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3412A - 리니어 체인과 가이드 파일에 의한 스크린 안내구조를 갖는 롤 스크린 장치 - Google Patents

리니어 체인과 가이드 파일에 의한 스크린 안내구조를 갖는 롤 스크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3412A
KR20180013412A KR1020160097108A KR20160097108A KR20180013412A KR 20180013412 A KR20180013412 A KR 20180013412A KR 1020160097108 A KR1020160097108 A KR 1020160097108A KR 20160097108 A KR20160097108 A KR 20160097108A KR 20180013412 A KR20180013412 A KR 201800134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guide
screen
chain
scree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7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우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상테크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상테크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상테크롤
Priority to KR1020160097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3412A/ko
Publication of KR20180013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34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9/54Roller fly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58Guid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79Details of connection of flexible sheets to frame or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58Guiding devices
    • E06B2009/583Cords o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구획용 칸막이 또는 창호의 차단막 또는 창호용 방충망으로 사용되는 롤 스크린 장치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크린부재가 내장된 고정바의 상,하단에는 각기 가이드파일과 레일바를 고정 형성하고 이들 가이드파일과 레일바의 끝단에는 수직바를 결합 형성하여 이들에 의해 프레임체가 구성되고 하고, 상기 프레임체의 내부에는 상기 스크린부재와 고정된 유동바를 삽입 형성하여 상기 유동바로 인해 스크린부재가 전개 및 권취되도록 함에 따라,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펼쳐지는 횡방향 전개 방식의 스크린부재로 인해 실내 구획용 칸막이 혹은 창호용 차단막 혹은 창호용 방충망 등으로 다양하게 변형 사용할 수 있는 것이고, 스크린부재는 전개 및 권취 과정에서 상,하단이 구속 계지된 상태로 전개 및 권취되므로 스크린부재의 처짐이나 늘어짐이 전혀 발생하지 않아 매우 고급스러운 것이며, 스크린부재의 하단이 구속 계지되게 한 리니어 체인은 스크린부재의 전개시에는 일자 형태로 펼쳐지고 스크린부재가 권취된 상태에서는 유동바의 내측으로 삽입되므로 스크린부재의 권취상태에서는 프레임체를 구성하고 있는 하측의 레일바만이 노출되면서, 최소의 높이로 제작 가능한 레일바로 인해 스크린부재가 권취된 상태에서 통행이나 출입이 자유로운 것은 물론 프레임체 내부의 개방 공간이 확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리니어 체인과 가이드 파일에 의한 스크린 안내구조를 갖는 롤 스크린 장치 {Roll screen devices}
본 발명은 실내를 다양한 형태 및 크기로 구획하기 위한 칸막이 또는 각종 창호의 빛 차단을 목적으로 하는 차단막 또는 각종 해충이나 날벌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충망 등의 목적으로 설치되는 스크린 장치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크린부재가 권취된 고정바를 이용한 프레임체를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체의 내측으로부터 스크린부재가 고정된 유동바를 움직여 상기 스크린부재의 전개 및 권취가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스크린부재는 상부 가이드 파일 및 하부 리니어 체인에 의해 안내되면서 더욱 부드럽고 자연스러운 전개와 권취가 이루어지는 동시에 하측의 리니어 체인으로 인해 프레임체에 대한 하측 돌출부를 최소화시켜 출입 및 사용상의 편리함이 극대화되게 한 롤 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를 구획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칸막이는 금속패널 혹은 석고보드 등을 이용하는 것으로, 금속패널 혹은 석고보드를 바닥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이어 세워 설치함에 따라 칸막이에 의한 실내 구획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고정형 칸막이가 아닌 접이식 칸막이 혹은 슬라이딩 도어 형태의 칸막이도 주로 설치 및 사용되고 있다.
이어, 다양한 크기로 설치되는 각종 창호의 경우 난방 및 빛이나 자외선 등의 차단을 목적으로 하는 차단막이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의 차단막은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308759호와 같이 롤 형태로 감긴 멤브레인 권취롤을 천정에 고정 설치한 후 상기 멤브레인을 하측으로 전개시켜 창호가 차단되도록 하거나 다시 상측의 권취롤에 멤브레인을 감아 창호가 개방될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차단막을 전개시키거나 권취시켜 창호의 채광량에 대한 조절 및 외부로부터의 프라이버시 침해 등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개폐형태의 창호인 경우 각종 해충이나 날벌레 등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방충망이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의 방충망은 통상적으로 메쉬부재를 프레임에 고정한 후 상기 프레임을 창틀에 고정 설치하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고, 근자에 들어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23675호와 같이 상기 메쉬부재를 권취롤에 감은 상태에서 상기 메쉬부재를 하측으로 잡아당겨 전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고, 전개된 메쉬부재는 권취롤 내부의 스프링에 의해 자동으로 감겨 올라갈 수 있도록 한 롤 방충망이 설치 및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때, 상기의 롤 스크린 장치는 통상적으로 권취롤에 스크린부재가 단순히 감겨진 형태를 갖고 있는 것으로, 이러한 기존의 롤 스크린 장치는 사용자의 인위적인 힘에 의존하여 스크린부재(섬유, 비닐 혹은 멤브레인이나 메쉬 등)을 전개하거나 권취하는 것이므로 사용상의 불편함이 매우 크고 스크린부재의 하단이나 양측단이 고정되어 있지 아니하여 바람에 의해 스크린부재의 펄럭임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또한, 하단 및 양측단이 고정되지 않고 단순히 늘어트린 전개 형태를 갖고 있어 이러한 롤 스크린 장치는 실내 구획을 위한 칸막이로 사용될 수 없는 것이다.
반면, 스프링에 의한 자동 권취수단이 적용된 롤 스크린 장치의 경우 펄럭임이나 유동이 전혀 없어 사용상의 편리함이 매우 뛰어난 것은 물론 방충 효과가 매우 우수한 특징을 갖고 있는 것인데, 상기의 자동 롤 스크린 장치의 경우 창호에 대한 개폐식 방충망으로 사용되는 동시에 차단막 장치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필요에 따라서는 이를 대형화하여 이를 실내 칸막이의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이에, 기존 롤 스크린 장치는 상부 권취롤로부터 스크린부재를 전개하기 위한 손잡이바가 스크린부재의 하단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하향 이동된 상태의 손잡이바를 고정하기 위한 하단고정대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며, 상기 하단고정대와 함께 스크린부재의 양측을 지지 고정하기 위한 측단고정대가 구비되어야 하는 것으로, 권취롤이 수용되는 상단지지대와 하단고정대 및 측단고정대에 의한 사각의 프레임체의 형태를 갖게 되는 것이다.
특히, 하단고정대의 경우 손잡이대를 고정 및 해제하기 위한 잠금수단을 장착하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다소 두꺼운 두께와 높이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상기의 롤 스크린 장치를 칸막이의 용도 혹은 창호에 장착 사용하는 경우 하단고정대가 갖고 있는 높이와 넓이로 인해 다양한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즉, 기존 롤 스크린 장치를 실내 칸막이의 용도로 활용하기 위해 실내 바닥으로부터 이를 수직으로 세워 설치하게 되면 상기의 하단고정대가 실내 바닥에 놓이게 되는데 이러한 하단고정대는 실내 바닥으로부터 상당한 높이를 갖고 상향 돌출되므로 통행에 불편함이 있는 것은 물론 발에 걸리거나 물건을 이동하는데 상당한 장해 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한편, 상기의 롤 스크린 장치는 상부로부터 하측으로 끌어당겨 칸막이의 형태로 사용되게 하거나 창호의 차단막 혹은 방충망으로 사용되는 것인데, 전체적으로 사각 프레임의 형태를 갖고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이를 회전시켜 횡방향으로 스크린부재가 전개될 수 있도록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롤 스크린 장치를 회전시켜 실내 구획을 위한 칸막이로 사용하게 되는 경우 마치 미닫이 출입문을 여닫는 것과 같은 작용 및 효과를 연출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스크린 장치의 측단고정대가 실내 바닥으로부터 상향 돌출되어 있어 여전히 통행에 불편함을 유발하게 되는 것이고, 창호 내에 고정 설치하는 경우에도 이들 측단고정대 및 하단고정대 등이 내측방향으로 일정한 두께와 폭을 갖고 돌출되어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창호의 개방 면적을 축소시키는 폐단을 갖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기존 롤 스크린 장치를 이용한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하고자 하거나 실사용 상태에서의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롤 스크린 장치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스크린부재가 권취 상태로 내장된 고정바의 상,하단에는 각기 가이드파일과 레일바를 고정 형성하고 이들 가이드파일과 레일바의 끝단에는 수직바를 결합 형성하여 이들에 의해 프레임체가 구성되고 하고, 상기 프레임체의 내부에는 상기 스크린부재와 고정된 유동바를 삽입 형성하여 상기 유동바로 인해 스크린부재가 전개 및 권취되도록 하되, 상기 스크린부재의 선단은 가이드파일 내부에 계지되게 하고 상기 스크린부재의 하단은 고정바로부터 연결되어 유동바의 하단으로 출입되는 리니어 체인에 계지되게 함에 따라,
상기 스크린부재의 안정적인 계지 고정을 통해 스크린부재의 주름 및 처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스크린부재가 원활하고 부드럽게 전개 및 권취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리니어 체인이 적용됨에 따라 프레임체의 하측 레일바의 높이를 최소화시킬 수 있어 스크린부재가 권취된 상태에서 최소의 높이를 갖고 노출되는 레일바로 인해 통행 및 출입과 사용상의 편리함이 가일층 향상되는 것이며, 필요에 따라 실내 칸막이 혹은 창호용 차단막 혹은 창호용 방충망 등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리니어 체인과 가이드 파일에 의한 스크린 안내구조를 갖는 롤 스크린 장치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크린부재가 권취 상태로 내장된 고정바와, 상기 고정바의 선단에 일측 끝단에 결합되는 가이드파일과, 상기 고정바의 하단에 일측 끝단이 결합되는 레일바와, 상기 가이드파일 및 레일바를 연결하는 수직바로 이루어진 프레임체와; 상기 프레임체의 내측에 삽입되고 상기 스크린부재의 끝단과 연결되어 상기 고정바로부터 밀착되거나 이격되는 유동바로 구성하되,
유동바의 선단은 상기 가이드파일 내에 삽입되어 가이드파일을 따라 유동되게 하고, 유동바의 하단은 레일바의 상부에 거치되어 레일바를 따라 유동되게 하며, 상기 고정바의 하단에는 다수의 체인블록이 연결된 리니어 체인의 일측 끝단이 결합되게 하고, 상기 리니어 체인의 타측 끝단은 상기 유동바의 하부로부터 출입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스크린부재는 각기 가이드파일과 리니어 체인에 삽입 구속되어 이들 가이드파일과 리니어 체인을 따라 전개 및 권취되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펼쳐지는 횡방향 전개 방식의 스크린부재로 인해 실내 구획용 칸막이 혹은 창호용 차단막 혹은 창호용 방충망 등으로 다양하게 변형 사용할 수 있는 것이고, 스크린부재는 전개 및 권취 과정에서 상,하단이 구속 계지된 상태로 전개 및 권취되므로 스크린부재의 처짐이나 늘어짐이 전혀 발생하지 않아 매우 고급스러운 것이며, 스크린부재의 하단이 구속 계지되게 한 리니어 체인은 스크린부재의 전개시에는 일자 형태로 펼쳐지고 스크린부재가 권취된 상태에서는 유동바의 내측으로 삽입되므로 스크린부재의 권취상태에서는 프레임체를 구성하고 있는 하측의 레일바만이 노출되면서, 최소의 높이로 제작 가능한 레일바로 인해 스크린부재가 권취된 상태에서 통행이나 출입이 자유로운 것은 물론 프레임체 내부의 개방 공간이 확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롤 스크린 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롤 스크린 장치의 작동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롤 스크린 장치의 전체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롤 스크린 장치의 상부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롤 스크린 장치의 하부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롤 스크린 장치의 평단면 상태에서의 작동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롤 스크린 장치의 전체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롤 스크린 장치의 상부 일측 코너 분리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롤 스크린 장치의 하부 일측 코너 분리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롤 스크린 장치의 상부 타측 코너 분리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롤 스크린 장치의 하부 타측 코너 분리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롤 스크린 장치의 하부 코너 연결부에 대한 단면도
도 13은 도 12에 대한 부분 확대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롤 스크린 장치의 리니어 체인에 대한 확대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롤 스크린 장치의 리니어 체인과 레일바 간의 결합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롤 스크린 장치의 스크린부재에 대한 결합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롤 스크린 장치의 스크린부재에 대한 상부 결합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롤 스크린 장치의 스크린부재에 대한 하부 결합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롤 스크린 장치의 스크린부재와 유동바 간의 분리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롤 스크린 장치의 스크린부재와 유동바 간의 결합 사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롤 스크린 장치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롤 스크린 장치의 작동 설명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롤 스크린 장치의 전체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롤 스크린 장치의 상부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롤 스크린 장치의 하부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롤 스크린 장치의 평단면 상태에서의 작동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롤 스크린 장치의 전체 측단면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롤 스크린 장치는 사각의 프레임체(100) 내측으로부터 스크린부재(120)가 횡방향으로 전개되거나 자동 권취되면서 실내의 칸막이 혹은 창호의 차단막이나 방충망의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의 프레임체(100)는 일측의 고정바(110)와 타측의 수직바(150) 및 상,하의 가이드파일(130)과 레일바(140)를 통해 만들어지게 된다.
이때의 고정바(110)는 내부에 자동 권취되는 스크린부재(120)가 내장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고정바(110)의 일측은 전개되어 있어 상기 스크린부재(120)의 일측 끝단이 출몰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스크린부재(120)는 고정바(110) 내부의 롤샤프트(도면에서는 미도시함)에 권취된 상태를 갖게 된다.
또한, 상기의 롤샤프트에는 권취스프링이 탄력 고정되어 있어 상기 권취스프링에 의해 롤샤프트에 대한 자동 회전력을 부여하게 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롤샤프트 및 권취스프링에 의한 자동 권취구조는 기존의 롤형 방충망의 구조에 널리 적용되어 있는 것으로, 롤샤프트 및 권취스프링과 함께 감속기어 등을 추가로 적용함에 따라 스크린부재(120)의 인출 전개 작용으로 인해 상기 권취스프링이 비틀림 상태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스크린부재(120)에 대한 인출 전개력이 상실되면 권취스프링의 복귀력에 의해 롤샤프트가 자동으로 역회전되면서 인출된 스크린부재(120)에 대한 권취 상태가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크린부재(120)의 일측 끝단에는 프레임체(100)의 내부를 횡방향으로 유동하는 유동바(200)가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유동바(200)를 고정바(110)로부터 이격시키면 상기 스크린부재(120)가 프레임체(100)의 내부에서 횡방향으로 전개되는 것이고, 상기 유동바(200)를 고정바(110)의 일측에 밀착시키면 상기 스크린부재(120)는 고정바(110)의 내측으로 권취될 것이므로, 상기 스크린부재(120)에 의해 프레임체(100)의 내부에 대한 개폐가 가능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고정바(110)와 가이드파일(130)은 도 8의 도시와 같이 제1코너연결구(400)를 통해 결합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고정바(110)와 레일바(140)는 제2코너연결구(410)를 통해 결합 형성되는 것으로, 이들 제1코너연결구(400)와 제2코너연결구(410)는 각기 "ㄱ"자 형태를 갖고 있어 상기 고정바(110)와 가이드파일(130) 및 상기 고정바(110)와 레일바(140)가 서로 직교 방향으로 결합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코너연결구(400) 및 제2코너연결구(410)는 고정바(110) 내부의 롤샤프트가 감속기어를 통해 결합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어, 상기 수직바(150)의 상단에는 제3코너연결구(420)를 결합 형성하여 상기 제3코너연결구(420)를 통해 상기 가이드파일(130)이 수직바(150)의 선단에 직교 방향으로 결합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고, 상기 수직바(150)의 하단에는 제4코너연결구(430)를 결합 형성함에 따라 상기 제4코너연결구(430)를 이용하여 상기 수직바(150)와 레일바(140)가 서로 직교 방향으로 결합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바(110)와 가이드파일(130) 및 레일바(140)와 수직바(150)는 각기 제1코너연결구(400)와 제2코너연결구(410) 및 제3코너연결구(420)와 제4코너연결구(430)에 의해 서로 견고하게 결합 고정되면서 사각 틀체로 된 프레임체(100)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고, 상기 고정바(110)의 일측으로부터 출몰되는 스크린부재(120)에는 상기의 유동바(200)가 결합되면서 상기 유동바(200)의 횡방향 유동으로 인해 상기 스크린부재(120)는 프레임체(100)의 내부에서 전개 및 권취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유동바(200)의 일측면에는 수직 길이방향으로 고정자석체(201)를 매입 혹은 부착 형성하고, 상기 고정자석체(201)와 대향하는 수직바(150)의 일측면에는 대응자석체(151)를 매입 및 고정 형성함에 따라 이들 고정자석체(201) 및 대응자석체(151)에 작용하는 상호 간의 인력으로 인해 상기 유동바(200)가 수직바(150)에 부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고정바(110)의 일측에 밀착되어 있던 상태의 유동바(200)를 인위적인 힘을 가하여 수직바(150)를 향하여 유동되게 함에 따라 고정바(110) 내부의 스크린부재(120)가 인출 및 전개되는 것이고, 상기 유동바(200)의 고정자석체(201)가 수직바(150)의 대응자석체(151)에 부착되는 순간 유동바(200)와 수직바(150)는 서로 부착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전개된 상태의 스크린부재(120)는 프레임체(100)의 내부 전체에 펼쳐져 고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인위적인 힘을 유동바(200)에 가하여 수직바(150)로부터 유동바(200)가 분리되도록 하면 전개되어 있던 스크린부재(120)에 작용하는 자동 권취력으로 인해 상기 유동바(200)는 고정바(110)를 향하여 유동하게 될 것이고, 고정바(110)의 일측에 유동바(200)가 밀착되는 순간 프레임체(100)의 내부는 완전 개방된 상태를 갖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체(100)를 구성하는 가이드파일(130)는 유동바(200)의 선단이 삽입되도록 하측에 유동공(131)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동공(131)의 내측으로 스크린부재(120)의 상단이 삽입되도록 함에 따라 상기 스크린부재(120)의 상단 안내부의 역할도 겸하게 된다.
또한, 상기 유동공(131)의 내측으로는 양측에 마감걸림구(122)를 상향 돌출 형성함에 따라 상기 마감걸림구(122)로 인해 유동바(200)에 대한 안정적인 유동 및 상기 스크린부재(120)에 대한 상호 분리가 방지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프레임체(100)의 내부에서 횡방향으로 유동되는 유동바(200)는 선단에 상단유동구(210)가 결합되고 하단에는 체인가이더(220)가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상단유동구(210)는 가이드파일(130)로부터 상기 유동바(200)가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하면서 횡방향으로의 유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체인가이더(220)는 고정바(110)에 결합되어 있는 리니어 체인(300)이 유동바(200)의 내측으로 부드럽게 절곡 출입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바(110)의 하단에는 도 9의 도시와 같이 별도로 구비된 체인고정구(160)가 결합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체인고정구(160)의 일측에는 다수의 체인블록(231)(231')이 연결되어 만들어진 리니어 체인(300)이 결합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리니어 체인(300)은 레일바(140) 상에 길게 늘어진 상태로서, 상기 유동바(200)의 위치에 따라 상기 리니어 체인(300)이 체인가이더(220)를 통해 유동바(200)의 내부로부터 출입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이에, 상기 고정바(110)의 하단에 결합되어 있는 체인고정구(160)는 제2코너연결구(41)와 결합되는 것이고, 상기 제2코너연결구(41)를 통해 레일바(140)의 끝단이 결합되도록 함에 따라, 상기 체인고정구(160)에 결합되는 리니어 체인(300)은 상기 레일바(140) 상에 전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유동바(200)의 선단에 결합되는 상단유동구(210)는 상부 양측에 걸림구(211)(211')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인데, 상단유도구(210)는 도 10의 도시와 같이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구(211)(211')가 상기 가이드파일(130)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슬라이딩 삽입시켜 상기 상단유동규(210)의 걸림구(211)(211')와 가이드파일(130)의 걸림턱(132)(132')이 서로 계지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상기 상단유동구(210)는 가이드파일(130)로부터 자유롭게 횡방향으로의 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고, 반면에 상기 걸림구(211)(211')와 걸림턱(132)(132')에 의한 수직 방향으로의 계지 상태로 인해 서로 수직방향으로의 분리는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유동바(200)의 하단에 결합되는 체인가이더(220)는 도 11의 도시와 같이 고정바(110)의 체인고정구(160)에 결합되어 있는 리니어 체인(300)의 끝단이 상기 체인가이더(220)를 통해 유동바(200)의 내측으로 출입되게 함에 따라, 상기 유동바(200)는 프레임체(100)의 내부에서 자유로운 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리니어 체인(300)은 도 12 및 도 13의 도시와 같이 상기 체인가이더(220)로 인해 유동바(200)의 내측으로 자유롭게 출입될 수 있는 것인데, 상기 체인가이더(220)는 일측과 상부가 서로 연통되도록 한 체인안내공(221)을 내부에 형성하여 일측부로부터 진입되는 리니어 체인(300)이 상기 체인안내공(221)을 따라 골절되면서 체인가이더(220)를 상단을 통해 유동바(200)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유동바(200)를 고정바(110)로부터 이격시키는 경우 상기 유동바(20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던 리니어 체인(300)이 상기 체인가이더(220)를 통해 유동바(200)로부터 빠져나가면서 상기 레일바(140) 상에 직선성을 갖고 펼쳐지는 것이고, 상기 유동바(200)를 다시 고정바(110)의 일측면에 밀착시키고자 움직이는 경우 상기 리니어 체인(300)은 체인가이더(220)의 체인안내공(221)으로 인해 상향 굴절 및 회전되면서 유동바(200)의 내측으로 부드럽게 삽입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리니어 체인(300)은 도 14 및 도 15의 도시와 같이 다수의 체인블록(301)(301')을 반복적으로 연결 형성하여 원하는 길이를 갖도록 제작할 수 있는 것인데, 상기의 체인블록(301)(301')은 양측면에 각기 끼움구(302)와 끼움공(304)이 수평선상으로 이격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끼움구(302)의 위치에는 반원형의 회전홈부(30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끼움공(304)의 위치에는 반원형의 회전돌부(305)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 쌍의 체인블록(301)(301')을 서로 연결하게 되면 제1체인블록(301)의 회전돌부(305)가 제2체인블록(301')의 회전홈부(303)에 동일 중심점 형태로 계지 결합되는 것이고, 상기 제1체인블록(301)의 회전돌부(305) 내 끼움공(304)으로는 상기 제2체인블록(301')의 회전홈부(303) 내 끼움구(302)가 서로 계지 결합되면서 상호 간의 회전축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서로 이웃하는 체인블록(301)(301')은 끼움구(302)와 끼움공(304) 간의 축 결합 및 회전홈부(303)와 회전돌부(305)에 의한 회전 결합구조를 갖게 되므로 상호 간의 자연스러운 회전 및 절곡 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체인블록(301)(301')은 상부에 전기한 스크린부재(120)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안내홈(306)이 형성되어 있어 이들 체인블록(301)(301')의 연결에 의한 리니어 체인(300)은 연속되는 삽입안내홈(306)으로 끼워진 스크린부재(120)의 하단 가이드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고, 상기 삽입안내홈(306)의 양측으로는 하향 돌출된 계지턱(307)(307')이 형성되어 있어 삽입안내홈(306)으로 끼워진 스크린부재(120)가 상향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특히, 상기 체인블록(301)(301')의 저면에는 각기 안치홈(308)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레일바(140)의 상면에는 상기 안치홈(308)으로 삽입되는 가이드턱(141)이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레일바(140) 상에 펼쳐지는 리니어 체인(300)은 하부 안치홈(308)으로 상기 가이드턱(141)이 계지 삽입됨에 따라 리니어 체인(300)은 레일바(140)의 상부에 직선상태로 전개될 수 있는 것이고, 레일바(140)로부터 전,후방향으로 유동되지 아니하므로 더욱 안정적이고 밀착감있는 작동 상태를 연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리니어 체인(300)은 유동바(200)의 작동으로 인해 스크린부재(120)가 전개된 상태에서는 스크린부재(120)의 하단을 가이드하며 상기 스크린부재(120)가 안정적으로 전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유동바(200)가 고정바(110)의 일측에 밀착되어 스크린부재(120)가 권취된 상태에서는 리니어 체인(300)이 유동바(200)의 내측으로 절곡 삽입되면서 외부로 전혀 노출되지 않는 것은 물론 프레임체(100)의 하측에는 레일바(140) 만이 노출되므로 최소의 두께로 제작될 수 있는 레일바(140)로 인해 스크린부재(120)의 권취 개방 상태에서 프레임체(100) 내부로의 출입 등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고, 최소 두께의 레일바(140)로 인해 프레임체(100)의 내부 가용공간이 최대화되므로 기존 창호에 대한 채광이나 통풍성에도 방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스크린부재(120)의 경우 본 발명 스크린 장치의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재질을 선택하여 적용시킬 수 있는 것으로, 실내 구획을 목적으로 하는 칸막이 용도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스크린부재(120)를 불투명 시트 혹은 반투명 시트로 제작하면 될 것이고, 본 발명의 스크린 장치를 창호용 가림막 혹은 암막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다양한 색상을 갖는 필름이나 시트 등으로 스크린부재(120)를 형성하면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스크린 장치를 방충망의 용도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스크린부재(120)를 메쉬 망체로 형성함에 따라 우수한 통기성 및 채광성은 유지되는 반면 해충이나 날벌레 등이 유입되는 것은 차단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외에도 상기 스크린부재(120)는 설치 위치와 설치 목적에 따라 섬유지 혹은 비닐지 혹은 부직포와 펄프 등 다양하게 가변 적용할 수 있어 더욱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할 것이다.
특히, 상기 스크린부재(120)의 상,하단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계지부(121)(121')를 형성하여 이들 계지부(121)(121')에 의해 전기한 가이드파일(130) 및 리니어 체인(300)으로부터 이탈 없이 안정적인 전개 및 권취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인데, 도 16 내지 도 18의 도시와 같이 상기 스크린부재(120)의 계지부(121)(121')는 각기 가이드파일(130) 및 리니어 체인(300)에 삽입 계지되어 있어 이들로부터 이탈 방지구조가 적용되는 동시에 자유로운 유동이 가능한 결합구조를 갖게 된다.
즉, 상기 스크린부재(120)의 계지부(121)(121')는 스크린부재(120)의 상단 및 하단에 별도의 시트를 재봉을 통해 부착하거나 상,하단을 접어 재봉에 의해 고정 형성함에 따라 만들어지는 것으로, 상단의 계지부(121)는 도 17의 도시와 같이 가이드파일(130)의 유동공(131) 내 걸림턱(132)(132')에 계지되도록 함에 따라 상기 스크린부재(120)가 가이드파일(130)로부터 하향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고, 횡방향으로는 자유로운 유동이 가능하여 스크린부재(120)에 대한 전개 및 권취가 가능한 것이다.
또한, 도 18의 도시와 같이 상기 스크린부재(120)의 하단 계지부(121')는 리니어 체인(300)의 체인블록(301)(301')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안내홈(306) 내 계지턱(307)(307')과 서로 계지되어 있으므로 상기 스크린부재(120)의 하단은 리니어 체인(300)으로부터 상향 분리되지 않는 상태가 이루어질 것이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스크린부재(120)는 리니어 체인(300)으로부터 횡방향으로의 자유로운 유동은 가능한 상태가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의 스크린부재(120)는 상,하단이 각기 가이드파일(130)과 리니어 체인(300)에 의해 계지되어 있어 항상 일정한 장력을 갖고 펼쳐지게 되므로 주름지거나 처짐 상태로 전개되지 아니하여 고품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고, 이들 가이드파일(130) 및 리니어 체인(300)으로부터 자유롭게 유동될 수 있어 스크린부재(120)의 전개 및 권취 작용에 전혀 지장을 주지않아 사용상의 편리함이 우수한 것이다.
또한, 상기 스크린부재(120)와 유동바(200)의 상호 결합은 별도의 연결고정대(230)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도 19 및 도 20의 도시와 같이 상기 유동바(200)의 일측에는 끼움홈(202)이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끼움홈(202)의 내면에는 체결돌조(203)(203')가 수직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끼움홈(202)으로 삽입되는 연결고정대(230)에는 양측면에 체결홈부(231)(231')가 형성되어 있어, 끼움홈(202)의 상단 혹은 하단으로부터 상기 연결고정대(230)를 밀어넣으면 상기의 체결돌조(203)(203')가 체결홈부(231)(231')로 삽입되면서 유동바(200)와 연결고정대(230) 간의 견고한 조립 상태가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상기 연결고정대(230)에는 수직 길이방향으로 스크린삽입홈(23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스크린삽입홈(232)의 내측으로는 스크린삽입홈(232) 보다 넓은 상태의 확장홈부(233)가 수직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스크린부재(120)의 끝단에 형성되어 있는 마감걸림구(122)가 상기 확장홈부(233)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상기 유동바(200)와 스크린부재(120) 간의 견고한 고정 상태가 연출되는 것이다.
즉, 상기 스크린부재(120)의 끝단을 접어 재봉하거나 스크린부재(120)의 끝단에 와이어 등을 삽입한 후 이를 재봉을 통해 고정 형성한 마감걸림구(122)를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고정대(230)와 스크린부재(120)의 끝단이 상,하 방향으로 서로 슬라이딩 삽입되도록 하면 횡방향으로의 상호 견고한 결합 및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연결고정대(230)를 유동바(200)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조립하게 되면 연결고정대(230) 및 유동바(200)는 횡방향으로의 상호 견고한 결합 및 고정이 이루어질 것이므로 결국 상기 유동바(200)에 대한 스크린부재(120)의 견고한 결합 및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횡방향으로 계속적인 유동이 이루어지는 유동바(200)에 대하여 스크린부재(120)는 항상 견고한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고, 필요에 의해 상기 스크린부재(120)를 교체하거나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프레임체(100)에 대한 분리 후 유동바(200)와 연결고정대(230) 간의 상,하 방향으로의 분리 및 연결고정대(230)에 대한 스크린부재(120)의 상,하 방향으로의 분리 과정을 통해 훼손 및 손상 없이 상호 간의 안전하고 간편한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 프레임체
110 : 고정바
120 : 스크린부재 121,121' : 계지부
122 : 마감걸림구
130 : 가이드파일 131 : 유동공
132,132' : 걸림턱
140 : 레일바 141 : 가이드턱
150 : 수직바 151 : 대응자석체
160 : 체인고정구
200 : 유동바 201 : 고정자석체
202 : 끼움홈 203,203' : 체결돌조
210 : 상단유동구 211,211' : 걸림구
220 : 체인가이더 221 : 체인안내공
230 : 연결고정대 231,231' : 체결홈부
232 : 스크린삽입홈 233 : 확장홈부
300 : 리니어 체인 301,301' : 체인블록
303 : 끼움구 303 : 회전홈부
304 : 끼움공 305 : 회전돌부
306 : 삽입안내홈 307,307' : 계지턱
308 : 안치홈
400 : 제1코너연결구
410 : 제2코너연결구
420 : 제3코너연결구
430 : 제4코너연결구

Claims (15)

  1. 스크린부재(120)가 권취 상태로 내장된 고정바(110)와, 상기 고정바(110)의 선단에 일측 끝단에 결합되는 가이드파일(130)과, 상기 고정바(110)의 하단에 일측 끝단이 결합되는 레일바(140)와, 상기 가이드파일(130) 및 레일바(140)를 연결하는 수직바(150)로 이루어진 프레임체(100)와; 상기 프레임체(100)의 내측에 삽입되고 상기 스크린부재(120)의 끝단과 연결되어 상기 고정바(110)로부터 밀착되거나 이격되는 유동바(200)로 구성하되,
    유동바(200)의 선단은 상기 가이드파일(130) 내에 삽입되어 가이드파일(130)을 따라 유동되게 하고, 유동바(200)의 하단은 레일바(140)의 상부에 거치되어 레일바(140)를 따라 유동되게 하며, 상기 고정바(110)의 하단에는 다수의 체인블록(301)(301')이 연결된 리니어 체인(300)의 일측 끝단이 결합되게 하고, 상기 리니어 체인(300)의 타측 끝단은 상기 유동바(200)의 하부로부터 출입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스크린부재(120)는 각기 가이드파일(130)과 리니어 체인(300)에 삽입 구속되어 이들 가이드파일(130)과 리니어 체인(300)을 따라 전개 및 권취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체인과 가이드 파일에 의한 스크린 안내구조를 갖는 롤 스크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고정바(110)의 선단에는 제1코너연결구(400)를 결합 형성하여, 상기 제1코너연결구(400)에 의해 고정바(110)와 가이드파일(130)이 직각 방향으로 결합 고정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체인과 가이드 파일에 의한 스크린 안내구조를 갖는 롤 스크린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고정바(110)의 하단에는 리니어 체인(300)을 연결하기 위한 체인고정구(160)를 결합 형성하고, 상기 체인고정구(160)의 하측에는 제2코너연결구(410)를 결합 형성하여, 상기 제2코너연결구(410)에 의해 체인고정구(160)를 갖는 고정바(110)와 레일바(140)가 서로 직각 방향으로 결합 고정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체인과 가이드 파일에 의한 스크린 안내구조를 갖는 롤 스크린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수직바(150)의 선단에는 제3코너연결구(420)를 결합 형성하여, 상기 제3코너연결구(420)에 의해 고정바(110)와 수직바(150)가 직각 방향으로 결합 고정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체인과 가이드 파일에 의한 스크린 안내구조를 갖는 롤 스크린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수직바(150)의 하단에는 제4코너연결구(430)를 결합 형성하여, 상기 제4코너연결구(430)에 의해 수직바(150)와 레일바(140)가 서로 직각 방향으로 결합 고정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체인과 가이드 파일에 의한 스크린 안내구조를 갖는 롤 스크린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유동바(200)의 선단에는 별도로 구비된 상단유동구(210)를 결합 형성하되, 상기의 상단유동구(210)에는 가이드파일(130)의 측단을 통해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파일(130)로부터 상단유동구(210)가 분리되지 않도록 한 걸림구(211)(211')를 돌출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체인과 가이드 파일에 의한 스크린 안내구조를 갖는 롤 스크린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유동바(200)의 하단에는 별도로 구비된 체인가이더(220)를 결합 형성하되, 상기 체인가이더(220)는 일측과 상부가 서로 연통되도록 한 체인안내공(221)을 형성하여 상기 체인안내공(221)을 통해 리니어 체인(300)이 상기 유동바(200)의 내부로부터 출입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체인과 가이드 파일에 의한 스크린 안내구조를 갖는 롤 스크린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가이드파일(130)은 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공(131)이 형성되고 상기 유동공(131)의 내측에는 상향 돌출된 걸림턱(132)(132')을 형성하여, 상기 유동공(131)을 통해 유동바(200)의 상단 및 스크린부재(120)의 상단이 삽입된 상태로 유동되게 하고, 상기 걸림턱(132)(132')에 의해서는 유동바(200) 및 스크린부재(120)가 가이드파일(130)로부터 하향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체인과 가이드 파일에 의한 스크린 안내구조를 갖는 롤 스크린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유동바(200)의 일측에는 고정자석체(201)를 수직 길이방향으로 고정 형성하고, 상기 수직바(150)의 일측에는 상기 고정자석체(201)와 대향하도록 대응자석체(151)를 고정 형성하여, 이들 고정자석체(201)와 대응자석체(151)의 상호 인력에 의해 수직바(150)의 일측에 유동바(200)가 밀착 고정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체인과 가이드 파일에 의한 스크린 안내구조를 갖는 롤 스크린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리니어 체인(300)은 각기 개별 제작된 체인블록(301)(301')을 연속하여 힌지 결합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의 체인블록(301)(301')은 양측면에 각각 끼움구(302)를 갖는 반원 형상의 회전홈부(303)와 끼움공(304)을 갖는 회전돌부(305)를 형성하여, 복수 개의 체인블록(301)(301')을 상호 끼움공(304)으로 끼움구(302)가 삽입 계지되도록 연속하여 결합 형성함에 따라, 서로 이웃하는 체인블록(301)(301')은 반원 형상의 회전홈부(303)와 회전돌부(305)에 의해 상호 회전 가능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체인과 가이드 파일에 의한 스크린 안내구조를 갖는 롤 스크린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체인블록(301)(301')의 상부에는 스크린부재(120)의 하단이 삽입되는 삽입안내홈(306)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안내홈(306)의 내측에는 하향 돌출되는 계지턱(307)(307')을 형성하여, 상기 삽입안내홈(306)을 통해 스크린부재(120)의 하단이 삽입된 상태로 유동되게 하고, 상기 계지턱(307)(307')에 의해서는 스크린부재(120)의 하단이 체인블록(301)(301')으로부터 상향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체인과 가이드 파일에 의한 스크린 안내구조를 갖는 롤 스크린 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리니어 체인(300)을 구성하는 각 체인블록(301)(301')의 저면에는 안치홈(308)을 형성하고, 상기 레일바(140)의 상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턱(141)을 돌출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턱(141)으로 리니어 체인(300)의 안치홈(308)이 삽입되게 함에 따라 상기 리니어 체인(300)이 레일바(14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체인과 가이드 파일에 의한 스크린 안내구조를 갖는 롤 스크린 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스크린부재(120)의 상,하단에는 계지부(121)(121')를 형성하여, 상기 계지부(121)(121')로 인해 가이드파일(130)과 리니어 체인(300)의 내측으로 삽입된 스크린부재(120)의 상,하단이 이들 가이드파일(130)과 리니어 체인(30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체인과 가이드 파일에 의한 스크린 안내구조를 갖는 롤 스크린 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유동바(200)의 일측에는 수직 길이방향을 따라 끼움홈(202)을 형성하고, 상기 끼움홈(202)으로는 스크린부재(102)의 끝단과 결합된 연결고정대(230)를 결합 형성하되,
    상기 끼움홈(202)의 내면에는 체결돌조(203)(203')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연결고정대(230)의 측면에는 체결홈부(231)(231')를 형성하여 이들 체결돌조(203)(203')와 체결홈부(231)(231')에 의해 상호 견고한 결합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체인과 가이드 파일에 의한 스크린 안내구조를 갖는 롤 스크린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연결고정대(230)는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스크린삽입홈(232)이 형성되고, 상기 스크린삽입홈(232)의 내측단에는 확장홈부(233)를 형성하여, 끝단을 접어 재봉 형성한 마감걸림구(122)를 갖는 스크린부재(120)가 상기 확장홈부(233) 및 스크린삽입홈(232)으로 끼워지며 상호 간의 결합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체인과 가이드 파일에 의한 스크린 안내구조를 갖는 롤 스크린 장치.
KR1020160097108A 2016-07-29 2016-07-29 리니어 체인과 가이드 파일에 의한 스크린 안내구조를 갖는 롤 스크린 장치 KR201800134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108A KR20180013412A (ko) 2016-07-29 2016-07-29 리니어 체인과 가이드 파일에 의한 스크린 안내구조를 갖는 롤 스크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108A KR20180013412A (ko) 2016-07-29 2016-07-29 리니어 체인과 가이드 파일에 의한 스크린 안내구조를 갖는 롤 스크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3412A true KR20180013412A (ko) 2018-02-07

Family

ID=61204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7108A KR20180013412A (ko) 2016-07-29 2016-07-29 리니어 체인과 가이드 파일에 의한 스크린 안내구조를 갖는 롤 스크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341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25614B2 (en) Screen device
EP2317062B1 (en) A blind system
ES2813852T3 (es) Dispositivo de pantalla
EP0753642B1 (en) Screen apparatus
US7472738B2 (en) Screen device
US8196638B2 (en) Pleated screen apparatus
EP0999335A1 (en) Screen device
WO2007063685A1 (ja) 折畳式スクリーン装置
JP5602995B2 (ja) スクリーン装置
JPWO2006025582A1 (ja) スクリーン装置
CA2776987A1 (en) Screen device
JP2005009097A (ja) ロール網戸における網端縁固定装置
KR20180013295A (ko) 리니어 체인에 의한 롤 개폐 유닛이 가변 적용되게 한 스크린 장치
KR101814616B1 (ko) 주름식 방충망과 블라인드가 동시에 구비되는 창호
KR20180013412A (ko) 리니어 체인과 가이드 파일에 의한 스크린 안내구조를 갖는 롤 스크린 장치
JP6803147B2 (ja) ロールスクリーン装置
KR101358945B1 (ko) 출입문용 방충망의 캐터필러 구조
US20070175594A1 (en) Coverings for architectural openings with cord lock
JP3403652B2 (ja) スクリーン装置
KR101942758B1 (ko) 리니어 체인의 처짐 방지구조가 적용된 롤 스크린 장치
KR101824547B1 (ko) 소음 감소구조가 적용된 롤 스크린 장치
JPH0128236Y2 (ko)
JP2010196400A (ja) 間仕切り装置
CN1936258A (zh) 用于建筑物开口的立式覆盖物的控制装置
JP2015061966A (ja) 開口部の防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