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4670B1 - 무선태그를 이용한 전원공급장치 자동 온/오프 제어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태그를 이용한 전원공급장치 자동 온/오프 제어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4670B1
KR101824670B1 KR1020160147967A KR20160147967A KR101824670B1 KR 101824670 B1 KR101824670 B1 KR 101824670B1 KR 1020160147967 A KR1020160147967 A KR 1020160147967A KR 20160147967 A KR20160147967 A KR 20160147967A KR 101824670 B1 KR101824670 B1 KR 101824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g
power supply
user
received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7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우
배석원
Original Assignee
아이티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티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이티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47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46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4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4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 H02J13/00022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 H02J13/00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B90/20Smart grids as enabling technology in buildings s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12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 Y04S40/126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무선태그로부터 수신되는 태그ID의 수신순서를 이용하여 전원공급장치를 자동으로 온/오프하도록 하는 무선태그를 이용한 전원공급장치 자동 온/오프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태그를 이용한 전원공급장치 자동 온/오프 제어시스템은, 제1 영역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1 태그ID를 송출하는 제1 무선태그; 상기 제1 영역의 내부에 마련된 제2 영역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2 태그ID를 송출하는 제2 무선태그; 상기 제2 영역 내에 설치되며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온/오프되는 전원공급장치; 상기 제1 무선태그 및 제2 무선태그로부터 각각 제1 태그ID 및 제2 태그ID를 수신하여 자신의 사용자ID와 함께 외부로 전송하는 사용자단말; 및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제1,2 태그ID 및 사용자ID가 수신되면 상기 제1 및 제2 태그ID의 수신순서에 따라 상기 사용자ID에 대응하는 전원공급장치로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전원공급장치의 온/오프를 제어하고 상기 전원공급장치의 온/오프 상태정보를 저장하는 전원제어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태그를 이용한 전원공급장치 자동 온/오프 제어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tomatic on/off for power supply device using wireless tag}
본 발명은 무선태그를 이용한 전원공급장치 자동 온/오프(on/off)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수의 무선태그로부터 수신되는 태그ID의 수신순서를 이용하여 전원공급장치를 자동으로 온/오프하도록 하는 무선태그를 이용한 전원공급장치 자동 온/오프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온/오프(on/off) 기능을 갖는 멀티콘센트와 같은 전원공급장치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멀티콘센트는 벽면에 고정설치된 고정콘센트에 접속하여 상용전원을 여러 전기/전자기기로 공급하거나 차단하도록 한다. 이러한 전원공급장치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받아 다른 장치나 전기/전자기기로 전원을 온 스위칭하여 공급하도록 하고 필요한 경우 공급되는 전원을 오프 스위칭하여 전원공급을 차단할 수도 있다.
종래에 가정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멀티콘센트에는 전원의 공급 및 차단을 위한 스위치가 설치되어 온/오프를 수동으로 조작하는 것이어서 사용자가 직접 스위치를 온/오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스위치를 직접 오프하지 않으면 절전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특히, TV, 컴퓨터, 에어컨, 히터 등 가정용이나 사무용 전기전자제품을 많이 사용하는 가정이나 사무실에서는 멀티콘센트를 필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데, 이 경우 외출/퇴근시 멀티콘센트의 전원스위치를 오프(off)시키지 않는 경우가 많고 심지어 전기/전자제품을 온(on)상태로 방치한 채 외출/퇴근하는 경우도 있다.
이에 불필요한 전기에너지가 소비되고 대기전력의 소비로 인해 가정뿐만 아니라 기업체나 국가적으로 큰 손실이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온/오프 자동제어기능이 부가된 전원공급장치가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
예컨대, 공개특허공보 제2002-0016271호에는 일정시간 동안 사람이 감지되지 않으면 콘센트의 전원이 오프되도록 한다. 또한, 공개특허공보 제2012-0063140호에는 사용자의 퇴근이 확인되면 사용자에게 할당된 전원콘센트의 전원연결단자로 공급되던 전원을 완전차단하여 전원콘센트의 전원연결단자에 연결된 기기의 대기전력 발생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공개특허공보 제2016-0066384호에는 스마트단말에서 비콘으로부터 비콘신호가 인가되면 콘센트 스위치를 온시키고 인가되지 않으면 오프시키도록 한다.
상기한 선행문헌에서는 단순히 센서나 비콘을 이용하여 사람이 있는 것으로 감지되면 콘센트를 온시키고 사람이 없는 것으로 감지되면 콘센트를 오프시킨다. 이 경우 센서나 비콘을 이용하여 사람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기 때문에 잠시 자리를 비우거나 자주 출입하는 경우에는 콘센트가 자주 온/오프되어 고장의 원인이 있고 불필요하게 자주 온/오프 되므로 이러한 스위칭을 위한 전력소모가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2002-0016271호 공개특허공보 제2012-0063140호 공개특허공보 제2016-0066384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복수의 무선태그로부터 수신되는 순서를 이용하여 한 번의 수신만으로 전원공급장치를 온/오프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태그를 이용한 전원공급장치 자동 온/오프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퇴근이나 외출 등 장시간 자리를 비우는 경우 전원공급장치를 자동으로 오프시켜 대기전력 소모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무선태그를 이용한 전원공급장치 자동 온/오프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 동안 전원공급장치의 자동 온/오프 제어기능을 설정 및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태그를 이용한 전원공급장치 자동 온/오프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태그를 이용한 전원공급장치 자동 온/오프 제어시스템은, 제1 영역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1 태그ID를 송출하는 제1 무선태그; 상기 제1 영역의 내부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역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2 태그ID를 송출하는 제2 무선태그; 상기 제2 영역 내에 설치되며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전원공급을 온/오프하는 전원공급장치; 상기 제1 무선태그 및 제2 무선태그로부터 각각 제1 태그ID 및 제2 태그ID를 수신하여 자신의 사용자ID와 함께 외부로 전송하는 사용자단말; 및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제1,2 태그ID 및 사용자ID가 수신되면 상기 제1 및 제2 태그ID의 수신순서에 따라 상기 사용자ID에 대응하는 전원공급장치로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전원공급장치의 온/오프를 제어하고 상기 전원공급장치의 온/오프 상태정보를 저장하는 전원제어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제어서버는 상기 사용자단말의 요청에 의해 상기 사용자ID, 제2 태그ID 및 전원공급장치를 서로 매핑하여 저장하고, 상기 전원제어서버는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제1,2 태그ID 및 사용자ID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제2 태그ID가 상기 수신된 사용자ID와 매핑된 제2 태그ID이면 상기 사용자ID 및 제2 태그ID에 매핑된 전원공급장치로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전원제어서버는 상기 전원공급장치가 오프(off) 상태에서 상기 제1 태그ID가 수신된 이후에 상기 제2 태그ID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ID에 대응하는 전원공급장치를 온(on)시킨다.
상기 전원제어서버는 상기 전원공급장치가 온(on) 상태에서 상기 제2 태그ID가 수신된 이후에 상기 제1 태그ID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ID에 대응하는 전원공급장치를 오프(off)시킨다.
여기서, 상기 전원제어서버는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제2 태그ID가 적어도 2번 이상 연속으로 수신된 이후에 상기 제1 태그ID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ID 및 제2 태그ID에 대응하는 전원공급장치로 오프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전원제어서버는 상기 전원공급장치가 온(on)상태에서 상기 제2 태그ID가 수신된 이후에 상기 제1 태그ID가 수신되면 기설정된 대기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사용자ID에 대응하는 전원공급장치를 오프(off)시킨다.
상기 기설정된 대기시간은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수신된다.
상기 전원제어서버는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전원공급장치로 전송할 때 상기 사용자ID 및 제2태그ID에 매핑된 전원공급장치를 선택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사용자단말은 상기 사용자ID에 매핑된 전원공급장치의 리스트를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리스트 중 온/오프 제어기능을 설정 또는 해제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 또는 해제된 전원공급장치의 리스트를 상기 전원제어서버로 전송한다.
상기 전원제어서버는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제1,2 태그ID 및 사용자ID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ID에 매핑된 전원공급장치 중에서 상기 선택된 전원공급장치에 대해서만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전원제어서버는 상기 전원공급장치가 온되는 시간을 미리 설정하여 등록하고, 상기 등록된 시간동안에는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전원공급장치로 전송하지 않으며 상기 등록된 시간동안에는 자동으로 상기 전원공급장치가 온되고 그 외의 시간에는 자동으로 오프된다.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태그를 이용한 전원공급장치 자동 온/오프 제어방법은, 사용자단말이 제1 영역의 제1 무선태그로부터 제1 태그ID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단말이 상기 수신된 제1 태그ID를 자신의 사용자ID와 함께 전원제어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단말이 상기 제1 영역 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역의 제2 무선태그로부터 제2 태그ID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단말이 상기 수신된 제2 태그ID를 자신의 사용자ID와 함께 상기 전원제어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원제어서버가 상기 제1 태그ID를 수신한 이후에 상기 제2 태그ID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사용자ID와 제2 태그ID에 기매핑된 전원공급장치가 오프(off)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오프상태이면 상기 전원제어서버가 상기 전원공급장치를 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제어서버는 상기 사용자단말의 요청에 의해 상기 사용자ID, 제2 태그ID 및 전원공급장치를 서로 매핑하여 저장하고, 상기 전원제어서버는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제1,2 태그ID 및 사용자ID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제2 태그ID가 상기 수신된 사용자ID와 매핑된 제2 태그ID이면 상기 사용자ID 및 제2 태그ID에 매핑된 전원공급장치로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태그를 이용한 전원공급장치 자동 온/오프 제어방법은, 사용자단말이 제1 영역 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역의 제2 무선태그로부터 제2 태그ID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단말이 상기 수신된 제2 태그ID를 자신의 사용자ID와 함께 전원제어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단말이 상기 제1 영역의 제1 무선태그로부터 제1 태그ID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단말이 상기 수신된 제1 태그ID를 자신의 사용자ID와 함께 상기 전원제어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원제어서버가 상기 제2 태그ID를 수신한 이후에 상기 제1 태그ID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사용자ID와 제2 태그ID에 기매핑된 전원공급장치가 온(on)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온 상태이면 상기 전원제어서버가 상기 전원공급장치를 오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제어서버는 상기 사용자단말의 요청에 의해 상기 사용자ID, 제2 태그ID 및 전원공급장치를 서로 매핑하여 저장하고, 상기 전원제어서버는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제1,2 태그ID 및 사용자ID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제2 태그ID가 상기 수신된 사용자ID와 매핑된 제2 태그ID이면 상기 사용자ID 및 제2 태그ID에 매핑된 전원공급장치로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태그를 이용한 전원공급장치 자동 온/오프 제어방법은, 사용자단말에서 제1 무선태그 및 제2 무선태그로부터 제1 태그ID 및 제2 태그ID를 각각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상기 수신된 제1 및 제2 태그ID를 자신의 사용자ID와 함께 전원제어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원제어서버는 상기 제1,2 태그ID 및 사용자ID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ID와 제2 태그ID에 기매핑된 전원공급장치의 온/오프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전원제어서버는 상기 제1 및 제2 태그ID를 수신한 순서 및 상기 전원공급장치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장치로 온/오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제어서버는 상기 사용자단말의 요청에 의해 상기 사용자ID, 제2 태그ID 및 전원공급장치를 서로 매핑하여 저장하고, 상기 전원제어서버는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제1,2 태그ID 및 사용자ID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제2 태그ID가 상기 수신된 사용자ID와 매핑된 제2 태그ID이면 상기 사용자ID 및 제2 태그ID에 매핑된 전원공급장치로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전원제어서버는 상기 전원공급장치가 온 상태이고 상기 제2 태그ID가 수신된 이후에 상기 제1 태그ID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원공급장치로 오프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상기 오프 제어신호에 의해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전환한다.
상기 전원제어서버는 상기 전원공급장치가 오프 상태이고 상기 제1 태그ID가 수신된 이후에 상기 제2 태그ID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원공급장치로 온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상기 온 제어신호에 의해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한다.
상기 전원제어서버는 상기 전원공급장치가 온 상태에서 상기 제2 태그ID가 수신된 이후에 상기 제1 태그ID가 수신되면 기설정된 대기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전원공급장치로 오프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전원제어서버는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제2 태그ID가 적어도 2번 이상 연속으로 수신된 이후에 상기 제1 태그ID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ID 및 제2 태그ID에 대응하는 전원공급장치로 오프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전원제어서버는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제1,2 태그ID 및 사용자ID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제2태그ID가 상기 수신된 사용자ID와 매핑된 제2태그ID인지를 판단하고 매핑된 제2태그ID이면 상기 사용자ID 및 제2태그ID에 매핑된 전원공급장치로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전원제어서버는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전원공급장치로 전송할 때 상기 사용자ID와 제2 태그ID에 매핑된 전원공급장치를 선택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사용자단말은 상기 사용자ID에 매핑된 전원공급장치의 리스트를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리스트 중 온/오프 제어기능을 설정 또는 해제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 또는 해제된 전원공급장치의 리스트를 상기 전원제어서버로 전송한다.
상기 전원제어서버는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제1,2 태그ID 및 사용자ID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ID에 매핑된 전원공급장치 중에서 상기 선택된 전원공급장치에 대해서만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무선태그를 이용하여 한번의 통신만으로 전원공급장치를 온/오프할 수 있으므로 콘센트의 온/오프 횟수를 최소화하고 온/오프에 따른 전력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출근시간과 퇴근시간을 확실히 구분할 수 있어 정확한 콘센트 온/오프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퇴근이나 외출 등 장시간 자리를 비우는 경우 전원공급장치를 자동으로 오프시켜 대기전력 소모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 동안 전원공급장치의 자동 온/오프 제어기능을 설정 및 해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태그를 이용한 전원공급장치 자동 온/오프 제어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태그를 이용한 전원공급장치 자동 온/오프 제어시스템의 구현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태그를 이용한 전원공급장치 자동 온/오프 제어시스템에서 콘센트 온/오프 자동제어기능을 설정 및 해제하는 사용자단말의 표시부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원제어서버의 구성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태그를 이용한 전원공급장치 자동 온/오프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태그를 이용한 전원공급장치 자동 온/오프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태그를 이용한 전원공급장치 자동 온/오프 제어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태그를 이용한 전원공급장치 자동 온/오프 제어시스템의 구현 예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태그를 이용한 전원공급장치 자동 온/오프 제어시스템(100)은 제1 무선태그(110), 제2 무선태그(120), 전원공급장치(130), 사용자단말(140) 및 전원제어서버(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무선태그(110)는 제1 영역(10)의 일측에 설치되며 내부에 저장된 제1 태그ID를 외부로 송출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무선태그(110)는 바람직하게는 제1 영역(10)의 출입구(11) 주변에 설치된다. 이는 후술하는 사용자단말(140)에서 제1 무선태그(110)와의 근거리통신을 통해 제1 태그ID를 수신함으로써 사용자단말(140)이 제1 영역(10)을 진입 및 진출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이때, 제1 태그ID에는 제1 태그ID의 전송시간정보 및 위치정보가 포함된다. 위치정보는 제1 무선태그(110)가 설치된 위치정보를 의미한다.
제2 무선태그(120)는 제1 영역(10)의 내부에 마련된 제2 영역(20)의 일측에 설치되며 내부에 저장된 제2 태그ID를 외부로 송출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무선태그(120)는 바람직하게는 제2 영역(20)의 출입구(21) 주변에 설치된다. 이는 후술하는 사용자단말(140)에서 제2 무선태그(120)와의 근거리통신을 통해 제2 태그ID를 수신함으로써 사용자단말(140)이 제2 영역(20)을 진입 및 진출을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이때, 제2 태그ID에도 제2 태그ID의 전송시간정보 및 위치정보가 포함된다. 위치정보는 제2 무선태그(120)가 설치된 위치정보를 의미한다.
이때, 제1 영역(10)과 제2 영역(20)은 다양한 형태로 설정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영역(20)은 후술하는 전원공급장치(130)가 있는 작은 단위의 공간을 의미하는 것으로, 전원공급장치(130)를 이용하여 전자/전기기기(미도시)를 사용하는 공간을 말한다. 이는 예컨대 일반적으로 회사나 사무실에서는 전원공급장치에 컴퓨터나 복사기 등을 연결하여 공간인 회의실, 집무실, 실험실 등이 될 수 있고 가정집에서는 거실, 공부방, 침실 등이 될 수 있다. 이처럼 전원공급장치(130)가 설치되어 있는 어떠한 공간이라도 제2 영역(20)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영역(20)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제2 영역(20)의 출입구(21)는 회의실 출입문, 공부방 출입문, 침실 출입문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10)은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제2 영역(20)을 포함하는 공간으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영역(20)을 비롯하여 이들 사이에서 일정시간 동안 머물거나 생활하도록 하는 공간을 의미한다. 이는 예컨대 일반적으로 회사나 사무실의 경우 작게는 사무실 전체 공간이 될 수도 있고 크게는 사무실이 있는 건물이 될 수도 있으며, 가정집에서는 집 전체 공간이 될 수 있다. 이로써 제1 영역(10)의 출입구(11)는 사무실에서는 외부출입문, 가정집에서는 대문이나 현관문, 공장에서 정문 등이 될 수 있다.
전원공급장치(130)는 제2 영역(20)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온/오프(on/off)되고 이러한 온/오프에 의해 전원이 공급 및 차단된다. 즉, 이러한 전원공급장치(13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받아 제어신호에 따라 자신에 연결된 각종 장치, 장비, 설비, 전기/전자기기 등으로 전원을 공급하되, 온(on)되면 전원을 공급하고 오프(off)되면 전원공급이 차단된다. 이러한 전원공급장치(130)에는 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모듈과,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상용전원을 연결된 장비나 전기/전자기기 등으로 공급 및 차단하기 위해 온/오프(on/off)하는 스위치모듈과, 통신모듈 및 스위치모듈을 제어하는 마이컴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마이컴은 후술하는 전원제어서버(150)로부터 수신되는 온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치모듈을 온(on)시켜 상용전원이 전기/전자기기로 공급되도록 하거나, 또는 오프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치모듈을 오프(off)시켜 상용전원의 공급을 차단하도록 한다. 이에, 본 실시 예에서 전원공급장치(130)의 온/오프는 연결된 전기/전자기기로의 상용전원의 공급 및 차단을 포함하는 총괄적인 개념으로 사용된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 기재된 전원공급장치(130)는 전기/전자기기와 직접 연결되어 온/오프의 스위칭 동작을 통해 전원을 전기/전자기기로 공급 및 차단하는 기능 외에도 일측에서 타측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 일측과 타측 사이에 설치되어 일측에서 타측으로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도록 스위칭하는 통상의 스위칭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배전반과 같이 외부로부터 내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 장치로 사용될 수도 있고, 특정 공간에 있는 각종 장비, 장치, 전기/전자기기 중 전체 또는 선택된 일부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다양한 장치로 사용될 수도 있다. 비록 용어로서 전원공급장치(130)를 기재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전반적으로 온/오프 스위칭을 통해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할 수 있는 장치나 모듈, 시스템 등을 통칭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특히, 도 2에는 일례로 전원공급장치(130)로서 내부에 스위칭모듈(미도시)이 구비된 콘센트장치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일례에 불과하며, 본 발명에서 전원공급장치(130)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수신된 제어신호에 의해 자신에게 연결된 전기/전자기기 또는 다른 각종 설비로 공급 및 차단하기 위해 스위칭하는 모든 장치를 포함한다.
사용자단말(140)은 제1 무선태그(110) 및 제2 무선태그(120)와 기설정된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을 통해 각각 제1 태그ID 및 제2 태그ID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제1 및 제2 태그ID를 자신의 사용자ID와 함께 외부로 후술하는 전원제어서버(150)로 기설정된 통신망(160)을 통해 전송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단말(140)은 제1,2 무선태그(120)로부터 각각 제1,2태그ID를 획득할 수 있는 리더기(미도시)를 포함하고 내부에 사용자 자신의 고유식별정보로서 사용자ID가 저장되어 있다. 통신망(160)은 이동통신망, 인터넷망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위해 사용자단말(140)은 소정의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구동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단말(140)에는 콘센트 온/오프 자동제어용 앱(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이를 실행함으로써 제1 및 제2 무선태그(110,120)로부터 제1 및 제2 태그ID를 각각 수신하여 자신의 사용자ID와 함께 전원제어서버(150)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만약, 이러한 앱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사용자단말(140)에서 기공지된 앱마켓이나 웹사이트에서 콘센트 온/오프 자동제어용 앱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하도록 한다. 이러한 콘센트 온/오프 자동제어용 앱은 무선단말과 무선태그를 이용하여 전원공급장치(130)를 온 및 오프하도록 하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이다. 이에 사용자단말(140)에서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콘센트 온/오프 자동제어용 앱이 실행되면 제1 및 제2 태그ID를 수신하여 사용자ID와 함께 전원제어서버(150)로 전송하도록 한다.
전원제어서버(150)는 사용자단말(140)로부터 제1,2 태그ID 및 사용자ID가 수신되면 그 제1 및 제2 태그ID의 수신순서에 따라 사용자ID에 대응하는 전원공급장치(130)로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해당 전원공급장치(130)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이때, 전원제어서버(150)는 전원공급장치(130)의 온/오프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저장한다. 이로써 전원공급장치(150)의 현재 온/오프 상태를 실시간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전원제어서버(150)는 전원공급장치(130)의 온/오프 자동제어를 위해 사용자ID, 제2 태그ID 및 전원공급장치(130)를 서로 매핑하여 내부에 저장한다. 이는 전원제어서버(150)에서 관리하는 전원공급장치(130)가 다수 개인 경우 어떤 사용자가 어떤 전원공급장치에 대하여 온/오프 자동제어를 수행할 것인지를 미리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2 태그ID가 다수 개인 경우 어떤 제2 무선태그가 어떤 전원공급장치에 대응되는지를 미리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즉, 사용자는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전원공급장치에 대하여 온/오프 자동제어를 수행하기 위해 사전에 자신의 사용자ID와 온/오프 자동제어의 대상이 되는 전원공급장치, 그 전원공급장치에 대응하는 제2 태그ID를 설정하여 전원제어서버(150)로 전송하고, 이에 따라 전원제어서버(150)는 사용자ID, 전원공급장치, 그리고 그 전원공급장치에 대응하는 제2 태그ID를 서로 매핑하여 저장해둔다.
추후에 사용자단말(140)로부터 제1,2 태그ID 및 사용자ID가 수신되면 그 수신된 제2태그ID가 사용자ID와 매핑된 제2태그ID인지를 판단하고, 매핑된 제2태그ID로 판단되면 사용자ID 및 제2태그ID에 매핑된 전원공급장치(130)로 온/오프 제어신호를 전송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전반에 걸쳐서 기재된 무선태그(wireless tag)는 내부에 태그ID와 같은 자신의 고유식별정보를 저장하고 기설정된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외부로 고유식별정보를 지속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는 무선통신용 태그모듈을 통칭하는 개념이다. 예컨대, RFID통신, Zigbee통신, Bluetooth통신, NFC통신 등과 같이 다양한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자신의 고유식별정보를 외부로 송신하는 태그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무선태그(20)를 바람직하게는 저전력으로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비콘(beacon)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는 블루투스4.0(BLE) 통신을 통해 태그ID를 송출하도록 한다.
이하에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무선태그를 이용한 전원공급장치 자동 온/오프 제어시스템(100)에서 전원공급장치의 온/오프 자동제어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때, 설명의 편의상 제1 영역(10)을 사무실이라 가정하고 제2 영역(20)을 사무실 내의 자신의 집무실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따라 사무실 출입은 출퇴근으로 설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물론, 이는 일례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1 영역(10)은 건물 전체일 수도 있고 제1 무선태그는 건물의 메인 출입문에 설치될 수 있고, 아파트의 경우 아파트 동 입구나 지하주차장, 엘리베이터 등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영역(10)인 사무실의 출입문(11)에 제1 무선태그(110)가 설치되고 사무실 내의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역(20)인 집무실의 출입문(21)에 각각 제2 무선태그(120)가 설치되어 있다. 회의실 내에는 전원공급장치(130)가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있다.
먼저, 출근의 경우를 살펴보면 전원공급장치(130)는 오프(off)된 상태이다. 사용자가 출근할 때 사무실 출입문(11)을 통해 출근한다. 사무실 출입문(11)에는 제1 무선태그(110)가 설치되어 있고 제1 무선태그(110)는 지속적으로 제1 태그ID를 송출하므로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단말(140)은 사용자가 사무실 출입문(11)을 통과할 때 제1 무선태그(110)로부터 송출되는 제1 태그ID를 수신한다. 이러한 제1 태그ID에는 제1 태그ID의 전송시간정보 및 제1 무선태그(110)의 위치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사용자단말(140)은 이와 같이 제1 태그ID가 수신되면, 그 수신된 제1 태그ID를 자신의 사용자ID와 함께 전원제어서버(15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전원제어서버(150)는 수신된 제1 태그ID 및 사용자ID를 이용하여 어느 사용자가 언제 사무실 출입문(11)을 통과하였는지를 알 수 있게 된다.
이후, 사무실 출입문(11)을 통과한 사용자가 자신의 집무실 출입문(21)을 통해 내부로 들어간다. 집무실 출입문(21)에는 제2 무선태그(120)가 설치되어 있고 제2 무선태그(120)는 지속적으로 제2 태그ID를 송출하므로 사용자단말(140)은 사용자가 집무실 출입문(21)을 통과할 때 제2 무선태그ID로부터 송출되는 제2 태그ID를 수신한다. 이러한 제2 태그ID에는 제2 태그ID의 전송시간정보와 제2 무선태그(120)의 위치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사용자단말(140)은 이와 같이 제2 태그ID가 수신되면, 그 수신된 제2 태그ID를 자신의 사용자ID와 함께 전원제어서버(15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전원제어서버(150)는 수신된 제2 태그ID와 사용자ID를 이용하여 어느 사용자가 언제 자기 집무실 출입문(21)을 통과하였는지를 알 수 있게 된다.
이에, 전원제어서버(150)는 전원공급장치(130)가 오프(off)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단말(140)로부터 제1 태그ID가 먼저 수신된 후에 제2 태그ID가 수신되면, 함께 수신된 사용자ID에 매핑된 전원공급장치(130)로 온 제어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전원공급장치(130)가 온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사무실 출입문(11)을 통해 사무실에 들어간 후 자신의 집무실 출입문(21)을 통해 집무실로 들어가면 그 집무실 내에 설치되어 있는 전원공급장치(130)를 자동으로 온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전원제어서버(150)가 제1 태그ID의 수신 후 제2 태그ID가 수신되면 사용자가 출근을 한 것으로 판단하여 전원공급장치(130)를 온시켜 그 전원공급장치(130)에 연결된 전기/전자기기로 상용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예컨대 전원공급장치(130)에 연결된 자신의 컴퓨터를 켤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퇴근의 경우를 살펴보면 전원공급장치(130)는 온(on)된 상태이다. 사용자가 자신의 집무실 출입문(21)을 통해 밖으로 나간다. 역시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자단말(140)은 사용자가 집무실 출입문(21)을 통과할 때 제2 무선태그ID로부터 송출되는 제2 태그ID를 수신한다. 이러한 제2 태그ID에는 제2 태그ID의 전송시간정보와 제2 무선태그(120)의 위치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사용자단말(140)은 수신된 제2 태그ID를 자신의 사용자ID와 함께 전원제어서버(15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전원제어서버(150)는 수신된 제2 태그ID와 사용자ID를 이용하여 어느 사용자가 언제 자기 집무실 출입문(21)을 통과하였는지를 알 수 있게 된다.
이후에, 사용자는 사무실의 출입문(11)을 통해 퇴근하게 된다. 역시 동일하게 사용자단말(140)은 사용자가 사무실 출입문(11)을 통과할 때 제1 무선태그(110)로부터 송출되는 제1 태그ID를 수신한다. 이러한 제1 태그ID에는 제1 태그ID의 전송시간정보 및 제1 무선태그(110)의 위치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사용자단말(140)은 수신된 제1 태그ID를 자신의 사용자ID와 함께 전원제어서버(15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전원제어서버(150)는 수신된 제1 태그ID 및 사용자ID를 이용하여 어느 사용자가 언제 사무실 출입문(11)을 통과하였는지를 알 수 있게 된다.
이에, 전원제어서버(150)는 전원공급장치(130)가 온(on)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단말(140)로부터 제2 태그ID가 먼저 수신된 후에 제1 태그ID가 수신되면, 함께 수신된 사용자ID에 매핑된 전원공급장치(130)로 온 제어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전원공급장치(130)가 오프(off)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자신의 집무실 출입문(21)을 통해 나간 후 사무실 출입문(11)을 통해 밖으로 나가게 되면 그 집무실 내에 설치되어 있는 전원공급장치(130)를 자동으로 오프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전원제어서버(150)가 제2 태그ID가 수신된 후에 제1 태그ID가 수신되면 사용자가 퇴근을 한 것으로 판단하여 제2 태그ID에 대응하는 전원공급장치(130)를 오프시켜 그 전원공급장치(130)에 연결된 전기/전자기기로 상용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도록 한다. 이로써 해당 전원공급장치(130)에 연결된 각종 전기/전자기기에서 소비되는 대기전력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제1 영역(10)인 사무실에는 다수의 제2 영역(20), 즉 다수의 집무실이 존재할 수 있다. 물론, 제2 영역(20)으로서 자신의 집무실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의 집무실, 회의실 등 다양한 공간이 존재할 수 있다. 이들 다수의 집무실이나 회의실마다 각 출입문(21)에는 제2 무선태그(120)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사용자가 모든 집무실마다 출입할 때 제2 무선태그(120)로부터 제2 태그ID를 수신한다고 해서 모든 집무실의 전원공급장치(130)를 온/오프시킨다면 자신의 전자/전기기기가 아닌 다른 사람의 것까지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게 되므로 혼란을 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단말(140)을 통해 온/오프 자동제어를 수행할 전원공급장치(130)를 설정하고, 그 설정된 전원공급장치(130)에 대응하는 제2 태그ID를 함께 전원제어서버(150)로 전송하면, 전원제어서버(150)에서는 사용자ID에 의해 설정된 제2 태그ID와 전원공급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ID, 제2 태그ID 및 전원공급장치를 서로 매핑하여 저장하도록 한다. 이는 향후 사용자가 제1 태그ID를 수신한 이후에 제2 태그ID를 수신하는 경우, 이러한 매핑정보를 이용하여 제2 태그ID와 매핑된 전원공급장치(130)만을 온/오프시키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ID에 자신의 집무실의 제2 태그ID와, 자신의 집무실의 전원공급장치를 서로 매핑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다른 회의실의 제2 태그ID를 수신한 경우에는 자신의 집무실의 전원공급장치를 온 또는 오프시킬 수 없는 것이다. 물론, 자신의 집무실 외에 다른 집무실이나 회의실 등 다른 제2 영역(20)에 대한 제2 태그ID와 전원공급장치(130)를 매핑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자신의 집무실 외에 다른 제2 영역(20)으로 확장하여 전원공급장치의 온/오프 자동제어가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전원공급장치(130)가 온(on)된 상태에서 오프(off)시키는 경우, 즉 전원제어서버(150)는 사용자단말(140)로부터 제2 태그ID가 수신된 이후에 제1 태그ID가 수신되면 기설정된 대기시간이 경과한 후에 사용자ID 및 제2 태그ID에 매핑된 전원공급장치(130)를 오프(off)시키도록 한다. 이는 사용자가 사무실 출입문(11)을 통해 나간 이후에 바로 전원공급장치(130)를 오프시키는 것이 아니라 기설정된 시간동안 기다린 후에 전원공급장치(130)를 오프시키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예컨대, 사용자가 퇴근한 이후에 바로 다시 집무실에 돌아오거나 또는 퇴근이 아니라 잠깐 동안 외출한 경우에는 전원공급장치(130)를 오프시키지 않고 일정시간 동안 대기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대기시간은 사용자단말(140)에서 설정하여 전원제어서버(150)로 전송한다. 즉, 사용자가 사용자단말(140)에 퇴근시에 전원공급장치(130)의 오프 유예시간을 설정하여 전원제어서버(150)로 전송하도록 한다.
한편, 위 퇴근에 대한 일례에서 사용자가 집무실 내에 근무하는 동안에는 그 집무실의 크기에 따라서는 사용자단말(140)이 집무실 출입문(21)에 설치된 제2 무선태그(120)로부터 계속 송출되는 제2 태그ID를 계속 또는 설정된 주기에 따라 수신하게 되고 이를 전원제어서버(150)로 계속 전송하게 된다. 이런 상황에서 사용자단말(140)이 제2 태그ID를 계속 수신하는 중에 퇴근하기 위해 집무실 출입문(21)을 나가서 사무실 출입문(11)을 통과하게 되면 사무실 출입문(11)에 설치되 제1 무선태그(110)로부터 송출되는 제1 태그ID를 수신하는 경우에 제1 태그ID를 자신의 사용자ID와 함께 전원제어서버(150)로 전송한다. 즉, 전원제어서버(150)가 사용자단말(140)로부터 제2 태그ID를 적어도 2번 이상 연속으로 계속 수신하고 있는 도중에 제1 태그ID가 수신되는 경우에 퇴근으로 판단하여 사용자ID에 매핑된 전원공급장치(130)로 온 제어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전원공급장치(130)가 오프(off) 상태가 되도록 한다. 다른 예로서 제2 태그ID가 적어도 2번 이상 연속으로 수신되는 도중에 일정시간 이후에 제1 태그ID가 수신되는 경우 전원제어서버(150)는 사용자ID에 매핑된 전원공급장치(130)의 전원을 오프하도록 한다.
여기서, 사용자ID에 매핑된 전원공급장치(130)가 여러 개 존재할 경우에는 제2 태그ID에 매핑되는 전원공급장치(130)를 추출하여 오프를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하도록 한다. 이는 온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어느 제2 영역으로 출입하였는지는 그 제2 영역의 출입문에 설치된 제2 무선태그(120)의 정보에 의해 결정되므로 어떤 전원공급장치(130)를 온/오프시킬 것인지에 대해서는 어떤 제2 태그ID가 수신되었는지를 참조하여 판단하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여러 전원공급장치(130) 중에서 온 또는 오프하고자 하는 전원공급장치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단말(14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ID와 제2 태그ID에 매핑된 전원공급장치(130)를 추출하여 온 또는 오프 제어신호를 그 추출된 전원공급장치(130)로 전송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단말(140)이 기설정된 시간동안 제1 태그ID 및 제2 태그ID 중 적어도 하나의 수신을 차단할 수 있다. 이는 일정시간 동안 전원공급장치(130)의 온/오프 자동제어 기능을 해제하기 위한 것이다. 예컨대, 출근 후 근무시간 동안에 사용자가 사무실 및 집무실을 자주 출입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때마다 전원공급장치(130)를 계속 온/오프하게 되는데, 근무시간에 전원공급장치의 온/오프 자동제어 기능을 해제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자신이 소지한 사용자단말(140)에 기능해제를 원하는 시간간격을 설정할 수 있다. 이는 근무시간에 전원공급장치의 온/오프 자동제어 기능을 해제하고자 할 때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태그를 이용한 전원공급장치 자동 온/오프 제어시스템에서 전원공급장치 온/오프 자동제어기능을 설정 및 해제하는 사용자단말의 표시부의 예시도이다.
도 3의 (a)에서는 전원공급장치의 온/오프 자동제어 기능을 설정할 것인지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한 예를 도시한다. 도 3의 (b)와 같이 일례로 시간설정과 장치설정으로 구분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한 예를 도시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시간설정을 선택하면 기간, 요일, 날짜, 시간 등을 상세하게 선택하여 설정하도록 한다. 도 3의 (c)에서는 일례로 특정 장치에 대한 전원공급장치에 대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한 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일례에서는 콘센트 제어기능을 설정하거나 해제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사용자ID에 매핑된 장치들이 표시되고, 각 장치에 연결된 전원공급장치의 자동 온/오프 기능을 설정할 것인지 해제할 것인지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단말(140)은 사용자ID에 매핑된 다수의 전원공급장치(130)의 리스트를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이러한 리스트 중 온/오프 제어기능을 설정 또는 해제가 선택되면 그 또는 해제된 전원공급장치(130)의 리스트를 전원제어서버(150)로 전송한다. 그러면, 전원제어서버(150)는 상기와 같이 사용자단말(140)로부터 제1,2 태그ID 및 사용자ID가 수신되면 사용자ID에 매핑된 다수의 전원공급장치(130) 중에서 위와 같이 선택된 전원공급장치에 대해서만 제어신호를 전송하도록 한다. 이는 온/오프 자동 제어기능을 설정한 전원공급장치(130)에 대해서만 자동 제어기능이 실행되도록 하는 것이며, 사용자에 의해 이러한 자동제어기능을 해제한 전원공급장치에 대해서는 온/오프 자동제어 기능이 수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원제어서버의 구성블럭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원제어서버(150)는 사용자관리부(151), 무선태그관리부(152), 전원공급장치관리부(153), 콘센트ON/OFF제어부(154), 사용시간설정부(155) 및 통신부(15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사용자관리부(151)는 무선태그를 이용한 전원공급장치 자동 온/오프 제어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실행하는 사용자에 대한 각종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미도시)에 등록하여 관리한다. 즉, 사용자는 자신의 고유식별정보로서 사용자ID를 전원제어서버(150)에 등록하면 사용자관리부(151)는 각각의 사용자마다 사용자ID를 DB에 등록하고 이와 관련하여 사용자의 각종 정보를 관리하도록 한다. 이러한 사용자의 각종 정보에는 제1영역(10) 및 제2영역(20)의 위치정보, 무선태그의 태그ID, 사용자단말(140)의 정보 등을 포함한다.
무선태그관리부(152)는 사용자ID별로 무선태그(110,120)를 DB에 등록하여 관리한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무선태그(110,120)를 인식하여 전원공급장치(130)를 온/오프시키도록 하므로 어떤 사용자가 어떤 무선태그(110,120)를 인식하는지 결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인식할 무선태그(110,120)를 전원제어서버(150)에 등록하면 무선태그관리부(152)가 사용자ID별 무선태그(110,120)를 DB에 등록하여 관리하도록 한다.
전원공급장치관리부(153)는 사용자ID별로 전원공급장치(130)를 DB에 등록하여 관리한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전원공급장치(130)를 온/오프시키므로 어떤 사용자가 어떤 전원공급장치(130)를 온/오프시킬 것인지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온/오프 제어할 전원공급장치(130)를 전원제어서버(150)에 등록하면 전원공급장치관리부(153)가 사용자ID별 전원공급장치(130)를 DB에 등록한다. 또한, 전원공급장치관리부(153)는 상기와 같이 온/오프 제어를 설정한 전원공급장치(130) 뿐만아니라 온/오프 제어를 해제한 전원공급장치(130)도 함께 등록한다. 즉, 어떤 전원공급장치는 온/오프 자동제어를 수행하고 어떤 전원공급장치는 이러한 온/오프 자동제어를 수행하지 않을지 미리 전원공급장치관리부(153)가 DB에 등록하는 것이다. 이로써 온/오프 자동제어 해제를 설정한 전원공급장치(130)에 대해서는 무선태그ID 및 사용자ID가 사용자단말(140)로부터 수신되더라도 전원공급장치(13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DB에는 사용자ID를 비롯하여 사용자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포함하며, 특히 사용자ID별로 등록한 무선태그(110,120) 및 전원공급장치(130)를 저장한다. 또한, DB에는 각각의 전원공급장치(130)마다 현재의 온 또는 오프 상태를 함께 저장한다.
이와 같이 다수의 사용자별로 사용자ID를 할당하여 각각의 사용자별로 인식하고자 하는 무선태그(110,120) 및 온/오프 제어하고자 하는 전원공급장치(130)를 등록 및 관리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마다 동시에 구분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콘센트ON/OFF제어부(154)는 사용자단말(140)로부터 제1,2 태그ID 및 사용자ID가 수신되면 그 제1 및 제2 태그ID의 수신순서에 따라 사용자ID에 대응하는 전원공급장치(130)로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해당 전원공급장치(130)의 온/오프를 제어하도록 한다. 여기서, 콘센트ON/OFF제어부(154)는 전원공급장치(130)의 오/오프 자동제어 서비스를 해제한 전원공급장치(130)에 대해서는 온/오프를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하지 않도록 한다.
사용시간설정부(155)는 적어도 일부 전원공급장치(130)에 대하여 온/오프 자동제어를 수행하는 시간을 설정하도록 한다. 이는 공용의 영역에 설치된 일부 전원공급장치(130)의 경우 다수의 사용자마다 출입에 따른 온/오프를 수행해야 하므로 에너지 소비가 많아지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공용영역의 전원공급장치(130)는 일정시간 동안 전원공급장치의 온/오프 시간, 즉 전원공급장치의 사용시간을 미리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예컨대, 회사 사무실의 경우 탕비실과 같이 많은 사람이 이용하는 장소에 설치된 전원공급장치는 일반적인 업무시간을 고려하여 오전 8시30분부터 오후 6시30까지만 전원공급장치(130)를 자동으로 온시키고 그 이외의 시간(퇴근후)에는 전원공급장치(130)를 자동으로 오프시키도록 함으로써 에너지 낭비를 최소화하도록 한다. 이는 많은 사용자가 탕비실에 출입할 때마다 전원공급장치(130)를 온/오프함에 따른 에너지 낭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통신부(156)는 사용자단말(140) 및 전원공급장치(130)와 통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통신부는 사용자단말(140)로부터 제1,2태그ID 및 사용자ID를 수신하고 전원공급장치(130)로 온/오프 제어신호를 전송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태그를 이용한 전원공급장치 자동 온/오프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
이러한 과정에서 알 수 있듯이, 전원공급장치(130)가 온(on)인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2 영역(20)의 출입문(21)과 제1 영역(10)의 출입문(11)을 통해 퇴근할 때 사용자단말(140)이 제2 무선태그(120) 및 제1 무선태그(110)와의 통신과 전원제어서버(150)와의 통신을 통해 전원공급장치(130)를 자동으로 오프시키도록 한다.
특히, 상기와 같은 퇴근 이후에 전원공급장치(130)를 오프하는 것은 사용자가 컴퓨터와 같은 다양한 전자/전기기기의 전원을 끄지 않거나 전원을 끄더라도 해당 기기에서 소비되는 대기전력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전원제어서버(150)가 사용자단말(140)로부터 수신되는 제1 및 제2 태그ID와 사용자ID를 수신하고, 제1 태그ID 및 제2 태그ID가 수신되는 순서와 전원공급장치(130)의 온/오프 상태를 판단하여 전원공급장치(130)를 온 또는 오프시키도록 한다. 즉, 제1 태그ID와 제2 태그ID의 수신순서에 따라 출근과 퇴근을 판단하여 출근시에는 전원공급장치(130)를 자동으로 온시키고 퇴근시에는 자동으로 오프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전원공급장치(130)를 오프시키는 경우 전원제어서버(150)는 전원공급장치(130)가 온 상태에서 사용자단말(140)로부터 제2 태그ID가 수신된 후 제1 태그ID가 수신되면 기설정된 대기시간이 경과한 후에 전원공급장치(130)를 오프시키도록 한다. 이는 사용자단말(140)에서 설정한 일정시간 동안 대기한 후에 전원공급장치(130)를 오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퇴근후에 다시 제2 영역(20)으로 들어오거나 또는 퇴근이 아니라 잠깐 외출시에는 전원공급장치(130)를 오프시키지 않고 일다.
도 5에서는 일 실시 예로서 출근에 따른 전원공급장치 자동 온/오프 제어방법을 보이고 있다. 도 5에서와 같이, 전원제어서버(150)는 사용자ID, 제2 태그ID 및 전원공급장치(130)의 매핑정보를 기저장하고 있고, 현재 전원공급장치(130)의 온/오프 상태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출근을 위해 사무실인 제1 영역(10)의 출입문(11)을 통과하면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단말(140)이 제1 영역(10)의 출입문(11)의 일측에 설치된 제1 무선태그(110)로부터 제1 태그ID를 수신하고(S101), 그 수신된 제1 태그ID를 자신의 사용자ID와 함께 전원제어서버(150)로 전송한다(S103).
이후, 사용자가 자신의 집무실인 제2 영역(20)의 출입문(21)을 통과하면 사용자단말(140)이 제2 영역(20)의 출입문(21)의 일측에 설치된 제2 무선태그(120)로부터 제2 태그ID를 수신하고(S105), 그 수신된 제2 태그ID를 자신의 사용자ID와 함께 전원제어서버(150)로 전송한다(S105).
계속해서, 전원제어서버(150)는 사용자단말(140)로부터 제1 태그ID를 수신한 이후에 제2 태그ID가 수신되면, 함께 수신된 사용자ID와 제2 태그ID에 매핑된 전원공급장치(130)가 현재 오프(off)상태인지를 판단하여(S107), 오프상태이면 해당 전원공급장치(130)를 온시킨다(S109).
이러한 과정에서 알 수 있듯이, 전원공급장치(130)가 오프(off)인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1 영역(10)의 출입문(11)과 제2 영역(20)의 출입문(21)을 통해 출근할 때 사용자단말(140)이 제1 무선태그(110) 및 제2 무선태그(120)와의 통신과 전원제어서버(150)와의 통신을 통해 전원공급장치(130)를 자동으로 온시키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태그를 이용한 전원공급장치 자동 온/오프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에서는 다른 실시 예로서 퇴근에 따른 전원공급장치 자동 온/오프 제어방법을 보이고 있다. 도 6에서도 역시 전원제어서버(150)는 사용자ID, 제2 태그ID 및 전원공급장치(130)의 매핑정보를 기저장하고 있고, 현재 전원공급장치(130)의 온/오프 상태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퇴근을 위해 집무실인 제2 영역(20)의 출입문(21)을 통과하면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단말(140)이 제2 영역(20)의 출입문(21)의 일측에 설치된 제2 무선태그(120)로부터 제2 태그ID를 수신하고(S201), 그 수신된 제2 태그ID를 자신의 사용자ID와 함께 전원제어서버(150)로 전송한다(S203).
이후, 사용자가 사무실인 제1 영역(10)의 출입문(21)을 통과하게 되면 사용자단말(140)이 제1 영역(10)의 출입문(11)의 일측에 설치된 제1 무선태그(110)로부터 제1 태그ID를 수신하고(S205), 그 수신된 제1 태그ID를 자신의 사용자ID와 함께 전원제어서버(150)로 전송한다(S205).
계속해서, 전원제어서버(150)는 사용자단말(140)로부터 제2 태그ID를 수신한 이후에 제1 태그ID가 수신되면, 함께 수신된 사용자ID와 제2 태그ID에 매핑된 전원공급장치(130)가 현재 온(on) 상태인지를 판단하여(S207), 온 상태이면 해당 전원공급장치(130)를 오프시킨다(S209).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자단말(140)은 기설정된 시간동안 전원공급장치(130)의 온/오프 자동제어 기능을 해제할 수도 있고, 기설정된 시간동안 제1 태그ID 및 제2 태그ID의 수신을 차단할 수도 있으며, 기설정된 시간동안 수신된 제1 및 제2 태그ID를 전원제어서버(150)로 전송하는 것을 차단할 수도 있다. 이는 사용자가 설정한 일정시간동안에는 전원공급장치(130)의 온/오프 기능을 사용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기간은 요일, 날짜, 시간 등으로 구분하여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전원제어서버(150)는 제2 영역(20)이 다수인 경우 다수의 제2 영역(20)에 각각 설치된 제2 무선태그(120)와 다수의 각 제2 영역(20)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전원공급장치(130) 중 사용자ID, 제2 태그ID 및 전원공급장치를 서로 매핑하여 저장하고 있는데, 사용자단말(140)로부터 제1,2 태그ID 및 사용자ID가 수신되면 그 수신된 제2태그ID가 사용자ID와 매핑된 제2태그ID인지를 판단하고 매핑된 제2태그ID이면, 사용자ID 및 제2태그ID에 매핑된 전원공급장치(130)로 온/오프 제어신호를 전송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도 5와 도 6은 각각 출근과 퇴근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제어과정을 예시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출/퇴근과 같은 상황에 이에 한정되어 적용되지 않으며, 제1 영역(10)과 제2 영역(20)으로 이루어진 구조에서 입장과 퇴장에 따른 모든 상황에 적용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제1 영역 11 : 제1 영역의 출입구
20 : 제2 영역 21 : 제1 영역의 출입구
110 : 제1 무선태그 120 : 제2 무선태그
130 : 전원공급장치 140 : 사용자단말
150 : 전원제어서버 160 : 통신망

Claims (24)

  1. 제1 영역에 설치되어 제1 태그ID를 송출하는 제1 무선태그;
    상기 제1 영역의 내부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역에 설치되어 제2 태그ID를 송출하는 제2 무선태그;
    상기 제2 영역 내에 설치되며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온/오프되는 전원공급장치;
    상기 제1 무선태그 및 제2 무선태그로부터 각각 제1 태그ID 및 제2 태그ID를 수신하여 자신의 사용자ID와 함께 외부로 전송하는 사용자단말; 및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제1,2 태그ID 및 사용자ID가 수신되면 상기 제1 및 제2 태그ID의 수신순서에 따라 상기 사용자ID에 대응하는 전원공급장치로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전원공급장치의 온/오프를 제어하고 상기 전원공급장치의 온/오프 상태정보를 저장하는 전원제어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제어서버는 상기 사용자단말의 요청에 의해 상기 사용자ID, 제2 태그ID 및 전원공급장치를 서로 매핑하여 저장하고, 상기 전원제어서버는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제1,2 태그ID 및 사용자ID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제2 태그ID가 상기 수신된 사용자ID와 매핑된 제2 태그ID이면 상기 사용자ID 및 제2 태그ID에 매핑된 전원공급장치로 제어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단말은 상기 사용자ID에 매핑된 전원공급장치의 리스트를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리스트 중 온/오프 제어기능을 설정 또는 해제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 또는 해제된 전원공급장치의 리스트를 상기 전원제어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전원제어서버는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제1,2 태그ID 및 사용자ID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ID에 매핑된 전원공급장치 중에서 상기 수신된 전원공급장치의 리스트에서 선택된 전원공급장치에 대해서만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무선태그를 이용한 전원공급장치 자동 온/오프 제어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제어서버는 상기 전원공급장치가 오프(off) 상태에서 상기 제1 태그ID가 수신된 이후에 상기 제2 태그ID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ID에 대응하는 전원공급장치를 온(on)시키는 무선태그를 이용한 전원공급장치 자동 온/오프 제어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제어서버는 상기 전원공급장치가 온(on) 상태에서 상기 제2 태그ID가 수신된 이후에 상기 제1 태그ID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ID에 대응하는 전원공급장치를 오프(off)시키는 무선태그를 이용한 전원공급장치 자동 온/오프 제어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제어서버는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제2 태그ID가 적어도 2번 이상 연속으로 수신된 이후에 상기 제1 태그ID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ID 및 제2 태그ID에 대응하는 전원공급장치로 오프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무선태그를 이용한 전원공급장치 자동 온/오프 제어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제어서버는 상기 전원공급장치가 온(on)상태에서 상기 제2 태그ID가 수신된 이후에 상기 제1 태그ID가 수신되면 기설정된 대기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사용자ID에 대응하는 전원공급장치를 오프(off)시키는 무선태그를 이용한 전원공급장치 자동 온/오프 제어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대기시간은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무선태그를 이용한 전원공급장치 자동 온/오프 제어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제어서버는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전원공급장치로 전송할 때 상기 사용자ID와 제2 태그ID에 매핑되는 전원공급장치를 선택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무선태그를 이용한 전원공급장치 자동 온/오프 제어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제어서버는 상기 전원공급장치가 온되는 시간을 미리 설정하여 등록하고, 상기 등록된 시간동안에는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전원공급장치로 전송하지 않으며 상기 등록된 시간동안에는 자동으로 상기 전원공급장치가 온되고 그 외의 시간에는 자동으로 오프되는 무선태그를 이용한 전원공급장치 자동 온/오프 제어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은 기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제1무선태그 및 제2무선태그로부터 송출되는 제1 및 제2 태그ID 중 적어도 하나의 태그ID의 수신을 차단하는 수신차단기능의 설정이 입력되면 상기 기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제1무선태그 및 제2무선태그로부터 송출되는 제1 및 제2 태그ID 중 수신차단기능이 설정된 태그ID의 수신이 차단되는 무선태그를 이용한 전원공급장치 자동 온/오프 제어시스템.
  12. 삭제
  13. 삭제
  14. 사용자단말이 제1 영역의 제1 무선태그로부터 제1 태그ID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단말이 상기 수신된 제1 태그ID를 자신의 사용자ID와 함께 전원제어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단말이 상기 제1 영역 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역의 제2 무선태그로부터 제2 태그ID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단말이 상기 수신된 제2 태그ID를 자신의 사용자ID와 함께 상기 전원제어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원제어서버가 상기 제1 태그ID를 수신한 이후에 상기 제2 태그ID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사용자ID와 제2 태그ID에 기매핑된 전원공급장치가 오프(off)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오프상태이면 상기 전원제어서버가 상기 전원공급장치를 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제어서버는 상기 사용자단말의 요청에 의해 상기 사용자ID, 제2 태그ID 및 전원공급장치를 서로 매핑하여 저장하고, 상기 전원제어서버는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제1,2 태그ID 및 사용자ID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제2 태그ID가 상기 수신된 사용자ID와 매핑된 제2 태그ID이면 상기 사용자ID 및 제2 태그ID에 매핑된 전원공급장치로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단말은 상기 사용자ID에 매핑된 전원공급장치의 리스트를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리스트 중 온/오프 제어기능을 설정 또는 해제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 또는 해제된 전원공급장치의 리스트를 상기 전원제어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전원제어서버는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제1,2 태그ID 및 사용자ID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ID에 매핑된 전원공급장치 중에서 상기 수신된 전원공급장치의 리스트에서 선택된 전원공급장치에 대해서만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무선태그를 이용한 전원공급장치 자동 온/오프 제어방법.
  15. 사용자단말이 제1 영역 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역의 제2 무선태그로부터 제2 태그ID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단말이 상기 수신된 제2 태그ID를 자신의 사용자ID와 함께 전원제어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단말이 상기 제1 영역의 제1 무선태그로부터 제1 태그ID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단말이 상기 수신된 제1 태그ID를 자신의 사용자ID와 함께 상기 전원제어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원제어서버가 상기 제2 태그ID를 수신한 이후에 상기 제1 태그ID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사용자ID와 제2 태그ID에 기매핑된 전원공급장치가 온(on)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온 상태이면 상기 전원제어서버가 상기 전원공급장치를 오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제어서버는 상기 사용자단말의 요청에 의해 상기 사용자ID, 제2 태그ID 및 전원공급장치를 서로 매핑하여 저장하고, 상기 전원제어서버는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제1,2 태그ID 및 사용자ID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제2 태그ID가 상기 수신된 사용자ID와 매핑된 제2 태그ID이면 상기 사용자ID 및 제2 태그ID에 매핑된 전원공급장치로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단말은 상기 사용자ID에 매핑된 전원공급장치의 리스트를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리스트 중 온/오프 제어기능을 설정 또는 해제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 또는 해제된 전원공급장치의 리스트를 상기 전원제어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전원제어서버는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제1,2 태그ID 및 사용자ID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ID에 매핑된 전원공급장치 중에서 상기 수신된 전원공급장치의 리스트에서 선택된 전원공급장치에 대해서만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무선태그를 이용한 전원공급장치 자동 온/오프 제어방법.
  16. 사용자단말에서 제1 무선태그 및 제2 무선태그로부터 제1 태그ID 및 제2 태그ID를 각각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상기 수신된 제1 및 제2 태그ID를 자신의 사용자ID와 함께 전원제어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원제어서버는 상기 제1,2 태그ID 및 사용자ID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ID와 제2 태그ID에 기매핑된 전원공급장치의 온/오프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전원제어서버는 상기 제1 및 제2 태그ID를 수신한 순서 및 상기 전원공급장치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장치로 온/오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제어서버는 상기 사용자단말의 요청에 의해 상기 사용자ID, 제2 태그ID 및 전원공급장치를 서로 매핑하여 저장하고, 상기 전원제어서버는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제1,2 태그ID 및 사용자ID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제2 태그ID가 상기 수신된 사용자ID와 매핑된 제2 태그ID이면 상기 사용자ID 및 제2 태그ID에 매핑된 전원공급장치로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단말은 상기 사용자ID에 매핑된 전원공급장치의 리스트를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리스트 중 온/오프 제어기능을 설정 또는 해제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 또는 해제된 전원공급장치의 리스트를 상기 전원제어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전원제어서버는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제1,2 태그ID 및 사용자ID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ID에 매핑된 전원공급장치 중에서 상기 수신된 전원공급장치의 리스트에서 선택된 전원공급장치에 대해서만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무선태그를 이용한 전원공급장치 자동 온/오프 제어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제어서버는 상기 전원공급장치가 온 상태이고 상기 제2 태그ID가 수신된 이후에 상기 제1 태그ID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원공급장치로 오프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상기 오프 제어신호에 의해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전환하는 무선태그를 이용한 전원공급장치 자동 온/오프 제어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제어서버는 상기 전원공급장치가 오프 상태이고 상기 제1 태그ID가 수신된 이후에 상기 제2 태그ID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원공급장치로 온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상기 온 제어신호에 의해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하는 무선태그를 이용한 전원공급장치 자동 온/오프 제어방법.
  19.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제어서버는 상기 전원공급장치가 온 상태에서 상기 제2 태그ID가 수신된 이후에 상기 제1 태그ID가 수신되면 기설정된 대기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전원공급장치로 오프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무선태그를 이용한 전원공급장치 자동 온/오프 제어방법.
  20.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제어서버는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제2 태그ID가 적어도 2번 이상 연속으로 수신된 이후에 상기 제1 태그ID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ID 및 제2 태그ID에 대응하는 전원공급장치로 오프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무선태그를 이용한 전원공급장치 자동 온/오프 제어방법.
  21. 삭제
  22.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제어서버는 온/오프를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전원공급장치로 전송할 때 상기 사용자ID와 제2 태그ID에 매핑되는 전원공급장치를 선택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무선태그를 이용한 전원공급장치 자동 온/오프 제어방법.
  23. 삭제
  24. 삭제
KR1020160147967A 2016-11-08 2016-11-08 무선태그를 이용한 전원공급장치 자동 온/오프 제어시스템 및 방법 KR101824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7967A KR101824670B1 (ko) 2016-11-08 2016-11-08 무선태그를 이용한 전원공급장치 자동 온/오프 제어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7967A KR101824670B1 (ko) 2016-11-08 2016-11-08 무선태그를 이용한 전원공급장치 자동 온/오프 제어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4670B1 true KR101824670B1 (ko) 2018-02-01

Family

ID=61231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7967A KR101824670B1 (ko) 2016-11-08 2016-11-08 무선태그를 이용한 전원공급장치 자동 온/오프 제어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46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55276A (zh) * 2019-11-20 2020-02-28 浙江创意声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保险装置无线控制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16249A (ja) * 2010-07-05 2012-01-19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通電制御システム
JP2016072720A (ja) * 2014-09-29 2016-05-09 清水建設株式会社 設備制御システム及び設備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16249A (ja) * 2010-07-05 2012-01-19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通電制御システム
JP2016072720A (ja) * 2014-09-29 2016-05-09 清水建設株式会社 設備制御システム及び設備制御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55276A (zh) * 2019-11-20 2020-02-28 浙江创意声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保险装置无线控制系统
CN110855276B (zh) * 2019-11-20 2023-09-29 浙江创意声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保险装置无线控制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46780A1 (en) Commissioning load control systems
US9661488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and categorizing distributed devices
KR101482906B1 (ko) 스마트 호텔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10859990B2 (en) Method and system for utilizing a device's user location to monitor and control the device power usage
KR101641165B1 (ko) 원격 난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H0879840A (ja) ホーム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CN107111288A (zh) 回应配置规则及连网附件而远程控制负荷的系统、装置及方法
KR20170141511A (ko) 출입 관리 장치와 전원 공급 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빌딩 관리 시스템
KR20170113492A (ko) 대기전력 차단 스마트 플러그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99214B1 (ko) 고유식별정보 설정이 용이한 팬 필터 유닛 제어장치
JP2013206024A (ja) 機器制御システム、機器制御プログラム及び設備制御システム
KR101428961B1 (ko) 건물의 통합 에너지 운용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1824670B1 (ko) 무선태그를 이용한 전원공급장치 자동 온/오프 제어시스템 및 방법
EP2228608A2 (de) Präsenzmelder für Wohneinheiten
EP4099539A1 (en) Device management method, program, power distribution facility, and device management system
CN103973472A (zh) 用于确定建筑物中的人员的存在情况的方法和装置
JP2007184738A (ja) 位置管理システム
KR20210063638A (ko) 월리더 및 월리더를 이용한 호텔 서비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6054645A (zh) 基于物联网智能家居节能系统
KR101896096B1 (ko) 홈 서비스 시스템
KR20140100229A (ko) 대기전력차단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공간별 전등제어방법
KR20080082516A (ko) 링킹 유틸리티 제어 장치에 대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888545B1 (ko) 지피에스 기반의 지정 영역별 설정 서비스 수행방법
JP4535042B2 (ja) デマンド制御装置、デマンド制御システム、デマンド制御方法およびデマンド制御プログラム
KR100862059B1 (ko) 조명장치용 전원 스위칭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