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6390B1 - 동물사체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동물사체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6390B1
KR101716390B1 KR1020160092516A KR20160092516A KR101716390B1 KR 101716390 B1 KR101716390 B1 KR 101716390B1 KR 1020160092516 A KR1020160092516 A KR 1020160092516A KR 20160092516 A KR20160092516 A KR 20160092516A KR 101716390 B1 KR101716390 B1 KR 101716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cass
inner casing
animal
sli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2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병현
허진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허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허진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92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63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6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6390B1/ko
Priority to PCT/KR2017/007866 priority patent/WO201801690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065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rotatable bowls, e.g. meat cu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04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 rams
    • B30B9/06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 rams co-operating with permeable casings or str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08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 B65G33/14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comprising a screw or screws enclosed in a tubular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5Screw-conveyors
    • B65G2812/0577Screw-conveyors for bulk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물사체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처분대상 동물을 살처리하는 처분실; 상기 처분실에서 살처리된 동물사체를 상부로 이송시키는 상행 컨베이어; 상기 상행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상기 동물사체를 분쇄하는 분쇄부; 상기 분쇄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분쇄부에서 절단된 사체절편을 이송시키는 동시에 1차 가열하는 이송부; 및 상기 이송부에서 이송된 상기 사체절편을 탈수 및 2차 가열하여 멸균한 후, 멸균된 상기 사체절편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탈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사체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매몰을 하지 않고 안락사 과정에서 동물보호법을 준수하도록 하면서도 빠른 시간 내에 대량의 폐기가축을 전염병으로부터 안전한 상태로 처리할 수 있으며, 가축의 사체를 바이오메스 또는 동물성 단백질 사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이면서 동물보호법을 준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동물사체 처리장치{Device for treating animal corpse}
본 발명은 동물사체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구제역이나 조류독감 및 돈콜레라와 같은 가축의 법정 전염병 발생시 확산방지를 위하여 감염 및 감염 의심가축을 일시에 살처분한 대량의 사체를 짧은 시간 내에 감염확산되지 않는 상태로 처리한 후 사체를 가공하여 바이오메스 또는 지방 에너지 및 단백질 사료로 이용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동물사체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규모의 기업화 된 축산산업에서 축산업자는 물론 전 국민이 염려하고 있는 구제역이나 조류독감 및 돈콜레라와 같은 가축의 법정전염병 발생시 확산방지를 위한 대처방안이 미흡한 것은 세계적인 문제가 되고 있다.
가축에서 일단 법정전염병 양성반응이 확인되면 그 지역을 외부와 차단하고 해당질병의 감수성이 있는 축종에 대하여 일정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가축을 신속히 살처분 하는 것이 전염병 확산 방지의 관건이다. 그래서 대량의 가축을 단시간에 가장 쉽게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이 매몰처리 방법이며 우리나라는 대부분의 경우 정부주도하에 매몰처리를 하고 있다.
대량의 가축을 매몰처리하는 데는 일정한 규정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지만 사후 관리가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2010년 ~ 2011년에 국내에서는 구제역으로 인하여 432만두(소,돼지), 2008년에는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AI)로 9,534천수가 매몰처리되었으며, 누계 매몰지가 4,632개소(2011.2.현재)였고, 2014년에는 413개소가 추가되어 5,000개소 이상의 매몰지가 있다.
매몰에 의한 자연 정화능력에는 한계가 있어서 정화하는데 요구되는 기간이 10년이 될지, 20년 혹은 50년이 될지는 아무도 장담할 수 없다.
전국에 산재된 매몰지는 완전 정화될 때까지 정부차원에서 관리를 하고는 있지만 앞으로 매몰지 확보가 어렵고, 매몰 후에도 침출수에 의한 지하수 및 상수원 오염, 악취발생 및 질병전파 가능성이 있어 문제가 되고 있다.
폐가축을 매몰처리하는 방법 이외에는 소각, 퇴비화, 렌더링(rendering), 유산발효, 알칼리 가수분해, 열화학적 액화, 미생물 이용 등 여러 가지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으나, 전염병 발생시 짧은 시간에 대량의 사체를 처리하여 질병확산을 예방하려는 목적에 부합되지 않아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고온성 미생물을 이용한 처리방법이 있으나 이는 시설의 설비에 고비용이 소모되고 고정된 장소에 처리시설을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이동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전염병 폐가축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폐가축을 처리시설까지 수송해야 하기 때문에 전염병 예방 차원에서 이용가치가 없다.
이와 같이 전염병 폐가축을 처리하기 위한 적정 시설이 전무하여 부작용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매몰을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이에 전염병을 전파할 수 있는 위험이 있는 감염동물과 같은 축사에서 사육되었거나, 인근의 축사에 사육되고 있는 가축 전체를 빠른 시간 내에 제거할 수 있는 설비가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0723008호(2007.05.22)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매몰을 하지 않고 동물보호법을 준수하면서도 빠른 시간 내에 대량의 폐기가축을 전염병으로부터 안전한 상태로 처리하고, 가축의 사체를 바이오메스 또는 지방 에너지 및 동물성 단백질 사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동물사체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처분대상 동물을 살처리하는 처분실; 상기 처분실에서 살처리된 동물사체를 상부로 이송시키는 상행 컨베이어; 상기 상행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상기 동물사체를 분쇄하는 분쇄부; 상기 분쇄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분쇄부에서 절단된 사체절편을 이송시키는 동시에 1차 가열하는 이송부; 및 상기 이송부에서 이송된 상기 사체절편을 탈수 및 2차 가열하여 멸균한 후, 멸균된 상기 사체절편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탈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사체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처분실은 내부를 밀폐시키는 밀폐도어가 구비된 가스실, 및 상기 밀폐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가스실의 내외로 출몰되어 처분대상 동물을 상기 가스실 내부로 유도하는 이동펜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처분실은 상기 가스실에서 살처분된 동물사체를 상기 상행 컨베이어로 이송시키는 수평 컨베이어, 및 상기 수평 컨베이어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수평 컨베이어를 향해 경사지게 세워지도록 구동되는 경사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쇄부는 상부가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투입된 동물사체를 절단하는 사체절단기, 및 상기 사체절단기를 구동시키는 절단기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부는 타공판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분쇄부에서 절단되어 낙하하는 상기 사체절편이 수집되는 여과판, 내부에 이송스크류가 설치되어 상기 여과판에 낙하한 상기 사체절편을 이송시키는 이송관, 상기 이송관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내부로 스팀이 공급되는 스팀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관 및 상기 스팀관은 스파이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탈수부는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상기 사체절편이 투입되는 내부케이싱, 상기 내부케이싱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케이싱으로 투입된 사체절편을 압착시키는 압축타공판,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압축타공판을 이동시키는 리드스크류, 상기 내부케이싱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구비되고 내부에는 스팀이 공급되는 외부케이싱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탈수부는 상기 내부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케이싱의 내부를 2개의 공간으로 분할하는 고정칸막이를 더 구비하고, 상기 압축타공판과 상기 리드스크류는 상기 내부케이싱 내의 분할된 공간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부케이싱은 상기 내부케이싱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사체절편으로부터 배출되는 유체를 상기 내부케이싱의 바닥으로 투과시키는 탈수판, 상기 탈수판을 투과하여 상기 내부케이싱의 바닥으로 배출된 상기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유체 배출관, 및 상기 탈수판의 상부에서 상기 압축타공판에 의해 압착되어 탈수된 상기 사체절편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탈수사체 배출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탈수부는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상기 사체절편이 투입되는 내부케이싱, 상기 내부케이싱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구비되고 내부에는 스팀이 공급되는 제1외부케이싱, 상기 내부케이싱의 일측을 개폐시키는 개폐구, 복수의 탈수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구를 사이에 두고 상기 내부케이싱의 반대편에 배치되어 상기 내부케이싱으로부터 가열된 상기 사체절편을 공급받는 회전내통, 상기 회전내통에 연결되고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회전내통을 회전시키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내통의 외부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며 회전하는 상기 회전내통으로부터 배출된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외부케이싱을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부케이싱은 내부에 투입된 상기 사체절편을 상기 회전내통으로 밀어내는 압축판과, 상기 압축판에 연결되어 회전함으로써 상기 압축판을 이동시키는 리드스크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내통의 개구된 일측에는 탈수된 상기 사체절편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슈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내통과 상기 제2외부케이싱 사이에는 베어링이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내통의 내주면에는 상기 회전내통 회전 시 내부에 투입된 상기 사체절편이 상기 개폐구의 반대편을 향해 이동되도록 하는 이송블레이드가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매몰을 하지 않고 안락사 과정에서 동물보호법을 준수하도록 하면서도 빠른 시간 내에 대량의 폐기가축을 전염병으로부터 안전한 상태로 처리할 수 있으며, 가축의 사체를 바이오메스 또는 동물성 단백질 사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이면서 동물보호법을 준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물사체 처리장치의 개략도이다.
도2 내지 도4는 처분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5는 처분실에 구비되는 펜스 구동부의 확대도이다.
도6은 처분실에 구비되는 경사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7은 처분실에 구비되는 밀폐도어의 단면도이다.
도8은 분쇄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9는 분쇄부에 구비되는 사체절단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0은 분쇄부에 구비되는 사체절단기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1은 이송부를 평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12는 이송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13은 탈수부를 평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14는 탈수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5는 탈수부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6 및 도17은 도15의 탈수부에 구비되는 개폐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8은 도15의 탈수부에 구비되는 베어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첨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물사체 처리장치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물사체 처리장치(10)는 법정 전염병 등에 감염되어 폐기 대상으로 분류된 대동물(소,말 등), 중동물(돼지, 산양, 면양, 염소 등), 조류(닭, 오리 등)와 같은 처분대상 동물을 동물보호법의 규정을 따라 안락사시킨 후, 살처분된 동물사체를 매몰하지 않고 신속하고 안전하게 탈수(건조) 및 열처리함으로써 동물사체에 의한 2차 감염 및 환경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물사체 처리장치(10)는 처분대상 동물을 살처리하는 처분실(100), 처분실(100)에서 살처리된 동물사체를 상부로 이송시키는 상행 컨베이어(200), 상행 컨베이어(200)에 의해 이송된 상기 동물사체를 분쇄하는 분쇄부(300), 분쇄부(300)의 하부에 배치되고 분쇄부(300)에서 절단된 사체절편을 이송시키는 동시에 1차 가열하는 이송부(400) 및 이송부(400)에서 이송된 사체절편을 탈수 및 2차 가열하여 멸균한 후 멸균된 사체절편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탈수부(500,600)를 포함한다.
도2 내지 도4는 처분실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5는 처분실에 구비되는 펜스 구동부의 확대도이며, 도6은 처분실에 구비되는 경사판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7은 처분실에 구비되는 밀폐도어의 단면도이다.
이하, 도2 내지 도7을 참고하여 처분실(100)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처분실(100)은 처분대상 동물을 살처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내부를 밀폐시키는 밀폐도어(130)가 구비된 가스실(110)과, 밀폐도어(130)가 개방된 상태에서 가스실(110)의 내외로 출몰되어 처분대상 동물을 가스실(110) 내부로 유도하는 이동펜스(140)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가스실(110)은 바퀴(112)를 구비하여 차량 또는 트레일러에 상하차를 용이하도록 하여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가스실(110) 안의 일측 상부에는 가스실(110) 내에 설치된 장치와 동물사체 처리장치(10)의 전체적인 시스템들을 운용할 수 있도록 조정실(120)이 구비된다.
이때, 조정실(120)에는 가스실(110) 내외부의 상황을 운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창(122)이 설치되며, 바람직하게 투명창(122)은 파손의 위험이 적은 방탄유리 또는 강화유리로 형성한다. 또한, 조정실(120)은 가스실(110)과 연통되지 않도록 밀실한 상태를 유지한다.
밀폐도어(130)는 조정실(120)의 반대편에 설치되며, 도어 구동부(134)에 의해 상하로 슬라이딩되어 가스실(110) 내부를 개방 또는 밀폐시키도록 구비된다.
밀폐도어(130)가 가스실(110)을 밀폐시킨 상태에서 가스실(110)의 내부로 유도된 동물들의 움직임에 의해 밀폐도어(130)가 임의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스실(110)과 밀폐도어(130)에는 각각 걸림턱(114)과 도어록(132)이 구비된다.
걸림턱(114)은 가스실(110)에서 밀폐도어(130)가 슬라이딩되는 구간의 일부분에 돌출형성되며, 도어록(132)은 밀폐도어(130)가 가스실(110)을 밀폐시키도록 하강된 상태에서 걸림턱(114)에 접하여 록킹상태를 유지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도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록(132)은 밀폐도어(130)에서 출몰가능하도록 구비되며, 밀폐도어(130)의 개방 시에는 도어록(132)이 밀폐도어(13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걸림턱(114)과 접촉되지 않고 록킹상태가 해제된다.
예를 들어 걸림턱(114)과 도어록(132)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삼각형과 역삼각형으로 형성하여 밀폐도어(130)가 하강할 때 도어록(132)이 걸림턱(114)의 빗면에 접하면서 밀폐도어(130)의 내측으로 삽입되었다가 하강이 완료된 후 다시 돌출하여 걸림턱(114)에 걸릴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동펜스(140)는 입구측에 펜스도어(150)를 구비한 철책의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이동펜스(140)는 처분대상 동물을 가스실(110) 내부로 유도하기 위해 가스실(110)의 내외로 출몰되도록 구비된다.
이를 위해 이동펜스(140)는 가스실(110) 내외로 이동되는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톱니바(142)와 톱니바(142)에 맞물려 이동펜스(140)를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펜스 구동부(144)를 구비한다.
톱니바(142)와 펜스 구동부(144)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 앤 피니언(rack and pinion)기어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가스실(110)의 양 측면 하부에는 이동펜스(140)의 이동경로를 따라 복수의 가이드롤러(146)가 배치된다. 가이드롤러(146)는 이동펜스(140)를 지지하여 이동펜스(140)의 원활한 이동을 가능토록 한다.
또한, 가스실(110)의 양 측면에는 톱니바(142)의 이동경로를 따라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바(148)가 구비된다. 톱니바(142)는 가이드바(148)의 내부에 삽입되며, 이동펜스(140)의 이동 시 톱니바(142)의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동펜스(140)의 외측하부에는 바퀴(149)가 구비되어 이동펜스(140)를 지지한다. 바람직하게 이동펜스(140)에 구비되는 바퀴(149)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첩식으로 구비하여 이동펜스(140)가 가스실(110) 내부로 완전히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펜스도어(150)는 이동펜스(140)의 입구를 개폐시키는 역할을 하며, 펜스도어(150) 폐쇄 시 폐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잠금수단(152)을 구비한다. 잠금수단(152)은 빗장 및 고리 등의 수단으로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이동펜스(140)에는 처분대상 동물이 이동펜스(140) 외부로 탈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기울타리를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처분실(110)은 안락사 처분된 동물사체를 가스실(110)의 후단에 배치된 상행 컨베이어(200)로 이송시키기 위한 경사판(160)과 수평 컨베이어(170)를 더 구비한다.
경사판(160)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컨베이어(170)의 양측에 배치된다. 수평 컨베이어(170)에 근접하게 위치하는 각 경사판(160)의 내측은 힌지결합되고, 경사판(160)의 외측에는 엑추에이터 또는 실린더 등으로 구현되는 경사판 구동부(162)가 설치되어 경사판(160)이 수평 컨베이어(170)를 향해 기울어지도록 회동시킨다.
기울어진 경사판(160)은 가스실(110) 내에서 사방으로 흩어진 동물사체를 수평 컨베이어(170)로 모아주는 역할을 한다.
처분대상 동물이 처분실(100)에서 살처분된 후 상행 컨베이어(200)로 이송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도어(130)가 개방된 상태에서 이동펜스(140)를 가스실(110)의 외부로 인출시켜 처분대상 동물들이 이동펜스(140) 내부로 들어오도록 유도한다.
이동펜스(140) 내부로 처분대상 동물들이 들어오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펜스도어(150)를 폐쇄시키고, 펜스 구동부(144)를 구동시켜 이동펜스(140)가 가스실(110) 내부로 인입되도록 한다. 이때, 이동펜스(140)는 바닥과 천장이 없는 울타리의 형태이기 때문에 처분대상 동물들에게 공포감을 주지 않으며, 처분대상 동물들이 이동펜스(140)를 따라 가스실(110) 내부로 걸어 들어오게 된다.
처분대상 동물들이 가스실(110) 내부로 들어오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도어(130)를 하강시켜 가스실(110)을 폐쇄시키고, 가스실(110) 내부에 질소 등의 불활성 가스를 주입하여 처분대상 동물들을 안락사시킨다. 이때, 질소가스의 주입으로 가스실(110) 내 공기 중 산소의 농도를 낮추고, 질소의 농도가90% 이상이 되도록 질소가스를 서서히 주입하여 동물이 고통없이 안락사하도록 한다.
처분대상 동물들이 안락사한 것을 확인한 후에는 조정실(120) 하부의 후문(미도시)을 개방한다. 이때, 상기 후문은 개폐가 가능하고 가스실(110) 내부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태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며, 밀폐도어(130)와 동일한 형태로 구동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후문을 개방한 후에는 수평 컨베이어(170)를 구동시켜 동물사체가 상기 후문에 연계된 상행 컨베이어(200)로 이송되도록 하는데 이 과정에서 경사판(160)을 상승시켜 가스실(110) 내부에 흩어져 있는 동물사체를 수평 컨베이어(170)가 배치된 위치로 모아줌으로써 동물사체의 원활한 이송이 가능하게 한다.
상행 컨베이어(200)는 처분실(100)과 분쇄부(300)의 상부에 형성된 투입구(304) 사이에 배치되어 처분실(100)에서 배출된 동물사체를 이송시킨다. 이러한 상행 컨베이어(200)의 양측에는 이송되는 동물사체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한 난간이 설치된다.
한편, 상행 컨베이어(200)에 의해 분쇄부(300)로 이송하는 것이 어려운 동물사체의 경우 트랙터 또는 굴삭기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분쇄부(300)에 투입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8은 분쇄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9는 분쇄부에 구비되는 사체절단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10은 분쇄부에 구비되는 사체절단기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8 내지 도10을 참고하여 분쇄부(300)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쇄부(300)는 프레임(F)의 상부에 탈수부(500)와 함께 설치되고, 분쇄부(300)의 하부에는 이송부(400)가 배치된다.
분쇄부(300)는 상행 컨베이어(200)에 의해 이송되어 낙하하는 동물사체를 분쇄하는 부분으로, 상부에 개방된 사체투입구(304)를 구비하는 하우징(302), 하우징(302)의 내부로 투입된 동물사체를 절단하는 사체절단기(320,330), 및 사체절단기(320,330)를 구동시키는 절단기 구동부(350)를 구비한다.
하우징(302)으로 투입된 동물사체는 낙하하면서 사체절단기(320,330)에 의해 절단되고, 절단된 사체절편은 분쇄부(300)의 하부에 배치되는 이송부(400)의 여과판(402)으로 떨어진다.
이때, 사체절단기(320,330)는 도9 및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가지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먼저, 도9를 통해 사체절단기(320)의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도9의 (a)는 사체절단기(320)의 분해사시도, 도9의 (b)는 사체절단기(320)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9의 사체절단기(320)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평면칼(322)과 평면칼(322)과의 사이에서 전단력을 발생시키는 회전칼(326)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평면칼(322)은 판형으로 형성되며, 중앙에는 회전칼(326)이 설치되는 장착공(323)을 구비하며, 장착공(323)과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칼(326)과 작용하여 전단력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절단공(324)이 형성된다.
회전칼(326)은 원통형 샤프트의 형태로 형성되고, 절단기 구동부(35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회전칼(326)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블레이드(328)들이 돌출형성되고, 블레이드(328)의 선단부분에는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날(329)이 구비된다.
이러한 블레이드(328)는 회전하면서 절단공(324)을 통과하는데, 이 과정에서 동물사체가 블레이드(328)와 절단공(324)에 맞물리면서 분쇄 또는 절단되는 것이다.
이때, 각 블레이드(328)의 길이는 서로 다르게 형성하고, 절곡날(329)이 절곡되는 위치 및 절곡되는 각도 역시 불규칙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블레이드(328)의 길이 및 절곡날(329)의 형태를 다르게 함으로써 동물사체가 회전하는 블레이드(328)에 의해 회전칼(326)로부터 멀리 밀려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동물사체를 블레이드(328)의 회전범위 내로 끌어당겨서 더욱 효율적으로 분쇄 또는 절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힘을 소수의 블레이드(328)에 집중시켜 뼈와 같이 단단한 부분을 쉽게 파쇄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10를 참고하여 사체절단기(330)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도10의 (a)는 사체절단기(330)의 분해사시도, 도10의 (b)는 사체절단기(330)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10의 사체절단기(330)는 사체투입판(332)과 사체투입판(332)의 하부에서 회전하는 칼날몸체(336)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사체투입판(332)은 동물사체의 일부가 통과하는 관통부(334)를 구비하며, 칼날몸체(336)의 상부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칼날몸체(336)는 외주면에 복수의 직각날(338)이 돌출형성되는데, 직각날(338)은 칼날몸체(336)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나선형으로 꼬인 형태를 이루며, 도10의 (b)에서와 같이 사각형의 단면을 이루어 양측 모서리에 날을 형성한다.
또한, 직각날(338)의 일측 또는 양측 모서리에는 불규칙적인 간격으로 갈퀴(337)를 형성하여 동물사체를 칼날몸체(336) 방향으로 끌어당겨서 사체끼임공간(339)으로 유도하도록 한다.
관통부(334)를 통과한 동물사체의 일부는 복수의 직각날(338) 사이의 사체끼임공간(339)에 삽입되고, 회전하는 직각날(338)과 사체투입판(332) 또는 하우징(302)의 내측벽면에 의한 전단력에 의해 분쇄 및 절단된다.
이러한 사체절단기(330)는 직각날(338)은 어느 일 방향의 날 부분이 마모되어 절삭력이 저하될 경우 단순히 직각날(338)의 회전방향을 반대로 전환함으로써 다른 방향의 날을 활용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하다.
도11은 이송부를 평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12는 이송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이하, 도11 및 도12를 참고하여 이송부(400)에 대해 설명한다.
이송부(400)는 다수의 구멍이 천공된 요홈 형상을 갖는 타공판의 형태로 형성되고 분쇄부(300)에서 절단되어 낙하하는 사체절편이 수집되는 여과판(402)과, 내부에 이송스크류(410)가 설치되어 여과판(402)에 낙하한 사체절편을 이송시키는 이송관(420), 및 이송관(420)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내부로는 스팀이 공급되는 스팀관(430)을 구비한다.
분쇄부(300)에서 절단된 사체절편과 사체절편으로부터 배출된 유체는 여과판(402)으로 떨어지는데, 이때 체액 등의 유체는 여과판(402)에 형성된 복수의 구멍을 통과하여 여과판(402) 하부에 구비되는 액상물 수집통(404)에 수집된다.
액상물수집통(404)에 모여진 유체는 액상물 배출구(406)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별도의 액상물 처리시설로 수송된다. 이때, 액상물 배출구(406)에는 밸브와 같은 개폐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액상물이 투과되고 요홈의 여과판(402)에 남겨진 사체절편은 이송관(420)으로 옮겨지는데, 이를 위해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관(420)에 설치되는 이송스크류(410)의 일측은 여과판(402)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배치되고, 이송관(420)은 여과판(402)과 인접하여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이송스크류(410)는 모터 등으로 구현되는 스크류 구동부(412)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함으로써 사체절편을 이송관(420)의 말단으로 이송시킨다.
이송관(420)에는 이송관(420)의 내부를 통과하여 이송된 사체절편을 탈수부(500)로 투입시키는 사체절편 투입관(440)이 연결되는데, 이송관(420)의 말단에는 사체절편 투입관(440)을 체결하기 위한 이송관 아답터(422)가 장착된다.
스팀관(430)은 이송관(420)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구비되어 이송부(400)가 이중관 구조를 이루도록 한다.
스팀관(430)의 내부로는 고온 상태의 증기가 유입 및 배출될 수 있도록 스팀유입관(435)과 스팀배기관(437)이 구비된다. 스팀관(430)으로 유입된 스팀은 이송관(420) 내부에서 이동하는 사체절편에 열을 공급하여 약 90℃ 내지 100℃의 온도에서 1차로 가열함으로써 사체절편에 대한 예열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송부(400)를 통해 사체절편을 예열함으로써 후단의 탈수부(500)에서 사체절편의 멸균을 위해 필요한 온도까지 사체절편을 승온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때, 이송관(420) 및 스팀관(430)은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파이럴 형태로 형성하여 사체절편이 이송관(420) 내부에서 이동하면서 충분한 시간동안 가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송관(420) 및 스팀관(430)을 스파이럴 형태로 형성할 경우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아 효율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스팀유입관(435)으로 공급되는 스팀은 사체절편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 열에너지만을 전달하는 것이기 때문에 스팀배기관(437)을 통해 자연적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나, 필요에 따라서 별도의 밸브나 탈취수단을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사체절편 투입관(440)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관 아답터(422)에 체결되어 이송관(420)과 연통되는 반고정식 파이프의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반고정식 파이프 타입의 사체절편 투입관(440)은 밸브(444)가 설치된 사체절편 배출구(442)를 구비하며, 사체절편 배출구(442)가 탈수부(500)에 근접한 상태로 설치되는데, 이러한 사체절편 투입관(440)은 탈수부(500)의 단위시간 당 사체 처리량이 적합한 작업량(폐기두수)일 경우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사체절편 투입관(440)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관 아답터(422)에 연결되어 사체절편을 탈수부(500) 또는 별도의 저장탱크(미도시)로 자유롭게 배출시킬 수 있는 주름관의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주름관 형태의 사체절편 투입관(440)은 작업량이 과도하여 탈수부(500)에서의 처리가 지연될 경우 사체절편을 저장탱크에 임시로 저장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13은 탈수부를 평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탈수부(500)는 분쇄부(300)와 함께 프레임(F)의 상부에 배치되며,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탈수부(500)들이 분쇄부(300)를 가운데 두고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공간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이송부(400)에서 1차로 가열 및 멸균된 사체절편들은 사체절편 투입관(440)을 통해 탈수부(500)로 이송되고, 탈수부(500)에서 2차로 가열되어 완전멸균 및 탈수과정을 거치게 된다.
도14는 탈수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14를 참고하여 탈수부(500)의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탈수부(500)는 내부에 투입된 사체절편을 압착시켜 사체절편에 함유된 액체성분을 제거하고, 고온으로 가열함으로써 멸균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일 실시예에 따른 탈수부(500)는 외부케이싱(502), 내부케이싱(510), 압축타공판(518) 등을 구비한다.
외부케이싱(502)은 내부케이싱(510)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구비되어 내부케이싱(510)과 함께 이중관 구조를 이룬다.
이러한 외부케이싱(502)에는 사체절편이 투입되는 사체절편 투입구(504)가 형성되고, 사체절편 투입구(504)에는 사체절편 투입구(504)를 개폐시키는 폐쇄구(506)가 구비된다.
이때, 외부케이싱(502)의 내부에는 스팀이 공급되어 높은 압력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외부케이싱(502) 내부의 고압에 의해 스팀이 외부로 누출되거나 폐쇄구(506)가 임의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폐쇄구(506)는 사체절편 투입구(504)에 볼트 결합되도록 하고, 사체절편 투입구(504)와 폐쇄구(506) 사이에는 패킹을 개재하여 스팀의 누출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부케이싱(502)의 일부분에는 외부로부터 스팀이 공급되는 스팀유입관(508)이 구비된다.
내부케이싱(510)의 내부로는 이송부(400)에 의해 이송된 사체절편이 투입된다. 이를 위해 내부케이싱(510)에는 사체절편 투입구(504)와 연통되는 개구부(미도시)나 덕트(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내부케이싱(510)은 내부로 투입된 사체절편의 가열 및 탈수 작업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2개의 공간으로 분할하여 운용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내부케이싱(510)의 중앙부분에는 고정칸막이(512)가 결합된다.
고정칸막이(512)는 내부케이싱(510)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며 내부케이싱의 내부 공간을 2개의 공간으로 분할한다. 이처럼 2개로 분할된 내부케이싱(510) 내에서의 멸균 및 탈수 작업은 독립적으로 수행된다.
이때, 외부케이싱(502)에는 분할된 내부케이싱(510)의 각 공간으로 각각 사체절편이 개별적으로 투입되도록 하기 위해 2개의 사체절편 투입구(504)가 구비된다.
내부케이싱(510)의 각 분할된 공간 내부에는 내부케이싱(510)으로 투입된 사체절편을 압착시키기 위한 리드스크류(514)와 압축타공판(518)이 각각 설치된다.
압축타공판(518)은 복수의 구멍이 천공된 타공판의 형태로 형성되며, 모터(516)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리드스크류(514)가 연결되어 내부케이싱(510)의 내부를 왕복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리드스크류(514)의 일측은 고정칸막이(512)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이러한 압축타공판(518)은 내부케이싱(510)에 투입된 사체절편을 압착함으로써 사체절편에 함유된 액체성분을 배출시킨다.
압축타공판(518)의 압착에 의해 배출된 사체절편의 액체성분을 탈수부(500)의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시키도록 하기 위해 내부케이싱(510)은 내부케이싱(510)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사체절편으로부터 배출되는 유체를 내부케이싱(510)의 바닥으로 투과시키는 탈수판(520)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탈수판(520)은 복수의 구멍이 천공된 타공판의 형태로 형성된다.
압축타공판(518)은 탈수판(520)의 상부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사체절편을 압착시키고, 사체절편에서 배출된 액체성분은 탈수판(520)의 구멍을 투과하여 내부케이싱(510)의 바닥으로 떨어지게 된다.
내부케이싱(510)의 바닥으로 배출된 유체는 유체 배출관(522)을 통해 탈수부(500) 외부로 배출되는데, 유체 배출관(522)에는 밸브(524)를 설치하여 유체의 배출량 등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내부케이싱(510)에는 고온으로 가열된 사체절편에서 생성되는 증기를 외부로 방출하기 위해 밸브가 설치된 증기배출구(526)와, 탈수판(520)의 상부에서 압축타공판(518)에 의해 압착되어 탈수된 사체절편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탈수사체 배출구(528)가 구비된다.
여기서, 내부케이싱(510)에 연결된 유체배출관(522), 증기배출구(526), 탈수사체 배출구(528)는 외부케이싱(502)을 관통하여 탈수부(500)의 외부로 연통된다.
이러한 탈수부(500)에서의 작업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사체절편 투입구(504)로 사체절편을 투입하고, 폐쇄구(506)를 닫은 다음 내부 온도를 125℃로 높인 상태에서 30분 이상 유지하여 사체절편을 가열한다. 그후 증기배출구(526)의 밸브를 서서히 열어서 증기를 배출시킨다. 동시에 모터(516)를 작동하여 압축타공판(518)으로 사체절편을 압축하면 액상물은 탈수판(520)을 통하여 아래로 떨어짐으로써 유체배출관(522)으로 배출된다. 여기서 배출된 여과액상물은 별도의 유수(油水)분리기에서 지방과 물로 분리시킨다.
도15는 탈수부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16 및 도17은 도15의 탈수부에 구비되는 개폐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18은 도15의 탈수부에 구비되는 베어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15 내지 도18을 참고하여 다른 실시예의 탈수부(600)를 설명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수부(600)는 내부케이싱(610)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구비되고 내부에는 스팀이 공급되는 제1외부케이싱(602a), 이송부(400)에 의해 이송된 사체절편이 투입되는 내부케이싱(610), 제1외부케이싱(602a)과 내부케이싱의 일측을 개폐시키는 개폐구(620), 개폐구(620)를 사이에 두고 내부케이싱(610)의 반대편에 배치되어 내부케이싱(610)으로부터 가열된 사체절편을 공급받아 탈수시키는 회전내통(630), 회전내통(630)의 외부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며 회전내통(630)으로부터 배출된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외부케이싱(602b)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제1외부케이싱(602a)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사체절편 투입구(604)와 사체절편 투입구(604)를 개폐시키는 폐쇄구(606)가 구비되고, 사체절편 투입구(604)는 내부케이싱(610)과 연통된다.
또한, 제1외부케이싱(602a)에는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기 위한 스팀유입관(608)이 설치된다.
그리고, 내부케이싱(610)은 내부에 투입된 사체절편을 회전내통(630)으로 밀어내는 압축판(618)을 구비한다. 이러한 압축판(618)은 모터(616)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리드스크류(614)에 의해 왕복운동하게 된다. 이때, 리드스크류(614)의 일단은 개폐구(620)의 중앙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또한, 내부케이싱(610)에는 가열된 사체절편에서 발생하는 증기를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증기배출구(628)가 구비된다.
도15를 기준으로 개폐구(620)의 우측에 배치된 제1외부케이싱(602a)과 내부케이싱(610)은 내부케이싱(610)에 투입된 사체절편을 고온의 스팀으로 가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내부케이싱(610)에서 가열되어 멸균처리된 사체절편은 압축판(618)에 밀려서 개방된 개폐구(620)를 통해 개폐구(620) 좌측의 회전내통(630)으로 이송된다.
개폐구(620)는 탈수부(600)의 가운데에 배치되어 탈수부(600)를 2개의 영역으로 구분하며, 이러한 개폐구(620)의 구조는 도16 및 도17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구(620)의 중앙에는 개구부(622)가 구비되고, 개폐구(620)에 삽입 및 분리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폐쇄판(624)이 개구부(622)를 개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폐쇄판(624)은 잠금볼트(626)에 의해 개폐구(620)에 나사결합되는데, 이는 탈수부(600) 내부의 고압 및 고속회전에 의해 폐쇄판(624)이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개폐구(620)의 좌측에는 고온에서 멸균된 사체절편을 탈수시키기 위한 제2외부케이싱(602b)과 회전내통(630)이 배치된다.
회전내통(630)에는 복수의 탈수구(632)가 천공형성되며, 내주면에는 회전내통(630)이 회전할 때 내부에 들어있는 사체절편이 개폐구(620)의 반대편을 향해 이동되도록 하는 이송블레이드(634)가 돌출형성된다.
또한, 회전내통(630)의 축방향으로는 일측이 회전내통(630)에 연결되고 타측에 연결된 모터(646)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내통(630)을 회전시키는 회전축(642)이 설치되고, 회전내통(630)과 제2외부케이싱(602b) 사이에는 회전내통(630)의 원활한 회전을 위한 베어링(640)이 개재된다.
이때, 회전축(642)과 회전내통(630) 사이에는 회전축 지지대(644)를 연결시켜 회전축(642)이 회전내통(63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회전내통(630)은 회전축(642)에 의해 고속으로 회전함으로써 사체절편에 함유된 액체성분을 탈수구(632)를 통해 제2외부케이싱(602b)으로 배출시킨다.
제2외부케이싱(602b)으로 배출된 유체는 유체배출관(648)을 통해 탈수부(600) 외부로 배출되며, 탈수된 사체절편은 이송블레이드(634)에 의해 개폐구(620)의 반대편을 향해 이동된다.
이때, 이송블레이드(634)의 높이가 크면 충분한 탈수가 일어나지 않은 상태에서 배출되고, 높이가 낮으면 이송 작업이 원활하게 수행되지 않기 때문에 이송블레이드(634)의 높이는 회전내통(630) 반지름 길이의 1/3 ~ 1/5 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구된 회전내통(630)의 개폐구(620) 반대편에는 탈수된 사체절편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슈트(650)가 구비되며, 배출슈트(650)로 배출된 사체절편은 준비된 이송대차(660) 등에 의해 후속 처리시설로 반송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수부(600)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내부케이싱(610)에서 사체절편 투입구(604)로 투입된 사체절편의 멸균이 끝나면, 사체절편을 회전내통(630)으로 이송시킨다. 이때, 이송을 위해서 폐쇄판(624)을 위로 뽑아서 열고 모터(616)를 구동시켜 압축판(618)을 이동시키면 사체절편은 개폐구(620)의 개구부(622)를 통하여 회전내통(630)으로 유입된다.
멸균된 사체절편이 모두 유입되면 다시 개폐구(620)를 폐쇄시키고 회전내통(630)을 회전시켜 사체절편에 함유된 액상물을 탈수시키고, 탈수액은 유체배출관(648)을 통해 배출하여 유수(油水)분리기 등의 처리 시설로 보낸다.
본 발명의 동물사체 처리장치(10)에 의해 처리된 최종 사체처리물은 바이오메스로 이용될 수 있는데, 최종 사체처리물을 바이오메스로 이용할 경우 화력발전소에서 연료로 이용하도록 하기 위하여 발전소의 발전 보일러에 적합한 형태로 가공한다. 발전소의 연료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수분함량이 20% 미만이어야 하기 때문에 산업폐기물인 절편종이나 목분, 톱밥, 폐목파쇄물, 석탄 등과 혼합하여 수분함량 20% 이하로 조절하여 일정형태의 팰릿을 형성하여 사용한다. 또한, 배출된 액상물은 별도의 탱크로 이송하여 수분과 지방을 분리하여 지방은 바이오메스로 이용하고 나머지 액상물은 폐수종말처리장에 보내져서 처리한다.
한편, 처분실(100), 상행 컨베이어(200), 프레임(F)에는 바퀴를 설치하여 트레일러(T)에 의해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사체처리가 필요한 현장에서 직접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동물사체 처리장치(10)는 매몰을 하지 않고도 빠른 시간 내에 대량의 폐기가축을 전염병으로부터 안전한 상태로 처리할 수 있으며, 가축의 사체를 바이오메스 또는 동물성 단백질 사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이라는 효과가 있어 매우 유용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동물사체 처리장치(10)는 이미 매몰된 동물사체를 친환경적으로 재처리하는 데에도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오염된 환경을 복원하는데 매우 유용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 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동물사체 처리장치
100: 처분실 110: 가스실
120: 조정실 140: 이동펜스
160: 경사판 200: 상행 컨베이어
300: 분쇄부 320,330: 사체절단기
350: 절단기 구동부 400: 이송부
410: 이송스크류 420: 이송관
430: 스팀관 440: 사체절편 투입관
500,600: 탈수부 510,610: 내부케이싱
520: 탈수판 630: 회전내통
650: 배출슈트 F: 프레임

Claims (14)

  1. 처분대상 동물을 살처리하는 처분실;
    상기 처분실에서 살처리된 동물사체를 상부로 이송시키는 상행 컨베이어;
    상기 상행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상기 동물사체를 분쇄하는 분쇄부;
    상기 분쇄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분쇄부에서 절단된 사체절편을 이송시키는 동시에 1차 가열하는 이송부; 및
    상기 이송부에서 이송된 상기 사체절편을 탈수 및 2차 가열하여 멸균한 후, 멸균된 상기 사체절편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탈수부를 포함하되,
    상기 처분실은
    내부를 밀폐시키는 밀폐도어가 구비된 가스실, 및
    상기 밀폐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가스실의 내외로 출몰되어 처분대상 동물을 상기 가스실 내부로 유도하는 이동펜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사체 처리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분실은
    상기 가스실에서 살처분된 동물사체를 상기 상행 컨베이어로 이송시키는 수평 컨베이어, 및
    상기 수평 컨베이어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수평 컨베이어를 향해 경사지게 세워지도록 구동되는 경사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사체 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부는
    상부가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투입된 동물사체를 절단하는 사체절단기, 및
    상기 사체절단기를 구동시키는 절단기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사체 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타공판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분쇄부에서 절단되어 낙하하는 상기 사체절편이 수집되는 여과판,
    내부에 이송스크류가 설치되어 상기 여과판에 낙하한 상기 사체절편을 이송시키는 이송관,
    상기 이송관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내부로 스팀이 공급되는 스팀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사체 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 및 상기 스팀관은 스파이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사체 처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부는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상기 사체절편이 투입되는 내부케이싱,
    상기 내부케이싱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케이싱으로 투입된 사체절편을 압착시키는 압축타공판,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압축타공판을 이동시키는 리드스크류,
    상기 내부케이싱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구비되고 내부에는 스팀이 공급되는 외부케이싱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사체 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부는
    상기 내부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케이싱의 내부를 2개의 공간으로 분할하는 고정칸막이를 더 구비하고,
    상기 압축타공판과 상기 리드스크류는 상기 내부케이싱 내의 분할된 공간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사체 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케이싱은
    상기 내부케이싱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사체절편으로부터 배출되는 유체를 상기 내부케이싱의 바닥으로 투과시키는 탈수판,
    상기 탈수판을 투과하여 상기 내부케이싱의 바닥으로 배출된 상기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유체 배출관, 및
    상기 탈수판의 상부에서 상기 압축타공판에 의해 압착되어 탈수된 상기 사체절편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탈수사체 배출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사체 처리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부는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상기 사체절편이 투입되는 내부케이싱,
    상기 내부케이싱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구비되고 내부에는 스팀이 공급되는 제1외부케이싱,
    상기 내부케이싱의 일측을 개폐시키는 개폐구,
    복수의 탈수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구를 사이에 두고 상기 내부케이싱의 반대편에 배치되어 상기 내부케이싱으로부터 가열된 상기 사체절편을 공급받는 회전내통,
    상기 회전내통에 연결되고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회전내통을 회전시키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내통의 외부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며 회전하는 상기 회전내통으로부터 배출된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외부케이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사체 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케이싱은
    내부에 투입된 상기 사체절편을 상기 회전내통으로 밀어내는 압축판과,
    상기 압축판에 연결되어 회전함으로써 상기 압축판을 이동시키는 리드스크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사체 처리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내통의 개구된 일측에는 탈수된 상기 사체절편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슈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사체 처리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내통과 상기 제2외부케이싱 사이에는 베어링이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사체 처리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내통의 내주면에는
    상기 회전내통 회전 시 내부에 투입된 상기 사체절편이 상기 개폐구의 반대편을 향해 이동되도록 하는 이송블레이드가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사체 처리장치.
KR1020160092516A 2016-07-21 2016-07-21 동물사체 처리장치 KR101716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2516A KR101716390B1 (ko) 2016-07-21 2016-07-21 동물사체 처리장치
PCT/KR2017/007866 WO2018016905A1 (ko) 2016-07-21 2017-07-21 동물사체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2516A KR101716390B1 (ko) 2016-07-21 2016-07-21 동물사체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6390B1 true KR101716390B1 (ko) 2017-03-14

Family

ID=58459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2516A KR101716390B1 (ko) 2016-07-21 2016-07-21 동물사체 처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16390B1 (ko)
WO (1) WO2018016905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3236B1 (ko) 2016-11-10 2017-12-28 장영현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폐사 가축 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101813235B1 (ko) 2016-11-04 2017-12-28 장영현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유병 가축 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101904331B1 (ko) * 2018-04-05 2018-10-04 신호철 동물사체 처리장치
WO2019107633A1 (ko) * 2017-11-30 2019-06-06 장영현 가축 처리장치
KR102021421B1 (ko) * 2018-04-27 2019-09-16 (주) 한국수산방역기술 수산생물 폐사체 처리에서 발생되는 오폐수 살균 정화 시스템
KR20190138038A (ko) * 2018-06-04 2019-12-12 형제산업 주식회사 가축 매몰지 발굴사체처리를 위한 렌더링 시스템
CN114308245A (zh) * 2022-02-08 2022-04-12 宁夏回族自治区动物疾病预防控制中心 一种畜牧养殖场病死动物尸体无害化处理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13992A (zh) * 2019-11-19 2020-02-21 苏州圣典企业管理咨询有限公司 一种用于垃圾集中处理的垃圾分拣系统及其工作方式
CN114468009B (zh) * 2022-03-08 2023-03-28 利辛县凯利达肉类加工有限公司 一种屠宰场废水超高压灭菌处理线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6536Y1 (ko) * 1996-12-23 1999-06-15 박영근 쓰레기 압착분쇄장치
JP2004500853A (ja) * 2000-05-30 2004-01-15 ストーク エムピーエス ビー.ブイ. 屠殺用動物を少なくとも気絶させ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0723008B1 (ko) 2005-10-14 2007-05-29 김윤수 동물 사체 처리기
KR101041747B1 (ko) * 2011-02-14 2011-06-16 엔 하이테크 주식회사 폐기물 투입 및 투입 호퍼가 구비된 환경친화형 폐사가축 처리장치
KR101438024B1 (ko) * 2013-08-21 2014-09-04 (주)바른건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5401A (ko) * 1996-12-10 1998-09-15 박중구 쓰레기의 감량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6536Y1 (ko) * 1996-12-23 1999-06-15 박영근 쓰레기 압착분쇄장치
JP2004500853A (ja) * 2000-05-30 2004-01-15 ストーク エムピーエス ビー.ブイ. 屠殺用動物を少なくとも気絶させ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0723008B1 (ko) 2005-10-14 2007-05-29 김윤수 동물 사체 처리기
KR101041747B1 (ko) * 2011-02-14 2011-06-16 엔 하이테크 주식회사 폐기물 투입 및 투입 호퍼가 구비된 환경친화형 폐사가축 처리장치
KR101438024B1 (ko) * 2013-08-21 2014-09-04 (주)바른건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3235B1 (ko) 2016-11-04 2017-12-28 장영현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유병 가축 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101813236B1 (ko) 2016-11-10 2017-12-28 장영현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폐사 가축 처리장치 및 그 방법
WO2019107633A1 (ko) * 2017-11-30 2019-06-06 장영현 가축 처리장치
KR101904331B1 (ko) * 2018-04-05 2018-10-04 신호철 동물사체 처리장치
KR102021421B1 (ko) * 2018-04-27 2019-09-16 (주) 한국수산방역기술 수산생물 폐사체 처리에서 발생되는 오폐수 살균 정화 시스템
KR20190138038A (ko) * 2018-06-04 2019-12-12 형제산업 주식회사 가축 매몰지 발굴사체처리를 위한 렌더링 시스템
KR102138422B1 (ko) * 2018-06-04 2020-07-28 형제산업 주식회사 가축 매몰지 발굴사체처리를 위한 렌더링 시스템
CN114308245A (zh) * 2022-02-08 2022-04-12 宁夏回族自治区动物疾病预防控制中心 一种畜牧养殖场病死动物尸体无害化处理装置
CN114308245B (zh) * 2022-02-08 2023-01-13 宁夏回族自治区动物疾病预防控制中心 一种畜牧养殖场病死动物尸体无害化处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16905A1 (ko) 2018-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6390B1 (ko) 동물사체 처리장치
KR101904331B1 (ko) 동물사체 처리장치
KR100586629B1 (ko) 폐기물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US7144550B2 (en) Mobile apparatus and process for treating infectious waste
CA2842752C (en) Pressurized screw system using air locks for waste disposal
US5270000A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treating medical hazardous wastes
KR101328070B1 (ko) 이동식 가축 살처분 사체의 처리장치
KR101148154B1 (ko) 가축 살처분 사체의 처리장치
KR101111438B1 (ko) 이동식 가축 살처분 사체의 처리방법
KR101067012B1 (ko) 이동식 가축 살처분 사체의 처리장치
KR101801268B1 (ko) 동물사체 처리장치
KR101060741B1 (ko) 전염병 확산방지를 위한 도살처분 방법 및 도살처분 장치, 이를 이용한 사체 유기물의 퇴비화방법
US2007019785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ment and disposal of waste material
KR102141397B1 (ko) 가축동물 사체 및 매몰지 토양의 고열멸균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고열멸균기
KR102085833B1 (ko) 폐가축처리장치
CN109848178A (zh) 一种动物尸体微波灭菌无害化处理设备及工艺
KR101919595B1 (ko) 가축 및 동물의 살처분된 원료를 이용한 자원 재활용시스템
KR20120103790A (ko) 가축 매몰처분 사체에 의한 토양오염방지 처리방법
KR101339848B1 (ko) 이동식 가축 살처분 사체의 처리장치
KR102143383B1 (ko) 가축동물 매몰지 토양 복원장치 및 복원방법
KR102031797B1 (ko) 동물의 살처분 처리장치
KR20160059611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
KR102509001B1 (ko) 가축분뇨와 가축폐사체의 퇴비화 및 에너지화 처리시스템
KR20210058245A (ko) 도살처분 장치와 전염병의 확산방지를 위한 도살처분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사체 유기물을 퇴비화하는 방법
KR20120103789A (ko) 이동식 가축 살처분 사체의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