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1165B1 - 원격 난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원격 난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1165B1
KR101641165B1 KR1020150051652A KR20150051652A KR101641165B1 KR 101641165 B1 KR101641165 B1 KR 101641165B1 KR 1020150051652 A KR1020150051652 A KR 1020150051652A KR 20150051652 A KR20150051652 A KR 20150051652A KR 101641165 B1 KR101641165 B1 KR 1016411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heating
providing server
service providing
in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1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송훈
마준
마은
Original Assignee
제이씨스퀘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씨스퀘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이씨스퀘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51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1165B1/ko
Priority to PCT/KR2016/003900 priority patent/WO2016167575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1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11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8Arrangements for drainage, venting or aer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8Arrangements for drainage, venting or aerating
    • F24D19/082Arrangements for drainage, venting or aerating for water he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57Thermostatic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난방 제어가 가능한 원격 난방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의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에 탑재되어 실내 보일러 시스템의 난방 제어를 원격 조작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과, 보일러 시스템과 연결되어 보일러 시스템의 원격 제어를 위해 무선 인터넷에 접속을 수행하는 무선접속장치, 및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원격 조작이 요청되면 사용자 단말의 단말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를 식별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사용자별 설정 온도에 따라 실내 난방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무선접속장치를 통해 보일러 시스템에 전송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원격 난방 제어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REMOTE CONTROLLING HEATING}
본 발명은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난방 제어가 가능한 원격 난방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방 시스템은 개별 난방 시스템과 각방 온도 조절 시스템으로 구분되는데, 개별 난방 시스템은 보일러와 같은 연소기기를 개별 주거시설마다 개별적으로 설치하고 상기 연소기기에 의해 만들어진 난방수(증기 또는 온수)를 각 방으로 분배하는 시스템이다. 각방 온도 조절 시스템은 하나의 대규모 열 생산시설에서 긴 옥외 배관을 이용하여 개별 주거시설로 공급하고, 개별 주거시설에서는 온수분배기를 통해 각 방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각방 온도 조절 시스템은 온수분배기에 부착된 밸브를 제어함으로써 각 방의 온도를 개별적으로 조절한다.
이러한 개별 난방 시스템이나 각방 온도 조절 시스템은 사용자가 각 방의 온도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각 방마다 온도조절기를 설치하거나 거실에 월패드를 설치하고 이를 통해 각 방의 난방 온도를 조절한다.
그런데, 종래에는 난방 시스템을 가동, 정지, 혹은 온도 조절하기 위해서는 소비자가 온도 설정 기능이 있는 각 방의 온도조절기나 월패드가 설치되어 있는 장소로 이동해야만 조작할 수 있다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난방을 주로 많이 이용하는 동절기 기간에는 외출 시 난방 시스템을 오프(OFF)하는데, 장시간 외출 시에는 난방 시스템이 동파하기도 하고 외출 후 귀가하여 난방을 작동시키면 난방이 될 때까지 오랜 시간을 기다려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 들어서는 실내에서 홈 네트워킹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이 원격으로 온도를 조절하는 홈 네트워킹 시스템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안 기술은 실내에서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매우 한정적이며, 다수 사용자별 기호에 따라 개별 제어가 가능한 형태가 아니다.
관련 선행기술문헌으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84833호(발명의 명칭: 보일러의 유무선 제어 시스템, 등록일: 2006년 05월 23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다수의 사용자를 식별하여 사용자별 설정 온도에 따라 실내 난방을 원격 제어할 수 있는 원격 난방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외출한 경우 지정된 장소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진입하면 이를 감지하여 거리에 따라 실내 난방의 온도를 자동 제어할 수 있는 원격 난방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동일한 실내 또는 실외에 다수의 사용자가 위치하는 경우 각 사용자에게 실내 공간에 따라 사용자 권한 또는 우선순위를 설정함으로써 사용의 편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원격 난방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에 탑재되어 실내 보일러 시스템의 난방 제어를 원격 조작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상기 보일러 시스템과 연결되어 상기 보일러 시스템의 원격 제어를 위해 무선 인터넷에 접속을 수행하는 무선접속장치,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원격 조작이 요청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단말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를 식별하고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사용자별 설정 온도에 따라 실내 난방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상기 무선접속장치를 통해 상기 보일러 시스템에 전송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보일러 시스템은, 보일러에서 배출되는 난방수를 각 방으로 분배하고 모터구동밸브에 의해 유량을 제어하는 유량 제어기와, 상기 유량 제어기의 상기 모터구동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무선접속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되는 모터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별 설정 온도에 따라 실내 난방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상기 무선접속장치를 통해 상기 모터 컨트롤러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별 설정 온도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 기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사전에 설정해 둔 사용자별 설정 온도를 조회하여 제공받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의 수동 입력을 통해 실시간으로 입력 받을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별로 주 거주지인 방 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단말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를 식별하면 식별된 사용자의 방별로 실내 난방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각 사용자마다 원격 제어가 가능한 사용자 권한 정보를 방별로 구분하여 설정하고, 기 설정된 사용자 권한 정보에 따라 각 방별로 원격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권한 정보에 대한 우선순위 정보를 설정하여, 기 설정된 우선순위 정보에 따라 원격 제어를 우선적으로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일정 기간 동안 상기 사용자 단말이 원격 조작한 이력에 기초하여 사용자별 기호 또는 취향에 근거한 통계적인 설정 온도를 추출하고, 추출한 설정 온도에 따라 실내 난방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상기 무선접속장치를 통해 상기 보일러 시스템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실행될 때, 사용자가 원격 조작이 가능한 방 정보와, 각 방별로 현재 실내 온도 및 설정하고자 하는 설정 온도가 표시되며, 상기 설정 온도를 변경할 수 있는 스크롤 조작 화면이 표시되어 상기 화면을 통해 실내 난방의 온도를 조작 가능하게 한다.
상기 무선접속장치는, 상기 보일러 시스템의 상기 컨트롤러에 삽입되는 SD카드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GPS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추적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지정된 장소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하면 상기 무선접속장치로 해당 사용자별 난방 제어를 지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일정 거리에 따라 설정 온도를 미리 정해두고,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상기 설정 온도 또는 일정 거리를 조작 변경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실내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실내 측위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실내 측위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실내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실내 위치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출입 여부를 인지하여 실내 난방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원격 난방 제어 방법은, 사용자 단말이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보일러 시스템의 난방 제어를 원격 조작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원격 조작이 요청되면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단말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사용자별 설정 온도에 따라 실내 난방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상기 보일러 시스템과 연결된 무선접속장치를 통해 상기 보일러 시스템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 폰과 같이 개인 휴대 단말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격 난방 제어를 요청하면 서버에서 원격 난방 제어를 요청한 사용자를 식별하고 해당 사용자가 원하는 설정 온도에 따라 난방을 개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기존의 온도조절기 또는 월패드를 조작하지 않더라도 원격으로 난방 제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특히, 사용자가 원하는 설정 온도를 미리 설정해 두고,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원격 난방 제어를 요청하면 서버가 기 설정된 사용자별 설정 온도에 따라 원격으로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자동 난방 제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임의 실내에서 각 방별로 주인 또는 주 거주자에 해당하는 사용자를 매칭하여 설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식별되면 식별된 사용자의 방별로 난방 온도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방은 개인별로 최상의 컨디션을 유지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외출한 경우 GPS 위치 추적을 통해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가 일정 거리 내로 진입하면 해당 거리에 따라 원격으로 난방 제어를 자동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지정된 장소로부터 외부로 15m 거리 반경 내에 위치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설정 온도로 난방을 자동 제어하거나 또는 거리에 따라 정해진 설정 온도로 난방을 자동 제어할 수 있다. 또, 15m 거리 반경에 벗어나면 난방을 OFF하여 외출 모드로 자동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실내에 위치하는 경우 실내 위치를 추적하여 사용자의 방에 들어가거나 나오는 출입 여부에 따라 원격으로 난방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동일한 실내 또는 실외에 다수 존재하는 경우 각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는 공간 및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중복 제어로 인한 혼동을 해소하고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정 내 난방 제어 이외에, 기숙사나 교내, 기업 등으로 확장하여 난방 또는 전기 소등 등의 원격 제어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난방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격 난방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시스템에 적용되는 컨트롤러서비스 제공 서버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한 데이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실내 측위 장치와 연동하여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각 방별로 난방 제어하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원격 난방 제어를 수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외에서 사용자별 기호에 따라 난방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접속장치를 컨트롤러에 탑재하여 일체로 구현하는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난방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인식 자동 난방을 위한 원격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난방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격 난방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원격 난방 제어 시스템은 임의 실내에 설치된 기존 보일러 시스템(B)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해 조작하는 사용자 단말(40)과, 사용자 단말(40)을 식별하고 사용자 단말(40)의 원격 제어를 관리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60), 보일러 시스템(B)과 서비스 제공 서버(60)간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인터페이스하는 무선접속장치(5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도 1과 도 2의 차이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 1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시스템은 무선접속장치(50)가 보일러 시스템(B)과 별개의 독립적인 장치로 구현되고, 도 2의 실시예에서는 보일러 시스템(B)의 모터 컨트롤러(30) 내에 탑재되어 모터 컨트롤러(30)와 일체로 구현되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2의 경우 모터 컨트롤러(30)가 자체적으로 무선 인터넷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서비스 제공 서버(60)가 모터 컨트롤러(30)와 직접 연계되어 보일러 시스템(B)을 원격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아래와 같이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보일러 시스템(B)은 일반적으로 연소기기가 포함되어 난방수를 생성하고 순환시키는 보일러(10)와, 보일러(10)로부터 배출되는 난방수를 각 방으로 분배하고 모터구동밸브에 의해 유량을 각 방별로 제어하기 위한 유량 제어기(20), 유량 제어기(20)의 모터구동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모터 컨트롤러(30)를 포함한다. 모터 컨트롤러(30)는 유선으로 무선접속장치(50)와 연결된다.
무선접속장치(Access Point; AP)(50)는 실내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 또는 무선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하는 모듈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접속장치(50)는 기존 오프라인 상태의 보일러 시스템(B)을 원격 제어하기 위해 서비스 제공 서버(60)로 무선 접속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을 의미한다. 일 예로, 무선접속장치(50)는 와이파이(WiFi) 모듈 또는 블루투스(BLE) 모듈을 포함하여 적용할 수 있으며, 이때의 각 모듈은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의 기능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실내에 인터넷 제공업체가 제공하는 무선 랜 공유기가 존재하는 경우 이를 경유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60)와 무선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최근 블루투스 모듈은 블루투스 4세대라 하여, 저전력 디바이스와 센서를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기기에 연결하는 블루투스 저전력(Bluetooth Low Energy; BLE)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기존의 일반적인 블루투스 모듈은 가까운 거리에서 데이터나 음성을 교환할 때 사용하는 무선 기술로, 스마트 폰이나 노트북, PC 주변장치, 이어폰 등 장치간에 데이터, 오디오 및 비디오를 전송하는 데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블루투스 기술은 고전류를 소모하기 때문에 배터리 교체나 충전 없이 장시간 동작을 수행하는 배터리 기반 어플리케이션들에는 적당하지 않다. 이에 반해, 블루투스 저전력 기술을 이용한 모듈은 기존 블루투스 대비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고 최대 100m에 달하는 안정적 데이터 전송 지원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사용자 단말(40)은 원격 난방 제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구축된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40)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보일러 시스템(B)의 난방 제어를 요청하면 경우에 따라 제어할 설정 온도를 입력하고 입력된 설정 온도와 함께 요청 메시지를 서비스 제공 서버(60)로 전달한다.
이때,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될 때, 사용자 단말(40)의 단말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60)로 전달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사용자별 또는 실내 공간(방)별 원격 난방 제어를 위한 설정 온도 조회 및 설정 온도를 조작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한다. 예컨대, 어플리케이션은 도 6에 예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를 기준으로 검색한 경우 해당 사용자가 조작 가능한 실내 공간과 상기 실내 공간별로 현재 온도 및 설정할 설정 온도가 표시되고, 추가적으로 설정 온도를 변경할 수 있는 스크롤 조작 화면이 표시되어 상기 화면을 통해 실내 난방 제어를 조작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40)은 주로 스마트 폰을 활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개인 휴대폰이나 PC, 노트북 등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통신 모듈 및 어플리케이션의 구축이 가능한 단말이라면 단말의 종류에 관계없이 모두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서비스 제공 서버(60)는 사용자 단말(40)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원격 제어 요청과 함께 사용자 단말(40)의 단말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를 식별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식별이 정상적으로 인증되면 서비스 제공 서버(60)가 식별된 사용자가 원하는 사용자별 설정 온도에 따라 실내 난방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무선접속장치(50)를 통해 보일러 시스템(B)에 전송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보일러 시스템(B)의 모터 컨트롤러(30)에 전송한다.
이때, 사용자가 원하는 사용자별 설정 온도는 서비스 제공 서버(60)가 미리 사용자 단말(40)로부터 입력받아 설정해 두고 사용자 정보와 함께 매칭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제공받을 수 있다. 또는, 서비스 제공 서버(60)에서 사용자의 식별이 정상 인증되면 사용자 단말(40)에게 사용자별 설정 온도의 입력을 요구하여 사용자 단말(40)로부터 실시간 입력받음으로써 제공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비스 제공 서버(60)는 사용자의 식별이 정상적으로 인증되면 해당 사용자가 사전에 설정해 둔 사용자별 설정 온도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자동 모드 또는 수동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자동 모드의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60)는 기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사용자별 설정 온도를 조회하여 조회된 사용자별 설정 온도에 따라 원격 제어를 수행하고, 수동 모드의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60)가 사용자 단말(40)에게 원하는 설정 온도를 입력하도록 요구할 수 있다.
이는 사람마다 체감 온도가 각기 달라 동일한 실내 온도라 하더라도 각 사용자가 느끼는 실내 온도가 다를 수 있다. 예컨대, 동일한 23 ℃ 경우 열이 많은 사용자는 따뜻하게 느껴지고 어떤 사용자는 춥게 느껴질 수 있다. 따라서, 각 사용자의 개인별 체감 온도를 반영하여 사용자가 거주 또는 생활하는 실내를 사용자별 원하는 설정 온도로 제어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본 발명의 주 목적이다. 이를 사용자별 설정 온도라 칭한다.
한편, 서비스 제공 서버(60)는 자동 모드의 경우 사용자가 조작한 설정 온도의 이력을 조회하여 사용자가 일정 기간 동안 설정한 이력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기호 또는 취향에 따른 통계적인 설정 온도를 추출하고 추출한 설정 온도로 원격 난방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통계적인 설정 온도를 추출할 시 기상청 서버와 연동하여 현재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날씨, 온도를 반영하여 적절한 난방 설정 온도를 추출할 수도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서버(60)는 임의 실내에서 각 방별로 주인 또는 주 거주자에 해당하는 사용자를 매칭하여 설정해 둠으로써 사용자를 식별하면 해당 사용자와 매칭되는 방별로 원격 제어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서버(60)는 사용자별로 원격 제어 가능한 사용자 권한을 설정할 수 있다. 실내가 여러 공간(방)으로 구분되고 각 실내 공간마다 난방 개별 제어가 가능한 경우 실내 공간별로 사용자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A는 방1, 방2, 방3, 거실에 대하여 실내 난방을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권한을 가지며, 사용자 B는 방3에 대해서만 실내 난방을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권한을 가지도록 제한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권한 설정은 실내 난방의 관리자 또는 사용자들이 직접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서버(60)는 사용자 권한에 대한 우선순위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위 예시에서 사용자 A 와 B가 동일한 실내 공간에 위치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60)는 사용자 A 와 B가 설정한 사용자별 설정 온도에 기초하여 실내 난방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데, 사용자 권한이 중복되는 방3에 대해서는 중복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우선순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A 또는 B 중 우선순위가 높은 사용자의 설정 온도를 기준으로 제어를 수행한다.
한편, 서비스 제공 서버(60)는 사용자 단말(40)이 실내에 위치한 경우 실내 측위 장치를 통해 사용자 단말(40)의 실내 위치를 파악하고, 사용자 단말(40)이 주 거주지인 방에 들어가거나 나오면 각 방별로 난방 제어를 수행하도록 무선접속장치(50)를 통해 모터 컨트롤러(30)로 해당 사용자별 난방 제어를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 도 5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서비스 제공 서버(60)는 사용자 단말(40)이 실내가 아닌 실외에 위치하고 있을 때 GPS를 통해 사용자 단말(40)의 위치를 추적하고, 사용자 단말(40)의 위치가 지정된 장소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진입하게 되면 무선접속장치(50)를 통해 모터 컨트롤러(30)로 해당 사용자별 난방 제어를 요청한다. 이를 위해 서비스 제공 서버(60)는 사용자 회원 가입을 통해 사용자 단말(40)에 대한 단말 정보 및 위치 정보 제공에 대한 동의를 사전에 제공받아야 한다.
지정된 장소는 실내 난방이 위치한 실내가 될 수 있고, 또는 실내 인근 건물, 사용자가 임의로 지정하는 위치 정보가 될 수 있다. 또한, 지정된 장소로부터 일정 거리는 사용자별로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A는 15m로 설정하고, 사용자 B는 5m로 설정하여 사용자 B에 비해 사용자 A에 대하여 사전에 미리 실내 보일러를 작동시켜 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일정 거리에 따라 설정 온도를 정해두고 이를 제어 및 변경할 수 있다. 이를 테면, 사용자가 거리 15m 내로 진입하면 18℃로, 거리 5m 내로 진입하면 설정 온도22℃로 설정하도록 정해두고,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18℃, 22℃의 설정 온도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원격 난방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40)의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다수의 사용자를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자가 원하는 설정 온도, 사용자 권한, 우선 순위에 따라 실내 난방을 개별적으로 원격 제어함으로써 각 사용자가 거주 또는 생활하는 실내를 사용자가 원하는 쾌적한 온도로 제공하는 데 특징이 있다. 특히, 사용자 단말(40)이 외출하였거나 실내의 어느 공간에 위치한 경우에도 스마트 폰을 통해 위치 확인이 가능하고 사용자가 지정된 실내 공간(실내의 경우) 또는 지정된 일정 거리 내(실외의 경우)에 진입하게 되면 원격으로 난방 제어를 자동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시스템에 적용되는 서비스 제공 서버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한 데이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60)는 통신부(61), 사용자 식별부(62), 사용자 정보 DB(63), 권한 설정부(64), 개별 제어부(65), 제어 이력부(66), 위치 인식부(67)를 포함한다.
통신부(61)는 보일러 시스템(B) 또는 사용자 단말(40)과의 데이터 통신을 담당한다. 이때, 통신부(61)는 통신망(70) 또는 무선접속장치(50)에 접속하기 위한 모듈을 포함한다.
사용자 식별부(62)는 통신부(61)를 통해 접속한 사용자 단말의 단말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를 식별한다. 사용자의 식별은 사용자 정보 DB(63)에 기저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DB(63)는 사용자에 관한 인적 정보, 사용자의 단말 정보가 기본적으로 구축되어 있다. 또한, 사용자 정보 DB(63)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사용자별로 주 거주지인 방 정보, 사용자 권한 설정 정보, 난방 설정 온도, 우선 순위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권한 설정부(64)는 실내 공간에 따라 사용자별로 난방 제어가 가능한 사용자 권한 여부를 설정하여 사용자 정보 DB(63)에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사용자A는 방1, 방2, 방3, 거실1에 대하여 제어가 가능하고, 사용자B 및 D는 각각 방3, 거실1에 대해서만 제어가 가능한 것으로 제한할 수 있다. 사용자C는 방1, 방2에 대하여 제어가 가능하도록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권한은 관리자 또는 각 사용자가 직접 설정이 가능하다.
개별 제어부(65)는 사용자 식별부(62)를 통해 사용자의 식별이 정상적으로 인증되면 식별된 사용자가 원하는 설정 온도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사용자별 설정 온도에 따라 실내 난방의 온도를 제어한다. 이때, 실내 난방의 온, 오프 동작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된 사용자가 실내에 위치하거나 실내로 진입하는 경우 실내 난방 제어를 위해 온 동작을 원격 제어할 수 있고, 식별된 사용자가 실외에 위치하고 지정된 거리를 벗어나는 경우 실내 난방을 오프하여 외출 모드로 원격 제어할 수 있다.또한, 개별 제어부(65)는 각 사용자의 방 정보 또는 사용자 권한 정보가 설정된 경우 방(공간)별로 사용자가 원하는 설정 온도에 기초하여 개별 제어가 가능하다. 사용자가 원하는 설정 온도는 사용자 정보 DB(63)에 기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조회하여 제공받을 수 있으며, 또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동 입력을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개별 제어부(65)는 각 사용자마다 자동 모드, 수동 모드로 구분하여 설정하고 설정된 모드에 따라 사용자별 설정 온도를 제공받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 모드로 설정된 경우, 개별 제어부(65)가 사용자 정보 DB(63)에 기 저장된 데이터를 조회하여 사용자 단말이 사전에 설정해 둔 사용자별 설정 온도를 추출하고 추출한 사용자별 설정 온도에 기초하여 실내 난방을 자동 제어할 수 있다. 부가로, 자동 모드로 설정된 경우 개별 제어부(65)가 제어 이력부(66)와 연동하여 일정 기간 동안 사용자가 조작한 설정 온도의 이력을 기초로 사용자의 기호 또는 취향을 반영한 통계적인 설정 온도를 추출할 수 있다. 부가로, 자동 모드로 설정된 경우 개별 제어부(65)가 기상청 서버와 연동하여 현재 사용자가 위치한 지역의 날씨, 온도를 반영하여 적절한 난방 설정 온도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수동 모드로 설정된 경우 개별 제어부(65)가 사용자 단말에게 사용자가 원하는 설정 온도를 입력하도록 요구하고 사용자 단말의 수동 입력을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개별 제어부(65)는 사용자 식별부(62)를 통해 사용자의 식별이 정상적으로 인증되면 권한 설정부(64)에서 기 설정된 사용자 권한 정보에 따라 해당 실내 공간의 난방 온도를 개별적으로 원격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실내 난방의 온, 오프 동작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도 4의 예시와 같이 사용자 A로 식별한 경우 사용자 권한이 있는 방1, 방2, 방3, 거실1에 대하여 실내 난방의 온도를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 B의 경우 사용자 권한이 있는 방3에 한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설정 온도 23℃로 개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개별 제어부(65)는 사용자 권한에 대한 우선순위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식별부(62)를 통해 사용자의 식별이 정상 인증되면 개별 제어부(65)가 기 설정된 우선순위 정보에 따라 해당 실내 공간의 난방 제어를 우선적으로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르면, 동일한 실내 공간에 대하여 다른 사용자와의 중복 제어를 방지할 수 있다. 도 4의 예시에서 사용자 A와 B, 사용자 A와 C, 사용자 A와 D가 같이 동일한 실내 공간에 중복되는 사용자 권한을 갖는 사용자들끼리 공존하는 경우 우선순위가 높은 사용자 A의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를 수행한다.
한편, 개별 제어부(65)는 위치 인식부(67)와 연동하여 GPS를 통해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추적하고,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지정된 장소로부터 일정 거리 내로 진입하게 되면 보일러 시스템의 컨트롤러로 난방 제어를 요청할 수 있다. 이때, 개별 제어부(65)는 사용자가 사전에 설정한 사용자별 설정 온도를 제공받아 이를 근거로 난방의 온도를 제어한다.
한편, 개별 제어부(65)는 실내에 설치된 실내 측위 장치와 연동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로부터 사용자가 방에 들어가는 것으로 인지하면 해당 방의 난방 온도를 제어한다.
일 예로, 도 5에 실내 측위 장치와 연동하여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각 방별로 난방 제어하는 개념을 도시하고 있다.
실내 측위 장치(S1, S2, S3, S4 등)는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각 방에 설치되는데, 각 방에 구비된 난방 온도 조절기(A)에 탑재되어 설치되거나, 동글(dongle) 형태로 구비되어 각 방의 출입구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실내 측위 장치(S1, S2, S3, S4 등)는 일 예로 BLE 모듈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와이파이 모듈, 각종 센서 등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각 방으로 사용자 단말이 진입하면 각 방에 설치되어 있는 실내 측위 장치(S1, S2, S3, S4 등)가 사용자 단말을 감지하고, 단말 정보와 실내 측위 장치가 설치된 방 위치 정보를 기본적으로 포함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실내 측위 장치(S1, S2, S3, S4 등)는 실내에서 무선 인터넷 연결을 위해 구축된 무선 랜 공유기(WiFi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실내 측위 장치(S1, S2, S3, S4 등)로부터 수신한 단말 정보와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자가 각 방으로 출입하는 여부에 따라 난방 온, 오프 및 온도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식별된 사용자에 대하여 주 거주지인 방 정보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식별된 사용자가 자신의 방으로 출입하는 경우에 한하여 난방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원격 난방 제어를 수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즉,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임의 실내에 대한 난방 제어 화면을 호출하면, 도 6에 예시한 바와 같이 해당 실내에 대하여 방(공간)별로 현재 실내 온도, 사용자별 설정 온도가 표시되고, 각 방(공간)별로 설정 온도를 변경할 수 있는 스크롤 조작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해당 실내에 사용자 권한을 가진 사용자(사용자 B, 사용자 F)에 한하여 현재 원격 제어 중인 난방 현황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사용자ID에 기초하여 로그인을 수행하면, 사용자ID가 조작 가능한 방 정보와 각 방별로 현재 실내 온도, 사용자별 설정 온도가 표시되고, 사용자별 설정 온도를 변경할 수 있는 스크롤 조작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외에서 사용자별 기호에 따라 난방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지정된 실내로부터 실내 또는 실외에 위치한 사용자의 위치가 표시되고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자동 난방 제어를 수행하는 현황이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지정된 실내로부터 5km 거리 내에 진입한 사용자가 식별되는 경우 20℃로 난방 온도를 제어하고, 지정된 실내(가정)로부터 5km 이상 15km 거리 내에 진입하는 사용자가 식별되면 실내 난방을 18℃로 제어하는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 7의 인터페이스 화면에는 5km 거리 내에 사용자 A, D가 위치하고, 5km 이상 15km 거리 내에는 사용자 F, C가 위치한 상태를 보여주고 있으나, 이들 중 사용자별로 위치 인식을 지정한 사용자에 한하여 원격 제어를 수행하고, 또한 사용자별로 주 거주지인 방 정보가 설정되어 있는 일정 거리 내에 진입 시 설정된 각 방별로 원격 제어를 수행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접속장치를 모터 컨트롤러에 탑재하여 일체로 구현하는 예를 보인 도면이다.
예컨대, 무선 인터넷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와이파이 모듈 또는 블루투스 모듈(51; 이하, 커넥트 모듈)을 SD카드 타입으로 구현하고, 이 SD 카드 타입의 커넥트 모듈(51)을 모터 컨트롤러의 PCB 보드 또는 보드 타입의 통신 모듈(52)에 삽입하여 장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무선접속장치와의 통신 없이 사용자 단말이 모터 컨트롤러와 직접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터 컨트롤러는 스마트 폰이나,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 지원 단말기로 제어 및 모니터링이 가능한 IoT(Internet Of Things) 단말로 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상기의 구성에 기초하여 원격 난방 제어 방법에 대하여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9를 참조하면, 처음 S3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40)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실내 보일러 시스템의 난방 제어를 원격 조작하면, 어플리케이션이 서비스 제공 서버(60)로 단말 정보를 제공한다.
다음 S4 단계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60)가 사용자 단말(40)로부터 수신한 단말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식별한다.
이후, 서비스 제공 서버(60)가 사용자의 식별이 정상 인증되면 해당 사용자가 원하는 사용자별 설정 온도에 기초하여 실내 난방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무선접속장치(50)를 통해 보일러 시스템으로 전달한다.
이때, 서비스 제공 서버(60)가 자동 모드 및 수동 모드로 구분하여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즉, S5 단계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60)가 사용자 단말(40)의 어플리케이션으로 자동 모드 또는 수동 모드의 설정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S6 단계에서, 해당 사용자 단말(40)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자동 모드 또는 수동 모드의 설정을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다. 입력된 정보는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저장되어 사용자별로 데이터베이스화된다.
자동 모드의 선택시, S7 및 S8 단계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60)가 사용자 정보 DB에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각 사용자별로 설정된 설정 온도를 조회하고 조회된 사용자별 설정 온도에 따라 원격 제어한다.
수동 모드의 선택시, S9 단계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60)가 사용자 단말(40)의 어플리케이션으로 조작하고자 하는 설정 온도를 입력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다음 S10 및 S11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40)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사용자별 설정 온도를 입력하고 이를 서비스 제공 서버(60)로 제공한다.
S12 단계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60)가 사용자 단말(4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별 설정 온도에 기초하여 원격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를 무선접속장치(50)를 통해 보일러 시스템으로 전달한다.
상기 S8 및 S12 단계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60)는 각 사용자별로 난방 제어가 가능한 사용자 권한 정보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 권한 정보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60)가 기 설정된 사용자 권한 정보에 따라 실내 난방의 온도 또는 온/오프 동작을 제어한다. 또, 실내의 공간이 구분되어 있는 경우 공간에 따라 개별적으로 난방의 온도 또는 온/오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S8 및 S12 단계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60)가 사용자 권한 정보에 대한 우선순위 정보가 포함되는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포함되어 있는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60)가 기 설정된 우선순위 정보에 따라 해당 실내 난방의 제어를 우선적으로 수행하도록 한다.
한편, 사용자가 외출한 경우 도 10의 과정을 통해 원격 제어가 가능하다.
먼저 S20 단계와 같이, 서비스 제공 서버(60)가 GPS 통신을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40)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다음 S21 단계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60)가 추적한 사용자 단말(40)의 위치가 지정된 장소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지정된 장소로부터 일정 거리는 각 사용자별로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일정 거리마다 단계적으로 설정 온도를 다르게 설정하고 설정된 온도를 각 사용자가 변경 및 조작할 수 있다.
다음 S22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40)의 위치가 지정된 장소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하면, 서비스 제공 서버(60)가 무선접속장치를 통해 보일러 시스템의 모터 컨트롤러(30)로 일정 거리 이내임을 알리고 해당 사용자에 대한 난방 제어를 요청한다. 이상에서, 가정 내 난방 제어와 관련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숙사나 교내, 기업 내에서 난방 제어 또는 전기 소등 제어 등으로 확장하여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 보일러 20: 유량 제어기
30: 모터 컨트롤러 40: 사용자 단말
50: 무선접속장치(AP) 60: 서비스 제공 서버
70: 통신망 61: 통신부
62: 사용자 식별부 63: 사용자 정보 DB
64: 권한 설정부 65: 개별 제어부
66: 제어 이력부 67: 위치 인식부

Claims (20)

  1. 사용자 단말에 탑재되어 실내 보일러 시스템의 난방 제어를 원격 조작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상기 보일러 시스템과 연결되어 상기 보일러 시스템의 원격 제어를 위해 무선 인터넷에 접속을 수행하는 무선접속장치;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원격 조작이 요청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단말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를 식별하고,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사용자별 설정 온도에 따라 실내 난방을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상기 무선접속장치를 통해 상기 보일러 시스템에 전송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별로 주 거주지인 방 정보가 설정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단말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서로 다른 사용자를 각각 식별하면 식별된 사용자의 방별로 실내 난방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난방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일러 시스템은, 보일러에서 배출되는 난방수를 각 방으로 분배하고 모터구동밸브에 의해 유량을 제어하는 유량 제어기와, 상기 유량 제어기의 상기 모터구동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무선접속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되는 모터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별 설정 온도에 따라 실내 난방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상기 무선접속장치를 통해 상기 모터 컨트롤러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난방 제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별 설정 온도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 기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사전에 설정해 둔 사용자별 설정 온도를 조회하여 제공받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의 수동 입력을 통해 실시간으로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난방 제어 시스템.
  4. 삭제
  5. 사용자 단말에 탑재되어 실내 보일러 시스템의 난방 제어를 원격 조작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상기 보일러 시스템과 연결되어 상기 보일러 시스템의 원격 제어를 위해 무선 인터넷에 접속을 수행하는 무선접속장치;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원격 조작이 요청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단말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를 식별하고,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사용자별 설정 온도에 따라 실내 난방을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상기 무선접속장치를 통해 상기 보일러 시스템에 전송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각 사용자마다 원격 제어가 가능한 사용자 권한 정보를 방별로 구분하여 설정하고, 기 설정된 사용자 권한 정보에 따라 각 방별로 원격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난방 제어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권한 정보에 대한 우선순위 정보를 설정하여, 기 설정된 우선순위 정보에 따라 원격 제어를 우선적으로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난방 제어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일정 기간 동안 상기 사용자 단말이 원격 조작한 이력에 기초하여 사용자별 기호 또는 취향에 근거한 통계적인 설정 온도를 추출하고, 추출한 설정 온도에 따라 실내 난방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상기 무선접속장치를 통해 상기 보일러 시스템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난방 제어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실행될 때, 사용자가 원격 조작이 가능한 방 정보와, 각 방별로 현재 실내 온도 및 설정하고자 하는 설정 온도가 표시되며, 상기 설정 온도를 변경할 수 있는 스크롤 조작 화면이 표시되어 상기 화면을 통해 실내 난방의 온도를 조작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난방 제어 시스템.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접속장치는,
    상기 보일러 시스템의 상기 모터 컨트롤러에 삽입되는 SD카드 타입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난방 제어 시스템.
  10. 삭제
  11. 사용자 단말에 탑재되어 실내 보일러 시스템의 난방 제어를 원격 조작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상기 보일러 시스템과 연결되어 상기 보일러 시스템의 원격 제어를 위해 무선 인터넷에 접속을 수행하는 무선접속장치;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원격 조작이 요청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단말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를 식별하고,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사용자별 설정 온도에 따라 실내 난방을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상기 무선접속장치를 통해 상기 보일러 시스템에 전송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GPS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추적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지정된 장소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하면 실내 난방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상기 무선접속장치로 전송하되,
    상기 일정 거리에 따라 설정 온도를 미리 정해두고,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상기 설정 온도 또는 일정 거리를 조작 변경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난방 제어 시스템.
  12. 사용자 단말에 탑재되어 실내 보일러 시스템의 난방 제어를 원격 조작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상기 보일러 시스템과 연결되어 상기 보일러 시스템의 원격 제어를 위해 무선 인터넷에 접속을 수행하는 무선접속장치;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원격 조작이 요청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단말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를 식별하고,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사용자별 설정 온도에 따라 실내 난방을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상기 무선접속장치를 통해 상기 보일러 시스템에 전송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고,
    실내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실내 측위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실내 측위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실내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실내 위치 정보로부터 사용자별 출입 여부를 인지하여 실내 난방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난방 제어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별로 주 거주지인 방 정보가 설정되고,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실내 위치 정보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기 설정된 방에 출입하는 것으로 인지하면 상기 기 설정된 방별로 실내 난방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난방 제어 시스템.
  14. 사용자 단말이 단말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보일러 시스템의 난방 제어를 원격 조작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원격 조작이 요청되면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단말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사용자별 설정 온도에 따라 실내 난방을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상기 보일러 시스템과 연결된 무선접속장치를 통해 상기 보일러 시스템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실내 난방을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각 사용자마다 원격 제어가 가능한 사용자 권한 정보를 방별로 구분하여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기 설정된 사용자 권한 정보에 따라 각 방별로 원격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난방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보일러 시스템은, 보일러에서 배출되는 난방수를 각 방으로 분배하고 모터구동밸브에 의해 유량을 제어하는 유량 제어기와, 상기 유량 제어기의 상기 모터구동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무선접속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되는 모터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실내 난방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별 설정 온도에 따라 실내 난방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상기 무선접속장치를 통해 상기 모터 컨트롤러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난방 제어 방법.
  16. 삭제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난방을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사용자 권한 정보에 대한 우선순위 정보를 설정한 경우, 기 설정된 우선순위 정보에 따라 원격 제어를 우선적으로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난방 제어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난방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일정 기간 동안 상기 사용자 단말이 원격 조작한 이력에 기초하여 사용자별 기호 또는 취향에 근거한 통계적인 설정 온도를 추출하고, 추출한 설정 온도에 따라 실내 난방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상기 무선접속장치를 통해 상기 보일러 시스템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난방 제어 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GPS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추적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지정된 장소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하면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실내 난방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상기 무선접속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난방 제어 방법.
  20. 사용자 단말이 단말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보일러 시스템의 난방 제어를 원격 조작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원격 조작이 요청되면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단말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사용자별 설정 온도에 따라 실내 난방을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상기 보일러 시스템과 연결된 무선접속장치를 통해 상기 보일러 시스템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실내 난방을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실내에 설치된 실내 측위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실내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실내 위치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출입 여부를 인지하여 실내 난방을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원격 난방 제어 방법.
KR1020150051652A 2015-04-13 2015-04-13 원격 난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641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1652A KR101641165B1 (ko) 2015-04-13 2015-04-13 원격 난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CT/KR2016/003900 WO2016167575A1 (ko) 2015-04-13 2016-04-14 원격 난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1652A KR101641165B1 (ko) 2015-04-13 2015-04-13 원격 난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1165B1 true KR101641165B1 (ko) 2016-07-20

Family

ID=56680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1652A KR101641165B1 (ko) 2015-04-13 2015-04-13 원격 난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41165B1 (ko)
WO (1) WO2016167575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2777B1 (ko) 2016-04-25 2018-01-30 한국지역난방공사 사물인터넷 기반 지역난방 사용자 시설 모니터링 및 효율 개선 시스템
KR20180114277A (ko) 2017-04-07 2018-10-18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실내 맞춤형 난방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90063037A (ko) * 2017-11-29 2019-06-07 윌로펌프 주식회사 지역난방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10333679A (zh) * 2019-07-11 2019-10-15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家电控制方法
KR20190124770A (ko) * 2017-04-19 2019-11-05 그리 일렉트릭 어플라이언시즈 (우한) 컴퍼니 리미티드 온수기 제어 장치 및 방법, 온수기 그리고 그 제어 시스템
KR20200075080A (ko) 2018-12-10 2020-06-26 주식회사 가람아이앤씨 지역난방설비를 활용한 IoT난방제어시스템
KR20210131066A (ko) 2020-04-23 2021-11-02 주식회사 가람아이앤씨 IoT 통합난방관리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22038A (zh) * 2020-04-14 2022-04-12 超达阀门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技术的分布式智能供暖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4158A (ja) * 1999-06-25 2001-01-12 Tokyo Gas Co Ltd 床暖房制御方法及び床暖房装置
KR20130058219A (ko) * 2011-11-25 2013-06-04 주식회사 케이티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가전 제어 방법
KR20140074180A (ko) * 2013-08-29 2014-06-17 곽동연 에너지 절감을 위한 난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6670B1 (ko) * 2012-11-12 2015-12-14 주식회사 경동원 스마트 폰 앱을 이용한 난방시스템의 원격 제어 및 관리 장치와 이를 이용한 난방시스템의 원격 제어 및 관리방법
KR101489772B1 (ko) * 2013-12-31 2015-02-04 주식회사 경동원 스마트폰앱을 이용한 보일러비용 자동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4158A (ja) * 1999-06-25 2001-01-12 Tokyo Gas Co Ltd 床暖房制御方法及び床暖房装置
KR20130058219A (ko) * 2011-11-25 2013-06-04 주식회사 케이티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가전 제어 방법
KR20140074180A (ko) * 2013-08-29 2014-06-17 곽동연 에너지 절감을 위한 난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2777B1 (ko) 2016-04-25 2018-01-30 한국지역난방공사 사물인터넷 기반 지역난방 사용자 시설 모니터링 및 효율 개선 시스템
KR20180114277A (ko) 2017-04-07 2018-10-18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실내 맞춤형 난방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90124770A (ko) * 2017-04-19 2019-11-05 그리 일렉트릭 어플라이언시즈 (우한) 컴퍼니 리미티드 온수기 제어 장치 및 방법, 온수기 그리고 그 제어 시스템
KR102225835B1 (ko) * 2017-04-19 2021-03-11 그리 일렉트릭 어플라이언시즈 (우한) 컴퍼니 리미티드 온수기 제어 장치 및 방법, 온수기 그리고 그 제어 시스템
US11525585B2 (en) 2017-04-19 2022-12-13 Gree Electric Appliances (Wuhan)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water heater, water heater, and controlling system thereof
KR20190063037A (ko) * 2017-11-29 2019-06-07 윌로펌프 주식회사 지역난방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994689B1 (ko) * 2017-11-29 2019-07-01 윌로펌프 주식회사 지역난방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200075080A (ko) 2018-12-10 2020-06-26 주식회사 가람아이앤씨 지역난방설비를 활용한 IoT난방제어시스템
CN110333679A (zh) * 2019-07-11 2019-10-15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家电控制方法
KR20210131066A (ko) 2020-04-23 2021-11-02 주식회사 가람아이앤씨 IoT 통합난방관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67575A1 (ko) 2016-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1165B1 (ko) 원격 난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6665244B2 (ja) ターゲット装置を制御するための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プロトコル及び方法
US20140129006A1 (en) Smart gateway, smart home system and smart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6543282B2 (ja) ネットワーク接続されたサーモスタットを管理するための方法
US11137158B2 (en) HVAC control with a remote user interface and a remote temperature sensor
US9516474B2 (en) Passive indoor occupancy detection and location tracking
CN104932255B (zh) 一种智能家居自适应控制的方法
TWI488463B (zh) 智慧閘道、智慧家居系統及家電設備的智慧控制方法
CA2958934C (en) Thermostat update and copy methods and systems
US20100033296A1 (en) Remote location control method and system, remote control end and controlled end
CN105805881B (zh) 一种控制空调开启的方法、装置和系统
WO2013170791A1 (en) Information control system
KR101644989B1 (ko) 스마트 폰 앱을 이용한 난방시스템의 원격 제어 및 관리 장치
US20140288672A1 (en)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System
KR101555678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보일러 온도조절기의 무선 억세스 포인트 등록방법
CN108278728B (zh) 一种多用户注册使用的空调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WO2022166339A1 (zh) 智能家居控制方法、终端设备及智能家居控制系统
US20160258640A1 (en) Wall module with close range communication
CN112013516A (zh) 空气调节设备及其自动控制方法、终端控制设备
US11240537B2 (en) Set-top box with enhanced features and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ame
CN210573285U (zh) 一种基于wifi的插卡取电设备的远程控制系统
US20150070141A1 (en) Wireless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setting the control system
JP2021032535A (ja) 空調制御装置、空調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US9351323B2 (en) Method of registering electric devices in wireless control system
US11871045B2 (en) Set-top box with enhanced features and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