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8787B1 - 차량용 페달 누름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페달 누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8787B1
KR101828787B1 KR1020170111163A KR20170111163A KR101828787B1 KR 101828787 B1 KR101828787 B1 KR 101828787B1 KR 1020170111163 A KR1020170111163 A KR 1020170111163A KR 20170111163 A KR20170111163 A KR 20170111163A KR 101828787 B1 KR101828787 B1 KR 101828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edal
fastening means
support bar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1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이
Original Assignee
김용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이 filed Critical 김용이
Priority to KR1020170111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87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8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87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28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testing brak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페달 누름 장치는 차량의 조향석에 구비된 페달장치를 가압할 수 있는 차량용 페달 누름 장치로서; 조향 핸들에 설치되고, 지지바를 구비하는 커버부; 상기 지지바에 거치되어 지지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체결되어 상기 페달장치를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페달 누름 장치를 통해 차량 정비 시 1인의 작업자만으로도 차량 정비가 가능하도록 하여, 차량 정비에 필요한 작업자의 수를 최소화하고, 이를 통해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차량 정비 작업이 가능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페달 누름 장치{Pedal pressing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페달 누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차량의 성능시험을 위해 액셀페달 또는 브레이크페달 등을 무인으로 가압할 수 있는 차량용 페달 누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립 과정을 마친 완성된 차량 혹은 정비중인 차량은 다양한 성능 검사를 거치게 된다. 대표적인 차량의 성능 검사로는 액셀레이터 페달을 밟아 엔진회전수(RPM)의 유지상태 혹은 엔진 상태 등을 점검하는 엔진 성능 검사, 및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 브레이크 등의 점등 상태 혹은 제동 상태 등을 점검하는 브레이크 성능 검사 등이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차량의 성능 검사를 수행하기 위해서, 한 명의 작업자가 운전석에 착석하여 페달을 조작하고, 다른 한 명의 정비사가 차량의 외부에서 차량의 내부에서 페달을 조작하는 작업자와 의사소통하며 조작된 페달에 해당하는 장치를 관찰하면서 검사를 수행해야만 했다. 이에 따라, 작업자 간의 의사소통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는 상황이 발생되어 페달의 조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음은 물론, 작업을 위해서는 반드시 최소한 2인 이상의 작업자를 필요로 하여 인건비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에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어 차량의 운전석에 구비된 페달 장치를 가압할 수 있는 페달 조작 장치가 개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페달 조작 장치는 차량의 시트에 지지된 상태로 페달을 가압하는 구주로 형성됨에 따라, 시트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페달 조작 장치는 구조가 복잡하여 설치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29456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1998-0044474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페달 누름 장치를 통해 차량 정비 시 1인의 작업자만으로도 차량 정비가 가능하도록 하여, 차량 정비에 필요한 작업자의 수를 최소화하고, 이를 통해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차량 정비 작업이 가능할 수 있는 차량용 페달 누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페달 누름 장치를 조향핸들에 거치 가능한 구조로 형성함에 따라, 차량에 따라 차량의 패널과 운전석 시트 사이의 간격을 고려하지 않고 모든 차종에 호환 가능함은 물론, 차량의 운전석 시트를 손상시키지 않고 페달을 안정적으로 가압할 수 있는 차량용 페달 누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페달장치를 가압하는 가압부의 외력이 조향 핸들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고, 커버부를 통해 간접적으로 전달됨에 따라, 조향 핸들의 파손 또는 변형을 예방할 수 있고, 커버부가 길이조절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어 모든 차종의 조향 핸들에 설치 가능할 수 있는 차량용 페달 누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달장치를 가압하는 가압부의 외력이 조향 핸들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고, 커버부를 통해 간접적으로 전달됨에 따라, 조향 핸들의 파손 또는 변형을 예방할 수 있고, 커버부가 길이조절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어 모든 차종의 조향 핸들에 설치 가능할 수 있는 차량용 페달 누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페달 누름 장치는 차량의 조향석에 구비된 페달장치를 가압할 수 있는 차량용 페달 누름 장치로서; 조향 핸들에 설치되고, 지지바를 구비하는 커버부; 상기 지지바에 거치되어 지지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체결되어 상기 페달장치를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부는 내측에 슬라이드홈이 형성되는 커버몸체; 상기 슬라이드홈에 삽입되고 슬라이드 이동을 통하여 길이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조향 핸들의 외면에 걸려 고정되는 슬라이드 고정부; 상기 커버몸체와 상기 슬라이드 고정부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슬라이드 고정부의 신장 시 탄성력을 발생시켜 상기 슬라이드 고정부가 상기 조향 핸들의 외면을 가압하도록 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커버몸체의 전면에 설치되는 지지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고정부는 상기 커버몸체에 복수개로 설치되고, 적어도 3개 이상의 위치에서 상기 조향 핸들의 외면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고정부는 3개의 지지면을 통하여 상기 조향 핸들의 외면에 걸려 고정되고, 상기 3개의 지지면에는 완충부재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는 상기 커버몸체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바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길이조절부; 및 슬라이드 이동을 통해 길이가 조절된 상기 지지바를 상기 길이조절부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는 상기 지지부의 내면을 따라 직선이동하여 상기 페달장치를 가압한 후, 미리 설정된 각도로 회전하여 상기 지지부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내측에 상기 가압부가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내주면을 따라 제1 체결수단이 형성되는 지지몸체; 및 상기 지지몸체로부터 연장되어 내측에 상기 지지바가 수용되는 거치홈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바에 걸려 지지되는 걸림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는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몸체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외주면을 따라 상기 제1 체결수단에 체결 가능한 제2 체결수단이 형성되는 가압로드; 및 상기 가압로드의 선단에 결합되어 상기 페달장치를 가압하는 가압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로드는 회전을 통하여 상기 제2 체결수단의 위치를 가변시키되, 상기 제2 체결수단을 상기 제1 체결수단에 오버랩 시킬 경우, 상기 지지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제1 체결수단은 복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몸체의 내주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2 체결수단은 적어도 1개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체결수단은 상기 제1 체결수단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지지몸체의 내측공간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헤드는 힌지수단을 통하여 상기 가압로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각도조절부; 및 상기 각도조절부의 일면에 부착되어 상기 페달장치의 표면에 밀착되는 마찰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는 내측에 상기 조향 핸들이 수용 가능한 핸들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조향 핸들에 씌워져 상기 조향 핸들에 설치되는 커버몸체; 및 상기 커버몸체에 결합되는 지지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몸체는 상기 조향 핸들의 회전방향을 따라 적어도 3개 이상의 위치에서 상기 조향 핸들의 외면에 접하여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조향 핸들의 회전방향을 따라 적어도 3개 이상의 위치에서 상기 조향 핸들의 외면에 접하여 지지되는 부위는 3개의 지지면을 통하여 상기 조향 핸들의 외면에 걸려 고정되고, 상기 3개의 지지면에는 완충부재가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페달 누름 장치를 통해 차량 정비 시 1인의 작업자만으로도 차량 정비가 가능하도록 하여, 차량 정비에 필요한 작업자의 수를 최소화하고, 이를 통해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차량 정비 작업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페달 누름 장치를 조향핸들에 거치 가능한 구조로 형성함에 따라, 차량에 따라 차량의 패널과 운전석 시트 사이의 간격을 고려하지 않고 모든 차종에 호환 가능함은 물론, 차량의 운전석 시트를 손상시키지 않고 페달을 안정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또한, 페달장치를 가압하는 가압부의 외력이 조향 핸들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고, 커버부를 통해 간접적으로 전달됨에 따라, 조향 핸들의 파손 또는 변형을 예방할 수 있고, 커버부가 길이조절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어 모든 차종의 조향 핸들에 설치 가능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른 차량용 페달 누름 장치가 차량에 적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른 차량용 페달 누름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른 차량용 페달 누름 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른 차량용 페달 누름 장치의 커버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른 차량용 페달 누름 장치의 슬라이드 고정부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예 따른 차량용 페달 누름 장치의 가압로드 및 지지부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예 따른 차량용 페달 누름 장치의 작동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의 (a)는 도 7의 A-A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8의 (b)는 도 7의 B-B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예 따른 차량용 페달 누름 장치가 차량에 적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예 따른 차량용 페달 누름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예 따른 차량용 페달 누름 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예 따른 차량용 페달 누름 장치의 커버부가 조향 핸들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C”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일 실시예의 구성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른 차량용 페달 누름 장치가 차량에 적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용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른 차량용 페달 누름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른 차량용 페달 누름 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른 차량용 페달 누름 장치의 커버부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른 차량용 페달 누름 장치의 슬라이드 고정부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예 따른 차량용 페달 누름 장치의 가압로드 및 지지부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예 따른 차량용 페달 누름 장치의 작동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의 (a)는 도 7의 A-A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8의 (b)는 도 7의 B-B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페달 누름 장치(100)(이하 ‘차량용 페달 누름 장치(100)’라 함)는 차량의 성능시험을 위해 차량의 조향석에 구비된 페달장치를 가압할 수 있는 차량용 페달 누름 장치(100)로서, 커버부(30)를 포함한다.
커버부(30)는 조향 핸들에 설치되고, 지지바(34)를 구비한다.
더 자세하게는, 커버부(30)는 커버몸체(31)와, 커버몸체(31)에 결합되어 조향 핸들에 고정되는 슬라이드 고정부(32), 슬라이드 고정부(32)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33), 및 후술할 지지부(10)가 걸려 지지되는 지지바(34)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몸체(31)는 내측에 슬라이드홈(31a)이 형성되는 하드쉘(hard shell)구조로 형성되어 슬라이드 고정부(32)를 지지할 수 있다. 예컨대, 커버몸체(31)는 내측에 슬라이드 고정부(32) 및 탄성부재(33)가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부재가 일체로 결합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버몸체(31)는 커버부(30)를 조향 핸들에 설치할 경우, 조향 핸들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슬라이드 고정부(32)는 슬라이드홈(31a)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상태로 커버몸체(31)에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드 고정부(32)는 도 3 및 3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이동을 통하여 길이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고정부(32)는 커버몸체(31)에 복수개로 설치되어 조향 핸들의 외면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슬라이드 고정부(32)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위치에서 조향 핸들의 외면에 걸려 고정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커버몸체(31)는 Y 또는 X 형상으로 형성되고, 슬라이드 고정부(32)는 상기한 커버몸체(31)의 형상에 따라 3개 또는 4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각 슬라이드 고정부(32)는 갈고리의 형태와 같이 조향 핸들의 외면에 걸려 고정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각 슬라이드 고정부(32)는 적어도 3개의 지지면(32a)을 통하여 조향 핸들의 외면에 걸려 고정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3개의 지지면(32a)에는 조향 핸들과의 직접적인 마찰을 방지하기 위하여 완충부재(321)가 부착될 수 있다. 예컨대, 완충부재(321)는 고무 또는 실리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33)는 커버몸체(31)의 내측에 설치되어 커버몸체(31)와 슬라이드 고정부(32)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탄성부재(33)는 슬라이드 고정부(32)의 신장 시 탄성력을 발생시켜 슬라이드 고정부(32)가 조향 핸들의 외면을 가압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탄성부재(33)는 코일 스프링으로 적용될 수 있고, 커버몸체(31)와 슬라이드 고정부(32)에는 각각 탄성부재(33)의 단부가 고정될 수 있는 고정돌기 및 탄성부재(33)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바(34)는 커버몸체(31)의 전면에 설치되어 지지부(10)를 지지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지지바(34)는 ‘U’형상으로 형성되어 커버몸체(31)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종부와, 복수개의 종부 사이에 배치되어 지지부(10)가 거치되는 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지지바(34)는 강화플라스틱, 알루미늄소재, 스테인리스소재 등을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지지바(34)는 길이조절 가능한 구조로 커버몸체(31)에 설치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커버부(30)는 지지바(34)를 지지하는 길이조절부(35)와, 지지바(34)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3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길이조절부(35)는 커버몸체(31)에 설치되고, 내측에 지지바(34)의 외면에 대응하는 길이조절홈이 형성되어 지지바(34)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U’형상으로 형성된 지지바(34)의 종부는 길이조절부(35)에 수용되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상태로 배치되고, 지지바(34)의 횡부는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고정수단(36)은 슬라이드 이동을 통해 길이가 조절된 지지바(34)를 길이조절부(35)에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길이조절부(35)에 수용된 지지바(34)의 종부와 길이조절부(35)에는 복수개의 길이조절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수단(36)은 길이조절구멍을 관통하여 지지바(34)를 길이조절부(35)에 고정시키는 볼트와 볼트를 길이조절부(35)에 고정시키는 너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차량용 페달 누름 장치(100)는 지지부(10)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지지부(10)는 커버부(30)의 지지바(34)에 거치되어 후술할 가압부(20)를 지지한다.
더 자세하게는, 지지부(10)는 가압부(20)를 지지하는 지지몸체(11)와, 지지몸체(11)에 일체로 구비되어 커버부(30)의 지지바(34)에 설치되는 걸림수단(1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6의 (b)를 참조하면, 지지몸체(11)는 내측에 가압부(20)가 삽입되는 관통공(11a)이 형성되고, 내주면을 따라 제1 체결수단(111)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체결수단(111)은 나사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체결수단(111)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걸림수단(13)은 지지몸체(11)의 외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연장되어 내측에 커버부(30)의 지지바(34)가 수용되는 거치홈(13a)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커버부(30)의 지지바(34)에 걸려 지지될 수 있다. 예컨대, 걸림수단(13)은 지지몸체(11)의 외면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방향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로 절곡된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일 측에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개구는 운전자 측을 향하도록 형성되고, 개구를 통하여 커버부(30)의 지지바(34)가 거치홈(13a) 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거치홈(13a)은 커버부(30)의 지지바(34)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걸림수단(13)의 단부에는 지지부(10)가 커버부(30)의 지지바(34)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하여, 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는 스토퍼가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스토퍼는 걸림수단(13)의 단부에 힌지 등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커버부(30)의 지지바(34)와의 접촉 시 커버부(30)의 지지바(34)의 파손을 예방하기 위하여 러버 등과 같은 탄성체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힌지는 스토퍼의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조임력을 부가할 수 있는 나사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차량용 페달 누름 장치(100)는 가압부(20)를 포함한다.
가압부(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0)에 체결되어 페달장치를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한다.
여기서, 가압부(20)는 직선이동과 회전을 통하여 페달장치를 일정한 힘으로 가압할 수 있다. 더 자세하세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20)는 지지부(10)의 내면을 따라 직선이동하여 페달장치를 가압한 후(도 7의 (a)), 미리 설정된 각도로 회전하여 지지부(10)에 체결됨으로써(도 7의 (b)), 페달장치를 일정한 힘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가압부(20)에 대하여 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가압부(20)는 가압로드(21)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로드(21)는 지지몸체(11)의 관통공(11a)에 삽입되어 지지몸체(11)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을 따라 제1 체결수단(111)에 체결 가능한 제2 체결수단(211)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체결수단(211)은 나사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2 체결수단(211)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가압로드(21)는 회전을 통하여 제2 체결수단(211)의 위치를 가변시켜 선택적으로 직선이동 가능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가압로드(21)는 회전을 통하여 제2 체결수단(211)의 위치를 가변시키되, 제2 체결수단(211)을 제1 체결수단(111)에 오버랩 시킬 경우(도 8의 (b)), 지지몸체(11)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이동이 제한되고, 반대로 제2 체결수단(211)을 제1 체결수단(111)이 형성되지 않은 지지몸체(11)의 내부 공간에 위치시킬 경우(도 8의 (a)), 지지몸체(11)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즉, 본 차량용 페달 누름 장치(100)는 제2 체결수단(211)을 제1 체결수단(111)이 형성되지 않은 지지몸체(11)의 내부 공간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가압부(20)를 지지부(10)의 내면을 따라 직선이동시켜 페달장치를 가압한 후, 미리 설정된 각도로 회전하여 제2 체결수단(211)을 제1 체결수단(111)에 오버랩 시킴으로써 가압부(20)의 직선이동이 제한하고, 이를 통해 페달장치를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체결수단(111)은 복수개로 형성되어 지지몸체(11)의 내주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제2 체결수단(211)은 적어도 1개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체결수단(211)은 제1 체결수단(111)이 형성되지 않은 지지몸체(11)의 내측공간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체결수단(111)은 지지몸체(11)의 내주면에 2 ~ 4개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체결수단(111)이 지지몸체(11)의 내주면에 2 ~ 4개로 적용될 경우, 가압부(20)는 90도, 60도, 22.5도의 각도로 회전하며 제2 체결수단(211)을 제1 체결수단(111)에 선택적으로 오버랩 시킬 수 있다.
또한, 가압부(20)는 가압헤드(2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가압헤드(23)는 가압로드(21)의 선단에 결합되어 페달장치를 가압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가압헤드(23)는 가압로드(2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각도조절부(231)와, 각도조절부(231)에 부착되는 마찰패드(233)를 포함할 수 있다.
각도조절부(231)는 힌지수단(235)을 통하여 가압로드(21)의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페달장치를 가압할 경우, 페달장치의 표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절곡될 수 있다. 예컨대, 각도조절부(231)는 힌지수단(235)을 통해 가압로드(21)의 선단에 결합되는 브래킷부와, 브래킷부와 일체로 연결되어 평판구조로 형성되는 가압플레이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찰패드(233)는 각도조절부(231)의 일면에 부착되어 페달장치의 표면에 밀착될 수 있다. 예컨대, 마찰패드(233)는 페달장치와의 마찰력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고무재질의 소재로 형성되고, 각도조절부(231)의 일면에 우레탄 등과 같은 소재를 통해 접착되어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의 구성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페달 누름 장치(10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페달 누름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각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차량용 페달 누름 장치(100)를 설명하면서 사용한 도면부호를 동일하게 사용하고, 동일하거나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예 따른 차량용 페달 누름 장치가 차량에 적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용상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예 따른 차량용 페달 누름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예 따른 차량용 페달 누름 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예 따른 차량용 페달 누름 장치의 커버부가 조향 핸들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C”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페달 누름 장치(100)는 커버부(30)를 포함한다.
커버부(30)는 조향 핸들에 설치되고, 지지바(34)를 구비한다.
더 자세하게는, 커버부(30)는 조향 핸들에 설치되는 커버몸체(31)와, 커버몸체(31)에 결합되어 후술할 지지부(10)가 걸려 지지되는 지지바(34)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몸체(31)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이 개구되고, 내측에 개구된 일면과 연통되어 조향 핸들이 수용 가능한 핸들 수용홈(31b)이 형성되는 하드쉘(hard shell)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개구된 일면을 통해 조향 핸들에 씌워져 설치되고, 이를 통해 조향 핸들의 전면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조향 핸들에 지지될 수 있다. 예컨대, 핸들 수용홈(31b)의 하측은 조향 핸들의 출입이 용이하도록 조향 핸들의 외경에 대응되는 폭을 갖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핸들 수용홈(31b)의 상측은 조향 핸들에 걸려 지지될 수 있도록 조향 핸들의 외면에 대응되는 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버몸체(31)는 조향 핸들에 설치 시 복수의 위치에서 조향 핸들의 외면에 걸려 지지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커버몸체(31)는 조향 핸들의 회전방향을 따라 적어도 3개 이상의 위치에서 조향 핸들의 외면에 접하여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조향 핸들의 회전방향을 따라 조향 핸들의 외면에 접하여 지지되는 부위는 복수개의 위치에서 조향 핸들의 외면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조향 핸들의 회전방향을 따라 적어도 3개 이상의 위치에서 조향 핸들의 외면에 접하여 지지되는 부위는 3개의 지지면(32a)을 통하여 조향 핸들의 외면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이때, 3개의 지지면(32a)에는 조향 핸들과의 직접적인 마찰을 방지하기 위하여 완충부재(321)가 부착될 수 있다. 예컨대, 완충부재(321)는 고무 또는 실리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바(34)는 커버몸체(31)의 양 측면에 결합되어 후술할 지지부(10)를 지지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지지바(34)는 커버몸체(31)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복수개의 종부와, 복수개의 종부 사이에 배치되어 지지부(10)가 거치되는 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지지바(34)는 강화플라스틱, 알루미늄소재, 스테인리스소재 등을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지지바(34)는 길이조절 가능한 구조로 커버몸체(31)에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커버부(30)는 지지바(34)를 지지하는 길이조절수단과, 지지바(34)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페달 누름 장치(100)는 지지부(10) 및 가압부(20)를 포함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페달 누름 장치(100)의 지지부(10) 및 가압부(20)는 본 차량용 페달 누름 장치(100)의 지지부(10) 및 가압부(20)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의 방법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페달 누름 장치(100)를 이용한 페달장치의 누름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페달 누름 장치(100)를 이용한 페달장치의 누름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각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차량용 페달 누름 장치(100)를 설명하면서 사용한 도면부호를 동일하게 사용하고, 동일하거나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커버부(30)의 상측에 위치한 슬라이드 고정부(32)를 조향 핸들의 상부에 걸어서 고정 시킨 후, 커버부(30)의 하측에 위치한 슬라이드 고정부(32)를 당겨 상측 및 하측에 위치한 복수개의 슬라이드 고정부(32)를 신장시켜 조향 핸들의 외주면에 설치한다.
다음으로, 커버부(30)의 지지바(34)를 조향 핸들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지지바(34)의 길이를 조절한다.
다음으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30)의 지지바(34)에 지지부(10)를 거치한다. 이때, 지지부(10)의 내측에는 가압부(20)가 결합되어 있다.
다음으로, 가압부(20)를 회전하여 제2 체결수단(211)을 제1 체결수단(111)이 형성되지 않은 지지몸체(11)의 내부 공간에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가압부(20)를 페달장치 측으로 직선이동하여 페달장치를 가압한다.
마지막으로, 가압부(20)를 미리 설정된 각도로 회전하여 제2 체결수단(211)을 제1 체결수단(111)에 오버랩 시킨 후, 가압부(20)의 직선이동을 제한한다.
이에 따라, 페달장치를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하게 된다.
실시예의 효과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페달 누름 장치를 통해 차량 정비 시 1인의 작업자만으로도 차량 정비가 가능하도록 하여, 차량 정비에 필요한 작업자의 수를 최소화하고, 이를 통해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차량 정비 작업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페달 누름 장치를 조향핸들에 거치 가능한 구조로 형성함에 따라, 차량에 따라 차량의 패널과 운전석 시트 사이의 간격을 고려하지 않고 모든 차종에 호환 가능함은 물론, 차량의 운전석 시트를 손상시키지 않고 페달을 안정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또한, 페달장치를 가압하는 가압부(20)의 외력이 조향 핸들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고, 커버부(30)를 통해 간접적으로 전달됨에 따라, 조향 핸들의 파손 또는 변형을 예방할 수 있고, 커버부(30)가 길이조절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어 모든 차종의 조향 핸들에 설치 가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 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100. 차량용 페달 누름 장치
10. 지지부
11. 지지몸체 11a. 관통공
111. 제1 체결수단
13. 걸림수단 13a. 거치홈
20. 가압부
21. 가압로드
211. 제2 체결수단
23. 가압헤드
231. 각도조절부
233. 마찰패드
235. 힌지수단
30. 커버부
31. 커버몸체
31a. 슬라이드홈
31b. 핸들 수용홈
32. 슬라이드 고정부 32a. 지지면
321. 완충부재
33. 탄성부재
34. 지지바
35. 길이조절부
36. 고정수단
H. 조향 핸들
P. 페달장치

Claims (15)

  1. 차량의 조향석에 구비된 페달장치(P)를 가압할 수 있는 차량용 페달 누름 장치(100)로서;
    조향 핸들(H)에 설치되고, 지지바(34)를 구비하는 커버부(30);
    상기 지지바(34)에 거치되어 지지되는 지지부(10); 및
    상기 지지부(10)에 체결되어 상기 페달장치(P)를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20);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30)는
    내측에 슬라이드홈(31a)이 형성되고 상기 조향핸들(H)의 중앙에 위치되는 커버몸체(31);
    상기 슬라이드홈(31a)에 삽입되고 슬라이드 이동을 통하여 길이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조향 핸들(H)의 외면에 걸려 고정되는 슬라이드 고정부(32);
    상기 커버몸체(31)와 상기 슬라이드 고정부(32)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슬라이드 고정부(32)의 신장 시 탄성력을 발생시켜 상기 슬라이드 고정부(32)가 상기 조향 핸들(H)의 외면을 가압하도록 하는 탄성부재(33); 및
    상기 커버몸체(31)의 전면에 설치되는 지지바(34);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바(34)는 ‘U’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커버몸체(31)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종부와, 상기 복수개의 종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부(10)가 거치되는 횡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고정부(32)는 상기 커버몸체(31)에 복수개로 설치되고,
    적어도 3개 이상의 위치에서 상기 조향 핸들(H)의 외면에 걸려 고정되고,
    상기 슬라이드 고정부(32)는 3개의 지지면을 통하여 상기 조향 핸들(H)의 외면에 걸려 고정되고,
    상기 3개의 지지면에는 완충부재(321)가 부착되며,
    상기 커버부(30)는
    상기 커버몸체(31)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바(34)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길이조절부(35); 및
    슬라이드 이동을 통해 길이가 조절된 상기 지지바(34)를 상기 길이조절부(35)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36);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바(34)의 종부는 상기 길이조절부(35)에 수용되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지지바(34)의 횡부는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지지바(34)의 종부와 상기 길이조절부(35)에는 복수개의 길이조절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수단(36)은 상기 지지바(34)의 종부와 상기 길이조절부(35)에 형성된 길이조절구멍을 관통하는 볼트 및
    상기 볼트를 상기 길이조절부(35)에 고정시키는 너트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20)는
    상기 지지부(10)의 내면을 따라 직선이동하여 상기 페달장치(P)를 가압한 후, 미리설정된 각도로 회전하여 상기 지지부(10)에 체결되며,
    상기 지지부(10)는
    내측에 상기 가압부(20)가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내주면을 따라 제1 체결수단(111)이 형성되는 지지몸체(11); 및
    상기 지지몸체(11)로부터 연장되어 내측에 상기 지지바(34)가 수용되는 거치홈(13a)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바(34)에 걸려 지지되는 걸림수단(13);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20)는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몸체(11)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외주면을 따라 상기 제1 체결수단(111)에 체결 가능한 제2 체결수단(211)이 형성되는 가압로드(21); 및
    상기 가압로드(21)의 선단에 결합되어 상기 페달장치(P)를 가압하는 가압헤드(23);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로드(21)는 회전을 통하여 상기 제2 체결수단(211)의 위치를 가변시키되,
    상기 제2 체결수단(211)을 상기 제1 체결수단(111)에 오버랩 시킬 경우, 상기 지지몸체(11)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이동이 제한되고,
    상기 제1 체결수단(111)은 복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몸체(11)의 내주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2 체결수단(211)은 적어도 1개 이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체결수단(211)은
    상기 제1 체결수단(111)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지지몸체(11)의 내측공간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페달 누름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헤드는
    힌지수단을 통하여 상기 가압로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각도조절부; 및
    상기 각도조절부의 일면에 부착되어 상기 페달장치의 표면에 밀착되는 마찰패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페달 누름 장치.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70111163A 2017-08-31 2017-08-31 차량용 페달 누름 장치 KR1018287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163A KR101828787B1 (ko) 2017-08-31 2017-08-31 차량용 페달 누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163A KR101828787B1 (ko) 2017-08-31 2017-08-31 차량용 페달 누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8787B1 true KR101828787B1 (ko) 2018-02-13

Family

ID=61231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1163A KR101828787B1 (ko) 2017-08-31 2017-08-31 차량용 페달 누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878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07801A (zh) * 2018-06-05 2018-09-07 成都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车辆制动检测的踩踏装置
CN112649211A (zh) * 2020-12-21 2021-04-13 中国汽车工程研究院股份有限公司 用于车载以太网电磁抗扰性能测试系统和工作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00375A1 (en) * 1998-06-29 2000-01-06 Svein Ousdal A device for holding the brake pedal in the braking position
KR200181816Y1 (ko) * 1997-12-27 2000-06-01 정몽규 자동차용 컴퓨터 고정장치
US20130298543A1 (en) 2012-05-08 2013-11-14 Bao-Ching Hsieh Maintenance Auxiliary Tool of Brake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1816Y1 (ko) * 1997-12-27 2000-06-01 정몽규 자동차용 컴퓨터 고정장치
WO2000000375A1 (en) * 1998-06-29 2000-01-06 Svein Ousdal A device for holding the brake pedal in the braking position
US20130298543A1 (en) 2012-05-08 2013-11-14 Bao-Ching Hsieh Maintenance Auxiliary Tool of Brake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07801A (zh) * 2018-06-05 2018-09-07 成都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车辆制动检测的踩踏装置
CN112649211A (zh) * 2020-12-21 2021-04-13 中国汽车工程研究院股份有限公司 用于车载以太网电磁抗扰性能测试系统和工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8787B1 (ko) 차량용 페달 누름 장치
US20180354546A1 (en) Adjustable steering column for motor vehicles, having an energy absorption device
US20130020153A1 (en) Selection of components of a disc brake and disc brake
US8646762B2 (en) Extension spring installation mechanism
KR101529987B1 (ko) 스톨 테스터기
CA3062393C (en) Load carrier
KR910006845B1 (ko) 시이트 벨트의 앵커 장치
CN203658153U (zh) 一种安全带抗拉测试装置上的织带固定结构
JP4229524B2 (ja) 運転操作装置及びその取付装置
KR101815013B1 (ko) 차량용 페달 누름 장치
TWI639524B (zh) Vehicle pedal device
CN103940732B (zh) 一种鼓形摩擦片摩擦试验的夹持装置
US10688973B2 (en) Parking brake emulator
KR960700916A (ko) 차량의 좌석 현수장치(vehicle seat suspension unit)
KR101587810B1 (ko) 클러치 리턴 강도 시험장치
CA2612701C (en) Hood adjustment assembly
US20150338873A1 (en) Vehicle foot pedal stroke limiting tool
JP4396786B2 (ja) ガイドレールにおける停止部材取付台の固定機構
JP2015060454A (ja) ペダル装置
JPS636663Y2 (ko)
JP4136749B2 (ja) ブレーキ装置
JP7067644B1 (ja) 車両自動運転装置のペダルアクチュエータ
JPH0418916Y2 (ko)
KR101576387B1 (ko) 차량용 암레스트 조립장치
EP3810955B1 (en) Parking device of a brake caliper for a disc brake of a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