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2045B1 - 기호성이 우수한 편강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기호성이 우수한 편강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2045B1
KR101822045B1 KR1020160100028A KR20160100028A KR101822045B1 KR 101822045 B1 KR101822045 B1 KR 101822045B1 KR 1020160100028 A KR1020160100028 A KR 1020160100028A KR 20160100028 A KR20160100028 A KR 20160100028A KR 101822045 B1 KR101822045 B1 KR 101822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ger
weight
sugar
parts
ju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0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희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유한회사 힐링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유한회사 힐링팜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유한회사 힐링팜
Priority to KR1020160100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20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2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2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1Instant products; Powders; Flakes; Gran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3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e.g. xylitol;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e.g. 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L3/5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using irradiation or electrical treatment, e.g. ultrasonic wa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40Colouring or decolouring of foods
    • A23L5/41Retaining or modifying natural colour by use of additives, e.g. optical brighte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04Colour
    • A23V2200/044Colouring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을 식용 색소로 염색하고, 건과일과 압착하여 일체로 형성된 기호성이 우수한 편강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생강을 세척하고 일정한 크기로 슬라이스하는 단계, 슬라이스된 생강을 침지하는 단계, 침지된 생강을 삶는 단계, 삶은 생강 100 중량부에 대하여, 설탕 75 내지 95 중량부를 혼합하고 가열하는 단계, 부추즙, 파프리카즙, 오디즙 중 어느 하나로 염색하는 단계, 염색된 생강과 건과일을 압착하여 일체로 형성하는 단계, 건조하는 단계로 형성된 기호성이 우수한 편강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호성이 우수한 편강 및 그 제조방법 {SLICED DRIED GINGER WITH EXCELLENT PREFEREN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BY}
본 발명은 기호성이 우수한 편강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색을 입히거나 건과일과 접합하여 기호성이 향상된 편강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생강은 이집트, 이라크 등의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서 유사 이전부터 재배되어 온 생강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이다.
생강은 특유한 향기와 매운맛을 지니고 있어 전 세계적으로 널리 애용되고 있는 향신료 중의 하나이다. 생강은 진저롤 성분이 함유되어 매운 맛을 내게 되는데, 이 진저롤 성분은 혈중 알코올 농도를 줄여주며 염증을 가라앉히고 기관지를 확장시키므로 천식환자에게 좋다. 생강에 함유된 쇼가올 성분은 강력한 항균 작용을 내어 우리 몸 안의 DNA 손상을 막는 역할을 한다. 또한 혈액을 맑게 하여 혈액순환이 원활하게 하므로, 고혈압, 동맥경화, 뇌졸증 등 각종 성인병을 예방하는데 효과가 있다.
생강은 추위에 대한 저항력이 약해서 15도 이후에서는 생육이 정지되고 10도 이하가 되면 부패한다. 따라서 부패되지 않도록 보관하는 것이 쉽지 않다. 또한, 동절기에는 냉해 때문에 생강은 거의 유통되지 않으며, 부패가스의 발생, 출하시기의 선택, 작업상의 불편함 등 생강의 보관에 많은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예로부터 생강은 생강을 찌거나 삶아서 건조한 건강(乾薑), 불에 구워서 말린 흑강(黑薑), 얇게 저며서 설탕에 조려 말린 편강 등으로 가공하여 보관 및 섭취가 용이하였다. 특히 편강은 가장 흔히 사용되는 생강 가공 방법이며, 설탕에 조려 제조되므로 생강 특유의 매콤한 맛을 중화시켜 준다.
편강에 대한 종래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0796773 (발명의 명칭 : 흡습 및 갈변방지를 위한 편강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여전히 편강은 생강 특유의 매운 맛이 강하고, 색깔 및 외관이 젊은이 및 어린이들의 기호를 충족시키지 못하여 뛰어난 효능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외면 받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부추즙, 파프리카즙, 오디즙 등의 색을 입혀 시각적으로 먹음직스럽게 보이도록 하며, 건과일과 접합하여 생강의 매콤한 맛과 건과일의 새콤달콤한 맛이 어우러지게 하여 남녀노소가 거부감 없이 즐길 수 있는 기호성이 우수한 편강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생강을 세척하고 일정한 크기로 슬라이스하는 단계; (b) 상기 슬라이스된 생강을 물에 12시간 내지 24시간동안 침지하는 단계; (c) 상기 침지된 생강을 꺼내어 85도 내지 95도의 물에 3분 내지 5분동안 삶는 단계; (d) 상기 삶은 생강 100 중량부에 대하여, 설탕 75 내지 95 중량부를 혼합하고 가열하는 단계; (e) 식용 색소로 상기 설탕에 조린 생강을 염색하는 단계; (f) 상기 염색된 생강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호성이 우수한 편강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c)단계 이후에, 상기 생강 중량 대비 0.1% 내지 2.0% 함량의 유산균을 접종하고 상온에서 12시간 내지 24시간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단계는, 상기 삶은 생강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5 중량부의 프로폴리스 분말을 상기 설탕과 함께 첨가할 수 있다.
상기 (f)단계는, 상기 염색된 생강에 파장이 25㎛ 이상의 원적외선을 조사하여 건조할 수 있다.
상기 식용 색소는, 부추즙, 파프리카즙, 오디즙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e)단계 이후에, 상기 염색된 생강과 건과일을 압착하여 일체로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e)단계 이후에, 20 내지 30mesh로 분쇄된 건과일을 설탕과 올리고당이 2:1로 배합되어 제조된 액체 시럽과 혼합하여 상기 염색된 생강 표면에 접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기호성이 우수한 편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호성이 우수한 편강은 부추즙, 파프리카즙, 오디즙 등의 색을 입혀 시각적으로 먹음직스럽게 보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호성이 우수한 편강은 건과일과 접합하여 생강의 매콤한 맛과 건과일의 새콤달콤한 맛과 향이 어우러지게 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거부감 없이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호성이 우수한 편강 제조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호성이 우수한 편강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호성이 우수한 편강 및 그 제조방법은 생강을 세척하고 일정한 크기로 슬라이스하는 단계(S10), 슬라이스된 생강을 침지하는 단계(S20), 침지된 생강을 삶는 단계(S30), 삶은 생강 100 중량부에 대하여, 설탕 75 내지 95 중량부를 혼합하고 가열하는 단계(S40), 부추즙, 파프리카즙, 오디즙 중 어느 하나로 염색하는 단계(S50), 염색된 생강에 건과일을 접합하는 단계(S60), 건조하는 단계(S7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생강을 세척하고 일정한 크기로 슬라이스하는 단계(S10)는 생강을 물로 씻은 후 껍질을 벗겨내고 1mm 내지 3mm의 일정한 두께로 자를 수 있다.
생강을 고를 때는 육질이 단단하고 크며 황토색을 나타내는 것, 발이 굵고 넓으며 껍질이 잘 벗겨지는 것, 고유의 매운맛과 향기가 강한 것, 색이 다소 짙고 모양이 울퉁불퉁한 것, 한 덩어리에 여러 조각이 붙어 있는 것이 좋다.
슬라이스된 생강은 두께가 얇을수록 추후 염색했을 때 염색된 색이 선명하게 보일 수 있다. 다만, 슬라이스된 생강이 지나치게 얇으면 식감 및 씹는 맛을 해칠 수 있기 때문에 슬라이스된 생강의 두께는 1mm 내지 3mm로 형성되는 것이 적당하다.
생강을 세척할 때 사용하는 세척수는 pH 5.0 내지 6.5 범위의 미산성 전해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산성 전해수를 사용하여 세척 시 일반 물을 사용할 때보다 살균효과가 뛰어나며, 생강의 색도가 오래 유지되어 보존성이 향상될 수 있다.
슬라이스된 생강을 침지하는 단계(S20)는 슬라이스된 생강 중량의 3배 내지 4배에 해당하는 혼합 용액을 사용하되, 혼합 용액은 0.5% 내지 1.5%의 비타민C와 0.15% 내지 0.2%의 시트르산을 포함할 수 있다. 침지는 슬라이스된 생강을 혼합 용액에 넣고 12시간 내지 24시간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침지 과정에서 슬라이스된 생강은 전분 및 매운맛이 감소하게 되며, 비타민C와 시트르산에 의해 생강의 갈변이 억제될 수 있다.
슬라이스된 생강을 침지하는 단계 이후에, 유산균을 슬라이스된 생강에 접종하여 매운 맛과 향을 내는 진저롤 함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유산균은 슬라이스된 생강의 중량 대비 0.1% 내지 2.0%의 함량을 접종하고 상온에서 12시간 내지 24시간을 유지하는 것이 적당하다.
유산균 첨가량 및 발효시간의 적절한 배합에 의해 생강의 매운 맛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다만, 유산균을 생강의 중량 대비 2.0%를 초과하여 접종하게 되면, 접종량 대비 생강의 진저롤 성분 감소의 효율이 떨어지며, 생강 본질의 알싸한 맛을 해칠 수 있다. 따라서, 유산균은 슬라이스된 생강의 중량 대비 0.1% 내지 2.0%의 함량을 접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류코노스톡 멘테로이데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침지된 생강을 삶는 단계(S30)는 침지된 생강을 꺼내어 85도 내지 95도의 물에 3분 내지 5분동안 데친다. 슬라이스된 생강을 장시간 데칠수록 생강의 향 및 매운맛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데치는 과정에서 생강의 갈변현상이 나타나는 역효과가 있으므로 짧게 데침으로써, 갈변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삶은 생강 100 중량부에 대하여, 설탕 75 내지 95 중량부를 혼합하고 가열하는 단계(S40)는 삶은 생강에 설탕을 넣고 가열한다. 삶은 생강과 설탕을 넣고 가열하다 보면 생강에 함유된 수분이 배출되고 설탕이 녹아 액체가 형성될 수 있다. 계속 가열하면 수분이 거의 증발하게 되는데, 이 때 불의 세기를 약하게 하고 생강의 표면에 설탕 결정이 형성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저어 준다.
삶은 생강 100 중량부에 대하여, 설탕 75 내지 95 중량부를 혼합하고 가열하는 단계(S40)는 액상 프로폴리스 추출액을 추가되어 편강의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프로폴리스는 꿀벌이 꽃에서 채취한 수지 상태의 물질과 꿀벌의 타액이 혼합되어 형성된 물질이다. 프로폴리스는 플라보노이드, 카페인산, 아프테필린 등의 성분으로 이루어져, 활성유해산소 제거, 항균 및 항염, 면역강화 등의 효과가 있다.
삶은 생강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5 중량부의 프로폴리스 추출액을 설탕과 함께 혼합하여 가열하면 설탕과 함께 생강의 표면에 고체화될 수 있다. 프로폴리스는 곰팡이, 세균 등에 대한 항균성이 강하여 생강의 표면에 형성되면 보존성을 높일 수 있으며, 섭취 시 혈액순환 개선, 항염 및 항암, 면역력 강화 등의 효과가 부가된다.
식용 색소로 염색하는 단계(S50)는 부추즙의 녹색, 파프리카즙의 노란색, 주황색 및 빨간색, 오디의 자색을 생강의 표면에 덧입힐 수 있다.
부추는 선명한 녹색을 띄며, 독특하고 강한 향이 있으며, 맛은 시고 맵고 떫으며, 독이 없다. 부추는 몸을 덥게 하는 보온효과가 있어 감기예방에 좋으며, 소화를 돕고 장을 튼튼하게 하고, 피를 맑게 하여 허약체질 개선, 미용, 성인병예방의 효과가 있다.
부추즙은 부추를 수세 및 세절한 후, 압축 및 착즙하고 여과하여 생즙을 생산할 수 있다. 수세 및 세절 단계에서는 부추 줄기와 부추 잎을 선별하여 물로 깨끗하게 씻고, 잘게 자르게 된다. 이때, 1cm 내지 5㎝의 길이로 세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세 및 세절한 부추 줄기와 잎을 압축하여 즙을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수세 및 세절한 부추 줄기와 잎을 삼베포에 넣고 압축하여 착즙한 다음 부유물을 제거하여 생즙을 생산할 수 있다. 또는, 착즙기를 이용하여 생즙을 생산할 수도 있다. 착즙기는 식물 세포를 미세하게 분쇄하여 그 속에 있는 영양소를 밖으로 유리해 내는 기계로서, 착즙기를 이용하면 부추 줄기와 잎을 단순히 절단하는 것이 아니라, 식물 세포를 분쇄하게 되므로 부추에 함유되어 있는 영양소를 충분히 추출할 수 있고, 동일한 양의 부추 줄기와 잎으로부터 물을 사용하지 않고 더욱 많은 양의 농축된 생즙을 추출할 수 있다.
파프리카는 각종 비타민과 철분, 단백질, 탄수화물 등이 풍부하고, 미량의 캡사이신이 함유되어 있다. 붉은색 파프리카는 리코펜과 폴리페놀을 함유하여 발암억제, 노화방지에 효능이 있으며, 주황색은 면역강화기능, 노란색은 장기능에 도움을 주는 등 컬러별로 기능도 다소 상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생강을 염색하기 위한 파프리카즙은 이러한 기능성 및 색상을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파프리카는 선별하여 준비한 후, 세척하여 씨는 발라내고 초음파 세척기를 이용하여 재차 씻어 내는 것이 좋다. 초음파 세척기를 이용하는 것은 표면이 고르지 않은 파프리카의 표면에 있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세척하기 위함이다. 세척이 완료된 파프리카를 착즙기를 통해 농축된 파프리카즙을 생성할 수 있다.
오디는 차고 달며 독이 없고, 부종이 생긴 것을 낫게 하며 담을 삭이고 갈증을 멎게 한다. 또한, 귀와 눈을 밝게 하며 오래 복용하면 백발이 검게 변하고 노화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오디는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착즙기를 통해 농축된 오디즙을 생성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생강을 염색하기 위하여 손바닥 선인장, 꼭두서니, 홍국, 홍화, 포도과피, 차즈기, 자색고구마 등의 천연 염색재료를 통해 염색할 수 있다.
또한, 식용색소로 염색하는 단계(S50)는 침지된 생강을 삶는 단계(S30)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즉, 부추즙, 파프리카즙, 오디즙 등의 색소가 함유된 천연 염색재료를 생강과 함께 85도 내지 95도의 물에 넣는다. 이로써, 염색작업이 간편해질 수 있으며, 색이 보다 자연스럽게 염색되는 효과가 있다.
염색된 생강과 건과일을 압착하여 일체로 형성하는 단계(S60)는 염색된 생강을 건과일과 포갠 후 압착 롤러를 통과시켜 일체로 형성시킬 수 있다. 염색된 생강과 건과일의 사이에는 설탕과 올리고당을 2:1로 혼합하여 제조된 액체 시럽을 바른 후에 압착 롤러를 통과시키면 염색된 생강과 건과일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건과일은 사과, 배, 레몬, 유자, 라임, 망고, 바나나, 파파야, 파인애플, 살구, 또는 키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과일은 세척한 후 겉껍질을 제거한 다음 5mm 내지 15mm의 두께로 자른다. 세척하여 자른 과일은 건조기에 40도 내지 60도의 온도에서 2시간 내지 6시간 동안 유지하여 건과일을 제조할 수 있다. 추후 생강과 접합하여 건조과정이 추가될 수 있으므로 수분 함량이 25% 내지 45%가 되도록 너무 마르지 않게 건조시키는 것이 좋다.
또는, 생강과 건과일을 압착하는 방법을 대신하여, 상기와 같이 준비된 건과일을 20 내지 30 mesh 크기로 분쇄한 후 생강의 표면에 접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설탕과 올리고당을 2:1로 혼합하여 제조된 액체 시럽과 분쇄된 건과일을 혼합하여 생강과 섞어주면 생강 표면에 건과일이 접합될 수 있다.
분쇄된 건과일을 생강의 표면에 접합하는 단계는 삶은 생강 100 중량부에 대하여, 설탕 75 내지 95 중량부를 혼합하고 가열하는 단계(S40)와 함께 수행될 수 있다. 분쇄된 건과일을 설탕과 함께 넣고 가열하면, 설탕이 생강 표면에서 고체화되면서 분쇄된 건과일을 표면에 접합시킬 수 있다.
건조하는 단계(S70)는 적외선을 조사하여 생강을 건조시킬 수 있다. 생강과 건과일이 더욱 단단히 접착되도록 적외선 건조 시 적외선이 투과되는 아크릴판 등을 생강의 상부에 올려놓고 압박하여 건조하는 것이 좋다.
적외선 조사를 위해서는 적외선 램프가 이용될 수 있다. 적외선 램프에서 조사되는 적외선 양이 높아질수록 생강이 갈변되어 염색된 생강의 색이 변질 될 수 있으므로, 색상에 따라 적외선의 강도를 적절히 조율하는 것이 좋다.
적외선은 가시광선이나 자외선에 비해 강한 열작용을 가지고 있다. 적외선이 강한 열작용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은 적외선의 주파수가 물질을 구성하고 있는 분자의 고유진동수와 거의 비슷하여, 물질에 적외선이 부딪히면 전자기적 공진현상을 일으켜 적외광파의 에너지가 효과적으로 물질에 흡수되기 때문이다.
특히 적외선 중 파장이 25㎛ 이상인 원적외선을 생강에 조사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빛은 파장이 짧으면 반사가 잘되고, 파장이 길면 물체에 도달했을 때 잘 흡수되는 성질이 있다. 따라서, 원적외선을 조사했을 때 생강 내부까지 원적외선이 침투하여 건조의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건조 시간이 단축됨으로써 갈변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상품성이 높아질 수 있다.
적외선 건조는 자연건조 또는 열풍건조에 비하여 생강의 내부까지 효율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으므로 1시간 내지 2시간 동안 짧게 건조시키는 것이 좋다.
이하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기호성이 우수한 편강 및 그 제조방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1]
생강을 세척하고 일정한 크기로 슬라이스하여 생강 중량의 3배 내지 4배에 해당하는 혼합 용액(0.5% 내지 1.5%의 비타민C, 0.15% 내지 0.2%의 시트르산 함유)에 침지한다. 침지된 생강을 85도 내지 95도의 물에 3분 내지 5분동안 데친다. 데친 생강 100 중량부에 대하여, 설탕 75 내지 95 중량부를 혼합하고 가열한 후 빨간 파프리카즙으로 염색하고 적외선에 1시간 내지 2시간 건조한다.
[실시 예2]
생강을 세척하고 일정한 크기로 슬라이스하여 생강 중량의 3배 내지 4배에 해당하는 혼합 용액(0.5% 내지 1.5%의 비타민C, 0.15% 내지 0.2%의 시트르산 함유)에 침지한다. 침지된 생강을 85도 내지 95도의 물에 3분 내지 5분동안 데친다. 데친 생강 100 중량부에 대하여, 설탕 75 내지 95 중량부를 혼합하고 가열한 후 빨간 파프리카즙으로 염색한다. 염색된 생강과 건조된 배를 압착하여 일체로 형성한 후 적외선에서 1시간 내지 2시간 건조한다.
[실시 예3]
생강을 세척하고 일정한 크기로 슬라이스하여 생강 중량의 3배 내지 4배에 해당하는 혼합 용액(0.5% 내지 1.5%의 비타민C, 0.15% 내지 0.2%의 시트르산 함유)에 침지한다. 침지된 생강을 85도 내지 95도의 물에 3분 내지 5분동안 데친다. 데친 생강 100 중량부에 대하여, 설탕 75 내지 95 중량부를 혼합하고 가열한 후 빨간 파프리카즙으로 염색한다. 염색된 생강의 표면에 분쇄된 건과일을 접합한 후 적외선에서 1시간 내지 2시간 건조한다.
[비교 예]
생강을 세척하고 일정한 크기로 슬라이스하여 생강 중량의 3배 내지 4배에 해당하는 혼합 용액(0.5% 내지 1.5%의 비타민C, 0.15% 내지 0.2%의 시트르산 함유)에 침지한다. 침지된 생강을 85도 내지 95도의 물에 3분 내지 5분동안 데친다. 데친 생강 100 중량부에 대하여, 설탕 75 내지 95 중량부를 혼합하고 가열한다.
표 1은 실시예와 비교예의 관능평가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관능 평가를 위하여,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의 편강을 대학생 30명(남녀 각각 15명)이 시식한 후 5점 척도법에 의하여 외관, 식감, 맛 및 향을 평가하였다. 또한, 종합적인 기호도로서 구매의사를 조사하였다.
평가항목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
외관 3.1 3.4 3.1 1.7
식감 2.5 2.1 2.4 2.3
1.6 2.4 2.3 1.5
2.7 3.0 2.8 2.1
구매의사 3.0 3.4 3.4 2.2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빨간 파프리카즙으로 염색한 실시예 1은 염색되지 않은 비교예와 대비하여 외관 및 향에 대한 호감도가 향상되었다. 실시예 2는 비교예와 대비하여 외관, 맛, 향에 대한 호감도가 향상되었다. 식감은 비교예에 비해 만족도가 소폭 하락하였는데, 이는 압축 롤러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육질이 단단해지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맛은 비교예와 대비하여 호감도가 크게 향상되었으며, 이로 인해 구매의사 역시 향상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실시예 3은 비교예와 대비하여 전체적으로 호감도가 향상되었다. 따라서, 실시예 1 내지 3는 비교예와 대비하여 젊은층의 호감도가 향상되었으며, 이를 통해 구매의사가 크게 향상되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8)

  1. (a) 생강을 세척하고 일정한 크기로 슬라이스하는 단계;
    (b) 상기 슬라이스된 생강을 물에 12시간 내지 24시간동안 침지하는 단계;
    (c) 상기 침지된 생강을 꺼내어 85도 내지 95도의 물에 3분 내지 5분동안 삶는 단계;
    (d) 상기 삶은 생강 100 중량부에 대하여, 설탕 75 내지 95 중량부를 혼합하고 가열하는 단계;
    (e) 식용 색소로 상기 설탕에 조린 생강을 염색하는 단계;
    (f) 상기 염색된 생강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e)단계 이후에,
    상기 염색된 생강과 건과일을 압착하여 일체로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호성이 우수한 편강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 이후에,
    상기 생강 중량 대비 0.1% 내지 2.0% 함량의 유산균을 접종하고 상온에서 12시간 내지 24시간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호성이 우수한 편강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상기 삶은 생강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5 중량부의 프로폴리스 분말을 상기 설탕과 함께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호성이 우수한 편강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f)단계는,
    상기 염색된 생강에 파장이 25㎛ 이상의 원적외선을 조사하여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호성이 우수한 편강 제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용 색소는,
    부추즙, 파프리카즙, 오디즙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기호성이 우수한 편강 제조 방법.
  6. 삭제
  7. (a) 생강을 세척하고 일정한 크기로 슬라이스하는 단계;
    (b) 상기 슬라이스된 생강을 물에 12시간 내지 24시간동안 침지하는 단계;
    (c) 상기 침지된 생강을 꺼내어 85도 내지 95도의 물에 3분 내지 5분동안 삶는 단계;
    (d) 상기 삶은 생강 100 중량부에 대하여, 설탕 75 내지 95 중량부를 혼합하고 가열하는 단계;
    (e) 식용 색소로 상기 설탕에 조린 생강을 염색하는 단계;
    (f) 상기 염색된 생강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e)단계 이후에,
    20 내지 30mesh로 분쇄된 건과일을 설탕과 올리고당이 2:1로 배합되어 제조된 액체 시럽과 혼합하여 상기 염색된 생강 표면에 접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호성이 우수한 편강 제조 방법.
  8. 제1항 내지 제5항,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기호성이 우수한 편강.
KR1020160100028A 2016-08-05 2016-08-05 기호성이 우수한 편강 및 그 제조방법 KR101822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0028A KR101822045B1 (ko) 2016-08-05 2016-08-05 기호성이 우수한 편강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0028A KR101822045B1 (ko) 2016-08-05 2016-08-05 기호성이 우수한 편강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2045B1 true KR101822045B1 (ko) 2018-01-25

Family

ID=61094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0028A KR101822045B1 (ko) 2016-08-05 2016-08-05 기호성이 우수한 편강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204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91905A (ja) * 2005-01-17 2006-07-27 Hakko Ukon Kk 機能性発酵ウコン食材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91905A (ja) * 2005-01-17 2006-07-27 Hakko Ukon Kk 機能性発酵ウコン食材及びその製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14480B2 (ja) 自然健康茶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197606B1 (ko) 마늘 절편 정과의 제조방법
KR101620095B1 (ko) 흑울금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흑울금의 추출액과 분말
KR101826907B1 (ko)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기능성 건조 김 및 그의 제조방법
CN105767196A (zh) 一种富硒保健腐竹
CN106387848A (zh) 一种青辣椒酱及其制备方法
CN106922894A (zh) 一种平卧菊三七茶及其制备方法
CN105105048A (zh) 一种酥脆马铃薯片的制作方法
KR100830693B1 (ko) 더덕 고추장 절임의 제조방법
KR102183579B1 (ko) 초밥용 간장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994800A (zh) 一种止咳平喘竹叶保健茶
CN105831272A (zh) 一种麻辣即食豆干
CN105341292A (zh) 一种芋艿保健脯的加工方法
KR101822045B1 (ko) 기호성이 우수한 편강 및 그 제조방법
CN110604263A (zh) 一种无硝肴肉及其制备方法
CN103798858A (zh) 一种冰糖醋泡花生及其制备方法
CN104473097A (zh) 一种五香芋艿片的加工方法
KR101703554B1 (ko) 흑마늘 및 사과를 이용한 건강차의 제조방법 및 그 건강차 조성물
CN106562291A (zh) 一种牛甘果果干片的制备方法
KR20180034905A (ko) 삼백초 및 어성초가 포함된 약선 소스, 이를 사용한 수산물의 염장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자반 고등어
CN107287089B (zh) 一种荔枝果醋及其制备方法
CN106689858A (zh) 一种洋姜营养酱菜及其制备方法
KR20200136174A (ko) 탱자를 이용한 설탕 절임 식품 및 차의 제조 방법
CN104055137A (zh) 一种剁椒开胃板鸭及其加工方法
CN110583821A (zh) 一种荷叶玫瑰乌龙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