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8555B1 - 엘리베이터 리모델링용 삼방틀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리모델링용 삼방틀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8555B1
KR101828555B1 KR1020160094194A KR20160094194A KR101828555B1 KR 101828555 B1 KR101828555 B1 KR 101828555B1 KR 1020160094194 A KR1020160094194 A KR 1020160094194A KR 20160094194 A KR20160094194 A KR 20160094194A KR 101828555 B1 KR101828555 B1 KR 1018285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plate
overlapping side
plate
overlapping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4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1605A (ko
Inventor
최인호
Original Assignee
최인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인호 filed Critical 최인호
Priority to KR1020160094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8555B1/ko
Publication of KR20180011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1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8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85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6Details of door jam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9/00Mining-hoist operation
    • B66B19/007Mining-hoist operation method for modernisation of elevators

Landscapes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출입구를 인테리어적으로 리모델링하기 위한 삼방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리모델링용 삼방틀은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판에 덧대어져 설치되는 덧댐상판, 상기 출입구의 좌,우측에 설치되는 제1 측판 및 제2 측판에 각각 덧대어지는 제1 덧댐측판, 및 제2 덧댐측판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리모델링용 삼방틀에 있어서, 상기 덧댐상판은 상기 덧댐상판이 상기 제1 덧댐측판 및 상기 제2 덧댐측판의 상단에서 외측에 걸쳐져 추락을 방지하도록 상기 덧댐상판의 양측에서 각각 하부로 절곡되는 절곡걸침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덧댐상판의 추락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리모델링용 삼방틀 및 이의 시공방법{a jamb for elevator remodeling and a construction method of thereof}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출입구를 인테리어적으로 리모델링하기 위한 삼방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출입구에는 콘크리트의 노출을 방지하여 인테리어적인 미감을 향상시키며, 엘리베이터 출입구임을 확연히 표시할 수 있도록 금속재로 형성된 삼방틀이 설치된다.
이러한 종래의 삼방틀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88456호(2007.8.29. 공개)에 개시된 바가 있다.
종래의 삼방틀은 승강장 출입구의 가장자리부에 고정되는 뒤판, 및 상기 뒤판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동시에 상기 뒤판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뒤판과 통을 형성하는 표판(表板)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뒷판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표판을 용이하게 교체하여 시공하도록 구성하였다.
하지만, 종래의 삼방틀은 건축물의 리모델링 시, 기존의 삼방틀을 뜯어내고 재시공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외부에 새로운 삼방틀을 덧대어 설치하는 형태로 시공한다.
그러나, 종래의 삼방틀을 리모델링할 때에는 평판형태의 삼방틀을 단순히 양면테입과 같은 접착제에 부착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삼방틀의 변형이 발생하거나, 접착제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접착력이 약화되어 기존 삼방틀에서 새로 설치된 삼방틀이 분리되어 추락함으로써,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좌,우측에 부착되는 측판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그 길이가 상하로 길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단부분이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내측으로 휘어져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기존에 덧대어진 삼방틀의 상판이 진동 또는 변형에 따라 추락됨에 따른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측판의 출입구의 내측으로 휘는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리모델링용 삼방틀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리모델링용 삼방틀은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판에 덧대어져 설치되는 덧댐상판, 상기 출입구의 좌,우측에 설치되는 제1 측판 및 제2 측판에 각각 덧대어지는 제1 덧댐측판, 및 제2 덧댐측판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리모델링용 삼방틀에 있어서, 상기 덧댐상판은 상기 덧댐상판이 상기 제1 덧댐측판 및 상기 제2 덧댐측판의 상단에서 외측에 걸쳐져 추락을 방지하도록 상기 덧댐상판의 양측에서 각각 하부로 절곡되는 절곡걸침부를 포함한다.
상기 덧댐상판은 상기 절곡걸침부가 절곡되는 각각의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덧댐측판과 제2 덧댐측판이 끼워져 고정되는 슬릿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덧댐측판과 상기 제2 덧댐측판의 상단 부분에는 상기 슬릿홈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돌출되는 슬릿끼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덧댐상판, 상기 제1 덧댐측판 및 상기 제2 덧댐측판은 각 상기 상판, 상기 제1 측판, 상기 제2 측판에 각각 부착하기 위한 접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부재는 실리콘, 양면접착테입, 금속접착제 중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삼방틀의 시공방법은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삼방틀의 시공방법으로서, 상기 상판, 상기 제1 측판, 상기 제2 측판, 그리고, 상기 덧댐상판, 상기 제1 덧댐측판 및 상기 덧댐측판에 접착부재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상판에 상기 덧댐상판을 부착하는 단계, 상기 덧댐상판의 양측 절곡걸침부에 각각 상기 제1 덧댐측판 및 상기 제2 덧댐측판의 상단이 내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 측판 및 상기 제2 측판에 상기 제1 덧댐측판과 상기 제2 덧댐측판을 각각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덧댐측판과 상기 제2 덧댐측판의 하부로 처짐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덧댐측판과 상기 덧댐측판의 하부 테두리에 접합마감부재로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측판 및 상기 제2 측판에 상기 제1 덧댐측판과 상기 제2 덧댐측판을 각각 부착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덧댐측판과 상기 제2 덧댐측판의 각 상단이 상기 덧댐상판에 밀착되도록 쐐기부재를 받쳐 상부로 가압한 후 상기 제1 측판 및 상기 제2 측판에 부착할 수 있다.
상기 덧댐상판은 상기 절곡걸침부가 절곡되는 각각의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덧댐측판과 제2 덧댐측판이 끼워져 고정되는 슬릿홈, 및 상기 제1 덧댐측판과 상기 제2 덧댐측판의 상단 부분에는 상기 슬릿홈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돌출되는 슬릿끼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덧댐측판과 상기 제2 덧댐측판을 상부로 밀착 시 상기 슬릿홈에 상기 슬릿끼움부가 끼워지도록 상부로 가압하여 밀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덧댐상판의 양측단에 하부로 절곡된 절곡걸침부가 제1 덧댐측판 및 제2 덧댐측판의 외측에 걸쳐지는 형태로 기존의 삼방틀에 부착되어 덧댐상판의 추락에 따른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덧댐측판 및 제2 덧댐측판의 상단에 형성된 슬릿끼움부가 상판의 슬릿홈에 각각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되어 상대적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제1 덧댐측판 및 제2 덧댐측판의 상부가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내측으로 휘는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덧댐측판, 제2 덧댐측판, 덧댐상판을 부착 시 서로 다른 접착부재를 복합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느 하나의 접착부재의 접착력이 하락되어도 다른 하나의 접착부재의 접착력에 의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접착부재를 설치할 부분에 미리 접착표시부가 표시되어 제1 덧댐측판, 제2 덧댐측판, 및 덧댐상판에 균일한 접착력을 제공함으로써, 접착력의 불균형으로 인한 분리 및 변형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따른 엘리베이터 리모델링용 삼방틀의 시공방법으로 시공할 경우, 삼방틀의 시공을 정형화하여 삼방틀을 정확하고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삼방틀의 이탈로 인한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리모델링용 삼방틀을 엘리베이터 출입구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리모델링용 삼방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리모델링용 삼방틀을 엘리베이터 출입구에 설치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리모델링용 삼방틀을 엘리베이터 출입구에 설치한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부를 확대한 확대도로서, 절곡걸침부에 덧댐측판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리모델링용 삼방틀을 도시한 제1 덧댐측판 및 제2 덧댐측판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리모델링용 삼방틀의 시공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원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리모델링용 삼방틀(100)은 엘리베이터 출입구(200)의 기존에 설치된 삼방틀에 덧대어져 새로운 미감을 갖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한편, 기존의 엘리베이터 출입구(200)에 설치되는 삼방틀은 엘리베이터 출입구(200)의 상부테두리에 설치되는 상판(210), 그리고, 상부테두리의 양 옆의 측면테두리에 각각 설치되는 제1 측판(230), 및 제2 측판(25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리모델링용 삼방틀(100)은 덧댐상판(1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덧댐상판(110)은 기존에 엘리베이터 출입구(200)의 설치된 상판(210)에 덧대어져 엘리베이터 출입구(200)의 상부에 인테리어적인 미감을 부여할 수 있다.
한편, 덧댐상판(110)은 기존에 설치된 상판(210)을 완전히 가려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상판(210)에 덧대어질 수 있다.
그리고, 덧댐상판(110)은 상판(210)의 하부에 덧대어지고, 전방에서 상향 절곡되어 상판(210)의 전방에 덧대어지는 상판 전면부(111), 상판 전면부(111)와 반대방향에 위치되어 상향 절곡되는 상판 후면부(1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덧댐상판(110)의 상판 전면부(111)는 엘리베이터 출입구(200)의 형상에 따라 엘리베이터 출입구(200)의 상단까지 연장되거나, 엘리베이터 출입구(200)의 상단 일부만 가릴 수 있는 크기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판 전면부(111)에는 엘리베이터의 출입구에 엘리베이터의 작동상태를 알려주는 인디케이터가 출입구에 설치된 경우, 인디케이터가 노출되는 노출홈(111a)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덧댐상판(110)은 엘리베이터 출입구(200)의 상부에 설치된 상판(21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판 전면부(111)에서 상판 후면부(113)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는 사다리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덧댐상판(110)은 덧댐상판(110)의 양 측단 각각에서 하부로 절곡되는 절곡걸침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덧댐상판(110)에서 절곡걸침부(115)가 절곡되는 부분에는 절곡된 모서리를 따라 관통 형성되는 슬릿홈(117)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리모델링용 삼방틀(100)은 제1 덧댐측판(130) 및 제2 덧댐측판(1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제1 덧댐측판(130)과 제2 덧댐측판(150)은 서로 좌,우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덧댐측판(130)은 기존에 설치된 제1 측판(230)이 가려지도록 제1 측판(230)에 덧대어질 수 있으며, 제2 덧댐측판(150)은 기존에 설치된 제2 측판(250)이 가려지도록 제2 측판(250)에 덧대어져 새로운 인테리어적인 미감을 부여할 수 있다.
한편, 1 덧댐측판은 기존에 설치된 제1 측판(230)에 덧대어질 수 있으며, 제2 덧댐측판(150)은 기존에 설치된 제2 측판(250)에 덧대어져 새로운 인테리어적인 미감을 부여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덧댐측판(130)과 제2 덧댐측판(150)는 각 제1 측판(230)과 제2 측판(250)의 전방부분을 덮어 가릴 수 있도록 엘리베이터 출입구(200)의 외측을 향해 절곡된 측판 전면부(131,151)와, 측판 전면부(131,151)의 반대방향에 위치되어 외측으로 절곡되며 제1 측판 및 제2 측판(230,250) 각각의 후방에 걸쳐지는 측판 후면부(133,15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덧댐측판(130)과 제2 덧댐측판(150)은 각각 측판 전면부(131,151)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덧댐상판(110)의 상판 전면부(111)의 양 측단을 각각 덮어 가리는 측판 연장부(135,15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덧댐측판(130)과 제2 덧댐측판(150)의 각각은 덧댐상판(110)이 안착되는 상단에 상부로 돌출되어 덧댐상판(110)에 형성된 슬릿홈(117)에 끼워지는 슬릿끼움부(137,157)가 형성될 수 있으며, 슬릿끼움부(137,157)는 슬릿홈(117)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슬릿홈(117)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덧댐측판(130) 및 제2 덧댐측판(150)은 덧댐상판(110)의 양측에 하부로 절곡된 절곡걸침부(115)가 각각 제1 덧댐측판(130)과 제1 측판(230)의 사이, 및 제2 덧댐측판(150)과 제2 측판(250)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제1 덧댐측판(130)과 제2 덧댐측판(150)이 부착된다.
이와 같이 제1 덧댐측판(130)과 제2 덧댐측판(150)이 절곡걸침부(115)를 사이에 두고 부착됨으로써, 제1 덧댐측판(130)과 제2 덧댐측판(150)의 상부에 안착된 덧댐상판(110)이 진동 또는 변형에 따라 추락 됨으로써,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리모델링용 삼방틀(100)은 접착부재(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접착부재(170)는 제1 덧댐측판(130), 제2 덧댐측판(150), 및 덧댐상판(110)을 기존에 설치된 제1 측판(230), 제2 측판(250) 및 상판(210)에 부착할 수 있다.
한편, 접착부재(170)는 환경적인 요인에 따라 변화될 수 있기 때문에 서로 종류가 다른 둘 이상의 접착부재(170)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접착부재(170)는 양면접착테입, 실리콘 또는 금속접착제 중 둘 이상이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양면접착테입으로만 제1 덧댐측판(130), 제2 덧댐측판(150), 및 덧댐상판(110)을 부착할 경우, 시간이 지나거나, 온도에 따라 양면접착테입의 접착력이 변화될 수 있기 때문에 접착부재(170)는 어느 하나만 사용하지 않고, 양면접착테입과 종류가 다른 실리콘, 또는 금속접착제를 함께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접착부재(170)는 상판(210)과 덧댐상판(110), 제1 측판(230)과 제1 덧댐측판(130), 제2 측판(250)과 제2 덧댐측판(150)이 서로 마주하는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덧댐측판(130), 제2 덧댐측판(150), 상판(210)은 상대적으로 얇고 크기가 크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접착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제1 덧댐측판(130), 제2 덧댐측판(150), 덧댐상판(110)에는 접착부재(170)를 부착할 곳이 미리 표시되는 접착표시부(139,159)가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접착표시부(139,159)는 양면접착테입을 부착할 부분, 실리콘을 도포할 부분, 및 금속접착제를 도포할 부분 등이 미리 표시될 수 있으며, 접착표시부(139,159)는 제1 덧댐측판(130), 제2 덧댐측판(150), 및 덧댐상판(110)에 레이저 또는 연마기구에 의해 표면을 연마 또는 식각액에 의해 부식시키는 형태로 형성하거나, 스티커를 부착 또는 도로를 도포하거나, 제1 덧댐측판(130), 제2 덧댐측판(150), 및 덧댐상판(110)을 보호하기 위해 부착되는 보호시트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리모델링용 삼방틀(100)은 접합마감부재(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접합마감부재(190)는 제1 덧댐측판(130)과, 제2 덧댐측판(150) 및 덧댐상판(110)이 기존의 제1 측판(230), 제2 측판(250) 및 상판(210)에 덧대어져 부착된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출입구(200)와 제1 덧댐측판(130), 제2 덧댐측판(150), 및 덧댐상판(110)의 사이 둘레에 도포되어 접합하는 동시에 마감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접합마감부재(190)는 제1 덧댐측판(130)과 제2 덧댐측판(150)의 하부 테두리부분과 엘리베이터 출입구(200)의 바닥의 사이에 도포되어 사이 공간을 메우는 동시에 제1 덧댐측판(130)과 제2 덧댐측판(150)을 바닥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접합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의 작용과 효과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리모델링용 삼방틀(100)의 시공방법과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리모델링용 삼방틀(100)의 시공방법은,
S10 - 제1 덧댐측판(130), 제2 덧댐측판(150), 그리고 덧댐상판(110)에 접착부재(170)를 설치한다.
이때, 접합부재는 적어도 두 가지 이상 서로 다른 접착부재(170)를 사용하여 어느 하나의 접착부재(170)가 외부환경적인 요인 예컨대, 습도, 온도, 시간에 따른 물성의 변화에 의해 변화됨에 따라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접착부재(170)는 제1 덧댐측판(130), 제2 덧댐측판(150), 그리고 덧댐상판(110)을 부착할 제1 측판(230), 제2 측판(250) 및 상판(210)에도 접합부재를 설치할 수도 있으며, 접합 후 접착력이 균일해지도록 미리 표시된 접착표시부(139,159)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둘 이상의 접착부재(170)는 서로 겹쳐지지 않는 부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S20 - 접착부재(170)가 설치되면, 덧댐상판(110)을 기존에 설치된 상판(210)에 덧대어지도록 부착한다.
S30 - 덧댐상판(110)이 상판(210)에 부착되면, 제1 덧댐측판(130)과 제2 덧댐측판(150)을 제1 측판(230)과 제2 측판(250)에 각각 덧대어지도록 부착한다.
이때, 제1 덧댐측판(130)과 제2 덧댐측판(150)에 형성된 슬릿끼움부(137,157)가 덧댐상판(110)에 형성된 슬릿홈(117)에 끼워지도록 제1 덧댐측판(130)과 제2 덧댐측판(150)을 상부로 밀어 가압한 후, 제1 측판(230)과 제2 측판(250)에 접착부재(170)에 의해 접착되도록 제1 덧댐측판(130)과 제2 덧댐측판(150)을 제1 측판(230)과 제2 측판(250)이 위치되는 방향으로 누르듯이 가압하여 부착한다.
여기서, 제1 덧댐측판(130)과 제2 덧댐측판(150)을 상부로 가압하기 위해서 제1 덧댐측판(130)과 제2 덧댐측판(150)의 하부에 쐐기 또는 쐐기 형상의 공구와 같은 쐐기부재(미도시)를 밀어 넣는 형태로 제1 덧댐측판(130)과 제2 덧댐측판(150)을 상부로 가압한다.
제1 덧댐측판(130)과 제2 덧댐측판(150)의 둘레는 프레스에 의해 절단되어 날카롭기 때문에 손으로 들어 상부로 가압할 경우, 손을 베일 수 있기 때문에 쐐기부재를 사용하여 제1 덧댐측판(130)과 제2 덧댐측판(150)을 상부로 들어올리는 형태로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 덧댐측판(130)과 제2 덧댐측판(150)은 덧댐상판(110)의 양측에 위치되는 절곡걸침부(115)가 제1 덧댐측판(130)과 제1 측판(230)의 사이 및 제2 덧댐측판(150)과 제2 측판(250)의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부착된다.
S40 - 제1 덧댐측판(130)과 제2 덧댐측판(150)이 제1 측판(230)과 제2 측판(250)에 부착되면, 바닥에서 들어올려 부착된 제1 덧댐측판(130)과 제2 덧댐측판(150)의 하부 테두리 사이를 접합마감부재(190)로 마감을 한다.
여기서, 접합마감부재(190)는 실리콘으로 구현되어 바닥과 제1 덧댐측판(130)과 제2 덧댐측판(150)의 이격된 사이를 기밀하는 동시에 상부로 가압되어 부착된 제1 덧댐측판(130)과, 제2 덧댐측판(150)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하부로 내려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합마감재에 의해 마감되면, 제1 덧댐측판(130), 제2 덧댐측판(150) 및 덧댐상판(110)에 부착된 보호시트를 떼어내고 엘리베이터 리모델링 시공을 완료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리모델링용 삼방틀(100)은 덧댐상판(110)이 절곡걸침부(115)에 의해 제1 덧댐측판(130) 및 제2 덧댐측판(150)의 상단에 걸쳐지기 때문에 덧댐상판(110)이 진동, 변형으로 인해 상판(210)에서 덧댐상판(110)이 추락되어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제1 덧댐측판(130) 및 제2 덧댐측판(150)은 상단 부분에 형성된 슬릿끼움부(137,157)가 덧댐상판(210)의 슬릿홈(117)에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되어 제1 덧댐측판(130)과 제2 덧댐측판(150)의 상단부분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휘어지는 변형이 발생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둘 이상의 서로 다른 접합부재(170)를 사용하여 부착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접착부재의 접착력 약화로 인한 상호 간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따른 엘리베이터 리모델링용 삼방틀(100)의 시공방법은 삼방틀의 시공을 정형화하여 삼방틀을 정확하고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삼방틀의 이탈로 인한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엘리베이터 리모델링용 삼방틀 110: 덧댐상판
111: 상판 전면부 111a: 노출홈
113: 상판 후면부 115: 절곡걸침부
117: 슬릿홈 130: 제1 덧댐측판
131,151: 측판 전면부 133,153: 측판 후면부
135,155: 측판 연장부 137,157: 슬릿끼움부
139,159: 접착표시부 150: 제2 덧댐측판
170: 접착부재 190: 접합마감부재
200: 엘리베이터 출입구 210: 상판
230: 제1 측판 250: 제2 측판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상부에 테두리에 설치되는 상판에 덧대어져 설치되는 덧댐상판, 상기 출입구의 좌,우측에 설치되는 제1 측판 및 제2 측판에 각각 덧대어지는 제1 덧댐측판, 및 제2 덧댐측판을 포함하고, 상기 덧댐상판은 상기 덧댐상판이 상기 제1 덧댐측판 및 상기 제2 덧댐측판의 상단에서 외측에 걸쳐져 추락을 방지하도록 상기 덧댐상판의 양측에서 각각 하부로 절곡되는 절곡걸침부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리모델링용 삼방틀의 시공방법으로서,
    상기 상판, 상기 제1 측판, 상기 제2 측판, 그리고, 상기 덧댐상판, 상기 제1 덧댐측판 및 상기 제2 덧댐측판에 접착부재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상판에 상기 덧댐상판을 부착하는 단계,
    상기 덧댐상판의 양측 절곡걸침부에 각각 상기 제1 덧댐측판 및 상기 제2 덧댐측판의 상단이 내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 측판 및 상기 제2 측판에 상기 제1 덧댐측판과 상기 제2 덧댐측판을 각각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덧댐측판과 상기 제2 덧댐측판의 하부로 처짐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덧댐측판과 상기 제2 덧댐측판의 하부 테두리에 접합마감부재로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리모델링용 삼방틀의 시공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판 및 상기 제2 측판에 상기 제1 덧댐측판과 상기 제2 덧댐측판을 각각 부착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덧댐측판과 상기 제2 덧댐측판의 각 상단이 상기 덧댐상판에 밀착되도록 쐐기부재를 받쳐 상부로 가압한 후 상기 제1 측판 및 상기 제2 측판에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리모델링용 삼방틀의 시공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덧댐상판은 상기 절곡걸침부가 절곡되는 각각의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덧댐측판과 제2 덧댐측판이 끼워져 고정되는 슬릿홈, 및
    상기 제1 덧댐측판과 상기 제2 덧댐측판의 상단 부분에는 상기 슬릿홈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돌출되는 슬릿끼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덧댐측판과 상기 제2 덧댐측판을 상부로 밀착 시 상기 슬릿홈에 상기 슬릿끼움부가 끼워지도록 상부로 가압하여 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리모델링용 삼방틀의 시공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재는 실리콘, 양면접착테입, 금속접착제 중 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리모델링용 삼방틀의 시공방법.
KR1020160094194A 2016-07-25 2016-07-25 엘리베이터 리모델링용 삼방틀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8285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194A KR101828555B1 (ko) 2016-07-25 2016-07-25 엘리베이터 리모델링용 삼방틀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194A KR101828555B1 (ko) 2016-07-25 2016-07-25 엘리베이터 리모델링용 삼방틀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1605A KR20180011605A (ko) 2018-02-02
KR101828555B1 true KR101828555B1 (ko) 2018-03-22

Family

ID=61223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4194A KR101828555B1 (ko) 2016-07-25 2016-07-25 엘리베이터 리모델링용 삼방틀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85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1682B1 (ko) * 2019-09-20 2021-07-01 최준호 사전 제작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리모델링용 삼방틀 및 이의 시공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05956B2 (ja) * 2009-09-02 2014-05-28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三方枠組立体
JP2016069135A (ja) * 2014-09-30 2016-05-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装置の三方枠、それを用いたエレベーター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装置の三方枠の組立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05956B2 (ja) * 2009-09-02 2014-05-28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三方枠組立体
JP2016069135A (ja) * 2014-09-30 2016-05-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装置の三方枠、それを用いたエレベーター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装置の三方枠の組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1605A (ko) 2018-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080272A1 (en) Door frame structure and method for mounting door frame structure
KR101828555B1 (ko) 엘리베이터 리모델링용 삼방틀 및 이의 시공방법
ITBZ20110056A1 (it) Telai per serramenti in materiale termoplastico saldabile, rivestibili con materiali diversi
CN108260352A (zh) 具有内部突起的滑动叠层玻璃窗单元
US9845225B2 (en) Elevator landing door arrangement
JP2004338940A (ja) エレベータ昇降路閉鎖装置、ならびにエレベータ昇降路閉鎖装置の防火要求を満たす方法、およびその取り付け方法
CN110741132A (zh) 用于制造框架的型材组件
CN105865135A (zh) 冰箱门壳折边结构
JP5326532B2 (ja) エレベーターのドア装置
WO2013015271A1 (ja) 車両用ドア
JP3310067B2 (ja) 化粧サッシ付ガラスパネルの組立方法
JPS6041419Y2 (ja) エレベ−タ用パネル
KR101168806B1 (ko) 보강 방화문
JP6938148B2 (ja) 建具
EP1992764A1 (en) Metal covering system for facades
JP5650931B2 (ja) 連段窓、及びその製造方法
IT201900003263A1 (it) Finestra
JP7414609B2 (ja) 建具
JP2016014266A (ja) 扉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扉構造体
JP3332746B2 (ja) エレベータ乗場の三方枠
JP3666224B2 (ja) ドアガラス組み付け構造およびドアガラス組み付け方法
JP6639664B2 (ja) ホームドア装置
EP2204522A2 (en) Arrangement for safety hinge on frames for doors
EP3587695A1 (en) Installation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bracket members and method for installation of a lining panel in a roof window
KR20170051009A (ko) 전면판 교체형 방화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