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3514B1 - 전자 기기용 단자대 배선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전자 기기용 단자대 배선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3514B1
KR101823514B1 KR1020110024595A KR20110024595A KR101823514B1 KR 101823514 B1 KR101823514 B1 KR 101823514B1 KR 1020110024595 A KR1020110024595 A KR 1020110024595A KR 20110024595 A KR20110024595 A KR 20110024595A KR 101823514 B1 KR101823514 B1 KR 101823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thread
thread portion
fixing groove
terminal block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4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6471A (ko
Inventor
이준호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4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3514B1/ko
Publication of KR20120106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6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3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35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4Termina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32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 H01H3/50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with indexing or locating means, e.g. indexing by ball and spring
    • H01H3/503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with indexing or locating means, e.g. indexing by ball and spring making use of electromagn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 H01R4/301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having means for preventing complete unscrewing of screw or nu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6Clip-on terminal blocks for side-by-side rail- or strip-moun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기기용 단자대 배선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상기 전자 기기용 단자대 배선 어셈블리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며, 단자대가 끼워지는 스크루 나사부를 갖는 체결 부재와; 상기 스크루 나사부의 외주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고정 홈부와; 상기 스크루 나사부에 나사 체결되며, 상기 단자대를 밀착하는 너트 부재; 및 상기 고정 홈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끼워져 설치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단자핀에 단자대를 배선하는 경우, 이를 고정하는 체결 부재 및 너트의 분실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기기용 단자대 배선 어셈블리{TERMINAL LINE ASSEMBLY FOR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전자 기기용 단자대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자핀에 단자대를 배선하는 경우, 이를 고정하는 체결 부재 및 너트의 분실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전자 기기용 단자대 배선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 기기들 중 전자접촉기는 전기회로를 기계적으로 직접 차단하거나 접속시키는 역할을 하는 전기기기의 일종으로, 과부하계전기 또는 전자개폐기 등에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전자접촉기는 전기회로를 차단하거나 접속시킴에 따라 전기회로를 개로 또는 폐로 상태로 전환하는 접점부와, 접점부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전자석부; 접점부와 전자석부가 설치되며, 외관을 형성하는 프레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전자석부에 코일을 여자함으로써 접점을 개로 하고, 전자석부에 코일을 소자함으로써 접점을 폐로하여 부하의 개폐를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전자 기기에서의 단자 접속 방식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출력 라인에 요구되는 단자대(1)는 스크루 볼트(10)와 너트(20)와의 결합에 의하여 단자핀(30)에 고정된다.
즉, 머리부(11)와 나사부(12)를 갖는 스크루 볼트(10)는 단자핀(30)을 관통할 수 있다. 따라서, 스크루 볼트(10)의 머리부(11)는 단자핀(30)의 상단면에 걸칠 수 있고, 나사부(20)는 단자핀(30)을 관통할 수 있다.
이어, 너트(20)를 단자핀(30)의 하부에 위치시킴과 아울러, 단자핀(30)을 관통한 나사부(12)와 나사 체결시킨다.
따라서, 상기 너트(20)와 나사부(12)는 서로 나사 체결되어 조여질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준비되는 단자대(1)를 스크루 볼트(10)의 머리부(11)와 단자핀(30)의 상면 사이에 노출되는 나사부(12)에 끼우도록 하고, 상기 단자대(1)가 머리부(11)와 단자핀(30)의 상면 사이에서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너트(20)와 스크루 볼트(10)를 이차적으로 나사 체결한다.
이에 따라, 단자대(1)는 단자핀(30)에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단자 접속 방식에서, 스크루 볼트(10)와 너트(20)의 체결력이 약해지는 경우, 너트(20)가 나사부(12)로부터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에 따라, 상기 너트(20)를 비롯한 스크루 볼트(10)가 단자핀(30)으로부터 분실되기 때문에, 조립 공정의 측면에서는 조립성이 하락되는 문제가 있고, 완성품의 측면에서는 너트(20) 또는 스크루 볼트(10)의 분실로 인한 단자대(1)의 단자 접속이 불량해 짐에 때라 제품 불량이 야기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단자대를 단자핀에 체결하는 체결 부재의 단부에서 너트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여, 안정적인 단자대를 배선하도록 할 수 있음과 아울러, 작업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체결 부재 또는 너트의 분실로 인한 제품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전자 기기용 단자대 배선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있다.
바람직한 양태 있어서, 본 발명은 전자 기기용 단자대 배선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상기 전자 기기용 단자대 배선 어셈블리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며, 단자대가 끼워지는 스크루 나사부를 갖는 체결 부재와; 상기 스크루 나사부의 외주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고정 홈부와; 상기 스크루 나사부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스크류 나사부에 끼워지는 단자대를 조이는 너트 부재와, 상기 고정 홈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끼워져 설치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 홈부는, 상기 머리부와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스크루 나사부의 하단 근방에 형성되고,
상기 너트 부재는, 상기 머리부와 상기 고정 홈부의 사이에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 부재는, 양단이 절개된 'C'형상의 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의 내주에는 홀 형상으로 절개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절개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자 기기용 단자대 배선 어셈블리는 단자핀을 구비하고,
상기 단자핀은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판상의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양단에서 하방을 따라 판상을 이루어 벤딩되는 한 쌍의 연장부와, 상기 한 쌍의 연장부 사이의 단자핀 일측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연결 핀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연장부 각각에는 노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스크루 나사부는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한 쌍의 연장부 사이 공간에 위치되고, 상기 너트 부재는 다각의 외주를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 부의 저면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스크루 나사부에 끼워져 체결되며, 상기 너트 부재의 외주는 상기 노출홀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머리부의 저면 인근의 스크루 나사부의 외주에는 판 상의 누름판이 더 형성되고, 상기 단자핀은 상기 스크루 나사부에 끼워지되, 상기 누름판과 상기 베이스부의 사이에서 밀착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 홈부를 경계로 상기 스크루 나사부의 직경은 서로 다르게 형성되되, 상기 고정 홈부를 경계로 상기 머리부 반대측의 스크루 나사부의 직경이, 상기 고정 홈부를 경계로 상기 머리부 반대측의 스크루 나사부의 직경 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 홈부를 경계로 상기 머리부 반대측의 스크루 나사부의 외주에는 하방을 따라 직경이 작아지는 경사면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단자대를 단자핀에 체결하는 체결 부재의 단부에서 너트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여, 안정적인 단자대를 배선하도록 할 수 있음과 아울러, 작업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체결 부재 또는 너트의 분실로 인한 제품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체결 부재와 너트 부재와의 분리 및 외부로의 이탈 방지를 위한 체결 구조를 이루어, 전원 및 입출력 배선용 단자대가 나사 풀림으로 인하여 외부로 이탈될 수 있는 품질 불량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단자대 배선을 위한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단자대 배선 어셈블리의 조립 공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들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단자대 배선 어셈블리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단자대 배선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를 보여주고 있다.
도 3을 참조 하면, 본 발명의 전자 기기용 단자대 어셈블리는 단자핀(400)과, 단자핀(400)을 관통하는 체결 부재(100)와, 고정 홈부(300)와, 단자핀(400)을 관통한 체결 부재(100)와 체결되는 너트 부재(200)와, 체결 부재(10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고정 홈부(300)에 끼워져 너트 부재(200)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 부재(500)로 구성된다.
다음은, 상기 단자대 어셈블리의 구성들을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체결 부재(100)는 원반 형상의 머리부(110)와, 상기 머리부(110)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는 스크루 나사부(12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스크루 나사부(120)는 일정의 직경(D1)을 이루고 외주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부재인 것이 좋다. 상기 머리부(110)의 상단면에는 십자 홈 또는 일자 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 홈부(300)는 상기 스크루 나사부(120)의 하단부에 형성된다. 상기 스크루 나사부(120)는 상기 머리부(110)로부터 하방으로 일정 길이를 이루는 위치,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 홈부(300)가 형성되는 위치까지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 1영역(①)과, 고정 홈부(300)로부터 스크루 나사산의 하단 끝단 위치까지의 제 2영역(②)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영역(①)의 직경(D1)은 상기 제 2영역(②)의 직경(D2)보다 일정 직경 크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제 1영역(①)은 너트 부재(200)가 끼워져 나사 체결되는 부분이고, 제 2영역(②)은 너트 부재(200)의 끼움을 안내하는 부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영역(②)의 외주에는 그 하단을 따라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경사면(S)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경사면(S)은 너트 부재(200)가 끼워질 수 있도록 안내하는 면일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머리부(110)의 하단, 스크루 나사부(120) 외주에는 판 상의 누름판(410)이 더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제 1영역(①)은 실질적으로 상기 누름판(410)과 고정 홈부(300)까지의 영역인 것이 좋다.
상기에 언급되는 너트 부재(200)는 그 외주가 다각을 이루는 부재인 것이 좋다.
상기 고정 부재(500)는 'C'형상의 몸체(51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몸체(510)의 내주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절개홈(520)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절개홈(520)은 'E'형상을 이룰 수 있도록 서로 일정 간격을 이루어 2개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절개홈(520)은 곡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고정 부재(500)는 상기 절개홈들(520)이 형성됨으로 인하여 몸체(510)의 양단이 외측으로 벌어지는 경우, 일정의 탄성이 형성되어, 원래의 형상으로 용이하게 복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고정 부재(500)는 상기 스크루 나사부(120)의 하단 외주에 형성되는 고정 홈부(300)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 부재(500)의 몸체(510) 외곽 테두리는 스크루 나사부(120)의 외주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제 1영역(①)에서 나사 체결되는 너트 부재(200)는 고정 부재(500)를 통하여 스크루 나사부(120)의 하단으로의 유동이 저지되기 때문에, 체결 부재(100)로부터의 이탈이 용이하게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단자핀(400)은 중앙에 관통홀(411)이 형성되는 판상의 베이스부(410)와, 상기 베이스부(410)의 양단에서 하방을 따라 벤딩되고, 판 상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연장부(420)와, 상기 한 쌍의 연장부(420) 사이의 베이스부(410) 일측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연결 핀부(43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연장부(420) 각각에는 노출홀(421)이 형성된다. 상기 노출홀(421)은 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크루 나사부(120)는 상기 관통홀(411)을 관통하여 상기 한 쌍의 연장부(420) 사이 공간에 위치된다.
상기 너트 부재(200)는 다각의 외주를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 부(410)의 저면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스크루 나사부(120)에 끼워져 체결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너트 부재(200)의 외주는 상기 노출홀(421)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체결 부재(100)의 스크루 나사부(120)에 끼워지는 단자대(50)는 누름판(130)과 베이스 부(410)의 사이에 위치되어 체결 부재(100) 및 너트 부재(200)와의 조임으로 인하여 밀착 고정될 수 있다.
다음은, 도 2 내지 4를 참조 하여, 본 발명의 단자대 배선을 위한 어셈블리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를 참조 하면, 외주가 다각을 이루는 너트 부재(200)와, 단자핀(400)을 준비한다. 여기서, 단자핀(400)은 일정 두께의 금속 판 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준비되는 너트 부재(200)를 상기 단자핀(400)의 양단에서 하방을 따라 벤딩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연장부(420)의 사이로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너트 부재(200)의 외주는 한 쌍의 연장부(420) 각각에 형성되는 노출홀(421)에 걸리는 상태로 고정될 수도 있다.
이어,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체결 부재(100)를 단자핀(400)의 관통홀(411)을 관통시키면, 체결 부재(100)의 머리부(110) 및 누름판(130)은 단자핀(400)의 베이스 부(410) 상면부에 걸치고, 스크루 나사부(120)는 관통홀(411)을 관통하여 너트 부재(200)와 체결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머리부(11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스크루 나사부(120)는 너트 부재(200)에 끼워지면서 나사 체결될 수 있다. 이때, 너트 부재(200)는 스크루 나사부(120)의 제 2영역(②)의 경사면(S)을 통하여 제 1영역(①)으로 용이하게 진입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는 고정 부재(500)를 제 1영역(①)과 제 2영역(②) 사이에 형성되는 고정 홈부(300)에 끼워 고정시킨다. 여기서, 상기 고정 부재(500)는 스크루 나사부(120)의 외주로부터 돌출되면서 제 1영역(①)에서 나사 체결되는 너트 부재(200)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그리고, 머리부(110)의 누름판(130)과 베이스 부(410)의 사이에 위치되는 스크루 나사부(120)에 단자대(50)를 끼우고, 누름판(130)과 베이스 부(410)의 사이에 위치되는 단자대(50)를 밀착 고정할 수 있도록 스크루 나사부(120)와 너트 부재(200)의 체결을 더 수행한다. 따라서, 단자대(50)는 상기 나사 체결되는 너트 부재(200)에 의하여 조여지면서 누름판(130)과 베이스 부(410) 사이에서 밀착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단자대 배선 어셈블리의 조립 공정을 마치고 난 이후에, 스크루 나사부(120)에 나사 체결되는 너트 부재(200)는 제 1,2영역(①,②)의 사이에서 경계를 이루는 고정 부재(500)에 의하여 제 2영역(②) 측으로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외부에서 충격 및 진동이 가해지는 경우, 체결 부재(100)와 너트 부재(200)의 체결이 어느 정도 약해지더라도, 이들이 서로 분리되어 외부로 분실되는 사고를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50 : 단자대 100 : 체결 부재
110 : 머리부 120 : 스크루 나사부
130 : 누름판 200 : 너트 부재
300 : 고정 홈부 400 : 단자핀
410 : 베이스 부 420 : 연장부
430 : 연결 핀부 500 : 고정 부재

Claims (7)

  1.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판상의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양단에서 하방을 따라 판상을 이루어 벤딩되는 한 쌍의 연장부와, 상기 한 쌍의 연장부 사이의 일측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연결 핀부를 포함하는 단자핀;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고,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한 쌍의 연장부 사이 공간에 위치되며, 단자대가 끼워지는 스크루 나사부를 갖는 체결 부재;
    상기 스크루 나사부의 외주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고정 홈부;
    상기 베이스부의 저면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스크루 나사부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스크루 나사부에 끼워지는 단자대를 조이는 너트 부재; 및
    상기 고정 홈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끼워져 설치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부재는,
    중앙에 상기 고정 홈부의 직경에 상응하는 사이즈의 홀이 형성된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홈부가 상기 홀의 내외부로 출입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에서 상기 고정 홈부의 직경 보다 작은 사이즈의 영역이 절개되어 있으며, 상기 홀의 내주에서 일정 깊이로 적어도 하나의 절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용 단자대 배선 어셈블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홈부는,
    상기 머리부와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스크루 나사부의 하단 근방에 형성되고,
    상기 너트 부재는,
    상기 머리부와 상기 고정 홈부의 사이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용 단자대 배선 어셈블리.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연장부 각각에는 노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너트 부재는 다수개의 선분들로 둘러싸인 다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너트 부재에서 상기 선분들 중 어느 두 개가 만나는 모서리가 상기 노출홀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용 단자대 배선 어셈블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의 저면 인근의 스크루 나사부의 외주에는 판 상의 누름판이 더 형성되고,
    상기 단자대는 상기 스크루 나사부에 끼워지되, 상기 누름판과 상기 베이스부의 사이에서 밀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용 단자대 배선 어셈블리.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홈부를 경계로 상기 스크루 나사부의 직경은 서로 다르게 형성되되,
    상기 머리부로부터 연장된 스크루 나사부의 직경이, 상기 고정 홈부를 경계로 상기 머리부 반대측의 스크루 나사부의 직경 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용 단자대 배선 어셈블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홈부를 경계로 상기 머리부 반대측의 스크루 나사부의 외주에는 하방을 따라 직경이 작아지는 경사면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용 단자대 배선 어셈블리.

KR1020110024595A 2011-03-18 2011-03-18 전자 기기용 단자대 배선 어셈블리 KR101823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4595A KR101823514B1 (ko) 2011-03-18 2011-03-18 전자 기기용 단자대 배선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4595A KR101823514B1 (ko) 2011-03-18 2011-03-18 전자 기기용 단자대 배선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6471A KR20120106471A (ko) 2012-09-26
KR101823514B1 true KR101823514B1 (ko) 2018-01-30

Family

ID=47113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4595A KR101823514B1 (ko) 2011-03-18 2011-03-18 전자 기기용 단자대 배선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35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09280A1 (en) * 2014-01-17 2015-07-23 Molex Incorporated Terminal strip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27410A (ja) * 2008-07-21 2010-02-04 Shang Tsai Wu 端子台の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27410A (ja) * 2008-07-21 2010-02-04 Shang Tsai Wu 端子台の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6471A (ko) 2012-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112011106154B4 (de) Kontaktvorrichtung
US20190066956A1 (en) Contact device and electromagnetic contactor using contact device
WO2006123809A1 (ja) ねじによる部材締着部の防水構造
JP2012004111A (ja) ばね締付要素および直列端子
JPH04500552A (ja) 重荷重―空洞かすがい
KR20020051830A (ko) 전기기구의 박스형 단자
KR101823514B1 (ko) 전자 기기용 단자대 배선 어셈블리
KR200419782Y1 (ko) 콘크리트 거푸집용 볼트 어셈블리
JP7188730B2 (ja) 配線器具取り付け具とその受け金具
US6713696B1 (en) One piece toggle switch cover with integral panel standoff and seal receptacle
DE102015210862B4 (de) Schaltgerät
KR200489954Y1 (ko) 수배전반용 프레임 연결 브래킷
KR101338056B1 (ko) 도어 글래스 마운팅 어셈블리
AU2020102534A4 (en) Conductor insulation positioning apparatus
KR101234321B1 (ko) 솔레노이드 코일 결합 장치
JPH0646010Y2 (ja) 放電灯点灯装置
KR20180006520A (ko) 주상 변압기용 꺾쇠장치
KR100227495B1 (ko) Vcr용 메인 pcb의 동작 스위치 자동검사장치
JP2002195234A (ja) ナット取付構造、ナット部材、およびナットガード
DE112013006451T5 (de) Stromschienenbefestigungsstruktur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Stromschienenbefestigungsstruktur
JPH0527239Y2 (ko)
KR100382494B1 (ko) 회로기판지지프레임-회로기판 어셈블리
KR20110003296U (ko) 전자접촉기용 안전커버
JP2005030583A (ja) 機器取付器具
JPS631718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