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8892A - 폐사체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폐사체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8892A
KR20210008892A KR1020210005355A KR20210005355A KR20210008892A KR 20210008892 A KR20210008892 A KR 20210008892A KR 1020210005355 A KR1020210005355 A KR 1020210005355A KR 20210005355 A KR20210005355 A KR 20210005355A KR 20210008892 A KR20210008892 A KR 202100088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poultry
drying
heater
d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5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흥순
Original Assignee
김흥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흥순 filed Critical 김흥순
Priority to KR1020210005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8892A/ko
Publication of KR20210008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88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9B3/008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1/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 F26B11/0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moving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 F26B11/028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exhaust of gaseous drying medium for direct heat transfer, e.g. perforated tubes, annular passages, burner arrangements, dust separation, combined direct and indirect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1/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 F26B11/1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stationary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with moving stirr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1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duction, i.e. the heat is conveyed from the heat source, e.g. gas flam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direct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금류 폐사체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금류 분쇄물을 가열된 열매체유를 이용하여 건조하는 기존 장치 단점인 낮은 건조 효율을 보완하기 위하여 폐사된 가금류의 분쇄물을 열매체유 및 교반기 히터를 이용한 2중 가열 방식으로 폐사체 분쇄물을 완전 건조시키는 시간을 단축시켜 건조 효율이 증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사체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토출물에 따른 2차 환경 오염 없이 사료 및 퇴비로 재활용 가능하며, 가금류 폐사체 처리 효율 증대 및 건조 시간을 단축함으로써 경제적으로 가금류를 처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폐사체 처리 장치{Device for disposal of livestock body}
본 발명은 가금류 폐사체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금류 분쇄물을 가열된 열매체유를 이용하여 건조하는 기존 장치 단점인 낮은 건조 효율을 보완하기 위하여 폐사된 가금류의 분쇄물을 열매체유 및 교반기 히터를 이용한 2중 가열 방식으로 폐사체 분쇄물의 완전 건조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켜 건조 효율이 증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사체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산농가에서는 주기적으로 가축의 예방접종을 실시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해마다 축산농가에서는 각종 질병이나 전염병 등에 감염되어 폐사되는 가축으로 인해 경제적으로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와 같이 가축이 폐사되면, 축산농가는 가축을 잃게 되는 1차적인 손해뿐만 아니라, 폐사된 가축의 사체를 오 염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처리해야 하는 처리작업으로 인해 다시 2차적인 손실을 입게 되는데, 종래 대부분의 축산 농가에서는 이와 같은 폐사된 가축의 사체를 땅속에 매장시켜서 처리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가축의 폐사체를 땅속에 매장시키게 되면, 폐사체로부터 나오는 병원균이 다른 가축이나 사람에게 전염되거나, 땅속 지하수가 폐사체의 병원균에 의해 오염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닭, 오리, 야생 조류와 같은 가금류의 급성전염병인 조류독감(AI, Avian influenza) 또한, 항바이러스제를 투여하는 치료법을 사람 이외에 일일이 적용하기 힘들어 양계장 등에 한 번 발생하게 되면, 높은 치사율과 그 전염력으로 인해 대량의 가금류가 폐사되어 역시 매몰 처리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소, 돼지, 양, 염소, 순록 등과 같은 우제류 가축의 급성전염병인 구제역은 치사율이 5~55%에 달하고, 그 치료법이 특별히 제시되고 있지 않아 한 번 발생하게 되면, 대량의 우제류가 폐사되어 매몰 처리되고 있다.
폐기물관리법 의하면 가축전염병 예방법 제22조제2항, 제23조, 제33조 및 제44조가 적용되는 가축의 사체 이외의 양계산업에서 발생되는 동물 사체는 일반폐기물로 취급되어 소각이나 파쇄 등의 중간처분을 거쳐 관리형 매립지에 매립하는 최종처분을 하는 것이 원칙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은 현실적으로 일반 농장에 적용하기가 어려워 다수의 농장에서는 퇴비나 불법 매립으로 처리되고 있다.
현재 가축 폐사체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며, 기본적으로 가축 폐사체를 소정의 크기로 파쇄시키는 공정과, 파쇄된 폐사체를 저장조나 건조기 등을 통해 작은 입자의 건조 고형물로 만드는 공정 등이 있다. 병원균에 감염된 가축의 경우, 폐사시에 진공 밀폐된 공간에 가축의 폐사체를 수용시킨 상태에서 고온 고압의 증기를 가하여 병원균을 살균시킴으로써 가축의 사체를 처리하고, 이렇게 처리된 가축 폐사체의 처리부산물을 다른 가축의 사료나 비료로써 이용할 수 있도록 마련된 폐사체 처리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퇴비를 목적으로 사용할 경우 자연 부패가 되어 악취는 물론 수질 오염의 원인으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694481호에는 가축 폐사체의 처리장치에 관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는데, 구체적으로 파쇄롤들로 구성되는 고정자와, 고정자에 대하여 상호 맞대어 배치되고 가압롤들로 구성되는 가동자와, 폐사체의 크기에 따라 고정자와 가동자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제1,2 간격조절부재와, 폐사체의 파쇄물을 재절단시키며 건조시키는 건조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선행기술은, 파쇄폭을 자유로이 가변시키면서 크기가 작은 폐사체나, 비교적 골격이 큰 우ㆍ돈 등의 가 축 폐사체 모두를 간편히 처리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기는 하지만, 제시된 구조만으로는 파쇄나 절단시 가축 폐사체에서 토출될 수밖에 없는 혈액 등의 액상물에 대한 깔끔한 처리가 수반되지 못하므로, 처리장치 주변의 오염이나 작업자의 불쾌감 등이 유발될 수 있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또한 토출되는 액상물에 대한 처리를 문제 삼지 않더라도 폐사체에 함유된 액상물을 인위적으로 배출시키지 않고 그대로 건조기를 통한 건조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 건조효율이 크게 저하됨은 물론, 폐사 가축의 처리에 장시간이 소요되어 장치의 경제적인 운용이 이루어지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자들은 현재 가금류의 폐사체 처리시 토출되는 액상에 따른 환경 오염을 저감은 물론 건조 시간을 단축하여 효율을 향상 시키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기존 가금류 폐사체 처리시 열매체유를 가열하여 발생되는 열 및 교반기 히터 열의 2중 가열 방식을 이용할 경우, 가금류 폐사체의 분쇄 후 건조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3시간 이상 단축시키고 폐사체 처리 효율이 증대되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금류 폐사체를 처리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금류 폐사체를 처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덮개; (b) 상기 덮개를 통하여 투입된 폐사된 가금류를 분쇄하는 분쇄기; (c) 상기 분쇄기에서 이동된 분쇄물을 건조하는 탱크; (d) 상기 탱크 내부에 장착되어 분쇄물을 교반하는 교반기; (e) 상기 탱크 하부에 설치되어 교반 탱크에 열을 전달하는 열매체유; (f) 상기 탱크 하부측면에 설치되어 있고, 그 내부에 열매체유를 함유하는 하부히터; (g) 상기 탱크 상부측면에 설치되어 분쇄물에 직접적으로 열을 전달하는 상부히터; (h) 상기 탱크 상부측면에 설치된 유증기 배출 노즐; 및 (i) 상기 탱크 중간에 연결되는 건조된 폐사체 투출구를 포함하는 2중 가열 방식 기반 폐사체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a)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덮개를 통하여 폐사된 가금류를 투입하여 분쇄기에서 분쇄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의 폐사체 분쇄물을 내부에 교반기가 장착되어 있는 탱크로 이동시키는 단계; (c) 상부히터 및 하부히터를 이용하여 2중 가열 방식으로 분쇄물을 완전 건조시키는 단계; (d) 상기 분쇄물이 건조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유증기를 수증기로 전환시켜 배출시키는 단계; (e) 상기 (c)단계의 완전 건조 분쇄물이 형성되면, 자동히터 전원차단을 통하여 탱크 내 열을 식히는 단계; 및 (f) 상기 완전 건조 분쇄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폐사체 처리장치를 이용한 처리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토출물에 따른 2차 환경 오염 없이 사료 및 퇴비로 재활용 가능하며, 가금류 폐사체 처리 효율 증대 및 건조 시간을 단축함으로써 경제적으로 가금류를 처리할 수 있다.
도 1은 가금류 폐사체 처리 장치의 정면 개요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2는 가금류 폐사체 처리 장치의 측면 개요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3은 건조시간에 따른 장치 내 온도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가금류 분쇄물을 가열된 열매체유를 이용하여 건조하는 기존 장치의 단점인 낮은 건조 효율을 보완하기 위하여 폐사된 가금류의 분쇄물을 상부히터 및 하부히터를 이용한 2중 가열 방식을 이용할 경우 폐사체 분쇄물을 완전 건조시키는 시간이 현저하게 단축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a)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덮개; (b) 상기 덮개를 통하여 투입된 폐사된 가금류를 분쇄하는 분쇄기; (c) 상기 분쇄기에서 이동된 분쇄물을 건조하는 탱크; (d) 상기 탱크 내부에 장착되어 분쇄물을 교반하는 교반기; (e) 상기 탱크 하부에 설치되어 교반 탱크에 열을 전달하는 열매체유; (f) 상기 탱크 하부측면에 설치되어 있고, 그 내부에 열매체유를 함유하는 하부히터; (g) 상기 탱크 상부측면에 설치되어 분쇄물에 직접적으로 열을 전달하는 상부히터; (h) 상기 탱크 상부측면에 설치된 유증기 배출 노즐; 및 (i) 상기 탱크 중간에 연결되는 건조된 폐사체 투출구를 포함하는 2중 가열 방식 기반 폐사체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부히터는 탱크 내 분쇄물에 직접적으로 열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부히터는 열매체유를 가열하여 탱크에 열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2중 가열 방식은 상부 히터와 하부히터를 이용하여 가금류 분쇄물을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증기 배출 노즐은 내열 실리콘 호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내열 실리콘 호스는 S LINE 형태를 유지하여 유증기가 이동 중 수증기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즐기 배출 노즐은 폐사체 분쇄물을 건조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유증기를 자바라 호스를 이용하여 증기 온도를 낮추어 수증기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교반 탱크는 우측측면에 열매체유 온도센서 및 교반기 온도 센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부히터는 탱크 내 분쇄물에 직접적으로 열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부히터는 열매체유를 가열하여 탱크에 열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2중 가열 방식을 이용한 처리 장치를 이용할 경우 최종 토출되는 건조 분쇄물 내 잔여 수분이 남지 않아 기존 폐사체 처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토사물에 의한 2차 오염을 예방할 수 있으며, 폐사체 분쇄물이 완전 건조에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킴으로써 건조 효율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a)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덮개를 통하여 폐사된 가금류를 투입하여 분쇄기에서 분쇄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의 폐사체 분쇄물을 내부에 교반기가 장착되어 있는 탱크로 이동시키는 단계; (c) 상부히터 및 하부히터를 이용하여 2중 가열 방식으로 분쇄물을 완전 건조시키는 단계; (d) 상기 분쇄물이 건조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유증기를 수증기로 전환시켜 배출시키는 단계; (e) 상기 (c)단계의 완전 건조 분쇄물이 형성되면, 자동히터 전원차단을 통하여 탱크 내 열을 식히는 단계; 및 (f) 상기 완전 건조 분쇄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폐사체 처리장치를 이용한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에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실시예 1: 가금류 폐사체 처리 장치 제작
가금류 폐사체 처리 장치는 폐사체의 건조 시간 단축 및 분쇄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열매체유 및 교반기에 히터와 온도 센서를 설치하여 분쇄물을 2중 가열하는 방식으로, 폐사체 투입구, 폐사체 분쇄 및 파쇄기, 교반 탱크, 열매체유, 분쇄기 및 교반기 모터, 열매체유 및 교반기, 건조 분쇄물 투출구로 구성되며, 교반 탱크 상단에 설치되는 유분 배출구를 통하여 건조 과정에서 발생되는 유증기를 자바라 호스를 유증기 배출구에 연결하여 가금류 폐사체 처리 장치를 완성하였다.
실시예 2: 가금류 폐사체 처리 장치를 이용한 처리 방법
열매체유 및 탱크에 히터를 이용하여 분쇄물을 2중 가열하는 방식의 본원 발명에 따라 제작된 가금류 폐사체 처리 장치와, 기존 열매체유를 히터로 가열하여 건조하는 타사의 처리 장치를 이용하여 가금류 폐사체의 건조 시간을 측정한 결과는 도 3과 같다.
일반적으로 열매체유 온도가 150℃에서 폐사체 분쇄물이 완전 건조형태가 되며 이후 60℃에서 건조 분쇄물을 수거 가능하므로, 본원 발명의 2중 가열 방식을 이용한 처리 장치를 이용할 경우 평균 8시간으로, 기존 처리 장치를 이용할 경우 평균 11시간 소요되는 것과 비교하여 현저하게 단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열된 열매체유에서 발생되는 열 뿐만 아니라 교반기내에 직접적으로 히터로 가열하는 2중 가열 방식으로 교반 탱크의 내부 온도 상승으로 분쇄물을 고온 건조하여, 최종 퇴출되는 건조 분쇄물은 잔여 수분이 남아 있지 않아 장기 보관으로 발생할 수 있는 곰팡이 등에 따른 오염, 또는 악취 발생에 따른 2차 오염을 예방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100: 폐사체 투입구
200: 폐사체 분쇄 및 파쇄기
300: 분쇄 및 파쇄기 구동 모터
400: 교반기 구동 모터
500: 폐사체 교반 탱크
600: 열매체유 히터
610: 열매체유 온도 센서
700: 교반기 히터
710: 교반기 온도 센서
800: 유증기 배출 노즐
900: 폐사체 투출구

Claims (4)

  1. 다음의 구성을 포함하는 2중 가열방식 기반 폐사체 처리장치:
    (a)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덮개;
    (b) 상기 덮개를 통하여 투입된 폐사된 가금류를 분쇄하는 분쇄기;
    (c) 상기 분쇄기에서 이동된 분쇄물을 건조하는 탱크;
    (d) 상기 탱크 내부에 장착되어 분쇄물을 교반하는 교반기;
    (e) 상기 탱크 하부에 설치되어 교반 탱크에 열을 전달하는 열매체유;
    (f) 상기 탱크 하부측면에 설치되어 있고, 그 내부에 열매체유를 함유하는 하부히터;
    (g) 상기 탱크 상부측면에 설치되어 분쇄물에 직접적으로 열을 전달하는 상부히터;
    (h) 상기 탱크 상부측면에 설치된 유증기 배출 노즐; 및
    (i) 상기 탱크 중간에 연결되는 건조된 폐사체 투출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증기 배출 노즐은 내열 실리콘 호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는 우측측면에 열매체유 온도센서 및 교반기 온도 센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폐사체 처리장치를 이용한 처리방법:
    (a)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덮개를 통하여 폐사된 가금류를 투입하여 분쇄기에서 분쇄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의 폐사체 분쇄물을 내부에 교반기가 장착되어 있는 탱크로 이동시키는 단계;
    (c) 상부히터 및 하부히터를 이용하여 2중 가열 방식으로 분쇄물을 완전 건조시키는 단계;
    (d) 상기 분쇄물이 건조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유증기를 수증기로 전환시켜 배출시키는 단계;
    (e) 상기 (c)단계의 완전 건조 분쇄물이 형성되면, 자동히터 전원차단을 통하여 탱크 내 열을 식히는 단계; 및
    (f) 상기 완전 건조 분쇄물을 수득하는 단계.
KR1020210005355A 2021-01-14 2021-01-14 폐사체 처리 장치 KR202100088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5355A KR20210008892A (ko) 2021-01-14 2021-01-14 폐사체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5355A KR20210008892A (ko) 2021-01-14 2021-01-14 폐사체 처리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6797A Division KR20200077698A (ko) 2018-12-20 2018-12-20 폐사체 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8892A true KR20210008892A (ko) 2021-01-25

Family

ID=74238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5355A KR20210008892A (ko) 2021-01-14 2021-01-14 폐사체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889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2163B1 (ko) 2021-05-06 2022-11-03 주식회사 유니아이 폐사체 감지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2163B1 (ko) 2021-05-06 2022-11-03 주식회사 유니아이 폐사체 감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8070B1 (ko) 이동식 가축 살처분 사체의 처리장치
KR101111438B1 (ko) 이동식 가축 살처분 사체의 처리방법
KR101067012B1 (ko) 이동식 가축 살처분 사체의 처리장치
CN105884408B (zh) 高温高压湿化法处理病死动物处理器
KR101261815B1 (ko) 구제역에 감염된 가축이나 야외 동물 유기체의 살 처분 방법
CN204824639U (zh) 一种病死动物无害化处理系统
KR101148154B1 (ko) 가축 살처분 사체의 처리장치
CN208146630U (zh) 病死畜禽尸体无害化、资源化处理系统
KR20120046076A (ko) 동물사체 처리장치
KR20120021771A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와 그 방법
CN105598136A (zh) 一种病死畜禽处理方法及利用该方法制备的有机肥原料
KR20210008892A (ko) 폐사체 처리 장치
KR101831937B1 (ko) 사축 잔류물을 이용한 비료 제조방법
KR20200077698A (ko) 폐사체 처리 장치
KR101477006B1 (ko) 폐 동ㆍ식물 재생처리기 및 그 운용방법
KR102162875B1 (ko) 유닛화된 동물사체 처리장치
CN210497622U (zh) 干法化制畜禽无害化处理系统
KR102031797B1 (ko) 동물의 살처분 처리장치
KR102118717B1 (ko) 폐사가축의 렌더링 시스템
CN204817446U (zh) 家禽尸体干粉法消毒处理自动生产线系统
KR20120094627A (ko) 병원성 동식물사체 이동처리기
KR101447503B1 (ko) 폐 동ㆍ식물 재생처리기 및 그 운용방법
KR102237795B1 (ko) 고감염성 동물 사체를 처리하여 연료를 제조하는 방법
KR20190138721A (ko) 구제역으로 인한 살처분 동물의 렌더링 시스템
KR102143383B1 (ko) 가축동물 매몰지 토양 복원장치 및 복원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100331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11229

Effective date: 20230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