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7810B1 - 클러치 리턴 강도 시험장치 - Google Patents

클러치 리턴 강도 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7810B1
KR101587810B1 KR1020140066426A KR20140066426A KR101587810B1 KR 101587810 B1 KR101587810 B1 KR 101587810B1 KR 1020140066426 A KR1020140066426 A KR 1020140066426A KR 20140066426 A KR20140066426 A KR 20140066426A KR 101587810 B1 KR101587810 B1 KR 101587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training
clutch pedal
clutch
moving rod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6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7846A (ko
Inventor
정영수
Original Assignee
(주)화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화신 filed Critical (주)화신
Priority to KR1020140066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7810B1/ko
Publication of KR20150137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78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7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78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3/00Testing of machine parts
    • G01M13/02Gearings; Transmission mechanisms
    • G01M13/022Power-transmitting couplings or clutch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32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repeated or pulsating forces
    • G01N3/34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repeated or pulsating forces generated by mechanical means, e.g. hammer bl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42Clutches or brakes

Abstract

클러치 리턴 강도 시험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클러치 리턴 강도 시험장치는: 클러치가 고정되는 베이스; 베이스에 결합되고, 클러치의 클러치 페달에 반력을 가하는 가압 장치; 클러치 페달을 구속하도록 설치되고, 클러치 페달을 구속하는 부분을 개방하여 클러치 페달의 구속을 해제시키는 구속 헤드; 및 구속 헤드에 연결되고, 구속 헤드를 이동시켜 구속 헤드가 클러치 페달에 조작 하중을 가하도록 하는 조작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클러치 리턴 강도 시험장치{CLUTCH RETURN STRENGTH TEST APPARATUS}
본 발명은 클러치 리턴 강도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클러치의 리턴 강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클러치 리턴 강도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사람이나 물건을 운송하는 장치이다. 차량에는 변속을 위해 클러치가 설치된다. 클러치 페달은 운전자에 의해 가압되거나 가압해제되므로, 클러치 페달이 변형될 수 있다. 클러치 강도 시험 장치를 이용하여 클러치 페달의 강도를 시험한다. 클러치 페달의 강도가 정확하게 측정되는 것이 요청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997-0047987호(1997. 07. 29 공개, 발명의 명칭: 클러치 페달의 답력 측정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클러치의 리턴 강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클러치 리턴 강도 시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리턴 강도 시험장치는: 클러치가 고정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클러치의 클러치 페달에 반력을 가하는 가압 장치; 상기 클러치 페달을 구속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클러치 페달을 구속하는 부분을 개방하여 상기 클러치 페달의 구속을 해제시키는 구속 헤드; 및 상기 구속 헤드에 연결되고, 상기 구속 헤드를 이동시켜 상기 구속 헤드가 클러치 페달에 조작 하중을 가하도록 하는 조작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속 헤드는, 상기 조작 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조작 장치의 반대 측이 개방되고, 구속 후크가 형성되는 구속 홀더; 및 상기 구속 홀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속 후크에 결합되어 상기 클러치 페달을 구속하고, 상기 구속 후크를 벗어나도록 회전되어 상기 클러치 페달의 구속을 해제시키는 구속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속 홀더는 "⊂"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구속 후크는 상기 구속 홀더의 개방 측 제1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구속 로드는 상기 구속 홀더의 개방 측 제2 단부에 힌지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압 장치는, 상기 클러치 페달에 결합되는 결합부재; 상기 결합부재에 연결되는 이동 로드; 및 상기 이동 로드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이동 로드에 결합되는 에어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 장치는 상기 에어 실린더의 압력을 보상하는 압력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로드는 상기 에어 실린더에서 상기 이동 로드의 스트로크를 제한하는 스트로크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트로크 조절부는, 상기 이동 로드의 외측면보다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이동 로드에 결합되는 위치 조절부재; 및 상기 이동 로드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위치 조절부재를 이동시켜 상기 이동 로드의 스트로크를 조절하는 위치 조절 너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 장치는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클러치 페달의 회전 각도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조작 장치는, 상기 구속 헤드가 결합되는 유압 로드; 및 상기 유압 로드가 왕복 가능하게 결합되는 유압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에어 실린더가 클러치 페달에 선형적인 반력을 작용하므로, 클러치 페달의 리턴 강도를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압력 조절부가 에어 실린더의 반력 손실을 보상하므로, 클러치 페달에 일정한 크기의 반력이 작용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구속 로드가 회전됨에 따라 구속 헤드로부터 클러치 페달의 구속이 순식간에 해제되므로, 클러치 페달이 순식간에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 리턴 강도 시험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 리턴 강도 시험장치에서 베이스와 가압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 리턴 강도 시험장치에서 베이스와 가압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 리턴 강도 시험장치에서 구속 헤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 리턴 강도 시험장치에서 구속 헤드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 리턴 강도 시험장치에서 클러치 페달이 가압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 리턴 강도 시험장치에서 클러치 페달이 가압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 리턴 강도 시험장치에서 클러치 페달이 구속 헤드에서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 리턴 강도 시험장치에서 클러치 페달이 구속 헤드에서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리턴 강도 시험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클러치 리턴 강도 시험장치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 리턴 강도 시험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 리턴 강도 시험장치에서 베이스와 가압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 리턴 강도 시험장치에서 베이스와 가압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 리턴 강도 시험장치에서 구속 헤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 리턴 강도 시험장치에서 구속 헤드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 리턴 강도 시험장치는 베이스(110), 가압 장치(120), 구속 헤드(130) 및 조작 장치(140)를 포함한다.
베이스(110)에는 클러치(20)가 고정된다. 클러치(20)는 고정 블록(30)에 고정되는 클러치 바디(21)와, 클러치 바디(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클러치 페달(23), 클러치 페달(23)의 단부에 설치되는 패드(26)를 포함한다. 클러치 페달(23)은 힌지축(24)에 의해 클러치 바디(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베이스(110)는 바닥에 위치되는 고정 프레임(111)과, 고정 프레임(111)의 내부에 배치되는 회전 프레임(113)을 포함한다. 회전 프레임(113)은 회전축(115)에 의해 회전된다. 클러치(20)는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33)에 의해 고정 블록(30)에 고정된다. 고정 블록(30)이 고정 프레임(111)에 체결됨에 따라 클러치(20)가 베이스(110)에 고정된다.
가압 장치(120)는 베이스(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클러치 페달(23)의 회전 각도에 따라 회전된다. 따라서, 클러치 페달(23)이 회전될 때에 클러치 페달(23)과 가압 장치(120)의 연결 부위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압 장치(120)는 베이스(110)의 회전 프레임(113)에 결합된다. 가압 장치(120)는 클러치(20)의 클러치 페달(23)에 반력을 작용한다. 가압 장치(120)가 클러치 페달(23)에 반력을 작용하므로, 클러치 페달(23)이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가압 장치(120)는 클러치 페달(23)에 결합되는 결합부재(121)와, 결합부재(121)에 연결되는 이동 로드(123)와, 이동 로드(123)를 이동시키도록 이동 로드(123)에 결합되는 에어 실린더(125)를 포함한다. 에어 실린더(125)가 에어의 압력에 의해 이동 로드(123)를 이동시키므로, 이동 로드(123)가 유압에 의해 이동되는 것에 비해 보다 신속하게 이동될 수 있다.
클러치 페달(23)이 신속하게 이동됨에 따라 클러치 페달(23)에 가해지는 하중이 증가되므로, 클러치 페달(23)의 리턴 강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에어 실린더(125)는 에어의 압력에 의해 작동되므로, 클러치 페달(23)에는 압력이 정확하게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클러치 페달(23)의 조작 하중을 클러치 페달(23)에 정확하게 가한 상태에서 클러치 페달(23)의 리턴 강도를 시험할 수 있다. 또한, 에어 실린더(125)의 압력이 선형적으로 증가하므로, 클러치 페달(23)에는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반력을 가할 수 있다.
결합부재(121)는 이동 로드(123)의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결합부재(121)의 단부에는 클러치 페달(23)의 핀에 고정되도록 결합홀(121a)이 형성된다. 결합부재(121)와 결합홀(121a)은 핀(미도시)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회전된다. 결합부재(121)가 이동 로드(123)의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결합부재(121)의 형태가 클러치 페달(23)의 형태에 따라 교체될 수 있다.
에어 실린더(125)에는 압력 조절부(126)가 연결된다. 압력 조절부(126)는 베이스(110)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압력 조절부(126)는 에어 실린더(125)에 공급되는 에어를 조절하여 에어 실린더(125)의 압력을 일정하게 조절한다. 예를 들면, 클러치 페달(23)의 시험 조작 하중이 11kgf 일 경우, 압력 조절부(126)는 이동 로드(123)가 클러치 페달(23)에 11kgf의 압력을 작용하도록 에어 실린더(125)의 압력을 조절한다. 압력 조절부(126)가 에어 실린더(125)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클러치 페달(23)의 리턴 강도 시험을 반복할 때에 압력 조절부(126)가 에어 실린더(125)의 반력 손실을 보상할 수 있다.
이동 로드(123)는 에어 실린더(125)에서 상기 이동 로드(123)의 스트로크 범위를 제한하는 스트로크 조절부(1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트로크 조절부(126)가 이동 로드(123)의 스트로크 범위(L)를 제한하므로, 이동 로드(123)가 에어 실린더(125)에서 일정한 길이만큼 이동된 후 정지된다. 따라서, 클러치 페달(23)이 가압된 상태에서는 가압 장치(120)의 반력이 작용되지만, 클러치 페달(23)이 원위치로 리턴된 상태에서는 아무런 압력이 작용하지 않게 된다.
스트로크 조절부(126)는 위치 조절부재(127)와 위치 조절 너트부(128)를 포함한다.
위치 조절부재(127)는 이동 로드(123)의 외측면보다 돌출되게 형성되고, 이동 로드(123)에 결합된다. 예를 들면, 위치 조절부재(127)는 이동 로드(123)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고, 이동 로드(123)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위치 조절 너트부(128)는 이동 로드(123)에 나사 결합되어 위치 조절부재(127)를 이동시켜 이동 로드(123)의 스트로크를 조절한다. 위치 조절 너트부(128)가 회전됨에 따라 위치 조절부재(127)가 이동 로드(123)에서 이동되므로, 이동 로드(123)가 에어 실린더(125)에서 이동될 수 있는 스트로크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
구속 헤드(130)는 클러치 페달(23)을 구속하도록 설치되고, 클러치 페달(23)을 구속하는 부분을 개방하여 클러치 페달(23)의 구속을 해제시킨다. 구속 헤드(130)가 클러치 페달(23)을 구속하는 부분을 개방하여 클러치 페달(23)의 구속을 해제하므로, 클러치 페달(23)이 에어 실린더(125)의 압력에 의해 순간적으로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구속 헤드(130)는 구속 홀더(131) 및 구속 로드(135)를 포함한다.
구속 홀더(131)는 조작 장치(140)에 연결된다. 구속 홀더(131)는 조작 장치(140)의 반대 측이 개방되고, 구속 후크(132)가 형성된다. 이때, 구속 홀더(131)는 "⊂" 형태로 형성된다. 구속 후크(132)는 구속 홀더(131)의 개방 측 제1 단부에 형성되고, 구속 리브(133)는 구속 홀더(131)의 개방 측 제2 단부에 형성된다.
구속 로드(135)는 구속 홀더(13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구속 로드(135)는 구속 후크(132)에 결합되어 클러치 페달(23)을 구속하고, 구속 후크(132)를 벗어나도록 회전되어 클러치 페달(23)의 구속을 해제시킨다. 이때, 구속 로드(135)는 구속 리브(133)에 의해 형성된 구속홈(133a)에 삽입되고, 구속 로드(135)의 단부가 결합된다. 구속 로드(135)는 구속 홀더(131)의 개방 측 제2 단부에 힌지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속 로드(135)가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됨에 따라 클러치 페달(23)을 해제시키므로, 클러치 페달(23)이 순간적으로 원위치로 복귀됨에 따라 클러치 페달(23)의 반응 속도가 상대적으로 빨라진다. 또한, 구속 후크(132)와 구속 리브(133)가 구속 로드(135)를 지지하므로, 구속 로드(135)가 클러치 페달(23)에 작용하는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게 된다.
가압 장치(120)와 조작 장치(140)는 나란하게 배치된다. 가압 장치(120)와 조작 장치(140)가 나란하게 배치되므로, 조작 장치(140)는 클러치 페달(23)을 잡아당기고, 가압 장치(120)는 클러치 페달(23)에 반력(조작 하중)을 작용하게 할 수 있다.
조작 장치(140)는, 구속 헤드(130)가 결합되는 유압 로드(141)와, 유압 로드(141)가 왕복 가능하게 결합되는 유압 실린더(145)를 포함한다. 유압 실린더(145)는 지지대(147)에 의해 바닥이나 주위 구조물에 고정된다. 유압 실린더(145)는 유압에 의해 유압 로드(141)를 이동시키므로, 클러치 페달(23)이 가압되도록 유압이 작용할 때에 일정한 크기의 유압이 안정적으로 작용하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리턴 강도 시험장치의 작용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 리턴 강도 시험장치에서 클러치 페달이 가압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 리턴 강도 시험장치에서 클러치 페달이 가압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클러치 바디(21)를 고정 블록(30)에 체결한 후 고정 블록(30)을 베이스(110)의 고정 프레임(111)에 고정시킨다. 결합부재(121)가 클러치 페달(23)에 체결된다.
구속 홀더(131)의 개방된 부분으로 클러치 페달(23)의 패드(26)를 인입시킨 후 구속 로드(135)를 회전시킨다. 구속 로드(135)가 구속 후크(132)에 결합되면, 구속 로드(135)와 패드(26)가 접촉된다. 이때, 구속 로드(135)의 양측은 구속 후크(132)와 구속 리브(133)에 의해 지지된다.
유압 실린더(145)가 구동됨에 따라 유압 로드(141)가 클러치 페달(23)을 잡아당긴다. 이때, 유압 실린더(145)는 클러치 페달(23)을 풀 스트로크(클러치 페달(23)이 최대로 밟힌 상태)로 잡아당긴다.
또한, 압력 조절부(126)가 에어 실린더(125)에 에어를 공급하여, 이동 로드(123)가 클러치 페달(23)에 대략 11kgf 정도의 반력을 작용하도록 한다. 에어 실린더(125)가 에어의 압력에 의해 클러치 페달(23)에 반력을 작용하므로, 클러치 페달(23)이 유압 실린더(145)에 의해 가압될 때에 클러치 페달(23)에는 반력이 선형적으로 증가한다. 따라서, 반력이 정확한 크기로 클러치 페달(23)에 작용되게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 리턴 강도 시험장치에서 클러치 페달이 구속 헤드에서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 리턴 강도 시험장치에서 클러치 페달이 구속 헤드에서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클러치 페달(23)에 일정한 크기의 반력이 작용하는 상태에서 구속 홀더(131)로부터 구속 로드(135)가 회전되면, 구속 홀더(131)의 일측이 개방된다.
구속 홀더(131)가 개방되는 순간 클러치 페달(23)에 작용하는 구속력이 해제된다. 이때, 클러치 페달(23)에는 에어 실린더(125)의 압력이 작용하고 있으므로, 클러치 페달(23)은 순식간에 원위치로 복귀된다. 클러치 페달(23)이 순식간에 원위치로 복귀되는 동안에 클러치 페달(23)에는 하중이 작용하므로, 클러치 페달(23)의 리턴 강도를 보다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다. 이때, 위치 조절부재(127)가 이동 로드(123)의 스트로크(L)를 제한하므로, 이동 로드(123)는 일정한 스트로크(L)만큼만 이동된다. 위치 조절부재(127)가 에어 실린더(125)에 접촉되면, 클러치 페달(23)에는 에어 실린더(125)의 압력이 작용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클러치 페달(23)의 리턴 강도를 반복적으로 검사한다. 클러치 페달(23)의 리턴 강도 시험이 반복됨에 따라 에어 실린더(125)에는 반력 손실이 발생될 수 있다. 이때, 압력 조절부(126)는 에어 실린더(125)의 에어를 조절하여 반력 손실을 보상한다. 따라서, 에어 실린더(125)는 클러치 페달(23)에 일정한 반력을 작용할 수 있다.
클러치 페달(23)의 리턴 강도 검사가 대략 20-30회 정도 반복되면, 리턴 강도 검사를 완료한다. 그리고, 클러치 페달(23)에서 변형되거나 손상된 부분을 검사한다.
이와 같이, 에어 실린더(125)가 클러치 페달(23)에 선형적인 반력을 작용하므로, 클러치 페달(23)의 리턴 강도를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다.
또한, 압력 조절부(126)가 에어 실린더(125)의 반력 손실을 보상하므로, 클러치 페달(23)에 일정한 크기의 반력이 작용되게 할 수 있다.
또한, 구속 로드(135)가 회전됨에 따라 구속 헤드(130)로부터 클러치 페달(23)의 구속이 순식간에 해제되므로, 클러치 페달(23)이 순식간에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따라서, 클러치 페달(23)에 작용하는 부하가 상대적으로 증가되므로, 클러치 페달(23)의 변형 여부를 보다 용이하게 검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20: 클러치 21: 클러치 바디
23: 클러치 페달 26: 패드
30: 고정 블록 33: 볼트
110: 베이스 111: 고정 프레임
113: 회전 프레임 115: 회전축
120: 가압 장치 121: 결합부재
121a: 결합홀 123: 이동 로드
124: 압력 조절부 125: 에어 실린더
126: 스트로크 조절부 127: 위치 조절부재
128: 위치 조절 너트부 130: 구속 헤드
131: 구속 홀더 132: 구속 후크
133: 구속 리브 133a: 구속홈
135: 구속 로드 136: 힌지부
140: 조작 장치 141: 유압 로드
145: 유압 실린더 147: 지지대

Claims (9)

  1. 클러치가 고정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클러치의 클러치 페달에 반력을 가하는 가압 장치;
    상기 클러치 페달을 구속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클러치 페달을 구속하는 부분을 개방하여 상기 클러치 페달의 구속을 해제시키는 구속 헤드; 및
    상기 구속 헤드에 연결되고, 상기 구속 헤드를 이동시켜 상기 구속 헤드가 클러치 페달에 조작 하중을 가하도록 하는 조작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구속 헤드는,
    상기 조작 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조작 장치의 반대 측이 개방되고, 구속 후크가 형성되는 구속 홀더; 및
    상기 구속 홀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속 후크에 결합되어 상기 클러치 페달을 구속하고, 상기 구속 후크를 벗어나도록 회전되어 상기 클러치 페달의 구속을 해제시키는 구속 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리턴 강도 시험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 홀더는 "⊂"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구속 후크는 상기 구속 홀더의 개방 측 제1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구속 로드는 상기 구속 홀더의 개방 측 제2 단부에 힌지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리턴 강도 시험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장치는,
    상기 클러치 페달에 결합되는 결합부재;
    상기 결합부재에 연결되는 이동 로드; 및
    상기 이동 로드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이동 로드에 결합되는 에어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리턴 강도 시험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장치는 상기 에어 실린더의 압력을 보상하는 압력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리턴 강도 시험장치.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로드는 상기 에어 실린더에서 상기 이동 로드의 스트로크를 제한하는 스트로크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리턴 강도 시험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크 조절부는,
    상기 이동 로드의 외측면보다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이동 로드에 결합되는 위치 조절부재; 및
    상기 이동 로드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위치 조절부재를 이동시켜 상기 이동 로드의 스트로크를 조절하는 위치 조절 너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리턴 강도 시험장치.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장치는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클러치 페달의 회전 각도에 따라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리턴 강도 시험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장치는,
    상기 구속 헤드가 결합되는 유압 로드; 및
    상기 유압 로드가 왕복 가능하게 결합되는 유압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리턴 강도 시험장치.
KR1020140066426A 2014-05-30 2014-05-30 클러치 리턴 강도 시험장치 KR101587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6426A KR101587810B1 (ko) 2014-05-30 2014-05-30 클러치 리턴 강도 시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6426A KR101587810B1 (ko) 2014-05-30 2014-05-30 클러치 리턴 강도 시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7846A KR20150137846A (ko) 2015-12-09
KR101587810B1 true KR101587810B1 (ko) 2016-01-22

Family

ID=54873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6426A KR101587810B1 (ko) 2014-05-30 2014-05-30 클러치 리턴 강도 시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78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79186B (zh) * 2017-06-02 2019-05-14 德清通承智能科技有限公司 全自动汽车踏板测试装置
CN109100126A (zh) * 2018-07-25 2018-12-28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油门踏板压溃力性能测试工装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4279Y1 (ko) * 2004-07-22 2004-10-19 주식회사 광신아이앤피 차량용 페달장치의 내구성 시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7175A (ko) * 2002-06-19 2003-12-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페달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4279Y1 (ko) * 2004-07-22 2004-10-19 주식회사 광신아이앤피 차량용 페달장치의 내구성 시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7846A (ko) 2015-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00346U (ja) 固定効果を有する試験可能な固定治具
KR101587810B1 (ko) 클러치 리턴 강도 시험장치
CA2378212C (en) Vehicle performance evaluation test method and apparatus
US6116588A (en) Clamping device
KR101216879B1 (ko) 케이블 압입시험 로봇의 클램핑장치
KR101121885B1 (ko) 굽힘 강도 시험용 가압 기구
KR101430911B1 (ko) 시편 수평 인장,압축장치 및 방법
KR101703182B1 (ko) 도장막의 부착력 시험 장치
CN203658153U (zh) 一种安全带抗拉测试装置上的织带固定结构
JP2010286336A (ja) つかみ具
KR20120047155A (ko) 브레이크페달 어셈블리용 지그장치
KR101506908B1 (ko) 피로 시험기의 박판 시편 좌굴방지장치
KR101401425B1 (ko) 차량 정비용 액셀러레이터 조작장치
KR101828787B1 (ko) 차량용 페달 누름 장치
SE536955C2 (sv) Fastspänningsverktyg samt förfarande för montering/demontering av en inspänningsback eller stöd för sådan
KR101176470B1 (ko) 인장 및 압축 시험기
KR20090070749A (ko) 강판 두께 측정장치
KR101335686B1 (ko) 스크래치 테스터기
JP2016042048A5 (ko)
CN103528890A (zh) 一种拉伸卸载试验装置
US10845280B2 (en) Integrated wedge for testing fabric on side acting pneumatic grips
KR20200082154A (ko) 가이드 피로하중 시험기 및 그 방법
JP2009281765A (ja) 衝撃試験機
CN205148141U (zh) 箱包拉杆耐疲劳测试机夹具
CN105364752A (zh) 箱包拉杆耐疲劳测试机夹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