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7825A - 여성 가슴 확대, 피부 탄력 향상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여성 가슴 확대, 피부 탄력 향상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7825A
KR20230157825A KR1020220057506A KR20220057506A KR20230157825A KR 20230157825 A KR20230157825 A KR 20230157825A KR 1020220057506 A KR1020220057506 A KR 1020220057506A KR 20220057506 A KR20220057506 A KR 20220057506A KR 20230157825 A KR20230157825 A KR 202301578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eight
root extract
moisturizing
skin elastic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7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충기
Original Assignee
조충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충기 filed Critical 조충기
Priority to KR1020220057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7825A/ko
Publication of KR20230157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782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mammals or bi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61K8/553Phospholipids, e.g. lecit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3Vitamin B group
    • A61K8/675Vitamin B3 or vitamin B3 active, e.g. nicotinamide, nicotinic acid, nicotinyl aldehy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5Mucopolysaccharides, e.g.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Zo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체지방세포배양액 추출물, 지모뿌리 추출물, 칡뿌리 추출물, 석류나무 추출물, 호장근뿌리 추출물, 승마뿌리 추출물, 붉은토끼풀꽃 추출물, 중국당귀뿌리 추출물 및 타이칡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여성의 가슴 확대, 피부 탄력의 개선 효과, 보습 효과가 탁월하고, 피부 안정성이 뛰어나며, 사용감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여성 가슴 확대, 피부 탄력 향상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Composition for moisturizing, improving skin elasticity, and female breast expansion}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체지방세포배양액 추출물, 지모뿌리 추출물, 칡뿌리 추출물, 석류나무 추출물, 호장근뿌리 추출물, 승마뿌리 추출물, 붉은토끼풀꽃 추출물, 중국당귀뿌리 추출물 및 타이칡뿌리 추출물 등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여성의 가슴을 확대시키고, 피부 탄력을 증가시키며, 보습 효과를 증가시키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여성의 가슴은 흉부의 전면에서 3번째와 7번째 늑골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기관으로 유선(mammary gland), 지방조직(adipose tissue) 및 결합 조직(connective tissue)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근육이 없는 특수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 중 지방 조직은 유방의 볼륨과 강도를 좌우하는 역할을 하며 가슴의 2/3를 구성하고 있는데, 체중의 증감이나 나이, 임신 및 수유 등의 변화 요인에 민감하므로 결국, 이로 인해 야기되는 여성 호르몬 에스트로겐(estrogen)의 분비 감소나 가슴 주변 세포의 발육 약화 등에 의해 가슴의 볼륨이 감소하게 된다. 또한, 나이가 듦에 따라 지방 조직을 둘러싸고 있는 결합조직에서 콜라겐 합성량이 점차 줄고 형태가 변형됨에 따라 가슴 주변 피부가 탄력을 잃고 처지게 된다.
현대 사회에서 여성의 가슴은 건강과 미의 상징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많은 여성들이 부작용과 경제적인 부담이 따르는 성형수술을 통해서라도 모양과 크기 및 탄력을 증진시키고자 할 만큼 여성들에게 민감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또한, 폐경기 여성들에게 발생하게 되는 호르몬, 혈액, 지방 및 뼈 등의 대사 이상으로 인한 가슴 피부 탄력 저하 및 지방의 감소는 여성성에 대한 큰 상실감을 느끼게 하므로 바스트 퍼밍 제품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어느 때보다 부각되고 있다.
이에 이러한 여성들의 고민을 해결하고자 하는 일환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3-0087680호에서는 프럭토오스 1,6-디포스페이트 또는 그 유도체가 지방세포 내의 NADPH(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 phosphate)의 생성 및 중성 지방(triglyceride)의 생성을 촉진함으로써 지방세포의 분화(differentiation) 촉진 효능이 있으며 인체에 적용 시 가슴둘레를 증가하고 피부의 탄력을 개선 시킴을 밝힌 바가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54227호에서는 시트롤린 및 라이신; 및 지모, 소나무, 톱야자 및 레드클로버의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여성의 가슴 확대용 조성물을 제안한 바 있다.
아울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25171호에서는 지모 추출물,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 검정콩 추출물, 쌀겨 추출물, 참깨추출물, 아데노신 및 나이아신아마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여성의 가슴 확대용 조성물을 제안한 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88829호 및 제10-1988830호는 골담초의 흑효모 발효물 등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여성의 가슴 확대용 조성물을 제안한 바 있다.
KR 10-2003-0087680 A KR 10-1754227 B1 KR 10-1825171 B1 KR 10-1988829 B1 KR 10-1988830 B1
본 발명의 목적은 인체지방세포배양액 추출물, 지모뿌리 추출물, 칡뿌리 추출물, 석류나무 추출물, 호장근뿌리 추출물, 승마뿌리 추출물, 붉은토끼풀꽃 추출물, 중국당귀뿌리 추출물 및 타이칡뿌리 추출물 등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여성의 가슴을 확대시키고, 피부의 탄력을 향상시키며, 피부의 보습 효과를 높여 사용감을 개선한 여성 가슴 확대, 피부 탄력 향상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여성의 가슴 확대 및 피부 탄력 향상용 화장료 조성물은, 인체지방세포배양액 추출물, 지모뿌리 추출물, 칡뿌리 추출물, 석류나무 추출물, 호장근뿌리 추출물, 승마뿌리 추출물, 붉은토끼풀꽃 추출물, 중국당귀뿌리 추출물 및 타이칡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나이아신아마이드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을 유효성분으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진득찰(Sigesbeckia glabrescens)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구마 끝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글리세릴글로코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성물 100중량%를 기준으로, 상기 인체지방세포 배양액 추출물 0.001~0.01중량%, 지모뿌리 추출물 0.001~1중량%, 칡뿌리 추출물 0.001~1중량%, 석류나무 추출물 0.001~1중량%, 호장근뿌리 추출물 0.001~1중량%, 승마뿌리 추출물 0.001~1중량%, 붉은토끼풀꽃 추출물 0.001~1중량%, 중국당귀뿌리 추출물 0.001~1중량% 및 타이칡뿌리 추출물 0.001~1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여성의 가슴 확대, 피부 탄력의 개선 효과, 보습 효과가 탁월하고, 피부 안정성이 뛰어나며, 사용감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험예 1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인체지방세포배양액 추출물, 지모뿌리 추출물, 칡뿌리 추출물, 석류나무 추출물, 호장근뿌리 추출물, 승마뿌리 추출물, 붉은토끼풀꽃 추출물, 중국당귀뿌리 추출물 및 타이칡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상기 인체지방세포배양액(Human Adipocyte Conditioned Media) 추출물은, 인체지방세포를 수일간 배양한 후 이를 제거한 성장배로, 세포의 성장을 조절하는 펩타이드와 단백질로 구성된다. 혈소판유래성장인자, 염기성 섬유아세포성장인자, 각질세포성장인자, 형질변환성장인자, 간세포성장인자, 혈관내피성장인자 등이 포함되는 것으로, 피부재생, 콜라겐합성 증가, 멜라닌 합성억제, 피부의 지방합성과 축적활성을 현저히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인체지방세포 배양액 추출물은 조성물 총량 100중량%에 대하여, 0.001~0.01중량%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함량이 0.001중량% 미만이면 가슴 확대의 효과가 미미하고, 0.01중량%를 초과하면 필요 이상 비용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상기 지모뿌리 추출물(Anemarrhena Asphodeloides Root Extract)은 지모의 뿌리줄기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의미하는바, 피부의 지방합성과 축적활성을 향상시키고, 피부 탄력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이러한 기능으로 인해 가슴의 처짐 현상 역시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지모뿌리 추출물은 조성물 총량 100중량%에 대하여, 0.001~1중량%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함량이 0.001중량% 미만이면 가슴 확대 및 탄력 증진의 효과가 미미하고, 1중량%를 초과하더라도 더 이상의 증진된 작용효과가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 칡뿌리 추출물(Pueraria Lobata Root Extract)은 보습 효과 및 피부 탄력 향상 기능을 부여한다. 아울러, 피부의 지방합성과 축적활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칡뿌리 추출물은 조성물 총량 100중량%에 대하여, 0.001~1중량%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함량이 0.001중량% 미만이면 보습 및 피부 탄력 향상 효과가 미미하고, 1중량%를 초과하더라도 더 이상의 증진된 작용효과가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 석류나무 추출물(Punica Granatum Extract)은 석류꽃 또는 석류나무뿌리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히아루론산 생성촉진, 히아루론산 합성효소 유전자 발현 증가 등의 효과를 가져 노화를 예방하고, 탄력을 증진시켜 가슴처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파이트로젠 성분이 들어있어 지방층 및 콜라겐을 증식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석류나무 추출물은 조성물 총량 100중량%에 대하여, 0.001~1중량%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함량이 0.001중량% 미만이면 피부 탄력 향상 효과가 미미하고, 1중량%를 초과하더라도 더 이상의 증진된 작용효과가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 호장근뿌리 추출물( Polygonum Cuspidatum Root Extract)은 다년초인 호장, 왕호장 및 둥근잎호장 등 마디풀과에 속하는 호장의 뿌리 및 근경을 말린 것으로부터 추출한 것으로, 호장근은 옛날부터 민간에서 이뇨, 통경제, 진정제로 사용되어 왔으며, 완하, 이뇨, 통경, 화농성 피부염, 뇨도염, 방광염, 고혈압, 암 동맥경화 등의 여러 질병을 치료하기 위하여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동양권의 전통의학에서 이용되어 왔다. 이러한 호장근뿌리 추출물은 피부 진정의 기능이 있으며, 보습, 탄력유지의 기능 역시 갖는다. 또한, 파이트로젠 성분이 들어있어 지방층 및 콜라겐을 증식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호장근뿌리 추출물은 조성물 총량 100중량%에 대하여, 0.001~1중량%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함량이 0.001중량% 미만이면 피부 탄력 향상 효과가 미미하고, 1중량%를 초과하더라도 더 이상의 증진된 작용효과가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 승마뿌리 추출물(Actaea Heracleifolia Root Extract)은 피부에 윤기를 제공하고, 보습력을 제공한다. 파이트로젠 성분이 들어있어 지방층 및 콜라겐을 증식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승마뿌리 추출물은 조성물 총량 100중량%에 대하여, 0.001~1중량%의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함량이 0.001중량%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고, 과량이 되더라도 더 이상의 증진된 작용효과가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 붉은토끼풀꽃 추출물(Trifolium Pratense (Clover) Flower Extract)은 거담 효과가 있어서 기침이나 천식 치료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붉은토끼풀꽃 추출물은 탄력 향상, 보습의 기능을 통해 가슴처짐을 방지하며, 파이트로젠 성분이 들어있어 지방층 및 콜라겐을 증식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붉은토끼풀꽃 추출물은 조성물 총량 100중량%에 대하여, 0.001~1중량%의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함량이 0.001중량%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고, 과량이 되더라도 더 이상의 증진된 작용효과가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 중국당귀뿌리 추출물(Angelica Polymorpha Sinensis Root Extract)은 여성호르몬인 엑스트로겐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파이트로젠 성분이 들어있어 지방층 및 콜라겐을 증식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중국당귀뿌리 추출물은 조성물 총량 100중량%에 대하여, 0.001~1중량%의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함량이 0.001중량%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고, 과량이 되더라도 더 이상의 증진된 작용효과가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 타이칡뿌리 추출물(Pueraria Mirifica Root Extract)은 피부보호, 피부결 관리, 노화방지에 대한 효능이 있으며, 파이트로젠 성분이 들어있어 지방층 및 콜라겐을 증식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타이칡뿌리 추출물은 조성물 총량 100중량%에 대하여, 0.001~1중량%의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함량이 0.001중량%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고, 과량이 되더라도 더 이상의 증진된 작용효과가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나이아신아마이드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을 유효성분으로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는 세포의 보호, 조직간극의 유지 등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자연 보습 인자(NMF) 중 하나이다. 또한, 콜라겐과 엘라스틴 사이를 채워 피부 탄력 유지에 도움을 준다.
상기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는 조성물 총량 100중량%에 대하여 0.01~1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함량이 0.01중량%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고, 과량이 되더라도 더 이상의 증진된 작용효과가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는 수분의 손실을 막아 피부 건조로 오는 불편함을 없애주고, 피부 장벽을 강화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상기 나이아신아마이드는 조성물 총량 100중량%에 대하여 1~3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함량이 1중량%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고, 과량이 되더라도 더 이상의 증진된 작용효과가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Hydrogenated Lecithin)은 레시틴을 수소첨가하여 얻은 것으로, 피부컨디셔닝제로 사용된다.
상기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은 조성물 총량 100중량%에 대하여 0.01~3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함량이 0.01중량%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고, 과량이 되더라도 더 이상의 증진된 작용효과가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진득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득찰 추출물은 인체지방세포배양액과 지모뿌리 추출물을 도와 지방의 축적을 돕는 역할을 하며, 피부 탄력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진득찰 추출물은 조성물 총량 100중량%에 대하여 0.01~1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함량이 0.01중량%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고, 과량이 되더라도 더 이상의 증진된 작용효과가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고구마 끝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구마 끝순 추출물은 고구마 줄기의 끝순, 예시적으로 고구마 끝순의 길이가 약 25cm 가량 자랐을 때 지제부로부터 5cm 정도를 절단한 부위,에서 추출되는 것으로, 소포손상을 방지하고, 세포를 보호하며, 피부 탄력을 현저히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구마 끝순 추출물은 조성물 총량 100중량%에 대하여 0.01~1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함량이 0.01중량%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고, 과량이 되더라도 더 이상의 증진된 작용효과가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글리세릴글루코사이드(Glyceryl Glucoside)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글리세릴글로코사이드는 수분통로 활성화로 유효성분의 흡수를 돕고, 수분 손실 방지률이 높아 보습에도 효과적이다.
상기 글리세릴글로코사이드는 조성물 총량 100중량%에 대하여 0.001~1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함량이 0.001중량%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고, 과량이 되더라도 더 이상의 증진된 작용효과가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상기 추출물들은 당업계에 잘 알려진 방법으로 이용하여 추출한 것을 모두 포함하는바, 구체적으로는, 각 재료를 건조시켜, 마쇄기로 조분쇄한 후, 추출 용기에 넣고, 추출용매를 가한 후 적절한 온도에서 일정 시간 동안 추출하여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 후, 추가적으로 여과, 농축 및 건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용매로는, 물,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및 이들 유기용매와 물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 용매의 양은 각 재료의 건조 중량의 2 내지 20배로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추출 방법은 열 추출, 환류 냉각 추출, 초음파 추출 등의 추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추출 온도는 10∼100℃가 바람직하며, 상기 추출 시간은 6∼48시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화 제형 및 가용화 제형의 화장품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세럼 타임으로 제조되어 가슴에 도포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용매, 분산제, 점도증진제, 습윤제, 킬레이트제, 유화제, pH 조절제, 방부제, 향료, 각종 컨디셔닝제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부틸렌글라이콜 1~9중량%, 1,2-헥산디올 1~3중량%, 판테놀 0.1~1중량%, 소이아이소플라본 0.1~1중량%, 카보머 0.1~0.3중량%, 베타인 0.1~0.5중량%, 알지닌 0.1~0.5중량%, 아데노신 0.01~1중량%, 잔탄검 0.1~0.3중량%, 알란토인 0.01~0.5중량%, 다이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0.01~0.5중량%,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0.01~0.3중량%, 카프릴로일다이펩타이드17 0.01~0.5중량%, 아스코빌프로필하이알루로네이트 0.01~0.5중량%, 세라마이드엔피 0.01~0.3중량%, 토코페롤아세테이트 0.01~1중량%, 폴리솔베이트80 0.01~0.3중량%, 프로판다이올 0.1~5중량% 및 잔부의 정제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1,2-헥산디올(1,2-Hexanediol)은 습윤제로, 상기 판테놀은 보습제로, 상기 소이아이소플라본(Soy Isoflavones)은 컨디셔닝제로, 상기 카보머(Carbomer)는 점도증진제로, 상기 베타인 및 알지닌(Arginine)은 피부 컨디셔닝 및 보습제로, 상기 아데노신(Adenosine)은 피부 탄력 강화제로, 상기 잔탄검(Xanthan Gum)은 증점제 및 유화제로, 상기 알란토인은 활성 보습 성분으로, 상기 다이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Dipotassium Glycyrrhizate)는 컨디셔닝제로, 상기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는 컨디셔닝제 및 용제로, 상기 카프릴로일다이펩타이드17(Capryloyl Dipeptide-17), 상기 아스코빌프로필하이알루로네이트(Ascorbyl Propyl Hyaluronate), 상기 세라마이드엔피(Ceramide NP), 상기 토코페릴아세테이트(Ascorbyl Tocopheryl Acetate)는 피부컨디셔닝제로, 카프릴릴글라이콜(Caprylyl Glycol)은 피부유연화제로, 상기 폴리솔베이트80은 계면활성제로, 프로판다이올과 정제수는 용매로 사용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제형화된 화장료 조성물은 사용감이 우수하며, 피부에 안정적이고, 가슴의 확대 및 피부 탄력의 증진 효과가 우수하다는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인체지방세포 배양액 추출물 0.0012g, 지모뿌리 추출물 0.01g, 칡뿌리 추출물 0.5g, 석류나무 추출물 0.5g, 호장근뿌리 추출물 0.5g, 승마뿌리 추출물 0.5g, 붉은토끼풀꽃 추출물 0.5g, 중국당귀뿌리 추출물 0.5g 및 타이칡뿌리 추출물 0.5g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각 추출물은 재료를 적절한 크기로 세절하여 충분히 음건하고, 음건이 완료된 재료 100g씩을 취하고, 물 1,000ml을 가하여 100℃에서 환류 추출, 여과 및 동결건조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0.5g, 나이아신아마이드 2g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1g을 더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진득찰 추출물 0.5g을 더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고구마 끝순 추출물 0.5g을 더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3T3-L1 세포(KCLB 구입)를 CO2 인큐베이터(37℃,5% CO2)에서 10% BS(Bovine serum), 1% PS(penicillin/streptomycin)가 포함된 DMEM 배지를 사용하여 배양하였다. 3~4일 간격으로 계대배양을 시켜가며 실험에 사용하였다. 계대배양으로 지방선구세포(preadipocyte) 상태인 3T3-L1을 이용하여 24 웰 플레이트에 동일한 수로 세포를 시딩(seeding)하였다. 3T3-L1 세포가 웰 플레이트 밑바닥을 덮을 정도로 배양을 한 후, 분화유도 물질인 0.25μM Dex(Dexamethasone), 0.5 mM Mix(Methylisobuthyxanthine)와 10㎍/㎖ Ins.(Insulin)을 첨가한 배양액으로 4일간 배양하여 분화를 유도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분화유도 배지에 시료(실시예 1 내지 4)를 25㎍/㎖ 농도로 첨가하여 배양하였으며, 시료는 배양액을 교환할 때마다 2일 간격으로 3회 처리하였다. 10일간 배양 후 배양액을 제거하고 PBS(Phosphate buffer saline)로 세척, 10% 포말린(formalin)으로 고정시킨 후 Oil Red O를 처리하여 염색하였다. 그리고 염색된 지방들을 이소프로판올에 녹여 96 웰 플레이트에 옮긴 후 49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지방의 축적양을 측정하고, 이를 통해 상대적인 지방 축적률을 계산하였다. 또한, 상기 각 시료를 2일 간격으로 3회 처리한 이후의 다른 well에 트립신(Trypsin)/EDTA를 처리하여 세포를 분리하고, 트리판 블루(trypan blue)로 처리하여 세포현탁액을 만든 다음 혈구계산판(hemocytometer)을 이용하여 세포수를 측정하여 세포 성장률을 계산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는, 지모 추출물 0.005g,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 8.395g, 검정콩 추출물 0.02g, 쌀겨 추출물 0.02g, 참깨 추출물 0.02g, 아데노신 0.04g, 나이아신아마이드 2g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하였다.
도 1은 그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4는 양성대조군에 비해 지방 축적률 및 지방세포 성장률이 현저히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인간유래의 섬유아세포를 세포배양용 24 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분주하고, 10% FBS(fetal bovine serum)를 함유하는 배지에서 37℃, 5% CO2 조건하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PBS(phosphate buffer saline)로 2회 세척하였다. 이러한 방법에 따라 배양된 섬유아세포와 1% FBS를 함유하는 배지에 시료(실시예 1 내지 4)를 최종농도가 0.001w/v%가 되도록 처리한 후, 방사선 동위원소로 표지한 아미노산(2,3-3H proline) 2μCi, 아스콜빈산 30㎍/㎖를 첨가하고, 37℃, 5% CO2 조건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배양을 종료하였다.
배양 종료 후 상기 세포 및 배양액을 각각 1/2씩 나누어 한쪽 분획에만 콜라게나아제를 처리한 후 TCA(trichloroacetic acid)로 단백질을 침전시켜 두 분획의 방사활성의 차이로부터 생합성된 콜라겐의 양을 측정하였다. 각 시료의 콜라겐 생합성 촉진효과는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의 것을 100%로 하여 콜라겐 증가율로 표 1에 나타내었다.
양성 대조군으로는, 지모 추출물 0.005g,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 8.395g, 검정콩 추출물 0.02g, 쌀겨 추출물 0.02g, 참깨 추출물 0.02g, 아데노신 0.04g, 나이아신아마이드 2g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하였다.
시험예 2의 결과.
구분 콜라겐 증가율(%)
대조군 100
실시예 1 261
실시예 2 272
실시예 3 284
실시예 4 295
양성 대조군 191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4는 매우 탁월한 콜라겐 생합성 촉진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4를 이용하여, 하기 표 2와 같은 성분비로서 다음과 같은 세럼 타입의 화장품으로 제형화하였다.
제형예 1 내지 5의 성분비(중량%)
구분 제형예 1 제형예 2 제형예 3 제형예 4 제형예 5
실시예 1 3.5112 - - - -
실시예 2 - 7.0112 - - -
실시예 3 - - 4.0112 - -
실시예 4 - - - 4.5112 4.5112
글리세릴글루코사이드 - - - - 0.5000
부틸렌글라이콜 5.0000 5.0000 5.0000 5.0000 5.0000
1,2-헥산디올 2.0000 2.0000 2.0000 2.0000 2.0000
판테놀 0.5000 0.5000 0.5000 0.5000 0.5000
소이아이소플라본 0.3000 0.3000 0.3000 0.3000 0.3000
카보머 0.2000 0.2000 0.2000 0.2000 0.2000
베타인 0.2000 0.2000 0.2000 0.2000 0.2000
알지닌 0.2000 0.2000 0.2000 0.2000 0.2000
아데노신 0.0200 0.0200 0.0200 0.0200 0.0200
잔탄검 0.1200 0.1200 0.1200 0.1200 0.1200
알란토인 0.0500 0.0500 0.0500 0.0500 0.0500
다이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0.0500 0.0500 0.0500 0.0500 0.050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0.0200 0.0200 0.0200 0.0200 0.0200
카프릴로일다이펩타이드17 0.0200 0.0200 0.0200 0.0200 0.0200
아스코빌프로필하이알루로네이트 0.0250 0.0250 0.0250 0.0250 0.0250
세라마이드엔피 0.0200 0.0200 0.0200 0.0200 0.0200
토코페롤아세테이트 0.0200 0.0200 0.0200 0.0200 0.0200
폴리솔베이트80 0.0150 0.0150 0.0150 0.0150 0.0150
프로판다이올 2.0000 2.0000 2.0000 2.0000 2.0000
정제수 to 100
(시험예 3)
노화로 인하여 가슴 볼륨 감소 및 처짐을 호소하는 여성 50명을 선정하였다. 연령은 연령은 40세에서 55세까지 였으며, 평균 연령은 47.1세였다.
상기 제형예 1 내지 4에 따라 제조된 세럼을 가슴에 12시간 간격으로 8주간 하루 2회 도포토록 하고, 가슴의 볼륨 증가 정도, 탄력 증가 정도, 처짐 개선 정도, 보습 개선을 스스로 평가토록 하였으며, 그 사용감 역시 조사하였다.
평가는 문진을 통해 3: 많이 개선(많이 좋음), 2: 약간 개선(약간 좋음), 1: 차이 없음(보통)으로 응답토록 하였으며, 그 점수를 평균 내어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3 결과.
구분 볼륨 증가 탄력 증가 처짐 개선 보습 개선 사용감
제형예 1 2.4 2.6 1.7 2.7 2.8
제형예 2 2.6 2.7 1.8 2.8 2.9
제형예 3 2.7 2.8 2.0 2.7 2.8
제형예 4 2.8 2.9 2.1 2.7 2.8
제형예 5 2.8 2.9 2.2 2.9 2.9
상기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료는 피시험자의 자가 평가에 있어서도 가슴의 볼륨 증가, 탄력 증가, 처짐 개선, 보습 개선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사용감 역시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6)

  1. 인체지방세포배양액 추출물, 지모뿌리 추출물, 칡뿌리 추출물, 석류나무 추출물, 호장근뿌리 추출물, 승마뿌리 추출물, 붉은토끼풀꽃 추출물, 중국당귀뿌리 추출물 및 타이칡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 가슴 확대, 피부 탄력 향상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나이아신아마이드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을 유효성분으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 가슴 확대, 피부 탄력 향상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진득찰(Sigesbeckia glabrescens)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 가슴 확대, 피부 탄력 향상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고구마 끝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 가슴 확대, 피부 탄력 향상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글리세릴글로코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 가슴 확대, 피부 탄력 향상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100중량%를 기준으로,
    상기 인체지방세포 배양액 추출물 0.001~0.01중량%, 지모뿌리 추출물 0.001~1중량%, 칡뿌리 추출물 0.001~1중량%, 석류나무 추출물 0.001~1중량%, 호장근뿌리 추출물 0.001~1중량%, 승마뿌리 추출물 0.001~1중량%, 붉은토끼풀꽃 추출물 0.001~1중량%, 중국당귀뿌리 추출물 0.001~1중량% 및 타이칡뿌리 추출물 0.001~1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 가슴 확대, 피부 탄력 향상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20057506A 2022-05-10 2022-05-10 여성 가슴 확대, 피부 탄력 향상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2301578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7506A KR20230157825A (ko) 2022-05-10 2022-05-10 여성 가슴 확대, 피부 탄력 향상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7506A KR20230157825A (ko) 2022-05-10 2022-05-10 여성 가슴 확대, 피부 탄력 향상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7825A true KR20230157825A (ko) 2023-11-17

Family

ID=88968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7506A KR20230157825A (ko) 2022-05-10 2022-05-10 여성 가슴 확대, 피부 탄력 향상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7825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7680A (ko) 2002-05-09 2003-11-15 주식회사 태평양 프럭토스 1, 6 디포스페이트 또는 그 유도체를 함유하는피부 탄력 증진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754227B1 (ko) 2016-10-24 2017-07-07 이태형 아미노산 및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 가슴 확대 및 피부 탄력 향상용 조성물
KR101825171B1 (ko) 2017-07-31 2018-02-02 이충녕 가슴 확대 및 피부 탄력 향상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88829B1 (ko) 2018-10-22 2019-06-14 주식회사 비바코리아 여성 가슴 확대 및 피부 탄력 향상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88830B1 (ko) 2018-10-22 2019-06-18 주식회사 비바코리아 여성 가슴 확대, 피부 탄력 향상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7680A (ko) 2002-05-09 2003-11-15 주식회사 태평양 프럭토스 1, 6 디포스페이트 또는 그 유도체를 함유하는피부 탄력 증진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754227B1 (ko) 2016-10-24 2017-07-07 이태형 아미노산 및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 가슴 확대 및 피부 탄력 향상용 조성물
KR101825171B1 (ko) 2017-07-31 2018-02-02 이충녕 가슴 확대 및 피부 탄력 향상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88829B1 (ko) 2018-10-22 2019-06-14 주식회사 비바코리아 여성 가슴 확대 및 피부 탄력 향상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88830B1 (ko) 2018-10-22 2019-06-18 주식회사 비바코리아 여성 가슴 확대, 피부 탄력 향상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5171B1 (ko) 가슴 확대 및 피부 탄력 향상용 화장료 조성물
US9827188B2 (en) Compositions comprising ampelopsis grossedentata and albizia julibrissin extracts
CN108245479B (zh) 一种含有乳双歧杆菌发酵活性提取物的面膜
US20170281988A1 (en) Skin Care and Cosmetic Composition
CN109453087B (zh) 美白透肌水及其制备方法和美白化妆品添加剂
KR101773456B1 (ko) 다단발효를 통한 생약복합발효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27572B1 (ko) 진세노사이드 Re 및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를 함유하는 히알루론산 생성 촉진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CN109330954B (zh) 美白亮肤水及其制备方法和酪氨酸酶抑制剂
KR101130245B1 (ko) 사향쥐에서 얻은 사향추출물과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노화방지 복합 한방조성물
KR20140126892A (ko) 진세노사이드 Rg3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N112137904A (zh) 一种幻彩水光肌底精华液及其制备方法
KR20170137552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606356B1 (ko)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13712883A (zh) 一种含铁皮石斛提取物的修护霜及其制备方法
KR20080077762A (ko)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 효과를 가지는 생약화장료조성물
KR20170137553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988830B1 (ko) 여성 가슴 확대, 피부 탄력 향상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88829B1 (ko) 여성 가슴 확대 및 피부 탄력 향상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06796A (ko) 생약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화장료조성물
CN111437243A (zh) 一种祛皱抗衰老的组合物、抗衰老化妆品的配方及其制备方法
KR20230157825A (ko) 여성 가슴 확대, 피부 탄력 향상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EP4169502A1 (en) Cosmetic and dermatological use of rubus fruticosus fruit extract
CN111568831B (zh) 用于皮肤化妆品的中草药提取物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854444B1 (ko) 아티초크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튼살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14983914A (zh) 一种美白护肤品的制备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