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2428B1 - 복공판, 복공판 체결장치 및 복공판 배수장치. - Google Patents

복공판, 복공판 체결장치 및 복공판 배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2428B1
KR101822428B1 KR1020170050955A KR20170050955A KR101822428B1 KR 101822428 B1 KR101822428 B1 KR 101822428B1 KR 1020170050955 A KR1020170050955 A KR 1020170050955A KR 20170050955 A KR20170050955 A KR 20170050955A KR 101822428 B1 KR101822428 B1 KR 101822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plate
bottom plate
groove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0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환
Original Assignee
대영스틸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영스틸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영스틸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50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24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2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24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8Temporary pav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5Paving specially adapted for through-the-surfacing drainage, e.g. perforated, porous; Preformed paving elements comprising, or adapted to form, passageways for carrying off drainag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면 임시복개용 복강판에 대한 발명으로서, 내부에 메인보강재를 수용하여 종래의 복공판 보다 강성이 증대된 복강판에 대한 발명이며, 본 발명의 복공판 체결장치는 복수의 복공판이 용이하게 체결되도록 체결편을 형성하는 것에 대한 발명이며, 본 발명의 복공판 배수장치는 복공판 표면의 빗물을 용이하게 배수하기 위한 복강판의 바닥판 하부에 길이방향과 폭방향의 배수관을 형성하는 것에 대한 발명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복공판은 종래의 복공판에 있어서, 판재형상이며, 4개의 모서리로 이루어지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 일면에 길이방향으로 부착되며, 복수로 형성되는 메인지지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복공판, 복공판 체결장치 및 복공판 배수장치. {DECK PLATE, FASTENING APPARATUS FOR DECK PLATE, DRAIN DEVICE OF DECK PLATE}
본 발명은 지면 임시복개용 복강판에 대한 발명으로서, 복강판, 복강판의 체결장치 및 복강판의 배수장치에 대한 발명이다.
특허문헌 001은 복공판 모서리 부분을 관통하는 복수의 체결 볼트를 가지면서 상기 복공판과 별개로 거더의 상부 플랜지와 결합하는 분리형 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볼트에 의해 상기 복공판과 상기 스토퍼가 서로 체결되는 복공판을 제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거더와 거더 사이에 배치되는 복공판의 설치 구조에 있어서, 상기 복공판의 적어도 각 모서리 부분을 관통하는 복수의 체결 볼트를 가지면서 상기 복공판과 별개로 상기 거더의 상부 플랜지와 결합하는 분리형 스토퍼를 포함하며,
서로 마주하는 양쪽의 복공판이 상기 체결 볼트에 의해 상기 스토퍼와 체결되고, 상기 체결 볼트에 의해 상기 복공판과 상기 스토퍼가 서로 체결되며, 상기 스토퍼는 "ㄷ"자 형태로서 상기 상부 플랜지 전체가 결합되고, 상기 체결 볼트는 상기 복공판의 적어도 각 모서리 부분에 대응하여 상기 스토퍼에 용접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2는 철근과 콘크리트로 구성된 철근콘크리트체가 내측에 채워져 형성되며, 파형강판인 저판, 양 측판, 전면 및 후면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양 측판의 외측면에 엠보싱과 같은 거친 면이 형성된 고무재질의 측면 탄성판이 탈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복공판의 측면탄성판이 서로 압착되도록 설치함으로서 강성증대 및 소음과 진동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복공판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가설벤트를 포함하는 하부구조 상면에, 양 단부에 상방 돌출된 L형강과 같은 채널부재를 포함하는 압착밀림방지판이 설치된 주 거더를 설치하고, 상기 주 거더의 압착밀림방지판 사이에 복공판을 병렬로 밀착시켜 설치하고, 복공판 사이의 이격 공간을 확보하여 상기 공간에 유압잭을 포함하는 압착수단을 설치하고 작동시킴으로서 병렬로 밀착되도록 설치된 복공판에 압착력이 도입되도록 하고, 상기 압착력이 도입된 복공판을 주 거더에 고정시켜 도입된 압착력이 유지되도록 하고, 상기 압착수단을 제거한 후 복공판을 최종 끼워 넣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복공판은 파형강판으로 형성된 저판; 상기 저판의 저면 및 후면에 세워져 고정된 판재형태의 전면 및 후면판; 상기 저판에 하부가,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에 전면과 후면이 각각 접하도록 세워져 고정된 ㄷ자 형상의 채널부재로서 몸통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형태의 양 측판; 고무재질의 탄성판재와 상기 관통홀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끼워져 설치되도록 탄성판재에 형성된 내측돌출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측면의 외측면 전체를 커버하도록 설치된 측면 탄성판재; 및 상기 저판, 전면 및 후면판 및 양 측판에 의한 내측 공간에 형성된 철근콘크리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한 소음과 진동 감소 및 강성 증가형 복공판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3은 각개 체결이 가능한 복공판에 관한 것으로서, 판형으로 형성되며, 다수개가 상호 인접하여 설치되고, 각 모서리부에 결합홈이 형성되는 본체부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부와 인접하는 다수개의 본체부를 상호 결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복수개로 나란하게 배치된 복공판들을 체결하여 복공판이 움직이지 않아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공판이 해체되지 않으므로, 차량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각개 체결이 가능한 복공판이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지하 시설 공사시 도로면을 복개하기 위해 사용되는 복공판에 있어서, 판형으로 형성되며, 다수개가 상호 인접하여 설치되고, 각 모서리부에 체결홈이 형성되는 본체부; 및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부와 인접하는 다수개의 본체부를 상호 체결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개 체결이 가능한 복공판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4는 복공판용 로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덮개형 복공판은 단순히 세로보 빔에 올려놓은 형태로 설치되어 있는바, 차량통과시 흔들림이 발생되거나 서로 충격에 의하여 세로보 빔에서 이탈되거나 이로 인한 차량안전사고 위험에 노출되므로, 이를 개선하여 기존 설치작업 후 별도의 작업공정 및 특별한 공구없이 하부에 설치된 로킹장치를 양중홀을 이용하여 드라이버로 돌려서 세로보 빔에 고정시킴으로써, 안전이 확보된 상태에서 차량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한 복공판용 로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단부가 가압수단에 의해 가압되고, 하단부가 상기 세로보 빔의 상단부 하면에 걸리는 로킹로드와; 상기 로킹로드가 삽입가능하도록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복공판의 하부에 설치된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로킹로드는 상기 가압수단에 의해 가압된 상태에서 세로보 빔 방향으로 회전되어 세로보 빔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용 로킹장치를 제공한다.
KR 10-1300687 B1 (2013년08월26일) KR 10-0948389 B1 (2010년03월19일) KR 10-2017-0005955 A (2017년01월17일) KR 10-0772088 B1 (2007년11월01일)
본 발명은 지면 임시복개용 복강판에 대한 발명으로서, 내부에 메인보강재를 수용하여 종래의 복공판보다 강성이 증대된 복강판에 대한 발명이며, 복수의 복공판을 용이하게 체결하기 위한 복강판 체결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복공판 표면의 빗물을 용이하게 배수하기 위한 복강판 배수장치에 대한 발명이다.
종래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복공판은 판재형상이며, 4개의 모서리로 이루어지는 바닥판(100);, 상기 바닥판 일면에 길이방향으로 부착되며, 복수로 형성되는 메인지지대(200);, 상기 메인지지대 사이에 고정되는 메인보강재(300);, 상기 바닥판 일면에 형성되며, 바닥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변형방지부(102);, 상기 메인지지대 일부는 바닥판의 변형방지부를 수용하는 복수의 변형방지부수용홈;을 포함한다.
삭제
본 발명의 복공판 체결장치는 앞에서 제시한 복공판에 상기 바닥판 4개 꼭지점에 형성되는 노치홈(103);, 상기 노치홈에 삽입되며, 인접 복공판 노치홈과 동시 결합되는 체결편(4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복공판 배수장치는 폐쇄된 3면과 개방된 제1개방부(511)를 형성하며, 앞에서 제시한 복공판의 상기 메인지지대에 형성되며, 상기 제1개방부가 바닥판 폭방향 모서리를 따라 형성되는 제1배수관(51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복공판 배수장치는 폐쇄된 3면과 개방된 제1개방부(511)를 형성하며, 앞에서 제시한 복공판의 상기 메인지지대에 형성되며, 상기 제2개방부가 바닥판 길이방향 모서리를 따라 형성되는 제2배수관(52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지하 공사시 임시 복개면 설치를 위한 복공판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복공판은 복수의 메인지지대가 일방향으로 형성되므로 강성 및 강도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 및 제작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 복공판은 변형방지부가 바닥판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판재형상의 바닥판을 사용하고도 높은 구조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메인보강재 및 충전물에 의해 복공판 강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복공판은 바닥판에 형성된 노치홈과 노치홈에 삽입되는 체결편의 결합으로 바닥판 평면을 유지하며, 안정적인 복공판 결합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복공판 체결편은 체결홈, 풀림방지홈, 풀림방지돌기를 형성하므로 진동에 의해 복공판 결합이 훼손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복공판은 변형유도공 및 변형유도홈에 의해 체결편고정시 높은 탄성력을 용이하게 부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복공판 배수장치는 제1배수관 및 제2배수관을 형성하므로 바닥판으로 진입되는 빗물을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복공판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복공판 메인보강재 배치도.
도 3은 본 발명 복공판 체결장치의 체결편 및 복공판의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복공판 배수장치의 제1, 2 배수관에 대한 배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의 복공판은 판재형상이며, 4개의 모서리로 이루어지는 바닥판(100);, 상기 바닥판 일면에 길이방향으로 부착되며, 복수로 형성되는 메인지지대(200);를 포함한다.
복공판은 지하구조물(지하철 또는 지하구조물)공사 및 노면 함몰부 공사 시, 오픈컷(Open Cut)을 임시적으로 복개하며, 도로면과 평면을 유지하고 차량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다수의 복공판이 결합되어 복개평면을 형성하며, 이를 위해 각각의 복공판은 블록구조로 이루어진다. 복공판들은 상호결합을 위해 동일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면은 4개의 평면으로 이루어진 바닥판을 구성한다.
바닥판은 차량이동을 위해 평판형상의 판재로 이루어진다. 또한 차량의 하중지지를 위해 메인지지대가 바닥판 하부와 결합된다. 메인지지대는 바닥판 일면에 용접되며, 메인지지대는 바닥판의 길이방향 및/또는 폭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메인지지대가 바닥판 길이방향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직사각형 형상의 바닥판을 강도상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함이다.
(실시예 1-2) 본 발명의 복공판은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메인지지대는 ㄷ형빔 또는 H형빔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메인지지대는 바닥판을 주행하는 중량의 차량 및 건설장비 등을 지지해야된다. 따라서 금속으로 제작되어 충분한 강도 및 강성을 확보해야된다. 제작용이성을 위해 표준화된 ㄷ형 빔 또는 H형 빔을 사용한다. 복공판에는 복수의 메인지지대가 결합되며, 2개의 메인지지대는 바닥판의 대응되는 양쪽면에 고정되고, 다른 메인지지대는 균등하게 또는 비균등하게 메인지지대 사이에 결합된다.
(실시예 1-3) 본 발명의 복공판은 실시예 1-2에 있어서, 상기 메인지지대와 상기 바닥판은 용접으로 접합되는 것을 포함한다.
메인지지대와 바닥판은 용접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용접 용이성 및 접합 효율성 확보를 위해 바닥판 및 메인지지대는 동일재질로 형성된다.
(실시예 1-4) 본 발명의 복공판은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 타면에 형성되며, 돌출형성되며, 복수로 형성되는 미끄럼방지문양(101);을 포함한다.
바닥판 타면은 차량 및 건설장비 이용이 빈번하게 이루어진다. 동절기 결빙이 발생되거나, 우천시 미끌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돌출 형성된 문양을 복수로 형성한다. 이는 제동거리 감축을 목적으로 한다. 미끄럼 방지 문양은 바닥판 전체에 걸쳐 엠보싱으로 형성되거나 비딩으로 형성된다.
(실시예 1-5) 본 발명의 복공판은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 일면에 형성되며, 바닥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변형방지부(102);를 포함한다.
바닥판 타면은 차량이 이동하며, 바닥판 일면은 메인지지대에 지지된다. 메인지지대 사이는 차량 및 장비 하중에 의해 변형우려가 높다. 변형방지를 위해 바닥판 일면에 변형방지부를 부착하며, 변형방지부는 메인지지대 사이에 형성된다. 변형방지부는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닥판 길이방향 및/또는 폭방향으로 배치된다.
(실시예 1-6) 본 발명의 복공판은 실시예 1-5에 있어서, 상기 변형방지부는 바닥판 일면과 용접되며, 다각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변형방지부 및 바닥판의 안정적 고정을 위해 용접으로 접합되며, 바닥판 굽힘방지를 위해, 변형방지부 단면은 단면계수가 높은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생산효율성 향상을 위해, 표준 형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변형방지부 단면은 원형관 또는 다각형관을 사용하거나 L자형 빔 I형 빔을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2-1) 본 발명의 복공판은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메인지지대 사이에 고정되는 메인보강재(300);를 포함한다.
메인보강재는 역T형강으로 이루어진다. 역T형강 양측면은 메인지지대 사이에 결합되며, 역T형강 일부는 복수의 변형방지부수용홈을 형성하여, 바닥판의 변형방지부를 수용한다. 역T형강의 타부는 받침부를 형성하며, 상기 받침부는 메인지지대에 역T형강이 밀착되도록 결합된다. 역T형강과 받침부는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용접으로 형성된다. 메인보강재가 먼저 제작된 후, 메인지지대 홈에 결합되어 복공판을 조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변형방지부수용홈과 변형방지부는 접촉만 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로서 용접으로 일체화될 수 있다. 상기 메인보강재는 복수로 형성되어 하나의 복공판에 다수개를 체결한다. 메인보강재는 표준형강(T형)을 사용하며, 판재를 T형형강에 부착하며, T형형강에 일부홈을 가공하므로 생산성이 매우높다. 메인보강재는 메인지지대의 홈에 안정적으로 결합되며, 변형방지부를 포함하는 바닥판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므로 높은 강성을 유지할 수 있다. 메인보강재는 표준형으로 제작가능하며, 복공판 크기에 따라 수량을 조절하여 설계가능 하므로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2-2) 본 발명의 복공판은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메인보강재는 메인지지대와 동일재질로 형성되며, 메인지지대와 용접되는 것을 포함한다.
메인지지대는 메인보강판과 용접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이는 높은 강도와 강성을 얻기 위함이다. 용접 효율성 확보를 위해 메인지지대는 메인보강판과 동일재질로 형성한다.
(실시예 2-3) 본 발명의 복공판은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메인보강재, 상기 바닥판, 상기 메인지지대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는 충전물(301)을 포함한다.
복수의 판재조합으로 이루어진 메인보강재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며, 복공판 전체 강성 향상을 위해 상기 공간에는 충전제를 삽입할 수 있다. 충전제는 압축강성이 높은 콘크리트가 충전될 수 있다.
(실시예 3-1) 본 발명은 복공판 체결장치에 대한 발명으로서, 실시예 1-1 또는 실시예 1-2의 상기 바닥판 4개 꼭지점에 형성되는 노치홈(103);, 상기 노치홈에 삽입되며, 인접 복공판 노치홈과 동시 결합되는 체결편(400);을 포함한다.
수십개 또는 수백개의 복공판이 상호 결합되어 하나의 복개면을 형성한다. 각각의 복공판은 인접한 복공판과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해야 된다. 이를 위해 2개 이상의 복공판이 결합되는 모서리에는 하나의 체결편이 삽입되어 2개 이상의 복공판을 일체로 결합한다. 체결편은 최대 4개의 복공판을 하나로 결합할 수 있다. 체결편의 안정적 결합을 위해 바닥판 꼭지점은 체결편이 삽입되는 노치홈을 형성한다. 즉, 하나의 체결편은 2개 이상의 복공판 꼭지점에 형성된 노치홈에 삽입되어 복수의 복공판을 결합한다. 체결편 두께는 바닥판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하여, 체결편 결합 후에도 바닥판과 수평을 유지해야 된다. 노치홈은 원의 4등분 형상으로 형성하며, 체결편은 원형 또는 반원형 등으로 형성한다. 체결편 반경은 노치홈 반경보다 작게 형성하며 체결편이 노치홈 내부에 삽입되게 형성한다.
(실시예 3-2) 본 발명의 복공판 체결장치는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체결편에 관통 형성되며, 4개가 균등 분활 위치에 형성되는 체결홈(401);, 상기 메인지지대에 고정되며, 상기 노치홈 위치로 돌출되며, 상기 체결홈에 결합되는 고정핀(201);을 포함한다.
체결편과 복공판 결합을 위해 고정핀이 사용된다. 고정핀은 노치홈 부분에 형성되며, 메인지지대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핀은 상기 체결홈에 결합된다. 즉, 하나의 체결편에는 복수의 체결홈을 형성하며 고정핀과 결합되므로 복수의 복공판이 체결편에 결합된다. 고정핀은 메인지지대에 결합된다. 결합용이성 확보를 위해 메인지지대에 구멍을 형성하며, 상기 구멍에 고정핀 일측이 삽입되며, 고정핀과 메인지지대는 용접으로 고정된다.
(실시예 3-3) 본 발명의 복공판 체결장치는 실시예 3-2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 일측은 고정핀직경보다 넓은 머리부를 형성하며, 상기 체결홈 직경은 머리부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3-4) 본 발명의 복공판 체결장치는 실시예 3-3에 있어서, 상기 체결홈에 연장되며, 체결홈 직경보다 작은 폭의 슬롯을 가지는 풀림방지홈(402);을 포함한다.
체결홈 직경은 상기 고정핀 머리부 직경보다 크게 형성하며, 체결홈 일측에 는 고정핀 몸체부가 삽입되는 슬롯을 형성한다. 상기 체결홈으로 고정핀 머리가 삽입되며, 상기 체결편 회전으로 체결편 및 복공판이 결합된다. 즉, 고정핀 머리부는 체결편 일면을 고정하므로 체결편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슬롯은 체결편에 관통되며, 슬롯형상은 체결편을 중심으로 원주면을 따라 일정구간 형성된다. 체결편 슬롯 단면은 고정핀 몸체부가 결합하는 몸체결합부 및 고정핀 머리부가 접촉되고 수용되는 머리결합부를 형성한다. 즉, 고정핀 머리부는 바닥판 타면으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복개면은 평면을 유지한다.
삭제
(실시예 3-5) 본 발명의 복공판 체결장치는 실시예 3-4에 있어서, 상기 풀림방지홈에 형성되며, 돌출 형성되는 풀림방지돌기(403);를 포함한다.
복공판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바닥판은 차량 등의 이동으로 진동을 받으며, 주기적인 진동에 의해 체결편이 회전하며, 고정핀과 체결편 결합이 이탈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슬롯에는 돌출된 풀림방지돌기를 형성한다. 즉 체결편 회전시 체결편 슬롯은 고정핀 몸체부를 따라 이동하며, 풀림방지돌기를 거쳐 결합된다. 풀림방지돌기는 탄성변형되어 몸체부를 이동시킨다. 따라서 진동에 의해 체결편이 회전되어도 풀림방지돌기의 간섭으로 고정핀과 체결편의 움직임이 제한된다. 이는 체결편과 고정핀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3-6) 본 발명의 복공판 체결장치는 실시예 3-4에 있어서, 상기 체결편 중심에 원형으로 관통 형성되는 변형유도공(404);, 상기 변형유도공 및 상기 체결홈을 연통하는 변형유도홈(405);을 포함한다.
체결편은 강판으로 제작되므로, 체결편과 고정핀 결합과정 중 쉽게 탄성변형 되지 않는다. 따라서 어느 정도의 회전력으로 탄성변형을 유발하는 변형유도공을 형성한다. 변형유도공은 체결편 중심에 원형으로 관통형성된 구멍을 형성한다. 상기 변형유도공은 체결홈과 연결된 변형유도홈으로 절개되며, 이는 슬롯의 변형을 원활하게 허용한다.
(실시예 3-7) 본 발명의 복공판 체결장치는 실시예 3-4에 있어서, 상기 체결편 외주면에 형성되며, 복수로 형성되며, 균일한 간격으로 배치되며, 관통된 홈으로 형성되는 공구삽입홈(406);을 포함한다.
체결편 외주면에는 복수의 공구삽입홈을 형성하며, 상기 공구삽입홈은 복수의 관통된 노치홈을 형성한다. 공구삽입홈에 공구를 삽입한 후 공구회전으로 체결편을 회전시킨다. 회전되는 체결편은 체결홈에 삽입된 고정핀을 슬롯을 따라 이동시키며, 고정핀 몸체는 슬롯에 형성된 풀림방지돌기와 접촉되며, 공구회전으로 체결편의 탄성변형이 변형유도공과 변형유도홈에 의해 이루어진다.
(실시예 3-8) 본 발명의 복공판 체결장치는 실시예 3-3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 외경은 숫나사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핀이 결합되는 메인지지대는 암사사를 형성하여 고정핀과 메인지지대는 나사결합되는 것을 포함한다.
체결편은 복수의 체결홈을 형성하며, 체결홈은 단차를 형성하며, 단차의 작은구멍은 고정핀 몸체를 수용하며, 큰 구멍은 고정핀 머리부를 수용한다. 고정핀 몸체는 일측에 나사를 형성하여 메인지지대와 나사결합된다. 따라서, 하나의 체결편은 복수의 복공판과 나사결합되어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 3-9) 본 발명의 복공판 체결장치는 실시예 3-1에 있어서, 인접하는 복공판 사이에 삽입되며, 체결편이 위치하는 메인지지대에 위치하는 간격재(230);을 포함한다.
복공판 조합으로 이루어진 복개면은 차량 이동으로 미소한 변형을 발생하며, 이러한 변형은 인접한 복공판으로 연동되고 이는 복개면 전체의 변형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미소한 진동 및 변형을 수용할 수 있는 구성이 요구되며,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간격재가 복공판 및 복공판 결합면에 삽입된다. 상기 간격재는 금속 또는 고무로 제작된다.
(실시예 4-1) 본 발명의 복공판 배수장치는 폐쇄된 3면과 개방된 제1개방부(511)를 형성하며, 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1-3 중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상기 메인지지대에 형성되며, 상기 제1개방부가 바닥판 폭방향 모서리를 따라 형성되는 제1배수관(510);을 포함한다.
복공판 및 복공판의 폭 사이에는 접촉면이 형성되며, 우천시 복공판 상면에 떨어진 빗물은 상기 접촉면으로 스며든다. 접촉면으로 스며든 빗물은 한곳으로 모아 처리하며, 이를 위해 접촉면 하부에 빗물 포집 및 이송을 위한 장치가 요구된다. 빗물을 포집하기 위해 제1배수관은 접촉면 사이 하부에 위치한다. 제1배수관은 관형상으로 형성되어 빗물을 양방향으로 이송시킨다. 접촉면으로 진입된 빗물 포집을 위해 제1배수관은 개방된 일면을 형성하며, 그 개방된 일면은 접촉면 하부에 위치된다. 접촉면으로 투입된 빗물은 제1배수관 제1개방부로 투입되며, 투입된 빗물은 제1배수관을 따라 양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
(실시예 4-2) 본 발명의 복공판 배수장치는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제1배수관은 폭방향 모서리 2개 중 일측에만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폭방향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복공판 사이에는 하나의 제1배수관이 설치된다. 복공판 폭방향 모든면에 제1배수관이 설치되면 간섭되어 결합용이성이 확보되지 않는다.
(실시예 4-3) 본 발명의 복공판 배수장치는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제1배수관은 메인지지대 결합홈(202)에 끼워맞춤 결합되며, 제1파스너(512)에 의해 메인지지대와 조립되는 것을 포함한다.
제1배수관은 복수의 메인지지대 일측면에 형성되며, 용접으로 고정되어 복공판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서, 제1배수관은 복공판과 분리 및 결합될 수 있다. 복공판과 제1배수관 결합은 제1파스너로 결합된다. 시공과정 중 복공판을 먼저 설치한 후, 복공판 및 복공판 사이에 제1배수관을 결합한다. 복공판에 제1배수관이 일체로 결합되며, 복공판 측면으로 돌출된 제1배수관에 의해 운송 및 설치시 간섭을 유발하며 이는 파손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상기 제1파스너는 통상의 볼트체결방식이 바람직하며, 그 외에 치환하여 사용 가능한 균등한 대상으로 리벳팅, 가용접, 홈과 돌기결합 등으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실시예 4-4) 본 발명의 복공판 배수장치는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제1배수관 길이는 복공판 폭방향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폭방향으로 스며든 빗물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배수관에 빗물을 전달한다. 따라서, 제1배수관 단면은 복공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2배수관 상면에 위치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제1배수관의 길이는 복공판의 폭방향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야 한다.
(실시예 5-1) 본 발명은 복공판 배수장치에 대한 발명으로서, 폐쇄된 3면과 개방된 제1개방부(511)를 형성하며, 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1-3 중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상기 메인지지대에 형성되며, 상기 제2개방부가 바닥판 길이방향 모서리를 따라 형성되는 제2배수관(520);을 포함한다.
복공판 및 복공판의 길이방향 사이에는 접촉면이 형성되며, 우천시 복공판 상면에 떨어진 빗물은 상기 접촉면으로 스며든다. 접촉면으로 스며든 빗물은 한곳으로 모아 처리하며, 이를 위해 접촉면 하부에 빗물 포집 및 이송을 위한 장치가 요구된다. 빗물을 포집하기 위해 제2배수관은 복공판 및 복공판의 길이방향 접촉면 하부에 사이에 위치한다. 제2배수관은 관형상으로 형성되어 빗물을 양방향으로 이송시킨다. 접촉면으로 진입된 빗물 포집을 위해 제2배수관은 일면에 제2개방부를 형성하며, 제2개방부는 접촉면 하부에 위치된다. 복공판의 길이방향 접촉면으로 투입된 빗물은 제2배수관의 제2개방부로 투입되며,
또한, 복공판의 폭방향 접촉면으로 투입된 빗물은 제1배수관을 따라 이동한 후 제1배수관의 양단이 제2배수관의 제2개방부 상부에 형성된다. 따라서, 제2배수관은 복공판의 폭방향 접촉면 및 길이방향 접촉면의 모든 빗물을 최종적으로 수용하여 이송시킨다.
(실시예 5-2) 본 발명의 복공판 배수장치는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제2배수관은 길이방향 모서리 2개 중 일측에만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다수의 복공판 조립시 복공판의 길이방향 면에는 하나의 제2배수관이 설치된다. 복공판 길이방향으로 제2배수관이 모두 설치되면 복공판 조립시 간섭이 발생되므로 결합용이성을 확보할 수 없다.
(실시예 5-3) 본 발명의 복공판 배수장치는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제2배수관은 메인지지대 측면과 제2파스너(522)에 의해 조립되는 것을 포함한다.
제2배수관은 메인지지대 측면에 형성되며, 용접으로 고정되어 복공판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서, 제2배수관은 복공판과 분리 및 결합될 수 있다. 복공판과 제2배수관 결합은 제2파스너로 결합된다. 시공과정 중 복공판을 먼저 설치한 후, 복공판과 복공판 사이에 제1배수관을 결합하는 것이다. 복공판에 제2배수관이 일체로 결합되면, 복공판 측면으로 돌출된 제2배수관에 의해 운송 및 설치시 간섭을 유발하여 파손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제2파스너는 통상의 볼트체결방식이 바람직하며, 그 외에 치환하여 사용 가능한 균등한 대상으로 리벳팅, 가용접, 홈과 돌기결합 등으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실시예 5-4) 본 발명의 복공판 배수장치는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제2배수관 일측의 내부크기는 제2배수관 타측의 외부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는 제2삽입부(523)를 포함한다.
다수의 복공판이 결합되는 과정에서, 제2배수관 및 제2배수관 결합이 용이하지 않으면 연결부위에서 빗물누출이 발생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2배수관 일측은 제2배수관 타측과 부분적으로 겹쳐져 설치된다. 겹쳐진 제2배수관 일측에는 제2결합부를 형성한다. 이는 제2배수관들을 결합 연결하여 빗물유출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실시예 5-5) 본 발명의 복공판 배수장치는 실시예 5-4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부의 일측과 타측의 결합부위에 형성되는 제2방수패드(524);를 포함한다.
2개의 제2배수관이 결합되는 면에는 제2결합부를 형성되며, 제2결합부에 교차되어 접촉되는 부위에는 제2방수패드를 형성하여 빗물의 중간유출을 방지한다.
100 : 바닥판 101 : 미끄럼방지문양
102 : 변형방지부 103 : 노치홈
200 : 메인지지대 201 : 고정핀
202 : 메인지지대 결합홈 230 : 간격재
300 : 메인보강재 301 : 충전물
400 : 체결편 401 : 체결홈
402 : 풀림방지홈 403 : 풀림방지돌기
404 : 변형유도공 405 : 변형유도홈
406 : 공구삽입홈 510 : 제1배수관
511 : 제1부분개방부 512 : 제1파스너
520 : 제2배수관 521 : 제2부분개방부
522 : 제2파스너 523 : 제2결합부
524 : 제2방수패드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판재형상이며 4개의 모서리로 이루어지는 바닥판(100), 상기 바닥판 일면에 길이방향으로 부착되며 복수로 형성되는 메인지지대(200), 상기 메인지지대 사이에 고정되는 메인보강재(300), 상기 바닥판 일면에 형성되며 바닥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변형방지부(102), 상기 메인지지대 일부는 바닥판의 변형방지부를 수용하는 복수의 변형방지부수용홈;로 형성되는 복공판;,
    상기 바닥판 4개 꼭지점에 형성되며, 원의 4등분 형상으로 형성되는 노치홈(103);,
    상기 노치홈에 삽입되며, 원형으로 형성되며, 인접 복공판 노치홈과 동시 결합되는 체결편(400);,
    상기 체결편에 관통 형성되며, 4개가 균등 분활 위치에 형성되는 체결홈(401);,
    상기 체결홈에 연장되며, 체결홈 직경보다 작은 폭의 슬롯을 가지는 풀림방지홈(402);,
    상기 메인지지대에 고정되며, 상기 노치홈 위치로 돌출되며, 상기 체결홈에 결합되는 고정핀(201);,
    상기 체결홈으로 고정핀 머리가 삽입되며, 상기 체결편 회전으로 체결편 및 복공판이 결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복공판 체결장치.

  4. 폐쇄된 3면과 개방된 제1개방부(511)를 형성하며, 청구항 3의 메인지지대에 형성되며, 상기 제1개방부가 바닥판 폭방향 모서리를 따라 형성되는 제1배수관(510);을 포함하는 복공판 배수장치.
  5. 폐쇄된 3면과 개방된 제1개방부(511)를 형성하며, 청구항 3의 메인지지대에 형성되며, 상기 제1개방부가 바닥판 길이방향 모서리를 따라 형성되는 제2배수관(520);을 포함하는 복공판 배수장치.
KR1020170050955A 2017-04-20 2017-04-20 복공판, 복공판 체결장치 및 복공판 배수장치. KR1018224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955A KR101822428B1 (ko) 2017-04-20 2017-04-20 복공판, 복공판 체결장치 및 복공판 배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955A KR101822428B1 (ko) 2017-04-20 2017-04-20 복공판, 복공판 체결장치 및 복공판 배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2428B1 true KR101822428B1 (ko) 2018-03-08

Family

ID=61725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0955A KR101822428B1 (ko) 2017-04-20 2017-04-20 복공판, 복공판 체결장치 및 복공판 배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24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0576B1 (ko) * 2020-07-21 2021-10-08 이종철 강상판형 복공부와 거더부가 볼트 합성된 가설구조물의 배수시스템
CN117344629A (zh) * 2023-12-04 2024-01-05 中化学交通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桥面铺装结构及施工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4820B1 (ko) * 2013-09-26 2014-07-04 대현테크(주) 복공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4820B1 (ko) * 2013-09-26 2014-07-04 대현테크(주) 복공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0576B1 (ko) * 2020-07-21 2021-10-08 이종철 강상판형 복공부와 거더부가 볼트 합성된 가설구조물의 배수시스템
CN117344629A (zh) * 2023-12-04 2024-01-05 中化学交通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桥面铺装结构及施工方法
CN117344629B (zh) * 2023-12-04 2024-04-02 中化学交通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桥面铺装结构及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11257B1 (en) Interlocking mat system for construction of load supporting surfaces
KR101454859B1 (ko) 강합성보 및 그에 따른 강합성보의 시공방법
EP0865982A2 (en) Trailer body with modular horizontal splice and vertical dummy splice members
KR101822428B1 (ko) 복공판, 복공판 체결장치 및 복공판 배수장치.
JP2010137845A (ja) 航空機キャビン床構造、システム及び方法
WO2006006323A1 (ja) 木造建築物開口部における耐震用フレーム
JP4596920B2 (ja) 大型複合材構造物及び大型複合材構造物の製作方法
CA2755823A1 (en) Panel assembly for traffic noise barrier wall
JP5862122B2 (ja) ガラスパネルの取付構造
US20130092473A1 (en) Panel Assembly For Traffic Noise Barrier Wall
JP2009121077A (ja) 鋼製壁高欄
KR100910986B1 (ko) 복공판 구조체
KR102290973B1 (ko) 중하중 그레이팅 및 이의 시공방법
JP2015151806A (ja) 防水板
KR100551905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발포알루미늄 방음벽 설치 방법
KR20060063310A (ko) 섬유강화플라스틱 복공판
KR101774046B1 (ko) 조립식 일체형 가설교량
JP6463283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壁部材の連結構造
JP7412057B1 (ja) 木軸トレーラー、木軸部材用固定金具、及び木軸トレーラーの製造方法
JP2004156291A (ja) 橋桁構造及び橋桁の架設方法
KR102217218B1 (ko) 하중에 대한 보강응력과 야간시인성 및 작업성을 좋게 한 스틸 그레이팅
WO2024070374A1 (ja) 木軸トレーラー、木軸部材用固定金具、及び木軸トレーラーの製造方法
KR102574319B1 (ko)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결합 시스템
JP5917945B2 (ja) 大型覆工板およびその敷設方法
KR200485178Y1 (ko) 복공판 결합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