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1815B1 - 구제역에 감염된 가축이나 야외 동물 유기체의 살 처분 방법 - Google Patents

구제역에 감염된 가축이나 야외 동물 유기체의 살 처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1815B1
KR101261815B1 KR1020110012021A KR20110012021A KR101261815B1 KR 101261815 B1 KR101261815 B1 KR 101261815B1 KR 1020110012021 A KR1020110012021 A KR 1020110012021A KR 20110012021 A KR20110012021 A KR 20110012021A KR 101261815 B1 KR101261815 B1 KR 1012618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ineration
exhaust gas
incinerator
animal
organis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2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1913A (ko
Inventor
김원태
Original Assignee
김원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태 filed Critical 김원태
Priority to KR1020110012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1815B1/ko
Publication of KR20120091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1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1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18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1/00Furnaces for cremation of human or animal carca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 F23G5/033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comminuting or crush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incinerators
    • F23G2900/70Incinerating particular products or waste
    • F23G2900/7003Incinerating litter from animals, e.g. poultry lit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incinerators
    • F23G2900/70Incinerating particular products or waste
    • F23G2900/7009Incinerating human or animal corpses or rem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원은 현재 전국적으로 구제역이 확산되어 있고, 공무원들은 매일 수백, 수천 마리의 소나 돼지를 매몰처리하는 작업으로 밤샘 근무가 이어져 사망자가 발생하는 상황에서 아직도 구제역에 대한 근본 대책을 찾지 못하고 우왕 좌왕 하는 현실을 감안하여 시작된 발명이다.
본원은 현재와 같이 구제역 발생지역의 동물들을 매몰처리하거나 조류독감과 같은 세균 감염된 동물 유기체를 땅속에 매몰시켜 매장하는 경우 10, 20년 후 지구의 토양오염과 수질오염을 가속화시키고 더 큰 재앙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 뿐 아니라 현재와 같이 매몰처리가 계속되는 경우 핏물이 새어나올 정도로 지하수를 황폐화시키고 음용할 수 없는 상황이 초래될 것이 우려되어 동물 사체 유기체를 신속하고 안전하게 살 처분하는 시스템 및 살 처분방법을 찾아야 되는 과제를 갖고 시작된 발명이다.
본원은 구제역이나 조류독감과 같은 세균 감염된 동물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살 처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동물 유기체를 압착/분쇄시키고 분쇄물을 일정한 두께의 압착시켜 소각로로 이송시키며 소각로에서는 1000~1400℃의 고온을 유지하는 전기로를 거쳐 파쇄된 유기체 분쇄물을 완전 소각시키고 배기가스를 처리하기 위한 집진기를 갖는 소각방법 및 소각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구제역에 감염된 가축이나 야외 동물 유기체의 살 처분 방법{Method of stamping out for infected animals by incineration.}
본 발명은 구제역이나 조류독감과 같은 세균 감염된 가축이나 세관이나 검역소에서 폐기되는 동물이나 어패류 등의 유기체를 소각과정에 의해 살 처분하는 장치 및 살 처분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서 개시되는 가축이나 야외동물인 유기체의 살 처분 방법은 처리대상 동물 유기체를 압착/분쇄시키기 위해 파쇄기를 이용한 분쇄단계; 상기 분쇄물을 일정한 두께의 압착물로 형태로 제공하기 위한 롤러를 이용하여 압착시켜 소각로로 이송하는 단계: 상기 일정한 두께의 압착물을 혈과 함께 전소시키는 소각단계; 소각과정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를 식혀주는 냉각단계; 냉각된 배기가스 중의 이물질이나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집진단계; 를 포함하여 제공되는 가축이나 야외 동물의 유기물 살 처분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제역 발생원인은 여러 가지로 예측되고 있을 뿐 명확한 메카니즘을 밝히지 못하는 가운데 2010년 하반기부터 2011년 1월말 기준으로 국내에서 살 처분 가축 숫자가 '300만 마리'에 이르고 있어서 UN이 지적했듯 반세기 만에 사상 최악의 구제역이 한국 축산업을 위기로 몰아넣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구제역 발생지역의 공무원들은 매일 수백, 수천 마리의 소나 돼지를 매몰처리하는 작업으로 인하여 곤욕을 겪고 있고 최근에는 구제역 현장 밤샘 근무로 인하여 사망하는 공무원까지 발생하여 충격을 주고 있다.
전국 각 지방공무원들은 가축 전염병이 발생하면 가축을 끌어내고, 옮기고, 죽이고, 묻는 일을 위해 총동원되는 상황에서 농민도 울리고 공무원도 고생시키는 구제역 가축 살 처분 후 매몰 처리작업은 우선 급한 대로 땅을 파고 비닐을 깔고 동물을 매몰시키는 작업을 실시하고 있는바, 이는 당장의 문제점뿐 아니라 추후 토양과 수질오염의 심각성뿐 아니라 더욱 큰 재앙을 예측하면서도 다른 대책을 찾지 못하고 있는 안타까운 실정이다.
2010년 말 발생한 구제역으로 경기도 포천지역에서 소·돼지 5000여 마리를 땅에 묻은 장소에 대해‘가축 매몰지 주변 지하수 수질조사’를 벌인 결과, 조사 지점 47곳 가운데 14곳에서 질산성 질소와 일반 세균이 수질 기준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는데, 조사를 진행한 환경부 측은“지하수 오염이 매몰지 침출수와 직접 관련이 없다”라고 밝혔지만, 인근지역 주민들은 지하수 색깔이 변했다고 불안한 마음에 지하수를 먹지 못하고 상수도 보급을 요구하고 있는 실정에 이르러 있다.
전국적으로 2010년 말 기준 소, 돼지를 합하여 약 130 만 마리가 매몰 처리된 것으로 집계되고 있는바, 매몰은 사체를 한꺼번에 묻기 때문에 효율적이지만, 부지확보가 쉽지 않은 데다 지하수 오염 등 새로운 문제를 일으키기 때문에 환경관련단체 등에선 소각의 필요성을 주장하고 있지만 축산과학원에서 개발한 '렌더링(rendering)'이란 가축소각방법은 동물의 사체를 고온 고압의 스팀으로 멸균 처리하는 것으로, 바이러스를 제거해 2차 오염 가능성을 차단할 수 있으나 사체의 20%가 잔재물로 남는 문제점과 한대에 약 3억원 가량으로 장비가 비싸고, 처리속도가 느린 문제점을 갖는다.
다른 대안으로 혐기성소화(anaerobic digestion)로 미생물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혐기성 세균을 활용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는 방역과정에서 살충제나 항생제 등 혐기성 세균의 활동을 방해하는 화학성분을 사용하고 있고, 매립지 내부에 알맞은 환경을 공학적으로 설계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극히 어려운 문제로 적용하기 어려운 공법이며, 또 사체를 고압 하에서 염기성 용액으로 분해하는 방법도 있으나 처리 속도가 느린 문제점을 갖는다.
영국이나 스웨덴 등에서 고정형 대형소각로를 만들어 놓고 소각시켜 일반폐기물과 함께 매립장에 매립하는 방법을 병행하고 있으나 이 방법 역시도 바이러스 감염 등의 위험이 있는 구제역 동물을 여기 저기 끌고 다닐 수 없는 현실, 우리나라의 경우 전국적으로 산재해 있는 축산농가 지역에 따라 밀도가 높게 사용되는 농가의 현실을 감안할 때 현실적으로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원은 상기와 같은 제반 선행기술들을 고려하여 구제역이나 조류독감과 같은 세균 감염된 동물 유기체를 땅속에 매몰시켜 10년 20년 후 지구의 토양오염과 수질오염을 가속화시키는 문제점을 해소함과 동시에 유기체를 신속하고 안전하게 살 처분하는 장치 및 살 처분방법을 찾고자 하는 과제를 갖고 시작된 발명이다.
본원은 구제역이나 조류독감과 같은 세균 감염된 동물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살 처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동물 유기체를 압착/분쇄시키고 분쇄물을 일정한 두께의 압착시켜 소각로로 이송시키며 소각로에서는 1000~1400℃의 고온을 유지하는 전기로를 거쳐 파쇄된 유기체 분쇄물을 혈과 함께 완전 소각시키고 배기가스를 처리하기 위한 집진기를 갖는 소각방법 및 소각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본원에서 제공되는 살 처분 시스템은 구제역 발생이 없는 평시에는 세관이나 검역소에 보관되어 있는 각종 동물의 사체나 폐기되는 수입 육류 등을 폐기할 때 현재까지는 대부분 땅에 매몰처분하고 있었는바, 본원의 살 처분 시스템을 이용하여 땅에 묻지 않고 소각시켜 오염원을 차단하는 용도의 소각로로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도 갖는다.
본원은 구제역이나 조류독감과 같은 세균 감염된 동물의 유기체를 살 처분하기 위한 수단으로, 먼저 본원의 살 처분장치를 탑재한 차량을 구제역이나 조류독감발생지역으로 이동하여 신속하고 안전하게 살 처분하도록 적용될 수 있다.
본원에서 제공되는 살 처분장치는 처리대상 동물 유기체를 파쇄기의 상부 홉퍼에 넣고 압착 및 분쇄공정이 수행될 수 있는바, 분쇄공정은 양립하는 회전롤러가 내측으로 회전하며 투입되는 유기체를 압착/분쇄시키는 기능을 갖는 분쇄기류가 이용될 수 있는바, 예를 들어 일측의 회전롤러는 직경 1200㎜ 정도로 고정되는 구조이고 타측의 회전롤러는 직경 1200㎜ 정도로 가변구조로 제공되어 50~100 기압 정도로 밀어주는 유압실린더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를 이루어 동물의 사체가 투입되는 경우 동물의 뼈까지 압착시키는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특히 분쇄기의 회전롤러는 회전방향으로 갈고리형 돌기를 갖도록 제공되어 유입되는 동물이 회전롤러 상부로 떨어지는 경우 갈고리형 돌기가 유기체를 압지하여 양립하는 회전롤러 사이로 끌고 들어가 압착 및 분쇄시키는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원의 기술사상은 구제역이나 조류독감과 같은 세균 감염된 유기체나 또는 세관이나 검역소에 보관되어 있던 폐기물의 살 처분방법에 관한 것으로,
처리대상 동물 유기체를 압착/분쇄시키기 위해 갈고리형 압착롤러를 이용하여 분쇄시키는 파쇄단계 및 파쇄된 분쇄물을 양측의 빗살형 압착롤러로 압착시켜 일정두께의 편육형태로 소각로로 보내주는 이송단계 및 1000~1400℃의 고온을 유지하는 전기로에서 유기체 분쇄물을 동물의 혈과 함께 전소시키는 소각단계 및 소각단계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단계 및 냉각단계를 거친 배기가스 중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집진단계 를 포함하여 제공되는 동물 유기체의 살 처분방법으로 독립적으로 적용되거나 또는 상기 동물 유기체의 살 처분수단이 차량의 컨테이너박스 내부에 탑재되어 작업현장을 이동하며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원에서 제공되는 소각시스템은, 처리대상 유기체를 압착/분쇄시키기 위해 양립하는 갈고리형 압착롤러가 내측으로 회전하며 투입되는 유기체를 압착/분쇄시키는 기능을 갖는 분쇄기 및 파쇄된 분쇄물을 압착시켜 일정두께의 편육형태로 제공하는 빗살형 압착롤러 및 편육형태의 처리대상 유기체를 1000~1400℃의 고온을 유지하며 소각시켜주는 전기소각로 및 소각단계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를 냉각하는 냉각기 및 냉각단계를 거친 배기가스 중 이물질을 제거하는 집진기를 포함하는 구성의 유기체 살 처분시스템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분쇄기의 저부에는 스크린을 갖고 스크린을 통과하지 않는 분쇄물은 다시 갈고리형 압착롤러의 상부로 재순환되도록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기소각로에서 냉각기로 나가는 배기가스는 높은 열을 갖고 있는바 보내주는 이송라인에서 지관을 인출시켜 일부의 배기가스를 분쇄기 상부로 연결시켜 상부의 호퍼나 갈고리형 압착롤러 상부로 뜨거운 열기를 분사시켜 주는 수단에 의해 살균/소독기능을 부여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본원의 동물 유기체의 살 처분 시스템에서는 사용되는 소각로는 연소와 동시에 용융이 되며 연속투입 운전이 가능하고 단시간에 소각을 종료시킬 수 있는 점에서 플라즈마 용융로를 이용할 수 있으나, 현재로서는 시설비가 너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출원인은 전기소각로를 채택하여 이용하고자 하였는바, 본원에서 이용되는 전기소각로는 가스화실 내의 바닥부, 측벽부, 상부에 전기발열체가 있으며 측면에서 공기가 소량 공급되는 구조로서 내화세라믹으로 제공되어 소각로 내부의 온도를 1000~1400℃ 범위로 유지하며 소각시키게 되는바, 본원에서 제공되는 전기소각로는 가스화실과 2차 연소실의 열원으로 전기발열체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온도제어가 용이하고, 보조열원으로 기름을 사용하고 있지 않으므로 배기가스량을 줄일 수 있으며 가스화실에서 열분해가스가 발생되면 가스화실에 공급한 소량의 공기로 분해가스가 연소되고 발생한 열로 열분해가스를 더욱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열분해가스가 발생된 후에는 전기소비량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지며, 최근에 신소재로 개발된 SiC 발열체를 봉상 또는 면상으로 사용하는 경우 발열 온도가 1,000∼1,400℃ 범위에 이르며, 필요한 경우 MoSiO2 발열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1500~1800℃ 범위를 유지하는 전기소각로로 제공될 수 있다.
본원의 기술사상이 구체적으로 구현되는 실시양태는 하기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란 기재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원은 현재 당면하고 있는 구제역이나 조류독감과 같은 세균 감염된 동물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살 처분하는 방법을 제시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원은 구제역이나 조류독감과 같은 세균 감염된 동물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살 처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처리대상 동물을 파쇄한 후 전기소각로로 보내서 1000~1400℃의 고온을 유지하는 고온로에서 동물 유기체의 분쇄물 및 그 혈까지 완전 소각시키므로 2차 감염원의 근원을 없애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원에서 제공되는 살 처분 시스템은 세관이나 검역소에 보관되어 있는 각종 동물의 사체나 폐기되는 수입 육류 폐기물을 땅에 묻지 않고 소각시켜 오염원을 차단하는 용도의 소각로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 : 본원의 기술사상이 적용되기 위한 동물 유기체의 살 처분 시스템의 전체 처리공정 흐름도.
도 2 : 본원의 전기소각로 내부구조를 예시도.
도 3a : 본원의 동물 유기체의 살 처분 장치가 이동식으로 적용되는 예시도
도 3b : 도 3a의 내부 구성을 투시형태로 나타낸 구성도.
이하 본원의 기술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발명의 적용예를 겸하여 본원 기술사상의 구현양태를 도면으로 제시하여 설명하고자 하는바, 본 출원의 명세서나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며, 본원의 보호범위는 발명의 기술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할 것이며, 또한 하기의 도면으로 제시되는 적용예는 본원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양태를 제시한 것에 불과할 뿐이고 본원의 기술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원의 기술사상이 적용되기 위한 동물 유기체의 살 처분 시스템의 전체 처리공정 흐름도를 나타낸 것고, 도 2에서는 본원의 전기소각로 내부구조를 도시하여 설명한 것이며, 도 3a은 본원의 동물 유기체의 살 처분 장치가 컨테이너 형상으로 제공되어 이동식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며, 도 3b는 도 3a의 내부 구성을 투시도 형태로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원의 기술사상이 적용되는 동물 유기체의 살 처분 시스템은 처리대상 유기체(10)를 압착/분쇄시키기 위해 양립하는 갈고리형 압착롤러가 내측으로 회전하며 투입되는 유기체를 압착/분쇄시키는 기능을 갖는 파쇄기(20)와 파쇄된 분쇄물을 빗살형 압착롤러로 이송시켜주는 이송스크류(30)와 이송스크류 단부에 마련되어 이송물을 일정두께의 편육형태로 제공하는 빗살형 압착롤러(40)와 편육형태의 처리대상 유기체를 1000~1400℃의 고온을 유지하며 소각시켜주는 전기소각로(70)와 소각단계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를 냉각하는 냉각기(80)와 냉각단계를 거친 배기가스 중 이물질을 제거하는 집진기(9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대별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살 처분 대상 동물이나 폐기되는 동물사체 유기체(10)가 파쇄기(20)의 상부 홉퍼(11)에 투입되면 양립하는 압착롤러에 의해 압착/파쇄가 이루어지는바, 예를 들어 일측의 압착롤러A(13)는 직경 1200㎜ 정도로 고정축(13a)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구조로 제공되고, 타측의 압착롤러B(14)는 직경 1200㎜ 정도로 가변축(14a)구조로 제공되어 50~100 기압 정도로 밀어주는 유압실린더(15)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를 이루어서 동물의 사체가 투입되는 경우 동물의 뼈까지 압착시키는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특히 파쇄기(20)의 압착롤러(13,14)는 회전방향으로 갈고리형 돌기(13b,14b)를 갖도록 제공되어 유입되는 동물이 압착롤러 상부로 떨어지는 경우 갈고리형 돌기가 유기체(10)를 압지하여 양립하는 압착롤러(13,14) 사이로 끌고 들어가 압착 및 분쇄시키는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상기 파쇄기(20)의 저부에는 충분히 파쇄되지 않은 상태로 유기체(10)가 이송스크류(30)로 나가지 않도록 격자형이나 경사형 스크린(16)을 갖고 스크린을 통과한 파쇄된 유기체는 빗살형 압착롤러(40)를 거치게 되고, 충분히 파쇄되지 않은 상태로 유기체(10)는 다시 홉퍼(11)의 측벽에 연하여 설치되는 스크류(17) 등의 이송수단이나 또는 다른 재순환장치를 사용하여 압착롤러(13,14) 상부로 재순환되는 구성으로 제공되고, 스크린을 통과한 파쇄된 유기체는 이송스크류(30)를 통하여 빗살형 압착롤러(40)로 보내지며, 빗살형 압착롤러(40)는 편육상태로 압착시켜 전기소각로(70)로 보내주게 된다.
한편, 스크린(16)을 통과한 분쇄물은 이송스크류(30)에 의해 빗살형 압착롤러(40)까지 압착되며 이송되는데 이 때 이송스크류의 이송 날개(blade)의 단부가 예리하여 컷터(cutter) 기능을 겸하도록 제공되거나 또는 이송 날개(blade)의 중간 중간에 컷터(cutter)가 장착되어 빗살형 압착롤러(40)까지 밀어주는 동안에 가능한 한 잘게 파쇄시키는 구성으로 제공되는 구성이 바람직하며, 유기체 이송물을 일정두께의 편육형태로 압착시키는 기능을 하는 빗살형 압착롤러(40)는 상부압착롤러 및 하부압착롤러를 갖는 구조로 제공되고, 상 하부압착롤러(41, 42) 사이에 간극조절을 위해 상부압착롤러(41)의 회전축(41a)에 외부의 간극조절로드(43)가 연계되어 편육의 두께를 2~5 ㎜ 범위의 두께로 조절하여 압착시킬 수 있으며, 이 때 상 하부압착롤러(41, 42)의 압착부가 일측으로 빗살형으로 제공되어 서로 맞물려 회전되는 구조를 이루며 얇게 압착시켜 소각로로 이송되는 경우 신속한 소각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전기소각로를 도 1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여 보면, 전기소각로(70)는 가스화실(50)과 재연소실(60)로 구분되어 설명될 수 있는바, 가스화실(50) 내의 측벽부(51) 및 상부(52)에 전기발열체(53)가 있으며 저부 일측면에서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58) 및 공기공급량 조절댐퍼(59)를 갖도록 제공되고, 가스화실(50) 내부에는 빗살형 압착롤러의 상, 하 압착롤러(41,42) 사이를 거치며 편육상태로 압착된 편육시트가 내화세라믹재로 자체 회전하도록 제공되는 다수개의 회전롤(54)을 거치며 서서히 소각되면서 소각과정에서 발생하는 재는 회전롤(54) 사이의 간극을 통하여 하부로 낙하하고 하부로 낙하되는 재(ash)는 스크류이송수단(55)에 의해 재(ash) 배출구(56)으로 배출되고, 다수개의 회전롤(54)을 거치며 가스화실(50)의 단부까지 밀려온 소각잔재는 소각잔재배출구(57)를 통하여 배출되는 경우 다시 본원의 첫 단계인 파쇄기(20)의 압착롤러A, B(13,14)로 보내져서 재순환시키거나 또는 별도의 폐기물 처리수단이 강구될 수 있다.
이때 본원의 도면에서는 다수개의 회전롤(54)이 수평으로 일직선을 이룬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 현장에서는 차차로 낮아지는 경사를 이루도록 제작되어 상 하부압착롤러(41, 42)사이에서 압출되며 나온 유기체 편육형태의 소각대상물이 벨트피더의 이송라인 하부에 설치되는 자체회전체와 같이 연속적으로 다수개의 회전롤(54)을 거치며 가스화실(50)에서 소각되는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복잡성을 피하기 위해 다수개의 회전롤(54)이 하나의 라인으로 연결될 수 있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으나, 이를 지그 재그로 굴곡 형태를 이루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의 가스화실(50)을 거치면서 발생된 수증기 및 유분 연소물은 재연소실(60)을 거치면서 완전 소각이 이루어지는바, 재연소실(60)도 재연소실히터(61)와 재연소용공기(62)가 조절되어 공급되고, 배출구(63)를 거쳐 냉각기(80)에서 냉각단계를 거치고 배기가스 중 이물질은 집진기(90)를 거치며 제거되는 시스템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의 냉각기나 집진기는 당업계에서 기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별도의 설명이 필요치 않다 할 것이다.
도 3은 본원의 동물 유기체의 살 처분장치가 구체적으로 트럭(1)과 연결되어 이동식으로 사용될 수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3a는 본원의 동물 유기체의 살 처분장치가 컨테이너 박스 구조 내부에 내장시키고 뚜껑(12)만을 외부로 드러난 상태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b는 본원의 동물 유기체의 살 처분장치가 컨테이너 박스 구조 내부에서 살 처분장치가 각 기능별로 구분되어 적용될 수 있음을 설명하기 위해 측면 투시형태로 나타낸 것이다.
즉, 트럭(1)과 컨테이너(2)의 커플러(3)와 연결되어 이동가능함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컨테이너(2)의 내부에는 처리대상 유기체(10)를 투입받는 호퍼(11)와 호퍼저부로 유기체를 압착/분쇄시키기 위해 양립하는 갈고리형 압착롤러가 내장된 파쇄기(20)와 파쇄된 분쇄물을 빗살형 압착롤러로 이송시켜주는 이송스크류(30)와 이송스크류 단부에 마련되어 이송물을 일정두께의 편육형태로 제공하는 빗살형 압착롤러(40)와 편육형태의 처리대상 유기체를 1000~1400℃의 고온을 유지하며 소각시켜주는 전기소각로(70)와 소각단계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를 냉각하는 냉각기(80)와 냉각단계를 거친 배기가스 중 이물질을 제거하는 집진기(9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컨테이너에 내장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으로, 컨테이너 박스(2)의 외곽선을 점선으로 나타내고 내부를 도시한 것으로, 원료투입 호퍼(11)는 그 상부로 뚜껑(12)를 갖고 뚜껑에는 손잡이(12a)가 달려 이동시킬 수 있으며, 외부로는 집진기(90)의 배기공(91)만이 돌출되는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으로, 발전기를 상기의 컨테이너 박스(2)에 내장하거나 또는 다른 차량에 발전기를 탑재시켜 구제역 발생지역으로 옮겨다니며 소각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기소각로의 재연소실(60) 배출구(63)에서 냉각기(80)로 보내주는 이송라인(64)에서 지관(65)을 인출하여 파쇄기(20)의 상부까지 연결하여 처리대상물 투입 호퍼(11)나 갈고리형 압착롤러A, B(13,14)의 상부로 뜨거운 배기열기를 분사시켜 줌으로 살균 및 소독의 효과도 얻을 수 있는 유기체의 살 처분시스템으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원 전기소각로(70)의 배기가스 중에는 유분이 함유됨으로 유분제거기(66)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바, 재연소실(60) 배출구(63)에서 냉각기(80)로 보내주는 이송라인A(64)이나 또는 냉각기(80)에서 집진기(90)로 보내주는 이송라인B(81)에 유분제거기(66)가 설치될 수 있는바, 도 3c에 나타난 유분제거기(66)는 1차스크린 망(67a)으로 120메쉬망 정도를 통과하면서 다소 입자가 큰 유분이 포집되도록 제공되며, 120메쉬망을 통해 포집되지 않은 미세 유분은 더욱 미세한 2차스크린 망(67b)으로 160메쉬망을 통과하면서 포집이 이루어지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포집된 유분은 정상가동시에는 배기가스의 열에 의해 자연적으로 녹아 유분제거기(66)의 저부에 위치하는 유분배출구(68)를 통해 기름성분을 밖으로 배출시킬 수 있으며 스크린 메쉬망이 막히는 경우에는 스크린 망을 손잡이로 잡고 인출하여 경유에 담가 주는 수단으로 유분을 녹여 분리/세척한 후 다시 내삽시켜 재 사용토록 제공될 수 있다.
10 : 처리대상 유기체 11 : 홉퍼
12 : 호퍼 뚜껑 13 : 압착롤러A
14 : 압착롤러B 15 : 유압실린더
16 : 스크린 17 : 스크류
20 : 파쇄기 30 : 이송스크류
40 : 빗살형 압착롤러 41 : 상부압착롤러
42 : 하부압착롤러 43 : 간극조절로드
50 : 가스화실 51 : 측벽부
52 : 상부벽 53 : 전기발열체
54 : 회전롤 55 : 스크류이송수단
56 : 재 배출구 57 : 소각잔재배출구
58 : 송풍기 59 : 공기공급량 조절댐퍼
60 : 재 연소실 61 : 재 연소실 히터
62 : 재 연소용 공기공급구 63 : 배출구
64 : 이송라인A 65 : 지관
66 : 유분제거기 67 : 스크린망
68 : 유분배출구 70 : 전기소각로
80 : 냉각기 81 : 이송라인B
90 : 집진기 91 : 집진기 배기공

Claims (6)

  1. 구제역이나 조류독감과 같은 세균 감염된 유기체를 살 처분방법에 있어서,
    처리대상 동물 유기체를 압착/분쇄시키기 위해 갈고리형 압착롤러를 이용하여 분쇄시키는 파쇄단계;
    파쇄된 분쇄물을 양측의 빗살형 압착롤러로 압착시켜 일정두께의 편육형태로 소각로로 보내주는 이송단계;
    1000~1400℃의 고온을 유지하는 전기소각로에서 유기체 분쇄물을 소각시키는 소각단계;
    소각단계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단계;
    냉각단계를 거친 배기가스 중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집진단계;
    를 포함하여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유기체의 살 처분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물 유기체의 살 처분수단이 컨테이너 형태에 탑재되어 작업현장을 이동하며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유기체의 살 처분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소각로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 중의 유분을 제거하기 위해 배기가스의 이송라인 중에 유분제거기를 설치하여 유분을 제거하도록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유기체의 살 처분방법.
  4. 구제역이나 조류독감과 같은 세균 감염된 동물을 살 처분하기 위한 소각시스템에 있어서,
    처리대상 유기체가 투입되는 호퍼와 호퍼 저부로는 양립하는 두개의 압착롤러가 갈고리 형태를 이루는 구조로 내측으로 회전하며 투입되는 유기체를 압착/파쇄시키는 갈고리형 압착롤러를 갖는 분쇄기;
    파쇄된 분쇄물을 압착시켜 일정두께의 편육형태로 제공하는 빗살형 압착롤러;
    편육형태의 처리대상 유기체를 1000~1400℃의 고온을 유지하며 소각시켜주는 전기소각로;
    소각단계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를 냉각하는 냉각기;
    냉각단계를 거친 배기가스 중 이물질을 제거하는 집진기;
    를 포함하여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체의 살 처분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기의 저부에는 스크린을 갖고 스크린을 통과하지 않는 분쇄물은 다시 갈고리형 압착롤러의 상부로 재순환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체의 살 처분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각로에서 냉각기로 보내주는 배관에서 지관을 인출하여 분쇄기 상부로 연결하는 구조를 이루고 호퍼나 갈고리형 압착롤러 상부로 뜨거운 열기를 분사시켜 줌으로 살균/소독기능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체의 살 처분시스템.
KR1020110012021A 2011-02-10 2011-02-10 구제역에 감염된 가축이나 야외 동물 유기체의 살 처분 방법 KR1012618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2021A KR101261815B1 (ko) 2011-02-10 2011-02-10 구제역에 감염된 가축이나 야외 동물 유기체의 살 처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2021A KR101261815B1 (ko) 2011-02-10 2011-02-10 구제역에 감염된 가축이나 야외 동물 유기체의 살 처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1913A KR20120091913A (ko) 2012-08-20
KR101261815B1 true KR101261815B1 (ko) 2013-05-14

Family

ID=46884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2021A KR101261815B1 (ko) 2011-02-10 2011-02-10 구제역에 감염된 가축이나 야외 동물 유기체의 살 처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18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97973A1 (zh) * 2018-11-14 2020-05-22 苏州美生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可燃垃圾处理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2945B1 (ko) * 2015-04-03 2015-07-01 극동환경화학 주식회사 악취 및 먼지와 유해가스 제거기능을 갖춘 마이크로파 방식의 동물사체 처리장치
CN107160592B (zh) * 2017-06-09 2019-02-19 重庆威星橡胶工业有限公司 冲压式破碎机
CN108787701B (zh) * 2018-05-24 2020-12-08 唐莉 一种医疗废物压缩处理装置
CN110160051B (zh) * 2019-05-27 2020-07-17 宋晴 一种动物尸体无害化处理设备
CN110186053B (zh) * 2019-05-27 2020-07-31 安徽恒宇环保设备制造股份有限公司 一种环保型固废处理装置
CN110260322B (zh) * 2019-07-02 2020-10-09 新昌县麦迪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畜牧养殖厂用的回收处理设备
CN110529863A (zh) * 2019-08-20 2019-12-03 潍坊科技学院 一种用于医学检验的多效收集处理装置
CN110529861B (zh) * 2019-09-29 2021-03-26 贵州清风氢能环保装备制造有限公司 一种一体化固体废物焚烧炉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97973A1 (zh) * 2018-11-14 2020-05-22 苏州美生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可燃垃圾处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1913A (ko) 2012-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1815B1 (ko) 구제역에 감염된 가축이나 야외 동물 유기체의 살 처분 방법
KR101328070B1 (ko) 이동식 가축 살처분 사체의 처리장치
KR101111438B1 (ko) 이동식 가축 살처분 사체의 처리방법
KR101541799B1 (ko) 이동식 동물사체 소각처리장치
KR101067012B1 (ko) 이동식 가축 살처분 사체의 처리장치
KR101148154B1 (ko) 가축 살처분 사체의 처리장치
US2007019785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ment and disposal of waste material
KR101777658B1 (ko) 이중 로터리 킬른을 이용한 동물 사체 소각 및 건조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소각 및 건조 방법
CN103398383A (zh) 一种固体垃圾焚烧系统
KR101104182B1 (ko) 폐사 가축의 친환경 처리 장치
KR101801268B1 (ko) 동물사체 처리장치
KR200470568Y1 (ko) 이동식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KR102002352B1 (ko) 동물 사체 사료화 장치
KR101260653B1 (ko) 이동식 살처분 소각장치
KR101160876B1 (ko) 이동식 동물사체 처리장치
KR101160878B1 (ko) 이동식 동물사체 처리방법
KR102162875B1 (ko) 유닛화된 동물사체 처리장치
KR20040111238A (ko) 음식물 쓰레기 소멸화 장치
CN105903743A (zh) 一种生活垃圾资源化终端处理工艺
KR101339848B1 (ko) 이동식 가축 살처분 사체의 처리장치
KR102138424B1 (ko) 구제역으로 인한 살처분 동물의 렌더링 시스템
KR102031797B1 (ko) 동물의 살처분 처리장치
KR20160039403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탈수 및 분쇄기
KR102670771B1 (ko) 축수산물 사체 처리용 고효율 소각 시스템
KR101269210B1 (ko) 가축사체 처리용 이동식차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