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5629B1 - 리프트 조정 장치 및 리프트 조정 장치를 구비한 앉는 형태 및/또는 기대는 형태의 가구 - Google Patents

리프트 조정 장치 및 리프트 조정 장치를 구비한 앉는 형태 및/또는 기대는 형태의 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5629B1
KR101825629B1 KR1020167015693A KR20167015693A KR101825629B1 KR 101825629 B1 KR101825629 B1 KR 101825629B1 KR 1020167015693 A KR1020167015693 A KR 1020167015693A KR 20167015693 A KR20167015693 A KR 20167015693A KR 101825629 B1 KR101825629 B1 KR 101825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ing
housing
bracket
adjusting bracket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5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5874A (ko
Inventor
에리히 사르티손
Original Assignee
페르디난트 루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페르디난트 루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페르디난트 루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60085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58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5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5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6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including a head-rest
    • A47C1/037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including a head-rest in combination with a leg-rest or foot-res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8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clamps acting on vertical rods
    • A47C3/285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clamps acting on vertical rods with radially expansible clamping elements telescopically engaged in a tube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arm-re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including a leg-rest or foot-res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6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including a head-res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0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adjustable in he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0Telescoping systems
    • F16B7/14Telescoping systems locking in intermediate non-discrete positions
    • F16B7/1409Telescoping systems locking in intermediate non-discrete positions with balls or rollers urged by an axial displacement of a wedge or a conical memb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하우징(2, 2')과 조정 브래킷(3)을 구비하며, 조정 브래킷(3)이 하우징 내에 유지되고 하우징(2, 2') 외부로 부분적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 앉는 형태의 가구 및/또는 기대는 형태의 가구를 조정하기 위한 리프트 조정 장치(1, 1')를 도시하고 설명한다. 편안한 조정을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요소(10)가 클램핑 위치와 적어도 하나의 조정 위치 사이에서 조정 브래킷(3)에 대해 변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요소(10)는, 조정 브래킷(3)이 하우징(2)으로 미끄러져 들어가는 것이 방지되도록 조정 브래킷(3)과 하우징(2) 사이에 있는 클램핑 위치에 클램핑 방식으로 수용된다.

Description

리프트 조정 장치 및 리프트 조정 장치를 구비한 앉는 형태 및/또는 기대는 형태의 가구{LIFT ADJUSTER AND SEATING AND/OR LOUNGING FURNITURE WITH A LIFT ADJUSTER}
본 발명은 하우징 및 하우징 내에 유지되고 하우징 외부로 부분적으로 인출될 수 있는 조정 브래킷을 구비한 앉는 형태의 가구 및/또는 기대는 형태의 가구를 조정하기 위한 리프트 조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등받이 머리부, 다리부 및/또는 팔걸이를 포함하며, 리프트 조정 장치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에 대해 조정될 수 있는 두 개의 컴포넌트를 구비한 앉는 형태 및/또는 기대는 형태의 가구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의 편안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안락의자, 소파, 카우치(couch) 및 침대와 같은 앉는 형태 및 기대는 형태의 가구는 사용자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조정성은 예를 들어 기울기 및/또는 높이가 조정될 수 있는 예를 들어 등받이, 머리부, 다리부 및/또는 팔걸이와 관계가 있다. 이른바 리프트 조정 장치가 이에 상응하는 조정성을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리프트 조정 장치는 하우징 및 하우징 외부로 부분적으로 인출될 수 있는 조정 브래킷을 포함한다. 조정 브래킷은 스프링 작동식 래칭 요소들을 지탱하는데, 래칭 요소들은 조정 브래킷이 인출될 때 스프링력이 작용하는 결과 스프링 작동식 래칭 요소들을 래칭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하우징을 따라 구비된 수용 캐비티들 내에 연속해서 래칭된다. 여기서, 수용 캐비티들과 래칭 요소들은 조정 브래킷이 수용 캐비티에 의해 사전에 결정된 위치에 래칭된 후에 하우징 내로 다시 미끄러져 들어가지 않도록 서로 맞춰진다. 이는 래칭 요소가 상응하는 수용 캐비티에 견고하게 계합(positive engagement)되는 것에 의해 방지된다. 그러나 조정 브래킷을 동일한 위치에서부터 더 인출하는 것은 문제없이 행해진다. 조정 브래킷을 첫 위치로 다시 복귀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조정 브래킷은 처음에 하우징으로부터 끝 위치까지 제거되어야 한다. 여기서, 래칭 요소는 조정 브래킷이 다시 미끄러져 들어갈 때 그곳에 구비된 수용 캐비티들에 계합될 수 없도록 막힌다. 그러나, 조정 브래킷이 다시 하우징 외부로 인출될 때, 래칭 요소는 다시 작동되고, 그 결과 래칭 요소는 계속해서 하우징을 따라 구비된 수용 캐비티들에 래칭된다.
공지의 리프트 조정 장치의 조정 브래킷은 보통 예를 들어 등받이, 머리 지지대, 다리 지지대 또는 팔걸이의 형태로 된 조정될 컴포넌트에 연결되고, 리프트 조정 장치의 하우징은 조정될 컴포넌트가 상대적으로 조정되어야 할 컴포넌트에 고정된다. 특히 여기서, 이는 예를 들어 가구의 프레임 또는 동일한 가구의 착좌 프레임과 같은 가구의 지지 요소일 수 있다. 조정될 컴포넌트가 조정되면, 즉 예를 들어 인출되거나 선회되면, 조정 브래킷이 하우징으로부터 부분적으로 제거되고, 조정 브래킷의 래칭 요소가 하우징의 수용 캐비티에 견고하게 계합되는 위치에서 유지된다. 이 위치에서, 조정될 컴포넌트가 그것이 우발적으로 역방향으로 조정되는 일 없이 사용자에 의해 로드될 수 있다. 그러나 여기서, 조정 브래킷의 인출 방향으로의 추가 조정이 가능한데, 이에 의해 래칭 요소가 다른 수용 캐비티에 계합된다. 조정될 컴포넌트를 첫 위치로 다시 조정하기 위하여, 조정될 컴포넌트는 우선 조정 브래킷이 끝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더 조정되어야 한다. 이 끝 위치에서, 조정될 컴포넌트의 첫 위치로의 역방향으로의 조정에 의해 조정 브래킷이 다시 하우징 내로 완전히 미끄러져 들어갈 수 있다. 이 위치에서 시작해서, 재조정, 예를 들어 조정될 컴포넌트의 선회 또는 인출이 가능하다.
그러나, 공지의 리프트 조정 장치의 단점은 조정 브래킷이 단지 몇 개의 위치들에서만 잠길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조정 브래킷이 다시 미끄러져 들어가게 하기 위해 래칭 요소를 막기 위하여, 조정 브래킷은 마지막 잠금 위치로부터 상당히 멀리 인출되어야 한다. 또한 래칭 요소가 다시 작동되어 제1 수용 캐비티에 걸릴 때까지 조정 브래킷은 최대로 미끄러져 들어간 위치로부터 상당히 멀리 인출되어야 한다. 끝 위치와 제1 또는 마지막 수용 캐비티 간의 상응하는 조정 경로는 해제 경로(release path)라고도 하고, 용이한 조작성을 위해 짧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두에서 설명한 종류의 리프트 조정 장치, 앉는 형태 및/또는 기대는 형태의 가구를 각각의 경우에 더욱 편안한 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계하고 개선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은,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요소가 클램핑 위치와 적어도 하나의 조정 위치 사이에서 조정 브래킷에 대해 변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요소는, 조정 브래킷이 하우징으로 미끄러져 들어가는 것이 방지되도록 조정 브래킷과 하우징 사이에 있는 클램핑 위치에 클램핑 방식으로 수용되는,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리프트 조정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앞에서 언급한 목적은 또한, 리프트 조정 장치가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구성된 제15항의 전제부에 따른 앉는 형태 및/또는 기대는 형태의 가구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클램핑 연결을 위하여 조정 브래킷과 하우징의 단계적 래칭이 유리하게 제거될 수 있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그러나, 조정 브래킷을 하우징 외부로 인출할 때 조정 브래킷이 하우징으로 우발적으로 역방향으로 미끄러져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요소가 조정 브래킷에 대해, 즉 조정 위치로부터 클램핑 위치까지 그리고 그 반대로 변위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렇게 해서, 즉 클램핑 요소가 조정 브래킷과 하우징 사이의 클램핑 위치에 클램핑 방식으로 배치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요소가 조정 레버와 하우징 사이의 클램핑 갭에 도달할 수 있다. 이러한 클램핑 요소의 클램핑 갭 내에의 클램핑 계합은, 예를 들어 조정 브래킷과 클램핑 요소 사이에 견고한 계합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조정 브래킷의 하우징으로의 역방향으로 미끄러져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조정 브래킷은 이 클램핑 위치로부터 더 인출될 수 있는데, 클램핑 요소는 조정 위치까지 조정 브래킷에 대해 변위된다. 이 위치에서 클램핑 요소는 조정 브래킷이 더 인출되는 것을 방해한다.
클램핑 요소는 기본적으로 각기 다른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클램핑 요소의 형태는 바람직하게는 신뢰성 있는 클램핑이 달성되고 큰 클램핑 힘이 전달될 수 있도록 선택되어야 한다. 그러나 클램핑 요소는 또한 조정 브래킷이 더 인출되면 클램핑 요소의 클램핑 갭에의 클램핑이 쉽게 해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점에서 구형 또는 원통형 클램핑 요소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용이한 클램핑을 보장하고 또한 조정 브래킷이 더 인출될 때 클램핑이 용이하게 해제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클램핑 캡이 사용되는 클램핑 요소에 맞추어 조정될 수 있다. 커다란 클램핑 힘을 버틸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조정 브래킷, 하우징 및/또는 클램핑 요소를 금속 재료로 제조하는 것이 기본적으로 바람직하다.
또한, 기본적으로 하나의 클램핑 요소를 구비하는 것이 충분할 수 있다. 리프트 조정 장치를 작동시킬 때 편안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그리고 필요에 따라 힘 전달의 균형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다수의 클램핑 요소가 구비될 수도 있다. 클램핑 요소들은 공통의 클램핑 갭 내에 구비될 수 있고, 동일한 클램핑 갭 내에서 클램핑 방식으로 클램핑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그러나, 다수의 클램핑 갭들이 구비되고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요소, 특히 정확하게는 하나의 클램핑 요소가 각각의 클램핑 갭 내에 구비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제조 투입량과 제조 비용을 동시에 낮게 유지하기 위하여, 두 개의 클램핑 요소가 구비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대안적으로 또는 이에 추가하여, 동일한 이유로, 두 개의 클램핑 갭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클램핑 갭들은 바람직하게는 균일한 힘의 분포를 보장하기 위하여 조정 레버의 대향하는 표면들 및 하우징의 대향하는 내면들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요소가 클램핑 갭에 클램핑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조정 장치를 이용하여 조정 브래킷이 우발적으로 하우징에 다시 미끄러져 들어가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리프트 조정 장치는 작동될 때 소음이 매우 적다.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던 조정 브래킷의 래칭 요소가 하우징의 상응하는 수용 캐비티에 래칭되는 소리는 더 이상 발생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안함이 더 향상된다.
리프트 조정 장치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의 경우,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갭이 조정 브래킷을 인출하는 방향으로 경사진다. 이렇게 해서, 클램핑 요소를 클램핑 갭 내에서 변위시키는 것에 의해 클램핑이 이루어질 수 있고, 클램핑 요소를 반대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것에 의해 클램핑이 해제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갭의 두 위치들 모두에 수용된다. 이에 따라 클램핑 요소가 클램핑 갭에 들어갈 때 클램핑 요소가 우발적으로 막히는 것이 방지된다. 클램핑 갭은 단순함을 위해 쐐기형으로 구성될 수 있고 서로 예각으로 이어지는 평평한 표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계없이, 구성의 관점에서, 하우징의 표면과 조정 브래킷의 표면이 클램핑 갭의 두 개의 대향하는 표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권장된다.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갭을 구비하는 것은, 조정 브래킷이 측부로 적어도 경사지고 하우징에 수용되는 단부를 포함하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조정 브래킷의 단부가 다수의, 바람직하게는 서로 반대인 두 개의, 측부에서 경사지면, 또한 다수의,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클램핑 갭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요소가 조정 브래킷의 경사 단부의 적어도 일 측부와 하우징의 내측부 사이에 있는 클램핑 위치에 클램핑될 때, 요구되는 클램핑이 쉽게 이루어진다.
조정 브래킷 및/또는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갭에 대해 클램핑 요소들을 보다 쉽고 정확하게 안내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요소를 유지하는 클램핑 슬라이드가 구비되는 것이 권장된다. 여기서, 클램핑 슬라이드는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요소의 작동을 보장하기 위하여 클램핑 위치로부터 조정 위치까지 그리고 반대로 조정 위치로부터 클램핑 위치까지 조정 브래킷에 대해 변위 가능하게 구비된다. 구성의 관점에서, 클램핑 슬라이드가, 비록 변위 가능하더라도, 조정 브래킷 자체 위에 유지되고 필요에 따라 하우징에 수용되는 것 또한 바람직하다. 기본적으로, 다수의 클램핑 슬라이드가 또한 구비될 수 있는데, 클램핑 슬라이드들은 각각이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요소를 포함하고 조정 브래킷에 대해 상기 클램핑 요소를 변위 가능하게 안내한다. 그러나, 리프트 조정 장치를 제조하는 데 필요한 컴포넌트들의 수를 제한하기 위하여, 기본적으로는 단 하나의 클램핑 슬라이드가 구비되면 바람직하다. 여기서, 클램핑 요소는 클램핑 슬라이드에 일체로 구성될 수 있고, 그 결과 클램핑 슬라이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체(two-piece)형 구성이 바람직하다. 클램핑 슬라이드가 클램핑 요소와 비교하여 더 작은 힘을 버티면 되기 때문에, 클램핑 슬라이드는 비용을 이유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요소 및/또는 클램핑 슬라이드를 조정 브래킷에 대해 변위 가능하게 제공하고 그리고 동시에 분리가 불가능한 연결을 제공하기 위하여, 조정 브래킷은 장방형 구멍을 포함할 수 있는데,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요소 및/또는 클램핑 슬라이드는 장방형 구멍에 견고하게 그리고 변위 가능하게 계합된다.
리프트 조정 장치가 우발적으로 접혀 들어가지 않고 항상 고정되게 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요소는 조정 브래킷에 대해 단지 변위 가능하지 않게 유지되어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요소는 또한 조정 브래킷이 길이가 더 증가하는 것에 의해 더 인출될 때 하우징을 따라 조정 브래킷과 함께 이동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따라 견고한 계합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요소 및/또는 클램핑 슬라이드를 조정 브래킷과 함께 더 멀리 인출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요소 및/또는 클램핑 슬라이드 사이에서 이루어진다. 그렇지만, 클램핑 갭에 대해 클램핑을 살짝 해제하는 것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요소를 변위시키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요소 및/또는 클램핑 슬라이드를 상응하게 이동시키지 않고 조정 브래킷을 인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조정 브래킷을 하우징 외부로 성공적으로 인출한 후에 하우징 내로 다시 미끄러져 들어가게 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요소 및/또는 클램핑 슬라이드가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요소가 클램핑 갭과 클램핑 계합되지 않는 조정 브래킷 상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조정 브래킷과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요소 및/또는 클램핑 슬라이드 간의 별도의 해제 가능한 연결이 제공될 수 있다. 그러면, 조정 브래킷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요소 및/또는 클램핑 슬라이드가 별도의 연결에 의해 연결된 상태에서 끝 위치로부터 적어도 예를 들어 첫 위치까지 하우징 내로 미끄러져 들어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요소 및/또는 클램핑 슬라이드가 다른 연결을 통해 조정 브래킷 위에 여전히 변위 가능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상응하는 연결은 별도로 이루어진다.
별도의 연결이 조정 브래킷이 예를 들어 인출된 끝 위치로부터 미끄러져 들어간 첫 위치까지 역방향으로 활주할 때만 이루어지는(closed) 해제 가능한 연결이어야 하기 때문에, 간단함을 위해 클램핑 연결 및/또는 래칭 연결은 별도의 연결로 가능하다.
조정 브래킷과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요소 및/또는 클램핑 슬라이드 간의 별도의 연결이 조정 브래킷이 인출될 때 끝 위치에서 강제로 이루어지게 하기 위하여, 하우징은 클램핑 요소 및/또는 클램핑 슬라이드를 위한 끝 멈춤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요소 및/또는 클램핑 슬라이더가 더 변위되는 것이 방지되는 반면, 조정 브래킷은 필요에 따라 인출 방향으로 더 변위 가능하다. 이에 의해 행해지는 한편으로는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요소 및/또는 클램핑 슬라이드와 다른 한편으로는 조정 브래킷 간의 상대 이동은, 강제로 그리고 사용자의 추가 작업 없이 별도의 연결을 이루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요소 및/또는 클램핑 슬라이드가 바람직하게는 조정 브래킷이 인출되는 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는 반면, 조정 브래킷은 살짝 더 인출될 수 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하우징과 조정 브래킷 사이에 구비된 끝 멈춤부가 조정 브래킷이 살짝 더 인출된 때에만 작동된다. 하우징과 조정 브래킷 사이에 있는 끝 멈춤부는 하우징과 조정 브래킷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조정 브래킷이 하우징 외부로 완전히 인출되지 못하는 것을 보장한다.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요소 및/또는 클램핑 슬라이드를 위한 끝 멈춤부으로부터 조정 브래킷의 끝 멈춤부까지 도달하는 조정 브래킷의 조정 경로는 매우 짧게 선택될 수 있는데(해제 경로), 이는 사용자에 의한 리프트 조정 장치의 작동이 편안해지게 한다.
조정 브래킷이 첫 위치로 미끄러져 들어갈 때 조정 브래킷과 클램핑 요소 및/또는 클램핑 슬라이드 간의 별도의 연결은 강제로 해제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하우징은 대안적으로 혹은 이에 더하여 클램핑 요소 및/또는 클램핑 슬라이드를 위한 첫 멈춤부를 구비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요소 및/또는 클램핑 슬라이드가 첫 멈춤부 위에 안착된 후에 조정 브래킷이 첫 위치에서 다른 끝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하우징 내로 살짝 더 미끄러져 들어가면, 이에 의해 행해지는 한편으로는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요소 및/또는 클램핑 슬라이드와 다른 한편으로는 조정 브래킷 간의 상대 이동은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요소 및/또는 클램핑 슬라이드와 조정 브래킷 간의 별도의 연결을 해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첫 멈춤부가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요소 및/또는 클램핑 슬라이드가 하우징 내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반면, 조정 브래킷은 하우징 내로 살짝 더 미끄러져 들어갈 수 있다. 그 이후에만, 필요에 따라 조정 브래킷과 하우징 사이에 첫 멈춤부가 구비되는데, 이 첫 멈춤부는 조정 브래킷이 하우징 내로 미끄러져 들어가는 최대 범위를 제한한다. 대안적으로, 미끄러져 들어가는 최대 범위는 또한 조정 브래킷에 대해 이제 다시 변위 가능하게 유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요소를 조정 브래킷의 첫 멈춤부를 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갭에 잠그는 것에 의해 제한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요소 및/또는 클램핑 슬라이드의 첫 멈춤부로부터 조정 브래킷의 첫 멈춤부까지 도달하는 조정 브래킷의 조정 경로는 매우 짧게 선택될 수 있는데(해제 경로), 이는 사용자에 의한 리프트 조정 장치의 작동이 편안해지게 한다.
조정 브래킷이 적어도 하나의 핀 등을 포함하면 조정 브래킷과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요소 및/또는 클램핑 슬라이드 간의 별도의 연결이 구성적으로 간단하고 신뢰성 있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면,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요소 및/또는 클램핑 슬라이드는 대안적으로 또는 이에 더하여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를 포함할 수 있는데,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는 별도의 연결이 이루어진 경우에 핀 또는 이에 유사한 연결 요소의 후방에서 클램핑되고 그리고/혹은 계합된다. 물론 적어도 하나의 핀은 또한 대안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요소 및/또는 클램핑 슬라이드 상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핀은 조정 브래킷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와 연동되고 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와 연결될 수 있다. 각각의 경우에, 상응하는 연결은 바람직하게는 강제 계합 및/또는 견고한 계합을 형성한다. 기본적으로 견고한 계합의 경우, 특히 래칭 연결이 권장된다.
기본적으로 하우징과 조정 브래킷은 또한 하우징과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요소 및/또는 클램핑 슬라이드 사이에 있는 끝 멈춤부와 무관한 상응하는 지탱면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지탱면들이 서로에 대해 안착될 때 조정 브래킷의 끝 멈춤부에서 인출력을 안전하게 하우징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상응하는 이 지탱면들은 끝 멈춤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정 브래킷이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될 때까지 하우징 외부로 인출되는 것이 또한 방지된다.
클램핑 위치와 조정 위치 사이에서의 한편으로는 조정 브래킷과 다른 한편으로는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요소 및/또는 클램핑 슬라이드 간의 상대 변위를 구조적으로 간단하게 보장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요소 및/또는 클램핑 슬라이드는 적어도, 하우징 위에 마찰 계합되는 방식으로 영역들에 안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요소 및/또는 클램핑 슬라이드가 조정 브래킷이 클램핑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하우징의 외부로 더 인출될 때 하우징에 대한 위치를 처음에 유지하는 것이 달성될 수 있다. 한편으로는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요소 및/또는 클램핑 슬라이드와 다른 한편으로는 조정 브래킷 간의 상응하는 상대 이동에 의해 클램핑 요소는 더 이상 클램핑 갭 내에 클램핑 방식으로 유지되지 않게 된다. 그러면, 예를 들어 조정 브래킷과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요소 및/또는 클램핑 슬라이드 간의 견고한 연결에 의해, 조정 브래킷이 하우징에 대해 더 조정될 때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요소 및/또는 클램핑 슬라이드는 하우징을 따라 변위되게 된다. 그러면, 조정 브래킷은 다른 위치에서, 클램핑 요소가 다시 클램핑 갭 내의 클램핑 위치에 도달하여 조정 브래킷이 하우징 내로 더 미끄러져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전에, 매우 작은 길이만큼 더 하우징 내로 다시 미끄러져 들어갈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요소 및/또는 클램핑 슬라이드가 하우징 위에 계속 안착되어 있을 수 있는 반면, 조정 브래킷은 조정될 수 있다. 그러면,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요소 및/또는 클램핑 슬라이드가 조정되는 동안, 조정 브래킷과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요소 및/또는 클램핑 슬라이드 간의 견고한 연결의 결과로 상응하는 정지 마찰력이 극복된다.
리프트 조정 장치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조정 브래킷은 적어도 하우징을 따라 실질적으로 연속적으로 영역들 내에서 조정 가능하다. 이에 따라 조정 브래킷은 하우징 내의 상응하는 클램핑 힘에 의해 조정 경로의 넓은 부분들에 걸쳐서 하우징 내로 미끄러져 들어가지 않게 고정될 수 있다. 공지의 리프트 조정 장치와 대조적으로, 클램핑은 특정한 수용 캐비티들의 영역에서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바람직하게는 하우징의 각각의 지점에 있는 영역들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계속해서 단지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리프트 조정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리프트 조정 장치를 부분적으로 인출된 위치에 있는 상태로 IIA-IIA 단면 및 IIB-IIB 단면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3은 도 1의 리프트 조정 장치를 거의 완전히 인출된 위치에 있는 상태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리프트 조정 장치를 인출 끝 위치에 있는 상태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리프트 조정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리프트 조정 장치를 거의 완전히 미끄러져 들어간 상태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리프트 조정 장치를 미끄러져 들어간 첫 위치에 있는 상태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에 리프트 조정 장치(1)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리프트 조정 장치(1)는 하우징(2) 및 하우징(2)으로부터 부분적으로 인출된 조정 브래킷(3)을 포함한다. 하우징(2)의 후단부에 그리고 조정 브래킷(3)의 전단부에 각각 통공(4)이 구비된다. 통공(4)의 도움으로, 리프트 조정 장치(1)가 앉는 형태 및/또는 기대는 형태의 가구의 각기 다른 컴포넌트들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조정 브래킷(3)은 바람직하게는 조정 가능한 컴포넌트에 설치되고 하우징(2)은 바람직하게는 조정 불가능한 컴포넌트 또는 가구의 독립적으로 조정 가능한 컴포넌트에 설치된다. 소파의 경우, 조정 브래킷(3)은 예를 들어 선회 가능한 팔걸이에 설치되고, 하우징(2)은 소파의 프레임 요소 또는 시트 프레임에 체결된다. 침대의 경우, 머리부가 조정 브래킷(3)에 연결될 수 있고, 하우징(2)은 침대 프레임 또는 침대 구조물에 고정될 수 있다.
조정 브래킷(3)은, 도시된 그리고 여기서 바람직한 리프트 조정 장치(1)의 경우에, 오프셋 외측 단부(5)를 포함하고, 이 단부에 통공(4)이 구비된다. 조정 브래킷(3)의 나머지 부분은 실질적으로 스트립 형상으로 구성되지만, 예를 들어 봉(rod)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하우징(2)은, 도시된 그리고 여기서 바람직한 리프트 조정 장치(1)의 경우, 직각인 단면을 포함하지만, 정사각형 또는 다른 형상의 단면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하우징은 비록 필수는 아니지만 먼지로부터의 보호를 위해 실질적으로 폐쇄되어 있다.
도 2a 및 도 2b에는, 리프트 조정 장치(1)가 부분적으로 인출된 위치에 있는 상태로 서로 직교하게 배치된 두 개의 단면도에 도시되어 있다. 조정 브래킷(3)은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경사진 내측 단부(6)를 포함한다. 이 단부(6)는 상응하게 조정 브래킷(3)의 두 개의 좁은 측면에 두 개의 외측면(7)을 형성하고, 상기 외측면들은 대향하는 하우징(2)의 내측면(8)들에 대해 경사지게 이어진다. 하우징(2)의 내측면(8)들은, 도시된 그리고 여기서 바람직한 리프트 조정 장치(1)의 경우, 서로 평행하게 그리고 조정 브래킷(3)의 인출 방향과 평행하게 이어진다. 클램핑 갭(9)들이 조정 브래킷(3)의 경사지게 이어지는 면(7)들과 이에 대향하는 하우징(2)의 내측면(8)들 사이에 상응하게 형성되는데, 클램핑 갭들에 클램핑 요소(10)들이 수용된다. 도시된 그리고 여기서 바람직한 리프트 조정 장치(1)의 경우, 클램핑 갭(9)들을 형성하는 면(7)들은 평탄하게 구성되고, 클램핑 요소(10)들은 원통 형태를 갖는다. 클램핑 요소(10)들은 조정 브래킷(3)과 하우징(2) 사이의 만곡된 원주 위에 클램핑될 수 있다.
조정 브래킷(3)이 도 2a에 도시된 위치에서부터 하우징에 가압되면, 클램핑 요소(10)들이 그곳에 구비된 클램핑 갭(9)들에서 조정 브래킷(3)의 양측에 쐐기처럼 박히기 때문에 조정 브래킷(3)의 이에 상응하는 움직임은 방지된다. 여기서, 클램핑 요소(10)들은 큰 힘이 가해질 때에도 조정 브래킷(3)이 하우징(2)에 미끄러져 들어갈 수 없을 정도로 큰 클램핑 힘을 받는다.
클램핑 요소(10)들은 클램핑 슬라이드(11) 내에 유지되는데, 이는 다시 조정 브래킷 상에 유지된다. 리프트 조정 장치(1)의 클램핑 슬라이드(11)는, 도시된 그리고 여기서 바람직한 리프트 조정 장치(1)의 경우, 두 개의 조각들로 형성되고 조정 브래킷의 하단부를 감싼다. 클램핑 슬라이드(11)의 두 개의 부분들 각각은 핑거(13)를 포함하는데, 이 핑거는 조정 브래킷(3)의 장방형 구멍(14)에 계합된다. 이에 의해 클램핑 슬라이드(11)는 조정 브래킷(3)에 대해 변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러나 클램핑 슬라이드(11)가 조정 브래킷(3)에 대해 변위 가능한 정도는 일 방향으로는 클램핑 요소(10)들이 클램핑 갭(9)들에 클램핑되는 것에 의해 그리고 다른 방향으로는 조정 브래킷(3), 특히 조정 브래킷의 핀들과의 견고한 계합에 의해 제한된다.
클램핑 슬라이드(11)는 서로 반대인 두 개의 면들에 있는 마찰 브래킷(16)들을 포함하며, 두 개의 면들은 클램핑 요소(10)들과 연동되는 하우징(2)의 내면(8)들에 안착된다. 이에 의해 발생되는 정지 마찰력은 클램핑 슬라이드(11)가 그 위치를 유지하기 위하여 경사지는 것을 보장한다. 그러나, 클램핑 슬라이드(11)가 조정 브래킷(3) 상에 견고하게 안착되는 반면 클램핑 슬라이드가 하우징(2)에 미끄러져 들어가거나 혹은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면, 클램핑 슬라이드(11) 상의 정지 마찰력을 극복하기 위하여 충분한 힘이 가해지고, 클램핑 슬라이드(11)는 조정 브래킷(2)과 함께 하우징(2) 내에서 변위된다. 조정 브래킷(3)과 하우징(2)의 가로 방향 러그(17)들은 인출 방향으로 상응하는 지탱면들을 형성하고, 이 지탱면들이 함께 끝 멈춤부(18)를 형성하여, 조정 브래킷(3)을 하우징(2) 외부로 더 인출하는 것은 방지된다.
조정 브래킷이 도 2a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더 인출되면, 리프트 조정 장치(1)는 도 3에 도시된 위치에 도달하는데, 이 위치에서 조정 브래킷은 거의 하우징(2)의 끝 위치까지 하우징 외부로 인출된다. 조정 브래킷(3)의 핀(15) 위에 안착되어 있는 클램핑 슬라이드(11)는 그 결과 클램핑 슬라이드(11)를 위한 끝 멈춤부(19)까지 변위되어 있다. 이 끝 멈춤부(19)는 조정 브래킷(3) 인출 방향으로의 클램핑 슬라이드(11)의 추가 변위를 제한한다. 조정 브래킷이 하우징으로부터 하우징(2)과의 끝 멈춤부(18)까지 더 제거되면, 조정 브래킷(3)의 핀(15)들이 클램핑 슬라이드(11)의 브래킷 형상의 연결 요소(20)들을 지나 활주하고, 이 후에 연결 요소(20)들은 핀들의 후방에서 계합되고 이에 따라 조정 브래킷(3)과 클램핑 슬라이드(11) 간의 별도의 연결부를 형성한다. 여기서, 핀(15)들은 클램핑 슬라이드(11)의 상응하는 수용 캐비티(21)들에 수용된다. 이는 특히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클램핑 슬라이드(11)는 이제 조정 브래킷(3)과 연결된 위치에 있는데, 이 위치에서 클램핑 요소(10)들은 클램핑 방식으로 클램핑 갭(9)들에 미치지 못한다. 이에 따라 조정 브래킷(3)은 상당한 힘을 투입하지 않고 하우징(2)에 미끄러져 들어갈 수 있다.
클램핑 슬라이드(11)와 조정 브래킷(3) 간의 별도의 연결을 다시 해제하기 위하여, 조정 브래킷(3)은 하우징(2)에 첫 위치까지 미끄러져 들어가야 한다. 이는 조정 브래킷(3)의 핀(15)들이 하우징(2)의 기부(22)에 계합되고 그곳에서 상응하는 수용 캐비티(23)들의 지탱면에 접할 때 도시된 그리고 여기서 바람직한 리프트 조정 장치(1)에 의해 달성된다. 그러나, 조정 브래킷(3)이 이 첫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클램핑 슬라이드(11)는 클램핑 슬라이드(11)의 첫 멈춤부(24)를 형성하는 하우징의 기부와 접하게 된다. 클램핑 슬라이드(11)는 이 위치에서 유지되고, 조정 브래킷(3)은 조정 브래킷(3)을 위한 첫 멈춤부(25)까지 더 미끄러져 들어간다. 여기서, 조정 브래킷(3)의 핀(15)들은 클램핑 슬라이드(11)의 연결 요소(20)들을 지나서 가압되고, 조정 브래킷(3)과 클램핑 슬라이드(11) 간의 견고한 래칭 연결이 해제 된다. 그러면 조정 브래킷의 핀(15)들은 클램핑 슬라이드(11)의 상응하는 수용 캐비티(21)들에 더 이상 수용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조정 브래킷(3)은 다시 부분적으로 인출될 수 있고, 여기서, 상응하는 위치에서 다시 한 번 미끄러져 들어가는 조정 브래킷(3)에 다시 대응하기 위하여, 클램핑 슬라이드(11)를 지지할 수 있다. 조정 브래킷(3)을 첫 위치에 다시 한 번 하우징(2) 내로 미끄러져 들어갈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조정 브래킷(3)은,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별도의 래칭 연결을 통해 클램핑 슬라이드(11)를 조정 브래킷(3)에 고정하기 위하여 처음에 끝 위치까지 다시 한 번 인출되어야 한다. 대안적으로 조정 브래킷(3)과 수용 캐비티(23) 간의 첫 멈춤부까지 하우징(2)으로 미끄러져 들어가는 조정 브래킷(3) 역시 기부(22)와 조정 브래킷(17)의 가로 방향 러그(17)들에 의해 또는 조정 브래킷(3)과 클램핑 슬라이드(11) 간의 별도의 연결을 해제한 후에 클램핑 요소(10)들을 클램핑 갭(9)들에 잠그는 것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대안적인 리프트 조정 장치(1')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이는 그 기부(26')의 구성만이 도 1 내지 도 4의 리프트 조정 장치와 구별된다.
도 5에 도시된 리프트 조정 장치(1')의 하우징(2')의 기부(26')가 도 6에 종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기부(26')의 영역에서, 하우징(2')의 두 개의 가장자리 요소(27')들이 내측으로 가압되는데, 이들은 인출 방향을 향하는 지탱면(28')들을 구비한다. 지탱면(28')들은 클램핑 슬라이드(11')를 위한 첫 멈춤부(29')를 형성한다. 내측으로 가압되는 하우징(2')의 가장자리 요소(27')들 대신, 지탱면(28')들이 다른 멈춤 요소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다.
앞에서 이미 설명한 별도의 연결부를 통해 클램핑 슬라이드(11)에 연결된 조정 브래킷(3)이 그 첫 위치 방향으로 하우징(2')에 미끄러져 들어갈 때, 클램핑 슬라이드(11)는 처음에 지탱면(28')들에 의해 정해진 첫 멈춤부(29)에 도달한다. 클램핑 슬라이드(11)는 이 위치에 유지되는 반면, 조정 슬라이드(3)는 더 미끄러져 들어갈 수 있다. 조정 브래킷(3)과 첫 멈춤부(29') 위에 이미 안착되어 있는 클램핑 슬라이드(11) 간의 상응하는 상대 운동에 의해, 조정 브래킷(3)의 핀(15)들이 클램핑 슬라이드(11)의 연결 요소(20)들을 지나서 수용 캐비티(21) 외부로 가압되고, 여기서 클램핑 슬라이드(11)와 조정 브래킷(3) 간의 별도의 연결이 해제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클램핑 슬라이드(11)는, 한편으로는 조정 브래킷(3)이 다시 한 번 인출될 수 있도록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클램핑 요소(10)들이 여기서 조정 브래킷(3)의 하우징(3)으로의 우발적인 역방향 활주를 계속 방지하도록, 조정 브래킷(3)에 대해 추가 변위 가능하게 조정 브래킷(3) 위에 계속 유지된다. 조정 브래킷(3)의 첫 멈춤부는 클램핑 요소들에 의해 형성된다. 클램핑 슬라이드(11)와 조정 브래킷(3) 간의 별도의 연결이 해제된 후에, 클램핑 요소(10)들은, 조정 브래킷을 하우징(2')로 더 미끄러져 들어가게 하는 것과 함께, 클램핑 요소(10)들이 클램핑 갭(9)들에 클램핑되어 조정 브래킷(3)이 더 미끄러져 들어가는 것이 방지될 때까지 하우징(2')과 조정 브래킷(3) 사이의 클램핑 갭(9)들 내로 더 도달한다.

Claims (15)

  1. 하우징(2, 2')과 조정 브래킷(3)을 구비하며, 조정 브래킷(3)이 하우징 내에 유지되고 하우징(2, 2') 외부로 부분적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 앉는 형태의 가구 또는 기대는 형태의 가구를 조정하기 위한 리프트 조정 장치(1, 1')로,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요소(10)가 클램핑 위치와 적어도 하나의 조정 위치 사이에서 조정 브래킷(3)에 대해 변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요소(10)를 포함하는 클램핑 슬라이드(11)가 구비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요소(10)는, 조정 브래킷(3)이 하우징(2)으로 미끄러져 들어가는 것이 방지되도록 조정 브래킷(3)과 하우징(2) 사이에 있는 클램핑 갭(9) 내의 클램핑 위치에 클램핑 방식으로 수용되는 리프트 조정 장치에 있어서,
    조정 브래킷(3)과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슬라이드(11) 간의 별도의 해제 가능한 연결이, 조정 브래킷(3)이 상기 별도의 해제 가능한 연결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슬라이드(11)와 연결된 상태에서 끝 위치로부터 첫 위치까지 하우징(2, 2') 내로 미끄러져 들어갈 수 있도록 구비되고,
    조정 브래킷(3)이 인출될 때 조정 브래킷(3)과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슬라이드(11) 간의 별도의 연결이 끝 위치에서 강제로 이루어지도록, 하우징(2, 2')이 클램핑 슬라이드(11)를 위한 끝 멈춤부(1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조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클램핑 갭(9)이 조정 브래킷(3)의 인출 방향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조정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조정 브래킷(3)이 하우징(2, 2')에 수용된 경사 단부(6)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요소(10)가 조정 브래킷(3)의 경사 단부와 하우징(2, 2') 사이에 있는 클램핑 위치에 클램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조정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슬라이드(11)는 조정 브래킷(3) 위에 조정 브래킷(3)에 대해 변위 가능하게 유지되고 또한 하우징(2, 2')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조정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조정 브래킷(3)이 직사각형 구멍(14)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슬라이드(11)가 직사각형 구멍(14)에 견고하게 그리고 변위 가능하게 계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조정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조정 브래킷(3)이 인출될 때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슬라이드(11)가 조정 브래킷(3) 위에 안착되고 하우징(2, 2')을 따라 조정 브래킷(3)과 함께 이동되도록, 조정 브래킷(3)이 인출될 때 작용하는 견고한 계합이 조정 브래킷(3)과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슬라이드(11) 사이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조정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별도의 연결은 클램핑 연결(clamping connection) 또는 래칭 연결(latching connectio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조정 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조정 브래킷(3)이 미끄러져 들어갈 때 조정 브래킷(3)과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슬라이드(11) 간의 별도의 연결이 첫 위치에서 강제로 해제되도록, 하우징(2, 2')이 클램핑 슬라이드(11)를 위한 첫 멈춤부(24, 2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조정 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조정 브래킷(3)이 적어도 하나의 핀(15)을 포함하고, 클램핑 슬라이드(11)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20)를 포함하며, 별도의 연결이 이루어질 때 연결 요소(20)가 핀(15) 후방에 클램핑되거나 또는 계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조정 장치.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우징(2, 2)과 조정 브래킷(3)이 상응하는 지탱면들을 포함하고, 상기 상응하는 지탱면들이 인출력을 하우징(2, 2')으로 전달하기 위해 조정 브래킷(3)의 끝 위치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조정 장치.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슬라이드(11)가 적어도, 마찰력에 의해 계합되는 방식으로 하우징(2, 2') 위의 영역들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조정 장치.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조정 브래킷(3)이 하우징(2, 2')을 따라 연속적으로 조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조정 장치.
  13. 서로에 대해 조정 가능한 두 개의 컴포넌트를 구비하며, 등받이, 머리부, 다리부 및 팔걸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앉는 형태 또는 기대는 형태의 가구로,
    두 개의 컴포넌트가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리프트 조정 장치(1, 1')를 통해 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앉는 형태 또는 기대는 형태의 가구.
  14. 삭제
  15. 삭제
KR1020167015693A 2013-11-18 2014-10-27 리프트 조정 장치 및 리프트 조정 장치를 구비한 앉는 형태 및/또는 기대는 형태의 가구 KR1018256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3019172 2013-11-18
DE102013019172.6 2013-11-18
PCT/EP2014/073015 WO2015071080A1 (de) 2013-11-18 2014-10-27 Hubsteller sowie sitz- und/oder liegemöbel mit einem hubstell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5874A KR20160085874A (ko) 2016-07-18
KR101825629B1 true KR101825629B1 (ko) 2018-02-05

Family

ID=51799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5693A KR101825629B1 (ko) 2013-11-18 2014-10-27 리프트 조정 장치 및 리프트 조정 장치를 구비한 앉는 형태 및/또는 기대는 형태의 가구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9730519B2 (ko)
EP (1) EP3071845B1 (ko)
JP (1) JP6190970B2 (ko)
KR (1) KR101825629B1 (ko)
CN (1) CN105765239B (ko)
CA (1) CA2930868C (ko)
DE (1) DE102014109010A1 (ko)
HU (1) HUE038765T2 (ko)
PL (1) PL3071845T3 (ko)
TR (1) TR201810981T4 (ko)
WO (1) WO20150710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119326A1 (de) 2015-11-10 2017-05-11 Ferdinand Lusch Gmbh & Co. Kg Sitzmöbel mit einem separaten und schwenkbaren Kopfteil
CN106136676B (zh) * 2016-08-25 2019-05-28 泰州市姜堰区荣耀金属制品有限公司 设置有防夹保护结构的功能沙发伸缩传动臂
DE102018101721A1 (de) 2018-01-25 2019-07-25 Ferdinand Lusch Gmbh & Co. Kg Sitzmöbel mit höhenverstellbarem Kopfteil
DE202018104731U1 (de) 2018-08-16 2018-08-30 Bülent Isik Höhenverstellbare Fußablage
DE102020105189A1 (de) 2020-02-27 2021-09-02 Ferdinand Lusch Gmbh Schwenkgelenk zum Verstellen eines Funktionsteils mit einem Klemmelem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80665A1 (en) 1999-07-16 2001-03-07 OLDE-HEUVEL, Bernardus Johannes Maria Adjustable telescopic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74932E (fr) * 1959-02-10 1961-03-03 Perfectionnement aux supports télescopiques
US3737136A (en) * 1972-03-29 1973-06-05 G Snurr Adjustable height support
US3991964A (en) * 1974-12-10 1976-11-16 Evan John And Sons (Kenfig Hill) Limited Self-locking device for telescopic props
US3951238A (en) * 1974-12-16 1976-04-20 Tyee Aircarft, Inc. Linear motion arresting device
JPS6023539Y2 (ja) * 1981-03-28 1985-07-13 株式会社 エコ−工芸 伸縮パイプのロツク装置
FI67014C (fi) * 1981-09-28 1985-01-10 Martela Ag Anordning foer reglering av hoejden av en bordsskiva stol eller liknande
US4601246A (en) * 1984-05-07 1986-07-22 Thill, Inc. Support assembly for overbed table
GB8500542D0 (en) * 1985-01-09 1985-02-13 Dmi Fabrications Ltd Seat support columns
JPS6220207U (ko) * 1985-07-22 1987-02-06
JPS63251694A (ja) * 1987-04-04 1988-10-19 宮沢 克幸 鋼球による固着装置
US5078349A (en) * 1990-04-16 1992-01-07 Midmark Corporation Locking mechanism for an IV pole
JP4432222B2 (ja) * 2000-06-27 2010-03-1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ヘッドレスト装置
US6609686B2 (en) * 2002-01-18 2003-08-26 Tam Srl Adjustable support apparatus
US8262036B2 (en) * 2004-04-15 2012-09-11 Hill-Rom Services, Inc. Transferable patient care equipment support
US7845602B1 (en) * 2006-02-09 2010-12-07 Primos, Inc. Telescoping support stand apparatus
US8146876B1 (en) * 2006-02-09 2012-04-03 Primos, Inc. Telescoping support stand apparatus
CN2903526Y (zh) 2006-05-08 2007-05-23 厦门世宗贸易有限公司 伸缩杆组结构
CN2924124Y (zh) 2006-06-26 2007-07-18 厦门进雄企业有限公司 一种结构改良的伸缩管及可折叠床
DE202008013317U1 (de) 2008-10-08 2008-12-24 Oelschläger Metalltechnik GmbH Einfache teleskopierbare Säule, insbesondere für Möbel, wie Tische
NL2004931C2 (nl) * 2010-06-21 2011-12-22 Resqtec Zumro B V Veiligheidsinricht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80665A1 (en) 1999-07-16 2001-03-07 OLDE-HEUVEL, Bernardus Johannes Maria Adjustable telescopic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286959A1 (en) 2016-10-06
JP2017502235A (ja) 2017-01-19
EP3071845A1 (de) 2016-09-28
CA2930868A1 (en) 2015-05-21
DE102014109010A1 (de) 2015-05-21
HUE038765T2 (hu) 2018-11-28
EP3071845B1 (de) 2018-05-16
CA2930868C (en) 2017-11-28
CN105765239B (zh) 2017-10-17
TR201810981T4 (tr) 2018-08-27
CN105765239A (zh) 2016-07-13
WO2015071080A1 (de) 2015-05-21
PL3071845T3 (pl) 2018-10-31
US9730519B2 (en) 2017-08-15
WO2015071080A9 (de) 2015-08-20
KR20160085874A (ko) 2016-07-18
JP6190970B2 (ja) 2017-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5629B1 (ko) 리프트 조정 장치 및 리프트 조정 장치를 구비한 앉는 형태 및/또는 기대는 형태의 가구
US8182054B2 (en) Retraction mechanism for a drawer
US9173498B2 (en) Adjustable armrest for a seating unit
EP3042589B1 (en) Supporting apparatus for a crib
US4145020A (en) Retractable apparatus for supporting an element
US9282822B2 (en) Multi-adjustable multi-position seating apparatus
CA2947830A1 (en) Chair with a separate and adjustable headrest
US9901179B2 (en) Piece of seating furniture having a pivotable functional part
KR101482738B1 (ko) 슬라이딩장치가 구비된 의자
US9867467B2 (en) Seating furniture with pivotable functional part
EP1621108A1 (en) Device for adjusting the elongation of backrest, armrest, or the like
US9161631B2 (en) Adjustment mechanism for furniture
CN204120592U (zh) 头枕支撑杆及包括该头枕支撑杆的头枕支撑系统
US7419219B2 (en) Adjustable arm assembly for a chair
KR101235147B1 (ko) 의자 머리받침장치
US8651577B2 (en) Adjustment device
KR101802491B1 (ko) 의자
KR101753786B1 (ko) 위치 조절이 가능한 팔걸이가 구비된 의자
KR100863182B1 (ko) 일체형 허리받이와 머리받이가 장착된 의자
KR101691382B1 (ko)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구
JP6548420B2 (ja) 椅子
KR101135594B1 (ko) 차량의 시트레일용 결합구
JPS59131Y2 (ja) 座席用ヘツドレスト装置
AU2012203573A1 (en) Adjustable furniture
JP2008119240A (ja) リクライニングソファとスツールとの連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