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2086B1 - 원형톱장치용 지그 - Google Patents

원형톱장치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2086B1
KR101822086B1 KR1020160139097A KR20160139097A KR101822086B1 KR 101822086 B1 KR101822086 B1 KR 101822086B1 KR 1020160139097 A KR1020160139097 A KR 1020160139097A KR 20160139097 A KR20160139097 A KR 20160139097A KR 101822086 B1 KR101822086 B1 KR 1018220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knob
circular saw
saw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9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광복
Original Assignee
유광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광복 filed Critical 유광복
Priority to KR1020160139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20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2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20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45/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ith circular saw blades or with friction saw discs
    • B23D45/04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ith circular saw blades or with friction saw discs with a circular saw blade or the stock carried by a pivoted lever
    • B23D45/042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ith circular saw blades or with friction saw discs with a circular saw blade or the stock carried by a pivoted lever with the saw blade carried by a pivoted le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45/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ith circular saw blades or with friction saw discs
    • B23D45/16Hand-held sawing devices with circular saw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5/00Sawing machines work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 blades; Components or equipment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GACCESSORY MACHINES OR APPARATUS FOR WORKING WOOD OR SIMILAR MATERIALS; TOOLS FOR WORKING WOOD OR SIMILAR MATERIALS; SAFETY DEVICES FOR WOOD WORKING MACHINES OR TOOLS
    • B27G19/00Safety guard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ood saws; Auxiliary devices facilitating proper operation of wood saws
    • B27G19/02Safety guard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ood saws; Auxiliary devices facilitating proper operation of wood saws for circular saw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Sa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형톱장치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톱장치바디부와 상기 톱장치바디부가 지지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면에 접근하는 방향을 따라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톱장치바디부에 설치된 톱장치헤드부와 상기 톱장치헤드부와 함께 회동할 수 있고 톱날이 상기 지지면에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톱장치헤드부에 결합된 원형톱과 상기 원형톱을 회전구동하기 위한 톱구동부를 갖는 원형톱장치에 설치되어 상기 원형톱의 회동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원형톱장치용 지그에 있어서, 상기 원형톱의 측면과 상기 지지면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원형톱의 측면으로부터 수평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상기 톱장치바디부에 고정된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보다 높은 위치에서 상기 원형톱과 상기 지지봉 사이의 수평이격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톱장치헤드부와 함께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톱장치헤드부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봉에 대향하는 판면에는 안내레일이 상하방향을 따라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판과;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직선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판에 결합된 슬라이더와; 상기 톱장치헤드부가 상기 지지면을 향해 회동할 때 상방향으로부터 접근하여 상기 지지봉에 안착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더에 결합된 지지롤러와;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것이 허용되는 슬라이더이동허용상태와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것이 저지되는 슬라이더이동저지상태를 선택조작하기 위한 슬라이더이동상태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절단작업이 용이하고 원형톱의 회동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원형톱장치용 지그{Jig for Circular Saw Device}
본 발명은 원형톱장치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지면에 접근하는 방향을 따라 회동할 수 있는 원형톱을 갖는 원형톱장치에 설치되어 원형톱의 회동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지그에 관한 것이다.
목재, 알루미늄 등과 같은 가공물을 일직선, 사선 등으로 절단할 경우(두께의 일부를 절단하는 경우 포함) 소정의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원형톱을 갖는 장치(이하 "원형톱장치"라고 함)를 사용하고 있다.
원형톱이 일정한 각도에 고정되어 있는 경우 두께가 얇은 가공물을 절단할 수 없게 되거나 절단깊이를 선택할 수 없기 때문에 지지면에 접근하는 방향을 따라 회동할 수 있는 원형톱을 갖는 원형톱장치가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19 및 도20은 각각 종래 원형톱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종래의 원형톱장치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톱장치바디부(110)와, 톱장치바디부(110)에 설치된 톱장치헤드부(121)와, 톱장치헤드부(121)에 결합된 원형톱(122)과, 원형톱(122)을 회전구동하기 위한 톱구동부(123)와, 톱장치바디부(110)에 설치된 원형톱접근위치조작부(130)와, 톱장치헤드부(121)에 설치된 조작버튼(124)을 갖고 있다.
톱장치바디부(110)는 재치대(111)와, 재치대(111)로부터 기립 형성된 지지벽부(112)와, 재치대(111)에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지지벽부(112)에 결합된 한 쌍의 안내봉(113)과, 안내봉(113)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봉(113)에 설치된 슬라이딩블럭(114)을 갖고 있다.
재치대(111)는 중앙영역에 원형톱(122)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슬릿(Slit, 111a)이 형성되어 있다.
톱장치헤드부(121)는 톱장치바디부(110)가 지지면(건물의 바닥면, 작업테이블의 상면 등)에 설치된 상태에서 지지면에 접근하는 방향을 따라 회동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블럭(114)에 설치된다.
원형톱(122)은 톱장치헤드부(121)와 함께 회동할 수 있고 톱날이 지지면에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톱장치헤드부(121)에 결합된다. 원형톱(122)에는 조작버튼에 의해 원형톱(122)의 톱날(절단작업이 일어나는 톱날)을 둘러싸는 위치와 원형톱(122)의 톱날(절단작업이 일어나는 톱날)을 개방시키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투명재질의 안전커버가 설치되어 있다.
톱구동부(123)는 모터 등을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원형톱접근위치조작부(130)는 톱장치바디부(110)에 설치된 원형톱접근위치조작레버(131)를 갖고 있다.
원형톱접근위치조작레버(131)는 레버하단을 축으로 잠금위치와 잠금해제위치 사이를 회동할 수 있도록 지지벽부(112)에 설치되어 있다.
원형톱접근위치조작부(130)를 통해 원형톱(122)의 지지면에 대한 접근위치를 조작하는 방법을 도2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원형톱(122)의 지지면에 대한 접근위치를 조작한다는 것은 톱장치헤드부(121)의 지지면에 대한 접근위치를 조작한다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원형톱은 톱장치헤드부와 함께 회동할 수 있도록 톱장치헤드부에 설치됨).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원형톱접근위치조작레버(131)는 잠금위치에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먼저 원형톱접근위치조작레버(131)를 잠금해제위치로 회동시킨다.
다음에 원형톱접근위치조작레버(131)를 회전조작하면 회전량에 따라 원형톱(122)의 지지면에 대한 접근위치가 결정된다. 즉, 원형톱접근위치조작레버(131)의 회전량에 따라 원형톱(122)이 지지면에 최대로 접근할 수 있는 회동위치가 결정된다.
원형톱접근위치조작레버(131)에 의해 선택된 회동범위내에서 원형톱(122)을 회동시켜 가면서 가공물을 절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형톱접근위치조작레버(131)의 조작에 의해 결정된 회동위치(원형톱이 지지면에 최대로 접근할 수 있는 회동위치)를 지지면으로부터 수직높이 "A"(도21 참조)로 나타낼 때 원형톱(122)은 "A"보다 낮은 위치에 도달할 수 없고, "A"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다음에 원형톱접근위치조작레버(131)를 잠금위치로 회동시킨다. 원형톱접근위치조작레버(131)가 잠금위치로 회동되면 원형톱(122)의 회동범위는 다시 원형톱접근위치조작레버(131)을 조작하여 회동범위를 변경할 때까지 일정하게 유지된다.
조작버튼(124)은 톱장치헤드부(121)의 회동이 가능한 상태와 톱장치헤드부(121)의 회동이 저지되는 상태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 톱구동부(123)에 인가되는 동작전압을 온 또는 오프하기 위한 버튼 등이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형톱장치를 사용하여 가공물을 절단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가공물의 두께와 가공물의 절단깊이에 따라 원형톱접근위치조작레버(131)를 조작하여 원형톱(122)의 회동범위를 결정한다.
다음에 조작버튼(124)을 사용하여 톱장치헤드부(121)의 회동이 가능한 상태를 선택한다.
다음에 재치대(111)에 가공물(201, 각재)을 올려 놓는다.
다음에 원형톱(122)을 회동시켜 가면서 가공물을 절단한다. 가공물의 절단작업은 슬라이딩블럭(114)을 안내봉(113)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원형톱장치에 따르면, 원형톱접근위치조작레버(131)를 조작하여 결정된 회동범위내에서 원형톱(122)을 회동시킬 때 사용자의 힘에 의해 톱장치헤드부(121)와 원형톱(122)의 하중을 지탱해야 하기 때문에 절단작업이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원형톱접근위치조작레버(131)를 조작하여 결정된 회동범위내에서 원형톱(122)을 회동시킬 때 사용자의 힘에 의해 톱장치헤드부(121)와 원형톱(122)의 하중을 지탱해야 하기 때문에 회동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어렵다(원형톱이 지지면에 최대로 접근할 수 있는 회동위치에서 절단작업이 일어나면 원형톱접근위치조작부에 회복할 수 없는 손상이 발생함)는 문제점이 있었다.
원형톱(122)의 회동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지 않으면 가공물의 전 폭에 걸쳐 절단깊이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어렵게 된다는 2차적인 문제점이 발생한다.
위에서 설명한 종래 기술은 독일 페스툴(Festool, Wertstrasse 20 73240 Wendlingen Germany 소재, www.festool.com)에서 판매하는 원형톱장치(KAPEX KS 120 모델)에 대한 매뉴얼(http://www.festoolusa.com/service/manuals/)에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원형톱장치에 설치되어 원형톱의 회동위치를 기구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원형톱장치용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톱장치바디부와 상기 톱장치바디부가 지지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면에 접근하는 방향을 따라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톱장치바디부에 설치된 톱장치헤드부와 상기 톱장치헤드부와 함께 회동할 수 있고 톱날이 상기 지지면에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톱장치헤드부에 결합된 원형톱과 상기 원형톱을 회전구동하기 위한 톱구동부를 갖는 원형톱장치에 설치되어 상기 원형톱의 회동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원형톱장치용 지그에 있어서, 상기 원형톱의 측면과 상기 지지면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원형톱의 측면으로부터 수평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상기 톱장치바디부에 고정된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보다 높은 위치에서 상기 원형톱과 상기 지지봉 사이의 수평이격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톱장치헤드부와 함께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톱장치헤드부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봉에 대향하는 판면에는 안내레일이 상하방향을 따라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판과;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직선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판에 결합된 슬라이더와; 상기 톱장치헤드부가 상기 지지면을 향해 회동할 때 상방향으로부터 접근하여 상기 지지봉에 안착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더에 결합된 지지롤러와;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것이 허용되는 슬라이더이동허용상태와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것이 저지되는 슬라이더이동저지상태를 선택조작하기 위한 슬라이더이동상태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톱장치용 지그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슬라이더이동허용상태와 슬라이더이동저지상태의 선택동작에 더하여 슬라이더를 이동시키는 동작을 하나의 슬라이더이동조작노브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지지롤러의 상측 영역에 노브안착공이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더이동상태조작부는 노브헤드와 상기 노브헤드보다 작은 단면적을 갖도록 상기 노브헤드로부터 연장 형성된 노브바디를 구비하고 상기 노브헤드가 상기 슬라이더의 양면 중 상기 지지봉에 대향하는 면으로 노출되고 상기 노브바디가 상기 노브안착공을 통과하도록 설치된 슬라이더이동조작노브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이동조작노브를 회전조작할 때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슬라이더이동조작노브의 회전동작을 상기 슬라이더의 직선이동동작으로 변환하는 슬라이더이동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슬라이더이동허용상태 또는 슬라이더이동저지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슬라이더이동조작노브의 회전동작을 슬라이더의 직선이동동작으로 안정적으로 변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더이동조작노브는 상기 노브바디로터 연장 형성된 노브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이동상태조작부는 상기 슬라이더의 상기 노브안착공 둘레영역에 직선상의 슬라이더클러치돌부를 방사상방향으로 배치시키는 방법으로 형성된 슬라이더클러치부와, 일면에 직선상의 디스크클러치돌부가 방사상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중앙에는 디스크축공이 상기 노브바디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디스크클러치돌부가 상기 슬라이더클러치돌부 사이에 진입하고 상기 노브축부가 상기 디스크축공을 통과하며 일면이 상기 노브바디에 접촉하고 상기 슬라이더이동조작노브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노브축부에 결합되는 클러치디스크와, 상기 클러치디스크를 상기 슬라이더를 향해 가압하고 상기 슬라이더이동조작노브를 상기 클러치디스크를 향해 가압할 때 상기 클러치디스크와 함께 상기 슬라이더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노브축부에 결합된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이동변환부는 상기 안내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베이스판에 고정된 래크(Rack)와, 상기 래크에 치합하고 상기 슬라이더이동조작노브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노브축부에 결합되는 피니언(Pinion)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목표절단깊이만큼 정확하게 절단할 수 있도록, 영점이 표시되어 있고 상기 안내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슬라이더에 설치된 눈금자와, 상기 재치대의 상면에 상기 원형톱의 하단이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롤러가 상기 지지봉에 안착될 때 상기 영점을 가리키도록 상기 베이스판에 고정된 지시침을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조정반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목표절단깊이만큼 정확하게 절단할 수 있도록, 상기 눈금자는 상기 안내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더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원형톱의 회동위치를 기구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절단작업이 용이하고 원형톱의 회동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원형톱의 회동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면 가공물의 전 폭에 걸쳐 절단깊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형톱장치용 지그의 결합사시도,
도2 및 도3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형톱장치용 지그의 분해사시도,
도4 및 도5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판, 상부블럭, 하부블럭 및 쐐기 영역을 도시한 도면,
도6 및 도7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와 지지롤러 영역을 도시한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 영역을 도시한 도면,
도9 및 도10은 각각 지시침의 설치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1, 도12, 도13, 도14, 도15, 도16, 도17 및 도18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형톱장치용 지그의 사용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19 및 도20은 각각 종래 원형톱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21은 종래 원형톱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형톱장치용 지그의 결합사시도이고, 도2 및 도3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형톱장치용 지그의 분해사시도이고, 도4 및 도5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판, 상부블럭, 하부블럭 및 쐐기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6 및 도7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와 지지롤러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9 및 도10은 각각 지시침의 설치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9에는 원형톱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원형톱(122)의 안전커버가 생략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형톱장치용 지그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톱장치바디부(110)에 고정된 지지봉(11)과, 톱장치헤드부(121)에 결합된 베이스판(20)과, 베이스판(20)에 결합된 슬라이더(30)와, 슬라이더(30)에 설치된 눈금자(12)와, 눈금자(12)를 이동시키기 위한 눈금자이동조작부(40)와, 베이스판(20)에 고정된 지시침(14)과, 슬라이더(30)에 결합된 지지롤러(15)와, 슬라이더(30)의 이동허용상태 또는 이동저지상태를 선택조작하기 위한 슬라이더이동상태조작부(50)와, 후술하는 슬라이더이동조작노브(60)의 회전동작을 슬라이더(30)의 직선이동동작으로 변환하는 슬라이더이동변환부(90)를 갖고 있다.
지지봉(11)은 원형톱(122)의 측면과 지지면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원형톱(122)의 측면으로부터 수평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톱장치바디부(110)에 고정된다. 지지봉(11)은 종래 기술의 안내봉(113)을 연장한 형태로 구성되어 있지만, 안내봉(113)이 없는 원형톱장치에 적용할 때는 지지봉(11)을 신규 구성요소로 추가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베이스판(20)은 일면에 안내레일(21)이 직선상의 요(凹)홈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안내레일(21)의 홈내벽면은 내측을 향해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안내레일(21)의 홈바닥면에는 프레임안착홈(21b)이 형성되어 있고, 프레임안착홈(21b)의 바닥면에는 안착개구(21c)가 관통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안착홈(21b) 내측을 향해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베이스판(20)은 상부블럭(25), 하부블럭(26), 쐐기(27) 및 한 쌍의 후크(28, Hook)를 사용하여 톱장치헤드부(121)에 결합될 수 있다.
상부블럭(25)은 나사를 사용하여 하부블럭(26)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베이스판(20)에 고정된다.
하부블럭(26)에는 한 쌍의 하부블럭장공(26a), 안착면(26b) 및 고정핀(26c)이 형성되어 있다.
각 하부블럭장공(26a)은 상부블럭(25)의 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안착면(26b)은 상부블럭(25)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다.
고정핀(26c)은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하부블럭(26)은 하부블럭장공(26a)을 통과하는 고정볼트(81)를 통해 베이스판(20)에 결합된다. 고정볼트(81)의 종단에는 와셔(82)와 고정노브(83)가 결합된다.
후크(28)는 베이스판(20)의 배면(안내레일이 형성되지 않은 면) 하단에 나사를 통해 고정되어 있다.
베이스판(20)을 톱장치헤드부(121)에 결합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부블럭(25), 하부블럭(26) 및 후크(28)는 베이스판(20)에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먼저 고정핀(26c)이 핀홈(도시되지 않음, 톱장치헤드부의 상면에 형성됨)에 진입하고, 안착면(26b)이 톱장치헤드부(121)의 상면에 접촉하고, 후크(28)가 톱장치헤드부(121)에 걸림작용을 할 수 있도록(베이스판이 상방향으로 이동할 때) 하부블럭(26)과 베이스판(20)을 설치한다.
다음에 하부블럭(26)의 상면과 상부블럭(25)의 저면 사이로 쐐기(27)를 억지로 삽입한다.
쐐기(27)가 하부블럭(26)의 상면과 상부블럭(25)의 저면 사이에 삽입되면 후크(28)의 상방향 가압동작과 안착면(26b)의 하방향 가압동작에 의해 베이스판(20)은 톱장치헤드부(121)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베이스판(20)이 톱장치헤드부(121)에 결합된 상태에서 베이스판(20)은 톱장치헤드부(121)와 함께 회동할 수 있고, 지지봉(11)보다 높은 위치에서 원형톱(122)과 지지봉(11) 사이의 수평이격공간에 배치되고, 안내레일(21)이 형성된 면이 지지봉(11)을 향하고, 안내레일(21)이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슬라이더(30)는 대략 직사각형 형태의 슬라이더바디부(31)와, 슬라이더바디부(31)의 하단으로부터 상호 나란하도록 배치되도록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지지판부(32)와, 지지판부(32)의 일방과 슬라이더바디부(31)의 배면에 돌출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부(33)를 갖고 있다.
슬라이더바디부(31)에는 노브안착공(31a)이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더바디부(31)는 일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눈금자안내홈(31b)이 형성되어 있다.
눈금자안내홈(31b)의 상측에는 눈금자지지축홈(31c)과 눈금자조절부재홈(31d)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슬라이더(30)는 가이드부(33)가 안내레일(21)의 홈내벽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슬라이더(30)는 안내레일(21)을 따라 직선이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슬라이더(30)는 지지판부(32)의 사이공간이 지지봉(11)에 정렬되도록 설치된다.
눈금자(12)에는 영점이 표시되어 있고, 후술하는 눈금자지지축(41)에 결합되어 있다.
눈금자(12)에는 원형톱(122)을 지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10㎜ 이동시키기 위해 슬라이더(30)를 안내레일(21)을 따라 이동시켜야 하는 거리가 10이 되도록 눈금이 표시되어 있다. 눈금자(12)에 표시되는 눈금은 실제로 현장에서 측정하는 등의 방법으로 얻을 수 있다.
눈금자이동조작부(40)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눈금자지지축(41)과, 눈금자지지축(41)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눈금자조절부재(42)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눈금자이동조작부(40)는 눈금자지지축(41)이 눈금자지지축홈(31c)에 진입하고, 눈금자조절부재(42)가 눈금자조절부재홈(31d)에 진입하도록 설치된다.
눈금자이동조작부(40)가 슬라이더(30)에 설치된 상태에서 눈금자(12)는 안내레일(21)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눈금자조절부재(42)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조작하는 동작에 의해 눈금자(12)는 안내레일(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지시침(14)은 원형톱(122)의 하단이 재치대(111)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지지롤러(15)가 지지봉(11)에 안착될 때 영점을 가리키도록 베이스판(20)에 고정된다(도9 및 10 참조).
지지롤러(15)는 양 측면에 베어링홈(15a)이 하나씩 형성되고, 각 베어링홈(15a)에는 베어링(86)이 하나씩 설치된다. 지지롤러(15)의 지지봉 접촉면은 오목, 볼록, 평면 등 여러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지지롤러(15)는 지지롤러축(85)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지지롤러축(85)의 종단에는 스냅링(84)이 설치되고 베어링(86)의 양측에는 각각 와셔(82)가 하나씩 설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판부(32)의 사이공간이 지지봉(11)에 정렬되어 있기 때문에 톱장치헤드부(121)가 지지면을 향해 회동할 때 지지롤러(15)는 상방향으로부터 접근하여 지지봉(11)에 안착할 수 있게 된다.
슬라이더이동상태조작부(50)는 노브안착공(31a)을 통과하도록 설치된 슬라이더이동조작노브(60)와, 슬라이더(30)에 형성된 슬라이더클러치부(51)와, 후술하는 노브축부(63)에 결합되는 클러치디스크(52) 및 탄성부재(70)를 갖고 있다.
슬라이더이동조작노브(60)는 노브헤드(61)와, 노브헤드(61)보다 작은 단면적을 갖도록 노브헤드(61)로부터 연장 형성된 노브바디(62)와, 노브바디(62)로터 연장 형성된 노브축부(63)를 갖고 있다.
노브축부(63)에는 면취부(63a)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슬라이더이동조작노브(60)는 노브헤드(61)가 슬라이더(30)의 양면 중 지지봉(11)에 대향하는 면으로 노출되고, 노브바디(62)가 노브안착공(31a)을 통과하도록 설치된다.
슬라이더이동조작노브(60)의 회전방향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슬라이더바디부(31)에는 "UP" 및 "DN" 표시가 되어 있다. "UP" 은 슬라이더(30)를 베이스판(20)에 대하여 상측으로 이동시키 위한 슬라이더이동조작노브(60)의 회전 방향을 나타낸다.
슬라이더클러치부(51)는 슬라이더(30)의 노브안착공(31a) 둘레영역에 직선상의 슬라이더클러치돌부(51a)를 방사상방향으로 배치시키는 방법으로 형성되어 있다.
클러치디스크(52)는 일면에 직선상의 디스크클러치돌부(52a)가 방사상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중앙에는 디스크축공(52b)이 노브바디(62)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디스크축공(52b)은 장공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클러치디스크(52)는 디스크클러치돌부(52a)가 슬라이더클러치돌부(51a) 사이에 진입하고, 노브축부(63)가 디스크축공(52b)을 통과하며, 일면이 노브바디(62)에 접촉하도록 노브축부(63)에 결합된다.
그리고 디스크축공(52b)이 장공형태로 형성되고 노브축부(63)에는 면취부(63a)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클러치디스크(52)는 슬라이더이동조작노브(60)와 함께 회전할 수 있게 된다.
탄성부재(70)는 원호 단면 형태의 곡면부(71)와, 곡면부(71)의 양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된 한 쌍의 평판부(72)를 갖고 있다.
곡면부(71)는 중앙에 원형의 탄성부재축공(71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탄성부재(70)는 노브축부(63)가 탄성부재축공(71a)을 통과하고, 곡면부(71)가 클러치디스크(52)를 슬라이더(30)를 향해 가압하며, 한 쌍의 평판부(72)가 후술하는 래크프레임(93)에 접촉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탄성부재(70)는 측면이 프레임안착홈(21b)의 내벽면(경사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슬라이더이동상태조작부(50)를 사용하여 슬라이더(30)의 이동허용상태 또는 이동저지상태를 선택조작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동허용상태는 슬라이더(30)가 안내레일(21)을 따라 이동하는 것이 허용되는 상태를 의미하고, 이동저지상태는 슬라이더(30)가 안내레일(21)을 따라 이동하는 것이 저지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먼저 슬라이더이동조작노브(60)를 베이스판(20)을 향해 가압하면 노브바디(62)의 가압동작에 의해 클러치디스크(52)는 디스크클러치돌부(52a)가 슬라이더클러치돌부(51a)로부터 벗어나도록 베이스판(20) 쪽으로 이동한다. 클러치디스크(52)가 베이스판(20) 쪽으로 이동하는 동안 탄성부재(70)에는 탄성력이 축적된다.
디스크클러치돌부(52a)가 슬라이더클러치돌부(51a)로부터 벗어나면 슬라이더(30)는 이동허용상태가 된다.
슬라이더(30)가 이동허용상태에 있을 때 슬라이더이동조작노브(60)를 회전조작하면 슬라이더(30)를 안내레일(21)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다음에 슬라이더이동조작노브(60)에 대한 가압동작을 해제하면 탄성부재(70)에 축적된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더이동조작노브(60)는 원위치로 복귀한다.
슬라이더이동조작노브(60)는 원위치로 복귀하면, 디스크클러치돌부(52a)는 다시 슬라이더클러치돌부(51a) 사이에 진입한다.
디스크클러치돌부(52a)는 슬라이더클러치돌부(51a) 사이에 진입하면 슬라이더이동조작노브(60)를 회전조작할 수 없기 때문에 슬라이더(30)는 이동저지상태가 된다.
슬라이더이동변환부(90)는 베이스판(20)에 고정된 래크(91, Rack)와, 노브축부(63)에 결합되는 피니언(92, Pinion)을 갖고 있다.
래크(91)는 직사각형 창틀 형태의 래크프레임(93)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래크프레임(93)은 안내레일(21)의 바닥면과 프레임안착홈(21b)의 바닥면사이의 단차보다 작은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다.
래크프레임(93)은 래크(91)가 안내레일(21)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프레임안착홈(21b)의 바닥면에 고정된다.
피니언(92)은 중앙에 장공형태의 피니언축공(92a)이 형성되어 있다.
피니언축공(92a)이 장공형태로 형성되고 노브축부(63)에는 면취부(63a)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피니언(92)은 슬라이더이동조작노브(60)와 함께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피니언(92)은 래크(91)에 치합하고 평판부(72)에 접촉하도록 노브축부(63)에 결합된다.
피니언(92)이 노브축부(63)에 결합된 후 노브축부(63)에는 와셔(82)와 스냅링(84)이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슬라이더이동변환부(90)에 따르면 슬라이더이동조작노브(60)를 회전조작할 때 래크(91)와 피니언(92)에 의해 슬라이더이동조작노브(60)의 회전동작이 슬라이더(30)의 직선이동동작으로 변환되므로 슬라이더(30)가 안내레일(21)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형톱장치용 지그를 사용하는 방법을 도11 내지 도1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1, 도13, 도15 및 도17에는 각각 원형톱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원형톱(122)의 안전커버가 생략되어 있다. 그리고 설명의 편의를 위해 슬라이더(30)는 지시침(14)이 영점을 가리키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베이스판(20)에 설치되어 있고, 슬라이딩블럭(114)은 지지벽부(112)에 접근해 있으며, 지지봉(11)은 안내봉(113)에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리고 보조정반(202)은 12㎜ 두께의 판형태이고 가공물(201)은 60㎜ 두께의 각목이고 목표절단깊이는 30㎜인 것으로 가정한다.
먼저 보조정반, 가공물의 두께 및 가공물의 절단깊이에 따라 원형톱접근위치조작레버(131)를 조작하여 원형톱(122)의 회동범위를 결정한다(도21의 "A"가 12㎜보다 작아지도록).
다음에 조작버튼(124)을 사용하여 톱장치헤드부(121)의 회동이 가능한 상태를 선택한다.
다음에 원형톱(122)이 재치대(111)로부터 멀어지도록 톱장치헤드부(121)를 지지벽부(112)를 향해 회동시킨다.
다음에 재치대(111)의 상면에 보조정반(202)을 올려놓는다(S1, 도11 참조).
다음에 슬라이더이동상태조작부(50)를 조작하여 보조정반(202)의 두께와 같은 값(12㎜)만큼 슬라이더(30)를 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S2).
보조정반(202)의 두께와 같은 값(12㎜)만큼 슬라이더(30)를 하방향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톱장치헤드부(121)를 재치대(111)를 향해 회동시키면 지지롤러(15)는 안내봉(113)에 접촉하고 원형톱(122)의 하단은 보조정반(202)의 상면에 접촉하며 지시침(14)은 눈금자(12)의 "12"을 가리키게 된다(도11 및 12 참조).
다음에 눈금자이동조작부(40)를 조작하여 보조정반(202)의 두께와 같은 값(12㎜)만큼 눈금자(12)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킨다(S3, 보조정반의 상면에 눈금자의 영점을 재설정하는 단계, 도13 및 도14 참조).
다음에 원형톱(122)이 재치대(111)로부터 멀어지도록 톱장치헤드부(121)를 지지벽부(112)를 향해 회동시킨 상태에서 보조정반(202)의 상면에 가공물(201)을 올려놓는다.
다음에 슬라이더이동상태조작부(50)를 조작하여 가공물(201)의 두께와 같은 값(60㎜)만큼 슬라이더(30)를 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가공물(201)의 두께와 같은 값(60㎜)만큼 슬라이더(30)를 하방향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톱장치헤드부(121)를 재치대(111)를 향해 회동시키면 지지롤러(15)는 안내봉(113)에 접촉하고 원형톱(122)의 하단은 가공물(201)의 상면에 접촉하고 지시침(14)은 눈금자(12)의 "60"을 가리키게 된다(도15 및 16 참조).
다음에 슬라이딩블럭(114)을 지지벽부(11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이동시킨다.
다음에 원형톱(122)이 재치대(111)로부터 멀어지도록 톱장치헤드부(121)를 지지벽부(112)를 향해 회동시킨 상태에서 슬라이더이동상태조작부(50)를 조작하여 목표절단깊이와 같은 값(30㎜)만큼 슬라이더(30)를 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목표절단깊이와 같은 값(30㎜)만큼 슬라이더(30)를 하방향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톱장치헤드부(121)를 재치대(111)를 향해 회동시키면 지지롤러(15)는 안내봉(113)에 접촉하고 원형톱(122)의 하단은 가공물(201)의 상면보다 목표절단깊이와 같은 값(30㎜)만큼 아래에 배치되고 지시침(14)은 눈금자(12)의 "30"을 가리키게 된다(도17 및 18 참조).
다음에 조작버튼(124)을 조작하여 원형톱(122)을 회전시킨다.
다음에 지지롤러(15)가 지지봉(11)에 안착되도록 톱장치헤드부(121)를 재치대(111)를 향해 회동시킨다.
다음에 슬라이딩블럭(114)을 지지벽부(112)를 향해 이동시키면서 가공물(201)을 절단한다.
보조정반(202)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위 S1 내지 S3 단계가 생략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독일 페스툴에서 판매하는 원형톱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하고 있으나, 공개번호 실1999-0034411(고안의 명칭 : 각도절단기 공작물 고정장치) 등에 개시된 원형톱장치와 같이 톱장치헤드부(121)와 함께 회동할 수 있는 원형톱(122)을 갖는 원형톱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원형톱접근위치조작레버(131)와 같이 원형톱(122)의 회동범위를 선택할 수 있는 구성이 없는 원형톱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원형톱(122)의 회동위치를 기구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절단작업이 용이하고 원형톱(122)의 회동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원형톱(122)의 회동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면 가공물의 전 폭에 걸쳐 절단깊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슬라이더이동조작노브(60)를 회전조작할 때 슬라이더(30)가 안내레일(21)을 따라 이동하도록 슬라이더이동조작노브(60)의 회전동작을 슬라이더(30)의 직선이동동작으로 변환하는 슬라이더이동변환부(90)를 추가함으로써, 슬라이더이동허용상태와 슬라이더이동저지상태의 선택동작에 더하여 슬라이더(30)를 이동시키는 동작을 하나의 슬라이더이동조작노브(60)를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슬라이더(30)의 배면에 형성된 슬라이더클러치부(51)와 슬라이더클러치부(51)에 결합되고 슬라이더이동조작노브(6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노브축부(63)에 결합되는 클러치디스크(52)를 사용하여 슬라이더이동허용상태와 슬라이더이동저지상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베이스판(20)에 고정된 래크(91)와 노브축부(63)에 결합되는 피니언(92)을 사용하여 슬라이더이동조작노브(60)의 회전동작을 슬라이더(30)의 직선이동동작으로 변환함으로써, 슬라이더이동허용상태 또는 슬라이더이동저지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슬라이더이동조작노브(60)의 회전동작을 슬라이더(30)의 직선이동동작으로 안정적으로 변환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영점(기준점)을 갖는 눈금자(12)를 슬라이더(30)에 설치하는 한편 재치대(111)의 상면에 원형톱(122)의 하단이 접촉된 상태에서 지지롤러(15)가 지지봉(11)에 안착될 때 영점을 가리키도록 베이스판(20)에 지시침(14)을 고정함으로써, 목표절단깊이만큼 정확하게 절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안내레일(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눈금자(12)를 슬라이더(30)에 설치함으로써, 보조정반(202)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목표절단깊이만큼 정확하게 절단할 수 있게 된다.
11 : 지지봉 12 : 눈금자
14 : 지시침 15 : 지지롤러
20 : 베이스판 21 : 안내레일
30 : 슬라이더 31 : 슬라이더바디부
32 : 지지판부 33 : 가이드부
40 : 눈금자이동조작부 41 : 눈금자지지축
42 : 눈금자조절부재 50 : 슬라이더이동상태조작부
51 : 슬라이더클러치부 52 : 클러치디스크
60 : 슬라이더이동조작노브 70 : 탄성부재
90 : 슬라이더이동변환부 91 : 래크
92 : 피니언 110 : 톱장치바디부
111 : 재치대 113 : 안내봉
121 : 톱장치헤드부 122 : 원형톱
130 : 원형톱접근위치조작부 131 : 원형톱접근위치조작레버

Claims (5)

  1. 톱장치바디부와 상기 톱장치바디부가 지지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면에 접근하는 방향을 따라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톱장치바디부에 설치된 톱장치헤드부와 상기 톱장치헤드부와 함께 회동할 수 있고 톱날이 상기 지지면에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톱장치헤드부에 결합된 원형톱과 상기 원형톱을 회전구동하기 위한 톱구동부를 갖는 원형톱장치에 설치되어 상기 원형톱의 회동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원형톱장치용 지그에 있어서,
    상기 원형톱의 측면과 상기 지지면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원형톱의 측면으로부터 수평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상기 톱장치바디부에 고정된 지지봉과;
    일면에는 안내레일이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봉보다 높은 위치에서 상기 원형톱과 상기 지지봉 사이의 수평이격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안내레일이 형성된 면이 상기 지지봉을 향하고 상기 안내레일이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톱장치헤드부와 함께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톱장치헤드부에 결합되는 베이스판과;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직선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판에 결합된 슬라이더와;
    상기 톱장치헤드부가 상기 지지면을 향해 회동할 때 상방향으로부터 접근하여 상기 지지봉에 안착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더에 결합된 지지롤러와;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것이 허용되는 슬라이더이동허용상태와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것이 저지되는 슬라이더이동저지상태를 선택조작하기 위한 슬라이더이동상태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톱장치용 지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지지롤러의 상측 영역에 노브안착공이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더이동상태조작부는 노브헤드와 상기 노브헤드보다 작은 단면적을 갖도록 상기 노브헤드로부터 연장 형성된 노브바디를 구비하고 상기 노브헤드가 상기 슬라이더의 양면 중 상기 지지봉에 대향하는 면으로 노출되고 상기 노브바디가 상기 노브안착공을 통과하도록 설치된 슬라이더이동조작노브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이동조작노브를 회전조작할 때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슬라이더이동조작노브의 회전동작을 상기 슬라이더의 직선이동동작으로 변환하는 슬라이더이동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톱장치용 지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이동조작노브는 상기 노브바디로부터 연장 형성된 노브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이동상태조작부는 상기 슬라이더의 상기 노브안착공 둘레영역에 직선상의 슬라이더클러치돌부를 방사상방향으로 배치시키는 방법으로 형성된 슬라이더클러치부와, 일면에 직선상의 디스크클러치돌부가 방사상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중앙에는 디스크축공이 상기 노브바디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디스크클러치돌부가 상기 슬라이더클러치돌부 사이에 진입하고 상기 노브축부가 상기 디스크축공을 통과하며 일면이 상기 노브바디에 접촉하고 상기 슬라이더이동조작노브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노브축부에 결합되는 클러치디스크와, 상기 클러치디스크를 상기 슬라이더를 향해 가압하도록 상기 노브축부에 결합된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이동변환부는 상기 안내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베이스판에 고정된 래크(Rack)와, 상기 래크에 치합하고 상기 슬라이더이동조작노브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노브축부에 결합되는 피니언(Pinion)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톱장치용 지그.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톱장치바디부는 상면이 상기 원형톱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설치된 재치대를 포함하고;
    영점이 표시되어 있고 상기 안내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슬라이더에 설치된 눈금자와, 상기 재치대의 상면에 상기 원형톱의 하단이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롤러가 상기 지지봉에 안착될 때 상기 영점을 가리키도록 상기 베이스판에 고정된 지시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톱장치용 지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눈금자는 상기 안내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더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톱장치용 지그.
KR1020160139097A 2016-10-25 2016-10-25 원형톱장치용 지그 KR1018220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9097A KR101822086B1 (ko) 2016-10-25 2016-10-25 원형톱장치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9097A KR101822086B1 (ko) 2016-10-25 2016-10-25 원형톱장치용 지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2086B1 true KR101822086B1 (ko) 2018-03-08

Family

ID=61725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9097A KR101822086B1 (ko) 2016-10-25 2016-10-25 원형톱장치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208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9601A (ja) 2002-12-26 2004-07-29 Power System Kk ジグザグ刃式切断方法と切断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9601A (ja) 2002-12-26 2004-07-29 Power System Kk ジグザグ刃式切断方法と切断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04029C1 (ru) Отрезной станок со столом
JP4600184B2 (ja) ガイド及びこれを備えた携帯用切断工具
US11027453B2 (en) Cutting tool
JPS59146795A (ja) 冷蔵肉のスライス機械
US20120186410A1 (en) Multi-Function Power Saw
TWM446669U (zh) 切割機
JP2533681Y2 (ja) 継手用溝掘り機
AU2016200004A1 (en) Saw with circular blade
JP2007118230A (ja) 切断機
JP5989552B2 (ja) 卓上切断機
US20110067542A1 (en) Multi-Function Power Saw with Tilt Cut
KR101822086B1 (ko) 원형톱장치용 지그
CN102000878B (zh) 斜断锯
JP2009126059A (ja) バイス装置及び切断機
EP1545845B1 (en) Mitre saw with adjustable fence
CN112338255A (zh) 台式切割机
JPH04506320A (ja) パラレル―及びアングルストッパ
US6467184B1 (en) Measuring apparatus provided with a stylus
JP2009066718A (ja) 卓上丸鋸盤における回転テーブルの位置決め装置
CN201470993U (zh) 斜断锯
WO2015005087A1 (ja) 切断工具
US20080222996A1 (en) Device for cutting sheetrock
JP5526091B2 (ja) 加工作業における加工補助装置
JP5196897B2 (ja) スライド型切断機及びその組み立て方法
JP2014028490A (ja) 切断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