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4547B1 - 소음 감소구조가 적용된 롤 스크린 장치 - Google Patents

소음 감소구조가 적용된 롤 스크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4547B1
KR101824547B1 KR1020160097101A KR20160097101A KR101824547B1 KR 101824547 B1 KR101824547 B1 KR 101824547B1 KR 1020160097101 A KR1020160097101 A KR 1020160097101A KR 20160097101 A KR20160097101 A KR 20160097101A KR 101824547 B1 KR101824547 B1 KR 101824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chain
guider
linear chain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7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우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상테크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상테크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상테크롤
Priority to KR1020160097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45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4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4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 E06B9/17076Sealing or antirattling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9/54Roller fly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58Guid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를 구획하기 위한 칸막이 또는 각종 창호의 차단막이나 방충망 등의 목적으로 설치되는 롤 스크린 장치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동바의 상,하단에 결합되는 체인 가이더 내에 리니어 체인의 원활한 유동을 안내하기 위한 하부 안내체 및 상부 안내체를 각기 결합 형성하고, 상기 하부 안내체의 사이에는 굴절 안내구를 결합 형성하며, 상기 상부 안내체의 일측에는 충돌 감소구를 결합 형성하되, 상기 하부 안내체 및 충돌 감소구는 각기 연질 탄력재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하여 구성함에 따라, 스크린부재의 전개 혹은 권취를 위한 유동바의 이동과정에서 발생하던 리니어 체인과 체인 가이더 간의 간섭 소음을 현저히 감소시켜 매우 정숙한 사용이 이루어는 것이고, 체인 가이더를 통해 리니어 체인이 더욱 부드럽고 자연스럽게 굴절 및 회전되면서 유동바를 출입하므로 롤 스크린 장치의 사용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는 것이며, 체인 가이더를 통해 리니어 체인이 항상 유동바의 중앙부로 일정하게 출입할 수 있도록 하여 리니어 체인과 유동바의 직접적인 충돌을 방지함에 따라 그로 인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며, 리니어 체인과 체인 가이더 간의 충돌 및 리니어 체인과 유동바 간의 급작스런 충돌을 방지하여 이들 각 구성요소의 마모 및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각 구성요소를 포함한 롤 스크린 장치의 사용 수명이 크게 연장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소음 감소구조가 적용된 롤 스크린 장치 {Roll screen devices}
본 발명은 실내를 구획하기 위한 칸막이 또는 각종 창호의 차단막이나 방충망 등의 목적으로 설치되는 롤 스크린 장치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임체와 롤 개폐 유닛으로 분할 제작되어 프레임체의 크기에 따라 롤 개폐 유닛의 개체수를 다양하게 가변 적용시킬 수 있게 한 롤 스크린 장치에 있어, 상기 롤 개폐 유닛의 리니어 체인이 출입되는 유동바의 상,하단에 소음감소구조가 적용된 체인 가이더를 결합 형성함에 따라 체인 가이더와 리니어 체인 간의 간섭 소음 및 유동바와 리니어 체인 간의 간섭 소음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동시에 상기 리니어 체인이 체인 가이더로부터 더욱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를 구획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칸막이는 금속패널 혹은 석고보드 등을 이용하는 것으로, 금속패널 혹은 석고보드를 바닥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이어 세워 설치함에 따라 칸막이에 의한 실내 구획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고정형 칸막이가 아닌 접이식 칸막이 혹은 슬라이딩 도어 형태의 칸막이도 주로 설치 및 사용되고 있다.
이어, 다양한 크기로 설치되는 각종 창호의 경우 난방 및 빛이나 자외선 등의 차단을 목적으로 하는 차단막이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의 차단막은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308759호와 같이 롤 형태로 감긴 멤브레인 권취롤을 천정에 고정 설치한 후 상기 멤브레인을 하측으로 전개시켜 창호가 차단되도록 하거나 다시 상측의 권취롤에 멤브레인을 감아 창호가 개방될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차단막을 전개시키거나 권취시켜 창호의 채광량에 대한 조절 및 외부로부터의 프라이버시 침해 등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개폐형태의 창호인 경우 각종 해충이나 날벌레 등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방충망이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의 방충망은 통상적으로 메쉬부재를 프레임에 고정한 후 상기 프레임을 창틀에 고정 설치하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고, 근자에 들어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23675호와 같이 상기 메쉬부재를 권취롤에 감은 상태에서 상기 메쉬부재를 하측으로 잡아당겨 전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고, 전개된 메쉬부재는 권취롤 내부의 스프링에 의해 자동으로 감겨 올라갈 수 있도록 한 롤 방충망이 설치 및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때, 상기의 롤 스크린 장치는 통상적으로 권취롤에 스크린부재가 단순히 감겨진 형태를 갖고 있는 것으로, 이러한 기존의 롤 스크린 장치는 사용자의 인위적인 힘에 의존하여 스크린부재(섬유, 비닐 혹은 멤브레인이나 메쉬 등)을 전개하거나 권취하는 것이므로 사용상의 불편함이 매우 크고 스크린부재의 하단이나 양측단이 고정되어 있지 아니하여 바람에 의해 스크린부재의 펄럭임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또한, 하단 및 양측단이 고정되지 않고 단순히 늘어트린 전개 형태를 갖고 있어 이러한 롤 스크린 장치는 실내 구획을 위한 칸막이로 사용될 수 없는 것이다.
반면, 스프링에 의한 자동 권취수단이 적용된 롤 스크린 장치의 경우 펄럭임이나 유동이 전혀 없어 사용상의 편리함이 매우 뛰어난 것은 물론 방충 효과가 매우 우수한 특징을 갖고 있는 것인데, 상기의 자동 롤 스크린 장치의 경우 창호에 대한 개폐식 방충망으로 사용되는 동시에 차단막 장치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필요에 따라서는 이를 대형화하여 이를 실내 칸막이의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이에, 기존 롤 스크린 장치는 상부 권취롤로부터 스크린부재를 전개하기 위한 손잡이바가 스크린부재의 하단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하향 이동된 상태의 손잡이바를 고정하기 위한 하단고정대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며, 상기 하단고정대와 함께 스크린부재의 양측을 지지 고정하기 위한 측단고정대가 구비되어야 하는 것으로, 권취롤이 수용되는 상단지지대와 하단고정대 및 측단고정대에 의한 사각의 프레임체의 형태를 갖게 되는 것이다.
특히, 하단고정대의 경우 손잡이대를 고정 및 해제하기 위한 잠금수단을 장착하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다소 두꺼운 두께와 높이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상기의 롤 스크린 장치를 칸막이의 용도 혹은 창호에 장착 사용하는 경우 하단고정대가 갖고 있는 높이와 넓이로 인해 다양한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즉, 기존 롤 스크린 장치를 실내 칸막이의 용도로 활용하기 위해 실내 바닥으로부터 이를 수직으로 세워 설치하게 되면 상기의 하단고정대가 실내 바닥에 놓이게 되는데 이러한 하단고정대는 실내 바닥으로부터 상당한 높이를 갖고 상향 돌출되므로 통행에 불편함이 있는 것은 물론 발에 걸리거나 물건을 이동하는데 상당한 장해 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한편, 상기의 롤 스크린 장치는 상부로부터 하측으로 끌어당겨 칸막이의 형태로 사용되게 하거나 창호의 차단막 혹은 방충망으로 사용되는 것인데, 전체적으로 사각 프레임의 형태를 갖고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이를 회전시켜 횡방향으로 스크린부재가 전개될 수 있도록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롤 스크린 장치를 회전시켜 실내 구획을 위한 칸막이로 사용하게 되는 경우 마치 미닫이 출입문을 여닫는 것과 같은 작용 및 효과를 연출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스크린 장치의 측단고정대가 실내 바닥으로부터 상향 돌출되어 있어 여전히 통행에 불편함을 유발하게 되는 것이고, 창호 내에 고정 설치하는 경우에도 이들 측단고정대 및 하단고정대 등이 내측방향으로 일정한 두께와 폭을 갖고 돌출되어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창호의 개방 면적을 축소시키는 폐단을 갖고 있는 것이다.
또한, 기존의 롤 스크린 장치는 확장 혹은 가변성이 전혀 없어 실제 설치된 위치와 크기에 따라 각각의 롤 스크린 장치를 모두 개별적으로 제작하여야 하는 것이므 지극히 비효율적이고 비경제적인 것이고, 전개 방향 및 권취 방향의 전환이나 양방향 개폐와 같은 다양한 작용 형태를 갖는 롤 스크린 장치를 제작할 수 없어 효율성 및 사용성의 측면에서 매우 불리한 것이 사실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출원인은 2016년 특허출원 제0096790호와 같이, 롤 개폐 유닛과 사각 프레임체를 각기 제작하여 상기 사각 프레임체의 내측으로 롤 개폐 유닛을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사각 프레임체 내에 개별 롤 개폐 유닛을 연속 설치하거나 사각 프레임체 내에 양측으로 분할 설치할 수도 있게 하며, 이들 각각의 롤 개폐 유닛의 고정바로부터 전개 및 권취되는 스크린부재는 유동바의 내측으로 출몰되게 한 리니어 체인에 의해 안내되게 함에 따라,
스크린 장치의 설치 목적이나 설치 위치 및 설치 크기에 따라 간편하게 대응 제작이 가능한 사각 프레임체 내에 개별 제작된 롤 개폐 유닛을 단일 혹은 복수로 적용시켜 다양한 크기 및 형태로 된 스크린 장치를 제작할 수 있는 것이고, 스크린 장치를 이용하여 실내 칸막이 용도 혹은 창호의 개폐형 차단막의 용도 또는 창호의 개폐형 방충망의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며, 수직방향으로의 개폐 혹은 수평 방향으로의 개폐 등 설치 방향을 자유롭게 가변시킬 수도 있는 것으로 활용성 및 사용 편리성이 매우 탁월한 것이고, 롤 개폐 유닛의 스크린부재 역시 항상 긴장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외관상으로도 미려한 전개 상태를 지속적으로 연출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리니어 체인에 의한 롤 개폐 유닛이 가변 적용되게 한 스크린 장치를 안출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행의 롤 스크린 장치는 다수의 체인블럭을 결합 형성하여 된 리니어 체인이 체인 가이더를 통해 유동바로부터 출입하는 과정에서 상당한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즉, 상기의 리니어 체인은 도 1의 도시와 같이 각각의 체인블록(251)(251')을 사출 성형 또는 다이케스팅 성형을 통해 대량으로 제작한 후 이들 각 체인블록을 서로 조립 및 연결하여 만들어지는 것이므로 각 체인블록(251)(251') 간에는 조립을 위한 치수 공차로 인해 소정의 유격을 갖고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의 유격으로 인해 체인블록(251)(251') 간의 간섭이나 마찰시 상응하는 소음이 발생하게 될 것이고 이와 같은 소음은 체인 가이더(260)(26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가장 극대화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의 체인 가이더(260)(260')는 내부에 곡면의 가이드 홀을 갖고 있는 것이고, 상기 가이드 홀에 의해 수평 상태인 리니어 체인(250)(250')이 수직 방향으로 굴절되도록 하는 것이므로, 인위적인 힘에 의해 유동바(220)가 횡방향으로 유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리니어 체인(250)(250')과 체인 가이더(260)(260')는 서로 지속적인 충돌과 마찰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고, 상기 리니어 체인(250)(250') 자체로만 보더라도 각 체인블록(251)(251')이 회전 및 굴절되는 과정에서 체인 가이더(260)(260')와 다시 충돌하게 되므로 상호 간의 소음이 매우 큰 것이다.
또한, 상기 리니어 체인(250)(250')과 체인 가이더(260)(260') 간의 직접적인 마찰 및 간섭에 의한 소음은 물론 리니어 체인(250)(250')이 굴절되면서 유동바(220) 내부로 급격하게 진입하는 과정에서 리니어 체인(250)(250')의 끝단 및 측단과 유동바(220)가 서로 충돌하게 되므로 이러한 충돌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 역시 상당한 수준인 것이다.
따라서, 롤 스크린 장치를 열고 닫는 과정에서 리니어 체인(250)(250')에 의한 소음으로 상당한 불쾌감을 유발하고 있는 실정이고, 이들 상호 간의 부딪힘으로 인한 소음은 리니어 체인(250)(250') 및 체인 가이더(260)(260')에 대한 마모 및 손상을 가속시켜 이들의 사용 수명을 단축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유동바의 상,하단에 결합되는 체인 가이더 내에 리니어 체인의 원활한 유동을 안내하기 위한 하부 안내체 및 상부 안내체를 각기 결합 형성하고, 상기 하부 안내체의 사이에는 굴절 안내구를 결합 형성하며, 상기 상부 안내체의 일측에는 충돌 감소구를 결합 형성하되, 상기 하부 안내체 및 충돌 감소구는 각기 연질 탄력재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하여 구성함에 따라,
각기 곡선의 안내면을 갖는 하부 안내체와 충돌 감소구로 인해 리니어 체인과 체인 가이더 간의 충돌에 의한 소음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고, 굴절 안내구로 인해 상기 리니어 체인의 각 체인블록이 원활하게 회전하면서 유동바 내에 출입되게 하여, 유동바에 의한 스크린부재의 전개 및 권취 과정에서 발생하던 소음을 현저히 감소시킨 특징을 갖는 소음 감소구조가 적용된 롤 스크린 장치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각 틀체로 이루어진 프레임체와, 상기 프레임체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적어도 1개체 이상의 롤 개폐 유닛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롤 개폐 유닛은 내측으로 스크린부재가 권취 수용되는 고정바와 상기 고정바의 일측을 통해 돌출된 스크린부재의 끝단에 고정되는 유동바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바의 상,하단에는 복수의 체인블록에 의한 리니어 체인의 일측 끝단이 연결 형성된 고정바 마감구가 결합되며, 상기 리니어 체인의 타측 끝단은 상기 유동바의 상,하단에 결합된 체인 가이더를 통해 유동바의 내측으로 삽입되게 하며, 상기 스크린부재의 상,하단은 상기 리니어 체인에 삽입되게 한 롤 스크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체인 가이더는, 가이더 몸체 내에 하부 안내체와 상부 안내체를 각기 고정 형성하고, 하부 안내체의 사이에는 굴절 안내구를 가이더 몸체에 결합 형성하며, 상부 안내체에는 하부 안내체를 향하는 충돌 감소구를 결합 형성하되, 하부 안내체와 충돌 감소구에는 각기 대응하는 유도곡면부를 형성하여, 상기 리니어 체인이 상기 유도곡면부를 따라 체인 가이더를 통해 유동바로부터 출입되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스크린부재의 전개 혹은 권취를 위한 유동바의 이동과정에서 발생하던 리니어 체인과 체인 가이더 간의 간섭 소음을 현저히 감소시켜 매우 정숙한 사용이 이루어는 것이고, 체인 가이더를 통해 리니어 체인이 더욱 부드럽고 자연스럽게 굴절 및 회전되면서 유동바를 출입하므로 롤 스크린 장치의 사용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는 것이며, 체인 가이더를 통해 리니어 체인이 항상 유동바의 중앙부로 일정하게 출입할 수 있도록 하여 리니어 체인과 유동바의 직접적인 충돌을 방지함에 따라 그로 인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며, 리니어 체인과 체인 가이더 간의 충돌 및 리니어 체인과 유동바 간의 급작스런 충돌을 방지하여 이들 각 구성요소의 마모 및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각 구성요소를 포함한 롤 스크린 장치의 사용 수명이 크게 연장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기존 롤 스크린 장치에서의 리니어 체인 출입부 단면 상세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롤 스크린 장치에서의 리니어 체인 출입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롤 스크린 장치에서의 체인 가이더 전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롤 스크린 장치에서의 체인 가이더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롤 스크린 장치에서의 체인 가이더에 대한 저면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롤 스크린 장치에서의 체인 가이더에 대한 부분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롤 스크린 장치에서의 체인 가이더에 대한 전체 결합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롤 스크린 장치에서의 체인 가이더에 대한 부분 결합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롤 스크린 장치에서의 체인 가이더 중 굴절 안내구를 제거한 상태의 분리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롤 스크린 장치에서의 체인 가이더 중 굴절 안내구를 제거한 상태의 결합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롤 스크린 장치에서의 체인 가이더 중 하부 안내체 만을 분리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롤 스크린 장치에서의 체인 가이더 중 하부 안내체 만을 분리한 다른 방향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롤 스크린 장치에서의 체인 가이더 중 상부 안내체만을 분리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롤 스크린 장치에서의 체인 가이더 중 상부 안내체 만을 분리한 다른 방향의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롤 스크린 장치에서의 체인 가이더 중 상부 안내체에 대한 분리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롤 스크린 장치에서의 체인 가이더 중 굴절 안내구 만을 분리한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롤 스크린 장치에서의 체인 가이더 중 굴절 안내구 만을 분리한 다른 방향의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롤 스크린 장치에서의 체인 가이더 중 굴졸 안내구 만을 분리한 상태의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롤 스크린 장치에서의 체인 가이더 중 굴절 안내구와 리니어 체인 간의 계지 상태에 대한 작용 설명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롤 스크린 장치에서의 체인 가이더 중 굴절 안내구와 리니어 체인 간의 안내 결합부 상세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롤 스크린 장치에서의 리니어 체인 출입부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롤 스크린 장치에서의 체인 가이더 전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롤 스크린 장치에서의 체인 가이더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롤 스크린 장치에서의 체인 가이더에 대한 저면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롤 스크린 장치에서의 체인 가이더에 대한 부분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롤 스크린 장치에서의 체인 가이더에 대한 전체 결합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롤 스크린 장치에서의 체인 가이더에 대한 부분 결합 단면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롤 스크린 장치는 사각 틀체로 이루어진 프레임체(100)와, 상기 프레임체(100)의 내측으로 장착되는 롤 개폐 유닛(200)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으로 상기 롤 개폐 유닛(200)은 프레임체(100)의 폭에 따라 단일 개체 혹은 2개체 이상이 연속하여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프레임체(100)는 각기 상부바와 하부바 및 이들 상부바와 하부바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양측의 측부바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이고, 상기 롤 개폐 유닛(200)은 수직의 고정바(210)와 유동바(220)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 롤 개폐 유닛(200)은 고정바(210)의 내측에 스크린부재(230)가 롤 형태로 권취되어 있고, 권취 상태인 스크린부재(230)의 끝단은 상기 유동바(220)에 결합 고정되어 있어 상기 유동바(220)를 고정바(210)로부터 이격시키면 상기 스크린부재(230)가 확장 및 전개되는 것이며, 상기 유동바(220)를 고정바(210)에 밀착시키면 상기 스크린부재(230)가 고정바(210)의 내측으로 권취되는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이다.
또한, 고정바(210)의 상,하단에는 각기 고정바 마감구(240)(240')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유동바(220)의 상,하단에는 각기 체인 가이더(260)(260')가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고정바 마감구(240)(240')의 일측으로 리니어 체인(250)(250')의 일측이 힌지 결합되고 상기 리니어 체인(250)(250')의 타측 끝단은 상기 체인 가이더(260)(260')의 내부를 통해 상기 유동바(220)의 내측으로 출몰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유동바(220)가 고정바(210)의 일측에 밀착되면 상기 리니어 체인(250)(250')은 하향 절곡되면서 상기 유동바(22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있다가, 상기 유동바(220)를 고정바(210)로부터 이격시키면 상기 리니어 체인(250)(250')이 유동바(220)의 내부로부터 빠져나오며 일자 형태로 전개되는 것이고, 상기 유동바(220)의 이격 유동으로부터 스크린부재(230)가 전개되면 상기 스크린부재(230)의 상,하단은 상기 리니어 체인(250)(250')의 내측에 계지된 상태로 전개되면서 프레임체(100)의 내부 전체에 펼쳐지는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리니어 체인(250)(250')은 많은 수의 체인블록(251)(251')이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만들어지는 것으로, 서로 이웃하는 체인블록(251)(251')은 일측으로만 회전될 수 있어 유동바(220)의 내측으로는 자연스럽게 회전 절곡되면서 삽입되는 반면 유동바(220)로부터 인출된 상태의 체인블록(251)(251')은 상호 회전이 억제되면서 일자 형태의 직선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유동바(220)에 대한 횡방향의 슬라이딩 작용에 따라 일단이 고정바 마감구(240)(240')에 결합되어 있는 상기의 리니어 체인(250)(250')은 타단이 상기 체인 가이더(260)(260')를 통해 유동바(220) 내측으로 지속적인 출입을 하게 되는 것이고, 이와 같은 유동바(220)의 움직임에 따라 리니어 체인(250)(250')과의 간섭으로 인한 충돌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호 간섭 소음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체인 가이더(260)(260') 내에 횡방향으로부터 유입되어 수직방향으로 절곡되는 리니어 체인(250)(250')을 굴절 안내하기 위한 하부 안내체(410)(410')와 상부 안내체(420)를 결합 형성하고, 이들 하부 안내체(410)(410')의 사이에는 굴절 안내구(430)를 결합 형성하여 상기 리니어 체인(250)(250')이 더욱 원활하게 안내 및 유도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상기 상부 안내체(420)의 일측면에는 경사상으로 충돌 감소구(440)를 결합 형성함에 따라 상기 체인 가이더(260)(260')와 리니어 체인(250)(250')의 직접적인 충돌에 의한 소음을 현저히 감소시킨 것이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체인 가이더(260)(260')는 유동바(220)의 끝단에 직접 체결되는 가이더 몸체(263)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가이더 몸체(263)의 내측으로는 각기 하부 안내체(410)(410')와 상부 안내체(420) 및 굴절 안내구(430)와 충돌 감소구(440)가 결합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하부 안내체(410)(410')와 충돌 감소구(440)는 연질의 탄력재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되는 것이고, 상호 대응하는 유도곡면부(411)(441)를 형성하고 있어 이들 유도곡면부(411)(441)의 사이를 통해 상기 리니어 체인(250)(250')이 자연스럽게 굴절되면서 유동바(220)로부터 출입될 수 있는 것이고, 연질 탄력재로 된 하부 안내체(410)(410')와 충돌 감소구(440)로 인한 상호 간의 마찰 및 간섭 소음이 상당 부분 완화 및 흡수되면서 작동 소음이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체인 가이더(260)(260')의 가이더 몸체(263)는 상부가 횡방향으로 전체 개구되어 있고 개구된 내측 중앙에는 수직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는 형태를 갖고 있는 것으로서, 일측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진입되는 리니어 체인(250)(250')은 중앙의 수직 개구부를 통해 수직 방향으로 유동바(220) 내측으로 진입되는 것이고, 유동바(220)의 반대 방향 이동시 수직의 개구부를 통해 직각의 수평방향으로 리니어 체인(250)(250')을 절곡시켜 진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가이더 몸체(263)는 내부 양측에 수직의 끼움홈(264)(264')을 형성하여 상기 끼움홈(264)(264')을 통해 상기의 하부 안내체(410)(410')가 결합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인데, 상기 하부 안내체(410)(410')의 측면에는 끼움돌부(412)를 수직으로 돌출 형성하여 상기 끼움돌부(412)가 상기의 끼움홈(264)(264')으로 긴밀하게 삽입됨에 따라 상호 간의 결합 및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하부 안내체(410)(410')는 상기와 같이 연질 탄력재를 이용하여 만들어지는 것으로, 도 9 및 도 10의 도시와 같이 가이더 몸체(263)의 내부 양측면에 각기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분할 형성되는 것이고, 각각의 하부 안내체(410)(410')의 하부 일측으로는 전기한 유도곡면부(411)가 서로 마주하도록 돌출 형성되어 있어, 상기 리니어 체인(250)(250')의 하측면이 상기 유도곡면부(411)와 맞닿으면서 출입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하부 안내체(410)(410')는 가이더 몸체(263)의 양측면 및 유도곡면부(411)에 의한 가이더 몸체(263)의 하부가 상기 리니어 체인(250)(250')과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11 및 도 12의 도시와 같이 상기 하부 안내체(410)(410')의 유도곡면부(411)는 수평부와 수직부의 교차부분이 라운드 형상을 갖는 형태로 만들어져 있어 상기 하부 안내체(410)(410')를 통해 유도 출입되는 리니어 체인(250)(250')의 저면은 상기 유도곡면부(411)의 형상을 따라 수평으로의 진입 및 라운드 형태로의 굴절과 수직으로의 진출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체인 가이더(260)(260')의 가이더 몸체(263)에는 내부 양측에 수직의 안내홈(265)(265')을 형성하고 상기 안내홈(265)(265')이 형성된 가이더 몸체(263)의 바닥부에는 수직 관통의 걸림공(266)(266')을 형성하여 된 것으로, 이들 안내홈(265)(265')과 걸림공(266)(266')을 이용하여 전기한 상부 안내체(420)가 결합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즉, 도 13 및 도 14의 도시와 같이 상부 안내체(420)의 양측면에는 상기 안내홈(265)(265')으로 긴밀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한 조립돌부(421)(421')가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상부 안내체(420)의 저면에는 상기 걸림공(266)(266')으로 삽입되도록 한 끼움걸림부(422)(422')가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가이더 몸체(263)의 상측으로부터 상부 안내체(420)를 하향 가압하게 되면 상부 안내체(420)의 조립돌부(421)(421')가 안내홈(265)(265')의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정확하고 일정한 위치로 상부 안내체(4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지속적인 가압을 통해 상기 끼움걸림부(422)(422')의 하단이 상기 걸림공(266)(266')으로 삽입된 후 끼움걸림부(422)(422')의 하단에 형성된 단턱이 상기 걸림공(266)(266')을 이탈하는 순간 상호 계지력에 의해 견고한 고정 상태를 연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부 안내체(420)의 일측에는 하향 경사상의 곡면홈부(423)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의 곡면홈부(423)에 의해 라니어 체인(250)(250')의 굴절 유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의 곡면홈부(423)는 상기 하부 안내체(410)(410')의 유도곡면부(411)가 갖고 있는 코너 라운드의 확대된 치수를 갖고 있는 것으로, 상기 곡면홈부(423)와 유도곡면부(411)의 사이를 통해 리니어 체인(250)(250')이 굴절되면서 출입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곡면홈부(423)에는 상기 리니어 체인(250)(250')과의 간섭시 상호 마찰 소음을 더욱 감소시키기 위해 별도로 구비된 충돌 감소구(440)를 결합 형성한 것인데, 상기 충돌 감소구(440)는 연질 탄력재를 이용하여 만들어지는 것이고, 상기 곡면홈부(423)에 밀착되는 형태로서 상기 하부 안내체(410)(410')의 유도곡면부(411)를 향하는 유도곡면부(441)를 갖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 안내체(420)에 충돌 감소구(440)를 조립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 안내체(420)를 가이더 몸체(263)에 조립 고정하게 되면 상기 리니어 체인(250)(250')의 출입 경로는, 하부 안내체(410)(410')의 유도곡면부(411)와 충돌 감소구(440)의 유도곡면부(441)의 사이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연질 탄력재로 된 하부 안내체(410)(410')와 충돌 감소구(440)의 사이를 통해 출입되는 리니어 체인(250)(250')은 상호 간은 충돌이나 부딪힘 및 마찰이 발생하더라도 상호 간의 소음이 최소화되는 것이고, 이들 하부 안내체(410)(410')의 유도곡면부(411)와 충돌 감소구(440)의 유도곡면부(441)의 사이 틈새는 상기 리니어 체인(250)(250')의 두께와 일치하거나 근소하게 넓은 형태로 배치되도록 설계함에 따라 상기 리니어 체인(250)(250')이 체인 가이더(260)(260') 내부에서 유격 없이 밀착된 상태로 출입될 수 있도록 하여 상호 충돌에 의한 소음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전기한 상부 안내체(420)와 충돌 감소구(440)의 결합 구조는, 도 15의 도시와 같이 상기 상부 안내체(420)의 곡면홈부(423) 상측에 끼움턱부(423a)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곡면홈부(423)의 하측에는 끼움홈부(423b)를 형성하여 된 것이며, 상기 충돌 감소구(440)는 유도곡면부(441)의 상단에 계지홈부(441a)를 형성하고 상기 유도곡면부(441)의 하단에는 계지돌부(441b)를 수직으로 돌출 형성하여 상호 간의 조립에 의해 결합 및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충돌 감소구(440)의 유도곡면부(441)의 배면 측이 상기 상부 안내체(420)의 곡면홈부(423)에 밀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충돌 감소구(440)의 계지돌부(441b)가 상부 안내체(420)의 끼움홈부(423b) 내측으로 삽입되게 한 후, 충돌 감소구(440)의 계지홈부(441a) 내측으로 상부 안내체(420)의 끼움턱부(423a)가 삽입되도록 함에 따라 상,하부에서의 상호 계지력에 의해 충돌 감소구(440)와 충돌 감소구(440)의 견고한 결합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전기한 상부 안내체(420)에는 별도의 안내로울러(261)와 구름로울러(425)를 결합 형성할 수 있어 유동바(220)의 원활한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는 동시에 상기 리니에 체인(250)(250')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의 안내로울러(261)에는 유동바(220)의 내부에 "X"자 형태로 삽입되어 있는 연결와이어(262)가 결합되어 있어 상기 연결와이어(262)로 인해 리니어 체인(250)(250')이 유동바(2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인데, 상기 연결와이어(262)에는 상,하로 배치되는 리니어 체인(250)(250')의 각 끝단이 고정되어 있어 교차 형태로 내장되어 있는 연결와이어(262)로 인해 상기 리니어 체인(250)(250')의 출입 작용에는 전혀 지장을 주지 않는 반면 상기 리니어 체인(250)(250')이 유동바(220)의 상,하단까지 이동되면 상기 연결와이어(262)와의 고정으로 인해 유동바(220)로부터는 이탈되지 않게 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연결와이어(262)의 작용 및 효과는 상기 출원번호의 선행 특허출원에 의해 잘 설명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연결와이어(262)가 결합되는 안내로울러(261)를 본 발명에서는 상부 안내체(420)에 결합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상부 안내체(420)의 상부 일측에 하향의 로울러 삽입홈(426)을 형성하고, 상기 로울러 삽입홈(426)의 바닥부에는 수직 관통의 와이어 삽입공(427)을 형성함에 따라, 상기 로울러 삽입홈(426)을 이용하여 전기한 안내로울러(261)를 가압에 의해 삽입 고정하고, 상기 와이어 삽입공(427)을 통해 유동바(220) 내부의 연결와이어(262)를 인출하여 상기 안내로울러(261)에 걸어 고정시키면 되는 것이다.
또한, 전기한 상부 안내체(420)의 상부에는 양측으로 끼움홈턱(424)(424')을 형성한 후, 상기 끼움홈턱(424)(424')을 이용하여 일자 형태의 구름로울러(425)를 삽입 고정할 수도 있는 것인데, 상기 구름로울러(425)의 양단을 상기 끼움홈턱(424)(424')에 삽입하게 되면 끼움홈턱(424)(424')의 형상에 의해 상기 구름로울러(425)는 자유 회전은 가능한 반면 끼움홈턱(424)(424')으로부터는 이탈되지 않게 된다.
특히, 상기와 같이 상부 안내체(420)에 결합된 상태의 구름로울러(425)는 프레임체(100)에 롤 개폐 유닛(200)이 조립된 상태에서, 구름로울러(425)가 프레임체(100)의 상부 저면 및 하부 상면에 각기 밀착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유동바(220)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구름로울러(425)가 회전하면서 상기 유동바(220)의 원활하고 부드러운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굴절 안내구(430)는 도 16 내지 도 18의 도시와 같이 상기 가이더 몸체(263)의 내측 바닥면에 수직으로 세워 고정되는 것으로, 하측으로는 조립부(431)가 하향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립부(431)의 상측으로는 리니어 체인(250)(250')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그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한 곡면편부(432)(43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 가이더 몸체(263)의 내측 바닥면에는 조립홈(267)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조립홈(267)으로 굴절 안내구(430)의 조립부(431)를 삽입 고정할 수 있는 것인데, 상기 가이더 몸체(263)의 저면으로부터 별도의 체결볼트(도면에서는 생략됨)를 삽입시켜 상기 체결볼트에 의해 상기 굴절 안내구(430)가 가이더 몸체(263)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굴절 안내구(430)는 전기한 하부 안내체(410)(410')의 사이에 위치하여 가이더 몸체(263)의 횡방향으로부터 진입되는 리니어 체인(250)(250')을 수직방향으로 굴절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인데, 상기 하부 안내체(410)(410')의 유도곡면부(411)와 충돌 감소구(440)의 유도곡면부(441)가 상기 리니어 체인(250)(250')의 외면에 대한 출입 유도체의 역할을 수행한다면 상기 굴절 안내구(430)는 리니어 체인(250)(250')의 내측에 대한 출입 유도체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가이더 몸체(263)의 바닥면에는 전기한 상부 안내체(420)에 형성되어 있는 로울러 삽입홈(426)과 동일한 형태의 로울러 끼움홈(268)을 형성하여 제작할 수도 있는 것으로, 상기 가이더 몸체(263)에 상기 로울러 끼움홈(268)을 형성하고 로울러 끼움홈(268)은 바닥부가 하향 관통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필요에 의해 전기한 안내로울러(261)를 상부 안내체(420)의 로울러 삽입홈(426)으로 결합하여 상호 조립되게 하거나, 상부 안내체(420) 대신 가이더 몸체(263)의 로울러 끼움홈(268)으로 안내로울러(261)를 삽입하여 이를 통해 연결와이어(262)가 결합되도록 만들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가이더 몸체(263)에 로울러 끼움홈(268)을 형성하여 그 내측에 안내로울러(261)를 삽입하는 경우 상기 상부 안내체(420)는 연결와이어(262)와 관계없이 가이더 몸체(263)로부터 자유로운 분리 및 재조립이 가능할 것이다.
이에, 상기 리니어 체인(250)(250')은 도 19의 도시와 같이 하부 안내체(410)(410')와 충돌 감소구(440) 및 상기 굴절 안내구(430)에 의해 내,외면이 밀착된 상태로 이들의 형상을 따라 부드럽고 정숙하게 굴절 유동할 수 있는 것이고, 상호 간의 틈새를 최소화시켜 서로 미끄러지듯 표면을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상호 간의 충돌이나 급작스런 간섭 등을 최소화시켜 그로 인한 소음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것이고, 이들 하부 안내체(410)(410')와 충돌 감소구(440) 및 상기 굴절 안내구(430)에 의해 항상 일정한 위치를 갖고 유동바(220)로부터 출입되는 리니어 체인(250)(250')은 유동바(220) 내면과도 간섭이 거의 발생하지 아니하므로 유동바(220)와 리니어 체인(250)(250') 간의 충돌 소음 역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굴절 안내구(430)의 곡면편부(432)(432')는 도 20의 도시와 같이 양측으로 확대된 날개편의 형상을 갖도록 하고 이들 곡면편부(432)(432')의 내측으로 상기 리니어 체인(250)(250')의 체인블록(251)(251') 하부가 삽입 계지된 상태로 출입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상기 리니어 체인(250)(250')은 좌,우 방향으로도 유동이 거의 발생하지 아니하므로 더욱 정숙하고 부드러운 출입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때의 굴절 안내구(430)는 전기한 하부 안내체(410)(410') 및 충돌 감소구(440)와 마찬가지로 연질 탄력재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할 수도 있을 것이고, 잦은 마찰에 의한 사용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상기 리니어 체인(250)(250')과 동일한 재질을 이용하여 사출 성형함에 따라 소음 감소와 동시에 사용 수명이 연장될 수 있도록 재질을 선택 적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소음 감소 구조가 적용된 롤 스크린 장치는 많은 수의 체인블록(251)(251')이 연결된 형태의 리니어 체인(250)(250')이 적용됨에도 불구하고 상기 리니어 체인(250)(250')과 체인 가이더(260)(260') 및 리니어 체인(250)(250')과 유동바(220) 간의 상호 간섭에 의한 소음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것이고, 연질 탄력재로 된 체인 가이더(260)(260') 내의 하부 안내체(410)(410') 및 충돌 감소구(440) 등은 상기 리니어 체인(250)(250')이 더욱 정숙하고 부드럽게 유동하며 유동바(220)로부터 출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체인 가이더(260)(260')의 상부 안내체(420)에 결합되도록 한 안내로울러(261) 및 구름로울러(425)는 상기 리니어 체인(250)(250')의 이탈 방지 및 상기 유동바(220)의 횡방향 슬라이딩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므로 사용상의 편리함이 가일층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 프레임체
200 : 롤 개폐 유닛
210 : 고정바
220 : 유동바
230 : 스크린부재
240,240' : 고장바 마감구
250,250' : 리니어 체인
251,251' : 체인블록
260,260' : 체인 가이더 261 : 안내로울러
262 : 연결와이어 263 : 가이더 몸체
264,264' : 끼움홈 265,265' : 안내홈
266,266' : 걸림공 267 : 조립홈
268 : 로울러 끼움홈
410,410' : 하부 안내체 411 : 유도곡면부
412 : 끼움돌부
420 : 상부 안내체 421,421' : 조립돌부
422,422' : 끼움걸림부 423 : 곡면홈부
423a : 끼움턱부 423b : 끼움홈부
424,424' : 끼움홈턱 425 : 구름로울러
426 : 로울러 삽입홈 427 : 와이어 삽입공
430 : 굴절 안내구 431 : 조립부
432,432' : 곡면편부
440 : 충돌 감소구 441 : 유도곡면부
441a : 계지홈부 441b : 계지돌부

Claims (8)

  1. 사각 틀체로 이루어진 프레임체(100)와, 상기 프레임체(10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적어도 1개체 이상의 롤 개폐 유닛(20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롤 개폐 유닛(200)은 내측으로 스크린부재(230)가 권취 수용되는 고정바(210)와 상기 고정바(210)의 일측을 통해 돌출된 스크린부재(230)의 끝단에 고정되는 유동바(220)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바(210)의 상,하단에는 복수의 체인블록(251)(251')에 의한 리니어 체인(250)(250')의 일측 끝단이 연결 형성된 고정바 마감구(240)(240')가 결합되며, 상기 리니어 체인(250)(250')의 타측 끝단은 상기 유동바(220)의 상,하단에 결합된 체인 가이더(260)(260')를 통해 유동바(220)의 내측으로 삽입되게 하며, 상기 스크린부재(230)의 상,하단은 상기 리니어 체인(250)(250')에 삽입되게 한 롤 스크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체인 가이더(260)(260')는, 가이더 몸체(263) 내에 하부 안내체(410)(410')와 상부 안내체(420)를 각기 고정 형성하고, 하부 안내체(410)(410')의 사이에는 굴절 안내구(430)를 가이더 몸체(263)에 결합 형성하며, 상부 안내체(420)에는 하부 안내체(410)(410')를 향하는 충돌 감소구(440)를 결합 형성하되,
    하부 안내체(410)(410')와 충돌 감소구(440)에는 각기 대응하는 유도곡면부(411)(441)를 형성하여, 상기 리니어 체인(250)(250')이 상기 유도곡면부(411)(441)를 따라 체인 가이더(260)(260')를 통해 유동바(220)로부터 출입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감소구조가 적용된 롤 스크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하부 안내체(410)(410')와 충돌 감소구(440)는 연질 탄력재를 이용하여 성형됨에 따라, 이들 하부 안내체(410)(410')와 충돌 감소구(440)의 유도곡면부(411)(441)와 간섭하며 출입되는 리니어 체인(250)(250')과의 상호 간섭 소음이 감소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감소구조가 적용된 롤 스크린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가이더 몸체(263)는 내부 양측에 수직의 끼움홈(264)(264')을 형성하여 상기 하부 안내체(410)(410')가 끼움홈(264)(264')에 결합 고정되게 하되,
    상기 하부 안내체(410)(410')는 가이더 몸체(263)의 내부 양측에 밀착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되고 각 하부 안내체(410)(410')의 외면에는 상기 끼움홈(264)(264')으로 삽입되게 한 끼움돌부(412)가 형성되며, 각 하부 안내체(410)(410')의 하부 일측에는 서로 대향되도록 한 유도곡면부(411)를 돌출 형성하여, 상기 리니어 체인(250)(250')이 상기 유도곡면부(411)를 따라 횡방향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굴절 유도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감소구조가 적용된 롤 스크린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가이더 몸체(263)는 내부 양측에 수직의 안내홈(265)(265'를 형성하고 내측 바닥의 일측에는 걸림공(266)(266')을 수직으로 관통 형성하여 이들 안내홈(265)(265')과 걸림공(266)(266')에 의해 상기의 상부 안내체(420)가 결합 고정되게 하되,
    상기의 상부 안내체(420)는 양측면에 상기 안내홈(265)(265')으로 삽입되는 조립돌부(421)(421')가 형성되고 하부 일측에는 상기 걸림공(266)(266')으로 삽입 고정되는 끼움걸림부(422)(422')가 하향 돌출 형성되며 하부 안내체(420)의 일측면에는 곡면홈부(423)를 형성하여, 상기 리니어 체인(250)(250')이 상기 곡면홈부(423)를 따라 횡방향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굴절 유도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감소구조가 적용된 롤 스크린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부 안내체(420)의 곡면홈부(423) 상측에는 끼움턱부(423a)를 형성하고 상부 안내체(420)의 곡면홈부(423) 하측에는 끼움홈부(423b)를 형성하여 이들 끼움턱부(423a)와 끼움홈부(423b)를 이용하여 전기한 충돌 감소구(440)가 결합 고정되게 하되,
    상기 충돌 감소구(440)는 일측에 유도곡면부(441)가 형성되고 상기 유도곡면부(441)의 상측에는 상기 끼움턱부(423a)가 결합되는 계지홈부(441a)가 형성되며 상기 유도곡면부(441)의 하측에는 상기 끼움홈부(423b)에 삽입되게 한 계지돌부(441b)가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감소구조가 적용된 롤 스크린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부 안내체(420)의 상부에는 끼움홈턱(424)(424')을 형성하고, 상기 끼움홈턱(424)(424')에는 구름로울러(425)의 양측단이 삽입 계지되게 구성하여, 상기 구름로울러(425)가 프레임체(100)와 맞닿으며 유동바(220)에 대한 슬라이딩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감소구조가 적용된 롤 스크린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부 안내체(420)에는 내부 일측에 수직의 로울러 삽입홈(426)을 형성하고, 상기 로울러 삽입홈(426)의 바닥면에는 와이어 삽입공(427)을 관통 형성하여, 상기 로울러 삽입홈(426)으로는 안내로울러(261)가 삽입되게 하고, 상기 안내로울러(261)에는 리니어 체인(250)(250')의 끝단이 고정되는 연결와이어(262)가 와이어 삽입공(427)을 통해 결합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감소구조가 적용된 롤 스크린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가이더 몸체(263)는 내부의 하측 중앙부에 조립홈(267)을 형성하여 상기 굴절 안내구(430)가 조립홈(267)으로 결합 고정되게 하되, 상기 굴절 안내구(430)는 하측에 상기 조립홈(267)으로 삽입되는 조립부(431)가 돌출 형성되고, 굴절 안내구(430)의 상측으로는 리니어 체인(250)(25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곡면편부(432)(432')가 형성되어, 상기 리니어 체인(250)(250')이 상기 곡면편부(432)(432')에 의해 횡방향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굴절 유도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감소구조가 적용된 롤 스크린 장치.
KR1020160097101A 2016-07-29 2016-07-29 소음 감소구조가 적용된 롤 스크린 장치 KR101824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101A KR101824547B1 (ko) 2016-07-29 2016-07-29 소음 감소구조가 적용된 롤 스크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101A KR101824547B1 (ko) 2016-07-29 2016-07-29 소음 감소구조가 적용된 롤 스크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4547B1 true KR101824547B1 (ko) 2018-02-02

Family

ID=61223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7101A KR101824547B1 (ko) 2016-07-29 2016-07-29 소음 감소구조가 적용된 롤 스크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4547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09573B2 (ja) 巻取り式スクリーン装置
US6186212B1 (en) Screen device
US7472738B2 (en) Screen device
EP2773831A1 (en) Movable mosquito screen, particularly for windows, doors and the like
AU2014208656A1 (en) Window screen with blind function
KR101824547B1 (ko) 소음 감소구조가 적용된 롤 스크린 장치
KR20180013295A (ko) 리니어 체인에 의한 롤 개폐 유닛이 가변 적용되게 한 스크린 장치
JP6803147B2 (ja) ロールスクリーン装置
JPH06158961A (ja) 網戸装置
KR100553254B1 (ko) 착탈형 행거식 방충망 장치
KR101942758B1 (ko) 리니어 체인의 처짐 방지구조가 적용된 롤 스크린 장치
JP2000179253A (ja) 開閉装置
KR101536572B1 (ko) 커튼 장치
JPH06108763A (ja) 卷き取り式防虫スクリーン
KR101244871B1 (ko) 연동 미닫이문
KR101667497B1 (ko) 권취형 스크린 도어
IT201900002879A1 (it) Dispositivo di tensionamento per zanzariere e tende avvolgibili
KR102354163B1 (ko) 창호용 가이드 홈 마감 장치
KR20180013412A (ko) 리니어 체인과 가이드 파일에 의한 스크린 안내구조를 갖는 롤 스크린 장치
IT201600107049A1 (it) Tenda ad avvolgimento
ITUB20156296A1 (it) Tenda ad avvolgimento
TWI638088B (zh) Three-piece linkage
JPH0650639Y2 (ja) 巻取式スクリーン装置
KR20220007266A (ko) 창문용 롤 방충망 장치
KR20220136666A (ko) 버티컬 타입 허니콤 쉐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