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9402B1 -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9402B1
KR101989402B1 KR1020180004055A KR20180004055A KR101989402B1 KR 101989402 B1 KR101989402 B1 KR 101989402B1 KR 1020180004055 A KR1020180004055 A KR 1020180004055A KR 20180004055 A KR20180004055 A KR 20180004055A KR 101989402 B1 KR101989402 B1 KR 101989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heart rate
nervous system
autonomic nervous
system acti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4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광석
윤희남
김지훈
최상호
권현빈
이유진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04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9402B1/ko
Priority to US16/245,038 priority patent/US11013920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9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94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5Implantable neurostimulators for stimulating central or peripheral nerve system
    • A61N1/3606Implantable neurostimulators for stimulating central or peripheral nerve system adapted for a particular treatment
    • A61N1/36114Cardiac control, e.g. by vagal stim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05Determining heart rate variabi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29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for evaluating the peripheral nervous systems
    • A61B5/4035Evaluating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36Diagnosis combined with treatment in closed-loop systems or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1/0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for inducing sleep or relaxation, e.g. by direct nerve stimulation, hypnosis, analgesia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local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02Ballistocardiograph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07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35Several programs selec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30/00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1H2230/04Heartbeat characteristics, e.g. E.G.C., blood pressure modulation
    • A61H2230/06Heartbeat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30/00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1H2230/04Heartbeat characteristics, e.g. E.G.C., blood pressure modulation
    • A61H2230/06Heartbeat rate
    • A61H2230/065Heartbeat rate used as a control parameter for the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2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tactile sense, e.g. vib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61Simulated heartbeat pulsed or modul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A61M2205/502User interfaces, e.g. screens or keyboards
    • A61M2205/505Touch-screens; Virtual keyboard or keypads; Virtual buttons; Soft keys; Mouse tou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A61M2205/5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with memories providing a history of measured variating parameters of apparatus or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04Heartbeat characteristics, e.g. ECG, blood pressure mod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04Heartbeat characteristics, e.g. ECG, blood pressure modulation
    • A61M2230/06Heartbeat rate only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Neur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nesthesiology (AREA)
  • Psych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sychiat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자율신경계 활동을 유도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 각각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기준 심박수 정보가 획득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특정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가 선택되면,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장치가, 상기 특정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의 제1 기준 심박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b) 상기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장치가, 상기 제1 기준 심박수 정보에 대응되는 제1 주기를 가지는 제1 진동 자극이 상기 사용자에게 가하여지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실시간 평균 심박 간격이 상기 제1 진동 자극에 동기화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상태의 자율신경계 활동을 유도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인체 내부 환경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INDUCING ACTIVATION OF AUTONOMIC NERVOUS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에 의해 특정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가 선택되면 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기준 심박수 정보를 확인하며, 기준 심박수 정보에 대응되는 주기를 가지는 진동 자극이 사용자에게 가하여지도록 하여 사용자의 실시간 평균 심박수 간격이 진동 자극에 동기화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로 유도하는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율신경계는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의 길항작용을 통해 인체의 내부 환경 유지에 필요한 조절 기능을 수행하여 항상성 유지에 기여한다.
교감신경은 긴장, 공포, 분노 등 위급상황에 대처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심박동수 및 호흡수 증가, 동공 확대, 위장관 운동 억제 및 방광 이완 등과 관련되어 있다.
그리고, 부교감신경은 안정상태와 관련이 있어 에너지 보존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심박동수 및 호흡수 감소, 위장관 운동 증가, 방광 수축 등과 관련되어 있다.
특히, 비정상 자율신경계의 활동은 스트레스, 심혈관계, 신경계 질환 및 만성질환 등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그에 따라 자율신경계의 균형 유지는 건강한 삶을 회복하고 유지하는 기반이 된다.
따라서, 자율신경계 활동의 균형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특히,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92249호에는 사용자의 상태를 고려하여 오감 중 적어도 하나를 자극하여 사용자의 숙면을 유도하거나, 수면 상태를 변경 또는 중단시킬 수 있는 수면 유도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제시되어 있으며,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39287호에는 집중력, 기억력, 인지 능력, 및 스트레스 경감 중 적어도 하나가 필요한 환자에게 동조화된 광 플래쉬 및 펄스 톤의 조절된 적용에 의해, 집중력, 기억력, 인지 능력, 및 스트레스 경감 중 적어도 하나를 향상시키는 집중력 및/또는 기억력의 향상이 필요한 개체에 집중력 및/또는 기억력을 향상시키는 치료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장치 및 방법은 사용자의 수면 상태에 따라 오감을 직접적으로 자극하거나, 선택된 능력 향상에 대한 시청각 동화에서 설정된 주파수 내의 동조화된 광 플래쉬 및 펄스 톤을 적용하는 것과 같이 사용자의 뇌 자극을 통해 원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나, 설정된 조건의 자극을 가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정확히 반영하지 못할 뿐 아니라, 사용자에 따라 원하는 상태를 정확히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시청각 등의 자극은 사용자가 깨어있는 동안 자극에 집중을 하여야 하므로 외부 자극 반응이 최소로 유지되는 수면 중이나 일상 중 학습, 업무 등과 동시에 활용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기술은 사용자의 뇌를 자극하는 것이므로 사용자에 따라 거부감이 있을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부작용에 의해 원하지 않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자율신경계 활동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반영하여 자극의 특성을 조절하여 사용자의 자율신경계 활동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에 특화된 자극으로 사용자의 자율신경계 활동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효과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자율신경계 활동을 유도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 각각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기준 심박수 정보가 획득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특정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가 선택되면,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장치가, 상기 특정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의 제1 기준 심박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b) 상기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장치가, 상기 제1 기준 심박수 정보에 대응되는 제1 주기를 가지는 제1 진동 자극이 상기 사용자에게 가하여지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실시간 평균 심박 간격이 상기 제1 진동 자극에 동기화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자율신경계 활동을 유도하는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게 진동 자극을 가하는 진동 자극부; 및 (i)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 각각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기준 심박수 정보가 획득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특정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가 선택되면, 상기 특정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의 제1 기준 심박수 정보를 확인하는 프로세스, 및 (ii) 상기 제1 기준 심박수 정보에 대응되는 제1 주기를 가지는 제1 진동 자극이 상기 진동 자극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가하여지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실시간 평균 심박 간격이 상기 제1 진동 자극에 동기화되도록 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상태의 자율신경계 활동을 유도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인체 내부 환경을 균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자율신경계 유도를 위한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반영하여 자극의 특성을 조절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상태의 자율신경계 활동을 정확히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별 특화된 자극으로 사용자의 자율신경계 활동을 유도함으로써 사용자 개인 특성에 따른 부작용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에 이용되기 위하여 첨부된 아래 도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단지 일부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발명적 작업이 이루어짐 없이 이 도면들에 기초하여 다른 도면들이 얻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자율신경계 활동을 유도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심박수 정보를 획득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심박을 동기화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획득된 심박변이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목적들, 기술적 해법들 및 장점들을 분명하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항들에 걸쳐, "포함하다"라는 단어 및 그것의 변형은 다른 기술적 특징들, 부가물들, 구성요소들 또는 단계들을 제외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다.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 장점들 및 특성들이 일부는 본 설명서로부터, 그리고 일부는 본 발명의 실시로부터 드러날 것이다. 아래의 예시 및 도면은 실례로서 제공되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다.
더욱이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표시된 실시예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들을 망라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도 1을 참조하면,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장치(100)는 입력부(110), 저장부(120), 심박수 측정부(130), 프로세서(140), 및 진동 자극부(150)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10)는 사용자의 입력 동작에 따른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키 패드(key pad), 마우스(mouse),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마이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20)는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장치(100)의 동작을 위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으로,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 각각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기준 심박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저장부(12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모든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20)는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장치(100)의 내부에 설치되거나, 이와는 달리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장치(100)와 분리 설치되어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장치(100)와의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수신되는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심박수 측정부(130)는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심장 박동으로 인한 인체의 미세한 떨림인 심탄도(ballistocardiogram)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심박수 측정부(130)는 사용자의 인체에 대하여 무구속/비접촉식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심박수 측정부(130)는 압력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압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프로세서(140)는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 각각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기준 심박수 정보가 저장부(120)에 저장된 상태에서, 입력부(110)를 통해 사용자에 의한 특정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가 선택되면, 특정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제1 기준 심박수 정보를 확인하며, 확인된 제1 기준 심박수 정보에 대응되는 제1 주기를 가지는 제1 진동 자극이 진동 자극부(150)를 통해 사용자에게 가하여지도록 지원함으로써 사용자의 실시간 평균 심박 간격이 제1 진동 자극에 동기화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진동 자극부(150)는 프로세서(14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동작하여 사용자에게 진동 자극을 가하여 줄 수 있다. 이때, 진동 자극은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하는 약한 자극인 무자각 진동 자극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자율신경계 활동을 유도하는 방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각각의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에 따른 사용자의 기준 심박수 정보가 저장부(12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때, 기준 심박수 정보는 각각의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에 대응되는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에서 검출되는 사용자의 심박수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일 예로, 기준 심박수 정보는 자율신경계 안정 상태에서 검출되는 사용자 심박수의 평균 심박 간격일 수 있다. 또한,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는 수면 모드, 집중력 향상 모드, 스트레스 완화 모드, 심혈관 안정 모드, 감정 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수면 모드는 깊은 수면 모드, 렘수면 모드, 수면 유지 모드, 기상 모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감정 모드는 안정 모드, 편안 모드, 각성 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기준 심박수 정보가 획득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장치(100)를 이용하여 자신의 자율신경계 활동을 특정 자율신경계 활동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입력부(110)를 통해 특정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를 선택하면,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장치(100)의 프로세서(140)는 저장부(120)에 저장된 특정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제1 기준 심박수 정보를 확인한다(S10).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제1 기준 심박수 정보에 대응되는 제1 주기를 가지는 제1 진동 자극이 진동 자극부(150)를 통해 사용자에게 가하여지도록 지원(S20)함으로써 사용자의 실시간 평균 심박 간격이 제1 진동 자극에 동기화되도록 한다. 이때, 제1 진동 자극의 제1 주기는 제1 기준 심박수 정보에 대응되는 제1 평균 심박 간격일 수 있다. 즉, 프로세서(140)는 특정 자율신경계 활동에 대응하는 제1 기준 심박수 정보로부터 평균 심박 간격을 확인하고, 확인된 평균 심박 간격을 제1 주기로 하는 제1 진동 자극 신호를 생성하며, 생성된 제1 주기의 제1 진동 자극 신호로 진동 자극부(150)를 제어함으로써 진동 자극부(150)가 제1 주기의 제1 진동 자극을 사용자에게 가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제1 진동 자극은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하는 무자각 진동 자극일 수 있으며, 사용자에 따른 거부감이 없으며 현재 사용자의 활동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도 3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평균 심박 간격(20)은 진동 자극부(150)에 의한 제1 진동 자극에 동기화되며, 결과적으로 사용자의 실시간 평균 심박 간격(20)은 저장부(120)에 저장된 특정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에서의 기준 심박수 정보에 대응하는 제1 평균 심박 간격(10)으로 수렴(30)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의 실시간 평균 심박 간격(20)이 제1 평균 심박 간격(10)으로 수렴(30)하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는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로 유도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를 유도함으로써 자율신경계의 주기능인 내적 조절기능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이는 의학분야에서 심혈관 질환 치료 보조 기술, 수면 유도 기술 등에 적용될 수 있고, 헬스케어 분야에서 스트레스 완화 기술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학습, 업무에서 집중력 향상, 감정 조절 등에 활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깊은 수면은 육체적 회복, 성장호르몬 가속, 서술기억 증진과 관계가 있고, 렘수면은 절차기억, 창의력과 관계가 있으며, 우울증과 관련되어 있다. 따라서, 동일한 수면시간에서 깊은 수면 또는 렘 수면 등과 같은 특정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를 유도하여 수면 기능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또한, 일상에서 스트레스완화, 긴장 조절, 집중력 향상을 기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업무능력 향상, 건강증진 등을 기대할 수 있다. 나아가 비건강인의 심혈관계 활동을 보조할 수 있고, 건강관련 지표로 활용 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자율신경계 유도 장치(100)의 프로세서(140)는 제1 기준 심박수 정보에 대응되는 제1 평균 심박 간격을 제1 주기로 한 제1 진동 자극이 진동 자극부(150)를 통해 사용자에게 가하여지도록 지원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실시간 심박수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실시간 심박수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심박변이율을 획득한다(S30).
일 예로, 도 4의 (a)에서와 같이 무구속/비접촉 방식에 의해 사용자의 현재 활동을 방해하지 않으며 심박수 측정부(130)가 사용자의 인체로부터 발생하는 미세한 떨림에 대응하는 진동 신호를 획득하여 전송하면, 프로세서(140)는 도 4의 (b)에서와 같이 심박수 측정부(130)로부터 전송되는 진동 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평균 심박 간격을 획득한다. 이때, 심박수 측정부(130)로부터 획득된 진동 신호에는 진동 자극부(150)에 의해 사용자에게 가하여지는 진동 신호가 포함될 수 있으므로, 심박수 측정부(130)로부터 획득된 진동 신호에서 진동 자극부(150)에 의해 가하여지는 진동 신호를 제거하여 사용자의 심탄도를 획득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심탄도를 심박수 대역으로 처리하고 심박수의 주기적 특성을 이용하여 심박수를 연산한다.
이후, 프로세서(140)는 심박수를 참조하여 도 5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심박 간격의 미세한 변화 정도를 정량화한 사용자의 심박변이율을 획득한다. 이때, 심박변이율에서 시간영역은 평균 심박 간격(수), 심박 간격의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정량화하며, 주파수 영역은 심박 간격의 주파수 대역별 파워를 계산하여 정량화할 수 있다. 그리고, VLF는 0Hz 내지 0.04Hz 대역의 파워이며, LF는 0.04Hz 내지 0.15Hz 대역의 파워이며, HF는 015Hz 내지 0.4Hz 대역의 파워이다. 또한, LFHF는 LF/HF이며, nHF는 HF/(LF + HF)이며, nLF는 LF/(LF + HF)이다.
이때, HF, nHF는 주로 부교감신경 활동(PSNS)을 관찰하기 위해 사용되며, VLF, LF, nLF, LFHF는 주로 교감신경 활동(SNS)을 관찰하기 위해 사용된다.
다음으로, 프로세서(140)는 사용자의 심박변이율에서의 부교감신경 활동 상태값, 일 예로 HF 또는 nHF이 기설정된 제1 기준값으로 수렴하는 시간 동안 진동 자극부(150)를 통해 제1 주기의 제1 진동 자극이 사용자에게 가하여지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원한다. 이때, 기설정된 제1 기준값은 사용자의 특정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에서 심박변이율에 의해 획득되는 최대의 부교감신경 활동 상태값일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40)는 심박변이율에 의해 획득되는 부교감신경 활동 상태값이 기설정된 제1 기준값으로 수렴하는지 확인하다(S40).
그리고, 확인 결과 획득되는 부교감신경 활동 상태값이 제1 기준값으로 수렴할 경우, 프로세서(140)는 진동 자극부(150)를 통해 제1 주기를 가지는 제1 진동 자극이 계속적으로 사용자에게 가하여지도록 한다.
그러나, 확인 결과 획득되는 부교감신경 활동 상태값이 제1 기준값으로 수렴하지 않을 경우, 즉, 부교감신경 활동 상태값이 기설정된 제1 기준값 미만에서 변동이 없거나 기설정된 제1 기준값으로 수렴하지 않으면 프로세서(140)는 제1 진동 자극의 주기를 실시간 심박수 정보에 대응되는 제n 주기로부터 제1 주기로 단계적으로 변화시키며, 각각의 변화된 주기인 제n-k 주기의 제1 진동 자극이 진동 자극부(150)를 통해 사용자에게 가하여지도록 지원(S50)함으로써 실시간 평균 심박 간격이 제1 진동 자극에 단계적으로 동기화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부교감신경 활동 상태값이 제1 기준값으로 수렴하지 않을 경우, 프로세서(140)는 제1 진동 자극의 주기를 사용자의 실시간 평균 심박 간격과 유사하도록 조정하여 동기화를 위한 이동 목표값을 최소화함으로써 사용자의 실시간 평균 심박 간격이 용이하게 제1 진동 자극에 동기화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동기화를 위한 제1 진동 자극의 주기인 제n-k 주기를 제n 주기에서 단계적으로 제1 주기로 변화시키며, 단계적으로 사용자의 실시간 평균 심박 간격을 동기화시키는 동작을 반복하여 최종적으로 제1 주기에 동기화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사용자의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가 사용자에 의해 의도된 특정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로 유도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심박변이율의 부교감신경 활동 상태값과 기설정된 제1 기준값을 비교하였으나, 이에 더하여 심박변이율의 교감신경 활동 상태값(VLF, LF, nLF, 또는 LFHF)을 추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즉,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장치(100)의 프로세서(140)는 사용자의 심박변이율에서의 부교감신경 활동 상태값이 기설정된 제1 기준값으로 수렴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심박변이율에서의 교감신경 활동 상태값이 기설정된 제2 기준값으로 수렴하는 시간 동안 제1 주기 또는 제n-k 주기의 제1 진동 자극이 진동 자극부(150)를 통해 사용자에게 가하여지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기설정된 제2 기준값은 사용자의 특정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에서 심박변이율에 의해 획득되는 최소의 교감신경 활동 상태값일 수 있다.
그리고,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장치(100)의 프로세서(140)는 사용자의 부교감신경 활동 상태값이 기설정된 제1 기준값 미만이거나 기설정된 제1 기준값으로 수렴하지 않음과 동시에 사용자의 심박변이율에서의 교감신경 활동 상태값이 기설정된 제2 기준값 초과이거나 기설정된 제2 기준값으로 수렴하지 않으면 제1 진동 자극의 주기를 실시간 심박수 정보에 대응되는 제n 주기로부터 제1 주기로 단계적으로 변화시키며, 각각의 변화된 주기인 제n-k 주기의 제1 진동 자극이 진동 자극부(150)를 통해 사용자에게 가하여지도록 지원함으로써 실시간 평균 심박 간격이 상기 제1 진동 자극에 단계적으로 동기화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장치(100)의 프로세서(140)는 상기에서와 같이 제1 주기의 제1 진동 자극이 사용자에게 가하여지도록 한 다음, 사용자의 심박변이율을 참조하여 제1 진동 자극의 주기를 사용자의 현재 상태에 대응하여 변경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제1 진동 자극의 주기를 제n 주기로부터 제1 주기로 단계적으로 변화시키며, 각각의 변화된 주기인 제n-k 주기의 제1 진동 자극이 진동 자극부(150)를 통해 사용자에게 가하여지도록 지원할 수 있다.
즉,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장치(100)의 프로세서(140)는 사용자의 실시간 심박수 정보를 획득하고, 실시간 심박수 정보에 대응하는 실시간 평균 심박 간격인 제n 주기로부터 제1 주기로 주기를 변화시킨 제n-k 주기의 제1 진동 자극이 단계적으로 진동 자극부(150)를 통해 사용자에게 가하여지도록 지원한다. 그리고, 각각의 단계에서 획득되는 사용자의 실시간 심박수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심박변이율을 획득하고, 사용자의 심박변이율에서의 부교감신경 활동 상태값이 기설정된 제1기준값에 도달할때까지 제1 진동 자극이 사용자에게 가하여지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장치(100)의 프로세서(140)는 사용자의 심박변이율에서의 부교감신경 활동 상태값이 기설정된 제1기준값에 도달하며, 교감신경 활동 상태값이 기설정된 제2 기준값에 도달할 때까지 진동 자극부(150)를 통해 제1 진동 자극이 사용자에게 가하여지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장치(100)의 프로세서(140)는 사용자의 실시간 심박수 정보를 획득하고, 실시간 심박수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심박변이율을 획득하며, 사용자의 심박변이율에서의 부교감신경 활동 상태값이 기설정된 제1 기준값으로 수렴되지 않을 경우 제1 진동 자극의 세기를 변경한 제2 진동 자극이 사용자에게 가하여지도록 지원할 수 있다.
즉, 제1 진동 자극의 세기가 사용자가 자각할 수 있는 정도의 세기가 될 경우, 사용자의 현재 활동이 제1 진동 자극에 의해 방해를 받을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로 유도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심박변이율에서 부교감신경 활동 상태값은 제1 기준값에서 더욱 멀어지게 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40)는 제1 진동 자극의 세기를 낮추어 사용자가 인지할 수 없는 무자각 진동 자극인 제2 진동 자극으로 변경하며, 변경된 제2 진동 자극이 진동 자극부(150)를 통해 사용자에게 가하여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변경된 자극의 세기를 가지는 제2 진동 자극을 사용자의 특정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에 대응하는 자극 정보로 저장부(120)에 저장하거나 저장된 자극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장치(100)의 프로세서(140)는 상기에서와 같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사용자의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를 유도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가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로 유도된 것으로 판단될 경우, 즉, 사용자의 심박변이율의 부교감신경 활동 상태값이 제1 기준값이 되거나, 교감신경 활동 상태값이 제2 기준값이 되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실시간 심박수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실시간 심박수 정보를 사용자의 특정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에 대응되는 기준 심박수 정보로 업데이트하며, 이를 저장부(12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방법은 수면 유도, 집중력 향상, 감정/스트레스 조절, 심혈관계 조절, 건강 지표 활용(또는 제공) 등과 같이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일 예로 수면 유도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방법을 적용할 경우, 사용자가 자기 전 깊은 수면 모드(부교감신경 활성 상태)를 설정하면, 프로세서(140)는 저장부(120)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의 깊은 수면의 심박수 특성을 불러온 후, 해당 생체리듬 특성에 맞게 자극신호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사용자의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를 무구속으로 측정한 심박수를 이용하여 분석하여 부교감신경의 활성 정도가 증가하기 않는 경우, 자극신호를 현재의 심박수의 특성을 반영하여 변경하여 재생성하고 전달한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현재의 심박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수면 단계를 판단하고, 깊은 수면의 시간이 기준 이하인 경우, 부교감 신경 활동의 활성을 위한 자극을 지속 제공하며, 깊은 수면에서 나타나는 부교감신경의 활동을 관찰하여 활동 상태가 최대인 경우, 해당 심박수의 특성을 저장부(120)에 업데이트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깊은 수면뿐만 아니라 렘 수면을 원하는 경우, 해당하는 자극신호를 생성하여 전달한다.
다음으로 집중력 향상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방법을 적용할 경우, 사용자가 집중을 원하여 집중모드를 선택하면, 프로세서(140)는 현재의 심박수의 특성을 파악하여 현재의 자율신경계 상태를 판단하고, 현재의 심박수와 유사한 범위 내에서 자극신호의 크기와 세기를 결정한다. 그리고, 집중 시 나타나는 심박변이율을 관찰하고, 해당 특성이 나타나지 않을 시 자극의 특성을 변형한다.
다음으로 감정/스트레스 조절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방법을 적용할 경우, 사용자가 긴장 완화, 평안, 균형, 각성 등의 긴장완화 모드를 선택하면, 프로세서(140)는 현재의 심박수의 특성을 파악하여 현재의 자율신경계 상태를 판단하고, 현재의 심박 간격과 유사한 범위 내에서 자극신호의 크기와 세기를 결정한다. 그리고, 자극에 따른 현재의 심박수의 특성을 분석하여 부교감신경의 활성상태를 관찰하며, 부교감신경의 활동 변화가 적은 경우, 자극의 크기와 세기를 조절한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부교감신경의 활동을 관찰하여 활동 상태가 최대인 경우, 해당 심박수의 특성을 저장부(120)에 업데이트한다.
다음으로 심혈관계 조절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방법을 적용할 경우, 프로세서(140)는 현재의 심박 특성을 파악하여 빈맥(tachycardia)과 서맥(bradycardia)을 판단하며, 해당 상태를 완화하기 위한 자극을 생성하여 전달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빈맥인 경우, 현재의 심박수와 유사한 범위 내에서 자극신호를 전달하고, 자극 주파수를 조금씩 낮추어 심박동을 낮춘다.
다음으로 건강 지표 활용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방법을 적용할 경우, 프로세서(140)는 교감신경 활성, 부교감신경 활성, 교감신경/부교감신경 활성에 해당하는 심박수의 특성을 이용하여 자극의 세기와 크기를 결정하여 자극을 주고, 외부자극과 심박의 상호작용 특성을 정량화한다. 그리고, 정량화된 값을 기준값과 비교하여 심-폐, 심혈관계, 자율신경계 시스템의 건강지표로 활용한다.
상기에서는 부교감신경 활동 상태를 위주로 설명하였지만, 이와는 달리 교감신경 활동 상태에서도 동일한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40)는 사용자의 심박변이율에서의 교감신경 활동값, 일 예로 VLF, LF, nLF 또는 LFHF이 기설정된 제3 기준값으로 수렴하는 시간 동안 진동 자극부(150)를 통해 제1 주기의 제1 진동 자극이 사용자에게 가하여지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원한다. 이때, 기설정된 제3 기준값은 사용자의 특정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에서 심박변이율에 의해 획득되는 최대의 교감신경 활동 상태값일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40)는 심박변이율에 의해 획득되는 교감신경 활동 상태값이 기설정된 제3 기준값으로 수렴하는지 확인하고, 확인 결과 획득되는 교감신경 활동 상태값이 제3 기준값으로 수렴할 경우, 진동 자극부(150)를 통해 제1 주기를 가지는 제1 진동 자극이 계속적으로 사용자에게 가하여지도록 한다.
그러나, 확인 결과 획득되는 교감신경 활동 상태값이 제3 기준값으로 수렴하지 않을 경우, 즉, 교감신경 활동 상태값이 기설정된 제3 기준값 미만에서 변동이 없거나 기설정된 제3 기준값으로 수렴하지 않으면 프로세서(140)는 제1 진동 자극의 주기를 실시간 심박수 정보에 대응되는 제n 주기로부터 제1 주기로 단계적으로 변화시키며, 각각의 변화된 주기인 제n-k 주기의 제1 진동 자극이 진동 자극부(150)를 통해 사용자에게 가하여지도록 지원함으로써 실시간 평균 심박 간격이 제1 진동 자극에 단계적으로 동기화되도록 할 수 있다.
즉, 교감신경 활동 상태값이 제3 기준값으로 수렴하지 않을 경우, 프로세서(140)는 제1 진동 자극의 주기를 사용자의 실시간 평균 심박 간격과 유사하도록 조정하여 동기화를 위한 이동 목표값을 최소화함으로써 사용자의 실시간 평균 심박 간격이 용이하게 제1 진동 자극에 동기화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동기화를 위한 제1 진동 자극의 주기인 제n-k 주기를 제n 주기에서 단계적으로 제1 주기로 변화시키며, 단계적으로 사용자의 실시간 평균 심박 간격을 동기화시키는 동작을 반복하여 최종적으로 제1 주기에 동기화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사용자의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가 사용자에 의해 의도된 특정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로 유도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심박변이율의 교감신경 활동 상태값과 기설정된 제3 기준값을 비교하였으나, 이에 더하여 심박변이율의 부교감신경 활동 상태값을 추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즉,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장치(100)의 프로세서(140)는 사용자의 심박변이율에서의 교감신경 활동 상태값이 기설정된 제3 기준값으로 수렴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심박변이율에서의 부교감신경 활동 상태값이 기설정된 제4 기준값으로 수렴하는 시간 동안 제1 주기 또는 제n-k 주기의 제1 진동 자극이 진동 자극부(150)를 통해 사용자에게 가하여지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기설정된 제4 기준값은 사용자의 특정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에서 심박변이율에 의해 획득되는 최소의 부교감신경 활동 상태값일 수 있다.
그리고,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장치(100)의 프로세서(140)는 사용자의 교감신경 활동 상태값이 기설정된 제3 기준값 미만이거나 기설정된 제3 기준값으로 수렴하지 않음과 동시에 사용자의 심박변이율에서의 부교감신경 활동 상태값이 기설정된 제4 기준값 초과이거나 기설정된 제4 기준값으로 수렴하지 않으면 제1 진동 자극의 주기를 실시간 심박수 정보에 대응되는 제n 주기로부터 제1 주기로 단계적으로 변화시키며, 각각의 변화된 주기인 제n-k 주기의 제1 진동 자극이 진동 자극부(150)를 통해 사용자에게 가하여지도록 지원함으로써 실시간 평균 심박 간격이 상기 제1 진동 자극에 단계적으로 동기화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장치(100)의 프로세서(140)는 상기에서와 같이 제1 주기의 제1 진동 자극이 사용자에게 가하여지도록 한 다음, 사용자의 심박변이율을 참조하여 제1 진동 자극의 주기를 사용자의 현재 상태에 대응하여 변경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제1 진동 자극의 주기를 제n 주기로부터 제1 주기로 단계적으로 변화시키며, 각각의 변화된 주기인 제n-k 주기의 제1 진동 자극이 진동 자극부(150)를 통해 사용자에게 가하여지도록 지원할 수 있다.
즉,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장치(100)의 프로세서(140)는 사용자의 실시간 심박수 정보를 획득하고, 실시간 심박수 정보에 대응하는 실시간 평균 심박 간격인 제n 주기로부터 제1 주기로 주기를 변화시킨 제n-k 주기의 제1 진동 자극이 단계적으로 진동 자극부(150)를 통해 사용자에게 가하여지도록 지원한다. 그리고, 각각의 단계에서 획득되는 사용자의 실시간 심박수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심박변이율을 획득하고, 사용자의 심박변이율에서의 교감신경 활동 상태값이 기설정된 제3기준값에 도달할때까지 제1 진동 자극이 사용자에게 가하여지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장치(100)의 프로세서(140)는 사용자의 심박변이율에서의 교감신경 활동 상태값이 기설정된 제4기준값에 도달하며, 부교감신경 활동 상태값이 기설정된 제4 기준값에 도달할 때까지 진동 자극부(150)를 통해 제1 진동 자극이 사용자에게 가하여지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장치(100)의 프로세서(140)는 사용자의 실시간 심박수 정보를 획득하고, 실시간 심박수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심박변이율을 획득하며, 사용자의 심박변이율에서의 교감신경 활동 상태값이 기설정된 제3 기준값으로 수렴되지 않을 경우 제1 진동 자극의 세기를 변경한 제3 진동 자극이 사용자에게 가하여지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의 수면 상태에서 기상을 유도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기상 시간 이전에 자율신경계 활동을 점진으로 조절, 즉, 교감신경을 활성화하여 보다 안정적이고 쾌적한 기상을 유도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기상 모드(교감신경 활성 상태)를 설정하면, 프로세서(140)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기상 시간 이전에 저장부(120)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의 기상에 대응되는 심박수 특성을 불러온 후, 해당 생체리듬 특성에 맞게 자극신호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사용자의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를 무구속으로 측정한 심박수를 이용하여 분석하여 교감신경의 활성 정도가 증가하기 않는 경우, 자극신호를 현재의 심박수의 특성을 반영하여 변경하여 재생성하고 전달한다. 이를 통해 프로세서(140)는 사용자에게 안정적인 기상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장치,
110: 입력부,
120: 저장부,
130: 심박수 측정부,
140: 프로세서,
150: 진동 자극부

Claims (28)

  1. 사용자의 자율신경계 활동을 유도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 각각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기준 심박수 정보가 획득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특정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가 선택되면,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장치가, 상기 특정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의 제1 기준 심박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b) 상기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장치가, 상기 제1 기준 심박수 정보에 대응되는 제1 주기를 가지는 제1 진동 자극이 상기 사용자에게 가하여지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실시간 평균 심박 간격이 상기 제1 진동 자극에 동기화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장치는,
    (b1) 상기 제1 기준 심박수 정보에 대응되는 제1 평균 심박 간격을 상기 제1 주기로 한 상기 제1 진동 자극이 상기 사용자에게 가하여지도록 지원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실시간 심박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실시간 심박수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의 심박변이율을 획득하며,
    (b2) 상기 사용자의 심박변이율에서의 부교감신경 활동 상태값이 기설정된 제1 기준값 - 상기 기설정된 제1 기준값은 상기 사용자의 상기 특정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에서 심박변이율에 의해 획득되는 최대의 부교감신경 활동 상태값임 - 으로 수렴하는 시간 동안 상기 제1 주기의 상기 제1 진동 자극이 상기 사용자에게 가하여지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장치는,
    상기 제1 진동 자극의 제1 주기를 상기 제1 기준 심박수 정보에 대응되는 제1 평균 심박 간격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장치는,
    상기 (b2)에서 상기 사용자의 심박변이율에서의 상기 부교감신경 활동 상태값이 상기 기설정된 제1 기준값으로 수렴함과 동시에 상기 사용자의 심박변이율에서의 교감신경 활동 상태값이 기설정된 제2 기준값 - 상기 기설정된 제2 기준값은 상기 사용자의 상기 특정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에서 심박변이율에 의해 획득되는 최소의 교감신경 활동 상태값임 - 으로 수렴하는 시간 동안 상기 제1 주기의 상기 제1 진동 자극이 상기 사용자에게 가하여지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장치는,
    (b3) 상기 부교감신경 활동 상태값이 상기 기설정된 제1 기준값 미만이거나 상기 기설정된 제1 기준값으로 수렴하지 않으면 제1 진동 자극의 주기를 상기 실시간 심박수 정보에 대응되는 제n 주기로부터 상기 제1 주기로 단계적으로 변화시키며, 각각의 변화된 주기인 제n-k 주기의 상기 제1 진동 자극이 상기 사용자에게 가하여지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실시간 평균 심박 간격이 상기 제1 진동 자극에 단계적으로 동기화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장치는,
    상기 (b3)에서 상기 부교감신경 활동 상태값이 상기 기설정된 제1 기준값 미만이거나 상기 기설정된 제1 기준값으로 수렴하지 않음과 동시에 상기 사용자의 심박변이율에서의 교감신경 활동 상태값이 기설정된 제2 기준값 - 상기 기설정된 제2 기준값은 상기 사용자의 상기 특정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에서 심박변이율에 의해 획득되는 최소의 교감신경 활동 상태값임 - 초과이거나 상기 기설정된 제2 기준값으로 수렴하지 않으면 상기 제1 진동 자극의 주기를 상기 실시간 심박수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제n 주기로부터 상기 제1 주기로 단계적으로 변화시키며, 각각의 변화된 주기인 제n-k 주기의 상기 제1 진동 자극이 상기 사용자에게 가하여지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실시간 평균 심박 간격이 상기 제1 진동 자극에 단계적으로 동기화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방법.
  7. 사용자의 자율신경계 활동을 유도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 각각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기준 심박수 정보가 획득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특정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가 선택되면,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장치가, 상기 특정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의 제1 기준 심박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b) 상기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장치가, 상기 제1 기준 심박수 정보에 대응되는 제1 주기를 가지는 제1 진동 자극이 상기 사용자에게 가하여지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실시간 평균 심박 간격이 상기 제1 진동 자극에 동기화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장치는,
    (b11) 상기 제1 기준 심박수 정보에 대응되는 제1 평균 심박 간격을 상기 제1 주기로 한 상기 제1 진동 자극이 상기 사용자에게 가하여지도록 지원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실시간 심박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실시간 심박수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의 심박변이율을 획득하며,
    (b12) 상기 사용자의 심박변이율에서의 교감신경 활동 상태값이 기설정된 제3 기준값 - 상기 기설정된 제3 기준값은 상기 사용자의 상기 특정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에서 심박변이율에 의해 획득되는 최대의 교감신경 활동 상태값임 - 으로 수렴하는 시간 동안 상기 제1 주기의 상기 제1 진동 자극이 상기 사용자에게 가하여지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장치는,
    (b13) 상기 교감신경 활동 상태값이 상기 기설정된 제3 기준값 미만이거나 상기 기설정된 제3 기준값으로 수렴하지 않으면 제1 진동 자극의 주기를 상기 실시간 심박수 정보에 대응되는 제n 주기로부터 상기 제1 주기로 단계적으로 변화시키며, 각각의 변화된 주기인 제n-k 주기의 상기 제1 진동 자극이 상기 사용자에게 가하여지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실시간 평균 심박 간격이 상기 제1 진동 자극에 단계적으로 동기화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방법.
  9. 사용자의 자율신경계 활동을 유도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 각각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기준 심박수 정보가 획득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특정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가 선택되면,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장치가, 상기 특정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의 제1 기준 심박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b) 상기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장치가, 상기 제1 기준 심박수 정보에 대응되는 제1 주기를 가지는 제1 진동 자극이 상기 사용자에게 가하여지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실시간 평균 심박 간격이 상기 제1 진동 자극에 동기화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장치는,
    (b4) 상기 사용자의 실시간 심박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실시간 심박수 정보에 대응하는 실시간 평균 심박 간격인 제n 주기로부터 상기 제1 주기로 주기를 변화시킨 제n-k 주기의 상기 제1 진동 자극이 단계적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가하여지도록 지원하며, 각각의 단계에서 획득되는 상기 사용자의 실시간 심박수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의 심박변이율을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의 심박변이율에서의 부교감신경 활동 상태값이 기설정된 제1기준값 - 상기 기설정된 제1 기준값은 상기 사용자의 상기 특정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에서 심박변이율에 의해 획득되는 최대의 부교감신경 활동 상태값임 - 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제1 진동 자극이 상기 사용자에게 가하여지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장치는,
    상기 (b4)에서 상기 사용자의 심박변이율에서의 상기 부교감신경 활동 상태값이 기설정된 제1기준값에 도달하며, 상기 사용자의 심박변이율에서의 교감신경 활동 상태값이 기설정된 제2 기준값 - 상기 기설정된 제2 기준값은 상기 사용자의 상기 특정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에서 심박변이율에 의해 획득되는 최소의 교감신경 활동 상태값임 - 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제1 진동 자극이 상기 사용자에게 가하여지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방법.
  11. 사용자의 자율신경계 활동을 유도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 각각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기준 심박수 정보가 획득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특정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가 선택되면,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장치가, 상기 특정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의 제1 기준 심박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b) 상기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장치가, 상기 제1 기준 심박수 정보에 대응되는 제1 주기를 가지는 제1 진동 자극이 상기 사용자에게 가하여지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실시간 평균 심박 간격이 상기 제1 진동 자극에 동기화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장치는,
    (b14) 상기 사용자의 실시간 심박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실시간 심박수 정보에 대응하는 실시간 평균 심박 간격인 제n 주기로부터 상기 제1 주기로 주기를 변화시킨 제n-k 주기의 상기 제1 진동 자극이 단계적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가하여지도록 지원하며, 각각의 단계에서 획득되는 상기 사용자의 실시간 심박수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의 심박변이율을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의 심박변이율에서의 교감신경 활동 상태값이 기설정된 제3기준값 - 상기 기설정된 제3 기준값은 상기 사용자의 상기 특정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에서 심박변이율에 의해 획득되는 최대의 교감신경 활동 상태값임 - 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제1 진동 자극이 상기 사용자에게 가하여지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방법.
  12. 사용자의 자율신경계 활동을 유도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 각각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기준 심박수 정보가 획득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특정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가 선택되면,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장치가, 상기 특정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의 제1 기준 심박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b) 상기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장치가, 상기 제1 기준 심박수 정보에 대응되는 제1 주기를 가지는 제1 진동 자극이 상기 사용자에게 가하여지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실시간 평균 심박 간격이 상기 제1 진동 자극에 동기화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장치는,
    (b5) 상기 사용자의 실시간 심박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실시간 심박수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의 심박변이율을 획득하며, 상기 사용자의 심박변이율에서의 부교감신경 활동 상태값이 기설정된 제1 기준값 - 상기 기설정된 제1 기준값은 상기 사용자의 상기 특정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에서 심박변이율에 의해 획득되는 최대의 부교감신경 활동 상태값임 - 으로 수렴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제1 진동 자극의 세기를 변경한 제2 진동 자극이 상기 사용자에게 가하여지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방법.
  13. 사용자의 자율신경계 활동을 유도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 각각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기준 심박수 정보가 획득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특정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가 선택되면,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장치가, 상기 특정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의 제1 기준 심박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b) 상기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장치가, 상기 제1 기준 심박수 정보에 대응되는 제1 주기를 가지는 제1 진동 자극이 상기 사용자에게 가하여지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실시간 평균 심박 간격이 상기 제1 진동 자극에 동기화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장치는,
    (b15) 상기 사용자의 실시간 심박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실시간 심박수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의 심박변이율을 획득하며, 상기 사용자의 심박변이율에서의 교감신경 활동 상태값이 기설정된 제3 기준값 - 상기 기설정된 제3 기준값은 상기 사용자의 상기 특정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에서 심박변이율에 의해 획득되는 최대의 교감신경 활동 상태값임 - 으로 수렴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제1 진동 자극의 세기를 변경한 제3 진동 자극이 상기 사용자에게 가하여지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방법.
  14. 삭제
  15. 사용자의 자율신경계 활동을 유도하는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게 진동 자극을 가하는 진동 자극부; 및
    (i)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 각각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기준 심박수 정보가 획득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특정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가 선택되면, 상기 특정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의 제1 기준 심박수 정보를 확인하는 프로세스, 및 (ii) 상기 제1 기준 심박수 정보에 대응되는 제1 주기를 가지는 제1 진동 자극이 상기 진동 자극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가하여지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실시간 평균 심박 간격이 상기 제1 진동 자극에 동기화되도록 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ii-1) 상기 제1 기준 심박수 정보에 대응되는 제1 평균 심박 간격을 상기 제1 주기로 한 상기 제1 진동 자극이 상기 사용자에게 가하여지도록 지원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하는 심박수 측정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실시간 심박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실시간 심박수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의 심박변이율을 획득하며, (ii-2) 상기 사용자의 심박변이율에서의 부교감신경 활동 상태값이 기설정된 제1 기준값 - 상기 기설정된 제1 기준값은 상기 사용자의 상기 특정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에서 심박변이율에 의해 획득되는 최대의 부교감신경 활동 상태값임 - 으로 수렴하는 시간 동안 상기 제1 주기의 상기 제1 진동 자극이 상기 사용자에게 가하여지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진동 자극의 제1 주기를 상기 제1 기준 심박수 정보에 대응되는 제1 평균 심박 간격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장치.
  17. 삭제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ii-2)에서 상기 사용자의 심박변이율에서의 상기 부교감신경 활동 상태값이 상기 기설정된 제1 기준값으로 수렴함과 동시에 상기 사용자의 심박변이율에서의 교감신경 활동 상태값이 기설정된 제2 기준값 - 상기 기설정된 제2 기준값은 상기 사용자의 상기 특정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에서 심박변이율에 의해 획득되는 최소의 교감신경 활동 상태값임 - 으로 수렴하는 시간 동안 상기 제1 주기의 상기 제1 진동 자극이 상기 사용자에게 가하여지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ii-3) 상기 부교감신경 활동 상태값이 상기 기설정된 제1 기준값 미만이거나 상기 기설정된 제1 기준값으로 수렴하지 않으면 제1 진동 자극의 주기를 상기 실시간 심박수 정보에 대응되는 제n 주기로부터 상기 제1 주기로 단계적으로 변화시키며, 각각의 변화된 주기인 제n-k 주기의 상기 제1 진동 자극이 상기 사용자에게 가하여지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실시간 평균 심박 간격이 상기 제1 진동 자극에 단계적으로 동기화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ii-3)에서 상기 부교감신경 활동 상태값이 상기 기설정된 제1 기준값 미만이거나 상기 기설정된 제1 기준값으로 수렴하지 않음과 동시에 상기 사용자의 심박변이율에서의 교감신경 활동 상태값이 기설정된 제2 기준값 - 상기 기설정된 제2 기준값은 상기 사용자의 상기 특정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에서 심박변이율에 의해 획득되는 최소의 교감신경 활동 상태값임 - 초과이거나 상기 기설정된 제2 기준값으로 수렴하지 않으면 상기 제1 진동 자극의 주기를 상기 실시간 심박수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제n 주기로부터 상기 제1 주기로 단계적으로 변화시키며, 각각의 변화된 주기인 제n-k 주기의 상기 제1 진동 자극이 상기 사용자에게 가하여지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실시간 평균 심박 간격이 상기 제1 진동 자극에 단계적으로 동기화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장치.
  21. 사용자의 자율신경계 활동을 유도하는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게 진동 자극을 가하는 진동 자극부; 및
    (i)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 각각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기준 심박수 정보가 획득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특정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가 선택되면, 상기 특정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의 제1 기준 심박수 정보를 확인하는 프로세스, 및 (ii) 상기 제1 기준 심박수 정보에 대응되는 제1 주기를 가지는 제1 진동 자극이 상기 진동 자극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가하여지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실시간 평균 심박 간격이 상기 제1 진동 자극에 동기화되도록 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ii-11) 상기 제1 기준 심박수 정보에 대응되는 제1 평균 심박 간격을 상기 제1 주기로 한 상기 제1 진동 자극이 상기 사용자에게 가하여지도록 지원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하는 심박수 측정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실시간 심박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실시간 심박수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의 심박변이율을 획득하며, (ii-12) 상기 사용자의 심박변이율에서의 교감신경 활동 상태값이 기설정된 제3 기준값 - 상기 기설정된 제3 기준값은 상기 사용자의 상기 특정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에서 심박변이율에 의해 획득되는 최대의 교감신경 활동 상태값임 - 으로 수렴하는 시간 동안 상기 제1 주기의 상기 제1 진동 자극이 상기 사용자에게 가하여지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ii-13) 상기 교감신경 활동 상태값이 상기 기설정된 제3 기준값 미만이거나 상기 기설정된 제3 기준값으로 수렴하지 않으면 제1 진동 자극의 주기를 상기 실시간 심박수 정보에 대응되는 제n 주기로부터 상기 제1 주기로 단계적으로 변화시키며, 각각의 변화된 주기인 제n-k 주기의 상기 제1 진동 자극이 상기 사용자에게 가하여지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실시간 평균 심박 간격이 상기 제1 진동 자극에 단계적으로 동기화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장치.
  23. 사용자의 자율신경계 활동을 유도하는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게 진동 자극을 가하는 진동 자극부; 및
    (i)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 각각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기준 심박수 정보가 획득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특정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가 선택되면, 상기 특정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의 제1 기준 심박수 정보를 확인하는 프로세스, 및 (ii) 상기 제1 기준 심박수 정보에 대응되는 제1 주기를 가지는 제1 진동 자극이 상기 진동 자극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가하여지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실시간 평균 심박 간격이 상기 제1 진동 자극에 동기화되도록 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ii-4)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하는 심박수 측정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실시간 심박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실시간 심박수 정보에 대응하는 실시간 평균 심박 간격인 제n 주기로부터 상기 제1 주기로 주기를 변화시킨 제n-k 주기의 상기 제1 진동 자극이 단계적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가하여지도록 지원하며, 각각의 단계에서 획득되는 상기 사용자의 실시간 심박수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의 심박변이율을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의 심박변이율에서의 부교감신경 활동 상태값이 기설정된 제1기준값 - 상기 기설정된 제1 기준값은 상기 사용자의 상기 특정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에서 심박변이율에 의해 획득되는 최대의 부교감신경 활동 상태값임 - 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제1 진동 자극이 상기 사용자에게 가하여지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ii-4)에서 상기 사용자의 심박변이율에서의 상기 부교감신경 활동 상태값이 기설정된 제1기준값에 도달하며, 상기 사용자의 심박변이율에서의 교감신경 활동 상태값이 기설정된 제2 기준값 - 상기 기설정된 제2 기준값은 상기 사용자의 상기 특정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에서 심박변이율에 의해 획득되는 최소의 교감신경 활동 상태값임 - 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제1 진동 자극이 상기 사용자에게 가하여지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장치.
  25. 사용자의 자율신경계 활동을 유도하는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게 진동 자극을 가하는 진동 자극부; 및
    (i)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 각각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기준 심박수 정보가 획득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특정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가 선택되면, 상기 특정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의 제1 기준 심박수 정보를 확인하는 프로세스, 및 (ii) 상기 제1 기준 심박수 정보에 대응되는 제1 주기를 가지는 제1 진동 자극이 상기 진동 자극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가하여지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실시간 평균 심박 간격이 상기 제1 진동 자극에 동기화되도록 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ii-14)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하는 심박수 측정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실시간 심박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실시간 심박수 정보에 대응하는 실시간 평균 심박 간격인 제n 주기로부터 상기 제1 주기로 주기를 변화시킨 제n-k 주기의 상기 제1 진동 자극이 단계적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가하여지도록 지원하며, 각각의 단계에서 획득되는 상기 사용자의 실시간 심박수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의 심박변이율을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의 심박변이율에서의 교감신경 활동 상태값이 기설정된 제3기준값 - 상기 기설정된 제3 기준값은 상기 사용자의 상기 특정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에서 심박변이율에 의해 획득되는 최대의 교감신경 활동 상태값임 - 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제1 진동 자극이 상기 사용자에게 가하여지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장치.
  26. 사용자의 자율신경계 활동을 유도하는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게 진동 자극을 가하는 진동 자극부; 및
    (i)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 각각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기준 심박수 정보가 획득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특정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가 선택되면, 상기 특정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의 제1 기준 심박수 정보를 확인하는 프로세스, 및 (ii) 상기 제1 기준 심박수 정보에 대응되는 제1 주기를 가지는 제1 진동 자극이 상기 진동 자극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가하여지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실시간 평균 심박 간격이 상기 제1 진동 자극에 동기화되도록 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ii-5)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하는 심박수 측정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실시간 심박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실시간 심박수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의 심박변이율을 획득하며, 상기 사용자의 심박변이율에서의 부교감신경 활동 상태값이 기설정된 제1 기준값 - 상기 기설정된 제1 기준값은 상기 사용자의 상기 특정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에서 심박변이율에 의해 획득되는 최대의 부교감신경 활동 상태값임 - 으로 수렴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제1 진동 자극의 세기를 변경한 제2 진동 자극이 상기 사용자에게 가하여지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장치.
  27. 사용자의 자율신경계 활동을 유도하는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게 진동 자극을 가하는 진동 자극부; 및
    (i)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 각각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기준 심박수 정보가 획득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특정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가 선택되면, 상기 특정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의 제1 기준 심박수 정보를 확인하는 프로세스, 및 (ii) 상기 제1 기준 심박수 정보에 대응되는 제1 주기를 가지는 제1 진동 자극이 상기 진동 자극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가하여지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실시간 평균 심박 간격이 상기 제1 진동 자극에 동기화되도록 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ii-15)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하는 심박수 측정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실시간 심박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실시간 심박수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의 심박변이율을 획득하며, 상기 사용자의 심박변이율에서의 교감신경 활동 상태값이 기설정된 제3 기준값 - 상기 기설정된 제3 기준값은 상기 사용자의 상기 특정 자율신경계 활동 상태에서 심박변이율에 의해 획득되는 최대의 교감신경 활동 상태값임 - 으로 수렴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제1 진동 자극의 세기를 변경한 제3 진동 자극이 상기 사용자에게 가하여지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장치.
  28. 삭제
KR1020180004055A 2018-01-11 2018-01-11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장치 및 그 방법 KR1019894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055A KR101989402B1 (ko) 2018-01-11 2018-01-11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장치 및 그 방법
US16/245,038 US11013920B2 (en) 2018-01-11 2019-01-10 Apparatus for inducing activity of user's autonomic nervous system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055A KR101989402B1 (ko) 2018-01-11 2018-01-11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9402B1 true KR101989402B1 (ko) 2019-06-14

Family

ID=66846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4055A KR101989402B1 (ko) 2018-01-11 2018-01-11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013920B2 (ko)
KR (1) KR1019894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4555B1 (ko) * 2023-08-23 2024-04-03 장승원 심전도 기반의 맞춤형 자극 제공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8201B1 (ko) 2017-04-07 2020-09-21 주식회사 세라젬 온열 치료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014218B1 (ko) * 2018-04-05 2019-08-27 주식회사 세라젬 심박수 측정 기능을 구비한 온열 치료기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0743079B (zh) * 2019-08-05 2022-04-01 北京泷信科技有限公司 心理调节训练方法和系统
US11964110B2 (en) * 2019-12-24 2024-04-23 Koninklijke Philips N.V. Systems and methods for delivering sensory stimulation to facilitate recovery
CN111939423B (zh) * 2020-06-29 2022-07-12 杨铭轲 基于自体心跳节奏的入睡引导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3837A (ja) * 1991-10-17 1993-04-27 Nec Corp 生体状態調節装置
JP2004222818A (ja) * 2003-01-21 2004-08-12 Sony Corp 生理状態誘導装置および生理状態誘導方法
JP2008534218A (ja) * 2005-04-05 2008-08-28 カーディアック・ペースメーカー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心臓周期に同期化される神経刺激器
KR101813591B1 (ko) * 2017-07-14 2017-12-29 코웨이 주식회사 사용자의 심박 패턴을 학습하여 숙면에 유리하도록 동기화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2249A (ko) 2011-02-11 2012-08-21 우효준 수면 유도 장치 및 그 제어방법
FR2976579B1 (fr) 2011-06-14 2013-07-05 Coatex Sas Epaississants non ioniques associatifs contenant des alkyls cyclohexylols, formulations les contenant et leurs utilisations
KR101539302B1 (ko) * 2013-12-11 2015-07-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방법
EP3636310A1 (en) * 2014-02-04 2020-04-15 Empathic Technologies Ltd. Apparatus for treating a condition of a us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3837A (ja) * 1991-10-17 1993-04-27 Nec Corp 生体状態調節装置
JP2004222818A (ja) * 2003-01-21 2004-08-12 Sony Corp 生理状態誘導装置および生理状態誘導方法
JP2008534218A (ja) * 2005-04-05 2008-08-28 カーディアック・ペースメーカー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心臓周期に同期化される神経刺激器
KR101813591B1 (ko) * 2017-07-14 2017-12-29 코웨이 주식회사 사용자의 심박 패턴을 학습하여 숙면에 유리하도록 동기화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4555B1 (ko) * 2023-08-23 2024-04-03 장승원 심전도 기반의 맞춤형 자극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013920B2 (en) 2021-05-25
US20190209843A1 (en) 2019-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9402B1 (ko) 자율신경계 활동 유도 장치 및 그 방법
US10293162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electrical stimulation to a user
US11464972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electrical stimulation to a user
CN113631212B (zh) 用于经皮振动的造波的系统和方法
US20210290155A1 (en) Neuromodulation method and system for sleep disorders
CN110520184B (zh) 睡眠诱导装置及诱导睡眠状态变化的方法
CN109152917B (zh) 监管装置和相关联方法
KR101828954B1 (ko) 치매 치료용 두뇌 자극 장치
US20210113835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electrical stimulation to a user
US7486993B2 (en) Brain stimulation method and device
CN112870526A (zh) 一种助眠控制方法和装置
US20230191126A1 (en) Parameter variation in neural stimulation
Choi et al. Acoustic stimulation following sleep spindle activity may enhance procedural memory consolidation during a nap
KR20210146276A (ko) 전기 자극 장치를 이용한 마스크팩 시스템
EP3957248A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biomarker shaping and sleep profile enhancement
KR102555610B1 (ko) 뇌파 유발 기반 질환 증상 완화 방법 및 장치
US20210030999A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user calibration of mechanical stimulation parameters
TWI555551B (zh) 閉迴路刺激裝置及其刺激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