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5947A - 가축동물 사체 및 매몰지 토양의 고열멸균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고열멸균기 - Google Patents

가축동물 사체 및 매몰지 토양의 고열멸균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고열멸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5947A
KR20200005947A KR1020180079589A KR20180079589A KR20200005947A KR 20200005947 A KR20200005947 A KR 20200005947A KR 1020180079589 A KR1020180079589 A KR 1020180079589A KR 20180079589 A KR20180079589 A KR 20180079589A KR 20200005947 A KR20200005947 A KR 202000059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high heat
animal carcasses
sterilizer
high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9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1397B1 (ko
Inventor
정영남
정재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덕진엔지니어링
정영남
주식회사 덕진이앤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덕진엔지니어링, 정영남, 주식회사 덕진이앤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덕진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80079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1397B1/ko
Publication of KR20200005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59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1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13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1/00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1/00Sterilising soil by ste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2Microwa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1/00Dumping solid waste
    • B09B1/008Subterranean disposal, e.g. in boreholes or subsurface fractures
    • B09B3/008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0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6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therm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0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8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chemical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2Chambers for ster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oi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염된 매몰지 토양에서 자갈과 물이 제거된 선별 토양 또는 분쇄된 동물 사체 중 하나 이상을 멸균하기 위한 고열멸균기로서,
상기 고열멸균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상기 투입부를 통해 투입된 선별 토양 또는 동물 사체를 교반하는 스크류 컨베이어 형상의 교반날개; 상기 고열멸균기 본체의 하부 외측에 구비되어 본체 하부를 가열하는 유도가열장치; 상기 고열멸균기 본체 상측의 고열멸균기 덮개의 외측에 구비되어 본체 내부의 동물 사체를 직접 가열하는 마이크로파가열장치; 고열멸균기 본체의 길이방향 일측의 상측에 위치한 개폐가능한 투입부; 상기 투입부 상측에 위치되고, 상부에 제1 투입부 및 제2 투입부를 구비하여 각각 선별 토양 및 동물 사체가 구분되어 투입되며, 투입된 선별 토양 및 동물 사체를 함께 상기 투입부로 배출하는 Y형 투입구; 상기 고열멸균기 본체의 길이방향 타측의 하측에 구비되는 개폐가능한 배출개폐기; 상기 고열멸균기 본체의 길이방향 타측의 상측에 구비되며, 수증기 및 가스를 배출할 수 있는 수증기배출구; 및 상기 고열멸균기 본체를 지지하며, 둘 이상의 중량검출기를 구비한 본체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가축동물 사체 및 매몰지 토양의 고열멸균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고열멸균기{Method and Apparatus for High Temperature Sterilization for Deadstock and Burial Site Soil}
본 발명은 AI나 구제역 등 전염병에 걸려 죽거나 살처분된 가축이나 동물의 사체와 동물 사체가 매몰된 토양을 멸균하기 위한 장치와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닭, 오리, 칠면조 등의 일부 조류에게서 발병하는 AI(Avian Influenza) 즉 조류독감이나 소, 돼지, 양 등 발굽이 두 개로 갈라진 동물에서 발병하는 구제역 등의 가축전염병은 전파가 빠르고 폐사율이 높은데다, 종래 2-3년 이상의 주기로 창궐하던 것이 근래 들어 해마다 발생함으로써 축산농가 등에서 큰 문제가 되고 있다.
더욱이, 이러한 전염병은 국제교역시 규제대상으로서, 이들 전염병이 발생하게 되면 상당한 기간 동안 해당 동물의 수출이 전면 중단되어, 발병하지 않은 농가 역시 큰 피해를 입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들 전염병은 소독약 살포나 백신 접종 등의 방역활동에 의해 어느 정도 예방되거나 확산이 저지될 수 있으나, 일단 발병한 것이 확인되면 해당 농가 및 인근 지역 농가에서 보유중인 해당 동물을 신속하게 살처분하여 바이러스의 확산을 차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전염병 발병에 의해 죽은 동물이나 살처분한 동물은 통상적으로 매몰처리해왔는데, 이는 침출수 발생에 의한 토양 오염과 지하수 오염 등을 유발하고, 해당 토지의 사용을 제한하여 재산권 행사에도 영향을 미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죽거나 살처분된 동물 사체를 매몰처리하는 대신 일부 선진국처럼 소각하거나 기타 다른 방법으로 처리하는 방안이 연구되고 있는데, 이러한 처리방법에는 필수적으로 멸균 과정이 내재되거나 수반된다.
이러한 멸균처리는 살처분하여 매몰처리된 동물 사체에도 적용가능하다고 볼 수 있으며, 이 경우 매몰된 동물 사체를 다시 파내어 멸균처리를 실시하게 될 것이다. 다만, 매몰된 동물 사체를 다시 파낸 경우에도 매몰지 토양은 이미 동물 사체에서 비롯된 각종 병원성 요인들(세균, 바이러스, 프라이온 등)로 오염된 상태이고, 이들 병원균 등은 꽤 오랜 기간 잔존할 수 있으며, 기온이 올라가서 바이러스의 활동이 주춤해지더라도 병원성 세균은 오히려 더 활발하게 증식할 수 있기 때문에, 매몰지 토양에 대해서도 적절한 멸균처리 등의 관리가 필요하다.
이러한 동물 사체 또는 매몰지 토양의 멸균처리에 관해서는 등록특허공보 제10-1067012호(특허문헌1),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36624호(특허문헌2) 등에 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은 매몰지에서 파낸 가축 사체물을 분쇄, 멸균기에서 멸균처리하고 탄화기에서 탄화시키는 이동식 가축 매몰처분 사체 처리 장치로서, 분쇄된 사체 슬러지를 섭씨 110도 내지 130도의 스팀에 의해 저온가열로 멸균한 후에 탄화기에서 섭씨 약 440도 내지 550도의 온도로 고온 멸균처리를 행하여 사체 슬러지의 무게를 1/5 정도로 줄이도록 하고, 또한 탄화기에서 나오는 배기가스 및 건류가스를 보일러로 보내어 섭씨 약 750도 내지 950도에서 고온 산화시켜 악취 및 오염물질이 완벽히 제거되도록 하는 과정을 거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특허문헌1의 멸균처리장치는 그 구성이 상당히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는 바, 특히 스팀에 의해 살처분 동물 사체의 멸균처리를 진행하는 경우, 대기압 하에서 포화증기는 100도를 넘지 못하므로, 스팀의 온도를 더 높이려면 과열증기로 만들거나 스팀을 밀폐된 공간에서 발생시켜 내부 압력을 높임으로써 포화증기 곡선에 따른 온도상승을 노려보아야 하는데, 어느 경우도 상기 특허문헌1의 이동식 멸균처리 장치에서는 용이하게 구현되기 어려운 부분이므로, 결국 추가적으로 불가피하게 탄화기 등에 의한 고온 멸균처리 공정을 채택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더욱이, 고온 멸균처리 공정에서는 탄화처리시에 그을음을 포함하는 배기가스가 발생되므로 이를 제거하기 위한 배기가스 처리공정이 추가적으로 필요하게 되는 등 여러 문제점이 대두된다. 나아가, 특허문헌1의 멸균처리장치는 오염된 토양의 멸균처리에는 적합하지 않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36624호(특허문헌2)는 매몰지 토양의 멸균방법으로서 화학적 처리에 의한 토양처리방법을 기재하고 있는 바, 이러한 화학적 처리에 의한 토양 정화에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수 있으므로, 토양을 다시 사용할 수 있게 되기까지 시간이 걸린다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이러한 화학적 처리방법은 토양의 멸균 및 정화에는 적용가능하지만, 동물 사체의 멸균에 적용하기는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067012호(2011.09.22.공고) "이동식 가축 살처분 사체의 처리장치“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36624호(2015.12.08.공개) "토양 처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오염된 토양의 정화방법"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멸균 직전의 동물 사체의 상태에 따라 120도 내지 135도 또는 그 이상의 적정 멸균처리 온도를 제공할 수 있어 1회의 멸균 공정만으로 동물 사체의 멸균처리가 가능한 가축동물 사체의 고열멸균방법과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고열멸균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축동물 살처분 매몰지의 토양을 멸균하여 안전하게 재사용가능한 토양으로 복원할 수 있는 고열멸균방법과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고열멸균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동물 사체의 멸균과 오염 토양의 멸균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고열멸균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형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가축동물 사체 및 매몰지 토양 고열멸균기는, 오염된 매몰지 토양에서 자갈과 물이 제거된 선별 토양 또는 분쇄된 동물 사체 중 하나 이상을 멸균하기 위한 고열멸균기로서, 상기 고열멸균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상기 고열멸균기 본체 내부에 투입된 선별 토양 또는 동물 사체를 교반하는 스크류 컨베이어 형상의 교반날개; 상기 고열멸균기 본체의 하부 외측에 구비되어 본체 하부를 가열함으로써 상기 교반날개에 의해 교반되는 선별 토양 또는 동물 사체를 가열된 본체 하부에 의해 간접적으로 가열하는 유도가열장치; 상기 고열멸균기 본체의 상부를 이루며 전자파 투과 재질로 형성된 고열멸균기 덮개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고열멸균기 본체 내부의 선별 토양 또는 동물 사체를 직접 가열하는 마이크로파가열장치; 상기 고열멸균기 본체의 길이방향 일측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고열멸균기 본체 내부로 선별 토양 또는 동물 사체를 투입하기 위하여 개폐가능한 투입부; 상기 투입부 상측에 위치되고, 상부에 제1 투입부 및 제2 투입부를 구비하여 각각 선별 토양 및 동물 사체가 구분되어 투입되며, 투입된 선별 토양 및 동물 사체를 함께 상기 투입부로 배출하는 Y형 투입구; 상기 고열멸균기 본체의 길이방향 타측의 하측에 구비되는 개폐가능한 배출개폐기; 상기 고열멸균기 본체의 길이방향 타측의 상측에 구비되며, 수동조작에 의해 또는 설정된 압력 도달시 자동으로 개폐되어 수증기 및 가스를 배출할 수 있는 수증기배출구; 및 상기 고열멸균기 본체를 지지하며, 둘 이상의 중량검출기를 구비하여 상기 본체에 투입된 상기 선별 토양 또는 동물 사체의 전체 중량과 상기 본체 내에서 중량 배분을 검출할 수 있는 본체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Y형 투입구가 부숙제 투입을 위한 제3 투입부를 더 구비함으로써, 부숙제 투입을 통해 선별 토양 또는 동물 사체의 수분 함량을 낮출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증기배출구는, 미리 설정된 압력에서 자동적으로 개방되도록 설정되며 일시적인 압력조절 용도로 구비된 압력스위치; 및 상기 고열멸균기에 의한 멸균과정이 종료된 후 멸균된 선별 토양 또는 동물 사체를 배출하기 전에 상기 고열멸균기 내부의 압력을 빼내기 위하여, 또는 멸균과정 진행중에 상기 미리 설정된 압력에 도달하여 상기 압력스위치가 개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미리 설정된 기준 이상의 속도로 감압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 추가적으로 개방되어 신속하게 감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감압변(475);을 구비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교반날개는,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회전축 외측에서 나선을 그리며 형성되어 처리대상물을 이동시키는 이송용날개; 및 상기 이송용날개의 외측에서 나선을 그리며 형성되어 있되 이송용날개의 나선 방향과 반대방향을 그리며 형성되어 있는 교반용날개;를 포함하되, 상기 이송용날개와 교반용날개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교반용날개는 끊어진 부분을 가지며, 상기 고열멸균기 본체 내부의 벽면에는 돌출된 턱을 형성하도록 연장되어 있는 스토퍼를 가짐으로써 교반되는 처리대상물이 상기 스토퍼에 걸려 뒤섞이도록 되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형태로서, 오염된 매몰지 토양에서 자갈과 물이 제거된 선별 토양 또는 분쇄된 동물 사체 중 하나 이상을 멸균하기 위한, 고열멸균기를 이용하는 고열멸균방법은, 상기 고열멸균기의 배출개폐기를 폐쇄하여 투입되는 선별 토양 또는 동물 사체의 유출을 방지하는 단계; 상기 오염된 토양에서 토사를 자갈 및 물과 분리된 상기 선별 토양으로 별도로 배출하는 단계; 상기 투입부 상측에 위치된 Y형 투입구를 통해 상기 선별 토양, 분쇄된 동물 사체 또는 부숙제 중 하나 이상을 구분하여 투입하고, 상기 선별 토양, 분쇄된 동물 사체 또는 부숙제 중 하나 이상을 상기 투입부를 통해 함께 상기 고열멸균기 본체 내부에 투입하는 단계; 상기 고열멸균기 본체 내부에 투입된 상기 선별 토양, 동물 사체 또는 부숙제 중 하나 이상의 중량의 합이 미리 설정된 값에 도달한 것으로 검출된 때에 상기 투입부를 폐쇄하는 단계; 상기 고열멸균기 본체 내부에 구비된 교반 날개를 회전시켜 상기 본체 내부에 투입된 상기 선별 토양, 동물 사체 또는 부숙제 중 하나 이상을 교반하는 동시에, 상기 고열멸균기 상측에 구비된 마이크로파가열장치를 작동시켜서 상기 선별 토양, 동물 사체 또는 부숙제 중 하나 이상에 함유된 수분을 가열하고, 상기 유도가열장치에 의해 상기 고열멸균기 본체의 하부를 가열하여 본체 하부 내부의 선별 토양, 동물 사체 또는 부숙제 중 하나 이상을 간접적으로 가열함으로써, 상기 본체 내부에 투입된 상기 선별 토양, 동물 사체 또는 부숙제 중 하나 이상을 미리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가열하여 멸균하는 단계; 및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여 멸균 공정이 완료된 후에 상기 유도가열장치 및 마이크로파가열장치를 정지하고, 상기 배출개폐기를 개방하여 멸균된 상기 선별 토양, 동물 사체 또는 부숙제 중 하나 이상을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가축동물 사체 및 매몰지 토양의 고열멸균방법과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고열멸균기에 의하면, 1회의 멸균 공정만으로도 적절한 멸균처리가 가능해지므로, 보다 간소화된 처리장치를 운용할 수 있고 작업시간 또한 단축시킬 수 있으므로 가축전염병 발병시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가축전염병 감염으로 사망하거나 예방적 처분으로 살처분된 동물 사체를 매립한 매몰지의 토양을 멸균하여 여러 용도로 재사용가능한 토양으로 용이하게 복원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더욱이, 동물 사체의 멸균과 오염된 토양의 멸균을 하나의 고열멸균기로써 처리할 수 있으므로, 경제성 향상에도 크게 도움이 된다.
도 1은 가축동물의 사체 처리장치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가축동물 매몰지 토양 복원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축동물 사체 및 매몰지 토양 고열멸균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축동물 사체 및 매몰지 토양 고열멸균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고열멸균기 본체 투입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투입부 폐쇄상태(A)와 투입부 개방상태(B)를 각각 나타낸다.
도 6은 도 3에서 고열멸균기 본체 내부의 교반날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교반날개와 스토퍼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교반날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축동물 사체 및 매몰지 토양 고열멸균기에 의한 고열멸균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축동물 사체 및 매몰지 토양 고열멸균방법 및 고열멸균기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고열멸균기가 사용되는 가축동물의 사체 처리장치와 가축동물 매몰지 토양의 복원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간략히 살펴본다.
도 1은 가축동물의 사체 처리장치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축동물 매몰지 토양 복원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가축동물의 사체 처리장치는 투입호퍼(100), 가축동물사체 이송 컨베이어(200), 파쇄선별장치(300), 고열멸균기(400), 자갈 분리선별기(500), 탈취기(600), 배출호퍼(700), 배출부 이송 컨베이어(800), 그리고 소취제 분사장치(9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투입호퍼(100), 가축동물사체 이송 컨베이어(200), 파쇄선별장치(300), 고열멸균기(400), 자갈 분리선별기(500), 탈취기(600), 배출호퍼(700), 배출부 이송 컨베이어(800), 소취제 분사장치(900) 등을 비롯하여 필요한 부분의 온도, 압력의 측정 및 제어, 작업내역의 로그 기록, 전력계 신호 표시 및 제어장치 등을 포함하는 전기제어반(C)과, 전기를 사용하는 모든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발전기(G)가 구비될 수 있다.
투입호퍼(100)는 매몰지(E)에서 파낸 동물 사체 또는 동물 사체 저장용의 냉동 또는 냉장 컨테이너(F)에 저장되어 있는 동물 사체가 멸균과정을 거치기 위해 동물 사체 처리장치에 투입되는 곳이다. 상기 투입호퍼(100)에 투입된 동물 사체는 가축동물사체 이송 컨베이어(200)에 의하여 이송되어 파쇄선별장치(300)의 투입구(310)로 투입될 수 있다.
상기 가축동물사체 이송 컨베이어(200)는 하우징 내측에 둘 이상의 나선형 스크류 컨베이어(210)가 측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형성되며, 통상적인 스크류 컨베이어와 달리 동물 사체가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210)의 상측에 얹어진 채로 스크류 컨베이어의 이송 작용에 의해 파쇄선별장치(300)가 위치한 상측으로 이송된다. 다만, 동물 사체의 작은 조각은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210)의 틈새를 통하여 하측으로 떨어질 수도 있으며, 이렇게 하측으로 떨어진 동물 사체는 통상적인 스크류 컨베이어 장치처럼 회전하는 나선형의 스크류 날에 의하여 밀어올려져 상측으로 이송될 수 있다.
파쇄선별장치(300)는 동물 사체를 절단하고 파쇄하여 슬러지, 즉 곤죽 형태로 만드는 장치이다. 파쇄선별장치(300)는 동물 사체를 적절한 크기로 절단할 수 있는 회전절단기(도시되지 않음)와 절단된 동물 사체를 크기별로 선별하고 필요한 경우 추가적으로 파쇄할 수 있는 선별파쇄기(도시되지 않음))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절단기와 선별파쇄기를 거친 동물 사체는 곤죽 형태로 배출되어 파쇄물 이송 컨베이어(360)에 의해 다음 공정으로 이송된다. 파쇄선별장치(300)는 최종적으로 동물 사체 조각들이 예를 들어 5㎝ 이하가 되도록 작동될 수 있으나, 동물 사체 조각의 크기는 임의로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동물 사체의 절단 및 파쇄 과정에서 발생되는 액체 부산물은 상기 선별파쇄기(350)의 하측에 구비된 부숙제 저장호퍼(370)로 낙하하게 되고, 부숙제 저장호퍼(370)에 구비된 부숙제(腐熟劑)에 의해 흡수된 후 부숙제(톱밥 등)와 함께 배출되어 다음 공정으로 이송된다. 부숙제는 부숙제 배출 컨베이어(380)에 의해 외측으로 배출되고, 외측에 구비된 부숙제 배출장치(390)에 의해 선택적으로 고열멸균기(400)의 투입부(430) 및/또는 상기 선별파쇄기로 보내질 수 있다.
파쇄선별장치(300)에서 배출된 곤죽 형태의 동물 사체는 고열멸균기(400)에 투입되어 멸균된다. 액체 부산물을 흡수한 부숙제 역시 멸균을 위하여 고열멸균기(400)에 투입될 수 있다. 이 고열멸균기(400)가 바로 본 발명에 따른 가축동물 사체 및 매몰지 토양 고열멸균기이다.
고열멸균기(400)에는 두 가지 가열장치가 구비된다. 하나는, 자성체인 금속으로 형성된 고열멸균기 본체(410)의 하부(411)를 가열함으로써 고열멸균기 내부에서 주로 본체의 하측에 머무르게 되는 동물 사체의 외부를 간접적으로 가열하게 되는 유도가열장치(423)이다. 다른 하나는, 동물 사체를 직접 가열할 수 있도록, 고열멸균기 본체(410) 상부를 이루며 유리 등의 전자파 투과 재질로 형성된 고열멸균기 덮개(413) 부분의 외측에 부착된 마이크로파가열장치(427)이다. 상기 유도가열장치(423)와 마이크로파가열장치(427)가 함께 구비되어 곤죽 상태의 동물 사체가 안팎에서 동시에 가열되도록 함으로써, 가열이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고열멸균기(400) 내부의 온도는 예를 들어 100℃ - 1000℃ 사이에서 임의로 조절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고열멸균기(400)에서 동물 사체 곤죽을 가열하는 동안 수증기와 가스가 악취와 함께 발생될 수 있다. 가열중에 고열멸균기(400)는 밀폐상태로 유지되므로 가열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고열멸균기(400)의 내부 압력이 점점 높아지게 되는데, 수증기나 가스의 압력이 일정 수치 이상 올라가는 경우에는 장비와 작업자의 안전을 위하여 수증기와 가스를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배출되는 수증기와 가스에는 동물 사체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함유되어 있으므로 탈취기(600)에 의하여 탈취작업을 수행한 후에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탈취기(600)에 도달한 수증기 중 일부는 탈취과정을 거치면서 냉각 및 응축되어 물방울로 바뀔 수 있고 이러한 물방울은 탈취기(600) 하측에 축적될 것인데, 이처럼 수증기가 응축되어 형성된 물방울에는 병원균 등 오염성 물질이 잔존해 있을 수 있으므로 이를 그대로 외부로 배출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탈취기(600) 하측에 물배출밸브(610)를 구비하고 상기 물배출밸브(610)로부터 상기 고열멸균기(400)의 투입부(430)로 향하는 배관(613)을 구비함으로써, 축적된 물이 다시 고열멸균기(400)에 투입되어 재차 멸균과정을 거치도록 하고 있다.
고열멸균기(400)에서 멸균이 이루어진 동물 사체 곤죽은 고열멸균기(400)의 투입부(430)의 반대측에 구비된 배출호퍼(700)로 배출된다. 배출호퍼(700)에는 배출부 이송 컨베이어(800)가 구비되어 상기 멸균된 동물 사체 곤죽을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멸균된 동물 사체 곤죽은 트럭 등에 실려 이송되어 유기비료 제조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입호퍼(100), 상기 가축동물사체 이송 컨베이어(200), 상기 파쇄선별장치(300), 상기 파쇄물 이송 컨베이어(360), 상기 배출호퍼(700) 등에 소취제를 분사하여 동물 사체 처리 중 발생하는 악취를 저감시키는 소취제 분사장치(900)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매몰지에 매몰된 동물 사체를 멸균시키는 경우에는 동물 사체뿐 아니라 매몰지의 토양 역시 멸균시켜야 보다 확실하게 가축전염병의 확산을 저지할 수 있다. 더욱이, 매몰지의 토양을 멸균된 동물 사체와 혼합하여 유기비료 제조에 사용하거나 기타 용도로 재활용하려 한다면, 이러한 멸균 공정은 필수적인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오염된 매몰지 토양의 환원 또는 복원은 종래에는 화학적인 방법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았고, 이에 따라 동물 사체의 멸균 처리와는 별도의 과정을 거쳐 처리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동물 사체 처리 과정의 일부 과정을 그대로 이용하여 오염 토양의 복원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공정이 간소화되고 필요한 장비 역시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오염된 토양의 복원은 매몰지 토양에서 자갈과 물 등을 분리하여 제거함으로써 토사만을 선별해내는 자갈 분리선별기(500)를 거쳐 선별된 토양을 상기 고열멸균기(400)에 투입하여 멸균을 실시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즉, 동물 사체 처리 장치에 자갈 분리선별기(500)를 하나 더 추가하는 것만으로 매몰지의 오염된 토양의 멸균 공정을 동물 사체의 멸균 처리와 함께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가축동물 사체 처리장치 또는 가축동물 매몰지 토양 복원장치의 구성 중에서 본 발명에 따른 가축동물 사체 및 매몰지 토양 고열멸균기(400)의 구성에 대하여 더욱 자세히 살펴본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가축동물 사체 및 매몰지 토양 고열멸균기를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상기 고열멸균기(400)는 본체(410), 투입부(430), Y형 투입구(440), 교반날개(460), 유도가열장치(423), 마이크로파가열장치(427), 수증기배출구(470), 배출개폐기(480), 본체지지부(49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투입부(430)는 고열멸균기 본체(410)의 길이방향 일측의 상측에 위치하며 개폐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투입부(430)에 인접하게 구비되는 Y형 투입구(440)는 고열멸균기 본체(41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된 가이드레일(455)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데, 상기 투입부(430)가 개방된 때에는 상기 투입부(430) 상측에 위치하도록 이동되고, 상기 투입부(430)가 폐쇄될 때에는 먼저 상기 투입부(430)에서 이격된 위치로 이동되어 상기 투입부(430) 폐쇄시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도 5에 도시된, 투입부(430) 개폐에 관여하는 구성의 일실시예에 관해 더 자세히 살펴본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투입구이동수단(450)은 상기 가이드레일(455)과 상기 가이드레일(455)을 따라 상기 Y형 투입구(440)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실린더(453)로 이루어진다. 후술하는 투입부덮개(413)가 개방된 때에는 상기 실린더(453)가 인출되어 상기 Y형 투입구(440)를 상기 투입부(430) 상측에 위치시키고, 투입부덮개(413)가 폐쇄된 때에는 상기 실린더(453)가 인입되어 상기 Y형 투입구(440)를 상기 투입부(430)로부터 이격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투입부(430)를 개방하거나 폐쇄시키는 투입부덮개(413)는 덮개구동수단(415)에 의해 구동되며, 도시된 실시예에서 덮개구동수단(415)은 투입부덮개(413), 실린더(417) 및 힌지(41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투입부덮개(143)는 힌지(419)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실린더(417)가 투입부덮개(413)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투입부덮개(413)를 힌지(419)를 중심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투입부덮개(413)가 투입부(430)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453, 417)는 공압실린더, 유압실린더 또는 모터와 볼스크류로 이루어진 직선운동장치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적용가능하지만, 유압실린더로 적용할 경우 고열멸균기(400)에 구비된 유압펌프(403)를 활용할 수 있고, 별도의 공압 컴프레서 등의 장치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경제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Y형 투입구(440)는 상측에 제1 투입부(441) 및 제2 투입부(443)를 구비하고, 하측에는 상기 제1 투입부(441) 및 제2 투입부(443) 모두와 연통되고 상기 투입부(430) 개방시에 상기 투입부(430)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투입구(430)와 연통되는 이동투입구(447)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의 Y형 투입구(440) 덕분에 동물 사체 처리와 오염된 토양의 복원을 동시에 또는 번갈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동물 사체 곤죽의 수분 함량을 낮추기 위하여 추가 투입될 수 있는 부숙제의 원활한 투입을 위하여 제3 투입부(도시되지 않음)까지 구비된 삼지창형 투입구가 상기 Y형 투입구(440) 대신에 구비될 수도 있다.
고열멸균기(400) 내부에는 스크류 컨베이어 형상의 교반날개(460)가 구비되며, 상기 교반날개(460)는 고열멸균기 본체(4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된 회전샤프트(463)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투입부(430)를 통해 투입된 동물 사체를 교반한다. 상기 교반날개(460)는 작동에 비교적 큰 동력을 필요로 하므로, 상기 회전샤프트(463)는 고열멸균기 본체(410)의 외부에 구비된 유압펌프(403)와 유압모터(405)에 의해 회전구동된다. 상기 회전샤프트(463)는 일측은 상기 유압모터(405)에 연결되고 타측은 고열멸균기 본체(410) 외부에 구비된 지지베어링(465)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고열멸균기(400)에는 두 종류의 가열장치가 구비된다. 즉, 상기 고열멸균기 본체(410)의 하부 외측에 구비되어 자성체인 금속제로 형성된 본체 하부(411)를 가열함으로써 본체 내부의 동물 사체를 간접 가열하는 유도가열장치(423)와, 상기 고열멸균기 본체(410)의 상부를 이루며 유리 등 전자파가 통과되는 재질로 형성된 고열멸균기 덮개(413)의 외측에 구비되어 본체 내부의 동물 사체를 직접 가열하는 마이크로파가열장치(427)가 그것이다.
마이크로파가열장치(427)는 선별 토양이나 동물 사체 내부에 존재하는 물분자를 진동시켜 가열함으로써 내부로부터 상기 선별 토양 등을 가열하도록 작동하고, 유도가열장치(423)는 고열멸균기 본체 하부(411)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고열멸균기 본체 하부를 가열함으로써 가열된 본체 하부로부터의 열의 전도, 대류, 복사에 의해 고열멸균기 본체 하부의 내측에 위치된 상기 선별 토양 등을 간접적으로 가열하게 되므로, 이 두 가지 가열장치를 동시에 사용하고 또한 상기 교반날개(460)에 의해 선별 토양 등을 고르게 교반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게 선별 토양 등의 가열이 이루어질 수 있다고 하는 점이 본 발명에 따른 고열멸균기의 특징이다.
상기 고열멸균기 본체(410)의 길이방향 타측의 상측에는 동물 사체에서 발생되는 수증기 및 가스를 배출할 수 있는 수증기배출구(470)가 구비된다. 상기 수증기배출구(470)는 수동조작에 의해 또는 설정된 압력 도달시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열멸균기 본체(410)와 상기 투입부(430), 수증기배출구(470) 등은 적어도 6㎏f/㎠ 의 내부 압력을 버티도록 제작되므로, 4㎏f/㎠ 또는 그보다 조금 높은 설정압력에서 자동적으로 개방되도록 설정된 압력스위치(473)가 상기 수증기배출구(470) 일측에 구비되어 본체 내부에서 발생된 수증기 및 가스를 배출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압력스위치(473)는 압력의 배출보다는 일시적인 압력조절 용도로 구비되는 것이며, 따라서 고열멸균기(400)에 의한 멸균과정이 종료된 후 멸균된 동물 사체를 배출하기 전에 고열멸균기(400) 내부의 압력을 빼내기 위하여, 또는 멸균과정 진행중에 압력스위치(473)에 걸리는 압력이 과하게 높아지거나 빠른 속도로 압력이 상승되는 경우에 보다 신속하게 감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감압변(475)이 추가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열멸균기 본체(410)의 길이방향 타측의 하측에는 개폐가능한 배출개폐기(480)가 구비되어 멸균처리가 완료된 동물 사체 등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배출개폐기(480)를 통한 동물 사체 등의 배출시에는 상기 교반날개(460)를 작동시켜 고열멸균기 본체(410) 내부의 동물 사체 등을 상기 배출개폐기(480) 쪽으로 이송시킬 필요가 있을 것이다.
상기 고열멸균기 본체(410)와 유압펌프(403), 유압모터(405) 등은 모두 본체지지부(490) 위에 배치되어 지지된다. 본체지지부(490)에는 중량검출기(495)가 구비되어 본체(410)에 투입된 동물 사체의 전체 중량을 측정할 수 있으며, 이로써 매 멸균 사이클마다 적정 중량의 동물 사체가 처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량검출기(495)는 본체지지부(490) 내의 상호 이격된 위치에 둘 이상 구비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본체(410) 내의 동물 사체 등의 중량 배분을 측정할 수 있다. 중량 배분이 적절한 경우에는 별다른 조치를 취할 필요가 없지만, 예를 들어 동물 사체 등의 투입중에 동물 사체 등이 투입부(430) 하측에만 쌓여서 적정 중량만큼 투입되지 못했음에도 추가 투입이 곤란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는 중량 배분이 한 쪽으로 지나치게 치중된 것으로 측정될 것인 바, 이때는 교반날개(460)를 작동시켜 동물 사체 등을 일부 이동시킨 후에 추가 투입을 계속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열멸균기의 구성 중 교반날개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살펴본다.
도 6은 도 3에서 고열멸균기 본체 내부의 교반날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교반날개와 스토퍼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교반날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서는 고열멸균기 본체(410) 내부구조의 도시의 편의를 위하여 유도가열장치(423)가 생략되어 있다.
도 5의 교반날개(460)에는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회전축 외측에서 나선을 그리며 형성되어 처리대상물을 이동시키는 이송용날개(460a)가 위치되어 있다. 이송용날개(460a)의 외측에서 나선을 그리며 형성되어 있되 이송용날개(460a)의 나선 방향과 반대방향을 그리며 형성되어 있는 교반용날개(460b)가 위치되어 있다. 한편, 이송용날개(460a)와 교반용날개(460b) 사이에는 공간(460c)이 형성되어 있고, 교반용날개(460b)는 끊어진 부분(460ba)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조는 교반날개(460)가 회전될 때 선별 토양, 분쇄된 곤죽 상태의 동물 사체, 부숙제 등이 원활하게 움직이면서 교반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이다. 따라서, 선별 토양, 분쇄된 곤죽 상태의 동물 사체, 부숙제 등이 뒤섞이지 않고 이동만 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고열멸균기 본체(410) 내부의 벽면에는 돌출된 턱을 형성하도록 연장되어 있는 스토퍼(417)가 구비됨으로써 교반되는 처리대상물이 스토퍼(417)에 걸려 뒤섞임으로써 선별 토양, 분쇄된 곤죽 상태의 동물 사체, 부숙제 등의 교반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스토퍼(417)는 첨부된 도면에서와 같이 각파이프나 각봉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축동물 사체 및 매몰지 토양 고열멸균기에 의한 고열멸균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고열멸균기(400)에 의한 가축동물 사체 및/또는 매몰지 토양의 멸균작용은 우선 상기 고열멸균기(400)의 상기 배출개폐기(480)를 폐쇄하여 추후 고열멸균기 본체(410) 내부로 투입되는 가축동물 사체 및/또는 매몰지 토양이 멸균과정 진행중에 유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개시된다(S210). 이어서 상기 고열멸균기(400)의 상기 투입부(430)를 개방하고, 상기 Y형 투입구(440)를 상기 투입부 상측에 위치되도록 이동시킨다(S220).
선택적으로, 오염된 매몰지 토양을 단독으로 또는 동물 사체와 함께 멸균하고자 하는 경우, 고열멸균기(400)와 별도로 구비된 자갈분리선별기(500)를 통하여 오염된 매몰지 토양으로부터 자갈과 물을 분리하여 제거하고 남은 토사, 즉 선별 토양을 배출하여 상기 고열멸균기(400)에 투입할 수 있도록 준비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Y형 투입구(440)와 상기 투입부(430)를 통해, 상기 고열멸균기 본체(410) 내부에 오염 토양으로부터 선별된 선별 토양 및/또는 분쇄된 곤죽 상태의 동물 사체를 각각 구분하여 투입한다(S230). 이때 상기 선별 토양은 오염된 매몰지 토양을 상기 자갈 분리선별기(500)에 투입하여 자갈과 물을 제거한 후 배출된 토사를 지칭한다. Y형 투입구(440)가 3개의 구분된 투입부를 구비하도록 하여 선별 토양, 동물 사체 외에 이들 선별 토양 또는 동물 사체에 함유된 수분의 함량을 조절할 수 있는 부숙제를 추가로 구분 투입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구분 투입된 선별 토양 등은 Y형 투입구(440)를 지나 상기 투입부(430)로 투입되면서 함께 혼합된다.
상기 고열멸균기 본체(410) 내부에 투입된 상기 선별 토양 및/또는 상기 동물 사체의 중량이 미리 설정된 값에 도달한 것으로 상기 중량검출기(495)에 의해 검출된 때에 상기 Y형 투입구(440)를 상기 투입부(430)에서 이격된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투입부(430)를 폐쇄한다(S240).
이제 상기 교반 날개(460)를 회전시켜 상기 본체(410) 내부에 투입된 상기 선별 토양 및/또는 상기 동물 사체를 교반하는 동시에 상기 유도가열장치(423) 및 상기 마이크로파가열장치(427)를 작동시켜 상기 본체(410) 내부에 투입된 상기 선별 토양 및/또는 상기 동물 사체를 미리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가열하여 멸균을 실시한다(S250).
멸균을 위한 가열단계(S250)에서 선별 토양이나 동물 사체를 가열하기 위하여, 선별 토양이나 동물 사체 내부에 존재하는 물분자를 진동시켜 가열함으로써 내부로부터 상기 선별 토양 등을 가열하는 마이크로파가열장치(427)와, 고열멸균기 본체 하부(411)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고열멸균기 본체 하부를 가열함으로써 전도, 대류, 복사 등에 의해 고열멸균기 본체 하부의 내측에 위치된 상기 선별 토양 등을 간접적으로 가열하는 유도가열장치(423)를 동시에 사용하는 점이 본 발명에 따른 고열멸균방법의 특징이다.
멸균처리 조건은 예를 들어 습열처리의 경우 121℃에서 15-20분 또는 115℃에서 35분 이상으로 할 수 있고, 건열처리의 경우 160-170℃에서 1-2시간 이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여 멸균 공정이 완료되면 상기 유도가열장치(423), 마이크로파가열장치(427) 및 교반날개(460)를 정지하고, 상기 감압변(475)을 개방하여 가열된 수증기가 다 빠져나가도록 하며, 본체(410) 내부 온도가 소정의 안전온도 이하로 떨어지면 상기 배출개폐기(480)를 개방하여 멸균된 상기 선별 토양 및/또는 동물 사체를 배출한다(S260). 멸균된 선별 토양 및/또는 동물 사체의 배출을 위하여 스크류 컨베이어처럼 작동하는 상기 교반 날개(460)를 다시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동물 사체 배출이 완료되면, 상기 교반 날개(460)를 정지시키고 상기 배출개폐기(480)를 폐쇄함으로써(S270), 선별 토양 및/또는 동물 사체의 멸균처리가 완료된다.
이상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축동물 사체 및 매몰지 토양 고열멸균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오직 하기의 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것임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100 : 투입호퍼
200 : 가축동물사체 이송 컨베이어 210 : 스크류 컨베이어
300 : 파쇄선별장치 310 : 투입구
360 : 파쇄물 이송 컨베이어 370 : 부숙제 저장호퍼
380 : 부숙제 배출 컨베이어 390 : 부숙제 배출장치
400 : 고열멸균기 403 : 유압펌프
405 : 유압모터 410 : 고열멸균기 본체
411 : 고열멸균기 본체 하부 413 : 고열멸균기 덮개
417 : 스토퍼 423 : 유도가열장치
427 : 마이크로파가열장치 430 : 투입부
440 : Y형 투입구 441 : 제1 투입부
443 : 제2 투입부 447 : 이동투입구
455 : 가이드레일 460 : 교반날개
460a : 이송용날개 460b : 교반용날개
460c : 공간 460ba : 끊어진 부분
463 : 회전샤프트 465 : 지지베어링
470 : 수증기배출구 473 : 압력스위치
475 : 감압변 480 : 배출개폐기
490 : 본체지지부 495 : 중량검출기
500 : 자갈 분리선별기 510 : 피드스크류
513 : 피드스크류 구동모터 520 : 스크린
523 : 스크린 구동모터 527 : 이송날개
530 : 오염토양 투입구 580 : 선별토양배출부
590 : 자갈 배출구
600 : 탈취기 610 : 물배출밸브
613 : 배관
700 : 배출호퍼
800 : 배출부 이송 컨베이어
900 : 소취제 분사장치
E : 매몰지 F : 저장 컨테이너
C : 전기제어반 G : 발전기

Claims (5)

  1. 오염된 매몰지 토양에서 자갈과 물이 제거된 선별 토양 또는 분쇄된 동물 사체 중 하나 이상을 멸균하기 위한 고열멸균기로서,
    상기 고열멸균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상기 고열멸균기 본체 내부에 투입된 선별 토양 또는 동물 사체를 교반하는 스크류 컨베이어 형상의 교반날개;
    상기 고열멸균기 본체의 하부 외측에 구비되어 본체 하부를 가열함으로써 상기 교반날개에 의해 교반되는 선별 토양 또는 동물 사체를 가열된 본체 하부에 의해 간접적으로 가열하는 유도가열장치;
    상기 고열멸균기 본체의 상부를 이루며 전자파 투과 재질로 형성된 고열멸균기 덮개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고열멸균기 본체 내부의 선별 토양 또는 동물 사체를 직접 가열하는 마이크로파가열장치;
    상기 고열멸균기 본체의 길이방향 일측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고열멸균기 본체 내부로 선별 토양 또는 동물 사체를 투입하기 위하여 개폐가능한 투입부;
    상기 투입부 상측에 위치되고, 상부에 제1 투입부 및 제2 투입부를 구비하여 각각 선별 토양 및 동물 사체가 구분되어 투입되며, 투입된 선별 토양 및 동물 사체를 함께 상기 투입부로 배출하는 Y형 투입구;
    상기 고열멸균기 본체의 길이방향 타측의 하측에 구비되는 개폐가능한 배출개폐기;
    상기 고열멸균기 본체의 길이방향 타측의 상측에 구비되며, 수동조작에 의해 또는 설정된 압력 도달시 자동으로 개폐되어 수증기 및 가스를 배출할 수 있는 수증기배출구; 및
    상기 고열멸균기 본체를 지지하며, 둘 이상의 중량검출기를 구비하여 상기 본체에 투입된 상기 선별 토양 또는 동물 사체의 전체 중량과 상기 본체 내에서 중량 배분을 검출할 수 있는 본체지지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축동물 사체 및 매몰지 토양 고열멸균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Y형 투입구가 부숙제 투입을 위한 제3 투입부를 더 구비함으로써, 부숙제 투입을 통해 선별 토양 또는 동물 사체의 수분 함량을 낮출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동물 사체 및 매몰지 토양 고열멸균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증기배출구는,
    미리 설정된 압력에서 자동적으로 개방되도록 설정되며 일시적인 압력조절 용도로 구비된 압력스위치; 및
    상기 고열멸균기에 의한 멸균과정이 종료된 후 멸균된 선별 토양 또는 동물 사체를 배출하기 전에 상기 고열멸균기 내부의 압력을 빼내기 위하여, 또는 멸균과정 진행중에 상기 미리 설정된 압력에 도달하여 상기 압력스위치가 개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미리 설정된 기준 이상의 속도로 감압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 추가적으로 개방되어 신속하게 감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감압변(475);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동물 사체 및 매몰지 토양 고열멸균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반날개는,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회전축 외측에서 나선을 그리며 형성되어 처리대상물을 이동시키는 이송용날개; 및
    상기 이송용날개의 외측에서 나선을 그리며 형성되어 있되 이송용날개의 나선 방향과 반대방향을 그리며 형성되어 있는 교반용날개;
    를 포함하되,
    상기 고열멸균기 본체 내부의 벽면에는 돌출된 턱을 형성하도록 연장되어 있는 스토퍼를 가짐으로써 교반되는 처리대상물이 상기 스토퍼에 걸려 뒤섞이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동물 사체 및 매몰지 토양 고열멸균기.
  5. 오염된 매몰지 토양에서 자갈과 물이 제거된 선별 토양 또는 분쇄된 동물 사체 중 하나 이상을 멸균하기 위한, 고열멸균기를 이용하는 고열멸균방법으로서,
    상기 고열멸균기의 배출개폐기를 폐쇄하여 투입되는 선별 토양 또는 동물 사체의 유출을 방지하는 단계;
    상기 오염된 토양에서 토사를 자갈 및 물과 분리된 상기 선별 토양으로 별도로 배출하는 단계;
    상기 투입부 상측에 위치된 Y형 투입구를 통해 상기 선별 토양, 분쇄된 동물 사체 또는 부숙제 중 하나 이상을 구분하여 투입하고, 상기 선별 토양, 분쇄된 동물 사체 또는 부숙제 중 하나 이상을 상기 투입부를 통해 함께 상기 고열멸균기 본체 내부에 투입하는 단계;
    상기 고열멸균기 본체 내부에 투입된 상기 선별 토양, 동물 사체 또는 부숙제 중 하나 이상의 중량의 합이 미리 설정된 값에 도달한 것으로 검출된 때에 상기 투입부를 폐쇄하는 단계;
    상기 고열멸균기 본체 내부에 구비된 교반 날개를 회전시켜 상기 본체 내부에 투입된 상기 선별 토양, 동물 사체 또는 부숙제 중 하나 이상을 교반하는 동시에, 상기 고열멸균기 상측에 구비된 마이크로파가열장치를 작동시켜서 상기 선별 토양, 동물 사체 또는 부숙제 중 하나 이상에 함유된 수분을 가열하고, 상기 유도가열장치에 의해 상기 고열멸균기 본체의 하부를 가열하여 본체 하부 내부의 선별 토양, 동물 사체 또는 부숙제 중 하나 이상을 간접적으로 가열함으로써, 상기 본체 내부에 투입된 상기 선별 토양, 동물 사체 또는 부숙제 중 하나 이상을 미리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가열하여 멸균하는 단계; 및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여 멸균 공정이 완료된 후에 상기 유도가열장치 및 마이크로파가열장치를 정지하고, 상기 배출개폐기를 개방하여 멸균된 상기 선별 토양, 동물 사체 또는 부숙제 중 하나 이상을 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축동물 사체 및 매몰지 토양 고열멸균방법.





KR1020180079589A 2018-07-09 2018-07-09 가축동물 사체 및 매몰지 토양의 고열멸균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고열멸균기 KR102141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9589A KR102141397B1 (ko) 2018-07-09 2018-07-09 가축동물 사체 및 매몰지 토양의 고열멸균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고열멸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9589A KR102141397B1 (ko) 2018-07-09 2018-07-09 가축동물 사체 및 매몰지 토양의 고열멸균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고열멸균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5947A true KR20200005947A (ko) 2020-01-17
KR102141397B1 KR102141397B1 (ko) 2020-08-05

Family

ID=69370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9589A KR102141397B1 (ko) 2018-07-09 2018-07-09 가축동물 사체 및 매몰지 토양의 고열멸균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고열멸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139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76325A (zh) * 2020-12-24 2021-04-20 浙江丰瑜生态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土壤修复方法
KR20220010847A (ko) * 2020-07-20 2022-01-27 박성훈 의료용 폐기물 분쇄 멸균장치
CN114832126A (zh) * 2022-03-28 2022-08-02 南通绿达通市政园林有限公司 一种环保的农业工程领域的土壤杀菌处理设备
CN117732844A (zh) * 2024-02-21 2024-03-22 江苏北斗星环保股份有限公司 一种死淘动物高温化制无害化处理系统及处理工艺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291B1 (ko) * 2007-04-02 2008-07-08 주식회사 환경21 감염 동물의 자동처리장치
KR101030187B1 (ko) * 2011-02-14 2011-04-20 엔 하이테크 주식회사 이송호퍼 및 마이크로웨이브 발생장치가 구비된 환경친화형 폐사가축 처리장치
KR101060741B1 (ko) * 2011-02-22 2011-08-30 주식회사 현진기업 전염병 확산방지를 위한 도살처분 방법 및 도살처분 장치, 이를 이용한 사체 유기물의 퇴비화방법
KR101067012B1 (ko) 2011-03-11 2011-09-22 에이치투더블유티이 주식회사 이동식 가축 살처분 사체의 처리장치
KR20130066270A (ko) * 2011-12-12 2013-06-2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생물 사체 건조 장치
KR20150136624A (ko) 2014-03-19 2015-12-08 주식회사 다산컨설턴트 토양 처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오염된 토양의 정화방법
KR101694481B1 (ko) * 2014-07-24 2017-01-10 주식회사 태성바이오 가축 폐사체의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291B1 (ko) * 2007-04-02 2008-07-08 주식회사 환경21 감염 동물의 자동처리장치
KR101030187B1 (ko) * 2011-02-14 2011-04-20 엔 하이테크 주식회사 이송호퍼 및 마이크로웨이브 발생장치가 구비된 환경친화형 폐사가축 처리장치
KR101060741B1 (ko) * 2011-02-22 2011-08-30 주식회사 현진기업 전염병 확산방지를 위한 도살처분 방법 및 도살처분 장치, 이를 이용한 사체 유기물의 퇴비화방법
KR101067012B1 (ko) 2011-03-11 2011-09-22 에이치투더블유티이 주식회사 이동식 가축 살처분 사체의 처리장치
KR20130066270A (ko) * 2011-12-12 2013-06-2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생물 사체 건조 장치
KR20150136624A (ko) 2014-03-19 2015-12-08 주식회사 다산컨설턴트 토양 처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오염된 토양의 정화방법
KR101694481B1 (ko) * 2014-07-24 2017-01-10 주식회사 태성바이오 가축 폐사체의 처리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0847A (ko) * 2020-07-20 2022-01-27 박성훈 의료용 폐기물 분쇄 멸균장치
CN112676325A (zh) * 2020-12-24 2021-04-20 浙江丰瑜生态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土壤修复方法
CN114832126A (zh) * 2022-03-28 2022-08-02 南通绿达通市政园林有限公司 一种环保的农业工程领域的土壤杀菌处理设备
CN117732844A (zh) * 2024-02-21 2024-03-22 江苏北斗星环保股份有限公司 一种死淘动物高温化制无害化处理系统及处理工艺
CN117732844B (zh) * 2024-02-21 2024-05-10 江苏北斗星环保股份有限公司 一种死淘动物高温化制无害化处理系统及处理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1397B1 (ko) 2020-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1397B1 (ko) 가축동물 사체 및 매몰지 토양의 고열멸균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고열멸균기
KR101336056B1 (ko) 동물사체 처리장치
KR101328070B1 (ko) 이동식 가축 살처분 사체의 처리장치
KR101060741B1 (ko) 전염병 확산방지를 위한 도살처분 방법 및 도살처분 장치, 이를 이용한 사체 유기물의 퇴비화방법
KR101111438B1 (ko) 이동식 가축 살처분 사체의 처리방법
KR101716390B1 (ko) 동물사체 처리장치
KR101067012B1 (ko) 이동식 가축 살처분 사체의 처리장치
KR101293675B1 (ko) 감염성 폐기물의 분쇄 및 멸균장치
KR101148154B1 (ko) 가축 살처분 사체의 처리장치
MX2014001750A (es) Sistema presurizado de helice que utiliza bloqueos de aire para la eliminacion de desperdicio.
KR101801268B1 (ko) 동물사체 처리장치
CN205518956U (zh) 一种多功能的病死动物无害化处理设备
KR101991689B1 (ko) 가축동물 사체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KR102143383B1 (ko) 가축동물 매몰지 토양 복원장치 및 복원방법
KR101947448B1 (ko) 구제역 및 ai의 사체 처리 및 매몰지 토양 복원 플랜트 장치
KR102224018B1 (ko) 가축동물 사체의 파쇄선별장치
KR102237796B1 (ko) 고감염성 동물 사체를 처리하여 연료를 제조하는 장치
KR101339848B1 (ko) 이동식 가축 살처분 사체의 처리장치
KR101539626B1 (ko) 폐사 또는 살처분된 가축 슬러리의 분쇄장치
KR102138424B1 (ko) 구제역으로 인한 살처분 동물의 렌더링 시스템
KR102054371B1 (ko) 반려동물의 장례에 따른 사체 처리장치
KR102031797B1 (ko) 동물의 살처분 처리장치
KR20120094627A (ko) 병원성 동식물사체 이동처리기
KR102085144B1 (ko) 분쇄와 살균을 이용한 친환경적 동물 사체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2072743B1 (ko) 가축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