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7490B1 - 소나무 재선충 방제를 위한 수목 처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소나무 재선충 방제를 위한 수목 처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7490B1
KR101827490B1 KR1020160013216A KR20160013216A KR101827490B1 KR 101827490 B1 KR101827490 B1 KR 101827490B1 KR 1020160013216 A KR1020160013216 A KR 1020160013216A KR 20160013216 A KR20160013216 A KR 20160013216A KR 101827490 B1 KR101827490 B1 KR 101827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ushing
wood
blade
tree
crus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3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0333A (ko
Inventor
장병철
Original Assignee
장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병철 filed Critical 장병철
Publication of KR20170090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0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7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7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5/00Treat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7K1/00, B27K3/00
    • B27K5/0085Thermal treatments, i.e. involving chemical modification of wood at temperatures well over 100°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 B02C18/2216Dischar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 B02C18/2225Feed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2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2240/00Purpose of the treatment
    • B27K2240/20Removing fungi, molds or ins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Chemical And Physical Treatments For Wood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나무 재선충 방제를 위한 수목 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재선충 감염목 또는 의심목을 제재하여 속재목과 수피를 포함하는 겉재목으로 분리한 후, 속재목은 열처리 또는 훈증을 통해 살균하여 제품으로 출하하고, 수피를 포함하는 겉재목은 파쇄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재선충을 방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나무 재선충 방제를 위한 수목 처리 방법 및 장치{Wood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pine wilt}
본 발명은 소나무 재선충 방제를 위한 수목 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재선충에 감염된 수목을 제재하여 속재목과 수피를 포함하는 겉재목으로 분리한 후, 속재목은 열처리 또는 훈증을 거쳐 제품으로 출고시키고, 겉재목은 파쇄하여 효과적으로 방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소나무 재선충(材線蟲, Bursaphelenchus xylophilus)은 식물에 기생하는 선충으로, 건강한 소나무가 재선충에 감염되면 수분과 양분 이동이 제대로 안되어 솔잎이 아래로 처지며 시들기 시작하는데, 온도가 높은 시기에 많은 양의 소나무 재선충이 침입하면 빠르게 감염 징후가 나타나고, 1개월 정도가 지나면 잎 전체가 갈색으로 변하면서 나무가 죽기 시작한다.
소나무 재선충은 스스로 나무와 나무 사이를 이동할 수는 없으나, 공생 관계에 있는 솔수염하늘소(수염치레하늘소)의 몸에 기생하다가 다른 나무로 이동할 수 있다. 솔수염하늘소는 먹이가 풍부할 때는 이동 거리가 100m 이내로 짧지만 먹이가 없을 때는 약 4km까지 장거리 이동도 가능하기 때문에 재선충병을 빠르게 전염시킨다. 재선충 감염목을 그대로 사용할 경우에는 2차 피해도 발생하기 때문에 철저한 방제 처리가 요구되는 바이다.
소나무 재선충을 방제하는 방법으로는 소각, 열처리, 훈증 및 파쇄 등의 방식이 있다.
이중 감염목을 벌채하여 소각하는 방제법은 수피 내부의 목재를 사용할 수 없어 자원이 낭비되는 단점이 있고, 농약을 주사하는 방제법은 약효의 지속기간이 2~3년으로 짧고 인력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피해목에 비닐피복을 하고 훈증을 병행하는 방제법은 훈증용 약제가 산림토양에 잔류되어 환경을 오염시키고, 유효한 천적까지도 제거되며, 피복으로 인해 미관에도 좋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이를 위해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547469호(2015.08.20. '재선충 감염목 건식 살균 처리 장치', 이하 '종래기술1'이라고 함)와 같이 재선충 감염목에 열을 가하여 방제하는 장치가 제시된 바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에서는 벌목된 감염목 전체를 컨테이너에 반입하고 열을 가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방제 효율이 극히 떨어진다. 즉, 재선충은 주로 수피에서 서식하는데, 감염목 전체의 부피에서 수피가 차지하는 비율은 극히 적음에도 불구하고 전체 감염목을 방제해야 하기 때문에, 공간 활용도도 떨어지고 열처리 시간도 오래 걸린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감염목을 파쇄하는 방식의 경우 방제효과는 높지만, 소각과 마찬가지로 수피 내부의 목재를 사용할 수 없고, 기존의 파쇄기에서는 조그마한 나무조각을 파쇄날에 밀착시킬 수가 없어서 방제가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재선충 감염목 또는 의심목을 제재하여 속재목과 수피를 포함하는 겉재목으로 분리한 후, 속재목은 열처리 또는 훈증을 통해 살균하여 제품으로 출하하고, 수피를 포함하는 겉재목은 파쇄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재선충을 방제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처리 방법은, 재선충 감염목 또는 감염 의심목을 벌목하는 (a)단계; 상기 벌목된 나무를 제재하여 속재목과 수피를 포함하는 겉재목으로 분리하는 (b)단계; 상기 속재목을 열처리로 또는 훈증처리부에 투입하여 살균하는 (c)단계; 및 상기 겉재목을 수목 처리 장치에 투입하여 파쇄하는 (d)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처리 장치는, 수피를 포함하는 겉재목이 투입되는 투입부; 상기 투입부를 통해 투입된 상기 겉재목을 파쇄하는 파쇄부; 및 상기 파쇄부에서 파쇄된 파쇄목을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파쇄부는,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상기 투입되는 겉재목을 파쇄하는 파쇄날; 상기 파쇄날의 상부를 덮어 보호하는 덮개; 및 상기 파쇄날의 하부를 덮는 형태로 설치되며, 소정 크기의 타공이 형성되어 있는 타공망;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투입부는, 상기 겉재목이 올려지는 투입대; 및 상기 투입대 상부에서 회전하여 상기 투입대에 올려진 겉재목을 상기 파쇄부로 진입시키는 투입날;을 포함하고, 상기 겉재목이 상기 투입대와 상기 투입날 사이에서 지지된 상태로 상기 파쇄날에 밀착되면, 상기 파쇄날에서 파쇄되되, 상기 투입날을 완전히 통과한 상기 겉재목 끝 부분의 나무조각은 상기 파쇄날과 상기 파쇄날 둘레의 덮개 및 타공망 사이에 끼워지면서 상기 파쇄날에 밀착되어 파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부는, 음압을 발생시켜 상기 타공망을 통과한 파쇄목을 배출시키는 집진부; 및 상기 타공망에서부터 상기 집진부 사이의 통로를 마련하기 위한 하우징;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파쇄날에서 파쇄된 파쇄목은 상기 타공망에 형성된 타공을 통해 배출되되, 상기 타공망의 타공에 파쇄목이 걸려 막히면, 상기 집진부에서 발생하는 음압에 의해 상기 타공에 걸린 파쇄목이 강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처리 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효율적으로 재선충 방제가 이루어질 수 있고, 재활용율을 높일 수가 있다.
즉, 종래에는 벌목한 나무를 통째로 열처리함으로써, 수목을 적재하는 공간을 많이 차지하였고, 수목의 두께가 두껍기 때문에 7시간 이상의 열처리 과정이 필요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벌목한 나무를 통째로 열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수피가 제거된 속재목만 열처리하기 때문에 적재실 내부의 공간을 적게 차지할 수가 있다. 또한 통나무에 비해 속재목의 두께가 얇고, 더군다나 속재목은 재선충의 주 서식지가 아니어서 전체 3시간 정도의 짧은 열처리 과정만으로도 효율적인 살균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재선충이 주로 서식하고 있는 수피를 포함한 겉재목은 파쇄 방식으로 처리하기 때문에 완벽한 방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수목 처리 장치에는 파쇄날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타공망이 설치되어 있어서, 투입날과 투입대에 의해 지지되지 못하는 겉재목 끝 부분의 나무조각이 파쇄날과 타공망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밀착 파쇄될 수 있어서, 톱밥에 나무조각이 섞일 우려가 없으며, 재선충 방제 효과도 높아진다.
또, 타공망이 설치되었다 하더라도 집진부를 통해 타공을 막고 있는 파쇄목을 강제로 배출시킬 수가 있어서 파쇄와 배출 작업이 매우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목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2는 속재목의 열처리를 위한 열처리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3은 겉재목의 파쇄를 위한 수목 처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4 내지 도6은 수목 처리 장치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7은 속재목의 훈증 처리를 위한 훈증처리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목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2는 수목 처리 과정에서 속재목의 열처리를 위한 열처리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3은 수목 처리 과정에서 겉재목의 파쇄를 위한 수목 처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1에 도시된 흐름도를 기준으로 수목 처리 방법을 설명토록 하겠으나, 수목 처리 과정에서 열처리로(10) 및 수목 처리 장치(20)가 사용되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설명도 함께 병행하도록 한다.
먼저 소나무 재선충 방제를 위해 재선충에 감염된 감염목이나 감염이 의심되는 의심목을 벌목<S105>한 후, 벌목된 나무를 제재(製材)하여 속재목(1)과 겉재목(2)으로 분리<S110>한다.
속재목(1)이란 벌목된 나무에서 수피를 제거한 부분을 말하며 추후 건축자재나 다른 제품으로 활용될 수 있다. 겉재목(2)은 수피를 포함하는 부분으로 재선충이 수피 부분에서 주로 서식하기 때문에 완벽한 방제 처리가 요구된다.
여기서 속재목(1)에는 재선충 감염의 우려가 높지는 않지만, 감염 우려가 있는 수목이기 때문에 열처리를 통한 살균 과정을 거쳐 제품으로 출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제재 작업을 통해 분리된 속재목(1)을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처리로(10)에 투입하여 살균<S115>한다. 여기서 속재목(1)의 살균 처리는 열처리 방식 외에 약제를 살포하는 훈증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는데, 훈증 방식은 도7을 통해 이하에서 다시 설명토록 하며, 열처리 방식 위주로 설명토록 한다.
열처리로(10)는 열처리로본체(11), 가열부(13), 격벽(14), 모터(15), 팬(16), 제1온도센서(17), 제2온도센서(18) 및 제어부(19)를 포함한다.
열처리로본체(11) 내부에는 열처리 대상이 되는 속재목(1)을 적재하기 위한 적재실(12)이 마련되어 있으며, 열처리로본체(11) 측면에 가열부(13)와 팬(16)이 설치된다. 가열부(13)는 버너 등을 이용하여 적재실(12) 공기를 가열하는 수단이며, 모터(15)에 의해 회전하는 팬(16)은 가열부(13)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적재실(12) 내부에서 강제 순환될 수 있도록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킨다.
한편 열처리로본체(11) 내부의 적재실(12)은 격벽(14)에 의해 공간이 구획된다. 즉 도2를 참조하면 적재실(12)의 좌측과 상부에서 일정 간격 떨어진 상태로 격벽(14)이 설치되어 있고, 상부쪽 격벽(14)의 우측 일부는 개방되어 팬(16)에 의해 순환되는 가열 공기가 적재실(12)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측면쪽 격벽(14)의 하부 일부가 개방되어 적재실(12)을 통과한 공기가 다시 격벽(14) 안쪽으로 유입되어 가열될 수 있다. 즉 격벽(14)은 적재실(12) 측면에서 가열된 공기가 적재실(12) 전체에서 원활하게 순환될 수 있도록 흐름 통로를 마련해 주는 것이다.
또한 적재실(12)에는 제1온도센서(17)와 제2온도센서(18)가 설치된다. 제1온도센서(17)는 적재된 속재목(1) 중 가장 깊숙하고 비교적 큰 목재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열 전달이 가장 늦는 지점의 온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제2온도센서(18)는 속재목(1)이 적재된 바깥의 적재실(12) 온도를 측정하며, 제어부(19)는 제1온도센서(17) 및 제2온도센서(18)에서 측정된 온도를 기반으로 가열부(13)와 팬(16)의 작동을 제어한다.
적재실(12)에 속재목(1)을 적재한 후 작동을 시작하면, 제어부(19)가 버너를 작동시켜 공기를 가열시키고, 팬(16)의 작동으로 가열된 공기가 적재실(12) 내부에서 순환되기 시작한다.
가열부(13)가 작동하기 시작하는 초기에는 적재실(12) 내부의 온도가 실온에 가까워, 제1온도센서(17)는 물론 제2온도센서(18)에서 측정되는 온도가 높지 않다. 하지만 가열부(13)가 지속적으로 작동되면 적재실(12) 내부의 온도가 점차 상승한다.
재선충을 방제하기 위해서는 속재목(1)을 섭씨 56도 이상에서 30분 이상 열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속재목(1)이 적재된 부분의 안쪽보다는 바깥쪽의 온도가 먼저 상승하게 되고, 깊숙한 위치까지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즉 제어부(19)는 속재목(1)의 적재물 중에서 가장 깊숙한 곳의 목재에 설치된 제1온도센서(17)의 온도가 섭씨 56도까지 올라가는지 확인하며, 제1온도센서(17)의 온도가 섭씨 56도가 되면 가열부(13)의 작동을 중단시킨다. 이 시점에서 가열부(13)의 작동이 중단된다 하더라도, 적재물 바깥에서 더욱 높은 온도로 가열된 공기가 지속적으로 순환되기 때문에 제1온도센서(17)의 온도는 계속 상승할 것이다.
또한 제어부(19)는 제1온도센서(17)의 온도가 섭씨 90도 이상 올라간 것이 확인되었을 경우에도 가열부(13)의 작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 즉 속재목(1)의 적재물 내측의 온도가 아직 필요한 온도까지 가열되지 않았더라도 외부의 온도가 섭씨 90도 이상으로 상당하게 가열되었다면, 대류 작용에 의해 속재목(1) 적재물의 깊은 곳까지 높은 온도가 전달될 수 있으므로, 가열부(13)의 작동 중단으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제어부(19)에서 제1온도센서(17) 및 제2온도센서(18)에서 측정된 온도를 통해 전체 열처리로(10)의 작동시키는 기준값 들은 적재되는 속재목(1)의 양이나, 수목의 종류, 적재실(12)의 크기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정된다.
종래에는 벌목한 나무를 통째로 열처리함으로써, 수목을 적재하는 공간을 많이 차지하였고, 수목의 두께가 두껍기 때문에 7시간 이상의 열처리 과정이 필요하였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벌목한 나무를 통째로 열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수피가 제거된 속재목(1)만 열처리하기 때문에 적재실(12) 내부의 공간을 적게 차지할 수 있다. 또한, 통나무에 비해 속재목(1)의 두께가 얇고, 더군다나 속재목(1)은 재선충의 주 서식지가 아니어서 전체 3시간 정도의 짧은 열처리 과정만으로도 효율적인 살균이 가능한 것이다.
한편 이상에서는 도2에 도시된 열처리로(10)를 이용하여 속재목(1)을 열처리 살균하여 제품으로 출하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였는데, 열처리 방식이 아닌 훈증 방식으로 속재목(1)을 살균처리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한 훈증처리부(10')가 도7에 도시되어 있다. 훈증처리부(10')는 훈증처리본체(11'), 약제보관부(13'), 약제살포부(14'), 모터(15') 및 팬(16')을 포함한다.
훈증처리본체(11') 내부에는 살균 대상이 되는 속재목(1)을 적재하기 위한 적재실(12')이 마련되어 있으며, 훈증처리본체(11') 측면에 모터(15')로 구동되는 팬(16')이 설치되고, 상부에는 약제보관부(13')로부터 약제를 공급받아 적재실(12')로 분무하는 약제살포부(14')가 설치되어 있다.
팬(16')은 적재실(12')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켜 약제살포부(14')에서 분무된 약제가 속재목(1) 구석구석으로 스며들도록 한다. 한편 팬(16')과 약제살포부(14')의 위치는 도7에 도시된 예시 외에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재목(1)을 밀폐된 적재실(12')에 적재하고, 실온에서 약제를 살포하여 살균할 경우, 가열 처리가 필요치 않아 연료를 절감할 수 있다. 물론 속재목(1)의 사용처와 오염도에 따라 열처리 방식과 훈증 방식 중 적당한 처리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다시 도1을 참조하면, 제재 작업을 통해 분리된 속재목(1)은 열처리로(10)(또는 훈증처리부(10'))에서 살균<S115>되어 제품으로 출하됨으로써 재활용이 가능하고, 겉재목(2)은 도3 및 도4에 도시된 수목 처리 장치(20)에 투입되어 파쇄<S120>됨으로써 톱밥화된다. 물론 파쇄 과정은 재선충의 방제 과정이기도 하다.
즉 재선충은 주로 수피 부분에 서식하게 되는데, 이러한 수피를 포함하여 제재된 겉재목(2)은 훈증이나 파쇄를 통해 재선충을 완전하게 방제해야 한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훈증 방식보다는 파쇄 방식이 재선충의 방제 효율이 높다고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3에 도시된 수목 처리 장치(20)를 이용하여 겉재목(2)을 파쇄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목 처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4는 도3에 도시된 수목 처리 장치를 간략하게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목 처리 장치(20)는 수피를 포함하는 겉재목(2)을 파쇄부(26)로 투입하기 위한 투입부(21)와, 투입부(21)를 통해 투입된 겉재목(2)을 파쇄하는 파쇄부(26)와, 파쇄된 파쇄목을 배출하는 배출부(30)를 포함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투입부(21)는 투입대(22) 및 투입날(24)을 포함한다.
투입대(22)는 겉재목(2)이 올려지는 일종의 받침대인데, 실시하기에 따라 컨베이어 등이 적용될 수도 있다.
투입날(24)은 지지프레임(23)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함으로써 투입대(22) 위에 올려진 겉재목(2)을 파쇄부(26)로 진입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여기서 지지프레임(23)의 후방(도3 및 도4에서 좌측)은 투입대(22) 또는 별도의 프레임에 힌지(25) 결합되고, 전방(도3 및 도4에서 우측)에는 투입날(24)이 장착된다. 즉 투입날(24)은 지지프레임(23)의 무게로 인해 하방으로 가압되고, 이로 인해 겉재목(2)을 강하게 압박하여 지지하면서 파쇄부(26)로 밀어 넣을 수 있다.
또한 지지프레임(23)의 후방은 투입대(22) 또는 별도 프레임에 힌지(25)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투입날(24)이 장착된 전방은 자유롭게 상하 이동이 가능하다. 즉 상대적으로 큰 겉재목(2)이 투입되더라도 투입날(24)이 장착된 전방 부분이 들리면서 겉재목(2)의 통과가 가능한 것이다. 즉, 굵은 나무가 들어오면 투입날(24)이 들어 올려지면서 투입대(22)와의 간격이 벌어지고, 얇은 나무가 들어오면 지지프레임(23)의 무게로 인해 투입날(24)이 내려와 간격이 자동적으로 좁아짐으로써, 장치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도 투입날(24)이 겉재목(20)을 적절하게 물어서 파쇄부(26) 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투입부(21)의 투입날(24)과 마주하고 위치한 파쇄부(26)는 파쇄날(28), 덮개(27) 및 타공망(29)을 포함한다.
파쇄날(28)은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투입날(24)과 투입대(22) 사이에서 지지된 상태로 진입하는 겉재목(2)을 파쇄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파쇄날(28)은 원판 형상의 개별 파쇄날(28)이 대략 30개 정도 적층되어 동일한 회전축에 의해 회전할 수 있는 구조로 설치된다. 따라서 파쇄부(26)에 겉재목(2)이 투입되면 복수개의 파쇄날(28)에 의해 잘게 분쇄된다.
파쇄날(28)의 상부는 파쇄날(28)의 호 형상에 대응하는 형태로 개폐가 가능한 덮개(27)가 설치된다. 덮개(27)는 파쇄날(28)을 덮어 보호하며, 파쇄된 파쇄목이 바깥으로 튕겨 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파쇄날(28)의 하부는 파쇄날(28)의 호 형상에 대응하는 형태로 타공망(29)이 설치된다. 타공망(29)에는 소정 크기의 타공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파쇄날(28)에서 파쇄된 파쇄목이 타공망(29)의 타공을 통해 배출된다.
타공망(29)은 투입부(21)를 통해 투입되는 겉재목(2)을 남김 없이 잘게 파쇄시키고 구멍 크기에 의해 파쇄목을 의도한 크기 이하로 파쇄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즉 겉재목(2)이 투입대(22)와 투입날(24) 사이에서 지지된 상태로 파쇄날(28)에 밀착 진입되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파쇄날(28)에 의해 겉재목(2)이 잘게 파쇄되고, 파쇄된 파쇄목은 타공망(29)의 타공을 통해 배출부(30)로 빠져나간다.
하지만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겉재목(2)이 끝까지 진입하여 겉재목(2) 끝 부분의 나무조각이 투입날(24)과 투입대(22) 사이를 완전히 통과했을 경우, 겉재목(2) 끝 부분의 나무조각은 투입날(24)과 투입대(22)에 의해 지지될 수가 없고, 지지되는 힘이 없기 때문에 파쇄날(28)에 밀착되지도 않는다.
즉 종래의 파쇄 장치에서는 타공망(29)이 없기 때문에 겉재목(2) 끝 부분의 나무조각이 파쇄되지 않은 상태로 배출되어 재선충 방제 효과가 떨어지게 되며, 상대적으로 큰 나무조각이 섞여 있어서 톱밥을 원활하게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수목 처리 장치(20)에서는 파쇄날(28) 둘레에 대략 20mm 내지 30mm 간격을 두고 타공망(29)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겉재목(2) 끝 부분의 나무조각이 진입하면, 나무조각은 파쇄날(28)과 타공망(29) 사이, 그리고 파쇄날(28)과 덮개(27)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파쇄날(28)에 밀착되고, 파쇄날(28)은 지속적으로 회전하고 있기 때문에 밀착된 나무조각이 추가로 파쇄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살펴보면 타공망(29)의 타공 크기보다 큰 파쇄목은 타공망(29)으로 빠져나가지 못하는 대신에, 덮개(27)와 타공망(29)에 의해 외부와 구속된 공간에서 파쇄날(28)에 의해 함께 회전하게 되고, 이때 파쇄날(28)과 타공망(29)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파쇄날(28)에 의해 잘게 파쇄되어 타공망(29)을 빠져나가게 된다. 즉, 큰 파쇄목은 파쇄부(26) 내부를 계속 회전하다가 의도한 크기 이하로 파쇄가 이루어지면 비로소 배출되는 것이다.
즉 투입날(24)과 투입대(22) 사이에서 지지되지 못하는 나무조각이라 하더라도 타공망(29)과 파쇄날(28)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타공을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작아질 때 까지 추가로 파쇄가 가능하여, 톱밥에 굵은 나무조각이 섞일 우려가 없고 재선충 방제 효과도 높아지는 것이다.
배출부(30)는 집진부(33), 하우징(31) 및 이송수단(32)을 포함한다.
집진부(33)는 음압을 발생시켜 타공망(29)을 통과한 파쇄목을 수집하기 위해 마련되며, 집진부(33)에서부터 타공망(29)까지 하우징(31)이 설치됨으로써 통로가 마련된다. 또한 하우징(31) 내부에는 컨베이어 또는 스크류 방식의 이송수단(32)이 설치된다.
따라서 파쇄부(26)의 파쇄날(28)에 의해 파쇄되고 타공망(29)의 타공을 통과한 파쇄목은 하우징(31) 내부로 먼저 낙하하게 되며, 이송수단(32)에 의해 집진부(33)까지 이송되어 모인다.
여기서 파쇄날(28)의 작동으로 겉재목(2)의 파쇄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다 보면, 타공망(29)의 타공에 파쇄목이 걸려 막히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 때문에 종래에는 타공망(29)을 설치하지 못한 것이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집진부(33)에 의해 타공망(29) 막힘 현상을 해결할 수가 있다.
즉, 집진부(33)에서는 음압을 발생시킴으로써 파쇄부(26)에서 배출부(30) 방향으로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데, 이 때문에 타공망(29)의 타공에 파쇄목이 걸려 막히더라도, 집진부(33)에서 발생하는 음압에 의해 타공에 걸린 파쇄목이 강제로 배출될 수가 있다. 따라서 타공의 막힘 현상 없이 원활한 파쇄와 배출 과정이 지속될 수 있다. 즉, 타공망(29)의 타공 크기 이하로 파쇄된 파쇄목은 타공에 걸리지 않고 즉시 배출되어야만 그 이후 순차적으로 파쇄목들이 추가로 타공에 걸려서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집진부(33)는 음압을 발생시켜 파쇄목을 즉시 타공 밖으로 끄집어 내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한편 타공망(29)에 형성된 타공의 크기는 파쇄 대상이 되는 수목의 종류나 상태에 따라 달리 설계될 수 있다. 예컨대 건조되지 않은 잣나무를 파쇄할 경우 타공의 직경이 25mm인 것이 바람직하고, 건조된 잣나무나 소나무의 경우에는 직경이 15mm인 타공 설계가 가능하다.
또한 파쇄부(26)는 덮개(27)를 열어 파쇄날(28)과 타공망(29)을 교체할 수 있는데, 이때 수목의 종류에 따라 달리 설계된 타공망(29)과 파쇄날(28)을 설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처리 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효율적으로 재선충 방제가 이루어질 수 있고, 재활용율을 높일 수가 있다.
즉, 종래에는 벌목한 나무를 통째로 열처리함으로써, 수목을 적재하는 공간을 많이 차지하였고, 수목의 두께가 두껍기 때문에 7시간 이상의 열처리 과정이 필요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벌목한 나무를 통째로 열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수피가 제거된 속재목(1)만 열처리하기 때문에 적재실(12) 내부의 공간을 적게 차지할 수가 있다. 또한 통나무에 비해 속재목(1)의 두께가 얇고, 더군다나 속재목(1)은 재선충의 주 서식지가 아니어서 전체 3시간 정도의 짧은 열처리 과정만으로도 효율적인 살균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재선충이 주로 서식하고 있는 수피를 포함한 겉재목(2)은 파쇄 방식으로 처리하기 때문에 완벽한 방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수목 처리 장치(20)에는 파쇄날(28)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타공망(29)이 설치되어 있어서, 투입날(24)과 투입대(22)에 의해 지지되지 못하는 겉재목(2) 끝 부분의 나무조각이 파쇄날(28)과 타공망(29)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밀착 파쇄될 수 있어서, 톱밥에 나무조각이 섞일 우려가 없으며, 재선충 방제 효과도 높아진다.
또, 타공망(29)이 설치되었다 하더라도 집진부(33)를 통해 타공을 막고 있는 파쇄목을 강제로 배출시킬 수가 있어서 파쇄와 배출 작업이 매우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 속재목
2 : 겉재목
10 : 열처리로
11 : 열처리로본체
12 : 적재실
13 : 가열부
14 : 격벽
15 : 모터
16 : 팬
17 : 제1온도센서
18 : 제2온도센서
19 : 제어부
10' : 훈증처리부
11' : 훈증처리본체
12' : 적재실
13' : 약제보관부
14' : 약제살포부
15' : 모터
16' : 팬
20 : 수목 처리 장치
21 : 투입부
22 : 투입대
23 : 지지프레임
24 : 투입날
25 : 힌지
26 : 파쇄부
27 : 덮개
28 : 파쇄날
29 : 타공망
30 : 배출부
31 : 하우징
32 : 이송수단
33 : 집진부

Claims (4)

  1. 재선충 감염목 또는 감염 의심목을 벌목하는 (a)단계;
    상기 벌목된 나무를 제재하여 속재목과 수피를 포함하는 겉재목으로 분리하는 (b)단계;
    상기 속재목을 열처리로 또는 훈증처리부에 투입하여 살균하는 (c)단계; 및
    상기 겉재목을 수목 처리 장치에 투입하여 파쇄하는 (d)단계;를 거쳐 수목을 처리하고,
    상기 열처리로는 열처리로본체, 가열부, 격벽, 모터, 팬, 제1온도센서, 제2온도센서 및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열처리로 본체 내부에는 격벽에 의해 공간이 구획된 상기 속재목을 적재하기 위한 적재실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온도센서 및 상기 제2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를 기반으로 상기 가열부 및 상기 팬의 작동을 제어하고,
    수피를 포함하는 겉재목이 투입되며 투입대 및 투입날을 포함하는 투입부;
    상기 투입날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투입부를 통해 투입된 상기 겉재목을 파쇄하는 파쇄부; 및
    상기 파쇄부에서 파쇄된 파쇄목을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프레임의 후방은 상기 투입대 또는 별도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투입날이 장착된 전방이 자유롭게 상하 이동이 가능하여, 굵은 나무가 들어오면 상기 투입날이 들어 올려지면서 상기 투입대와의 간격이 벌어지고, 얇은 나무가 들어오면 상기 지지프레임의 무게로 인해 상기 투입날이 내려와 간격이 자동적으로 좁아짐으로써, 상기 투입날이 겉재목을 적절하게 물어서 상기 파쇄부 측으로 이송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파쇄부는,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상기 투입되는 겉재목을 파쇄하는 파쇄날;
    상기 파쇄날의 상부를 덮어 보호하는 덮개; 및
    상기 파쇄날의 하부를 덮는 형태로 설치되며, 소정 크기의 타공이 형성되어 있는 타공망;을 포함하며,
    상기 배출부는,
    음압을 발생시켜 상기 타공망을 통과한 파쇄목을 배출시키는 집진부; 및
    상기 타공망에서부터 상기 집진부 사이의 통로를 마련하기 위한 하우징;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파쇄날에서 파쇄된 파쇄목은 상기 타공망에 형성된 타공을 통해 배출되되, 상기 타공망의 타공에 파쇄목이 걸려 막히면, 상기 집진부에서 발생하는 음압에 의해 상기 타공에 걸린 파쇄목이 강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나무 재선충 방제를 위한 수목 처리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겉재목이 상기 투입대와 상기 투입날 사이에서 지지된 상태로 상기 파쇄날에 밀착되면, 상기 파쇄날에서 파쇄되되, 상기 투입날을 완전히 통과한 상기 겉재목 끝 부분의 나무조각은 상기 파쇄날과 상기 파쇄날 둘레의 덮개 및 타공망 사이에 끼워지면서 상기 파쇄날에 밀착되어 파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나무 재선충 방제를 위한 수목 처리 장치.
  4. 삭제
KR1020160013216A 2016-01-28 2016-02-03 소나무 재선충 방제를 위한 수목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18274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11008 2016-01-28
KR1020160011008 2016-01-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0333A KR20170090333A (ko) 2017-08-07
KR101827490B1 true KR101827490B1 (ko) 2018-02-08

Family

ID=59654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3216A KR101827490B1 (ko) 2016-01-28 2016-02-03 소나무 재선충 방제를 위한 수목 처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74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1132B1 (ko) 2018-11-30 2019-05-22 박성웅 동충하초 재배용 부착트랩 및 이를 이용한 동충하초의 재배방법
KR20200059918A (ko) 2018-11-22 2020-05-29 박성웅 해충 유인용 부착트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81667A (zh) * 2021-09-13 2021-11-23 中国林业科学研究院木材工业研究所 一种松材线虫疫木无害化木片制备方法及其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9918A (ko) 2018-11-22 2020-05-29 박성웅 해충 유인용 부착트랩.
KR101981132B1 (ko) 2018-11-30 2019-05-22 박성웅 동충하초 재배용 부착트랩 및 이를 이용한 동충하초의 재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0333A (ko) 2017-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7490B1 (ko) 소나무 재선충 방제를 위한 수목 처리 방법 및 장치
CN108848965B (zh) 农作物秸秆饲料的粉碎装置
KR101898152B1 (ko) 폐가축 처리장치
KR101664373B1 (ko) 함수율 체크를 이용한 국산 목재 건조 방법
JP2003001130A (ja) 感染性廃棄物処理装置とその滅菌処理方法
EP328741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mold growth in the reservoir of a food waste recycling appliance
KR101462012B1 (ko) 연속식 급속 우드열가공처리시스템
KR101763081B1 (ko) 코코피트 파쇄장치
KR20200005947A (ko) 가축동물 사체 및 매몰지 토양의 고열멸균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고열멸균기
KR101762151B1 (ko)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국산 목재 건조 방법
CN210630619U (zh) 一种用于鱼饲料加工的鸡粪处理装置
JP2003093909A (ja) 感染性廃棄物処理装置
KR101765699B1 (ko) 차량 탑재형 이동식 질병에 걸린 목재 건조 및 탄화장치
WO2008082368A1 (en) Article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JP2020180724A (ja) 回転ドラム式乾燥機
KR101493732B1 (ko) 친환경 멀칭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636969B1 (ko) 수목의 병해충 방제용 이동식 훈증 장치
KR101991689B1 (ko) 가축동물 사체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CN217020804U (zh) 一种光肩星天牛疫木处置装置
KR20130055923A (ko) 파쇄보조수단이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
JP6595131B2 (ja) 除草用粒状固形物、除草用粒状固形物の製造方法、木材粉砕乾燥装置、及び木質ペレットを用いた雑草の防除方法
JP2002079224A (ja) 生ごみ処理装置
KR100638113B1 (ko) 소독효율을 극대화 시킨 문화재 유물 및 기록물의 소독방법
JP2002011079A (ja) 稲藁等の有害物死滅・除去装置
WO2001002027A1 (en) Process for sterilizing and disposing of potentially contaminated was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