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2229B1 - 버스 바 및 버스 바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버스 바 및 버스 바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2229B1
KR101822229B1 KR1020147033978A KR20147033978A KR101822229B1 KR 101822229 B1 KR101822229 B1 KR 101822229B1 KR 1020147033978 A KR1020147033978 A KR 1020147033978A KR 20147033978 A KR20147033978 A KR 20147033978A KR 101822229 B1 KR101822229 B1 KR 101822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portion
electrode connection
positive electrode
negative electrode
bus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3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6232A (ko
Inventor
아키라 사카에
고타로 도요타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0075917A external-priority patent/JP552316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075915A external-priority patent/JP5483348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ublication of KR20140146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62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2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2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1Methods or arrangement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7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an arrangement of two or more busbars within a container structure, e.g. busbar modu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14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 H01M50/517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by fixing means, e.g. screws, rivets or bol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21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522In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61Hollow metallic terminals, e.g. terminal bush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6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2Connections between conductors of different materials; Connections between or with aluminium or steel-core aluminium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9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nection, e.g. mixed connections
    • H01M50/51Connection only in s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플러스 단자와 마이너스 단자가 서로 이종 금속으로 형성된 배터리에 대하여 사용하는 버스 바로서, 전기 부식을 방지하면서 전기 저항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기계적 강도에도 우수한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버스 바(1)는 배터리 셀(2)의 플러스 단자(5)와 동일 금속으로 형성되어 당해 플러스 단자(5)와 접속 가능하게 된 정극 접속부(10)와, 배터리 셀(2)의 마이너스 단자(6)와 동일 금속으로 형성되어 당해 마이너스 단자(6)와 접속 가능하게 된 부극 접속부(11)가 금속적 결합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Description

버스 바 및 버스 바의 제조 방법{BUS BAR AND METHOD FOR PRODUCING BUS BAR}
본 발명은 플러스 단자와 마이너스 단자가 서로 이종 금속으로 형성된 배터리에 대하여,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버스 바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카 등에 탑재하는 배터리로서, 복수의 배터리 셀을 서로의 정·부극 사이가 직렬 접속이 되도록 버스 바로 연결해서 조전지로 구성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이러한 조전지는 고출력, 고에너지 밀도인 것이 특징이며, 배터리 셀에는 대부분의 경우, 리튬 이온 전지가 사용되고 있다. 리튬 이온 전지는 플러스 단자가 알루미늄(Al)을 소재로 하고, 마이너스 단자가 구리(Cu)를 소재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배터리 셀의 단자끼리를 연결하기 위한 부품으로서, 버스 바(bus bar, 전기 에너지의 분배에 사용되는 부품이며, 버스 바라고도 부름)가 있다. 이러한 버스 바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2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버스 바를 구성하는 부재끼리 레이저 용접하는 것이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2-373638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3-163039호 공보
전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 셀끼리를 직렬로 접속할 경우, 플러스 단자인 알루미늄제 단자와, 마이너스 단자인 구리제 단자를 버스 바로 연결하게 된다. 그로 인해, 버스 바를 알루미늄으로 형성하도록 하거나 또는 구리로 형성하도록 하더라도, 반드시 버스 바와 한쪽의 단자 사이는 이종 금속에 의한 접속을 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이종의 금속끼리를 접속했을 때에 공기중의 수분에 의한 전기 부식(전기 화학적 부식)이 일어나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 전기 부식의 진행에 수반하여, 버스 바와 단자 사이가 통전하지 않게 되거나 버스 바 자체 또는 단자 자체가 파손되거나 하는 경우가 생기고, 최종적으로는 전기 자동차를 시동할 수 없다는 중대 문제에 이른다.
또한, 이 문제의 대책으로서, 특허문헌 2와 같이, 알루미늄편과 구리편을 레이저 용접 등에 의해 접합해서 버스 바를 제작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지만, 이 방법으로 시험제작된 버스 바에서는, 레이저 용접 부분에서 2종의 금속에 의한 공정이 발생하고, 이것이 원인으로 전기 저항이 과대하게 되거나 기계적 강도(특히 취성이나 인장 강도)가 현저하게 저하하거나 하는 결점이 있어서, 매우 실용적이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플러스 단자와 마이너스 단자가 서로 이종 금속으로 형성된 배터리에 대하여 사용하는 버스 바에 있어서, 전기 부식을 방지하면서 전기 저항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기계적 강도에도 우수한 고성능·고신뢰성을 갖는 버스 바와, 이 버스 바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한 버스 바는, 플러스 단자와 마이너스 단자가 서로 이종 금속으로 형성된 배터리에 대하여 사용하는 단자 접속용의 버스 바이며, 상기 배터리의 플러스 단자와 동일 금속으로 형성되고 또한 플러스 단자와 접속 가능하게 된 정극 접속부와, 상기 배터리의 마이너스 단자와 동일 금속으로 형성되고 또한 마이너스 단자와 접속 가능하게 된 부극 접속부를 구비하고, 상기 정극 접속부와 부극 접속부가 금속적 결합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는 구성을 갖는다.
이 버스 바이면, 배터리의 플러스 단자에 당해 단자와 동일 금속으로 형성된 정극 접속부를 접속하고, 배터리의 마이너스 단자에 당해 단자와 동일 금속으로 형성된 부극 접속부를 접속함으로써, 단자 접합부에서의 전기 부식, 거기에 수반하는 전기 저항의 증가가 억제되고, 배터리 접속용의 버스 바로서의 신뢰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또한, 버스 바의 정극 접속부와 부극 접속부는 금속적 결합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이 결합 부분에 있어서도 전기 부식, 그에 수반하는 전기 저항의 증가가 발생하는 일은 없다.
또한, "금속적 결합"은, 결합하려는 이종 금속 사이가 금속 조직 레벨로 밀착된 결합 계면을 형성시켜, 그 결과로써 도전성 및 기계적 결합 강도를 "버스 바로서 실용에 적합한 값"으로까지 높인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극 접속부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되고, 상기 부극 접속부는 구리 또는 동합금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한편, 상술한 버스 바를 제조할 때는, 상기 정극 접속부를 형성하는 금속 원재와 부극 접속부를 형성하는 금속 원재가 면으로 접하는 상태로 되어 있는 대면 원재를 준비하고, 고압의 정수압 환경 하에서, 상기 대면 원재를 다이에 의해 압출 가공 또는 인발 가공하는 제조 방법을 채용하는 것이 불가결하다.
이 제조 방법을 채용함으로써, 정극 접속부를 형성하는 금속재와 부극 접속부를 형성하는 금속재가 금속적 결합해서 일체화되어, 배터리의 플러스 단자와 마이너스 단자 사이를 적합하게 연결할 수 있는 버스 바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한 버스 바는, 플러스 단자와 마이너스 단자가 서로 이종 금속으로 형성된 배터리에 대하여 사용하는 단자 접속용의 버스 바이며, 상기 배터리의 플러스 단자와 동일 금속으로 형성되고 또한 플러스 단자와 접속 가능하게 된 정극 접속부와, 상기 배터리의 마이너스 단자와 동일 금속으로 형성되고 또한 마이너스 단자와 접속 가능하게 된 부극 접속부를 갖고, 평면시에 있어서, 상기 정극 접속부의 주위를 부극 접속부가 둘러싸고, 또는 부극 접속부의 주위를 정극 접속부가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정극 접속부와 부극 접속부가 금속적 결합에 의해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구성을 구비한다.
이 버스 바이면, 배터리의 플러스 단자에 당해 단자와 동일 금속으로 형성된 정극 접속부를 접속하고, 배터리의 마이너스 단자에 당해 단자와 동일 금속으로 형성된 부극 접속부를 접속함으로써, 단자 접합부에서의 전기 부식, 거기에 수반하는 전기 저항의 증가가 억제되고, 배터리 접속용의 버스 바로서의 신뢰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또한, 버스 바의 정극 접속부와 부극 접속부는 금속적 결합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이 결합 부분에 있어서도 전기 부식, 그에 수반하는 전기 저항의 증가가 발생하는 일은 없다.
또한, "금속적 결합"은, 결합하려고 하는 이종 금속 사이가 금속 조직 레벨로 밀착된 결합 계면을 형성시켜, 그 결과적으로 도전성 및 기계적 결합 강도를 "버스 바로서 실용에 적합한 값"으로까지 높인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극 접속부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되고, 상기 부극 접속부는 구리 또는 동합금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한편, 상술한 버스 바를 제조할 때는, 상기 정극 접속부를 형성하는 금속 원재의 주위를 부극 접속부를 형성하는 금속 원재로 둘러싼 대면 원재, 또는 부극 접속부를 형성하는 금속 원재의 주위를 정극 접속부를 형성하는 금속 원재로 둘러싼 대면 원재를 준비하고, 고압의 정수압 환경 하에서, 상기 대면 원재를 다이에 의해 압출 가공 또는 인발 가공하는 제조 방법을 채용하는 것이 불가결하다.
이 제조 방법을 채용함으로써, 정극 접속부를 형성하는 금속재와 부극 접속부를 형성하는 금속재가 금속적 결합해서 일체화되어, 배터리의 플러스 단자와 마이너스 단자 사이를 적합하게 연결할 수 있는 버스 바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러스 단자와 마이너스 단자가 서로 이종 금속으로 형성된 배터리에 대하여 사용할 수 있고, 전기 부식을 방지하면서 전기 저항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기계적 강도에도 우수한 고성능·고신뢰성을 갖는 버스 바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의 버스 바의 사용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는 제1 실시형태의 버스 바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b는 제1 실시형태의 버스 바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버스 바를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한 사시도이다.
도 4a는 제2 실시형태의 버스 바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b는 제2 실시형태의 버스 바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제3 실시형태의 버스 바의 사용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a는 제3 실시형태의 버스 바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b는 제3 실시형태의 버스 바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c는 제3 실시형태의 버스 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버스 바를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한 사시도이다.
도 8a는 제4 실시형태의 버스 바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b는 제4 실시형태의 버스 바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c는 제4 실시형태의 버스 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버스 바(1)의 제1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사용예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버스 바(1)는, 복수의 배터리 셀(2)을 직렬 접속함으로써 구성되는 조전지(3)에 있어서, 배터리 셀(2) 상호 사이에서 플러스 단자(5)와 마이너스 단자(6)를 접속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각 배터리 셀(2)은 리튬 이온 전지이며, 플러스 단자(5)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에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마이너스 단자(6)는 구리 또는 동합금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에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스 바(1)는 직사각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장변측을 거의 이등분하는 중간 위치를 경계로 하여, 그 일측에 정극 접속부(10)가 설치되고, 타측에 부극 접속부(11)가 설치되어 있다. 버스 바(1)의 치수는 배터리 셀(2) 상호의 위치나 흐르는 전류량 등에 의해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지만, 예를 들어 장변 30 내지 70㎜, 단변 20 내지 60㎜, 두께 1 내지 2㎜이다.
버스 바(1)의 정극 접속부(10)와 부극 접속부(11)는 서로 다른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다. 정극 접속부(10)는 배터리 셀(2)의 플러스 단자(5)와 동일 금속, 즉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을 소재로 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부극 접속부(11)는 마이너스 단자(6)와 동일 금속, 즉 구리 또는 동합금을 소재로 하여 형성되어 있다.
버스 바(1)에 있어서의 정극 접속부(10)와 부극 접속부(11)의 경계는, 정극 접속부(10)의 금속(Al)과 부극 접속부(11)의 금속(Cu)을 초고압하(예를 들어 1000㎫ 정도)이고 또한 변형을 부여하도록 하여, 서로가 금속 조직 레벨로 밀착된 결합 계면을 형성시키고, 그 결과로써 도전성 및 기계적 결합 강도를 "버스 바로서 실용에 적합한 값"으로까지 높인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극 접속부(10)에는 배터리 셀(2)의 플러스 단자(5)를 삽입하는 접속 구멍(12)이 단변 방향 대략 중앙부에 설치되고, 부극 접속부(11)에는 배터리 셀(2)의 마이너스 단자(6)를 삽입하는 접속 구멍(13)이 단변 방향 대략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들 각 접속 구멍(12)에 플러스 단자(5)를 삽입한 상태에서, 관통된 플러스 단자(5)에 대하여 너트(15)를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플러스 단자(5)와 정극 접속부(10)가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접속 구멍(13)에 마이너스 단자(6)를 삽입한 후에, 마이너스 단자(6)에 대하여 너트(15)를 나사 결합시켜, 마이너스 단자(6)와 부극 접속부(11)를 연결한다.
또한, 너트(15)를 나사 결합시킨 결합이 아니고, 플러스 단자(5)와 정극 접속부(10)를 용접하는 동시에 마이너스 단자(6)와 부극 접속부(11)를 용접해도 좋다. 즉, 버스 바의 이종 금속부를 각각의 동종 단자에 직접 용접해도 좋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구성의 버스 바(1)를 제조하려면, 초고압 정수압하에 있어서의 압출 가공을 행한다. 이 가공에 사용하는 압출 장치(20)는, 얻고자 하는 버스 바(1)의 장변측 단면 형상(평면 형상)에 대응한 단일 개구의 다이(21)를 구비한 것으로, 초고압(1000㎫ 정도)의 등방압 환경 하에서의 압출 성형이 가능하다.
버스 바(1)의 제조 수순으서는, 우선 배터리 셀(2)의 플러스 단자(5)와 동일 금속(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정극용 원재(10A)(금속 원재)와, 배터리 셀(2)의 마이너스 단자(6)와 동일 금속(구리 또는 동합금)으로 이루어지는 부극용 원재(11A)(금속 원재)를 준비한다. 이들 정극용 원재(10A) 및 부극용 원재(11A)는, 예를 들어 각각 바(bar)로 된 것을 길이 방향을 따라 맞대어, 둥근 막대 형상의 빌렛(대면 원재)으로서 형성해 두면 좋다.
다음에, 이 빌렛을 정극용 원재(10A)와 부극용 원재(11A)가 서로 병행해서 압출되도록 압출 장치(20)에 장전한다.
이 상태에서, 압출 장치(20)를 초고압의 등방압 환경 하에서 작동시켜, 압출 가공 또는 인발 작업을 행하고, 정극용 원재(10A)와 부극용 원재(11A)가 금속적 결합해서 일체로 된 성형체(1A)를 성형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출 장치(20)의 다이(21)(다이스)의 개구 면적은 빌렛의 단면적보다 작기 때문에, 다이(21)를 통과시킴으로써, 빌렛이 전체 둘레에서 압축을 받아서 소성 변형한다. 양 원재(10A, 11A)의 맞춤면은 다이(21)를 나온 후에 정극 접속부(10)와 부극 접속부(11)의 결합 계면(금속적 결합부)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성형체(1A)를 압출 방향에서 소정 간격을 두고 잘라낸다. 잘라낸 후에 있어서, 정극 접속부(10)에 접속 구멍(12)을 설치하고, 부극 접속부(11)에 접속 구멍(13)을 설치해서 버스 바(1)를 완성시킨다. 필요에 따라서 표면 연마나 표면 처리 등을 행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제조된 버스 바(1)는 배터리 셀(2)의 플러스 단자(5)와 동일 금속의 정극 접속부(10)와, 배터리 셀(2)의 마이너스 단자(6)와 동일 금속의 부극 접속부(11)가 금속적 결합에 의해 일체 형성된 구성이다. 이로 인해, 이 버스 바(1)의 어느 부분[배터리 단자와의 연결 부분 및 정극 접속부(10)와 부극 접속부(11)의 결합면]에서도 전기 부식이 일어나지 않고 전기 저항을 억제할 수 있고, 게다가 기계적 강도에도 우수한 것이 된다.
[제2 실시형태]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관한 버스 바(1)의 제2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2 실시형태의 버스 바(1)에서는, 정극 접속부(10)와 부극 접속부(11)의 결합 계면(금속적 결합부)을 발생시키는 부분에, 측면에서 보아 크랭크 형상으로 꺾이는 단차부(25)를 형성하여, 정극 접속부(10)와 부극 접속부(11) 사이에 고저차를 발생시킨 것이다. 이러한 단차부(25)를 형성시킨 버스 바(1)이면, 서로 고저차(또는 가로 어긋남)를 발생시켜서 배치된 배터리 셀(2) 상호를 바로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단차부(25)에 있어서, 정극 접속부(10)와 부극 접속부(11) 사이의 고저차를 어느 정도의 치수로 할 지는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단차부(25)는 정극 접속부(10)와 부극 접속부(11)의 결합 계면에 일치시켜서 형성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정극 접속부(10)측, 또는 부극 접속부(11)측에 위치를 어긋나게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단차부(25)는 크랭크 형상으로 꺾이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완만한 곡선에 의해, S자 커브를 그리도록 형성해도 좋다.
제2 실시형태의 버스 바(1)를 제조하는 경우라도, 초고압(~1000㎫ 정도)의 등방압 환경 하에서의 압출 또는 인발 성형을 채용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이(21)의 개구 형상을 버스 바(1)의 장변측 단면 형상에 대응시켜서 크랭크 형상으로 해 두면 좋다.
그 밖의 구성 및 작용 효과, 제조 방법은 제1 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하므로, 여기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1
초고압의 등방압 환경 하에서의 압출 또는 인발 성형에 의해 제조한 제1 실시형태의 버스 바의 특성을 표 1에 나타낸다.
비교 대상으로서는, 종래 제조법의 하나인 마찰 교반법에 의한 접합[마찰 교반 접합 : Friction Stir Welding(FSW)]을 행해서 제조한 버스 바와, 종래 제조법의 하나인 레이저 용접에 의해 접합을 행해서 제조한 버스 바를 예시한다.
Figure 112014117600037-pat00001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찰 교반법에 의한 접합을 행해서 제조한 버스 바는 전기 전도율이 48.5%(한쪽 교반), 49.0%(쌍방 교반)으로 되어, 전도율의 값이 나쁘다. 레이저 용접에 의해 접합을 행해서 제조한 버스 바는 전기 전도율이 60.4%로, 마찰 교반법에 비해 전기 전도율이 좋다. 그것에 비해, 제1 실시형태의 버스 바에서는, 전기 전도율이 66.1%로 매우 높은 값으로 되어 있어, 복수의 배터리 셀(2)에서의 전력 전송을 손실 없이 고효율로 행할 수 있다.
그런데, 금회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에서는 아니고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나며,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정극 접속부(10)와 부극 접속부(11)의 결합 계면(금속적 결합부)은, 버스 바(1)에 있어서의 장변측의 중앙에 배치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정극 접속부(10)측, 또는 부극 접속부(11)측으로 치우치게 한 배치로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버스 바(1)는, 자동차 탑재용의 리튬 이온 전지를 접속할 때에 매우 적합하지만, 다른 용도에 있어서의 리튬 이온 전지(배터리)의 접속에 사용해도 아무런 문제는 없다.
[제3 실시형태]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버스 바(101)의 제3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에 도시한 사용예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버스 바(101)는, 복수의 배터리 셀(102)을 직렬 접속함으로써 구성되는 조전지(103)에 있어서, 배터리 셀(102) 상호 사이에서 플러스 단자(105)와 마이너스 단자(106)를 접속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각 배터리 셀(102)은 리튬 이온 전지이며, 플러스 단자(105)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에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마이너스 단자(106)는 구리 또는 동합금으로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에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스 바(101)는 직사각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장변측을 거의 이등분하는 중간 위치를 경계로 하여, 그 일측에 정극 접속부(110)가 설치되고, 타측에 부극 접속부(111)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정극 접속부(110)는 부극 접속부(111)측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프레임부(114)가 설치되어 있고, 이 프레임부(114)의 프레임 내측으로 부극 접속부(111)가 끼워 넣어진다. 즉, 정극 접속부(110)에 의해, 부극 접속부(111)의 외주부 전체 둘레가 둘러싸여진다.
버스 바(101)의 치수는 배터리 셀(102) 상호의 위치나 흐르는 전류량 등에 의해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지만, 예를 들어 장변 30 내지 70㎜, 단변 20 내지 60㎜, 두께 1 내지 2㎜이다.
버스 바(101)의 정극 접속부(110)와 부극 접속부(111)는 서로 다른 금속으로형성되어 있다. 정극 접속부(110)는 배터리 셀(102)의 플러스 단자(105)와 동일 금속, 즉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을 소재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부극 접속부(111)는 마이너스 단자(106)와 동일 금속, 즉 구리 또는 동합금을 소재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정극 접속부(110)와 부극 접속부(111)는 프레임부(114)의 프레임 내주를 따른 접합면 사이에서 금속적 결합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이 접합면(경계면)은 정극 접속부(110)의 금속(Al)과 부극 접속부(111)의 금속(Cu)을 초고압하(예를 들어 1000㎫ 정도)이고 또한 변형을 부여하도록 하여, 서로가 금속 조직 레벨로 밀착된 결합 계면을 형성시켜, 그 결과로써 도전성 및 기계적 결합 강도를 "버스 바로서 실용에 적합한 값"으로까지 높인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극 접속부(110)를 형성하고 있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의 쪽이 부극 접속부(111)를 형성하고 있는 구리 또는 동합금보다도 부드럽기 때문에, 양자의 초고압 정수압하에 있어서의 압출 가공시에 의해, 정극 접속부(110)가 부극 접속부(111)를 향해 팽창한 것 같은 만곡이 발생한다. 그로 인해, 본 실시형태를 평면에서 볼 때, 부극 접속부(111)가 그 내부측으로 오목해지는 것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극 접속부(110)에는 배터리 셀(102)의 플러스 단자(105)를 삽입하는 접속 구멍(112)이 단변 방향 거의 중앙부에 설치되고, 부극 접속부(111)에는 배터리 셀(102)의 마이너스 단자(106)를 삽입하는 접속 구멍(113)이 단변 방향 대략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들 각 접속 구멍(112)에 플러스 단자(105)를 삽입한 상태에서, 관통된 플러스 단자(105)에 대하여 너트(115)를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플러스 단자(105)와 정극 접속부(110)가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접속 구멍(113)에 마이너스 단자(106)를 삽입한 후에, 마이너스 단자(106)에 대하여 너트(115)를 나사 결합시켜, 마이너스 단자(106)와 부극 접속부(111)를 연결한다.
또한, 너트(115)를 나사 결합시킨 결합이 아니고, 플러스 단자(105)와 정극 접속부(110)를 용접하는 동시에 마이너스 단자(106)와 부극 접속부(111)를 용접해도 좋다. 즉, 버스 바의 이종 금속부를 각각의 동종 단자에 직접 용접해도 좋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구성의 버스 바(101)를 제조하려면, 초고압 정수압하에 있어서의 압출 가공을 행한다. 이 가공에 사용하는 압출 장치(120)는 얻고자 하는 버스 바(101)의 장변측 단면 형상(평면 형상)에 대응한 단일 개구의 다이(121)(다이스)를 구비한 것으로, 초고압(1000㎫ 정도)의 등방압 환경 하에서의 압출 성형이 가능하게 된다.
버스 바(101)의 제조 수순으로는, 우선 배터리 셀(102)의 플러스 단자(105)와 동일 금속(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정극용 원재(110A)(금속 원재)와, 배터리 셀(102)의 마이너스 단자(106)와 동일 금속(구리 또는 동합금)으로 이루어지는 부극용 원재(111A)(금속 원재)를 바 형상으로 준비한다. 다음에, 바 형상의 정극용 원재(110A) 및 부극용 원재(111A)를 길이 방향을 따라서 맞대고, 또한 그들 맞댐 후의 부재의 외측을 판형상의 정극용 원재(110A)로 감도록 해서, 전체가 둥근 막대 형상으로 되는 빌렛(대면 원재)을 준비하면 좋다. 또한, 정극용 원재(110A) 및 부극용 원재(111A)를 맞댄 후의 부재를 중공 파이프 형상의 정극용 원재(110A)에 끼워 넣음으로써, 빌렛으로 해도 좋다.
다음에, 이 빌렛을 정극용 원재(110A)와 부극용 원재(111A)가 서로 병행해서 압출되도록, 압출 장치(120)에 장전한다.
이 상태에서, 압출 장치(120)를 초고압의 등방압 환경 하에서 작동시키고, 압출 가공 또는 인발 작업을 행하고, 정극용 원재(110A)와 부극용 원재(111A)가 금속적 결합해서 일체가 된 성형체(101A)를 성형한다.
도 7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출 장치(120)의 다이(121)의 개구 면적은 빌렛의 단면적보다 작기 때문에, 다이(121)를 통과함으로써, 빌렛이 전체 둘레에서 압축을 받아 소성 변형한다. 양 원재(110A, 111A)의 맞댐면은 다이(121)를 나온 후에 정극 접속부(110)와 부극 접속부(111)의 결합 계면(금속적 결합부)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성형체(101A)를 압출 방향에서 소정 간격을 두고 잘라낸다. 잘라낸 후에 있어서, 정극 접속부(110)에 접속 구멍(112)을 설치하고, 부극 접속부(111)에 접속 구멍(113)을 설치해서 버스 바(101)를 완성시킨다. 필요에 따라서 표면 연마나 표면 처리 등을 행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제조한 버스 바(101)는 배터리 셀(102)의 플러스 단자(105)와 동일 금속의 정극 접속부(110)와, 배터리 셀(102)의 마이너스 단자(106)와 동일 금속의 부극 접속부(111)가 금속적 결합에 의해 일체 형성된 구성이다. 이로 인해, 이 버스 바(101)의 어느 부분[배터리 단자의 연결 부분 및 정극 접속부(110)와 부극 접속부(111)의 결합면]에서도 전기 부식이 일어나지 않고 전기 저항을 억제할 수 있고, 게다가 기계적 강도에도 우수하다.
[제4 실시형태]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에 관한 버스 바(101)의 제4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4 실시형태의 버스 바(101)도 직사각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장변측을 대략 이등분하는 중간 위치를 경계로 하여, 그 일측에 정극 접속부(110)(Al)가 설치되고, 타측에 부극 접속부(111)(Cu)가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의 경우, 부극 접속부(111)에, 정극 접속부(110)측으로 돌출되도록 해서 프레임부(114)가 설치되어 있고, 이 프레임부(114)의 프레임 내측에 정극 접속부(110)가 끼워 넣어진다. 즉, 부극 접속부(111)에 의해, 정극 접속부(110)의 외주부 전체 둘레가 둘러싸여진다.
또한, 도 8a 내지도 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극 접속부(110)를 형성하고 있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의 쪽이 부극 접속부(111)를 형성하고 있는 구리 또는 동합금보다도 부드럽기 때문에, 양자의 초고압 정수압하에 있어서의 압출 가공시에 의해, 정극 접속부(110)가 부극 접속부(111)를 향해 팽창한 것 같은 만곡이 발생한다. 그로 인해, 본 실시형태를 평면에서 볼 때, 정극 접속부(110)가 그 외측으로 팽창한 것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 및 작용 효과, 제조 방법은 제3 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하므로, 여기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런데, 금회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나며,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두의 변경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프레임부(114)의 길이나 폭은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평면시에 있어서의 정극 접속부(110)와 부극 접속부(111)의 면적비도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버스 바(101)는 자동차 탑재용의 리튬 이온 전지를 접속할 때에 매우 적합하지만, 다른 용도에 있어서의 리튬 이온 전지(배터리)의 접속에 사용해도 아무런 문제는 없다.
본 출원을 상세하게 또 특정한 실시형태를 참조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일탈하는 일이 없이 여러가지 변경이나 수정을 가할 수 있다.
본 출원은 2010년 3월 29일 출원의 일본 특허 출원(일본 특허 출원 제2010-075915호) 및 2010년 3월 29일 출원의 일본 특허 출원(일본 특허 출원 제2010-075917호)에 기초한 것이며,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도입된다.
1 : 버스 바
1A : 성형체
2 : 셀
3 : 조전지
5 : 정극 단자
6 : 부극 단자
10 : 정극 접속부
10A : 정극용 원재
11 : 부극 접속부
11A : 부극용 원재
12 : 접속 구멍
13 : 접속 구멍
15 : 너트
20 : 압출 장치
21 : 다이
25 : 단차부
101 : 버스 바
101A : 성형체
102 : 셀
103 : 조전지
105 : 정극 단자
106 : 부극 단자
110 : 정극 접속부
110A : 정극용 원재
111 : 부극 접속부
111A : 부극용 원재
112 : 접속 구멍
113 : 접속 구멍
114 : 프레임부
115 : 너트
120 : 압출 장치
121 : 다이
125 : 단차부

Claims (6)

  1. 플러스 단자와 마이너스 단자가 서로 이종 금속으로 형성된 배터리에 대하여 사용하는 단자 접속용의 버스 바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플러스 단자와 동일 금속으로 형성되고 또한 플러스 단자와 접속 가능하게 된 정극 접속부와, 상기 배터리의 마이너스 단자와 동일 금속으로 형성되고 또한 마이너스 단자와 접속 가능하게 된 부극 접속부를 구비하고,
    상기 정극 접속부를 형성하는 금속 원재와 부극 접속부를 형성하는 금속 원재가 면으로 접하는 상태로 되어 있는 대면 원재를, 고압의 정수압 환경 하에서, 다이에 의해 압출 가공 또는 인발 가공함으로써, 상기 정극 접속부와 부극 접속부가 금속적 결합에 의해 일체화되고,
    정극 접속부와 부극 접속부가 서로 고저차를 갖도록, 정극 접속부와 부극 접속부의 결합 계면이 발생되는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압출 가공 또는 인발 가공에 의해 금속적 결합과 동시에 형성되는 단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극 접속부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되고,
    상기 부극 접속부는 구리 또는 동합금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바.
  3. 제1항에 기재된 버스 바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정극 접속부를 형성하는 금속 원재와 부극 접속부를 형성하는 금속 원재가 면으로 접하는 상태로 되어 있는 대면 원재를 준비하는 단계와,
    고압의 정수압 환경 하에서, 상기 대면 원재를 다이에 의해 압출 가공 또는 인발 가공하여 상기 금속적 결합과 동시에 상기 단차부가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버스 바의 제조 방법.
  4. 플러스 단자와 마이너스 단자가 서로 이종 금속으로 형성된 배터리에 대하여 사용하는 단자 접속용의 버스 바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플러스 단자와 동일 금속으로 형성되고 또한 플러스 단자와 접속 가능하게 된 정극 접속부와, 상기 배터리의 마이너스 단자와 동일 금속으로 형성되고 또한 마이너스 단자와 접속 가능하게 된 부극 접속부를 구비하고,
    평면시에 있어서, 상기 정극 접속부를 형성하는 금속 원재의 주위를 부극 접속부를 형성하는 금속 원재로 둘러싼 대면 원재, 또는 부극 접속부를 형성하는 금속 원재의 주위를 정극 접속부를 형성하는 금속 원재로 둘러싼 대면 원재를, 고압의 정수압 환경 하에서, 다이에 의해 압출 가공 또는 인발 가공함으로써, 상기 정극 접속부와 부극 접속부가 금속적 결합에 의해 일체적으로 결합되고,
    정극 접속부와 부극 접속부가 서로 고저차를 갖도록, 정극 접속부와 부극 접속부의 결합 계면이 발생되는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압출 가공 또는 인발 가공에 의해 금속적 결합과 동시에 형성되는 단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극 접속부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되고,
    상기 부극 접속부는 구리 또는 동합금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바.
  6. 제4항에 기재된 버스 바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정극 접속부를 형성하는 금속 원재의 주위를 부극 접속부를 형성하는 금속 원재로 둘러싼 대면 원재, 또는 부극 접속부를 형성하는 금속 원재의 주위를 정극 접속부를 형성하는 금속 원재로 둘러싼 대면 원재를 준비하는 단계와,
    고압의 정수압 환경 하에서, 상기 대면 원재를 다이에 의해 압출 가공 또는 인발 가공하여 상기 금속적 결합과 동시에 상기 단차부가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버스 바의 제조 방법.
KR1020147033978A 2010-03-29 2011-03-24 버스 바 및 버스 바의 제조 방법 KR1018222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75917 2010-03-29
JP2010075917A JP5523165B2 (ja) 2010-03-29 2010-03-29 バスバーの製造方法
JP2010075915A JP5483348B2 (ja) 2010-03-29 2010-03-29 バスバーの製造方法
JPJP-P-2010-075915 2010-03-29
PCT/JP2011/057255 WO2011122453A1 (ja) 2010-03-29 2011-03-24 バスバー、及びバスバーの製造方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5706A Division KR20120138790A (ko) 2010-03-29 2011-03-24 버스 바 및 버스 바의 제조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9761A Division KR20160046920A (ko) 2010-03-29 2011-03-24 버스 바 및 버스 바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6232A KR20140146232A (ko) 2014-12-24
KR101822229B1 true KR101822229B1 (ko) 2018-01-25

Family

ID=44712162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5706A KR20120138790A (ko) 2010-03-29 2011-03-24 버스 바 및 버스 바의 제조 방법
KR1020167009761A KR20160046920A (ko) 2010-03-29 2011-03-24 버스 바 및 버스 바의 제조 방법
KR1020147033978A KR101822229B1 (ko) 2010-03-29 2011-03-24 버스 바 및 버스 바의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5706A KR20120138790A (ko) 2010-03-29 2011-03-24 버스 바 및 버스 바의 제조 방법
KR1020167009761A KR20160046920A (ko) 2010-03-29 2011-03-24 버스 바 및 버스 바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801444B2 (ko)
KR (3) KR20120138790A (ko)
CN (1) CN102870254B (ko)
TW (1) TWI478421B (ko)
WO (1) WO20111224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28875B2 (en) 2010-04-16 2014-01-14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with multi-level connector
JP5570383B2 (ja) * 2010-10-15 2014-08-13 株式会社神戸製鋼所 導電性連結部材、導電性連結部材の製造方法、及び導電性連結部材が電極とされたバッテリ
CN103098261B (zh) 2011-01-27 2014-04-02 株式会社新王材料 电池端子用连接板和电池端子用连接板的制造方法
JPWO2012118014A1 (ja) * 2011-02-28 2014-07-07 三洋電機株式会社 バッテリシステム及びバッテリシステムを備える車両
DE102012208352A1 (de) * 2012-05-18 2013-11-21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Verbinden zweier aus ungleichen Materialien bestehenden Batteriepolen zweier Batteriezellen sowie Batterieeinheit
US9105912B2 (en) * 2012-05-21 2015-08-11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Boltless battery cell connection
US9252550B2 (en) * 2012-12-28 2016-02-02 Hitachi Metals, Ltd. Electrode terminal connector producing method
JP2014130740A (ja) * 2012-12-28 2014-07-10 Hitachi Metals Ltd 電極端子接続体の製造方法
EP2819217A1 (de) * 2013-06-28 2014-12-31 MAGNA STEYR Battery Systems GmbH & Co OG Batteriesystem mit einem Zellverbinde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WO2015002495A1 (ko) * 2013-07-05 2015-01-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종 금속들로 이루어진 접속부재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US9831482B2 (en) * 2013-09-06 2017-11-28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Battery module lid system and method
US9722229B2 (en) 2013-09-20 2017-08-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lectric vehicle battery attachment assembly and method
KR102184367B1 (ko) * 2014-01-28 2020-11-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및 이차전지모듈
US9385356B2 (en) 2014-04-30 2016-07-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erminal holder for electric vehicle battery assembly
DE102014210327A1 (de) * 2014-06-02 2015-12-03 Robert Bosch Gmbh Elektrischer Zellverbinder für ein Batteriemodul
JP6380043B2 (ja) 2014-11-21 2018-08-29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蓄電モジュール
US9991501B2 (en) 2015-01-05 2018-06-05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Vent shield for a battery module
KR102316343B1 (ko) * 2015-02-24 2021-10-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및 그 모듈
US10128486B2 (en) 2015-03-13 2018-11-13 Purdue Research Foundation Current interrupt devices, methods thereof, and battery assemblies manufactured therewith
KR101623717B1 (ko) 2015-08-21 2016-05-24 대산전자(주) 전기 연결 수단의 제조 방법
DE102016202873A1 (de) * 2016-02-24 2017-08-24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elektrischen Verbindungselements und Verbindungselement für Batteriezellen
CN106025162B (zh) * 2016-06-30 2019-11-08 上海捷新动力电池系统有限公司 一种软包电池模块连接结构
US10787084B2 (en) * 2017-03-17 2020-09-2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usbar with dissimilar materials
CN110709223B (zh) 2017-04-04 2022-03-08 大山电子株式会社 汇流条的制造方法以及通过该制造方法而制造的汇流条
KR102090619B1 (ko) 2017-04-04 2020-03-19 대산전자(주) 버스바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버스바
CN112743749A (zh) 2017-04-04 2021-05-04 大山电子株式会社 汇流条的制造方法以及通过该制造方法而制造的汇流条
KR102023638B1 (ko) 2017-06-21 2019-09-20 대산전자(주) 버스바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버스바
DE102017129529A1 (de) * 2017-12-12 2019-06-13 Elringklinger Ag Elektrisch leitfähige Verbindung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CN108390005B (zh) * 2018-02-01 2020-09-01 超威电源集团有限公司 一种铅酸蓄电池用高导电汇流排结构
KR102383415B1 (ko) 2018-03-20 2022-04-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CN208209473U (zh) * 2018-04-27 2018-12-07 施耐德电器工业公司 母线槽壳体
KR102101451B1 (ko) * 2018-05-10 2020-04-16 주식회사 경신 면대면 접합 버스바
US10916492B2 (en) * 2018-05-11 2021-02-09 Advanced Semiconductor Engineering, Inc. Semiconductor substr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DE102018208340A1 (de) * 2018-05-28 2019-11-28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Zellkontaktieranordnung für ein Energiespeichermodul
KR102127159B1 (ko) * 2018-08-09 2020-06-26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배터리 연결용 플레이트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연결 모듈
CN112956074B (zh) * 2018-10-29 2024-03-08 三洋电机株式会社 母线的制造方法、母线以及电池模块
KR102034011B1 (ko) * 2018-12-26 2019-10-18 에이에프더블류 주식회사 부스바 제조방법
JP2020113524A (ja) * 2019-01-15 2020-07-27 Smk株式会社 バスバーおよびバスバーの製造方法
USD928088S1 (en) * 2019-02-27 2021-08-17 A.F.W. Co., Ltd. Bus bar for fuses
JPWO2020183817A1 (ja) * 2019-03-12 2021-10-21 ビークルエナジージャパン株式会社 バスバー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池モジュール
KR102034012B1 (ko) * 2019-04-05 2019-10-18 에이에프더블류 주식회사 마찰 교반 용접을 이용한 부스바 제조방법
KR102541537B1 (ko) * 2019-06-25 2023-06-0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102132953B1 (ko) 2019-09-16 2020-07-13 대산전자(주) 버스바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버스바
KR102344019B1 (ko) 2019-12-23 2021-12-28 대산전자(주) 퓨즈가 적용된 버스바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1045A (ja) * 2000-11-10 2002-05-24 Honda Motor Co Ltd 電池モジュール用バスバーおよび電池モジュール
JP2002358945A (ja) * 2000-11-15 2002-12-13 Ngk Insulators Ltd リチウム二次単電池の接続構造体
JP2003163039A (ja) * 2001-11-27 2003-06-06 Yazaki Corp バスバーの接続構造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06215A (en) 1953-11-04 1957-09-10 Aircraft Marine Prod Inc Aluminum ferrule-copper tongue terminal and method of making
JPS5790224A (en) * 1980-11-27 1982-06-04 Hitachi Cable Ltd Composite rigid trolley
JP4273543B2 (ja) * 1997-10-07 2009-06-0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
EP0964461B1 (en) 1997-10-07 2007-04-1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cell
US6844110B2 (en) * 2000-05-24 2005-01-18 Ngk Insulators, Ltd. Lithium secondary cell and assembly thereof
JP4029585B2 (ja) 2001-06-18 2008-01-0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バスバーおよびバスバーを用いた電池
CN101606296B (zh) * 2007-02-16 2012-05-30 罗杰斯有限公司 叠层母线排及其生产方法
US20100248029A1 (en) * 2009-01-07 2010-09-30 A123 Systems, Inc. Methods of welding battery terminals
JP5570383B2 (ja) * 2010-10-15 2014-08-13 株式会社神戸製鋼所 導電性連結部材、導電性連結部材の製造方法、及び導電性連結部材が電極とされたバッテリ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1045A (ja) * 2000-11-10 2002-05-24 Honda Motor Co Ltd 電池モジュール用バスバーおよび電池モジュール
JP2002358945A (ja) * 2000-11-15 2002-12-13 Ngk Insulators Ltd リチウム二次単電池の接続構造体
JP2003163039A (ja) * 2001-11-27 2003-06-06 Yazaki Corp バスバーの接続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012079A1 (en) 2013-01-10
CN102870254A (zh) 2013-01-09
KR20120138790A (ko) 2012-12-26
WO2011122453A1 (ja) 2011-10-06
CN102870254B (zh) 2014-12-31
KR20140146232A (ko) 2014-12-24
TW201214843A (en) 2012-04-01
KR20160046920A (ko) 2016-04-29
TWI478421B (zh) 2015-03-21
US8801444B2 (en) 2014-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2229B1 (ko) 버스 바 및 버스 바의 제조 방법
JP5523165B2 (ja) バスバーの製造方法
JP5483348B2 (ja) バスバーの製造方法
KR101421859B1 (ko) 전극 단자 및 전극 단자의 제조 방법
KR101494983B1 (ko) 도전성 연결 부재, 도전성 연결 부재의 제조 방법 및 도전성 연결 부재가 전극으로 된 배터리
CN101952995B (zh) 电池组内的电池芯端子电性连接的方法
US9550252B2 (en) Ultrasonic jointing method
CN103682227B (zh) 用于电连接蓄电池模块的蓄电池单池的ω形的连接元件
KR20110037943A (ko)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CN109994663A (zh) 复合端板以及电池模组
CN102656748B (zh) 大电流接触组件以及相应的用于制造大电流接触装置的方法
CN215911555U (zh) 连接件、电池模组和电池包
US20180083250A1 (en) Method for connecting several galvanic cells and cell connector therefore
JP2018067425A (ja) 蓄電装置及び蓄電装置の製造方法
JP2008034298A (ja) 接続端子の製造方法
US20150147623A1 (en) Method for connecting two battery terminals, made of dissimilar materials, of two battery cells and battery unit
JP2019008877A (ja) 電線接続バスバ及び導電モジュ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220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414

Effective date: 2017112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