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7561B1 - 탈부착이 가능한 인입 및 인출용 캡 - Google Patents

탈부착이 가능한 인입 및 인출용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7561B1
KR101827561B1 KR1020170098365A KR20170098365A KR101827561B1 KR 101827561 B1 KR101827561 B1 KR 101827561B1 KR 1020170098365 A KR1020170098365 A KR 1020170098365A KR 20170098365 A KR20170098365 A KR 20170098365A KR 101827561 B1 KR101827561 B1 KR 101827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ommodating device
lid
storage device
cap
bas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8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정태
Original Assignee
변정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정태 filed Critical 변정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7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7561B1/ko
Priority to PCT/KR2018/00640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823607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40Nozzles or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94Preformed openings provided in a wall portion and covered by a separate removable flexible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30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r closing of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부착이 가능한 캡에 관한 것으로서, 포대나 팩 등의 구조로 이루어지는 수납장치에 탈부착이 가능한 인출수단을 형성하여 수납장치의 밀봉된 부분을 뜯지 않고도 수납장치의 내부에서 알갱이나 분말 형태의 수납물을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인출수단을 자유롭게 개방 또는 폐쇄시킬 수 있도록 하여 수납물의 품질이 저하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수납장치에 수납된 수납물이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캡은, 수납장치를 관통하며, 회동작동에 의해 상기 수납장치의 내면에 밀착되는 밀착부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수납장치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납공간과 연결되는 출입홀이 형성된 인출가이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탈부착이 가능한 인입 및 인출용 캡{DETACHABLE POSSIBILITY CAP}
본 발명은 탈부착이 가능한 캡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포대나 팩 등의 구조로 이루어지는 수납장치의 내부에서 알갱이나 분말 형태의 수납물을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한 탈부착이 가능한 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대와 같은 수납장치는 상측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구조로 제작된다.
또한, 수납장치의 수납공간에는 쌀, 보리, 콩 등의 곡물, 사료, 분말 등 다양한 종류의 제품을 수납한 다음 개구부를 밀봉 처리하여 시중에 판매하고 있다.
그리고, 제품을 구매한 구매자는 수납장치의 밀봉된 부분을 제거하여 수납공간에 수납된 제품을 인출하여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수납장치는 개구부를 다시 폐쇄시킬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으므로, 개구부가 개방된 상태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와 같은 경우 개구부를 통해 수납공간에 공기가 유입되어 제품의 품질이 저하되고, 구매자의 부주의로 수납장치를 쓰러트렸을 경우 제품이 쏟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4066호(2011.06.07)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포대나 팩 등의 구조로 이루어지는 수납장치에 탈부착이 가능한 인출수단을 형성하여 수납장치의 밀봉된 부분을 뜯지 않고도 수납장치의 내부에서 알갱이나 분말 형태의 수납물을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인출수단을 자유롭게 개방 또는 폐쇄시킬 수 있도록 하여 수납물의 품질이 저하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수납장치에 수납된 수납물이 의도치 않게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탈부착이 가능한 캡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캡은, 수납장치를 관통하며, 회동작동에 의해 상기 수납장치의 내면에 밀착되는 밀착부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수납장치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납공간과 연결되는 출입홀이 형성된 인출가이드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인출가이드부의 외면에 장착되고, 내부에 상기 출입홀과 연결되는 연결홀이 형성된 캡부재,
상기 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연결홀을 개폐시키는 뚜껑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납장치의 수납공간에 상기 밀착부를 인입시키기 위한 홀을 형성시키는 천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천공부는, 상기 뚜껑부의 외면 중앙부분에 상기 수납장치의 외면에 밀착되는 기준축을 형성하고,
상기 뚜껑부의 외면 일측에는 상기 뚜껑부가 기준축을 기준으로 회전시 상기 수납장치를 절개하는 절개부를 형성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절개부는 회동결합부를 통해 상기 뚜껑부에 결합되어 측면이 상기 뚜껑부의 외면에 접촉되도록 회동되거나, 상기 뚜껑부와 직각을 이루도록 회동된다.
또한, 상기 인출가이드부는 개별회동이 가능한 두 개 이상의 베이스부재로 분리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재는 서로 맞닿는 부분에 형성되는 힌지 결합부를 통해 개별 회동된다.
그리고, 상기 밀착부는 상기 수납장치의 내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평평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재와 밀착부 간 경계지점에는 수납장치의 외면에 밀착되는 부가 밀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밀착부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회동작동에 의해 상기 수납장치의 내면에 밀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캡은, 포대나 팩 등의 구조로 이루어지는 수납장치에 용이하게 탈부착될 수 있어 재사용이 가능하며, 수납장치의 밀봉된 부분을 뜯지 않고도 수납장치의 내부에서 알갱이나 분말 형태의 수납물을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인출수단을 자유롭게 개방 또는 폐쇄시킬 수 있도록 하여 수납물에 공기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등 품질이 저하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수납장치에 수납된 수납물이 의도치 않게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용이한 캡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용이한 캡에 적용된 인출가이드부의 분해 상태를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용이한 캡에 적용된 인출가이드부의 결합 상태를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용이한 캡에 적용된 캡부재와 뚜껑부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용이한 캡에 적용된 천공부의 작동을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용이한 캡을 수납장치에 결합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용이한 캡에 적용된 인출가이드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용이한 캡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용이한 캡에 적용된 인출가이드부의 분해 상태를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용이한 캡에 적용된 인출가이드부의 결합 상태를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용이한 캡에 적용된 캡부재와 뚜껑부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용이한 캡에 적용된 천공부의 작동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6은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용이한 캡을 수납장치에 결합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이며,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용이한 캡에 적용된 인출가이드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캡(1)은, 수납장치(100)에 설치되는 인출가이드부(10), 상기 인출가이드부(10)에 장착되는 캡부재(20), 상기 캡부재(20)의 내부를 개폐하는 뚜껑부(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수납장치(100)는 일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일반적인 포대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수납공간에 쌀, 보리, 콩 등의 곡물, 사료, 분말 등 다양한 종류의 수납물을 수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납장치(100)에는 후술되는 밀착부(12)가 관통할 수 있는 홀(100a)이 형성되며, 상기 홀(100a)은 작업자가 커터칼 등의 도구로 수납장치(100)의 일부분을 천공하여 형성되거나, 또는 후술되는 천공부(40)로 수납장치(100)를 천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홀(100a)은 후술되는 인출가이드부(10)가 수납장치(100)에 설치된 이후에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인출가이드보다 작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납장치(100)의 개방된 부분은 수납장치(100)를 수납한 이후에 재봉이나 접착제 등을 통해 밀봉된다.
상기 인출가이드부(10)는 상기와 같이 수납장치(100)의 밀봉된 부분을 뜯지 않고도 수납공간에 수납된 수납물을 적용한 양으로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인출가이드부(10)는 상기 수납장치(100)에 수납물을 수납하기 전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출가이드부(10)는 전체가 동일한 외경을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수납장치(100)의 수납공간과 연결되는 출입홀(10a)이 형성된다.
이러한 인출가이드부(10)는 개별작동이 가능한 2개 이상의 베이스부재(11)로 분리 구성될 수 있으며, 도 1 내지 도 3는 상기 베이스부재(11)가 2개로 분리 구성된 예를 도시하였고, 도 10 및 도 11에는 상기 베이스부재(11)가 4개로 분리 구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이때, 상기 베이스부재(11)는 2개로 분리 구성될 경우 반원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3개 이상으로 분리 구성될 경우 곡선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인출가이드부(10)는 상기 베이스부재(11)들의 조합으로 링 형상을 이루며, 그 내부에 상기 출입홀(10a)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베이스부재(11)들은 서로 맞닿는 부분에 형성되는 힌지 결합부를 통해 결합되면서 개별 회동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힌지 결합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재(11)의 일측에 회동안내홀(11a)을 형성하고, 타측에는 회동축(111)을 일체로 형성하므로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회동축(111)을 마주하는 다른 베이스부재(11)의 회동안내홀(11a)에 관통설치 함에 따라 상기 베이스부재(11)들이 링 형상이 되도록 결합되는 것이며, 상기 베이스부재(11)들은 각각 상기 회동축(111)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개별회동 될 수 있는 것이다.
부가적으로, 상기 베이스부재(11)들의 하단에는 각각 상기 수납장치(100)의 홀(100a)을 관통하여 수납장치(100)의 내면에 밀착되는 밀착부(12)가 일체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밀착부(12)는 상기 베이스부재(11)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베이스부재(11)가 회동시 함께 회동된다.
따라서, 상기 밀착부(12)를 수납장치(100)의 수납공간에 인입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도 7과 같이, 상기 베이스부재(11)들을 각각 하 방향으로 회동시켜 밀착부(12)들 간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하므로서, 상기 밀착부(12)가 수납장치(100)의 홀(100a)을 용이하게 통과하여 수납장치(100)의 수납공간에 인입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밀착부(12)가 수납장치(100)의 수납공간에 인입된 이후에 상기 베이스부재(11)들을 다시 상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밀착부(12)들이 함께 회동되어 상기 수납부의 내면에 밀착된다.
이때, 상기 밀착부(12)는 상기 수납장치(100)의 내면에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평평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더욱이, 상기 베이스부재(11)와 밀착부(12) 간 경계지점의 외면에는 상기 베이스부재(11)들을 상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수납장치(100)의 외면에 밀착되는 부가 밀착부(113)가 형성되는 바,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캡(1)은 상기 밀착부(12)와 부가 밀착부(113)가 수납장치(100)의 내면과 외면을 동시에 가압하면서 밀착됨에 따라 상기 인출가이드가 상기 수납장치(100)에서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인출가이드부(10)의 외면에는 상기 출입홀(10a)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개폐장치가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개폐장치는 캡부재(20)와 뚜껑부(30)를 포함한다.
상기 캡부재(20)는 전체가 동일한 외경을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연결홀(20a)이 형성되며, 상기 인출가이드부(10)의 외면에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인출가이드부(10) 보다 넓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부들의 외주연에는 양단이 서로 연결되는 수 나선부(112)가 형성되고, 상기 캡부재(20)의 내주연에는 상기 수 나선부(112)에 체결되는 암 나선부(21)가 형성되어 상기 캡부재(20)를 상기 인출가이드부(10)에 회전방식으로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캡부재(20)를 인출가이드부(10)에 결합될 경우 상기 연결홀(20a)과 출입홀(10a)이 연결되는 구조이므로,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된 수납물을 상기 출입홀(10a)과 연결홀(20a)을 통해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상기 뚜껑부(30)는 사용자가 상기 연결홀(20a)을 선택적으로 자유롭게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연결홀(20a)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캡부재(20)의 일측에 구조로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뚜껑부(30)는 상기 힌지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뚜껑부(30)는 상 방향으로 회동시 상기 연결홀(20a)을 개방시킴에 따라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된 수납물을 외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하며, 하 방향으로 회동시에는 상기 캡부재(20)의 상면에 접촉되어 상기 연결홀(20a)을 밀폐시킴에 따라 수납공간에 수납된 수납물이 외부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한다.
이때, 상기 뚜껑부(30)의 타측에는 하부로 돌출되는 고정돌기(31)가 형성되고, 상기 캡부재(20)에는 상기 뚜껑부(30)가 캡부재(20)의 상면에 안착시 상기 고정돌기(31)가 삽입 고정되는 고정홈(20b)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뚜껑부(30)는 상기 캡부재(20)의 상면에 접촉시 상기 고정돌기(31)가 고정홈(20b)에 삽입되어 구속됨으로 인해, 상기 연결홀(20a)을 밀폐시키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정돌기(31) 중 고정홈(20b)과 마주하게 되는 부분을 라운딩 처리하고, 고정홈(20b)의 상측은 소정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고정돌기(31)가 상기 고정홈(20b)에 용이하게 삽입되거나 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뚜껑부(30)에 소정의 힘을 가해 하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고정돌기(31)가 베이스부를 따라 하강되다가 고정홈(20b)의 경사진 부분을 통해 고정홈(20b)에 용이하게 삽입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다시 뚜껑부(30)를 상 방향으로 올리면 상기 고정돌기(31)가 상기 고정홈(20b)의 경사진 부분을 통해 용이하게 인출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뚜껑부(30)에는 상기 수납장치(100)의 수납공간에 상기 밀착부(12)를 인입시키기 위한 홀을 형성시키는 천공부(40)가 형성된다.
상기 천공부(40)는 상기 뚜껑부(30)의 상면 중앙부분에는 원뿔, 송곳 등과 같이 뾰족한 형태의 기준축(41)을 형성하고, 상기 뚜껑부(30)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기준축(41)과 소정간격 이격되며 상기 수납장치(100)를 절개하는 절개부(42)를 한 쌍의 지지편(51)과 하나의 힌지축(52)으로 구성되는 회동결합부(50)를 통해 상,하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므로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뚜껑부(30)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전도된 상태의 절개부(42)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둘레턱(32)이 일정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기준축(41)은 상측 일부분이 상기 둘레턱(32)의 상측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절개부(42)는 상 방향으로 회동되어 직립된 상태가 될 경우 상기 둘레턱(32)의 상측으로 돌출된다.
이때, 상기 절개부(42)는 직립 상태의 길이가 상기 기준축(41)과 동일하거나 또는 기준축(41)보다 긴 길이를 갖는다.
한편, 상기 지지편(51)은 절개부(42)의 양측면을 가압하는 형태로 밀착됨으로, 상기 절개부(42)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만 회동되고 수납장치(100)를 절개하는 과정에서 저항이 발생되어도 회동되지 않는다.
이하, 기준축(41)과 절개부(42)의 특징을 통한 인출가이드부(10)의 설치예를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절개부(42)를 상 방향으로 회동시켜 직립 상태가 되도록 한 다음, 상기 기준축(41)과 절개부(42)를 상기 수납장치(100)에 접촉시킨다.
이후, 상기 뚜껑부(3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360 ° 회전시키면 상기 절개부(42)가 상기 수납장치(100)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수납장치(100)를 원 형상으로 절개하여 상기 밀착부(12)가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는 홀(100a)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수납장치(100)에 홀(100a)이 형성한 이후에는 상기 절개부(42)를 하 방향으로 회동시켜 측면이 뚜껑부(30)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한 다음, 상기 베이스부들을 하 방향으로 회동시켜 밀착부(12)가 오므려지도록 한 후, 상기 수납장치(100)의 홀(100a)에 관통시킨다.
이후에, 다시 베이스부재(11)들을 상 방향으로 회동시켜 밀착부(12)가 펼쳐져 수납장치(100)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하고, 이와 동시에 부가 밀착부(113)가 수납장치(100)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후, 상기 인출가이드부(10)의 외면에 상기 캡(1)을 장착하므로서 인출가이드부(10)의 설치를 완료하며, 사용자는 상기 뚜껑부(30)를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조작으로 상기 연결홀(20a)을 개방 또는 폐쇄시켜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된 수납물을 인출하거나 또는 수납공간에 수납된 수납물이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캡 10 : 인출가이드부
10a : 출입홀 11 : 베이스부재
11a : 회동안내홀 20b : 고정홈
111 : 회동축 112 : 수 나선부
113 : 부가 밀착부 12 : 밀착부
20 : 캡부재 20a : 연결홀
21 : 암 나선부 30 : 뚜껑부
31 : 고정돌기 32 : 둘레턱
40 : 천공부 41: 기준축
42 : 절개부 50 : 회동결합부
51 : 지지편 52 : 힌지축

Claims (7)

  1. 수납장치를 관통하며, 회동작동에 의해 상기 수납장치의 내면에 밀착되는 밀착부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수납장치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납공간과 연결되는 출입홀이 형성된 인출가이드부,
    상기 인출가이드부의 외면에 장착되고, 내부에 상기 출입홀과 연결되는 연결홀이 형성된 캡부재,
    상기 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연결홀을 개폐시키는 뚜껑부,
    상기 수납장치의 수납공간에 상기 밀착부를 인입시키기 위한 홀을 형성시키는 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천공부는, 상기 뚜껑부의 외면 중앙부분에 상기 수납장치의 외면에 밀착되는 기준축을 형성하고,
    상기 뚜껑부의 외면 일측에는 상기 뚜껑부가 기준축을 기준으로 회전시 상기 수납장치를 절개하는 절개부를 형성하여 구성되는 탈부착이 가능한 캡.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회동결합부를 통해 상기 뚜껑부에 결합되어 측면이 상기 뚜껑부의 외면에 접촉되도록 회동되거나, 상기 뚜껑부와 직각을 이루도록 회동되는 탈부착이 가능한 캡.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가이드부는 개별회동이 가능한 두 개 이상의 베이스부재로 분리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재는 서로 맞닿는 부분에 형성되는 힌지 결합부를 통해 개별 회동되는 탈부착이 가능한 캡.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는 상기 수납장치의 내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평평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탈부착이 가능한 캡.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와 밀착부 간 경계지점에는 수납장치의 외면에 밀착되는 부가 밀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밀착부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회동작동에 의해 상기 수납장치의 내면에 밀착되는 탈부착이 가능한 캡.
KR1020170098365A 2017-06-21 2017-08-03 탈부착이 가능한 인입 및 인출용 캡 KR101827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8/006409 WO2018236073A1 (ko) 2017-06-21 2018-06-05 탈부착이 가능한 인입 및 인출용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543 2017-06-21
KR20170078543 2017-06-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7561B1 true KR101827561B1 (ko) 2018-02-09

Family

ID=61198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8365A KR101827561B1 (ko) 2017-06-21 2017-08-03 탈부착이 가능한 인입 및 인출용 캡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27561B1 (ko)
WO (1) WO2018236073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13861B2 (ja) * 1997-09-22 2007-05-09 ヱスビー食品株式会社 袋用取付キャップ装置
US20090301988A1 (en) 2004-12-09 2009-12-10 Hee Kwon Rho Vessel cap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17047936A (ja) 2015-09-01 2017-03-09 凸版印刷株式会社 誤投入防止機能付き口栓、及びその誤投入防止機能付き口栓を備えた容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0703A (ja) * 1996-03-01 1997-09-16 Hirohisa Nagashima 密封蓋
JPH10338247A (ja) * 1997-06-09 1998-12-22 Tadashi Hagiwara 容器開口部の開閉機構
KR20120066119A (ko) * 2010-12-14 2012-06-22 박건주 비닐팩 안에 접합되는 배출 튜브를 갖는 포장용 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13861B2 (ja) * 1997-09-22 2007-05-09 ヱスビー食品株式会社 袋用取付キャップ装置
US20090301988A1 (en) 2004-12-09 2009-12-10 Hee Kwon Rho Vessel cap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17047936A (ja) 2015-09-01 2017-03-09 凸版印刷株式会社 誤投入防止機能付き口栓、及びその誤投入防止機能付き口栓を備えた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236073A1 (ko) 2018-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36324E (en) Hopper convertible material container
US20120211494A1 (en) Waste-disposal system for film-dispensing units
MX2007003880A (es) Tapa tipo capsula.
MX2011010773A (es) Tapon con medio para retener la tapa en una posicion abierta.
JP2007528324A (ja) プッシュ型開封装置を有する容器の栓
JPH05504530A (ja) 容器
DK202100103U1 (da) Hætteindretning til fastgørelse på en beholders hals
JP2015038003A (ja) 廃棄物貯蔵装置
KR101827561B1 (ko) 탈부착이 가능한 인입 및 인출용 캡
CA3034523A1 (en) Device for inhaling powdery substances
CN106805588B (zh) 一种展示盒
CA293949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ingle cup beverage dispensers
JPH07215354A (ja) 食品パッケージ開口装置
JP2022172998A (ja) 密閉効果が良い容開封性密閉容器
CN210055224U (zh) 一种存放瓶型药品的药架结构
CN203410790U (zh) 替换装包装袋及其使用装置
ES2746563T3 (es) Tapa de plástico superior abatible
KR20180065315A (ko) 차량용 용기 수납 홀더
KR101947010B1 (ko) 스파우트 안전캡
JP5498601B1 (ja) 飲料用容器の肩部材を有する栓本体取付構造
JP2021516148A (ja) 実験室用のプラスチック製蓋付き容器
CN206087811U (zh) 瓶盖
BR112021014221A2 (pt) Fecho para um recipiente, método para fabricar um fecho, e, conjunto
CN215286143U (zh) 一种盖合结构及容器
US20200290782A1 (en) Wide-lipped container l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