상기 판 스프링은 형상 복원이 가능한 C형상의 곡면 구조를 갖고, 상기 플렉시블 PCB는 환부에 제한된 파장 범위의 광을 조사하기 위한 다수의 발광소자가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기기 착용 수단.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는 가시광선(600~700㎚ 파장)이나 적외선(700~990㎚ 파장)을 조사하기 위한 발광 다이오드(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기기 착용 수단.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은 펼침 상태에서 최대 일(―)자 형태까지만 펴지고 그 이상은 휘지 않도록 곡면의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일측에 꺽임 방지 홈이 가공된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기기 착용 수단.
  7. 제 1항의 전기회로 성형물이 웨어러블 기기 본체의 좌우 양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C형 착용밴드로 구성되는 웨어러블 기기 착용 수단으로서,
    상기 C형 착용밴드는 내측 끝단에 돌출된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외측 표면에 상기 결합돌기가 안착되어 고정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는 결합홈과의 결합 안정성을 위해 자석이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기기 착용 수단.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은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따라 착용밴드의 직경을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C형 착용밴드의 외표면을 따라 일렬로 다수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기기 착용 수단.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기기 본체는 사용자의 환부에 진동을 통한 자극을 제공하기 위한 진동 자극부가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적어도 한 쌍의 돌출된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기기 착용 수단.
  10. 제 1항의 웨어러블 기기용 전기회로 성형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전기회로 성형물의 내부에 위치하고 일(―)자로 펼침 가능하도록 일정한 탄성을 가지며 변형 후 즉시 형상 복원이 가능한 반원 또는 C형의 판 스프링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판 스프링을 실리콘 성형 몰드에 삽입하고 액상 실리콘재를 주입하여 상기 판 스프링의 내측 표면과 외측 표면을 함께 둘러싸는 1차 성형물인 외곽 실리콘 성형품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외곽 실리콘 성형품의 내측 면에 양면 테이프를 부착하고 그 위에 전기회로물인 플렉시블 PCB를 부착하여 2차 성형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플렉시블 PCB를 포함하는 전기회로물을 커버하기 위한 내부 실리콘 부재를 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전기회로물의 표면에 내부 실리콘 부재를 부착하여 완성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회로 성형물 제조 방법.
KR1020220097553A 2022-08-04 2022-08-04 웨어러블 기기용 전기회로 성형물과 그의 제조방법, 및 이러한 전기회로 성형물을 이용한 웨어러블 기기 착용 수단 KR102536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7553A KR102536119B1 (ko) 2022-08-04 2022-08-04 웨어러블 기기용 전기회로 성형물과 그의 제조방법, 및 이러한 전기회로 성형물을 이용한 웨어러블 기기 착용 수단
PCT/KR2023/011094 WO2024029860A1 (ko) 2022-08-04 2023-07-31 웨어러블 기기용 전기회로 성형물과 그의 제조방법, 및 이러한 전기회로 성형물을 이용한 웨어러블 기기 착용 수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7553A KR102536119B1 (ko) 2022-08-04 2022-08-04 웨어러블 기기용 전기회로 성형물과 그의 제조방법, 및 이러한 전기회로 성형물을 이용한 웨어러블 기기 착용 수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6119B1 true KR102536119B1 (ko) 2023-05-26

Family

ID=86536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7553A KR102536119B1 (ko) 2022-08-04 2022-08-04 웨어러블 기기용 전기회로 성형물과 그의 제조방법, 및 이러한 전기회로 성형물을 이용한 웨어러블 기기 착용 수단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36119B1 (ko)
WO (1) WO202402986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29860A1 (ko) * 2022-08-04 2024-02-08 엘티바이오 주식회사 웨어러블 기기용 전기회로 성형물과 그의 제조방법, 및 이러한 전기회로 성형물을 이용한 웨어러블 기기 착용 수단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2996Y1 (ko) * 2006-01-03 2006-04-05 정정만 바이오 건강 팔찌
KR20120050261A (ko) * 2010-11-10 2012-05-18 (주)에너지플러스 휴대용 온열 통증완화 찜질기
KR101430865B1 (ko) * 2013-03-07 2014-08-18 조철환 무릎 물리치료장치
KR20150001157U (ko) * 2013-09-09 2015-03-18 이광은 자세 교정용 허리밴드
KR20160121153A (ko) * 2015-04-10 2016-10-19 (주)신생활화장품 적외선 조사 장치 및 적외선 조사 방법
KR20180092115A (ko) * 2017-02-08 2018-08-17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터치 센서 필름과 인쇄 회로 기판의 접합 방법
KR20180116653A (ko) * 2017-04-17 2018-10-25 주식회사 싸이버메딕 어지럼증 치료 및 재활이 가능한 복합자극 웨어러블 디바이스
KR200488288Y1 (ko) * 2018-05-16 2019-04-03 이상훈 양말 목 구조
KR20190056734A (ko) * 2017-11-17 2019-05-2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링 형상의 웨어러블 장치
US20190365003A1 (en) * 2018-06-01 2019-12-05 Cuffed Up,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Rolled Shirt Sleeves and Pant Legs
KR102060678B1 (ko) * 2018-09-28 2019-12-30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웨어러블 스트레인 센서
KR102285514B1 (ko) * 2021-04-08 2021-08-05 주식회사 에스티에스비즈 웨어러블 스마트체온계
KR20220056952A (ko) * 2020-10-29 2022-05-09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실시간 혈압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웨어러블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6119B1 (ko) * 2022-08-04 2023-05-26 엘티바이오 주식회사 웨어러블 기기용 전기회로 성형물과 그의 제조방법, 및 이러한 전기회로 성형물을 이용한 웨어러블 기기 착용 수단

Paten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2996Y1 (ko) * 2006-01-03 2006-04-05 정정만 바이오 건강 팔찌
KR20120050261A (ko) * 2010-11-10 2012-05-18 (주)에너지플러스 휴대용 온열 통증완화 찜질기
KR101430865B1 (ko) * 2013-03-07 2014-08-18 조철환 무릎 물리치료장치
KR20150001157U (ko) * 2013-09-09 2015-03-18 이광은 자세 교정용 허리밴드
KR20160121153A (ko) * 2015-04-10 2016-10-19 (주)신생활화장품 적외선 조사 장치 및 적외선 조사 방법
KR20180092115A (ko) * 2017-02-08 2018-08-17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터치 센서 필름과 인쇄 회로 기판의 접합 방법
KR20180116653A (ko) * 2017-04-17 2018-10-25 주식회사 싸이버메딕 어지럼증 치료 및 재활이 가능한 복합자극 웨어러블 디바이스
KR20190056734A (ko) * 2017-11-17 2019-05-2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링 형상의 웨어러블 장치
KR200488288Y1 (ko) * 2018-05-16 2019-04-03 이상훈 양말 목 구조
US20190365003A1 (en) * 2018-06-01 2019-12-05 Cuffed Up,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Rolled Shirt Sleeves and Pant Legs
KR102060678B1 (ko) * 2018-09-28 2019-12-30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웨어러블 스트레인 센서
KR20220056952A (ko) * 2020-10-29 2022-05-09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실시간 혈압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웨어러블 장치
KR102285514B1 (ko) * 2021-04-08 2021-08-05 주식회사 에스티에스비즈 웨어러블 스마트체온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29860A1 (ko) * 2022-08-04 2024-02-08 엘티바이오 주식회사 웨어러블 기기용 전기회로 성형물과 그의 제조방법, 및 이러한 전기회로 성형물을 이용한 웨어러블 기기 착용 수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29860A1 (ko) 2024-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6119B1 (ko) 웨어러블 기기용 전기회로 성형물과 그의 제조방법, 및 이러한 전기회로 성형물을 이용한 웨어러블 기기 착용 수단
ITTV20030133A1 (it) Struttura di protezione degli arti inferiori del corpo umano.
KR200487759Y1 (ko) 기능성 건강 실리콘 패치
KR20090063296A (ko) 목 보조기
KR20140036812A (ko) 손가락용 부목
KR20140030590A (ko) 손가락용 부목
CN211131611U (zh) 一种应力刺激型手指骨折固定器
US20070083248A1 (en) Healthful belt
KR101396310B1 (ko) 전기 자극을 이용한 무릎 경락 전기자극장치
CN205052939U (zh) 护具
KR200419090Y1 (ko) 고주파치료장치
KR200351286Y1 (ko) 무릎보호대
DE602004023032D1 (de) Längenverstellbarer Brillenbügel
CN210673548U (zh) 一种风湿免疫用关节保护套
CN220530331U (zh) 一种能够保护治疗师手部关节的防护机构
RU55592U1 (ru) Маска лечебно-оздоровительная "гаммаск"
KR102256244B1 (ko) 애완동물용 볼 밴드
US20240115460A1 (en) System and method for stimulating and applying pressure to points on a human body
CN103181855A (zh) 针灸穴位治疗带
JP3064464U (ja) 装身具用帯電防止紐
CN203089853U (zh) 针灸穴位治疗带
KR102209077B1 (ko) Ems 스포츠 테이핑 시스템
KR20100047640A (ko) 신체 인장 장치
KR101965611B1 (ko) 초음파 진동기능이 부가된 부목
JP2020151438A (ja) 足首治療用サポーターの固定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