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1132B1 - 동충하초 재배용 부착트랩 및 이를 이용한 동충하초의 재배방법 - Google Patents

동충하초 재배용 부착트랩 및 이를 이용한 동충하초의 재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1132B1
KR101981132B1 KR1020180151906A KR20180151906A KR101981132B1 KR 101981132 B1 KR101981132 B1 KR 101981132B1 KR 1020180151906 A KR1020180151906 A KR 1020180151906A KR 20180151906 A KR20180151906 A KR 20180151906A KR 101981132 B1 KR101981132 B1 KR 101981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dyceps
insects
strain
trap
inf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1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웅
박신찬
배성민
김종익
유찬열
임채용
유창근
정창언
제환종
강기현
권영석
박준호
김학곤
Original Assignee
박성웅
경상남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웅, 경상남도 filed Critical 박성웅
Priority to KR1020180151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11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1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1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60Cultivation rooms; Equipment therefor
    • A01G18/64Cultivation containers; Lid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20Culture media, e.g. compos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40Cultivation of spaw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4Catching by adhesive surfaces
    • A01M1/18Adhesive bands or coatings for tre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c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염목을 감싸는 피복제(mulch film)에 탈부착하기 위한 연결 기구 및 상기 감염목에 서식하는 곤충을 포획하기 위한 포획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충하초 재배용 부착트랩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포획 공간은 동충하초속(Cordyceps spp.) 균주를 포함하며, 상기 균주가 상기 곤충을 자연 감염시킴으로써 상기 균주가 자연 배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동충하초 재배용 부착트랩 및 이를 이용한 동충하초의 재배방법{Attachable Trap for Culture of Cordyceps spp. and Cultiv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동충하초(Cordyceps spp.) 균주를 배양하여 재배하기 위한 부착트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감염목 또는 감염목으로부터 채취한 재료를 씌우는 피복제에 직접 부착하여감염목 또는 재료에 서식하는 해충을 포획하고 이를 이용하여 동충하초를 재배할 수 있는 부착트랩과 동충하초 균주를 직접 감염목에 살포하는 생물적방법으로 재선충 숙주인 해충(솔수염하늘소, 북방수염하늘소)의 유충을 이용한 동충하초 대량 생산에 관한 것이다.
잣나무, 소나무, 전나무, 일본잎갈나무, 백송, 리기다소나무 등(이하 “소나무”라 한다)에 재선충병을 일으키는 매개충은 솔수염하늘소(Monochamus alternatus)와 북방수염하늘소(Monochamus saltuarius)이다. 이들 매개충은 쇠약하거나 말라죽은 소나무에 알을 낳아서 번식하며, 알에서 깨어난 애벌레는 소나무의 속을 갉아 먹으면서 자란다. 성충도 소나무의 껍질을 갉아 먹으며, 재선충의 숙주 역할을 한다. 재선충은 자체로는 이동능력이 없어 솔수염하늘소와 북방수염하늘소의 번데기 주변에 모여 있다가 숙주의 몸속으로 침입하여 숙주곤충이 성충이 되어 이동할 때 전파된다. 숙주곤충인 매개충의 우화는 지역별로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3~5월 사이에 이루어지며, 매개충의 재선충 보유율은 평균 70% 이며, 숙주당 평균 15,000마리의 재선충을 보유한다. 재선충에 감염된 매개충은 후식과정을 통해 재감염이 이루어지고, 교미를 통해 감염된 나무에 산란을 한다.
이처럼 재선충병에 감염된 소나무의 관리를 위하여 훈증, 파쇄, 매립, 소각, 박피 등의 방법을 적용하고 있는데, 재선충병이 걸린 장소와 작업의 여건에 따라 방법을 달리하여 관리하고 있다. 특히, 재선충병에 걸린 소나무는 베어내어 더미로 만든 후 여기에 약을 뿌리고 피복제를 씌워 밀봉하는 훈증방제가 일반적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897975호에서는 밀폐가 가능한 구조의 비닐을 사용하여 수목을 둘러싸고, 비닐 내부를 진공으로 형성하거나 이질가스를 충전함으로써 수목에서 서식하는 재선충을 박멸할 수 있도록 하는 재선충 훈증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소량의 수목을 처리하는 데에는 적합하나 대량의 훈증더미에 대해서는 이를 전체적으로 둘러싸거나 진공으로 만드는데 어려움이 있어 감염목의 대량 처리 방법으로는 부적합하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842445호 및 10-1842446호에서는 훈증 방제 박스를 이용하여 감염목을 상기 방제 박스에 투입하고 밀봉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 역시 대량의 훈증더미를 처리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827490호에서는 감염목을 제재하여 속재목과 수피를 포함하는 겉재목으로 분리한 후, 속재목은 열 또는 훈증처리를 통해 살균하여 제품으로 출하하고, 수피를 포함하는 겉재목은 파쇄 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감염목을 하나씩 처리해야하기 때문에 넓은 지역에서 발생하는 감염목을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없어 감염 확산을 방지하기에는 부적합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대량의 훈증더미를 처리하는데 한계가 있다.
한편, 곤충병원성 균주를 이용하여 해충을 방제하는 다수의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8-0092770호에는 곤충병원성 진균인 메타리지움 아니소플리애(Metarhizium anisopliae) JEF-314 균주를 이용하여 살충 효과를 얻고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666968호에서는 보베리아 바시아나(Beauveria bassiana) JEF007 균주를 이용하여 농업해충을 방제하는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89797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84244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84244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827490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8-009277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66696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감염목이나 감염목으로부터 채집된 시료를 씌우는 피복제(mulch film)에 직접 부착하여 감염목에 서식하는 해충을 유인하여 포획할 수 있는 부착트랩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착트랩에 포획된 해충을 동충하초(Cordyceps spp. & Beauveria bassiana. 이하 “동충하초”라 한다.) 균주를 자연 감염시킴으로써 상기 동충하초 균주가 자연 배양되어 상기 동충하초를 재배할 수 있는 부착트랩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피복제 내부는 외부와 단절되어 적정의 온습도를 유지하고 있어 빛과 온습도에 민감한 동충하초가 자랄 수 있는 환경상태로써 동충하초 균주를 직접 감염목에 살포하여 대량 재배 및 생산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동충하초 재배용 부착트랩은 감염목을 감싸는 피복제(mulch film)에 탈부착하기 위한 연결 기구 및 상기 감염목에 서식하는 곤충을 포획하기 위한 포획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트랩으로서, 상기 포획 공간은 동충하초속(Cordyceps spp.) 균주를 포함하며, 상기 균주가 상기 곤충을 자연 감염시킴으로써 상기 균주가 자연 배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포획 공간은 투명한 재질의 플라스틱 또는 유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연결 기구는 상기 피복제에 부착된 소켓과 결속되는 커넥터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연결 기구는 상기 소켓과 상기 커넥터를 연결하는 가요성 호스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동충하초속 균주는 밀리타리스 동충하초(Cordyceps militaris), 소보리페라동충하초(Cordyceps sobolifera), 스페로세팔라 동충하초(Cordyceps sphaerocephala), 눈꽃동충하초(Cordyceps japonica), 시넨시스 동충하초(Cordyceps sinensis)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된 동충하초속 균주 또는 상기 동충하초속 균주와 보베리아 바시아나(Beauveria bassiana) 또는 메타리지움 아니소플리애(Metarhizium anisopliae)를 혼합한 혼합균주일 수 있다. 상기 동충하초속 균주는 나비목, 딱정벌레목, 매미목, 노린재목, 벌목, 메뚜기목, 거미목 등의 곤충을 영양원으로 하여 재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획 공간 내에는 유인된 곤충의 탈출을 방지하는 탈출 방지 기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복제는 감염목으로부터 채집된 시료를 씌우는 피복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충하초속 균주는 곤충 분말의 액체 배지에 동충하초속 균주를 접종하여 배양한 배양액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동충하초 재배용 부착트랩을 이용한 동충하초의 재배방법은 상기 부착트랩의 포획 공간 내에 곤충의 생체 및/또는 상기 부착트랩의 포획 공간 내에 동충하초 배양균을 두고 상기 부착트랩을 통해 포획된 곤충을 동충하초 균주의 영양원으로 하여 동충하초를 재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피복제 내부에 동충하초 균주를 직접 감염목에 살포하여 대량 재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착트랩은 감염목을 씌우는 피복제에 직접 부착하여 감염목에 서식하는 곤충을 포획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부착트랩에 포획된 곤충에 인위적으로 배양된 동충하초 균주를 자연 감염시킴으로써 상기 동충하초를 자연 배양시키기 때문에 상기 부착트랩을 이용하여 동충하초를 재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충하초속 균주를 상기 감염목에 살포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감염목 내에서 곤충을 자연 감염시킬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착트랩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배양액을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부착트랩의 포획 공간 내에 포획된 소나무 재선충병의 매개충의 몸체에서 동충하초가 배양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피복제 내부 감염목에 동충하초균 직접 살포하여 소나무 재선충병의 매개충인 유충에서 동충하초가 배양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5는 가요성 호스를 부가한 부착트랩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부착트랩을 구성하는 연결 기구의 예시도이다.
도 7은 부착트랩을 사용하지 않거나 유인된 해충을 보관하기 위해 피복제 및 포획 공간을 폐쇄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피복제로서 지퍼백을 적용함으로써 부착트랩을 연구 또는 실험을 위한 기구로 적용하는 경우의 예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착트랩은 동충하초를 배양하기 위한 것으로서, 감염목을 감싸는 피복제(mulch film)에 탈부착하기 위한 연결 기구 및 상기 감염목에 서식하는 해충을 포획하기 위한 포획 공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포획 공간은 동충하초속(Cordyceps spp.) 균주를 포함하며, 상기 균주가 상기 곤충을 자연 감염시킴으로써 상기 균주가 자연 배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충하초속(Cordyceps spp.)에 속하는 종에 따라 나비목, 딱정벌레목, 매미목, 노린재목, 벌목, 메뚜기목, 거미 등의 곤충을 영양원으로 하여 배양될 수 있다. 상기 보베리아 바시아나(Beauveria bassiana) 또는 메타리지움 아니소플리애(Metarhizium anisopliae)도 동충하초로도 불리며, 이 균주 또한 곤충을 영양원으로 하여 배양될 수 있으므로 상기 동충하초속 균주와 혼합하여 적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나비목 곤충에 대한 동충하초속 균주는 Cordyceps militaris가 유효하며, 매미목 곤충에 대한 균주는 Cordyceps sobolifera, 벌목에 대한 균주는 Codyceps sphecocephala가 유효하다. 그 밖에 딱정벌레목, 메뚜기목 외에 거미에게도 기생할 수 있다.
상기 동충하초는 겨울철 곤충이던 것이 여름철 풀로 전이된다는 뜻의 버섯을 말한다. 곤충이 유충시절에 동충하초의 포자나 균사가 침입해 유충내에서 생장하다가 성충이 되면 벌레의 전신으로 퍼져 버섯(자실체(子實體, fruit body))을 발생시키고 번식하는 자낭균류(子囊菌, Ascomycetes)의 버섯이다. 동충하초균은 자연상태에서 버섯형태 또는 곤충에 기생형태의 균사체로 쉽게 채집이 가능하지만, 기주의 특이성으로 인해 자연상태에서는 대량으로 발견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밀폐된 환경에서의 해충(곤충) 사육환경과 해충을 유인할 수 있는 부착트랩(휘발성 페로몬 등)을 이용하여 상기 부착트랩 내에 기주에 맞는 동충하초 균주를 두고 상기 포획된 곤충을 영양원으로 하여 양질의 동충하초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수단 및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먼저 동충하초 균주를 배양하여 이를 상기 부착트랩을 부착하기 전에 미리 포획 공간 내에 두게 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동충하초속 균주의 배양액 조성 및 종균배양, 보관, 및 부착트랩 내에 설치하는 방법은 곤충 분말의 액체 배지에 동충하초속 균주를 접종하여 배양한 배양액을 이용하는 것인데, 이는 도 2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다.
먼저, 증류수 1ℓ에 솔수염하늘소 생체를 갈아서 만든 분말 50g, PDA 10g, yeast 50g, peptone 50g, 설탕 50g, 분유 25g 용해하여 액체 배지를 제조한다. 상기 액체 배지는 각각 200㎖의 삼각플라스크에 나눠 넣고, 입구는 알루미늄 호일로 막은 다음 고온고압 오토클레이브(멸균기)에서 110 내지 130℃의 온도로 30 내지 60분간 멸균처리를 한다. 상기 멸균된 배양액 삼각플라스크는 0~4℃로 냉장보관 한다. 또한, 종균접종 및 배양은 부착트랩용기 내에 천연솜 30g과 상기 배양액 200㎖를을 넣고 30~60분간 UV 소독한 다음 클린벤치(무균실) 내에서 Cordyseps spp. 또는 Beauveria bassiana(or Metarhizium anisopliae) 균주 접종후 멸균된 솜으로 막아 25℃ 인큐베이트에서 5 내지 7일간 배양한다. 이렇게 배양된 균주는 0~4℃로 냉장시켜 휴면 보관하고 필요할 때 사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포획 공간은 전술한 바와 같이 동충하초 균주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일단 곤충이 상기 포획 공간 내에 포획되면 상기 곤충을 자연 감염시킴으로써 상기 동충하초가 자연 배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염목은 각종 병원균을 매개하는 매개충이 산란 및 서식하여 감염된 수목 등의 식물을 가리키는 용어로서, 소나무의 경우 감염목의 훈증더미를 들 수 있으며, 매개충인 곤충이 산란한 기주식물의 잎, 줄기, 뿌리 등 감염목으로부터 채집되는 시료를 들 수도 있다.
상기 훈증더미의 경우, 우화(羽化)된 솔수염하늘소와 북방수염하늘소는 재선충에 감염된 매개충이며, 이를 포획하여 구제함으로써 소나무재선충병의 확산을 막을 수 있다. 또한, 기주식물의 경우, 식물의 잎, 줄기, 뿌리 등 일부 부위만을 채집하여 이를 상기 피복제로 감싸고 상기 부착트랩을 부착함으로써 유인되어 포획되는 해충을 실험 및 연구용으로 채집할 수 있다.
상기 포획 공간은 투명한 재질의 플라스틱 또는 유리로 이루어진 병 또는 용기일 수 있으며, 상기 연결 기구는 상기 피복제에 부착된 소켓과 결속되는 커넥터일 수 있다.
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포획 공간으로 사용되는 플라스틱 또는 유리로 만들어진 병 또는 용기는 부착트랩용으로 별도로 제작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PET병, PE병, 유리병과 같은 음료나 물을 담는 용기를 재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재활용 용기를 적용하면, 비용 절감뿐만 아니라 해충의 포획 후 불필요한 경우 폐기하면 되기 때문에 포획 공간 내의 포획된 곤충의 제거나 소독 등의 별도의 절차가 필요하지 않아 효율적으로 해충을 방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포획 공간 내에 포획된 곤충은 먹이를 공급받을 수 없어 시간이 경과하면서 쇠약해지게 되고, 이때 상기 포획 공간 내에 포함되는 곤충병원성 균주인 동충하초속 균주에 의해 자연스럽게 감염되어 사멸되게 된다. 상기 곤충이 사멸됨에 따라 상기 곤충을 감염시킨 곤충병원성 균주인 동충하초 균주는 곤충에 의해 자연 배양되게 된다.
도 2는 증류수 1ℓ에 솔수염하늘소 생체를 갈아서 만든 분말 50g, PDA 10g, yeast 50g, peptone 50g, 설탕 50g, 분유 25g 용해하여 액체 배지를 만들어 Cordyseps spp.Beauveria bassiana 균주 접종후 멸균된 솜으로 막아 25℃ 인큐베이트에서 7일간 배양한 사진이다.
도 3은 부착트랩을 소나무의 훈증더미에 부착하여 소나무 재선충병의 매개충인 솔수염하늘소를 포획한 후 이를 자연 감염시켜 상기 솔수염하늘소의 몸체에서 동충하초가 배양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와 같은 방법을 적용하면 상기 부착트랩을 이용하여 해충(곤충)을 포획하여 방제할 뿐만 아니라 제품화할 수 있는 균주(동충하초)의 자연 배양을 동시에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동충하초를 재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동충하초 균주는 상기 포획 공간 내에 살포되거나 포획 공간 내에 상기 균주를 담은 별도의 용기 또는 균주를 포함하는 솜, 섬유, 필름 등을 배치함으로써 포획 공간 내에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충하초 균주로는 포획되는 곤충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균주를 선택할 수 있는데, 대표적으로는 동충하초(Cordyceps spp.)의 숙주가 되는 나비목 곤충의 균주는 Cordyceps militaris, 매미목은 Cordyceps sobolifera, 벌목은 Codyceps sphecocephala, 그 밖에 딱정벌레목, 메뚜기목 외에 거미에게도 기생하는 Cordyceps spp. Beauveria bassiana 그리고 Metarhizium anisopliae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균주는 한 종류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포획되는 곤충의 종류에 따라 균주를 혼합한 혼합 균주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4는 피복제 내부는 외부와 단절되어 적정의 온습도를 유지하고 있어 빛과 온습도에 민감한 동충하초가 자랄 수 있는 환경상태로써 동충하초 균주를 직접 감염목에 살포하여 대량 재배 및 생산을 목적으로 할 수 있다. 피복제 내부 감염목에 동충하초균 직접 살포하여 소나무 재선충병의 매개충인 유충에서 동충하초가 배양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또한,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피복제에 부착된 소켓과 결속되는 커넥터 사이의 움직임을 원활하게하기 위하여 투명한 재질의 투명한 가요성 호스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투명한 가요성 호스로 상기 소켓과 커넥터를 연결함으로써 상기 포획 공간을 구성하는 병과 상기 피복제와의 거리를 이격시킬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장소에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연결 기구는 소켓과 커넥터로 구성되는데, 도 5에서와 같이 가요성 호스가 추가될 경우에는 상기 커넥터를 가요성 호스의 양쪽에 부착하여 상기 소켓과 연결하는 커넥터 및 상기 포획 공간을 구성하는 병 또는 용기와 연결하는 커넥터를 별도로 구비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포획 공간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사용자가 상기 부착트랩을 설치한 후 포획되는 곤충의 수나 상태를 파악할 수 있고, 균주의 배양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투명한 소재를 사용하면, 외부와 단절된 훈증더미 내부에서 포획트랩 쪽에서 발생되는 빛에 유인되어 들어오는 곤충의 양성주광성 특성을 이용할 수 있어 대상곤충의 유인 및 포획효과를 높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부착트랩은 단순히 해충을 포획하여 방제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용량이 큰 투명한 재질의 포획 공간을 적용함으로써 산란목의 훈증더미로부터 유인되어 포획되는 곤충의 종류, 크기, 마리(개체수) 등을 분석할 수 있기 때문에 실험 또는 연구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균주의 배양을 위한 실험 또는 연구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훈증더미의 피복제(mulch film)는 타폴린(tarpaulin), 지퍼백, 망, 비닐 필름, 방수포 등 감염목을 더미로 묶어 감쌀 수 있는 다양한 재질을 들 수 있는데, 감염목의 훈증더미에 가장 널리 적용하는 대표적인 피복제로는 타폴린을 들 수 있다. 상기 타폴린을 사용하면 훈증더미를 쉽게 밀봉할 수 있고, 재질에 내구성이 있어 쉽게 훼손되지 않으므로 훈증더미 내의 곤충이 쉽게 탈출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본 발명에서 부착트랩이 포집할 수 있는 곤충(해충)은 나방류 성충(파밤나방, 담배거세미나방, 배추좀나방, 배추순나방, 감자나방), 솔나방 유충, 땅강아지 등의 채소류 및 밭작물 해충; 벼밤나방, 매미충류, 멸구류, 잎말이나방, 벼잎벌레 등의 수도 해충; 목화다래나방, 목화명나방, 목화바둑명나방, 목화밤나방, 목화잎밤나방, 담배나방 등의 목화 해충; 과수 순나방류, 과수 잎말이나방류, 과수 심식나방류, 과수 흡수나방류 흡즙나방 등의 과수 해충; 곡나방류, 솔나방류, 잎말이나방류, 명나방류, 흰불나방, 하늘소류, 매미충류 등의 산림 해충; 꿀나방류, 곡나방류, 거염벌레 등의 맥류 해충; 들명나방류, 담배나방류, 조명나방, 잎벌레류, 풍뎅이류 등의 잡곡 해충; 도둑나방, 거세미나방류, 풍뎅이류 등의 토양 해충; 메뚜기류, 풀무치류, 잎벌레류 등의 목초 해충; 바구미류, 곡나방류, 거저리류, 권련벌레류 등의 저장 해충; 모기, 파리, 하루살이, 깍다구 등의 도시와 시골 지역에 서식하는 해충 등을 들 수 있는데, 훈증더미를 타폴린으로 감싸 방제하는 가장 많은 용도는 재선충병의 방제이므로, 솔수염하늘소와 북방수염하늘소 등의 소나무 재선충병의 매개충으로 한정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언급된 곤충(해충)들 중 페로몬 특이성에 따라 단종으로 대량 유입되는 곤충의 경우 일단 포획한 후 상기 곤충을 원형상태 또는 분쇄하여 분말화한 후 동충하초 균주를 접종함으로써 대량 재배를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피복제는 부피가 큰 감염목의 훈증더미를 전체적으로 감싸고 있기 때문에 상기 포획 공간은 1개 이상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훈증더미를 씌운 하나의 피복제의 경우, 500㎖ 이상의 포획 공간을 구성하는 재사용 투명 용기를 1 내지 30개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착트랩의 부착 개수는 훈증더미의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포획 공간 내에는 곤충 유인제를 추가적으로 함유할 수 있는데, 상기 곤충 유인제로는 휘발성 페로몬; 잣나무, 소나무, 전나무, 일본잎갈나무, 백송, 리기다소나무 중 어느 하나로부터 추출된 오일; 잣나무, 소나무, 전나무, 일본잎갈나무, 백송, 리기다소나무 중 어느 하나의 잎; 또는 잣나무, 소나무, 전나무, 일본잎갈나무, 백송, 리기다소나무 중 어느 하나의 가지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곤충 유인제는 곤충, 특히, 재선충병 매개충을 유인하는 방향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밀폐된 훈증더미 내에서 쉽게 상기 매개충을 유인할 수 있어 포획 효과가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곤충 유인제는 에어로졸 제형, 스프레이 제형, 또는 페인트 제형으로 제조하여 이를 포획 공간 내에 분산, 분무 또는 코팅하여 장시간 방향 효과를 발생하도록 할 수 있으며, 별도의 소형 용기에 상기 곤충 유인제를 담아 상기 소형 용기를 상기 포획 공간 내에 둘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동충하초속 균주를 상기 감염목에 살포한 후 피복제를 감싸고, 상기 피복제에 부착트랩을 설치하여 동충하초를 배양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감염목 내에 생식하는 유충과 성충이 모두 상기 동충하초속 균주에 의해 감염되기 때문에 상기 감염목 내에서 사멸할 수도 있고, 감염된 성충은 상기 부착트랩의 포획 공간으로 이동하여 사멸될 수 있기 때문에 감염목과 부착트랩 내에서 동충하초를 동시에 재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획 공간 내에는 유인된 곤충의 탈출을 방지하는 탈출 방지 기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탈출 방지 기구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 포획 공간 내에 들어온 곤충이 다시 탈출하여 훈증더미로 돌아갈 우려가 있으므로, 일단 포획 공간 내에 들어온 곤충이 다시 돌아갈 수 없도록 들어오는 입구의 직경보다 더 좁은 직경이 되도록 테이퍼진 형상의 깔대기를 도 1 또는 도 5에서와 같이 포획 공간을 구성하는 용기 입구의 내부에 부착함으로써 곤충의 탈출을 저지할 수 있다. 즉, 상기 탈출 방지 기구는 상기 포획 공간의 입구의 직경보다 좁아지는 형태로 구성됨으로써 일단 포획 공간 내에 들어온 곤충이 다시 입구를 통해 나갈 수 없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포획 공간 내에 설치하기 용이한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기구는 상기 피복제에 부착된 소켓과 상기 포획 공간을 구성하는 재활용 용기에 부착되는 커넥터가 하나의 세트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ET 병을 예로 들면, PET 병의 입구는 규격화되어 동일한 직경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커넥터는 내부에 나사산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PET 병과 나사 결합되어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커넥터의 내부에 형성된 나사산은 규격화된 PET 병의 나사산과 맞물릴 수 있도록 제조되어 다양한 크기와 용도의 PET 병을 장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의 내부에 형성된 나사산은 상기 소켓의 나사산과 일치되도록 제조함으로써 상기 소켓과 맞물려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연결 기구는 도 6을 통해 구체적으로 예시할 수 있는데, 재활용 용기의 규격에 따라 (1)로 표시되는 상기 소켓의 내경과 (2)로 표시되는 상기 소켓의 외경을 각각 20 및 31㎜, 28 및 36㎜, 31 및 42㎜로 규격화하여 사용하는 재활용 용기의 종류나 크기에 따라 상기 피복제에 부착되는 상기 소켓의 종류를 달리할 수 있다.
상기 포획 공간으로 들어가는 입구는 20㎜ 이상이 되어야 하므로 상기 소켓의 내경은 20㎜ 이상이어야 한다. 상기 내경이 20㎜ 이상이어야 솔수염하늘소와 북방수염하늘소가 이동을 방해 받지 않는 최소한의 출입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켓은 상기 피복제의 천공에 맞추어 접착제로 부착할 수 있으며, 또한, 나사산을 이용하여 상기 피복제의 천공에 조임 결합하여 부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포획 공간을 구성하는 상기 재활용 용기는 부피가 큰 경우가 많아 상기 소켓과 상기 커넥터를 조아 체결한 후 상기 재활용 용기의 무게에 의해 상기 피복제가 손상되거나 상기 훈증더미에서 벗겨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소켓과 상기 커넥터를 연결하는 가요성 호스를 설치하여 부피가 큰 용기를 별도의 장소에 둘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재활용 용기가 상기 훈증더미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지지기구를 추가적으로 부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훈증더미를 싼 상기 피복제에 복수의 지지대를 접착하고 상기 지지대가 상기 재활용 용기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부착될 수 있다.
또한, 포획이 끝나거나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연결 기구를 분리하여 뚜껑으로 밀봉함으로써 곤충의 출입을 차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부착트랩은 훈증더미 또는 감염목을 감싸는 피복제에 직접 부착되는 형태로서 상기 부착트랩의 포획 공간을 투명한 재활용 용기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곤충(예를 들어, 소나무의 경우 재선충병의 매개충)을 효과적으로 유인하여 포획할 수 있으면서도 그 처리가 용이하여 방제를 위한 경제적인 부착트랩을 제공할 수 있어 산림에 발생하는 재선충병 등의 전파를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관리할 수 있다. 또한, 포획된 곤충을 이용하여 동충하초를 재배할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 효과와 동충하초의 생산성 향상을 동시에 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부착트랩은 해충의 포획뿐만 아니라 방제, 배양 균주의 연구 등의 다양한 용도에 응용할 수 있으므로 다기능 부착트랩으로서 활용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8과 같은 부착트랩을 사용하는 경우를 예시할 수 있다. 즉, 현장에서 해충이 산란한 기주식물의 잎, 줄기, 뿌리 등의 시료를 채집한 후 이를 지퍼백 형태의 피복제에 두고 밀봉한 후, 상기 부착트랩을 장착하면, 상기 지퍼백 내에서 감염식물 내에 생식하던 곤충을 포획 공간 내에서 우화시킬 수 있으므로, 이를 통해 곤충과 관련한 연구 또는 실험을 위한 기구로써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피복제는 훈증더미와는 달리 부피가 작기 때문에 부착트랩에 직접 부착하여 관리할 수 있고, 포획 공간의 크기 역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부착트랩은 탈부착이 용이하고 곤충을 유인하여 포획하는 효율적인 기구로서, 방제용 및 실험, 연구용 등 다양한 용도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착트랩 내의 포획된 곤충은 동충하초의 영양원이 되므로 동충하초의 효율적인 재배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 응용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Claims (10)

  1. 감염목을 감싸는 피복제(mulch film)에 탈부착하기 위한 연결 기구 및
    상기 감염목에 서식하는 곤충을 포획하기 위한 포획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트랩으로서,
    상기 포획 공간은 동충하초속(Cordyceps spp.) 균주를 포함하며,
    상기 균주가 상기 곤충을 자연 감염시킴으로써 상기 균주가 자연 배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충하초 재배용 부착트랩.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획 공간은 투명한 재질의 플라스틱 또는 유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충하초 재배용 부착트랩.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 기구는 상기 피복제에 부착된 소켓과 결속되는 커넥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충하초 재배용 부착트랩.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결 기구는 상기 소켓과 상기 커넥터를 연결하는 가요성 호스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충하초 재배용 부착트랩.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충하초속 균주는 밀리타리스 동충하초(Cordyceps militaris), 소보리페라동충하초(Cordyceps sobolifera), 스페로세팔라 동충하초(Cordyceps sphaerocephala), 눈꽃동충하초(Cordyceps japonica), 시넨시스 동충하초(Cordyceps sinensis)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된 동충하초속 균주 또는 상기 동충하초속 균주와 보베리아 바시아나(Beauveria bassiana) 또는 메타리지움 아니소플리애(Metarhizium anisopliae)를 혼합한 혼합균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충하초 재배용 부착트랩.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획 공간 내에는 유인된 곤충의 탈출을 방지하는 탈출 방지 기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충하초 재배용 부착트랩.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복제는 감염목으로부터 채집된 시료를 씌우는 피복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충하초 재배용 부착트랩.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충하초속 균주는 곤충 분말의 액체 배지에 동충하초 균주를 접종하여 배양한 배양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충하초 재배용 부착트랩.
  9. 청구항 1에 따른 동충하초 재배용 부착트랩을 이용한 동충하초의 재배방법으로서,
    상기 부착트랩의 포획 공간 내에 곤충의 생체 및 동충하초 배양균을 두고 상기 부착트랩을 통해 포획된 곤충을 동충하초 균주의 영양원으로 하여 동충하초를 재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충하초의 재배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동충하초속 균주를 상기 감염목에 살포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충하초의 재배방법.
KR1020180151906A 2018-11-30 2018-11-30 동충하초 재배용 부착트랩 및 이를 이용한 동충하초의 재배방법 KR101981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1906A KR101981132B1 (ko) 2018-11-30 2018-11-30 동충하초 재배용 부착트랩 및 이를 이용한 동충하초의 재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1906A KR101981132B1 (ko) 2018-11-30 2018-11-30 동충하초 재배용 부착트랩 및 이를 이용한 동충하초의 재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1132B1 true KR101981132B1 (ko) 2019-05-22

Family

ID=66679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1906A KR101981132B1 (ko) 2018-11-30 2018-11-30 동충하초 재배용 부착트랩 및 이를 이용한 동충하초의 재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11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94043A (zh) * 2022-06-07 2022-07-29 深圳市名高科技有限公司 物联网三光源虫情测报灯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34938A1 (ja) * 2005-06-13 2006-12-21 Shimizu Corporation 建物の壁面緑化システム
WO2015180519A1 (zh) * 2014-05-29 2015-12-03 熊艳 一种高产虫草多糖蛹虫草的培养方法
KR20160033911A (ko) * 2014-09-19 2016-03-29 (주)유비쿼터스통신 동충하초의 자동 재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재배된 동충하초
KR101666968B1 (ko) 2015-01-06 2016-10-18 전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곤충병원성 보베리아 바시아나 및 이를 이용한 농업해충 방제용 액상제제
KR20170064143A (ko) * 2015-11-30 2017-06-09 김태욱 장수하늘소 동충하초의 코디세핀 함량을 증대시키기 위한 배양 및 생육방법
KR101827490B1 (ko) 2016-01-28 2018-02-08 장병철 소나무 재선충 방제를 위한 수목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1842446B1 (ko) 2017-09-22 2018-03-27 주식회사 가이아 소나무재선충병 감염 벌채목 훈증 방제 방법
KR101842445B1 (ko) 2017-09-22 2018-03-27 주식회사 가이아 소나무재선충병 감염 벌채목 훈증 방제 박스
KR20180092770A (ko) 2017-02-10 2018-08-20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곤충병원성 진균 및 이를 포함하는 미생물 살충제
KR101897975B1 (ko) 2016-08-24 2018-09-12 장병철 진공을 형성함으로써 재선충을 훈증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34938A1 (ja) * 2005-06-13 2006-12-21 Shimizu Corporation 建物の壁面緑化システム
WO2015180519A1 (zh) * 2014-05-29 2015-12-03 熊艳 一种高产虫草多糖蛹虫草的培养方法
KR20160033911A (ko) * 2014-09-19 2016-03-29 (주)유비쿼터스통신 동충하초의 자동 재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재배된 동충하초
KR101666968B1 (ko) 2015-01-06 2016-10-18 전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곤충병원성 보베리아 바시아나 및 이를 이용한 농업해충 방제용 액상제제
KR20170064143A (ko) * 2015-11-30 2017-06-09 김태욱 장수하늘소 동충하초의 코디세핀 함량을 증대시키기 위한 배양 및 생육방법
KR101827490B1 (ko) 2016-01-28 2018-02-08 장병철 소나무 재선충 방제를 위한 수목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1897975B1 (ko) 2016-08-24 2018-09-12 장병철 진공을 형성함으로써 재선충을 훈증하는 방법
KR20180092770A (ko) 2017-02-10 2018-08-20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곤충병원성 진균 및 이를 포함하는 미생물 살충제
KR101842446B1 (ko) 2017-09-22 2018-03-27 주식회사 가이아 소나무재선충병 감염 벌채목 훈증 방제 방법
KR101842445B1 (ko) 2017-09-22 2018-03-27 주식회사 가이아 소나무재선충병 감염 벌채목 훈증 방제 박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94043A (zh) * 2022-06-07 2022-07-29 深圳市名高科技有限公司 物联网三光源虫情测报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nsari et al. Control of western flower thrips (Frankliniella occidentalis) pupae with Metarhizium anisopliae in peat and peat alternative growing media
Parrella et al. Control of Liriomyza trifolii with biological agents and insect growth regulators
Abid et al. Integrated pest management (IPM) for Ectomyelois ceratoniae on date palm
JP2005272353A (ja) ウスチャバネヒメカゲロウを含む生物農薬
KR101981132B1 (ko) 동충하초 재배용 부착트랩 및 이를 이용한 동충하초의 재배방법
GB2419531A (en) Biological control of insect pests
CN101773108A (zh) 实蝇类昆虫成虫诱捕粘杀器
JPH07501324A (ja) 害虫制御
Martin Using entomopathogenic nematodes to control insects during stand establishment
Adhikari Insect pest management: mechanical and physical techniques
KR100421779B1 (ko) 한국산 곤충병원성 선충 및 그에 의한 방제법
Sankaranarayanan et al. Biocontrol potential of entomopathogenic nematodes Heterorhabditis and Steinernema against pupae and adults of white grub Holotrichia serrata F.
CN201682907U (zh) 实蝇类昆虫成虫诱捕粘杀器
KR102093394B1 (ko) 버섯응애 방제용 조성물 및 버섯응애 방제 방법
Dlamini et al. Control of the banded fruit weevil, Phlyctinus callosus (Schönherr)(Coleoptera: Curculionidae), using entomopathogenic fungi
Broughton Managing Mediterranean fruit fly in backyards
CN110074142A (zh) 香菇菌棒在防治虫害中的应用和杀虫剂及其制备方法
Flint et al. A history of pest control
KR20200059918A (ko) 해충 유인용 부착트랩.
Staunton et al. Chemical and biological control of mushroom pests and diseases.
CN209185479U (zh) 一种诱杀橘小实蝇雌虫的诱捕杀器
JP2006180805A (ja) 害虫の殺虫方法及び装置
CN211129183U (zh) 一种防病虫害的水果生长套袋
Patil et al. Recent Advances in Mass Production, Formulation and Field Application of Entomopathogenic Nematodes
Verma Chapter-3 Integrated Pest Management: An Option for Sustainable Agricul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