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7409B1 - 차선 도색기 - Google Patents

차선 도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7409B1
KR101827409B1 KR1020160181854A KR20160181854A KR101827409B1 KR 101827409 B1 KR101827409 B1 KR 101827409B1 KR 1020160181854 A KR1020160181854 A KR 1020160181854A KR 20160181854 A KR20160181854 A KR 20160181854A KR 101827409 B1 KR101827409 B1 KR 101827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t
branch pipe
clutch
paint sprayer
spr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1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경 곤 김
김영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명
Priority to KR1020160181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74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7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7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20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 E01C23/22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by spra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0Spraying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Toxic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ray Control Apparatus (AREA)
  • Road Rep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속기의 출력이 제 1 클러치에 의해 좌측 스크류 공급장치로 공급되는 것이 단속되고, 감속기의 출력이 제 2 클러치에 의해 우측 스크류 공급장치로 공급되는 것이 단속되어, 이송대차가 항상 차량의 진행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상대적으로 이송대차의 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된 차선을 도색할 수 있는 차선도색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선도색기는 이송 대차(110)에 도료를 용융 및 저장하는 도료용융조(120)가 안착되며, 도료용융조(120)의 제 1 배출관(P1)에 좌측 스크류 공급장치(130)가 연결되고, 좌측 스크류 공급장치(130)에 제 1 도료이송관(P2)에 의해 좌측 도료분사장치(140)가 연결되며, 도료용융조(120)의 제 2 배출관(P3)에 우측 스크류 공급장치(150)가 연결되고, 우측 스크류 공급장치(150)에 제 2 도료이송관(P4)에 우측 도료분사장치(160)가 제 2 도료이송관(P4)에 의해 연결되며, 모터(M1)의 동력을 감속하여 전달하기 위한 감속기(170)가 좌측 스크류 공급장치(130)와 우측 스크류 공급장치(150) 사이에 배치되고, 감속기(170)의 좌측 출력축(172)과 좌측 스크류 공급장치(130)의 스크류 샤프트(131)가 제 1 클러치(180)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감속기(170)의 우측 출력축(174)과 우측 스크류 공급장치(150)의 스크류 샤프트(153)가 제 2 클러치(185)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선 도색기 {A TRAFFIC LANE PAINTING MACHINE}
본 발명은 도로에 차선을 도색하는 차선 도색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감속기의 출력이 제 1 클러치에 의해 좌측 스크류 공급장치로 공급되는 것이 단속되고, 감속기의 출력이 제 2 클러치에 의해 우측 스크류 공급장치로 공급되는 것이 단속되어, 이송대차가 항상 차량의 진행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상대적으로 이송대차의 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된 차선을 도색할 수 있는 차선도색기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특허 제10-1351307호(2014년 1월 7일, 등록)에 "도로의 차선도색장치"가 소개되어 있다.
상기 도로의 차선도색장치는 차량에 탑재되어 차선 도색을 위한 주제 및 경화제를 각각 공급하는 주제 공급부 및 경화제 공급부와, 상기 차량의 하부 또는 측면에 설치되는 도색 지지체와, 상기 도색 지지체에 지지되어 상기 주제 공급부로부터 주제를 공급받아 도로 표면에 분사하는 주제 분사부와, 상기 도색 지지체에 지지되어 상기 경화제 공급부로부터 경화제를 공급받아 도로 표면에 분사하는 경화제 분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제 분사부와 경화제 분사부는 주제와 경화제가 도로 표면에 각각 분사되면서 서로 혼합될 수 있도록 도로 표면에 대하여 'V'형 분사 구조를 갖도록 배치된다.
그러나, 상기 도로의 차선도색장치는 주제 분사부, 경화제 분사부 등이 차량의 어느 한 측부(일반적으로 우측)에만 설치되어 있어, 도로 중앙선 라인을 차량 주행방향으로 도색할 경우, 도로 외곽선 라인을 도색할 때, 차량이 역주행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차선 도색작업을 하기 때문에 사고 위험이 매우 높고, 한번에 2개의 차선을 도색할 수 없은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모터의 동력을 감속하여 전달하기 위한 감속기가 좌측 스크류 공급장치와 우측 스크류 공급장치 사이에 배치되고, 감속기의 좌측 출력축과 좌측 스크류 공급장치의 스크류 샤프트가 제 1 클러치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감속기의 우측 출력축과 우측 스크류 공급장치의 스크류 샤프트가 제 2 클러치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 1 클러치 및 제 2 클러치를 선택적으로 단속함으로써, 이송대차가 항상 차량의 진행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상대적으로 이송대차의 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된 차선(예를 들어, 도로의 중앙차선 또는 도로의 외곽선 라인)을 도색할 수 있어, 차선 도색작업시 역주행으로 인한 사고 위험을 절감할 수 있고, 이송대차가 차량의 진행방향으로 진행하면서 한 번에 2개의 차선을 동시에 도색할 수 있는 차선도색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선도색기는 이송 대차에 도료를 용융 및 저장하는 도료용융조가 안착되며, 도료용융조의 제 1 배출관에 좌측 스크류 공급장치가 연결되고, 좌측 스크류 공급장치에 제 1 도료이송관에 의해 좌측 도료분사장치가 연결되며, 도료용융조의 제 2 배출관에 우측 스크류 공급장치가 연결되고, 우측 스크류 공급장치에 제 2 도료이송관에 우측 도료분사장치가 제 2 도료이송관에 의해 연결되며, 모터의 동력을 감속하여 전달하기 위한 감속기가 좌측 스크류 공급장치와 우측 스크류 공급장치 사이에 배치되고, 감속기의 좌측 출력축과 좌측 스크류 공급장치의 스크류 샤프트가 제 1 클러치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감속기의 우측 출력축과 우측 스크류 공급장치의 스크류 샤프트가 제 2 클러치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클러치는 선택적으로 제 1 클러치가 떨어진 상태에서 제 2 클러치가 연결되거나, 제 1 클러치가 연결된 상태에서 제 2 클러치가 떨어지거나, 제 1 클러치와 제 2 클러치가 동시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좌측 도료분사장치가 제 1 좌측 도료분사장치와 제 2 좌측 도료분사장치로 구분되고, 제 1 도료이송관이 제 1 분기관과 제 2 분기관으로 분기되고, 제 1 분기관과 제 2 분기관에 제 1 좌측 도료분사장치와 제 2 좌측 도료분사장치이 각각 연결되고, 상기 우측 도료분사장치가 제 1 우측 도료분사장치와 제 2 우측 도료분사장치로 구분되고, 제 2 도료이송관이 제 3 분기관과 제 4 분기관으로 분기되고, 제 3 분기관과 제 4 분기관에 제 1 우측 도료분사장치과 제 2 우측 도료분사장치이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분기관과 제 2 분기관은 이송대차의 진행 방향에 대해 대각선으로 배치되고, 제 1 분기관에 연결된 제 1 좌측 도료분사장치가 제 2 분기관에 연결된 제 2 좌측 도료분사장치에 대해 이송대차의 진행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앞에 위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3 분기관과 제 4 분기관은 이송대차의 진행 방향에 대해 대각선으로 배치되고, 제 3 분기관에 연결된 제 1 우측 도료분사장치가 제 4 분기관에 연결된 제 2 우측 도료분사장치에 대해 이송대차의 진행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앞에 위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차선도색기는 이송대차가 항상 차량의 진행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상대적으로 이송대차의 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된 차선(예를 들어, 도로의 중앙차선 또는 도로의 외곽선 라인)을 도색할 수 있어, 차선 도색작업시 역주행으로 인한 사고 위험을 절감할 수 있고, 이송대차가 차량의 진행방향으로 진행하면서 한 번에 2개의 차선을 동시에 도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선도색기를 도시한 평면도 및 구성도로, 감속기의 동력을 좌측 스크류 공급장치로 전달하는 것을 단속하기 위해 제 1 클러치가 떨어진 상태이고, 감속기의 동력을 우측 스크류 공급장치로 전달하기 위해 제 2 클러치가 연결된 상태이다.
도 3은 제 2 클러치가 연결된 도 1의 상태에 의해, 이송대차가 차량 진행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우측차선을 도색하는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선도색기를 도시한 평면도 및 구성도로, 감속기의 동력을 좌측 스크류 공급장치로 전달하기 위해 제 1 클러치가 연결된 상태이고, 감속기의 동력을 우측 스크류 공급장치로 전달하는 것을 단속하기 위해 제 2 클러치가 떨어진 상태이다.
도 6은 제 1 클러치가 연결된 도 4의 상태에 의해, 이송대차가 차량 진행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좌측차선을 도색하는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선도색기를 도시한 평면도 및 구성도로, 제 1 클러치 및 제 2 클러치가 연결된 상태이다.
도 9는 제 1 클러치 및 제 2 클러치가 연결된 도 7의 상태에 의해, 이송대차가 차량 진행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좌측 및 우측 차선을 동시에 도색하는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예의 차선도색기를 도시한 구성도로, 이송대차의 좌측에 2개의 좌측 도료분사장치가 배치되고, 이송대차의 우측에 2개의 우측 도료분사장치가 배치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 및 도 12는 도 10의 차선도색기에 의해 2줄로된 중앙차선 및 갓길차선이 도색되는 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선도색기는 이송 대차(110)에 도료를 용융 및 저장하는 도료용융조(120)가 안착되며, 도료용융조(120)의 제 1 배출관(P1)에 좌측 스크류 공급장치(130)가 연결되고, 좌측 스크류 공급장치(130)에 제 1 도료이송관(P2)에 의해 좌측 도료분사장치(140)가 연결되며, 도료용융조(120)의 제 2 배출관(P3)에 우측 스크류 공급장치(150)가 연결되고, 우측 스크류 공급장치(150)에 제 2 도료이송관(P4)에 우측 도료분사장치(160)가 제 2 도료이송관(P4)에 의해 연결되며, 모터(M1)의 동력을 감속하여 전달하기 위한 감속기(170)가 좌측 스크류 공급장치(130)와 우측 스크류 공급장치(150) 사이에 배치되고, 감속기(170)의 좌측 출력축(172)과 좌측 스크류 공급장치(130)의 스크류 샤프트(131)가 제 1 클러치(180)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감속기(170)의 우측 출력축(174)과 우측 스크류 공급장치(150)의 스크류 샤프트(153)가 제 2 클러치(185)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1 및 도 2에서 미설명한 도면부호 V1, V2는 도료용융조(120)에서 페이트가 배출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차선 도색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감속기(170)의 동력을 좌측 스크류 공급장치(130)로 전달하는 것을 단속하기 위해 제 1 클러치(180)가 떨어져, 좌측 스크류 공급장치(130)가 정지됨으로써, 도료용융조(120)에서 좌측 스크류 공급장치(130)를 통해 좌측 도료분사장치(140)로 페인트가 공급되는 것이 방지되고, 감속기(170)의 동력을 우측 스크류 공급장치(150)로 전달하기 위해 제 2 클러치(185)가 연결되어, 도료용융조(120)에서 우측 스크류 공급장치(150)를 통해 우측 도료분사장치(160)로 페인트가 공급된다.
이것에 의해,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화살표(111) 방향과 같은 도로의 주행방향으로 이송 대차(110)가 진행하면서, 상대적으로 이송 대차(110)의 우측에 배치된 차선(L1 ; 예를 들어, 도로 중앙차선)을 도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선 도색기는 이송 대차(110)가 도로의 주행 방햐을 진행하면서 차선 도색작업을 할 수 있어, 역주행으로 인한 사고 위험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감속기(170)의 동력을 좌측 스크류 공급장치(130)로 전달하기 위해 제 1 클러치(180)가 연결되어, 좌측 스크류 공급장치(130)가 작동됨으로써, 도료용융조(120)에서 좌측 스크류 공급장치(130)를 통해 좌측 도료분사장치(140)로 페인트가 공급되고, 감속기(170)의 동력을 우측 스크류 공급장치(150)로 전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 2 클러치(185)가 분리되어, 도료용융조(120)에서 우측 스크류 공급장치(150)를 통해 우측 도료분사장치(160)로 페인트가 공급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것에 의해,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화살표(111) 방향과 같은 도로의 주행방향으로 이송 대차(110)가 진행하면서, 상대적으로 이송 대차(110)의 좌측에 배치된 차선(L2 ; 예를 들어, 도로의 외곽라인)을 도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선 도색기는 이송 대차(110)가 도로의 주행 방햐을 진행하면서 차선 도색작업을 할 수 있어, 역주행으로 인한 사고 위험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 1 클러치(180)와 제 2 클러치(185)가 모두 연결되어, 감속기(170)의 출력이 좌측 스크류 공급장치(130)와 우측 스크류 공급장치(150)로 각각 동시에 전달됨으로써, 도료용융조(120)의 페인트가 좌측 스크류 공급장치(130)를 통해 좌측 도료분사장치(140)로 공급되는 것과 동시에 우측 스크류 공급장치(150)를 통해 우측 도료분사장치(160)으로 공급된다.
이것에 의해,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화살표(111) 방향과 같은 도로의 주행방향으로 이송 대차(110)가 진행하면서, 상대적으로 이송 대차(110)의 좌측 및 우츠에 배치된 차선(L3, L4)을 동시에 도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선 도색기는 이송 대차(110)가 도로의 주행 방향을 진행하면서 한번에 2개의 차선을 동시에 도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이송 대차(110)는 트럭 등과 같은 차량, 주행수단을 포함하는 자주식 이송 대차 또는 작업자가 미는 방식의 수동식 이송 대차 중 어느 하나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선 도색기는 상기 좌측 도료분사장치(140)가 제 1 좌측 도료분사장치(140a)와 제 2 좌측 도료분사장치(140b)로 구분되고, 제 1 도료이송관(P2)이 제 1 분기관(BP1)과 제 2 분기관(BP2)으로 분기되고, 제 1 분기관(BP1)과 제 2 분기관(BP2)에 제 1 좌측 도료분사장치(140a)와 제 2 좌측 도료분사장치(140b)이 각각 연결되고, 상기 우측 도료분사장치(160)가 제 1 우측 도료분사장치(160a)와 제 2 우측 도료분사장치(160b)로 구분되고, 제 2 도료이송관(P4)이 제 3 분기관(BP3)과 제 4 분기관(BP4)으로 분기되고, 제 3 분기관(BP3)과 제 4 분기관(BP4)에 제 1 우측 도료분사장치(160a)과 제 2 우측 도료분사장치(160b)이 각각 연결된다.
상기 제 1 분기관(BP1)과 제 2 분기관(BP2)은 이송대차(110)의 진행 방향에 대해 대각선으로 배치되고, 제 1 분기관(BP1)에 연결된 제 1 좌측 도료분사장치(140a)가 제 2 분기관(BP2)에 연결된 제 2 좌측 도료분사장치(140b)에 대해 이송대차(110)의 진행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앞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 1 좌측 도료분사장치(140a)와 제 2 좌측 도료분사장치(140b)가 대각선으로 배치하는 것은 도로에 도색되는 2개 차선의 간격과 제 1 좌측 도료분사장치(140a)의 폭과 제 2 좌측 도료분사장치(140b)의 폭을 고려하여, 제 1 좌측 도료분사장치(140a)와 제 2 좌측 도료분사장치(140b)가 서로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 3 분기관(BP3)과 제 4 분기관(BP4)은 이송대차(110)의 진행 방향에 대해 대각선으로 배치되고, 제 3 분기관(BP3)에 연결된 제 1 우측 도료분사장치(160a)가 제 4 분기관(BP4)에 연결된 제 2 우측 도료분사장치(160b)에 대해 이송대차(110)의 진행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앞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 1 우측 도료분사장치(160a)와 제 2 우측 도료분사장치(160b)가 대각선으로 배치하는 것은 도로에 도색되는 2개 차선의 간격과 제 1 우측 도료분사장치(160a)의 폭과 제 2 우측 도료분사장치(160b)의 폭을 고려하여, 제 1 우측 도료분사장치(160a)와 제 2 우측 도료분사장치(160b)가 서로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것에 의해,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도로의 중앙차선처럼 평행한 2개의 차선(L1', L1)을 도색할 때, 이송대차(110)가 화살표(111) 방향과 같이 도로의 주행 방향을 진행하면서, 제 1 우측 도료분사장치(160a)와 제 2 우측 도료분사장치(160b)에서 동시에 페인트를 분사하게 된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2줄로 된 도로의 갓길 차선을 도색할 때, 이송대차(110)가 화살표(111) 방향과 같이 도로의 주행 방향을 진행하면서, 제 1 좌측 도료분사장치(140a)와 제 2 좌측 도료분사장치(140b)에서 동시에 페인트를 분사하게 된다.
상기 이송대차(110), 도료용융조(120), 좌측 및 우측 스크류 공급장치(130, 150), 좌측 및 우측 도료분사장치(140, 160), 감속기(170) 및 클러치(180, 185)는 이미 공지되어 있어, 여기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110 : 이송 대차 120 : 도료용융조
130 : 좌측 스크류 공급장치 140 : 좌측 도료분사장치
150 : 우측 스크류 공급장치 160 : 우측 도료분사장치
170 : 감속기 180 : 제 1 클러치
185 : 제 2 클러치

Claims (5)

  1. 이송 대차(110)에 도료를 용융 및 저장하는 도료용융조(120)가 안착되며, 도료용융조(120)의 제 1 배출관(P1)에 좌측 스크류 공급장치(130)가 연결되고, 좌측 스크류 공급장치(130)에 제 1 도료이송관(P2)에 의해 좌측 도료분사장치(140)가 연결되며, 도료용융조(120)의 제 2 배출관(P3)에 우측 스크류 공급장치(150)가 연결되고, 우측 스크류 공급장치(150)에 제 2 도료이송관(P4)에 우측 도료분사장치(160)가 제 2 도료이송관(P4)에 의해 연결되며, 모터(M1)의 동력을 감속하여 전달하기 위한 감속기(170)가 좌측 스크류 공급장치(130)와 우측 스크류 공급장치(150) 사이에 배치되고, 감속기(170)의 좌측 출력축(172)과 좌측 스크류 공급장치(130)의 스크류 샤프트(131)가 제 1 클러치(180)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감속기(170)의 우측 출력축(174)과 우측 스크류 공급장치(150)의 스크류 샤프트(153)가 제 2 클러치(185)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도색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클러치(180, 185)는 선택적으로 제 1 클러치(180)가 떨어진 상태에서 제 2 클러치(185)가 연결되거나, 제 1 클러치(180)가 연결된 상태에서 제 2 클러치(185)가 떨어지거나, 제 1 클러치(180)와 제 2 클러치(185)가 동시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도색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도료분사장치(140)가 제 1 좌측 도료분사장치(140a)와 제 2 좌측 도료분사장치(140b)로 구분되고, 제 1 도료이송관(P2)이 제 1 분기관(BP1)과 제 2 분기관(BP2)으로 분기되고, 제 1 분기관(BP1)과 제 2 분기관(BP2)에 제 1 좌측 도료분사장치(140a)와 제 2 좌측 도료분사장치(140b)이 각각 연결되고, 상기 우측 도료분사장치(160)가 제 1 우측 도료분사장치(160a)와 제 2 우측 도료분사장치(160b)로 구분되고, 제 2 도료이송관(P4)이 제 3 분기관(BP3)과 제 4 분기관(BP4)으로 분기되고, 제 3 분기관(BP3)과 제 4 분기관(BP4)에 제 1 우측 도료분사장치(160a)과 제 2 우측 도료분사장치(160b)이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도색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분기관(BP1)과 제 2 분기관(BP2)은 이송대차(110)의 진행 방향에 대해 대각선으로 배치되고, 제 1 분기관(BP1)에 연결된 제 1 좌측 도료분사장치(140a)가 제 2 분기관(BP2)에 연결된 제 2 좌측 도료분사장치(140b)에 대해 이송대차(110)의 진행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앞에 위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도색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분기관(BP3)과 제 4 분기관(BP4)은 이송대차(110)의 진행 방향에 대해 대각선으로 배치되고, 제 3 분기관(BP3)에 연결된 제 1 우측 도료분사장치(160a)가 제 4 분기관(BP4)에 연결된 제 2 우측 도료분사장치(160b)에 대해 이송대차(110)의 진행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앞에 위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도색기.
KR1020160181854A 2016-12-29 2016-12-29 차선 도색기 KR1018274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1854A KR101827409B1 (ko) 2016-12-29 2016-12-29 차선 도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1854A KR101827409B1 (ko) 2016-12-29 2016-12-29 차선 도색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7409B1 true KR101827409B1 (ko) 2018-02-08

Family

ID=61232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1854A KR101827409B1 (ko) 2016-12-29 2016-12-29 차선 도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740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1992B1 (ko) * 2001-12-31 2005-07-25 최장선 차선도색차량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1992B1 (ko) * 2001-12-31 2005-07-25 최장선 차선도색차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58013B (zh) 包括料仓挂车的工程列车及用于所述工程列车的拖曳装置
CN100590264C (zh) 铺路车队
GB1211690A (en) Apparatus for applying markings on roads and the like
AU2022246378B2 (en) Device for discharging multi-component adhesives onto a granular mixture, discharging method, and use of the device
KR100706100B1 (ko) 도로 표식 도색 차량
CN201043259Y (zh) 双组分道路标线机
EP3762544B1 (en) Automatic road marking system
KR101161144B1 (ko) 이액형 돌출차선도색장치 및 그 돌출차선도색공법
CN110438870A (zh) 摊铺队列
KR101827409B1 (ko) 차선 도색기
US10364537B2 (en) Constructing apparatus and method of guide line for road
KR102105480B1 (ko) 차선도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선도색방법
KR101731414B1 (ko) 철도 공사용 콘크리트 연속 타설을 위한 재료공급장치
US11795634B2 (en) Intelligent and two-dimensional traffic marking spraying device
KR101279431B1 (ko) 수동식 차선 도색장치
KR101747370B1 (ko) 융착식 차선 도색장치
KR101210949B1 (ko) 제설제 살포기의 살포량 제어장치
JP3262715B2 (ja) 道路の舗設装置と舗設方法
US20160237637A1 (en) Soil Stabilization System and Method
JP2002173908A (ja) 自動舗装方法
KR100999089B1 (ko) 연속 재료 투입이 가능한 일체형 도로 미끄럼 방지재 분사 장치 및 방법
WO1992010082A1 (en) Method and equipment for distribution of liquid manure
CN216040500U (zh) 喷洒装置和摊铺机
JP2005198603A (ja) 自走式肥料散布機
KR20180112352A (ko) 슬라브 마킹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