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5389B1 - 차량용 도어트림의 풀 핸들부 조립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트림의 풀 핸들부 조립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5389B1
KR101825389B1 KR1020150166910A KR20150166910A KR101825389B1 KR 101825389 B1 KR101825389 B1 KR 101825389B1 KR 1020150166910 A KR1020150166910 A KR 1020150166910A KR 20150166910 A KR20150166910 A KR 20150166910A KR 101825389 B1 KR101825389 B1 KR 101825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trim
inner panel
section
pull handle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6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1841A (ko
Inventor
유종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150166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5389B1/ko
Publication of KR20170061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18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5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53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2Inner door 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68Fixation or mounting means specific for do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37Side or rear panels
    • B60R13/0243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너패널에 도어트림의 풀 핸들부를 장착함에 있어서 볼트 결합을 배제하고 끼움 결합으로 구성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기술로서, 풀 핸들부와 마주하는 이너패널의 측벽에 연결브라켓을 마련하고 이너패널과 마주하는 풀 핸들부의 측벽에 걸림부재를 마련하여 연결브라켓과 걸림부재가 착탈이 가능하도록 상호 탄성적으로 끼움 결합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트림에 연결된 풀 핸들부와 이너패널이 상호 기구적으로 끼움 결합만 하면 되므로 조립 부품 수를 낮출 수 있고 이를 통해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도어트림의 풀 핸들부 조립시스템 {assembly system for pull handle of vehicle door trim}
본 발명은 이너패널에 도어트림의 풀 핸들부를 장착함에 있어서 볼트 결합을 배제하고 끼움 결합으로 구성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풀 핸들부와 마주하는 이너패널의 측벽에 연결브라켓을 마련하고 이너패널과 마주하는 풀 핸들부의 측벽에 걸림부재를 마련하여 연결브라켓과 걸림부재가 착탈이 가능하도록 상호 탄성적으로 끼움 결합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도어패널의 조립시스템은 차량용 도어패널의 내측부를 이루는 이너패널과, 이너패널의 내측벽에 연결되어 차실을 마감하는 도어트림과, 도어트림에 장착되는 암레스트, 도어트림에 장착되는 풀 핸들부로 구성된다.
이때, 보통은 풀 핸들부와 암레스트를 도어트림에 장착한 후 이 도어트림을 이너패널에 연결하여 차실의 내측을 마감한다.
그런데, 풀 핸들부는 차실의 사용자가 무수히 반복적으로 당기고 밀고 하는 구성이므로 풀 핸들부는 외력에 대해 현재 결합된 위치를 견고하게 지지해야 하는 내구성을 가져야 한다.
그러므로 도어트림에 풀 핸들부가 미리 연결되었어도 도어트림을 이너패널에 연결할 때 별도로 풀 핸들부와 이너패널을 연결하는 부수적인 조립공수가 필요하다.
이하, 일반적인 차량용 도어트림의 풀 핸들부 조립시스템을 도시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풀 핸들부 조립시스템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에서와 같이 하부 도어트림(22)의 상단부와 풀 핸들부(40)의 일측 상단부에 암레스트(30)의 하단면이 안착되어 결합된다. 그리고, 풀 핸들부(40) 다른 쪽 상단부가 상부 도어트림(21)의 하단부에 바람직하게는 볼트 결합으로 체결된다.
그리고, 암레스트(30)에 인접하는 위치의 도어트림에 차량의 부가적인 기능을 제어하는 버튼조작부를 커버하도록 버튼조작부의 테두리를 마감하는 스위치 베젤(60)이 장착된다.
여기서, 상부 도어트림(21)과 하부 도어트림(22)은 도 2에서와 같이 하나의 도어트림으로 구성되는 것이 보통이며 상세하게는 도어트림의 중간 부분이 개구된 상태로 사출 성형된다.
이렇게, 풀 핸들부(40), 스위치 베젤(60)이 장착된 도어트림을 이너패널(10)에 연결하여 차실의 내부를 마감한다.
그런데,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도어트림에 풀 핸들부(40)가 미리 연결되었어도 도어트림을 이너패널(10)에 연결할 때 별도로 풀 핸들부(40)와 이너패널(10)을 연결하는 부수적인 조립공수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풀 핸들부(40)와의 연결을 위해 이너패널(10)의 도어트림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절곡한 스크류 보스(11)를 구성하여야 하며, 또한 이 스크류 보스(11)에 볼트(L) 체결이 가능하도록 풀 핸들부(40)는 바닥면을 관통하는 스크류 단차부(41)를 마련한다.
도 4와 도 5에서와 같이 풀 핸들부(40)의 스크류 단차부(41)의 하부에 이너패널(10)의 스크류 보스(11)가 밀착된 상태에서 풀 핸들부(40)의 바닥면 상부로부터 볼트(L)를 체결하여 풀 핸들부(40)를 이너패널(10)에 재차 고정하는 것이다.
이때, 풀 핸들부(40)는 내측이 차실에 노출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스크류 단차부(41)에 체결된 볼트(L)와 이 볼트(L) 체결을 위해 풀 핸들부(40)의 바닥면을 조잡하게 구성하였으므로 미관상 이를 해결하기 위해 풀 핸들부(40)의 바닥면 상부로부터 별도로 풀 핸들캡(50)의 끼워 넣는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조립 공수가 많이 들어 제조 원가가 상승하는 단점도 있지만,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이 도어트림에 장착된 풀 핸들부(40)의 스크류 단차부(41)와 이너패널(10)의 스크류 보스(11)를 상호 얼라인먼트 한 후에 볼트결합하는 작업이 매우 까다로워 조립성이 현저히 떨어지고 이로 인해 작업 효율적인 면에서도 매우 비효율적인 면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0-0043670호 "차량 도어의 도어 트림 결합구조"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2-0063772호 "자동차의 도어 트림 결합구조"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9-0132063호 "차량용 도어트림 조립구조"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9-00800895호 "차량용 도어 트림 체결구조"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4-0055882호 "레저용 차량의 테일게이트 풀핸들 설치구조"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성이 향상된 차량용 도어트림의 풀 핸들부 조립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 공수를 줄일 수 있는 차량용 도어트림의 풀 핸들부 조립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 부품 수를 낮추어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차량용 도어트림의 풀 핸들부 조립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패널의 내측부를 이루는 이너패널과, 이너패널의 내측벽에 연결되어 차실을 마감하는 도어트림과, 도어트림에 장착되는 암레스트, 도어트림에 장착되는 풀 핸들부의 조립시스템으로서, 수직으로 배치되는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단면이 상부로부터 하부로 가면서 다단 굴곡되며 내측으로 돌출되는 연결브라켓(110)이 구비된 이너패널(100); 이너패널의 상부 내측벽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플레이트 형태의 상부 도어트림(210); 이너패널의 하부 내측벽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플레이트 형태의 하부 도어트림(220); 수평으로 배치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양단부가 하방향으로 절곡되며 일단부는 하부 도어트림의 상단부에 고정 지지되고 타단부는 하부 도어트림과 이너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암레스트(300); 바닥면을 기준으로 양측에 상방향으로 절곡된 내측벽부(410)와 외측벽부(420)를 형성하며, 내측벽부의 상단부가 암레스트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외측벽부의 상단부는 상부 도어트림의 하단부에 연결되며 이너패널과 마주하는 외측벽부의 일면에 연결브라켓과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걸림부재(421)가 구비된 풀 핸들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연결브라켓(110)은 외측벽부의 방향으로 돌출되는 연장부(111); 연장부로부터 상방으로 절곡되는 단턱부(11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걸림부재(421)는 이너패널의 방향으로 돌출되는 확장부(421a); 확장부로부터 하방으로 절곡되어 단턱부와 걸림 결합되는 후크부(421b);를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연결브라켓과 걸림부재는 결합된 상태에서 상호 당기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걸림부재와 연결브라켓이 결합된 상태에서 걸림부재와 연결브라켓은 자연적으로 상호 당기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도록 외측벽부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하부 도어트림의 방향으로 비스듬히 경사지게 형성되고, 풀 핸들부는 바닥면이 밋밋한 형태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확장부와 후크부를 잇는 모서리 단면은 완만하게 라운딩 처리되고, 후크부의 하단부 단면도 완만하게 라운딩 처리되고, 단턱부의 상단부 모서리 단면 중 외측벽부에 인접하는 모서리 단면도 라운딩 처리되고, 연장부와 단턱부를 잇는 모서리 단면도 완만하게 라운딩 처리됨이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 단턱부의 상단부 모서리 단면 중 이너패널에 인접하는 모서리 단면은 직각으로 꺾인 구조로 형성되고, 확장부와 상기 후크부를 잇는 귀퉁이의 단면도 직각으로 꺾인 구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도어트림에 연결된 풀 핸들부와 이너패널이 상호 기구적으로 끼움 결합되어 조립성을 향상시킨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트림에 연결된 풀 핸들부와 이너패널이 상호 기구적으로 끼움 결합만 하면 되므로 조립 부품 수를 낮출 수 있고 이를 통해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도어트림의 풀 핸들부 조립시스템의 일부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도 1의 구성을 분리하여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도 2의 구성을 단면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도 3의 구성을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도 4의 일부분을 발췌하여 확대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트림의 풀 핸들부 조립시스템을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7은 도 6의 구성을 단면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도 7의 구성을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9는 도 8의 일부분을 발췌하여 확대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트림의 풀 핸들부 조립시스템을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구성을 단면으로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구성을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트림의 풀 핸들부 조립시스템으로서, 차량용 도어패널의 내측부를 이루는 이너패널(100)과, 이너패널(100)의 내측벽에 연결되어 차실을 마감하는 상,하부 도어트림(210,220)과, 상,하부 도어트림(210,220)에 장착되는 암레스트(300), 상,하부 도어트림(210,220)에 장착되는 풀 핸들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이너패널(100)은 차량용 도어패널의 내측부에 장착되며 차량의 도어와 나란히 수직으로 배치되는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단면이 상부로부터 하부로 가면서 다단 굴곡된다.
또한, 이너패널(100)은 내측으로 돌출되는 연결브라켓(110)이 구비되어 풀 핸들부(400)와의 결합시 풀 핸들부(400)에 구비된 걸림부재(421)와 기구적으로 착탈이 가능하도록 끼움 결합된다.
한편, 도어트림은 설명의 편의상 상부 도어트림(21)과 하부 도어트림(22)으로 구분하였다. 도 6에서와 같이 상부 도어트림(21)과 하부 도어트림(22)은 하나의 도어트림으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암레스트(300), 풀 핸들부(400), 스위치 베젤(500)이 끼워져 연결되도록 도어트림의 중간 부분이 개구된 상태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즉, 상부 도어트림(210)은 이너패널(100)의 상부 내측벽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되고, 하부 도어트림(220)은 이너패널(100)의 하부 내측벽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된다.
암레스트(300)는 수평으로 배치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양단부가 하방향으로 절곡되며 일단부는 하부 도어트림(220)의 상단부에 고정 지지되고 타단부는 하부 도어트림(220)과 이너패널(100) 사이에 배치된다.
풀 핸들부(400)는 바닥면을 기준으로 양측에 상방향으로 절곡된 내측벽부(410)와 외측벽부(420)로 이루어진다.
풀 핸들부(400)는 내측벽부(410)의 상단부가 암레스트(300)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외측벽부(420)의 상단부는 상부 도어트림(210)의 하단부에 연결되며 이너패널(100)과 마주하는 외측벽부(420)의 일면에 연결브라켓(110)과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걸림부재(421)가 구비된다.
한편, 풀 핸들부(400), 스위치 베젤(500)이 장착된 도어트림(210,220)을 이너패널(100)에 연결하여 차실의 내부를 마감하는데, 풀 핸들부(400)가 도어트림(210,220)에 미리 연결되었어도 도 7과 도 8에서와 같이 도어트림(210,220)을 이너패널(100)에 연결할 때 별도로 풀 핸들부(400)와 이너패널(100)을 연결하는 부수적인 조립공수가 필요하다.
여기서, 본 발명은 기존 볼트 결합으로 풀 핸들부와 이너패널을 연결하는 부수적인 조립공수를 현저히 줄인 조립구조를 구현하였다. 이하에서 도어트림(210,220)에 미리 연결된 상태의 풀 핸들부(400)와 이너패널(100)을 재차 간편하게 결합시키는 과정을 살펴본다.
도 9는 도 8의 일부분을 발췌하여 확대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핵심 구성으로서 이너패널(100)의 연결브라켓(110)과 풀 핸들부(400)의 걸림부재(421)를 들 수 있다.
상세하게, 연결브라켓(110)은 풀 핸들부(400)의 외측벽부(420) 방향으로 돌출되는 연장부(111)와, 이 연장부(111)로부터 상방으로 절곡되는 단턱부(112)로 구성된다.
그리고, 연결브라켓(110)과 착탈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걸림부재(421)는 이너패널(100)의 방향으로 돌출되는 확장부(421a)와, 이 확장부(421a)로부터 하방으로 절곡되어 단턱부(112)와 걸림 결합되는 후크부(421b)로 구성된다.
즉, 도 7에서와 같이 작업자는 풀 핸들부(400)가 장착된 상태의 도어트림(210,220)을 이너패널(100) 방향으로 밀어 붙이기만 하면 걸림부재(421)의 후크부(421b)가 연결브라켓(110)의 단턱부(112)를 타고 올랐다가 도어트림(210,220)의 하중에 의해 약간 하방으로 내려 앉으면서 도 8과 같이 연결브라켓(110)에 걸림부재(421)가 걸쳐져 결합된다.
이렇게, 연결브라켓(110)과 걸림부재(421)가 결합된 상태에서 연결브라켓(110)과 걸림부재(421)는 상호 당기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연결브라켓(110)과 걸림부재(421)가 상호 당기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도록 구성됨에 따라 결합된 이후 외력으로부터 들썩임과 소음이 없고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걸림부재(421)와 연결브라켓(110)이 결합된 상태에서 걸림부재(421)와 연결브라켓(110)은 자연적으로 상호 당기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도록 풀 핸들부(400)의 외측벽부(420)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하부 도어트림(220)의 방향으로 비스듬히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풀 핸들부(400)는 기존과 같이 이너패널(100)과 볼트 결합을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풀 핸들부(400)의 바닥면에는 볼트 체결용 관통공이 필요 없고 또한 기존과 같이 볼트를 안 보이도록 마감하는 풀 핸들캡의 구성도 필요 없게 된다.
그 결과, 풀 핸들부(400)는 바닥면이 밋밋한 형태로 구성되어 기능적으로 사용자의 손놀림에 대한 걸림이 없고 미관상으로도 양호하다. 무엇보다도 기존과 같은 제작 공수나 조립 공수가 필요치 않는다는 것이 장점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걸림부재(421)의 확장부(421a)와 후크부(421b)를 잇는 모서리 단면은 완만하게 라운딩 처리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도 7에서와 같이 도어트림(210,220)을 이너패널(100) 방향으로 밀어 연결브라켓(110)에 걸림부재(41)를 연결하는 과정에서 라운딩된 모서리 부분이 연결브라켓(110)의 외주면에 걸리지 않고 부드럽게 슬라이딩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걸림부재(421)에 구비된 후크부(421b)의 하단부 단면은 완만하게 라운딩 처리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도, 도 7에서와 같이 도어트림(210,220)을 이너패널(100) 방향으로 밀어 연결브라켓(110)에 걸림부재(41)를 연결하는 과정에서 라운딩된 후크부(421b)의 하단부가 연결브라켓(110)의 외주면에 걸리지 않고 부드럽게 슬라이딩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연결브라켓(110)에 구비된 단턱부(112)의 상단부 모서리 단면 중 풀 핸들부(400)의 외측벽부(420)에 인접하는 모서리 단면은 라운딩 처리됨이 바람직하다. 도 7에서와 같이 도어트림(210,220)을 이너패널(100) 방향으로 밀어 연결브라켓(110)에 걸림부재(421)를 연결하는 과정, 특히 걸림부재(421)가 상방향으로 비스듬히 연결브라켓(110)의 단턱부(112)에 접근할 때 단턱부(112)의 상단부 모서리에 걸리지 않고 부드럽게 슬라이딩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연결브라켓(110)의 연장부(111)와 단턱부(112)를 잇는 모서리 단면은 완만하게 라운딩 처리됨이 바람직하다. 도 7에서와 같이 도어트림(210,220)을 이너패널(100) 방향으로 밀어 연결브라켓(110)에 걸림부재(421)를 연결하는 과정 중, 특히 걸림부재(421)가 연결브라켓(110)의 하방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비스듬히 연결브라켓(110)의 단턱부(112)에 접근할 때 연장부(111)와 단턱부(112)를 잇는 부분에서 걸리지 않고 부드럽게 슬라이딩될 수 있다.
도 9에서와 같이, 연결브라켓(110)에 구비된 단턱부(112)의 상단부 모서리 단면 중 이너패널(100)에 인접하는 모서리 단면은 직각으로 꺾인 구조로 형성되고, 확장부(421a)와 후크부(421b)를 잇는 귀퉁이의 단면도 직각으로 꺾인 구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걸림부재(421)의 후크부(421b)가 연결브라켓(110)의 단턱부(112)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호 이탈되지 않고 결합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10 : 이너패널
11 : 스크류 보스
21 : 상부 도어트림
22 : 하부 도어트림
30 : 암레스트
40 : 풀 핸들부
41 : 스크류 단차부
50 : 풀 핸들캡
60 : 스위치 베젤
100 : 이너패널
110 : 연결브라켓
111 : 연장부
112 : 단턱부
210 : 상부 도어트림
220 : 하부 도어트림
300 : 암레스트
400 : 풀 핸들부
410 : 내측벽부
420 : 외측벽부
421 : 걸림부재
421a : 확장부
421b : 후크부
500 : 스위치 베젤
L : 볼트

Claims (10)

  1. 차량용 도어패널의 내측부를 이루는 이너패널과, 상기 이너패널의 내측벽에 연결되어 차실을 마감하는 도어트림과, 상기 도어트림에 장착되는 암레스트, 상기 도어트림에 장착되는 풀 핸들부의 조립시스템으로서,
    수직으로 배치되는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단면이 상부로부터 하부로 가면서 다단 굴곡되며 내측으로 돌출되는 연결브라켓(110)이 구비된 이너패널(100);
    상기 이너패널의 상부 내측벽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플레이트 형태의 상부 도어트림(210);
    상기 이너패널의 하부 내측벽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플레이트 형태의 하부 도어트림(220);
    수평으로 배치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양단부가 하방향으로 절곡되며 일단부는 상기 하부 도어트림의 상단부에 고정 지지되고 타단부는 상기 하부 도어트림과 상기 이너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암레스트(300);
    바닥면을 기준으로 양측에 상방향으로 절곡된 내측벽부(410)와 외측벽부(420)를 형성하며, 상기 내측벽부의 상단부가 상기 암레스트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외측벽부의 상단부는 상기 상부 도어트림의 하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이너패널과 마주하는 상기 외측벽부의 일면에 상기 연결브라켓과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걸림부재(421)가 구비된 풀 핸들부(400);
    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트림의 풀 핸들부 조립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브라켓(110)은,
    상기 외측벽부의 방향으로 돌출되는 연장부(111);
    상기 연장부로부터 상방으로 절곡되는 단턱부(112);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걸림부재(421)는,
    상기 이너패널의 방향으로 돌출되는 확장부(421a);
    상기 확장부로부터 하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단턱부와 걸림 결합되는 후크부(421b);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트림의 풀 핸들부 조립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브라켓과 상기 걸림부재는 결합된 상태에서 상호 당기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차량용 도어트림의 풀 핸들부 조립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와 상기 연결브라켓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부재와 상기 연결브라켓은 자연적으로 상호 당기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도록 상기 외측벽부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상기 하부 도어트림의 방향으로 비스듬히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트림의 풀 핸들부 조립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풀 핸들부는 바닥면이 밋밋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트림의 풀 핸들부 조립시스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와 상기 후크부를 잇는 모서리 단면은 완만하게 라운딩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트림의 풀 핸들부 조립시스템.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의 하단부 단면은 완만하게 라운딩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트림의 풀 핸들부 조립시스템.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단턱부의 상단부 모서리 단면 중 상기 외측벽부에 인접하는 모서리 단면은 라운딩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트림의 풀 핸들부 조립시스템.
  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와 상기 단턱부를 잇는 모서리 단면은 완만하게 라운딩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트림의 풀 핸들부 조립시스템.
  10.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단턱부의 상단부 모서리 단면 중 상기 이너패널에 인접하는 모서리 단면은 직각으로 꺾인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확장부와 상기 후크부를 잇는 귀퉁이의 단면도 직각으로 꺾인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트림의 풀 핸들부 조립시스템.
KR1020150166910A 2015-11-27 2015-11-27 차량용 도어트림의 풀 핸들부 조립시스템 KR101825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6910A KR101825389B1 (ko) 2015-11-27 2015-11-27 차량용 도어트림의 풀 핸들부 조립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6910A KR101825389B1 (ko) 2015-11-27 2015-11-27 차량용 도어트림의 풀 핸들부 조립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1841A KR20170061841A (ko) 2017-06-07
KR101825389B1 true KR101825389B1 (ko) 2018-02-06

Family

ID=59223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6910A KR101825389B1 (ko) 2015-11-27 2015-11-27 차량용 도어트림의 풀 핸들부 조립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538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14089A (ja) 2006-07-07 2008-01-24 Honda Motor Co Ltd ドアハンドルの取付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14089A (ja) 2006-07-07 2008-01-24 Honda Motor Co Ltd ドアハンドルの取付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1841A (ko) 2017-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850800U (zh) 车辆门和把手组件以及用于车辆门的门把手组件
JP6204192B2 (ja) スナップ固定式ドアハンドルとロックノブとの組立体
US9162555B2 (en) Vehicle back door
US20080178533A1 (en) Door Structure of Vehicle
CN102278003B (zh) 用于车门装饰的把手
CN105593064B (zh) 车辆灯具用装饰部件的安装构造
US20130140846A1 (en) Vehicle interior trim assembly and corresponding vehicle door
KR101825389B1 (ko) 차량용 도어트림의 풀 핸들부 조립시스템
JP2008284900A (ja) 車両用ドアトリムへのアームレストアッパー取付け構造
JP2019031184A (ja) 車両用ドアトリム構造
JP2014121980A (ja) ドアトリム
US6471266B1 (en) Door latch cover for automotive vehicle
CN205686250U (zh) 一种背门扣手盒及汽车
CN209008362U (zh) 一种牌照饰板总成
CN218906875U (zh) 车门总成和车辆
KR100571670B1 (ko) 자동차용 도어 인사이드 핸들 결합구조
KR101074272B1 (ko) 차량용 도어 트림 체결구조
KR100552054B1 (ko)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의 잠금 손잡이
CN104514450A (zh) 门把手
KR20200101569A (ko) 차량용 도어
US20230294580A1 (en) Armrest for vehicle
CN218438809U (zh) 背门锁体安装结构、后背门总成、车辆
KR100802816B1 (ko) 차량의 도어 인사이드 핸들 장착구조
CN201924655U (zh) 把手和具有该把手的冰箱
KR101892175B1 (ko) 자동차용 로드 플로어 매트의 스트랩 고정용 고정 브래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