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4627A - 병원성 동식물사체 이동처리기 - Google Patents

병원성 동식물사체 이동처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4627A
KR20120094627A KR1020110014000A KR20110014000A KR20120094627A KR 20120094627 A KR20120094627 A KR 20120094627A KR 1020110014000 A KR1020110014000 A KR 1020110014000A KR 20110014000 A KR20110014000 A KR 20110014000A KR 20120094627 A KR20120094627 A KR 201200946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una
flora
carcass
contain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4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두
김중열
Original Assignee
조영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두 filed Critical 조영두
Priority to KR10201100140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94627A/ko
Publication of KR20120094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46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1/00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02C18/009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for waste water or for garb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 B02C18/14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with two or more inter-engaging rotatable cutter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02C23/14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with more than one separ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18Adding fluid, other than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fluid energy
    • B02C23/20Adding fluid, other than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fluid energy after crushing or disintegr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2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radiation, e.g. from the su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3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development of heat within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e.g. by fermentation or other microbiological action
    • F26B3/3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development of heat within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e.g. by fermentation or other microbiological action by using electrical effects
    • F26B3/347Electromagnetic heating, e.g. induction heating or heating using microwave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성을 구비한 고병원성 폐기물 이동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체 투입이 가능하도록 일측에는 투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투입구 폐쇄 시 내부에 밀폐공간이 형성되는 용기와, 상기 용기 내부에서 급속 냉동된 상기 사체를 작은 조각으로 파쇄하는 파쇄부와, 작은 조각으로 파쇄된 상기 사체를 고온으로 가열하여 살균 및 건조하는 살균건조부와, 사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분리하는 이물질분리부와, 각각의 상기 용기, 파쇄부, 살균건조부, 이물질분리부의 구동전력을 공급하는 발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는 내부에 액화질소가 공급될 수 있도록 액화질소 탱크와 연통되며, 상기 용기, 파쇄부, 살균건조부, 이물질분리부, 발전부는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차량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성 동식물사체 이동형 처리기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폐기물 처리기가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므로 가축전염병 발생 지역에서 고병원성 폐기물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병원성 동식물사체 이동처리기{MOVING APPARATUS FOR PATHOGENIC ANIMALS AND PLANTS WASTE TREATMENT}
본 발명은 폐기물 처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병원성 동식물사체 이동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구제역 등이 발생했을 때, 사태의 심각성을 고려해 해당 농장에 대해 즉시 도살 처분조치를 하고, 발생농장의 지형 등을 감안해 농장을 중심으로 반경 500M 이내의 모든 우제류 가축에 대해서도 도살 처분하게 되는데, 이 경우 도살 처분 대상 가축의 수는 수천여 마리에 달하게 된다. 게다가 구제역 등이 확산될 경우 그 도살 처분 대상의 수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게 된다.
구제역, 돼지 콜레라, 조류독감으로 인한 가축의 도살 처분이 늘어남에 따라 환경오염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상당하다. 현행법은 가축전염병의 확산 방지를 위해 도살 처분한 가축을 소각 또는 매몰하도록 하고 있으며, 소각 또는 매몰 시 기준을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가축의 사체 처리를 매몰에 의지하고 있는 우리의 현실에서 긴급히 매몰 처리해야 하는 특수성과 매몰 및 사후처리에 대한 규정이 미흡한 현행법 규정의 실정상 동물의 사체와 같은 고병원성 폐기물을 매몰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또한, 도살 처분된 가축의 매몰로 인한 악취, 토양 및 지하수 오염 등과 같은 2차 오염문제도 지적되고 있는 상황이므로 고병원성 폐기물의 처리에 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축 전염병 발생지점까지 이동 가능한 병원성 동식물사체 이동처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병원성 동식물사체를 완전히 살균하고 침출수가 발생하지 않는 물질로 가공하는 병원성 동식물사체 이동처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체 투입이 가능하도록 일측에는 투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투입구 폐쇄 시 내부에 밀폐공간이 형성되는 용기와, 상기 용기 내부에서 급속 냉동된 상기 사체를 작은 조각으로 파쇄하는 파쇄부와, 작은 조각으로 파쇄된 상기 사체를 고온으로 가열하여 살균 및 건조하는 살균건조부와, 사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분리하는 이물질분리부와, 각각의 상기 용기, 파쇄부, 살균건조부, 이물질분리부의 구동전력을 공급하는 발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는 내부에 액화질소가 공급될 수 있도록 액화질소 탱크와 연통되며, 상기 용기, 파쇄부, 살균건조부, 이물질분리부, 발전부는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차량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성 동식물사체 이동형 처리기를 제공한다.
상기 사체를 급속 냉동시키기 전에 상기 용기 내부에 질소를 서서히 주입하여 상기 사체를 안락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기는 내부와 외부가 단열되며, 상기 용기 내부에 액화질소를 공급하여 사체를 급속 냉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기에 수용된 상기 사체를 액화질소에 침전시켜서 급속 냉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기에 수용된 상기 사체에 액화질소를 분사해서 급속 냉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쇄부에는 급속 냉동된 사체를 작은 조각으로 파쇄할 수 있도록 평행하게 배열된 한 쌍 또는 다수 쌍의 파쇄롤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체는 한 쌍 또는 다수 쌍의 상기 파쇄롤러 사이에서 압착되어 파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급속 냉동된 사체를 상기 파쇄부로 옮기는 크레인이 더 포함되며, 상기 크레인에는 상기 사체가 상기 파쇄부로 투입되기 전에 예비 파쇄될 수 있도록 집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살균건조부에는 상기 사체가 살균 및 건조될 수 있도록 가열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열부재는 마이크로파를 발생시키는 전자파발생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열부재는 복사열을 발생시키는 복사열발생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열부재는 고온의 수증기를 제공하는 보일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열부재는 고온의 열풍을 공급할 수 있도록 히터와 송풍팬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살균건조부에는 상기 사체가 살균 및 건조되는 동안 발생하는 침출수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살균건조부에는 상기 사체가 산성계 또는 염기성계 약품에 의해 추가적으로 살균될 수 있도록 보조살균기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체는 병원균에 감염된 가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체는 병원균에 감염된 인간의 시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체는 병원균에 감염된 식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기, 액화질소 탱크는 이동차량에 모듈화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기, 파쇄부는 이동차량에 모듈화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쇄부, 발전부는 이동차량에 모듈화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병원성 동식물사체 이동처리기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식으로 구성되므로 가축 전염병 발생지역에서 신속하게 처리가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에 의하면, 살균건조과정에서 동식물사체에 포함된 액체성분이 제거되므로 침출수가 발생하지 않아서 2차 오염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에 의하면, 처리 규모에 맞게 장비의 다양한 조립이 가능하고,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에 의하면, 동식물사체에 포함된 이물질이 제거되므로 비료나 사료로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병원성 동식물사체 이동처리기의 용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병원성 동식물사체 이동처리기의 파쇄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병원성 동식물사체 이동처리기의 살균건조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병원성 동식물사체 이동처리기의 이물질분리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병원성 동식물사체 이동처리기의 발전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병원성 동식물사체 이동처리기의 액화질소 탱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병원성 동식물사체 이동처리기의 용기와 액화질소 탱크를 모듈화하여 설치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병원성 동식물사체 이동처리기의 용기와 파쇄부를 모듈화하여 설치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병원성 동식물사체 이동처리기의 파쇄부와 발전부를 모듈화하여 설치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병원성 동식물사체 이동처리기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병원성 동식물사체 이동처리기의 용기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병원성 동식물사체 이동처리기의 파쇄부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병원성 동식물사체 이동처리기의 살균건조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병원성 동식물사체 이동처리기의 이물질분리부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병원성 동식물사체 이동처리기의 발전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병원성 동식물사체 이동처리기의 액화질소 탱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사체 투입이 가능하도록 일측에는 투입구(110)가 형성되며, 상기 투입구(110) 폐쇄 시 내부에 밀폐공간이 형성되는 용기(100)와, 상기 용기(100) 내부에서 급속 냉동된 상기 사체를 작은 조각으로 파쇄하는 파쇄부(200)와, 작은 조각으로 파쇄된 상기 사체를 살균 및 건조하는 살균건조부(300)와, 사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분리하는 이물질분리부(400)와, 각각의 상기 용기(100), 파쇄부(200), 살균건조부(300), 이물질분리부(400)의 구동전력을 공급하는 발전부(500)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100)는 내부에 액화질소가 공급될 수 있도록 액화질소 탱크(10)와 연통되며, 상기 용기(100), 파쇄부(200), 살균건조부(300), 이물질분리부(400), 발전부(500)는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차량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성 동식물사체 이동형 처리기를 제공한다.
상기 용기(10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체를 투입할 수 있도록 상기 투입구(110)가 형성된다. 상기 투입구(110)에는 별도의 도어부재(미도시)가 구비되며, 상기 도어부재(미도시)는 상기 용기(100)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도어부재(미도시)에 의해 상기 용기(100)가 폐쇄되면 상기 용기(100) 내부는 외부와 격리된 밀폐공간이 된다.
상기 용기(100)는 기본적으로 내부에 수용되는 사체가 급속 냉동될 수 있도록 액화질소를 수용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액화질소는 고압(1 MPa)의 상태로 관리되는데, 이러한 액화질소가 대기압(101.3 kPa) 하에 노출될 경우 액체 상태로 존재하던 질소는 기화되면서 대략 -196 ℃까지 급격하게 낮아지게 된다.
이러한 액화질소를 이용해서 폐기물을 급속 냉동시키게 되면 폐기물에 포함된 바이러스 등이 폐기물과 함께 냉동되면서 주변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파쇄나 건조와 같은 이 후의 처리과정에서 냄새가 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급속 냉동된 폐기물은 결정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약한 충격을 가해도 용이하게 파쇄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질소는 대기 중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기체로서,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는다는 이점도 있다.
상기 용기(100) 내부에서 액화질소에 의해 급속 냉동된 상기 사체는 도 2에 도시된 상기 파쇄부(200)로 옮겨져서 작은 조각으로 파쇄된다. 대략 100mm 이하의 크기로 파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은 조각으로 파쇄된 상기 사체는 도 3에 도시된 상기 살균건조부(300)로 옮겨지게 된다. 상기 살균건조부(300)에서는 상기 사체를 고온으로 가열하여 상기 사체에 포함된 수분과 병원균을 완전하게 제거한다. 구제역 바이러스의 경우 76℃ 이상의 온도에서 10초 이상 가열하면 완전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조류독감 바이러스의 경우 80℃ 이상의 온도에서 1분 이상 가열하면 완전하게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사체를 작은 조각으로 파쇄해서 상기 살균건조부(300)에 투입시키면 외부로 노출된 면적이 넓기 때문에 상기 사체를 용이하게 건조 및 살균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후 도 4에 도시된 상기 이물질분리부(400)에서는 상기 사체에 포함된 금속이나 비금속과 같은 이물질을 분리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이물질이 분리되면 상기 사체는 사료나 비료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용기(100), 파쇄부(200), 살균건조부(300), 이물질분리부(400)가 구동되기 위해서는 구동전력이 공급되어야 한다. 주변에서 전력 공급이 가능한 경우에는 문제가 없지만, 인근에 사람이 거의 살고 있지 않은 격오지 등에서는 전력 공급이 수월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용기(100), 파쇄부(200), 살균건조부(300), 이물질분리부(400)가 구동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전부(500)를 구비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이동형 발전기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차량에 설치된 제너레이터(generator)가 상기 발전부(500)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제너레이터는 차량에 설치된 발전기를 의미하며, 엔진의 크랭크축과 연결되어 엔진 회전 시 이를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전력 공급이 수월하지 않은 장소에서도 상기 사체의 처리가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용기(100)는 내부에 수용되는 사체가 급속 냉동될 수 있도록 액화질소를 수용하는 용도로 사용되며, 이를 위해 상기 용기(100)는 도 6에 도시된 상기 액화질소 탱크(10)와 연통된다.
본 발명은 상기 용기(100), 파쇄부(200), 살균건조부(300), 이물질분리부(400), 발전부(500)를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차량에 설치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가축 전염병 발생지역에서 신속하게 처리가 가능하며, 처리 규모에 맞게 장비의 다양한 조립이 가능하고,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병원성 동식물사체 이동처리기는 병원균에 감염된 가축, 인간의 시체, 식물 등을 처리 가능하다.
상기 사체를 급속 냉동시키기 전에 상기 용기(100) 내부에 질소를 서서히 주입하여 상기 사체를 안락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경우에 따라 완전하게 숨이 끊어지지 않은 사체가 상기 용기(100) 내부에 투입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대량의 가축이 구제역과 같은 전염병에 의해 감염되는 경우에 특히 그러하다. 이러한 경우 상기 용기(100)는 가축을 안락사시키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용기(100) 내부에 숨이 끊어지지 않은 가축을 투입하고 상기 도어부재(미도시)로 상기 투입구(110)를 폐쇄하면 외부 공기가 상기 용기(100) 내부로 유입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일정 시간 경과하게 되면 상기 용기(100) 내부에 수용된 공기에 포함된 산소가 모두 고갈되어 가축이 사망하게 된다.
다만, 상기 용기(100)의 크기에 따라 내부에 수용된 공기의 양이 달라지며, 이러한 공기에 포함된 산소가 모두 고갈되기 위해서는 긴 시간이 소요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용기(100) 내부로 질소를 서서히 주입한다. 이때, 주입되는 질소에 의해 상기 용기(100) 내부에 수용된 공기가 밀려나면서 배출될 수 있도록 별도의 배출구(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질소를 주입해서 공기를 밀어낼 경우 가축이 안락사하게 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 용기(100)는 내부와 외부가 단열되며, 상기 용기(100) 내부에 액화질소를 공급하여 사체를 급속 냉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기(100)는 내, 외부가 단열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사체 급속 냉동 시 사용되는 액화 질소가 용이하게 기화될 수 없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사체는 상기 액화질소 탱크(10)에서 공급되는 액화질소에 침전되는 방법으로 급속 냉동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액화질소 탱크(10)에서 공급되는 액화질소를 상기 사체에 분사하는 방법으로 상기 사체를 급속 냉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은 상기 사체의 크기에 따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나 돼지와 같이 부피가 큰 가축의 경우 쉽게 냉동되지 않기 때문에 액화질소에 침전시키는 방법이 적당하며, 닭이나 오리와 같이 부피가 작은 가축은 쉽게 냉동되기 때문에 액화질소를 분사해서 급속 냉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쇄부(200)에는 급속 냉동된 사체를 작은 조각으로 파쇄할 수 있도록 평행하게 배열된 한 쌍 또는 다수 쌍의 파쇄롤러(21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쇄부(200)에는 한 쌍의 상기 파쇄롤러(21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대량의 폐기물을 연속하여 처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 사체는 한 쌍의 상기 파쇄롤러(210) 상부를 통해 연속적으로 공급되며, 작은 조각으로 파쇄된 상기 사체는 한 쌍의 상기 파쇄롤러(210) 하부를 통해 토출된다.
상기 사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인접하게 설치된 한 쌍의 상기 파쇄롤러(210) 사이를 관통하게 되며, 상기 파쇄롤러(210)는 상기 사체를 압착해서 파쇄하게 된다.
상기 파쇄롤러(210)는 평행하게 배열된 다수 쌍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때, 다수 쌍의 상기 파쇄롤러(210)는 상하 일렬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상기 파쇄부(200)에 투입되는 상기 사체가 중력에 의해 하향 이동하면서 여러 번의 파쇄과정을 거치면서 균일하게 파쇄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급속 냉동된 사체를 상기 파쇄부(200)로 옮기는 크레인(20)이 더 포함되며, 상기 크레인(20)에는 상기 사체가 상기 파쇄부(200)로 투입되기 전에 예비 파쇄될 수 있도록 집게(2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소나 돼지와 같이 부피가 큰 가축을 한 번에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의 크기로 작게 파쇄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으며, 파쇄를 위해 소모되는 에너지도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크레인(20)이 설치되며, 상기 크레인(20)에는 상기 집게(21)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상기 크레인(20)에 구비된 상기 집게(21)가 급속 냉동된 상기 사체를 상기 파쇄부(200)에 투입시키기 전에 물리적인 힘을 가해서 1차적으로 예비 파쇄하기 때문에 상기 파쇄부(200)에서 상기 사체를 용이하게 파쇄할 수 있으며, 상기 파쇄부(200)에서 소모되는 에너지도 감소하게 된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 사체를 각 과정별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각각의 이동차량에도 상기 크레인(20)과 집게(21)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체는 별도로 구비되는 컨베어벨트(미도시)를 통해 옮겨질 수도 있다.
상기 살균건조부(300)에는 상기 사체가 살균 및 건조될 수 있도록 가열부재(31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사체에 포함된 수분과 구제역 바이러스, 조류독감 바이러스 등의 병원균을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살균건조부(300)에는 상기 가열부재(310)가 구비된다. 상기 가열부재(310)는 상기 사체를 고온으로 가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열부재(310)로서 마이크로파를 발생시키는 전자파발생기가 사용될 수 있다. 주파수가 매우 높은 전자파를 특히 마이크로파라고 한다. 전자파를 주파수에 따라 분류하면 30~300kHz를 장파, 300~3,000kHz를 중파, 3,000MHz(3GHz)~30GHz를 centimeter파, 30~300GHz를 millimeter파, 300GHz 이상을 submillimeter파라고 부르고 있다. 이 중 300MHz~30GHz까지의 전자파를 마이크로파라고 말하고 있다. 마이크로파와 같이 파장이 짧으면 광파와 유사한 성질을 가지게 되어 직진, 반산, 흡수의 성질을 가진다. 따라서 통신(전파의 전송)에 광범위하게 이용되는 것 이외에 초단파 유전가열에 의한 식품의 가열, 냉동식품의 해동, 식품의 간이살균, 식품 중의 해충의 살균 등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가열부재(310)로서 복사열을 발생시키는 복사열발생기가 사용될 수 있다. 복사열은 물체에서 방출하는 전자기파를 직접 물체가 흡수하여 열로 변했을 때의 에너지를 말한다. 이와 같은 복사열을 이용해서 상기 사체를 고온으로 가열할 경우 대류나 전도와 같은 현상을 거치지 않고 열이 직접 전달되기 때문에 열의 전달이 순간적으로 일어나게 되며, 이를 통해 상기 사체를 순간적으로 가열해서 살균 및 건조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 가열부재(310)는 고온의 수증기를 제공하는 보일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일러는 열원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화석연료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가열부재(310)로서 고온의 열풍을 공급할 수 있도록 히터와 송풍팬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사체에 고온의 열풍을 가하면 살균 및 건조가 순간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살균 및 건조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된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 살균건조부(300)에는 상기 사체가 살균 및 건조되는 동안 발생하는 침출수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조(32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체가 고온으로 가열되어 살균 및 건조되는 동안 수분과 병원균이 제거되지만, 완전하게 제거되지 않고 남아있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사체에 잔존하는 수분은 상기 사체가 고온으로 가열됨에 따라 액체 상태로 변하게 되어 상기 사체 외부로 흘러나오게 된다. 이러한 침출수에는 제거되지 않고 잔존하는 병원균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로 버리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침출수가 수용될 수 있는 별도의 수조(320)를 구비한다. 상기 수조(320)에 수용된 침출수에는 병원균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의 살균과정을 거쳐서 외부에 버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살균건조부(300)에는 상기 사체가 산성계 또는 염기성계 약품에 의해 추가적으로 살균될 수 있도록 보조살균기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체에 포함된 병원균은 상기 살균건조부(300)에서 살균 및 건조되는 과정을 통해 제거되는데, 모든 병원균이 제거되지 않는 경우를 대비해서 상기 살균건조부(300)에는 상기 보조살균기가 더 포함된다.
즉, 상기 사체는 상기 살균건조부(300)에서 1 차적으로 살균되고, 상기 보조살균기에서 2 차적으로 살균되는 것이다. 다만, 상기 살균건조부(300)는 상기 사체를 고온으로 가열하여 살균하는데 반해, 상기 보조살균기는 산성계 또는 염기성계 약품을 사용해서 살균하게 된다. 사용될 수 있는 약품으로는 산소계산화제, 염소계산화제, 산성제, 염기제, 알데하이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병원성 동식물사체 이동처리기의 용기와 액화질소 탱크를 모듈화하여 설치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병원성 동식물사체 이동처리기의 용기와 파쇄부를 모듈화하여 설치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병원성 동식물사체 이동처리기의 파쇄부와 발전부를 모듈화하여 설치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병원성 동식물사체 이동처리기는 처리 규모에 맞게 각각의 장비를 묶어 모듈화할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100)와 액화질소 탱크(10)를 모듈화하여 이동차량에 설치하는 것이다. 또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100)와 파쇄부(200)를 모듈화하거나, 상기 파쇄부(200)와 발전부(500)를 모듈화하여 이동차량에 설치할 수 있다.
이 밖에 다른 조합으로 모듈화해서 이동차량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각각의 장비를 모듈화하여 이동차량에 설치하면 처리 규모에 맞게 신속한 이동이 가능하며, 유지, 보수가 용이해진다는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 액화질소 탱크 20 : 크레인
21 : 집게 100 : 용기
110 : 투입구 200 : 파쇄부
210 : 파쇄롤러 300 : 살균건조부
310 : 가열부재 320 : 수조
400 : 이물질분리부 500 : 발전부

Claims (21)

  1. 사체 투입이 가능하도록 일측에는 투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투입구 폐쇄 시 내부에 밀폐공간이 형성되는 용기;
    상기 용기 내부에서 급속 냉동된 상기 사체를 작은 조각으로 파쇄하는 파쇄부;
    작은 조각으로 파쇄된 상기 사체를 고온으로 가열하여 살균 및 건조하는 살균건조부;
    사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분리하는 이물질분리부;
    각각의 상기 용기, 파쇄부, 살균건조부, 이물질분리부의 구동전력을 공급하는 발전부;
    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는 내부에 액화질소가 공급될 수 있도록 액화질소 탱크와 연통되며,
    상기 용기, 파쇄부, 살균건조부, 이물질분리부, 발전부는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차량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성 동식물사체 이동형 처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체를 급속 냉동시키기 전에 상기 용기 내부에 질소를 서서히 주입하여 상기 사체를 안락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성 동식물사체 이동형 처리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내부와 외부가 단열되며,
    상기 용기 내부에 액화질소를 공급하여 사체를 급속 냉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성 동식물사체 이동형 처리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에 수용된 상기 사체를 액화질소에 침전시켜서 급속 냉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성 동식물사체 이동형 처리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에 수용된 상기 사체에 액화질소를 분사해서 급속 냉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성 동식물사체 이동형 처리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부에는 급속 냉동된 사체를 작은 조각으로 파쇄할 수 있도록 평행하게 배열된 한 쌍 또는 다수 쌍의 파쇄롤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성 동식물사체 이동형 처리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체는 한 쌍 또는 다수 쌍의 상기 파쇄롤러 사이에서 압착되어 파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성 동식물사체 이동형 처리기.
  8. 제1항에 있어서,
    급속 냉동된 사체를 상기 파쇄부로 옮기는 크레인이 더 포함되며,
    상기 크레인에는 상기 사체가 상기 파쇄부로 투입되기 전에 예비 파쇄될 수 있도록 집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성 동식물사체 이동형 처리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건조부에는 상기 사체가 살균 및 건조될 수 있도록 가열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성 동식물사체 이동형 처리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재는 마이크로파를 발생시키는 전자파발생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성 동식물사체 이동형 처리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재는 복사열을 발생시키는 복사열발생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성 동식물사체 이동형 처리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재는 고온의 수증기를 제공하는 보일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성 동식물사체 이동형 처리기.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재는 고온의 열풍을 공급할 수 있도록 히터와 송풍팬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성 동식물사체 이동형 처리기.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건조부에는 상기 사체가 살균 및 건조되는 동안 발생하는 침출수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성 동식물사체 이동형 처리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건조부에는 상기 사체가 산성계 또는 염기성계 약품에 의해 추가적으로 살균될 수 있도록 보조살균기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성 동식물사체 이동형 처리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체는 병원균에 감염된 가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성 동식물사체 이동형 처리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체는 병원균에 감염된 인간의 시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성 동식물사체 이동형 처리기.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체는 병원균에 감염된 식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성 동식물사체 이동형 처리기.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액화질소 탱크는 이동차량에 모듈화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성 동식물사체 이동형 처리기.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파쇄부는 이동차량에 모듈화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성 동식물사체 이동형 처리기.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부, 발전부는 이동차량에 모듈화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성 동식물사체 이동형 처리기.
KR1020110014000A 2011-02-17 2011-02-17 병원성 동식물사체 이동처리기 KR201200946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000A KR20120094627A (ko) 2011-02-17 2011-02-17 병원성 동식물사체 이동처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000A KR20120094627A (ko) 2011-02-17 2011-02-17 병원성 동식물사체 이동처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4627A true KR20120094627A (ko) 2012-08-27

Family

ID=46885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4000A KR20120094627A (ko) 2011-02-17 2011-02-17 병원성 동식물사체 이동처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9462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07633A1 (ko) * 2017-11-30 2019-06-06 장영현 가축 처리장치
KR102162875B1 (ko) * 2020-03-24 2020-10-07 부성정밀(주) 유닛화된 동물사체 처리장치
KR102479008B1 (ko) * 2022-03-02 2022-12-20 정경온 동물 사체를 이용한 펠릿형 압축비료 제조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07633A1 (ko) * 2017-11-30 2019-06-06 장영현 가축 처리장치
KR20190064087A (ko) 2017-11-30 2019-06-10 장영현 가축 처리장치
KR102162875B1 (ko) * 2020-03-24 2020-10-07 부성정밀(주) 유닛화된 동물사체 처리장치
KR102479008B1 (ko) * 2022-03-02 2022-12-20 정경온 동물 사체를 이용한 펠릿형 압축비료 제조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8070B1 (ko) 이동식 가축 살처분 사체의 처리장치
KR101111438B1 (ko) 이동식 가축 살처분 사체의 처리방법
KR101067012B1 (ko) 이동식 가축 살처분 사체의 처리장치
US20090060779A1 (en) Apparatus for the thermal treatment of organics materials and method therefor
KR101148154B1 (ko) 가축 살처분 사체의 처리장치
KR101623196B1 (ko) 동물의 친환경 살처분 방법
US2007019785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ment and disposal of waste material
KR101926259B1 (ko) 마이크로파 및 열풍을 이용한 의료폐기물처리방법
KR101801268B1 (ko) 동물사체 처리장치
KR102141397B1 (ko) 가축동물 사체 및 매몰지 토양의 고열멸균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고열멸균기
CN104529566A (zh) 一种牧畜养殖业病死畜禽无害化处理系统
KR20120094627A (ko) 병원성 동식물사체 이동처리기
KR102002352B1 (ko) 동물 사체 사료화 장치
KR101260653B1 (ko) 이동식 살처분 소각장치
KR102237796B1 (ko) 고감염성 동물 사체를 처리하여 연료를 제조하는 장치
KR102031797B1 (ko) 동물의 살처분 처리장치
KR101339848B1 (ko) 이동식 가축 살처분 사체의 처리장치
KR101991689B1 (ko) 가축동물 사체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KR101370569B1 (ko) 고병원성 폐기물 이동처리기
KR20210008892A (ko) 폐사체 처리 장치
CN204817446U (zh) 家禽尸体干粉法消毒处理自动生产线系统
KR102143383B1 (ko) 가축동물 매몰지 토양 복원장치 및 복원방법
KR102072743B1 (ko) 가축 처리장치
KR102237795B1 (ko) 고감염성 동물 사체를 처리하여 연료를 제조하는 방법
KR20120014980A (ko) 친환경 화장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