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5171B1 - 가슴 확대 및 피부 탄력 향상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가슴 확대 및 피부 탄력 향상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5171B1
KR101825171B1 KR1020170096779A KR20170096779A KR101825171B1 KR 101825171 B1 KR101825171 B1 KR 101825171B1 KR 1020170096779 A KR1020170096779 A KR 1020170096779A KR 20170096779 A KR20170096779 A KR 20170096779A KR 101825171 B1 KR101825171 B1 KR 101825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extract
elasticity
cosmetic composition
ski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6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충녕
Original Assignee
이충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충녕 filed Critical 이충녕
Priority to KR1020170096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51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5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5171B1/ko
Priority to CN201810361986.3A priority patent/CN109316431A/zh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3Vitamin B group
    • A61K8/675Vitamin B3 or vitamin B3 active, e.g. nicotinamide, nicotinic acid, nicotinyl aldehy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05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11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olefines, e.g. polyethylene, polyisobutene;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61P15/14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for lactation disorders, e.g. galactorrho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Endocrinology (AREA)
  • Pregnancy & Childbirth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모 추출물,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 검정콩 추출물, 쌀겨 추출물, 참깨 추출물, 아데노신, 나이아신아마이드 등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여성의 가슴 확대 또는 피부 탄력의 개선 효과가 우수하고, 피부 안정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가슴 확대 및 피부 탄력 향상용 화장료 조성물{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elasticity and female breast expansion}
본 발명은 화장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모 추출물,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 검정콩 추출물, 쌀겨 추출물, 참깨 추출물, 아데노신, 나이아신아마이드 등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여성의 가슴을 확대시키고, 피부 탄력을 증가시키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여성의 가슴은 흉부의 전면에서 3번째와 7번째 늑골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기관으로 유선(mammary gland), 지방조직(adipose tissue) 및 결합 조직(connective tissue)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근육이 없는 특수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 중 지방 조직은 유방의 볼륨과 강도를 좌우하는 역할을 하며 가슴의 2/3를 구성하고 있는데, 체중의 증감이나 나이, 임신 및 수유 등의 변화 요인에 민감하므로 결국 이로 인해 야기되는 여성 호르몬 에스트로겐(estrogen)의 분비 감소나 가슴 주변 세포의 발육 약화 등에 의해 가슴의 볼륨이 감소하게 된다. 또한, 나이가 듦에 따라 지방 조직을 둘러싸고 있는 결합조직에서 콜라겐 합성량이 점차 줄고 형태가 변형됨에 따라 가슴 주변 피부가 탄력을 잃고 처지게 된다.
현대 사회에서 여성의 가슴은 건강과 미의 상징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많은 여성들이 부작용과 경제적인 부담이 따르는 성형수술을 통해서라도 모양과 크기 및 탄력을 증진시키고자 할 만큼 여성들에게 민감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또한, 폐경기 여성들에게 발생하게 되는 호르몬, 혈액, 지방 및 뼈 등의 대사 이상으로 인한 가슴 피부 탄력 저하 및 지방의 감소는 여성성에 대한 큰 상실감을 느끼게 하므로 바스트 퍼밍 제품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어느 때보다 부각되고 있다.
이에 이러한 여성들의 고민을 해결하고자 하는 일환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3-0087680호에서는 프럭토오스 1,6-디포스페이트 또는 그 유도체가 지방세포 내의 NADPH(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 phosphate)의 생성 및 중성 지방(triglyceride)의 생성을 촉진함으로써 지방세포의 분화(differentiation) 촉진 효능이 있으며 인체에 적용 시 가슴둘레를 증가하고 피부의 탄력을 개선 시킴을 밝힌 바가 있다.
KR 10-2003-0087680 A
본 발명의 목적은, 지모 추출물,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 검정콩 추출물, 쌀겨 추출물, 참깨 추출물, 아데노신, 나이아신아마이드 등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여성의 가슴을 확대시키고, 피부의 탄력을 향상시키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탄력증진 성분을 더 포함함으로써, 피부의 탄력 향상 효과를 배가시키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지모 추출물,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 검정콩 추출물, 쌀겨 추출물, 참깨 추출물, 아데노신 및 나이아신아마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탄력부여 성분을 더 포함하되, 상기 탄력부여 성분은 소시지나무열매 추출물, 부틸렌글라이콜, 페녹시에탄올, 에칠헥실글리세린 및 정제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체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지모 추출물 0.001~1중량%,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 0.1~8중량%, 검정콩 추출물 0.01~1중량%, 쌀겨 추출물 0.01~1중량%, 참깨 추출물 0.01~1중량%, 아데노신 0.01~0.1중량%, 나이아신아마이드 1~3중량% 및 탄력부여 성분 2~5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력부여 성분은 소시지나무열매 추출물 2~10중량%, 부틸렌글라이콜 40~55중량%, 페녹시에탄올 0.1~1중량%, 에칠헥실글리세린 0.1~1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카보머 0.1~0.3중량%, 디소듐이디티에이 0.01~0.05중량%, 1,2-헥산디올 1~3중량%, 부틸렌글라이콜 3~9중량%, 글리세린 2~4중량, 판테놀 0.1~1중량%, 스테아릴알코올 1~3중량%, 세테아릴올리베이트 1~1.5중량%, 소르비탄올리베이트 0.5~1중량%, 폴리글리세릴-3메칠글루코오스디스테아레이트 0.5~1.5중량%, 비즈왁스 0.5~1.5중량%,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 0.5~1.5중량%, 트리에칠헥사노인 3~7중량%, 쉐어버터 2~4중량%, 사이클로메치콘 1~3중량%, 해바라기씨 오일 3~5중량%, 트로메타인 0.1~0.5중량%, 카플릴릴글라이콜 0.05~0.2중량%, 에칠헥실글리세린 0.01~0.1중량%, 오레가노잎추출물 0.01~0.1중량%, 스피어민트추출물 0.01~0.1중량%, 레몬밤추출물 0.01~0.1중량%, 디프로필렌글라이콜 0.01~0.1중량%, 펜틸렌글라이콜 0.01~0.1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여성의 가슴 확대 또는 피부 탄력의 개선 효과가 우수하고, 피부 안정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지모 추출물,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 검정콩 추출물, 쌀겨 추출물, 참깨 추출물, 아데노신 및 나이아신아마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의 가슴 확대용 및 피부 탄력 향상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상기 지모 추출물(Anemarrhena Asphodeloides Root Extract)은 지모의 뿌리줄기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의미하는바, 피부의 지방합성과 축적활성을 향상시키고, 피부 탄력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이러한 기능으로 인해 가슴의 처짐 현상 역시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지모 추출물은 조성물 총량 100중량%에 대하여, 0.001~1중량%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함량이 0.001중량% 미만이면 가슴 확대 및 탄력 증진의 효과가 미미하고, 1중량%를 초과하더라도 더 이상의 증진된 작용효과가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Hydrogenated Polyisobutene) 역시 상기 지모 추출물과 함께 지방의 합성과 축적활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은 조성물 총량 100중량%에 대하여, 0.1~8중량%의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범위를 벗어날 경우 그 효과가 미미하기 때문이다.
상기 검정콩 추출물(Glycine Soja (Soybean) Seed Extract)은 흑태, 서리태, 서목태 등의 콩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로, 노화방지 성분을 다량 함유하여 피부의 노화를 방지한다. 상기 검정콩 추출물은, 조성물 총량 100중량%에 대하여, 0.01~1중량%의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함량이 0.01중량% 미만이면 노화방지의 효과가 미미하고, 과량이 되더라도 더 이상의 증진된 작용효과가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 쌀겨 추출물(Oryza Sativa (Rice) Bran Extract)은 피부에 윤기를 공급하고, 보습력을 제공하는 성분으로, 조성물 총량 100중량%에 대하여, 0.01~1중량%의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함량이 0.01중량%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고, 과량이 되더라도 더 이상의 증진된 작용효과가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 참깨 추출물(Sesamum Indicum (Sesame) Seed Extract)은 피부에 컨디셔능을 부여하여 활력 있는 피부 관리에 도움을 주는 성분으로, 조성물 총량 100중량%에 대하여, 0.01~1중량%의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함량이 0.01중량%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고, 과량이 되더라도 더 이상의 증진된 작용효과가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 아데노신(Adenosine)은 아데닌과 D-리보오스가 결합한 뉴클레오티드 성분으로, 피부 자생력을 회복시켜 피부에 탄력을 강화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아데노신은 조성물 총량 100중량%에 대하여, 0.01~1중량%의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함량이 0.01중량%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고, 과량이 되더라도 더 이상의 증진된 작용효과가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는 수분의 손실을 막아 피부 건조로 오는 불편함을 없애주고, 피부 장벽을 강화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조성물 총량 100중량%에 대하여 1~3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함량이 1중량%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고, 과량이 되더라도 더 이상의 증진된 작용효과가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지모 추출물,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 검정콩 추출물, 쌀겨 추출물, 참깨 추출물, 아데노신 및 나이아신아마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지모 추출물과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에 비해 우수한 가슴 확대 효과가 있으며, 피부 탄력 증진 효과 역시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은 탄력부여 성분을 더 포함함으로써, 가슴의 탄력 증대 효과를 배가하여 가슴 처짐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탄력부여 성분은 조성물 총량 100중량%를 기준으로, 2~5중량%만큼 포함됨이 바람직한데, 상기 탄력부여 성분은 소시지나무열매 추출물 2~10중량%, 부틸렌글라이콜 40~55중량%, 페녹시에탄올 0.1~1중량%, 에칠헥실글리세린 0.1~1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로 구성된다.
상기 소시지나무열매 추출물(Kigelia Africana Fruit Extract)은 소시지나무의 열매로부터 추출한 추출물로, 지방 조직을 둘러싼 결합조직에 콜라겐의 합성을 증가시킴으로써, 가슴의 처짐을 개선하고, 피부 탄력을 개선해준다. 상기 소시지나무열매 추출물은 상기 지모 추출물 등과 함께 적용시 가슴의 확대 및 탄력 개선 효과를 현저히 증가시킨다.
그리고 상기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은 우수한 보습 효과로 소시지나무열매 추출물의 탄력 개선효과를 돕고, 상기 페녹시에탄올(Phenoxyethanol)은 조성물 내 살균보존제로서 작용하며, 상기 에칠헥실글리세린( Ethylhexylglycerin)은 피부컨디셔닝 효과를 부여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상기 추출물들은 당업계에 잘 알려진 방법으로 이용하여 추출한 것을 모두 포함하는바, 구체적으로는, 각 재료를 건조시켜, 마쇄기로 조분쇄한 후, 추출 용기에 넣고, 추출용매를 가한 후 적절한 온도에서 일정 시간 동안 추출하여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 후, 추가적으로 여과, 농축 및 건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용매로는, 물,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및 이들 유기용매와 물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 용매의 양은 각 재료의 건조 중량의 2 내지 20배로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추출 방법은 열 추출, 환류 냉각 추출, 초음파 추출 등의 추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추출 온도는 10∼100℃가 바람직하며, 상기 추출 시간은 6∼48시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화 제형 및 가용화 제형의 화장품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크림 타입으로 제조되어 가슴에 도포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용매, 분산제, 점도증진제, 습윤제, 킬레이트제, 유화제, pH 조절제, 방부제, 향료, 각종 컨디셔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카보머 0.1~0.3중량%, 디소듐이디티에이 0.01~0.05중량%, 1,2-헥산디올 1~3중량%, 부틸렌글라이콜 3~9중량%, 글리세린 2~4중량, 판테놀 0.1~1중량%, 스테아릴알코올 1~3중량%, 세테아릴올리베이트 1~1.5중량%, 소르비탄올리베이트 0.5~1중량%, 폴리글리세릴-3메칠글루코오스디스테아레이트 0.5~1.5중량%, 비즈왁스 0.5~1.5중량%,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 0.5~1.5중량%, 트리에칠헥사노인 3~7중량%, 쉐어버터 2~4중량%, 사이클로메치콘 1~3중량%, 해바라기씨 오일 3~5중량%, 트로메타인 0.1~0.5중량%, 카플릴릴글라이콜 0.05~0.2중량%, 에칠헥실글리세린 0.01~0.1중량%, 오레가노잎추출물 0.01~0.1중량%, 스피어민트추출물 0.01~0.1중량%, 레몬밤추출물 0.01~0.1중량%, 디프로필렌글라이콜 0.01~0.1중량%, 펜틸렌글라이콜 0.01~0.1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보머(Carbomer)는 점도증진제로서 사용되고, 상기 디소듐이디티에이(Disodium EDTA)는 킬레이트제로 사용되며, 상기 1,2-헥산디올(1,2-Hexanediol), 상기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상기 글리세린(Glycerin), 상기 판텐놀(Panthenol)은 습윤제로서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스테아릴알코올(Stearyl Alcohol)은 유화안정제로서 사용되고, 상기 세테아릴올리베이트(Cetearyl olivate), 상기 소르비탄올리베이트(Sorbitan olivate), 상기 폴리글리세릴-3메칠글루코오스디스테아레이트(Polyglyceryl-3 Methylglucose Distearate), 상기 비즈왁스(Beeswax)는 유화제로서 사용된다. 또한, 상기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Cetyl Ethylhexanoate)는 피부유연화제로, 상기 트리에칠헥사노인(Triethylhexanoin)와 상기 쉐어버터(Butyrospermum Parkii (Shea) Butter)는 수분증발 차단제 및 피부 컨디셔닝제로 사용되고, 상기 사이클로메치콘(Cyclomethicone)는 피부 유연화제로 사용되며, 상기 해바라기씨 오일(Helianthus Annuus (Sunflower) Seed Oil)은 수분증발 차단제로, 상기 트로메타인(Tromethamine)은 PH 조절제로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카플릴릴글라이콜(Caprylyl Glycol)은 피부 유연화제로 사용되고, 상기 에칠헥실글리세린은 피부 컨디셔닝제로 사용되며, 상기 오레가노잎 추출물(Origanum Vulgare Leaf Extract), 상기 스피어민트 추출물(Mentha Viridis (Spearmint) Extract), 상기 레몬밤 추출물(Melissa Officinalis Extract)은 피부 컨디셔닝제 및 노화방지제로서 사용되고, 상기 디프로필렌글라이콜(Dipropylene Glycol)과 상기 펜틸렌글라이콜(Pentylene Glycol)은 보습제로 사용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제형화된 화장료 조성물은 사용감이 우수하며, 피부에 안정적이고, 가슴의 확대 및 피부 탄력의 증진 효과가 우수하다는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지모 추출물 0.005g,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 8.395g, 검정콩 추출물 0.02g, 쌀겨 추출물 0.02g, 참깨 추출물 0.02g, 아데노신 0.04g, 나이아신아마이드 2g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각 추출물은 재료를 적절한 크기로 세절하여 충분히 음건하고, 음건이 완료된 재료 100g씩을 취하고, 물 1000ml을 가하여 100℃에서 4시간 환류 추출하였다. 그리고 이를 동결건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되, 탄력증진 성분 3g을 더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탄력증진 성분은 소시지나무열매 추출물 2.5중량%, 부틸렌글라이콜 49중량%, 페녹시에탄올 0.5중량%, 에칠헥실글리세린 0.5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로 구성하였으며, 상기 소시지나무열매 추출물은 실시예 1의 추출물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였다.
(시험예 1)
3T3-L1 세포(KCLB 구입)를 CO2 인큐베이터 (37℃,5% CO2)에서 10% BS(Bovine serum), 1% PS(penicillin/streptomycin)가 포함된 DMEM 배지를 사용하여 배양하였
다. 3~4일 간격으로 계대배양을 시켜가며 실험에 사용하였다. 계대배양으로 지방선구세포(preadipocyte) 상태인 3T3-L1을 이용하여 24 웰 플레이트에 동일한 수로 세포를 시딩(seeding)하였다. 3T3-L1 세포가 웰 플레이트 밑바닥을 덮을 정도로 배양을 한 후, 분화유도 물질인 0.25μM Dex(Dexamethasone), 0.5 mM Mix(Methylisobuthyxanthine)와 10㎍/㎖ Ins.(Insulin)을 첨가한 배양액으로 4일간 배양하여 분화를 유도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분화유도 배지에 실시예 1과 실시예 2로 되는 시료를 각각 25㎍/㎖ 농도로 첨가하여 배양하였으며, 시료는 배양액을 교환할 때마다 2일 간격으로 3회 처리하였다. 10일간 배양 후 배양액을 제거하고 PBS(Phosphate buffer saline)로 세척, 10% 포말린(formalin)으로 고정시킨 후 Oil Red O를 처리하여 염색하였다. 그리고 염색된 지방들을 이소프로판올에 녹여 96 웰 플레이트에 옮긴 후 4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지방의 축적양을 측정하고, 이를 통해 상대적인 지방 축적률을 계산하였다. 또한, 상기 각 시료를 2일 간격으로 3회 처리한 이후의 다른 well에 트립신(Trypsin)/EDTA를 처리하여 세포를 분리하고, 트리판 블루(trypan blue)로 처리하여 세포현탁액을 만든 다음 혈구계산판(hemocytometer)을 이용하여 세포수를 측정하여 세포 성장률을 계산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는, 지모 추출물 0.005g과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 8.395g으로 구성된 조성물을 사용하였다.
도 1은 그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실시예 2는 지방 축적률 및 지방세포 성장률이 현저히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인간유래의 섬유아세포를 세포배양용 24 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분주하고, 10% FBS(fetal bovine serum)를 함유하는 배지에서 37℃, 5% CO2 조건하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PBS(phosphate buffer saline)로 2회 세척하였다. 이러한 방법에 따라 배양된 섬유아세포와 1% FBS를 함유하는 배지에 상기 실시예 1 및 22의 시료를 최종농도가 0.001w/v%가 되도록 처리한 후, 방사선 동위원소로 표지한 아미노산(2,3-3H proline) 2μCi, 아스콜빈산 30㎍/㎖를 첨가하고, 37℃, 5% CO2 조건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배양을 종료하였다.
배양 종료 후 상기 세포 및 배양액을 각각 1/2씩 나누어 한쪽 분획에만 콜라게나아제를 처리한 후 TCA(trichloroacetic acid)로 단백질을 침전시켜 두 분획의 방사활성의 차이로부터 생합성된 콜라겐의 양을 측정하였다. 각 시료의 콜라겐 생합성 촉진효과는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의 것을 100%로 하여 콜라겐 증가율로 표 1에 나타내었다. 양성 대조군으로는, 지모 추출물 0.005g과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 8.395g으로 구성된 조성물을 사용하였다.
시험예 2의 결과.
구분 콜라겐 증가율(%)
대조군 100
실시예 1 204
실시예 2 245
양성 대조군 175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및 2는 매우 탁월한 콜라겐 생합성 촉진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상기 실시예 1, 2를 이용하여, 하기 표 2와 같은 성분비로서 다음과 같이 크림 타입의 화장품으로 제형화하였다.
제형예 1, 2의 성분비(중량%)
구분 제형예 1 제형예 2
실시예 1 10.50 -
실시예 2 - 13.50
카보머 0.20 0.20
디소듐이디티에이 0.03 0.03
1,2-헥산디올 2.00 2.00
부틸렌글라이콜 5.05 5.05
글리세린 3.00 3.00
판테놀 0.50 0.50
스테아릴알코올 2.00 2.00
세테아릴올리베이트 1.20 1.20
소르비탄올리베이트 0.80 0.80
폴리글리세릴-3메칠글루코오스디스테아레이트 1.00 1.00
비즈왁스 1.00 1.00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 1.00 1.00
트리에칠헥사노인 5.00 5.00
쉐어버터 3.00 3.00
사이클로메치콘 2.00 2.00
해바라기씨오일 4.00 4.00
트로메타민 0.20 0.20
카프릴릴글라이콜 0.10 0.10
에칠헥실글리세린 0.05 0.05
오레가노잎추출물 0.03 0.03
스피어민트추출물 0.02 0.02
레몬밤추출물 0.02 0.02
디프로필렌글라이콜 0.02 0.02
펜틸렌글라이콜 0.01 0.01
정제수 to 100 to 100
(시험예 3)
노화로 인하여 가슴 볼륨 감소 및 처짐을 호소하는 여성 20명을 선정하였다. 연령은 연령은 40세에서 53세까지 였으며, 평균 연령은 45.8세였다.
상기 제형예 1, 2에 따라 제조된 크림을 가슴에 12시간 간격으로 8주간 하루 2회 도포토록 하고, 가슴의 볼륨 증가 정도, 탄력 증가 정도, 처짐 개선 정도를 스스로 평가토록 하였으며, 크림의 사용감 역시 조사하였다.
평가는 문진을 통해 3: 많이 개선(많이 좋음), 2: 약간 개선(약간 좋음), 1: 차이 없음(보통)으로 응답토록 하였으며, 그 점수를 평균 내어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3 결과.
구분 볼륨 증가 탄력 증가 처짐 개선 사용감
제형예 1 2.1 2.0 1.5 2.5
제형예 2 2.2 2.3 1.7 2.6
상기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료는 피시험자의 자가 평가에 있어서도 가슴의 볼륨 증가, 탄력 증가, 처짐 개선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사용감 역시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Claims (5)

  1. 지모 추출물,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 검정콩 추출물, 쌀겨 추출물, 참깨 추출물, 아데노신 및 나이아신아마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슴 확대 및 피부 탄력 향상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탄력부여 성분을 더 포함하되,
    상기 탄력부여 성분은 소시지나무열매 추출물, 부틸렌글라이콜, 페녹시에탄올, 에칠헥실글리세린 및 정제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슴 확대 및 피부 탄력 향상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전체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지모 추출물 0.001~1중량%,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 0.1~8중량%, 검정콩 추출물 0.01~1중량%, 쌀겨 추출물 0.01~1중량%, 참깨 추출물 0.01~1중량%, 아데노신 0.01~0.1중량%, 나이아신아마이드 1~3중량% 및 탄력부여 성분 2~5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슴 확대 및 피부 탄력 향상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탄력부여 성분은 소시지나무열매 추출물 2~10중량%, 부틸렌글라이콜 40~55중량%, 페녹시에탄올 0.1~1중량%, 에칠헥실글리세린 0.1~1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슴 확대 및 피부 탄력 향상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3항에 있어서,
    카보머 0.1~0.3중량%, 디소듐이디티에이 0.01~0.05중량%, 1,2-헥산디올 1~3중량%, 부틸렌글라이콜 3~9중량%, 글리세린 2~4중량, 판테놀 0.1~1중량%, 스테아릴알코올 1~3중량%, 세테아릴올리베이트 1~1.5중량%, 소르비탄올리베이트 0.5~1중량%, 폴리글리세릴-3메칠글루코오스디스테아레이트 0.5~1.5중량%, 비즈왁스 0.5~1.5중량%,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 0.5~1.5중량%, 트리에칠헥사노인 3~7중량%, 쉐어버터 2~4중량%, 사이클로메치콘 1~3중량%, 해바라기씨 오일 3~5중량%, 트로메타인 0.1~0.5중량%, 카플릴릴글라이콜 0.05~0.2중량%, 에칠헥실글리세린 0.01~0.1중량%, 오레가노잎추출물 0.01~0.1중량%, 스피어민트추출물 0.01~0.1중량%, 레몬밤추출물 0.01~0.1중량%, 디프로필렌글라이콜 0.01~0.1중량%, 펜틸렌글라이콜 0.01~0.1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슴 확대 및 피부 탄력 향상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70096779A 2017-07-31 2017-07-31 가슴 확대 및 피부 탄력 향상용 화장료 조성물 Active KR101825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779A KR101825171B1 (ko) 2017-07-31 2017-07-31 가슴 확대 및 피부 탄력 향상용 화장료 조성물
CN201810361986.3A CN109316431A (zh) 2017-07-31 2018-04-20 用于丰胸和改善皮肤弹性的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779A KR101825171B1 (ko) 2017-07-31 2017-07-31 가슴 확대 및 피부 탄력 향상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5171B1 true KR101825171B1 (ko) 2018-02-02

Family

ID=61223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6779A Active KR101825171B1 (ko) 2017-07-31 2017-07-31 가슴 확대 및 피부 탄력 향상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25171B1 (ko)
CN (1) CN109316431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8829B1 (ko) 2018-10-22 2019-06-14 주식회사 비바코리아 여성 가슴 확대 및 피부 탄력 향상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88830B1 (ko) 2018-10-22 2019-06-18 주식회사 비바코리아 여성 가슴 확대, 피부 탄력 향상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093961A (ko) * 2020-12-28 2022-07-05 주식회사 맥클린코스메틱 피부 탄력 개선 화장품 조성물
KR20220154309A (ko) 2021-05-12 2022-11-22 주식회사 케이와이코스메틱 아르기닌 함유 가슴확대 화장료,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157825A (ko) 2022-05-10 2023-11-17 조충기 여성 가슴 확대, 피부 탄력 향상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780501B1 (ko) 2025-01-24 2025-03-13 주식회사 상상바이오 식물성 에스트로겐 성분을 기반으로 피부 콜라겐 및 엘라스틴 합성을 활성화해 피부 구조를 강화하고, 바디 볼륨과 탄력을 동시에 개선하는 고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KR102812774B1 (ko) 2024-09-24 2025-05-28 주식회사 상상바이오 에스트로겐 활성화하여 여성 가슴 확대 및 피부 탄력을 향상시켜 주는 화장품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97041A1 (ko) * 2019-03-25 2020-10-01 임재선 레몬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사제 및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4344B1 (ko) 2011-11-01 2012-12-20 차웅호 쌀겨와 감초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2904A (ko) * 2010-08-03 2012-02-13 (주)아토즈바이오 유방확대 또는 피부탄력 향상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CN102670446B (zh) * 2012-05-22 2013-06-19 广州保税区雅兰国际化妆品有限公司 化妆品用丰胸美胸添加剂
CN105078822A (zh) * 2015-08-14 2015-11-25 广东艾圣日用化学品有限公司 一种丰胸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5998389A (zh) * 2016-05-11 2016-10-12 赵月 用于丰胸美胸美白的天然植物提取物的制备方法
CN106214577A (zh) * 2016-08-30 2016-12-14 广州君恒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丰胸霜
CN106265478B (zh) * 2016-10-06 2019-02-22 广州煜明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丰胸功效的护肤组合物及其应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4344B1 (ko) 2011-11-01 2012-12-20 차웅호 쌀겨와 감초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8829B1 (ko) 2018-10-22 2019-06-14 주식회사 비바코리아 여성 가슴 확대 및 피부 탄력 향상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88830B1 (ko) 2018-10-22 2019-06-18 주식회사 비바코리아 여성 가슴 확대, 피부 탄력 향상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093961A (ko) * 2020-12-28 2022-07-05 주식회사 맥클린코스메틱 피부 탄력 개선 화장품 조성물
KR102479550B1 (ko) 2020-12-28 2022-12-20 주식회사 맥클린코스메틱 피부 탄력 개선 화장품 조성물
KR20220154309A (ko) 2021-05-12 2022-11-22 주식회사 케이와이코스메틱 아르기닌 함유 가슴확대 화장료,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157825A (ko) 2022-05-10 2023-11-17 조충기 여성 가슴 확대, 피부 탄력 향상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759711B1 (ko) * 2022-05-10 2025-02-03 조충기 여성 가슴 확대, 피부 탄력 향상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812774B1 (ko) 2024-09-24 2025-05-28 주식회사 상상바이오 에스트로겐 활성화하여 여성 가슴 확대 및 피부 탄력을 향상시켜 주는 화장품 조성물
KR102780501B1 (ko) 2025-01-24 2025-03-13 주식회사 상상바이오 식물성 에스트로겐 성분을 기반으로 피부 콜라겐 및 엘라스틴 합성을 활성화해 피부 구조를 강화하고, 바디 볼륨과 탄력을 동시에 개선하는 고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316431A (zh) 2019-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5171B1 (ko) 가슴 확대 및 피부 탄력 향상용 화장료 조성물
US20070254052A1 (en) Substances capable of potentiating laminin 5 productivity in epidermal cells and their use
CN103816095A (zh) 高级糖化终产物的去糖化
KR101427572B1 (ko) 진세노사이드 Re 및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를 함유하는 히알루론산 생성 촉진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352363B1 (ko) 현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외용제조성물
KR101312965B1 (ko) 양파, 컴프리, 한련초 및 카카오 추출물을 함유하는 탄력 증진 및 주름 개선 화장용 조성물
JP2011088845A (ja) インボルクリン発現抑制剤
KR101860109B1 (ko) 플로랄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080077762A (ko)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 효과를 가지는 생약화장료조성물
KR101988830B1 (ko) 여성 가슴 확대, 피부 탄력 향상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N107929131B (zh) 抗衰老组合物及其用途
KR101988829B1 (ko) 여성 가슴 확대 및 피부 탄력 향상용 화장료 조성물
KR102759711B1 (ko) 여성 가슴 확대, 피부 탄력 향상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54444B1 (ko) 아티초크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튼살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EP4169502A1 (en) Cosmetic and dermatological use of rubus fruticosus fruit extract
KR20160081176A (ko) 카테킨 및 파낙시돌을 함유하는 보습용 또는 미백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658333B1 (ko) Bca 복합 발효물 및 모낭줄기세포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모발성장 조성물
KR101877803B1 (ko) 플로랄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N111568831A (zh) 用于皮肤化妆品的中草药提取物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130104261A (ko) 유자씨 추출물, 미역 추출물 및 아마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화장료 조성물
KR20250033990A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60082115A (ko) 컴파운드 K 및 (2S)-1-O-리놀레노일-3-O-β-D-갈락토피라노실-sn-글리세롤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또는 미백용 외용제 조성물
KR20160081165A (ko) 컴파운드 k 및 피크리오노시드 a를 함유하는 피부 보습 또는 미백용 외용제 조성물
KR20170063158A (ko) 황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히알루론산 합성 증가 활성을 갖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식 마스크팩
KR20160081163A (ko) 컴파운드 k 및 이카리시드 b2를 함유하는 피부 보습 또는 미백용 외용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3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709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0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1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1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1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