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2743B1 - 가축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가축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2743B1
KR102072743B1 KR1020170163377A KR20170163377A KR102072743B1 KR 102072743 B1 KR102072743 B1 KR 102072743B1 KR 1020170163377 A KR1020170163377 A KR 1020170163377A KR 20170163377 A KR20170163377 A KR 20170163377A KR 102072743 B1 KR102072743 B1 KR 102072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vestock
unit
drying
anesthesia
process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3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4087A (ko
Inventor
장영현
Original Assignee
장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영현 filed Critical 장영현
Priority to KR1020170163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2743B1/ko
Priority to PCT/KR2017/014163 priority patent/WO2019107633A1/ko
Publication of KR20190064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4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2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27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7/00Devices or methods for introducing solid, liquid, or gaseous remedies or other materials into or onto the bodies of animals
    • A61D7/04Devices for anaesthetising animals by gases or vapours; Inha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01F27/72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helices or sections of hel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22Crushing mills with screw-shaped crush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00Fertilisers made from animal corpses, or par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00Fertilisers made from animal corpses, or parts thereof
    • C05F1/02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1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applying pressure, e.g. wringing; by brushing; by wip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esthesi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병 또는 유병의 위험성이 있는 가축을 수거하여 신속하게 건조처리함과 아울러 그 건조처리된 가축의 부산물을 퇴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가축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유병 또는 유병의 위험성이 있는 가축을 수거하여 움직임을 제어하도록 마취하는 마취수단을 설치하여 된 마취부; 상기 마취부에 의해서 마취된 가축의 체내 수분을 배출시키기 위해 압착하는 압착수단을 설치하여 된 압착부; 상기 압착부를 통과한 가축을 공급받아 이동시키면서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수단이 설치된 건조부; 상기 건조부에서 건조된 가축을 공급받아 잘게 파쇄시키기 위한 파쇄수단을 설치하여 된 파쇄부; 상기 파쇄부에서 파쇄된 가축의 파쇄물과 농작물의 퇴비로 사용되는 퇴비를 공급받아 혼합하는 혼합수단을 설치하여 된 퇴비제조부; 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가축 처리장치{PROCESSING APPARATUS OF FARM ANIMALS}
본 발명은 유병 또는 유병의 위험성이 있는 가축을 수거하여 신속하게 건조처리함과 아울러 그 건조처리된 가축의 부산물을 퇴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가축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축 전염병 발생 시 살 처분 또는 폐사된 가축의 사체 처리는 현재까지 주로 매몰 처리의 방법에 의존하고 있으나, 매몰 장소의 선정이 어려워 전염병이 발생한 농장의 외부로 살 처분되거나 폐사된 가축의 사체를 이동시켜야 하 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따라서 신속한 처리가 관건인 방역 현장에서 가축의 사체를 이동시키는 작업으로 인한 시간 지연, 병원체의 외부 확산 위험 및 운송 비용의 부담 등이 큰 문제점으로 대두 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살 처분되거나 폐사된 사체 전체를 매몰할 경우 대규모의 매몰지가 필요하며 매몰 후 상당 기간 사후 관리를 실시해야만 하는데, 매몰지 주변에 대한 환경오염의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으며, 특히 침출수로 인한 주변 지하수의 오염, 악취 등을 호소하는 민원이 끊이지 않고 있어 해당 공무원들의 업무수행에 상당한 지장을 초래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살 처분 및 폐사 가축을 매몰하지 않고 분말화하여 비료 등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등 살 처분 및 폐사 가축을 효과적으로 처리하도록 하는 기술들이 개발되었다.
종래의 살 처분 및 폐사 가축 처리장치의 기술로서, 특허등록 제0844291호, 특허공개 제2012-0094627호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등록 제0844291호는 가축을 건조, 파쇄하여 분말화하여 비료로 사용하도록 하는 기술이나. 가축의 도살 후 파쇄하고, 파쇄된 처리물을 건조한 후 다시 파쇄하여 포장하는 등 과정이 복잡하고, 전체적인 과정이 원스톱으로 이루어지기는 하나, 이를 위해 상당한 공간이 필요함은 물론 설비가 복잡하여 제작비용의 부담을 갖게 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상기 특허공개 제2012-0094627호는 차량에 의한 이동형으로 된 처리기로서, 이동이 용이하기는 하나, 설비크기가 한정되어 있어 다량의 동물을 처리하는데 한계가 있다.
한편, 상기 기술들은 모두 동물 사체를 파쇄 또는 파쇄과정을 거친 후 열풍 등을 통해 건조하도록 이루어진 기술임에 따라 건조환경이 위생적이지 못하는 문제가 있고, 이에 따라 보다 위생적인 방법으로 가축을 처리할 수 있는 기술이 제안될 필요성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0844291호(감염 동물의 자동처리장치) 공개특허공보 제2012-0094627호(병원성 동식물사체 이동처리기)
본 발명의 목적은 유병 또는 유병의 위험성이 있는 가축을 수거하여 신속하게 건조 처리함과 아울러 그 건조 처리된 가축의 부산물과 농작물의 퇴비로 사용되는 퇴비를 혼합하여 농작물의 퇴비로 활용하도록 하는 가축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해결수단 구성은,
유병 또는 유병의 위험성이 있는 가축을 수거하여 움직임을 제어하도록 마취하는 마취수단(100)을 설치하여 된 마취부(A);
상기 마취부에 의해서 마취된 가축의 체내 수분을 배출시키기 위해 압착하는 압착수단(200)을 설치하여 된 압착부(P);
상기 압착부를 통과한 가축을 공급받아 이동시키면서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수단(300)이 설치된 건조부(D);
상기 건조부에서 건조된 가축을 공급받아 잘게 파쇄시키기 위한 파쇄수단(400)을 설치하여 된 파쇄부(S);
상기 파쇄부에서 파쇄된 가축의 파쇄물과 농작물의 퇴비로 사용되는 퇴비를 공급받아 혼합하는 혼합수단(500)을 설치하여 된 퇴비제조부(C);
상기 마취부와 압착부의 사이에 유병 또는 유병의 위험성이 있는 가축 중 닭이나 오리와 같은 가축의 털을 제거하기 위한 털 제거수단(600)이 마련된 털제거부(W)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처리장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가축 처리장치는 유병 또는 유병의 위험성이 있는 가축을 수거하여 신속하게 건조 처리함과 아울러 그 건조 처리된 가축의 부산물과 농작물의 퇴비로 사용되는 퇴비를 혼합하여 농작물의 퇴비로 활용함으로써 종래 문제점으로 제기되는 매몰 처리에 따른 매몰 장소 선정의 어려움과 유병 전염의 위험 및 환경오염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축 처리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축 처리장치에서 마취부의 일실시예 발췌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축 처리장치에서 건조부 및 파쇄부 일실시예 발췌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가축 처리장치에서 파쇄부 일실시예 단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축 처리장치에서 털제거부 일실시예 발췌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털제거부를 포함한 가축 처리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본 발명의 유병 또는 유병의 위험성이 있는 가축을 수거하여 신속하게 건조 처리함과 아울러 그 건조 처리된 가축의 부산물과 농작물의 퇴비로 사용되는 퇴비를 혼합하여 농작물의 퇴비로 활용함으로써 종래 문제점으로 제기되는 유병 또는 유병의 위험성이 있는 가축의 매몰 처리에 따른 매몰 장소 선정의 어려움과 유병 전염의 위험 및 환경오염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가축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세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가축 처리장치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병 또는 유병의 위험성이 있는 가축을 수거하여 움직임을 제어하도록 마취하는 마취수단(100)을 설치하여 된 마취부(A)가 마련되는데, 이와 같은 마취부(A)를 마련하는 이유는, 유병 또는 유병의 위험성이 있는 수거된 가축들은 살아서 움직이기 때문에 그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하는 마취부(A)의 마취수단(100) 일실시 예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거된 가축을 마취하기 위한 구성으로, 수거된 가축을 실어 출측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110)가 설치되고, 그 이송컨베이어(110)의 상면에는 상기 실려있는 가축에 마취제를 분사하여 가축을 마취시키기 위해 마취제분사기(120)가 설치된다.
상기 마취제의 분사를 위해 설치되는 마취제분사기(120)는 상기 이송컨베이어(110)의 상측에 이송컨베이어(110)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상기 마취제분사기(120)는 마취제가 저장된 마취제저장탱크(미도시)와 연결되어 펌프의 펌핑 동작으로 마취제저장탱크에 저장된 마취제를 다수개의 노즐을 통해 가축에 분사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노즐은 마취제를 가축에 효과적으로 분사시키기 위해 각도조절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마취제는 액상의 마취제 또는 가스의 마췌제 중 무엇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이송컨베이어(110)의 길이방향으로는 이송컨베이어(110)에 실려진 상태로 이송되는 가축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한 터널형의 가축이동제한수단(130)이 설치되고 그 가축이동제한수단(130)의 내부에는 마취제분사기(120)를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마취부(A)는 이송컨베이어(110)의 입측에 설치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이송컨베이어(110)의 입구에 별도의 마취실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마취부(A)에 의해서 마취된 가축의 체내 수분을 배출시키기 위하여 마취부(A)의 출측단에 압착수단(200)이 설치된 압착부(P)가 마련되는데, 상기 압착부(P)를 마련하는 이유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건조부(C)에서의 건조 효율을 향상시켜 많은 양의 유병 또는 유병의 위험성이 있는 가축을 신속하게 처리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하는 압착부(P)의 압착수단(200)은 상기 마취부(A)의 출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마취된 가축을 압착하여 가축에 존재하는 수분 즉 피를 포함한 액상물을 빼내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압착수단(200)은 이송컨베이어(110)에 의해 이송되어 온 가축을 압착하기 위한 가압 판(210)과, 그 가압 판(210)의 하면에 가축의 몸을 삽입 또는 관통하도록 설치된 복수 개의 삽입 핀(22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압 판(210)은 실린더 등의 승/하강수단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 되게 동작되는 것이고, 상기 가압 판(210)의 하강 높이에 따라 가축의 압착되는 두께가 결정되어 진다. 상기 가축의 압착 두께는 건조시간의 단축 등을 위해 작업자가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압 판(210)의 하강으로 인해 가축이 압착되는 과정에서 액상물이 외측으로 비산될 수 있음에 따라 이송컨베이어(110)의 가장자리로는 일정 높이로 비산방지판(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삽입 핀(220)은 상기 가압 판(210)에 의한 가축의 압착시 가축의 체내에서 발생되는 액상물의 배출을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삽입 핀(220)이 가축에 삽입된 상태에서도 액상물이 원활히 배출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삽입 핀(220)의 표면에 돌기를 형성하거나 또는 삽입 핀(220)의 내부를 중공되게 형성한 후 표면에 복수 개의 구멍을 내부의 중공과 연통되게 형성하여 삽입 핀(220)의 내부 중공을 통해 액상물을 배출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상기 압착수단(200)에서 가축을 압착시키는 이유는, 가축의 체냐에 존재하는 피를 포함한 액상물을 제거하도록 함이 기본이고, 여기에 더하여 가축을 설정된 두께로 압착시키도록 하여 아래에서 설명되는 건조부(D)에서의 건조시간을 단축시키면서도 건조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압착부(P)를 통과한 가축은 건조수단(300)을 설치하여 된 건조부(D)를 통과하면서 건조가 이루어지는데, 상기 압착된 가축을 건조하는 이유는, 유병 또는 유병의 위험성이 있는 가축의 사체 처리를 간편하고 용이하며 처리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하는 상기 건조부(D)의 건조수단(300)은 상기 압착수단(200)의 출측에 설치되는 것이고, 상기 건조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건조 또는 열기나 화염을 이용한 건조 중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나 바람직한 실시 예로는 마이크로파를 발생시켜 건조하는 것이 종ㅎ다.
상기 건조수단(300)의 실실시 예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착된 가축이 실려 이송되면서 건조되도록 동일 회전방향으로 회전되는 무한궤도 형태의 회전컨베이어(310)가 설치되고, 그 회전컨베이어(310)의 상측에는 회전컨베이어(310)에 실려진 상태로 이송중인 가축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는 마이크로파 발생기(350)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컨베이어(310)는 벨트컨베이어 보다는 롤컨베이어를 사용함이 바람직하고, 평면으로 바라본 경우에 원형 또는 타원형이나 모서리부분이 라운딩 된 장방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컨베이어(310)는 작동을 통해 상면에 실려진 가축을 이송시킴에 따라 마이크로파가 유병 가축의 외면에 골고루 조사되면서 열이 발생하게 됨으로써 가축을 균일하게 건조시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회전컨베이어(310)의 상측에 이송중인 가축에 미스트 분사를 위한 미스트분사기(330)를 설치하여 마이크로파와 함께 가축에 미스트가 분사되면 가축 건조의 효율이 향상된다.
상기 마이크로파 발생기(350)는 마이크로파의 발생을 통해 가축을 건조시키는 구성으로서, 마이크로파 발생기의 구조 및 원리는 공지의 기술임에 따라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건조부(D)는 회전컨베이어(310)가 아닌 직진형 컨베이어 상에 마이크로파 발생기(350)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건조부(D)에 의해 건조된 가축은 파쇄수단(400)을 설치하여 된 파쇄부(S)에서 잘게 파쇄 처리되는데, 상기 파쇄하는 이유는, 부피를 최소화하고 또 취급을 용이하게 함은 물론 아래에서 설명되는 퇴비를 만드는데 효과적으로 만들기 위함이다.
상기 파쇄부(S)의 파쇄수단(400)은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건조부(D)의 출측에 구비되는 것이고, 일측과 타측에 공급구(420)와 배출구(430)가 각각 형성된 하우징(410)과, 상기 하우징(410)의 내부에 상기 공급구(420)를 통해 공급된 가축을 파쇄하면서 배출구(430) 측으로 이송시키는 파쇄스크류(45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410)의 내부에는 상기 파쇄스크류(450)와 긴밀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그 파쇄스크류에 의해 가축의 파쇄가 이루어지도록 원형 또는 반원형으로 된 파쇄안내판(440)이 설치된다.
상기 파쇄스크류(450)는 복수 개 구비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나, 1개만으로도 충분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파쇄스크류(450)의 일실시 예로서,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되는 스크류축(460)과, 상기 스크류축(460)의 외주 면에 일정간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되 일 측에서 타 측방향으로 나선형을 이루도록 형성된 파쇄칼(47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파쇄칼(470)이 나선형을 이루도록 구비됨에 따라 투입된 가축을 잘게 파쇄함과 동시에 그 파쇄된 파쇄물을 배출구(430) 방향으로 이송시킨다.
또한 상기 스크류축(460)은, 내부에 중공부(460a)가 형성되고, 표면에는 상기 중공부에 연통되게 복수 개의 열풍배출공(460b)이 형성되며, 상기 스크류축(460)의 일측에는 상기 중공부(460a)로 열풍을 공급하여 상기 파쇄칼(470)에 의해 분석되는 유병 가축에 존재하는 수분을 건조 시키도록 열풍기(480)를 연결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열풍기(480)를 설치하는 이유는, 상기 파쇄칼(470)에 의해 파쇄되면서 배출구(430) 방향으로 이송되는 파쇄물을 건조시키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파쇄되어 배출구(430)로 배출되는 가축 파쇄물은 배출구(430)의 하부에 설치된 퇴비제조부(C)의 혼합수단(500)에 수용되는 것이고, 그 혼합수단(500)은 혼합탱크(510)와 그 혼합탱크(510)의 내부에 설치된 교반기(520)로 이루어진다.
삭제
상기와 같은 구성의 혼합수단(500)은 파쇄부(S)를 통과한 파쇄물이 혼합탱크(510)에 수용되고 그 혼합탱크(510)에 수용된 파쇄물에 농작물의 퇴비로 사용되는 통상의 퇴비를 공급하여 교반기(520)를 작동시키면 상기 파쇄물과 퇴비를 혼합탱크(510) 내에서 혼합하여 가축 건조물이 혼합된 퇴비를 만든다.
본 발명의 가축 처리장치에는 상기 마취부(A)의 출측에 털제거수단(600)을 설치하여 된 털제거부(W)를 마련하여 마취된 가축의 털을 제거한 후 압착부를 통해 압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털제거부(W)는 가축의 건조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털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건조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장시간의 건조시간을 거쳐야 하는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구성이다.
상기 털제거수단(600)의 일 실시예로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측과 타측에 각 개구부(610a)가 형성되고 내부에 가축을 수용시키도록 공간이 형성된 털제거통(610)과, 상기 털제거통(610)에 측벽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개폐수단에 의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도어(620)와, 상기 털제거통(610)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는 회전판(630)과, 상기 털제거통(610)의 내벽면과 회전판(630)의 상면에 다수 돌출되게 형성되어 내부에 수용된 가축의 털을 제거하기 위한 고무탈모봉(64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이송컨베이어(110)는 상기 마취부에 설치된 마취부컨베이어(110a)와, 상기 압착부에 설치되는 압착부컨베이어(110b)로 분리되게 설치하도록 하고, 상기 마취부컨베이어(110a)와 압착부컨베이어(110b)의 사이에 상기 털제거수단(600)를 설치하되 상기 개폐도어(620)가 각각 마취부컨베이어(110a)와 압착부컨베이어(110b)와 마주보도록 설치하도록 하여 상기 마취부컨베이어(110a)에서 이송되어 온 유병 가축이 상기 털제거통(610)으로 인입되고 털제거통의 내부에서 털이 제거된 유병 가축이 인출되어 압착부컨베이어(110b)로 이송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털제거통에서 압착부컨베이어로의 이동은 상기 회전판(630)이 회전되는 상태임에 따라 상기 개폐도어를 개방하게 되면 원심력에 의해 상기 압착부컨베이어로 이동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개폐도어의 개방시에는 상기 회전판의 회전력을 조절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회전판(630)에는 유병 가축의 제거된 털을 외부로 배출 또는 토출시키기 위해 다수의 구멍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털제거수단(600)에 의해 닭이나 오리와 같은 가축을 파쇄하는 경우, 털에 의해 발생되는 파쇄율 저하 등을 없애 파쇄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털제거통(610)에 개폐도어를 설치하지 않고, 털제거통의 상측에 집게(650)를 승하강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털이 제거된 유병 가축을 집어 들어올려 상기 압착부로 이동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삭제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가축 처리장치는 상기 효과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병 또는 유병의 위험성이 있는 가축을 수거하여 신속하게 건조 처리함과 아울러 그 건조 처리된 가축의 부산물과 농작물의 퇴비로 사용되는 퇴비를 혼합하여 농작물의 퇴비로 활용함으로써 종래 문제점으로 제기되는 매몰 처리에 따른 매몰 장소 선정의 어려움과 유병 전염의 위험 및 환경오염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 : 마취부 100 : 마취수단
110: 이송컨베이어 110a : 마취부컨베이어
110b : 압착부컨베이어 120 : 마취제분사기
130 : 가축이동제한수단 P : 압착 부
200 : 압착수단 210 : 가압판
22 : 삽입 핀 230 : 저장탱크
D : 건조부 300 : 건조수단
310 : 제2이송컨베이어 320 : 이동방향조절판
330 : 미스트분사기 350 : 마이크로파 발생기
S : 파쇄부 400 : 파쇄수단
410 : 하우징 420: 공급구
430 : 배출구 440: 파쇄안내판
450 : 파쇄스크류 460 : 스크류축
460a : 중공부 460b : 열풍배출공
470 : 파쇄칼 480 : 열풍기
C : 퇴비제조부 500 : 혼합수단
510 : 혼합탱크 520 : 교반기
W : 털제거부 610 : 털제거통
610a : 개구부 620 : 개폐도어
630 : 회전판 640 : 고무탈모봉
650 : 집게

Claims (8)

  1. 유병 또는 유병의 위험성이 있는 가축을 수거하여 움직임을 제어하도록 마취하는 마취수단(100)을 설치하여 된 마취부(A);
    상기 마취부에 의해서 마취된 가축의 체내 수분을 배출시키기 위해 압착하는 압착수단(200)을 설치하여 된 압착부(P);
    상기 압착부를 통과한 가축을 공급받아 이동시키면서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수단(300)이 설치된 건조부(D);
    상기 건조부에서 건조된 가축을 공급받아 잘게 파쇄시키기 위한 파쇄수단(400)을 설치하여 된 파쇄부(S);
    상기 파쇄부에서 파쇄된 가축의 파쇄물과 농작물의 퇴비로 사용되는 퇴비를 공급받아 혼합하는 혼합수단(500)을 설치하여 된 퇴비제조부(C):
    상기 마취부와 압착부의 사이에 유병 또는 유병의 위험성이 있는 가축 중 닭이나 오리와 같은 가축의 털을 제거하기 위한 털 제거수단(600)이 마련된 털제거부(W)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처리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털제거수단(600)은, 일측과 타측에 각각 개구부(610a)가 형성되고 내부에 가축을 수용시키도록 공간이 형성된 털제거통(610)과, 상기 털제거통에 측벽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개폐수단에 의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도어(620)와, 상기 털제거통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는 회전판(630)과, 상기 털제거통의 내벽면과 회전판의 상면에 다수 돌출되게 형성되어 가축의 털을 제거하기 위한 고무탈모봉(64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취수단(100)은, 이송컨베이어(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터널형태의 가축이동제한수단(130)이 설치되고 상기 가축이동제한수단에는 다수개의 노즐이 설치된 마취제분사기(120)가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수단(200)은, 가축을 압착하기 위한 가압판(210)과, 그 가압판의 하면에 가축에 삽입 또는 가축을 관통하도록 설치된 복수 개의 삽입 핀(220)과 가축의 피를 포함한 액상물을 받아 저장하는 저장탱크(2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수단(400)은, 입측에 공급구(420)가 형성되고 출측에 배출구(430)가 형성된 하우징(410)의 내부에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되는 스크류축(460)의 외주면에 파쇄칼날(470)을 형성시켜 된 파쇄스크류(450)를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축(460)은, 내부에 중공부(460a)가 형성되고, 표면에는 상기 중공부에 연통되게 복수개의 열풍배출공(460b)이 형성되며, 상기 스크류축(460)의 일측에는 상기 중공부(460a)로 열풍을 공급하여 상기 파쇄칼날(470)에 의해 분석되는 유병 가축에 존재하는 수분을 건조시키도록 열풍기(480)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처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수단(500)은, 혼합탱크(510)와 그 혼합탱크의 내부에 설치된 교반기(5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처리장치.
KR1020170163377A 2017-11-30 2017-11-30 가축 처리장치 KR102072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377A KR102072743B1 (ko) 2017-11-30 2017-11-30 가축 처리장치
PCT/KR2017/014163 WO2019107633A1 (ko) 2017-11-30 2017-12-05 가축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377A KR102072743B1 (ko) 2017-11-30 2017-11-30 가축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4087A KR20190064087A (ko) 2019-06-10
KR102072743B1 true KR102072743B1 (ko) 2020-02-03

Family

ID=66665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3377A KR102072743B1 (ko) 2017-11-30 2017-11-30 가축 처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72743B1 (ko)
WO (1) WO20191076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45527A (zh) * 2021-01-08 2021-05-28 朗瀚智能装备(江苏)有限公司 一种动物尸体无害化处理破碎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0718A (ja) 1998-10-26 2000-05-12 Sanki:Kk 小動物処分装置およびこの小動物処分装置で生じる固形処理生成物の処理方法
KR101227593B1 (ko) 2010-07-14 2013-01-29 주식회사 가이아 파쇄건조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291B1 (ko) 2007-04-02 2008-07-08 주식회사 환경21 감염 동물의 자동처리장치
KR20110075112A (ko) * 2009-12-28 2011-07-06 강석순 폐사동물을 이용한 퇴비제조장치 및 방법
KR101151385B1 (ko) * 2010-01-29 2012-06-11 이상진 가축 살균 처리용 특장차
KR20120094627A (ko) 2011-02-17 2012-08-27 조영두 병원성 동식물사체 이동처리기
KR20160039403A (ko) * 2014-10-01 2016-04-11 김혜진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탈수 및 분쇄기
KR20160079596A (ko) * 2014-12-26 2016-07-06 이원우 조류인플루엔자로 폐사된 가금류의 현장처리방법 및 현장처리장치
KR101716390B1 (ko) * 2016-07-21 2017-03-14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동물사체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0718A (ja) 1998-10-26 2000-05-12 Sanki:Kk 小動物処分装置およびこの小動物処分装置で生じる固形処理生成物の処理方法
KR101227593B1 (ko) 2010-07-14 2013-01-29 주식회사 가이아 파쇄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4087A (ko) 2019-06-10
WO2019107633A1 (ko) 2019-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6056B1 (ko) 동물사체 처리장치
KR101898152B1 (ko) 폐가축 처리장치
KR101904331B1 (ko) 동물사체 처리장치
KR101111438B1 (ko) 이동식 가축 살처분 사체의 처리방법
KR101716390B1 (ko) 동물사체 처리장치
KR101148154B1 (ko) 가축 살처분 사체의 처리장치
KR101942856B1 (ko) 가축사체, 음식물쓰레기 기타 유기성 폐기물의 분해처리를 위한 이동식 처리장치
KR102141397B1 (ko) 가축동물 사체 및 매몰지 토양의 고열멸균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고열멸균기
KR102072743B1 (ko) 가축 처리장치
KR101801268B1 (ko) 동물사체 처리장치
KR101827490B1 (ko) 소나무 재선충 방제를 위한 수목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1765699B1 (ko) 차량 탑재형 이동식 질병에 걸린 목재 건조 및 탄화장치
KR101813235B1 (ko)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유병 가축 처리장치 및 그 방법
JP5542030B2 (ja) 乾燥処理装置及びそれに使用する撹拌体
KR101539626B1 (ko) 폐사 또는 살처분된 가축 슬러리의 분쇄장치
KR20120094627A (ko) 병원성 동식물사체 이동처리기
KR101991689B1 (ko) 가축동물 사체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KR102462776B1 (ko) 분해효소 사체분해기를 포함하는 가축사체 소멸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화된 가축사체 소멸처리공정
KR102224018B1 (ko) 가축동물 사체의 파쇄선별장치
KR102031797B1 (ko) 동물의 살처분 처리장치
KR102143383B1 (ko) 가축동물 매몰지 토양 복원장치 및 복원방법
JP2002273377A (ja) 動物の死骸発酵処理装置
KR101813236B1 (ko)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폐사 가축 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102054371B1 (ko) 반려동물의 장례에 따른 사체 처리장치
KR101339848B1 (ko) 이동식 가축 살처분 사체의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