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0998A - 주파수 치료장치 - Google Patents

주파수 치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0998A
KR20170130998A KR1020160062065A KR20160062065A KR20170130998A KR 20170130998 A KR20170130998 A KR 20170130998A KR 1020160062065 A KR1020160062065 A KR 1020160062065A KR 20160062065 A KR20160062065 A KR 20160062065A KR 20170130998 A KR20170130998 A KR 201701309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processor
frequency output
output unit
selection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2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선
Original Assignee
이창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선 filed Critical 이창선
Priority to KR1020160062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30998A/ko
Publication of KR20170130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09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61N1/36031Control systems using physiological parameters for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6Measuring blood flow
    • A61B5/048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3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2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muscle stimulation [T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6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T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8Arrangements or circuits for monitoring, protecting, controlling or indic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21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for treatment of pa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hys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sychiat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ematology (AREA)
  • Neur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파수 치료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주파수 치료장치는, 신체에 부착되어 인체에 저주파 전류를 가하는 주파수출력부; 상기 주파수출력부의 출력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및 신체에 부착되어 상기 주파수출력부로 인해 신체에서 발생하는 변화를 측정하는 감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주파수 치료장치{Frequency therapeutic apparatus}
본 발명은 주파수 치료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개인의 특성에 따라 적절한 출력 레벨을 설정할 수 있는 주파수 치료장치에 관한 것이다.
저주파 치료기(低周波治療器)는 생체에 저주파 펄스를 통전하여 신경이나 근육 등의 치료에 이용하는 장치로서, 펄스는 폭 0.01~1ms, 주파수 1~500㎐의 구형파로, 통증을 진정하는 경우에는 양극을 쓰고, 마비를 자극하는 경우에는 음극을 쓴다. (전자용어사전, 1995.3.1, 성안당)
이러한 저주파 치료기는 크게 세 가지로 구분될 수 있는데, (1) 2개의 전극에 연결된 패드를 이용하는 저주파 치료기, (2) 뾰쪽한 탐침으로 경락을 자극하는 저주파 치료기, 및 (3) 병원에서 전문가가 사용하는 저주파 치료기가 있다.
패드형 저주파 치료기는 신체의 부위에 따라 모양과 크기에 달라서 붙이기가 적절하지 않을 수 있고, 뾰쪽한 탐 침형 저주파 치료기는 치료 부위에 부드러운 마사지 방법으로 골고루 자극하기가 어려우며, 전문가용 저주파 치 료기는 병원에서 전문가의 치료를 받기 위해서는 시간 소비와 비용부담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한 몸체를 가진 구조로 이루어지고, 이에 사용자가 몸체를 파지한 상 태에서 저주파 출력부재(마사지부)를 인체의 일부에 접촉시킴으로써 그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킨 휴대용 저주파 치료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치료기를 사용하더라도 환자들은 개개인의 피부 특성에 따라 반응 정도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이를 반영하여 개인의 특성에 따라 적절한 출력 레벨을 설정할 수 있는 저주파 치료기가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개인의 민감도를 고려하여 주파수 출력값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는 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주파수 치료장치는, 신체에 부착되어 인체에 저주파 전류를 가하는 주파수출력부; 상기 주파수출력부의 출력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및 신체에 부착되어 상기 주파수출력부로 인해 신체에서 발생하는 변화를 측정하는 감지부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개인의 민감도를 고려하여 주파수 출력값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주파수 치료장치의 블록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프로세서의 제어개념을 표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시작인체는 생체전류라는 미약한 전류가 발생하는데 건강이 나빠지면 생체전류가 약해지고 흐름이 불안정해진다. 이때 생체전류를 적당히 자극하면 신진대사와 혈액순환이 개선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저주파치료기는 신체에 적당량의 세기와 빠르기로 자극을 조절해 현대인들에게 흔히 나타나는 팔, 다리, 어깨, 허리의 근육통을 비롯해 신체 모든 부위의 결림 및 통증을 완화시켜준다.
저주파치료법은 생체에 저주파 펄스를 통전하여 신경이나 근육 등의 치료하는 것이다. 펄스는 폭 0.01~1ms, 주파수 1~500㎐의 구형파로, 통증을 진정하는 경우에는 양극으로 해야하며, 마비를 자극하는 경우에는 음극으로 하게 된다.
전류의 강도는 세다고 항상 바람직한 것은 아니고, 침투 깊이가 중요하기 때문에 자신에게 맞는 세기를 조절해야 한다.
과도한 전류자극은 오히려 근육인대신경에 자극을 줄 수있다. 강도에 따른 느낌은 아주 주관적이기 때문에 환자에 맞게 다르게 설정해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주파수 치료장치의 블록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주파수 치료장치는, 신체에 부착되어 인체에 저주파 전류를 가하는 주파수출력부(40); 주파수출력부(40)의 출력을 제어하는 프로세서(10); 및 신체에 부착되어 주파수출력부(40)로 인해 신체에서 발생하는 변화를 측정하는 감지부(2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0)는 감지부(2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는다. 프로세서(10)는 감지부(20)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기초로 주파수출력부(40)를 제어한다.
주파수출력부(40)는 신체에 부착되며, 예를 들면 접착력이 있는 패치일 수 있다.
감지부(20)는, 진동, 체온, 혈류속도, 맥박, 땀, 근육 진동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한다.
감지부(20)는 근육의 팽창정도 또는 근육의 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20)는 피부의 체온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20)는 땀의 배출 정도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20)는 혈류의 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20)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10)는, 감지부(2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미리 정해진 기준값과 비교하고, 그 결과에 따라 주파수출력부(40)에서 출력되는 전류의 강도를 조절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는 감지부(20)로부터 전달된 신호의 정도가 5이고, 기준값이 7이라면 전류의 강도를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주파수 치료장치는, 사용자가 주파수출력부(40)에서 출력되는 전류의 강도를 단계별로 설정 가능하도록 형성된 강도선택부(30)를 포함한다.
강도선택부(30)는1~5단계로 나뉠수도 있고, 상중하로 구분될 수도 있다. 강도선택부(30)는 버튼 또는 다이얼 또는 터치패널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주파수 치료장치는, 진동, 체온, 혈류속도, 맥박, 땀, 근육 진동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도를 단계적으로 구분하여 저장한 메모리(60)를 포함한다.
메모리(60)에는 감지부(20)에서 감지하는 신호들에 대한 기준값이 저장되어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프로세서(10)의 제어개념을 표로 나타낸 것이다.
도2를 도1과 함께 참조하면, 프로세서(10)는, 감지부(20)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메모리(60)의 정보와 비교하여, 감지부(20)로부터 전달된 신호가 강도선택부(30)에서 선택된 정도를 추종하도록 주파수출력부(40)의 전압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감지부(20)로부터 전달된 신호의 크기정도가 5라면, 프로세서(10)는 신호의 종류를 구분하여 입력된 신호의 크기가 어느정도 레벨에 해당하는지 판단한다. 다음으로 프로세서(10)는 강도선택부(30)에서 선택된 정도를 환산하여 감지부(20)에서 감지된 신호의 레벨과 비교한다. 만약 강도선택부(30)에서 선택된 정도에 못미친다면, 프로세서(10)는 주파수출력부(40)의 전압을 증가시킨다. 강도선택부(30)가 강도3을 선택한 경우 일반적인 출력은 30V이다. 즉 평균적인 사람에 대하여는 주파수출력부(40)의 출력은 30V 이다.
하지만 민감한 사람의 경우는 이보다 낮은 출력만으로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반대로 둔감한 사람의 경우 보다 높은 출력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주파수 치료장치는, 하지정맥류 선택버튼(51)을 포함하고, 프로세서(10)는, 사용자가 하지정맥류 선택버튼(51)을 활성화하면, 피부의 체온 변화값을 기초로 주파수출력부(40)의 전압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주파수 치료장치는, 저주파 치료 선택버튼을 포함하고, 프로세서(10)는, 사용자가 저주파치료 선택버튼(52)을 활성화하면, 근육의 팽창도 및 피부의 체온 변화값을 기초로 주파수출력부(40)의 전압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주파수 치료장치는, 중주파 치료 선택버튼을 포함하고, 프로세서(10)는, 사용자가 중주파치료 선택버튼(53)을 활성화하면, 근육의 팽창도 및 피부의 체온 변화값 및 땀 발생 정도를 기초로 주파수출력부(40)의 전압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주파수 치료장치는, 미세전류 자극치료 선택버튼(54)을 포함하고, 프로세서(10)는, 사용자가 미세전류 자극치료 선택버튼(54)을 활성화하면, 피부의 체온 변화값 및 혈류속도를 기초로 주파수출력부(40)의 전압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0)는, 감지부(20)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메모리(60)의 정보와 비교하여, 감지부(20)로부터 전달된 신호의 정도가 강도선택부(30)에서 선택된 정도에 미치지 못하면 주파수출력부(40)의 전압을 증가시킨다. 프로세서(10)는, 미리 정해진 안전 전압범위 내에서 주파수출력부(40)의 전압을 증가시킨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주파수 치료장치에 의하면 사용자의 체질에 따른 정보를 얻고 이를 기초로 주파수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가 놀라거나 이질감을 느끼지 않고 치료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피부의 두께 등을 고려할 수 있어 주파수의 침투 정도에 따른 효과의 차별화가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 프로세서
20: 감지부
30: 강도선택부
40: 주파수출력부
51: 하지정맥류 선택버튼
52: 저주파치료 선택버튼
53: 중주파치료 선택버튼
54: 미세전류 자극치료 선택버튼
60: 메모리

Claims (12)

  1. 신체에 부착되어 인체에 저주파 전류를 가하는 주파수출력부;
    상기 주파수출력부의 출력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및
    신체에 부착되어 상기 주파수출력부로 인해 신체에서 발생하는 변화를 측정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는 주파수 치료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진동, 체온, 혈류속도, 맥박, 땀, 근육 진동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는 주파수 치료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감지부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미리 정해진 기준값과 비교하고, 그 결과에 따라 상기 주파수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전류의 강도를 조절하는 주파수 치료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주파수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전류의 강도를 단계별로 설정 가능하도록 형성된 강도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주파수 치료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진동, 체온, 혈류속도, 맥박, 땀, 근육 진동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도를 단계적으로 구분하여 저장한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주파수 치료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감지부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상기 메모리의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감지부로부터 전달된 신호가 상기 강도선택부에서 선택된 정도를 추종하도록 상기 주파수출력부의 전압을 제어하는 주파수 치료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하지정맥류 선택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가 상기 하지정맥류 선택버튼을 활성화하면, 피부의 체온 변화값을 기초로 상기 주파수출력부의 전압을 제어하는 주파수 치료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저주파 치료 선택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가 상기 저주파치료 선택버튼을 활성화하면, 근육의 팽창도 및 피부의 체온 변화값을 기초로 상기 주파수출력부의 전압을 제어하는 주파수 치료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중주파 치료 선택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가 상기 중주파치료 선택버튼을 활성화하면, 근육의 팽창도 및 피부의 체온 변화값 및 땀 발생 정도를 기초로 상기 주파수출력부의 전압을 제어하는 주파수 치료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미세전류 자극치료 선택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가 상기 미세전류 자극치료 선택버튼을 활성화하면, 피부의 체온 변화값 및 혈류속도를 기초로 상기 주파수출력부의 전압을 제어하는 주파수 치료장치.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감지부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상기 메모리의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감지부로부터 전달된 신호의 정도가 상기 강도선택부에서 선택된 정도에 미치지 못하면 상기 상기 주파수출력부의 전압을 증가시키는 주파수 치료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미리 정해진 안전 전압범위 내에서 상기 주파수출력부의 전압을 증가시키는 주파수 치료장치.
KR1020160062065A 2016-05-20 2016-05-20 주파수 치료장치 KR201701309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2065A KR20170130998A (ko) 2016-05-20 2016-05-20 주파수 치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2065A KR20170130998A (ko) 2016-05-20 2016-05-20 주파수 치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0998A true KR20170130998A (ko) 2017-11-29

Family

ID=60812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2065A KR20170130998A (ko) 2016-05-20 2016-05-20 주파수 치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30998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0822B1 (ko) * 2018-02-21 2018-08-22 (주)팍스메디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복합 물리 치료 시스템
CN110124195A (zh) * 2019-05-22 2019-08-16 深圳瑞博恩电子科技有限公司 中低频治疗仪的主机装置
KR20200019564A (ko) * 2019-08-02 2020-02-24 오환경 미세전류를 이용하는 스마트 근육 마사지기
CN113631084A (zh) * 2019-03-27 2021-11-09 韦博辛斯动力公司 包括温度的自动测量的用于测量振动触觉感知的设备及其准备方法
KR20220021057A (ko) * 2020-08-12 2022-02-22 (주) 헥사이노힐 순차 출력 방식의 통증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통증 관리 장치
KR20220136771A (ko) * 2021-04-01 2022-10-11 주식회사 뉴라이브 피부에 전기 자극을 가하는 전기 자극 방법 및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0822B1 (ko) * 2018-02-21 2018-08-22 (주)팍스메디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복합 물리 치료 시스템
CN113631084A (zh) * 2019-03-27 2021-11-09 韦博辛斯动力公司 包括温度的自动测量的用于测量振动触觉感知的设备及其准备方法
CN110124195A (zh) * 2019-05-22 2019-08-16 深圳瑞博恩电子科技有限公司 中低频治疗仪的主机装置
CN110124195B (zh) * 2019-05-22 2022-11-11 深圳瑞博恩电子科技有限公司 中低频治疗仪的主机装置
KR20200019564A (ko) * 2019-08-02 2020-02-24 오환경 미세전류를 이용하는 스마트 근육 마사지기
WO2021025244A1 (ko) * 2019-08-02 2021-02-11 오환경 미세전류를 이용하는 스마트 근육 마사지기
KR20220021057A (ko) * 2020-08-12 2022-02-22 (주) 헥사이노힐 순차 출력 방식의 통증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통증 관리 장치
KR20220136771A (ko) * 2021-04-01 2022-10-11 주식회사 뉴라이브 피부에 전기 자극을 가하는 전기 자극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30998A (ko) 주파수 치료장치
AU2018226818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modulating stimuli to the brain with biosensors
US9254395B1 (en) Multi-mode microcurrent stimulus system with safety circuitry and related methods
JP2000502917A (ja) バイオフィードバック方法および心理状態の制御装置
ATE406861T1 (de) Multifunktionelles koryo therapiegerät
JP3545992B2 (ja) 電気刺激による筋肉トレーニング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TW200927207A (en) System for blood-pressure stabilization by transcutaneous electrical stimulation
JP2006271689A (ja) 刺激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H02239876A (ja) 生体の生理現象を刺激する医用器具並びにその適合方法
AU2016215747B2 (en) Venous electrical stimulation apparatus and methods and uses thereof
KR101349680B1 (ko) 인체 부착형 치료 장치
JP2017516571A (ja) リハビリテ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方法
JP4473564B2 (ja) 痛み測定装置
CA2484880A1 (en) Electrical stimulation apparatus and method
RU2553185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ррекции характеристик сна
US10568806B2 (en) Wearable situational stress management device
JP2019136495A (ja) 電気治療装置
KR102515448B1 (ko) 생체 자극 장치
US6819957B1 (en) Electrical stimulation apparatus and method
KR20130006109A (ko) 센서를 이용한 고주파 출력의 전기치료기 및 고주파 출력 제어방법
JP3127329U (ja) 低周波治療器
JP3699258B2 (ja) 人体における痛み測定装置
KR102656987B1 (ko) 도자 교체 방식이 적용된 마사지 장치
CN116510181B (zh) 迷走神经刺激系统
US20200023184A1 (en) Method of forming an arteriovenous conn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