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0901B1 - 차량용 멀티레이어 광학필름 제조방법 및 이의 광학필름을 포함하는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멀티레이어 광학필름 제조방법 및 이의 광학필름을 포함하는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0901B1
KR101820901B1 KR1020160107875A KR20160107875A KR101820901B1 KR 101820901 B1 KR101820901 B1 KR 101820901B1 KR 1020160107875 A KR1020160107875 A KR 1020160107875A KR 20160107875 A KR20160107875 A KR 20160107875A KR 101820901 B1 KR101820901 B1 KR 101820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film
ultraviolet
resin
forming ste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7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훈
이찬희
서정철
김종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코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코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코닉스
Priority to KR1020160107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09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0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0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68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fabrication or manufacturing metho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26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having particles on the surfac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02B5/0883Mirrors with a refractive index gradi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멀티레이어 광학필름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베이스몰딩필름 상에 제1패턴형틀을 형성시킴으로써 제1형틀필름을 형성시키는 제1형틀필름형성단계; 상기 제1형틀필름형성단계에서 형성된 상기 제1형틀필름의 상기 제1패턴형틀에 대응되는 제1패턴을 제1베이스필름에 형성시킴으로써 제1패턴필름을 형성시키는 제1패턴필름형성단계; 제2베이스몰딩필름 상에 제2패턴형틀을 형성시킴으로써 제2형틀필름을 형성시키는 제2형틀필름형성단계; 상기 제2형틀필름형성단계에서 형성된 상기 제2형틀필름의 상기 제2패턴형틀에 대응되는 제2패턴을 제2베이스필름에 형성시킴으로써 제2패턴필름을 형성시키는 제2패턴필름형성단계; 및 상기 제1패턴필름형성단계에서 형성시킨 상기 제1패턴필름과 상기 제2패턴필름형성단계에서 형성시킨 상기 제2패턴필름을 결합시킴으로써 멀티레이어 광학필름을 형성시키는 광학필름형성단계;를 포함하므로 미세한 패턴이 형성된 패턴필름을 멀티레이어로 구성한 멀티레이어 광학필름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세밀한 발광무늬패턴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보다 다양한 발광무늬패턴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차량용 멀티레이어 광학필름 제조방법 및 이의 광학필름을 포함하는 조명장치{Manufacturing Method of Multi-Layer Optical Film for Vehicle and Lighting Apparatus Including Optical Film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용 멀티레이어 광학필름 제조방법 및 이의 광학필름을 포함하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에 적용되는 리어컴비네이션램프 등과 같은 조명장치에 적용되어 세밀한 발광무늬패턴을 구현할 수 있는 차량용 멀티레이어 광학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의 광학필름이 적용된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광기술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광원 중 엘이디(LED)를 이용하는 기술 또한 개발되고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엘이디는 면(面)발광을 할 수 있는 조명장치의 발광원으로써 점차적으로 널리 이용되어가는 추세에 있다. 엘이디는 점(point) 광원의 형태를 나타내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이를 전체적으로 고른 빛을 나타내는 면 광원으로 확산시키기 위하여 확산판과 도광판 등을 사용하지만, 이것만으로는 면광원 전체에 고른 휘도 값을 나타낼 수 없어, 광학 필름의 기재층에 원형패턴 또는 다각형 패턴이 구비된 패턴층을 형성하거나 비드(bead)를 형성하여 집광 또는 확산기능을 부여하고 있다.
이에 관련하여 본 출원인은 엘이디 광원의 균일도를 유지 또는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로써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43734호(발명의 명칭 : 이중 광학시트를 이용한 조명장치)를 통해 집광력을 향상시키면서 광속의 균일도를 유지하여 눈부심(Glare)현상을 개선시키고 광속 효율 감소를 억제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한 바 있다.
한편, 엘이디가 적용된 조명장치는 차량의 리어컴비네이션램프(rear combination ramp) 등으로 널리 이용되어가는 추세에 있다. 하지만, 종래에 리어컴비네이션램프와 같은 조명장치에서는 세밀한 발광무늬패턴을 구현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차량에 장착되는 조명장치에 적용시켜서 세밀한 발광무늬패턴을 구현할 수 있는 차량용 광학필름에 관한 기술을 연구개발하여 이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세밀한 발광무늬패턴을 구현할 수 있는 차량용 멀티레이어 광학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의 광학필름이 적용된 조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레이어 광학필름 제조방법은 제1베이스몰딩필름 상에 제1패턴형틀을 형성시킴으로써 제1형틀필름을 형성시키는 제1형틀필름형성단계; 상기 제1형틀필름형성단계에서 형성된 상기 제1형틀필름의 상기 제1패턴형틀에 대응되는 제1패턴을 제1베이스필름에 형성시킴으로써 제1패턴필름을 형성시키는 제1패턴필름형성단계; 제2베이스몰딩필름 상에 제2패턴형틀을 형성시킴으로써 제2형틀필름을 형성시키는 제2형틀필름형성단계; 상기 제2형틀필름형성단계에서 형성된 상기 제2형틀필름의 상기 제2패턴형틀에 대응되는 제2패턴을 제2베이스필름에 형성시킴으로써 제2패턴필름을 형성시키는 제2패턴필름형성단계; 및 상기 제1패턴필름형성단계에서 형성시킨 상기 제1패턴필름과 상기 제2패턴필름형성단계에서 형성시킨 상기 제2패턴필름을 결합시킴으로써 멀티레이어 광학필름을 형성시키는 광학필름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형틀필름형성단계는, 글라스기판 상면에 소정의 마스크패턴을 형성시킴으로써 글라스마스크를 마련하는 글라스마스크준비단계; 상기 글라스마스크준비단계에서 마련된 상기 글라스마스크의 상면에 제1베이스몰딩필름을 형성시키는 베이스몰딩필름형성단계; 상기 베이스몰딩필름형성단계에서 형성된 상기 제1베이스몰딩필름의 상면에 자외선수지층을 형성시키는 자외선수지층형성단계; 상기 자외선수지층형성단계에서 상기 글라스마스크에 형성된 상기 자외선수지층으로 자외선이 조사되는 노광단계; 상기 노광단계에서 자외선이 조사된 상기 자외선수지층을 현상시킴으로써 제1패턴형틀을 상기 제1베이스몰딩필름 상측 면에 형성시키는 현상단계; 및 상기 현상단계에서 현상된 상기 제1패턴형틀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제1패턴형틀을 경화시키는 제1패턴형틀경화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베이스몰딩필름 또는 상기 제2베이스몰딩필름의 소재는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인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패턴필름형성단계는, 상기 제1형틀필름형성단계에서 형성된 상기 제1형틀필름과 상기 제1베이스필름 사이에 자외선레진을 개재(介在)시키는 레진인서트단계; 및 상기 레진인서트단계에서 상기 제1형틀필름과 상기 제1베이스필름 사이에 개재된 상기 자외선레진에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상기 자외선레진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제1패턴형틀에 대응되는 제1패턴으로 고상화시키는 레진고상화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레진고상화단계에서 고상화된 상기 자외선레진의 상기 제1패턴이 경화되도록 상기 자외선레진에 자외선을 조사시키는 레진경화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2형틀필름형성단계는, 글라스기판 상면에 소정의 마스크패턴을 형성시킴으로써 글라스마스크를 마련하는 글라스마스크준비단계; 상기 글라스마스크준비단계에서 마련된 상기 글라스마스크의 상면에 제2베이스몰딩필름을 형성시키는 베이스몰딩필름형성단계; 상기 베이스몰딩필름형성단계에서 형성된 상기 제2베이스몰딩필름의 상면에 자외선수지층을 형성시키는 자외선수지층형성단계; 상기 자외선수지층형성단계에서 상기 글라스마스크에 형성된 상기 자외선수지층으로 자외선이 조사되는 노광단계; 상기 노광단계에서 자외선이 조사된 상기 자외선수지층을 현상시킴으로써 제2패턴형틀을 상기 제2베이스몰딩필름 상측 면에 형성시키는 현상단계; 및 상기 현상단계에서 현상된 상기 제2패턴형틀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제2패턴형틀을 경화시키는 제2패턴형틀경화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2패턴필름형성단계는, 상기 제2형틀필름형성단계에서 형성된 상기 제2형틀필름과 상기 제2베이스필름 사이에 자외선레진을 개재(介在)시키는 레진인서트단계; 및 상기 레진인서트단계에서 상기 제2형틀필름과 상기 제2베이스필름 사이에 개재된 상기 자외선레진에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상기 자외선레진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제2패턴형틀에 대응되는 제2패턴으로 고상화시키는 레진고상화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레진고상화단계에서 고상화된 상기 자외선레진의 상기 제2패턴이 경화되도록 상기 자외선레진에 자외선을 조사시키는 레진경화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광학필름형성단계는, 상기 제1패턴필름형성단계에서 형성된 제1패턴필름과 상기 제2패턴필름형성단계에서 형성된 제2패턴필름 사이에 자외선수지가 개재되는 자외선수지개재단계; 및 상기 자외선수지개재단계에서 상기 제1패턴필름과 상기 제2패턴필름 사이에 개재된 상기 자외선수지가 경화되도록 상기 자외선수지 측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조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제1패턴과 상기 제2패턴 사이의 간격이, 상기 제1패턴의 높이 또는 상기 제2패턴의 높이보다 작도록 상기 제1패턴필름 및 상기 제2패턴필름 사이에 상기 자외선수지가 개재되어 결합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패턴필름과 상기 제2패턴필름 사이에 개재되는 상기 자외선수지의 굴절률(refractive index)은, 상기 제1패턴의 굴절률 또는 상기 제2패턴과의 굴절률과 0.15 내지 0.2 만큼 차이가 있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패턴 또는 상기 제2패턴은 다수의 렌즈가 배열된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레이어 광학필름 제조방법은 베이스몰딩필름 상에 패턴형틀을 형성시킴으로써 형틀필름을 형성시키는 형틀필름형성단계; 상기 형틀필름형성단계에서 형성된 형틀필름의 상기 패턴형틀에 대응되는 패턴을 베이스필름에 형성시킴으로써 패턴필름을 형성시키는 패턴필름형성단계; 및 상기 패턴필름형성단계에서 형성시킨 상기 패턴필름 2장을 결합시키되, 상기 패턴필름 2장 사이의 면간격이 일정하도록 상기 패턴필름 2장 사이에 자외선수지를 개재하여 2장의 상기 패턴필름을 결합시킴으로써 멀티레이어 광학필름을 형성시키는 광학필름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차량용 멀티레이어 광학필름;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서 빛을 발광하여 상기 차량용 멀티레이어 광학필름 측으로 빛을 조사하는 LED 광원; 및 외부로부터 상기 LED 광원을 보호하는 보호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보호공간 내에 상기 LED 광원이 위치하고, 상기 차량용 멀티레이어 광학필름과 적어도 일부분에서 결합되어 상기 멀티레이어 광학필름을 지지하는 하우징; 을 포함하는 것을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멀티레이어 광학필름 제조방법에 따르면, 미세한 패턴이 형성된 패턴필름으로 멀티레이어를 구성한 차량용 멀티레이어 광학필름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세밀한 발광무늬패턴을 구현할 수 있게되어 보다 다양한 발광무늬패턴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멀티레이어 광학필름을 조명장치에 적용시킴으로써 조명장치의 슬림화가 가능하며,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는 효과 또한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레이어 광학필름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레이어 광학필름 제조방법 중 제1형틀필름형성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레이어 광학필름 제조방법 중 제1패턴필름형성단계에서 제1패턴필름이 형성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응용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레이어 광학필름 제조방법 중 광학필름형성단계에서 광학필름이 형성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레이어 광학필름을 포함하는 차량용 조명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레이어 광학필름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레이어 광학필름제조방법에서 형성된 패턴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레이어 광학필름이 적용된 차량용 조명장치에서 발광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진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레이어 광학필름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레이어 광학필름 제조방법 중 제1형틀필름형성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레이어 광학필름 제조방법 중 제1패턴필름형성단계에서 제1패턴필름이 형성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공정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응용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레이어 광학필름 제조방법 중 광학필름형성단계에서 광학필름이 형성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공정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레이어 광학필름을 포함하는 차량용 조명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레이어 광학필름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레이어 광학필름제조방법에서 형성된 패턴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레이어 광학필름이 적용된 차량용 조명장치에서 발광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진도면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레이어 광학필름제조방법은 제1형틀필름형성단계(S10), 제1패턴필름형성단계(S20), 제2형틀필름형성단계(S30), 제2패턴필름형성단계(S40) 및 광학필름형성단계(S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참고로, 설명의 편의상 차량용 멀티레이어 광학필름을 간단하게 광학필름 또는 멀티레이어 광학필름이라고 표현하여 설명하였음을 밝혀둔다.
먼저, 제1형틀필름형성단계(S10)부터 설명하기로 한다.
<<S10>>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형틀필름형성단계(S10)는 제1베이스몰딩필름(20)상에 제1패턴형틀(31)을 형성시킴으로써 제1형틀필름(100)을 형성시키는 단계이다.
이러한 제1형틀필름형성단계(S10)는 글라스마스크준비단계(S101), 베이스몰딩필름형성단계(S102), 자외선수지층형성단계(S103), 노광단계(S104), 현상단계(S105) 및 제1패턴형틀경화단계(S106)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S101>
글라스마스크준비단계(S101)는 글라스기판(11)의 상면에 소정의 마스크패턴(12)을 형성시킴으로써 글라스마스크(10)를 마련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글라스기판(11)의 상면에 형성시킨 마스크패턴(12)의 소재로서 크롬을 이용할 수도 있다.
<S102>
베이스몰딩필름형성단계(S102)는 글라스마스크준비단계(S102)에서 마련된 글라스마스크(10)의 상면에 제1베이스몰딩필름(20)을 형성시키는 단계이다.
글라스마스크(10)의 상면에 제1베이스몰딩필름(20)을 적층시킴으로써 글라스마스크(10)의 상면에 제1베이스몰딩필름(20)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도 2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제1베이스몰딩필름(20)과 글라스기판(11) 사이의 일부 부분에는 마스크패턴(12)이 있는 형태가 된다.
제1베이스몰딩필름(20)의 소재로는 다양한 소재가 이용될 수 있으며, 광투과성이 있는 소재로서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것 또한 바람직하다.
<S103>
다음으로 자외선수지층형성단계(S103)는 베이스몰딩필름형성단계(S102)에서 형성된 제1베이스몰딩필름(20)의 상면에 자외선수지층(30)을 형성시키는 단계이다.
여기서, 제1베이스몰딩필름(20)의 상면에 자외선수지층(30)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자외선수지를 제1베이스몰딩필름(20)의 상면에 코팅시킴으로써 자외선수지층(30)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
<S104>
노광단계(S104)는, 자외선수지층형성단계(S103)에서 글라스마스크(10)에 형성된 자외선수지층(30)으로 자외선(Ultra Violet ; UV)이 조사되는 단계이다. 여기서 글라스마스크(10)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자외선(UV)을 조사함으로써 글라스마스크(10)의 마스크패턴(12)에 의해 일부 자외선이 가려지므로 선택적으로 자외선수지층(30)으로 자외선이 조사된다.
자외선조사가 끝나면 제1베이스몰딩필름(20) 및 자외선수지층(30)으로부터 글라스마스크(10)를 분리시키게 된다.
<S105>
현상단계(S105)는 노광단계(S104)에서 자외선(UV)이 조사된 자외선수지층(30)을 현상(development)시킴으로써 제1패턴형틀(31)을 제1베이스몰딩필름(20)의 상측 면에 형성시키는 단계이다. 도 2에서는 현상액(DS)을 자외선수지층(30)에 도포함으로써 제1패턴형틀(31)가 형성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여기서, 마스크패턴(12)에 의해 자외선이 가려진 부분이 남게되어 제1패턴형틀(31)이 형성된다.
<S106>
제1패턴형틀경화단계(S106)는 현상단계(S105)에서 현상된 제1패턴형틀(31)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제1패턴형틀을 경화시키는 단계이다.
도2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제1패턴형틀(31)에 대하여 상측에서 자외선(UV)을 조사함으로써 제1패턴형틀(31)를 구성하는 자외선수지가 더욱 견고하게 경화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제1베이스몰딩필름(20)의 상측면에 제1패턴형틀(31)이 형성된 제1형틀필름(100)이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을 더 참조하여, 제1형틀필름(100)을 이용한 제1패턴필름을 형성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S20>>
제1패턴필름형성단계(S20)는 제1형틀필름형성단계(S10)에서 형성된 제1형틀필름(100)의 제1패턴형틀(31)에 대응되는 제1패턴(125)을 제1베이스필름(110)에 형성시킴으로써 제1패턴필름(1100)을 형성시키는 단계이다.
이러한 제1패턴필름형성단계(S20)는 레진인서트단계(S201) 및 레진고상화단계(S20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레진경화단계(S203)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S201>
레진인서트(resin insert)단계(S201)는 제1형틀필름형성단계(S10)에서 형성된 제1형틀필름(100)과 제1베이스필름(110) 사이에 자외선레진(120)을 개재(介在)시키는 단계이다.
제1형틀필름(100)과 제1베이스필름(110) 사이에 자외선레진을 개재시키는 방법은 다양한 형태가 있을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패턴필름형성장치를 이용하여 자외선레진(120)을 개재시킬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형틀필름형성단계(S10)을 통해 형성된 제1형틀필름(100)은 밴드와 같은 형태로 되어 회전롤러R21(R21) 및 회전롤러R12(R12)를 거치면서 지속적으로 회전(rotation)된다. 그리고 제1베이스필름(110)은 회전롤러R1(R1)으로부터 풀려나오면서 회전롤러R11(R11) 및 회전롤러R21(R21)측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회전롤러R11(R11)과 회전롤러R21(R21)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롤러R11(R11)과 회전롤러R21(R21) 사이에 이격된 간격은 제1베이스필름(110)과 제1형틀필름(100) 사이에 개재되는 자외선레진(120)이 어느정도의 두께를 갖도록 개재시킬 것인지에 따라 결정되어 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베이스필름(110)은 빛에 대한 투과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S202>
레진고상화단계(S202)는 레진인서트단계(S201)에서 제1형틀필름(100)과 제1베이스필름(110) 사이에 개재된 자외선레진(120)에 자외선을 조사(130)함으로써 자외선레진(120)의 적어도 일부분을 제1패턴형틀(31)에 대응되는 제1패턴(125)으로 고상화시키는 단계이다.
레진인서트단계(S201)에서 개재되는 자외선레진(120)은 유동성이 있는 유체상태로서 개재된다. 이러한 자외선레진(120)의 유동성을 제거하면서 제1패턴형틀(31)에 대응되는 형태를 갖는 제1패턴(125)로 고상화시켜주기 위하여 자외선조사(130)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여기서,제1패턴(125)이 제1패턴형틀(31)에 대응된다는 것은, 제1패턴형틀(31)이 자외선레진(120)을 찍어누름으로써 자외선레진에 형성되는 패턴의 형태가 제1패턴형틀(31)에서 양각(陽刻)진 부분에 대응되는 제1패턴의 부분은 음각(陰刻)지게 형성되며, 반대로 제1패턴형틀(31)에서 음각(陰刻)진 부분에 대응되는 제1패턴의 부분은 양각(陽刻)지게 형성된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제1패턴형틀(31)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제1패턴(125)가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제1패턴(125)은 다수의 렌즈가 배열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1패턴(125)이 자외선레진(120)에 형성되면서 자외선조사(130)가 되어 제1패턴(125)의 형태가 고상화된다는 것이다.
레진고상화단계(S202)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의 광량은 100mJ 내지 200mJ 사이의 범위 내에 해당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이와 같은 자외선광량으로 자외선조사(130)이 이루어지면 자외선레진(120)에 형성되는 제1패턴(125)가 고상화되면서 제1패턴형틀(31)이 제거되더라도 제1패턴(125)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제1패턴(125)으로 고상화시키는 자외선조사(130)이 이루어진 후에는 회전롤러R12(R12)의 반시계방향회전에 따라 제1형틀필름(100)이 자외선레진(120) 및 제1베이스필름(120)으로부터 분리되어 다시 자외선레진(120)이 개재되는 위치로 복귀된다.
여기서, 제1패턴필름(1100)은 제1베이스필름(110) 및 자외선레진(120)을 포함하므로 회전롤러R12(R12)의 반시계방향회전에 따라 제1형틀필름(100)이 제1패턴필름(1100)으로부터 분리되어 다시 자외선레진(120)이 개재되는 위치로 복귀된다고 설명할 수도 있다.
그리고, 회전롤러R12(R12)에서 제1형틀필름(100)과 분리된 제1패턴필름(1100)은,제1패턴(125)이 좀 더 견고하게 되도록 레진경화단계(S203)을 통하여 경화되는 것 또한 바람직하다.
<S203>
레진경화단계(S203)는 레진고상화단계(S202)에서 고상화된 자외선레진(120)의 제1패턴(125)이 경화되도록 자외선레진(120)에 자외선을 조사(140)시키는 단계이다.
도 3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레진고상화단계(S202)를 거친 제1패턴필름(1100)은 제1형틀필름(100)과 분리된 다음에 자외선에 조사(140)된다.
여기서, 조사되는 자외선의 광량은 레진고상화단계(S202)단계에서 조사된 자외선의 광량보다 큰 광량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레진경화단계(S203)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은, 자외선광량이 1J 내지 2J 사이의 값을 갖는 범위 내에서 자외선레진(120)에 조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레진경화단계(S203)을 거침으로써 제1패턴필름(1100)의 형성이 완성된다.
이처럼, 레진경화단계(S203)에서 자외선조사(140)가 이루어진 후 완성된 제1패턴필름(1100)은 회전롤러R13(R13)에 감기게 되고 후술할 광학필름형성단계(S50)에서 멀티레이어 광학필름을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참고적으로 도 7에서는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형성된 제1패턴필름(1100)의 제1패턴(125)의 다양한 예시적 형태를 나타내었다.
<<S30>>
다음으로, 제2형틀필름형성단계(S30)는 제2베이스몰딩필름 상에 제2패턴형틀을 형성시킴으로써 제2형틀필름을 형성시키는 단계이다.
제2형틀필름형성단계(S30)는 앞서 설명한 제1형틀필름형성단계(S10)과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지는 것 또한 바람직하다. 즉, 제1형틀필름형성단계(S10)에서와 같이 제2형틀필름형성단계(S30)는 글라스마스크준비단계, 베이스몰딩필름형성단계, 자외선수지층형성단계, 노광단계, 현상단계 및 제2패턴형틀경화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제2패턴형틀을 제1패턴형틀(31, 도 2참조)처럼 볼 수 있고, 제2베이스몰딩필름을 제1베이스몰딩필름((20, 도 2참조)처럼 볼 수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앞서 설명한 바와 대동소이하다. 따라서, 앞서 제1형틀필름형성단계(S10)에서 설명한 바로 대신하는 것으로 하여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S40>>
제2패턴필름형성단계(S40)는 제2형틀필름형성단계(S30)에서 형성된 제2형틀필름의 제2패턴형틀에 대응되는 제2패턴을 제2베이스필름에 형성시킴으로써 제2패턴필름을 형성시키는 단계이다.
제2패턴필름형성단계(S40)는 앞서 설명한 제1패턴필름형성단계(S20)과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지는 것 또한 바람직하다. 즉, 제1패턴필름형성단계(S20)에서와 같이 제2패턴필름형성단계(S40)는 레진인서트단계 및 레진고상화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좀 더 바람직하게는 레진경화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제2패턴형틀을 제1패턴형틀(31, 도 2참조)처럼, 제2베이스몰딩필름을 제1베이스몰딩필름((20, 도 2참조)처럼, 제2형틀필름을 제1형틀필름(100, 도 3참조)처럼, 제2베이스필름을 제1베이스필름(110, 도 3참조)처럼, 제2패턴을 제1패턴(125, 도 3참조)처럼 볼 수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앞서 설명한 바와 대동소이하다. 따라서, 앞서 제1패턴필름형성단계(S20)에서 설명한 바로 대신하는 것으로 하여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도 4를 더 참조하여 광학필름형성단계(S50)를 설명하기로 한다.
<<S50>>
광학필름형성단계(S50)는 제1패턴필름형성단계(S20)에서 형성시킨 제1패턴필름(1100)과 제2패턴필름형성단계(S40)에서 형성시킨 제2패턴필름(1200)을 결합시킴으로서 멀티레이어 광학필름(1000)을 형성시키는 단계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제1패턴필름(1100)과 제2패턴필름(1200) 사이에 자외선수지(1300)가 위치하도록 결합시키어 멀티레이어 광학필름(1000)을 형성시키는 단계이다.
이러한 광학필름형성단계(S50)는 자외선수지개재단계(S501) 및 자외선조사단계(S50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S501>
자외선수지개재단계(S501)는 제1패턴필름형성단계(S20)에서 형성된 제1패턴필름(1100)과 제2패턴필름형성단계(S40)에서 형성된 제2패턴필름(1200) 사이에 자외선수지가 개재되는 단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회전롤러R30(R30)과 회전롤러R40(R40)이 도시되어 있다. 회전롤러R30(R30)은 제1패턴필름형성단계(S20)을 통해 형성된 제1패턴필름(1100)이 감겨있는 것으로 도 3에서의 회전롤러R13(R13)에 해당된다. 즉, 제1패턴필름(1100)이 형성된 후 회전롤러R13(R13, 도 3참조)에 감기는데, 이 회전롤러R13(R13)이 광학필름(1000)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도 4에서의 회전롤러R30(R30)이 된다.
마찬가지로 회전롤러R40(R40)에는 제2패턴필름형성단계(S40)을 통해 형성된 제2패턴필름(1200)이 감겨있다.
제1패턴필름(1100)이 회전롤러R30(R30)의 반시계방향회전에 따라 풀리면서 회전롤러R31(R31)측으로 이동된다. 제2패턴필름(1200)은 회전롤러R40(R40)의 시계방향회전에 따라 풀리면서 회전롤러R41(R41)측으로 이동된다.
회전롤러R31(R31)은 시계방향회전을 하면서 제1패턴필름(1100)이 우측하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한다. 회전롤러R41(R41)는 반시계방회전을 하면서 제2패턴필름(1200)이 좌측하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도 4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자외선수지(1300)이 제1패턴필름(1100)과 제2패턴필름(1200) 사이에 주입되면서 개재된다. 도 4에서는 자외선수지(1300)의 주입장치가 생략되어 있으며, 자외선수지(1300)는 유동성이 있는 유체상태이므로 원활하게 제1패턴필름(1100)과 제2패턴필름(120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자외선수지(1300)를 제1패턴필름(1100)과 제2패턴필름(1200)사이에 개재시킬 수 있다.
한 편, 제1패턴필름(1100)과 제2패턴필름(1200) 사이에 개재되는 자외선수지의 두께는 회전롤러R31(R31)와 회전롤러R41(R41) 사이의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제1패턴필름(1100)과 제2패턴필름(1200) 사이에 개재되는 자외선수지의 두께가 요구되는 값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회전롤러R31(R31)와 회전롤러R41(R41) 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여기서 잠시 도 5를 더 참조하면, 도 5에서는 제1패턴필름(1100)과 자외선수지(1300) 및 제2패턴필름이 결합되어 형성된 멀티레이어 광학필름의 일부 단면을 조금 과장되게 확대하여 도시하였다.
도 5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제1패턴(125)과 제2패턴(225) 사이의 간격(d3)이, 제1패턴(125)의 높이(d1)와 제2패턴(225)의 높이(d2)의 합보다 작도록 제1패턴필름(1100) 및 제2패턴필름(1200) 사이에 자외선수지(1300)가 개재되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제1패턴(125)과 제2패턴(225) 사이의 간격(d3)이 제1패턴(125)의 높이(d1)보다 작도록 자외선수지(1300)를 제1패턴필름(1100) 및 제2패턴필름(1200) 사이에 개재시키는 것 또한 바람직하다.
또는 제1패턴(125)과 제2패턴(225) 사이의 간격(d3)이, 제2패턴(225)의 높이(d2)보다 작도록 제1패턴필름(1100) 및 제2패턴필름(1200) 사이에 자외선수지(1300)가 개재되어 결합되는 것 또한 바람직하다.
제1패턴필름(1100)과 제2패턴필름(1200) 사이에 개재되는 자외선수지(1300)의 굴절률(refractive index)은, 제1패턴(125)의 굴절률 또는 제2패턴(225)과의 굴절률과 0.15 내지 0.2 만큼 차이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자외선수지(1300)의 굴절률이 제1패턴(125)의 굴절률보다 작거나 제2패턴(225)의 굴절률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제1패턴필름(1100)과 제2패턴필름(1200) 사이에 개재되는 자외선수지(1300)의 굴절률(refractive index)이 제1패턴(125)의 굴절률보다 0.15 내지 0.2 만큼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자외선수지(1300)의 굴절률이 제1패턴(125)의 굴절률보다 0.15 내지 0.2 만큼 작은 것 또한 바람직하다.
<S502>
자외선조사단계(S502)는 자외선수지개재단계(S501)에서 제1패턴필름(1100)과 제2패턴필름(1200) 사이에 개재된 자외선수지(1300)가 경화되도록 자외선수지(1200) 측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단계이다.
도 4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자외선수지(1300)가 제1패턴필름(1100) 및 제2패턴필름(1200) 사이에 개재된 후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자외선조사(1400)이 이루어진다. 자외선이 조사(1400)되면서 자외선수지(1300)는 일정수준 이상 경화된다.
자외선조사를 통해 제1패턴필름(1100), 제2패턴필름(1200) 및 자외선수지(1300)가 결합되어 하나의 '멀티레이어 광학필름'(1000)으로 형성되며, 이와 같이 형성된 멀티레이어 광학필름(10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회전롤러R50(R50)측으로 이동되어 감기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차량용 멀티레이어 광학필름이 제조될 수 있다.
참고로, 도 1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순서도의 흐름에 따라 제1패턴필름을 먼저 형성시킨 후 제2패턴필름을 형성시키는 과정으로 광학필름 제조방법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충분히 응용 내지 변형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순서도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제1패턴필름과 제2패턴필름은 각기 독립적으로 병행하여 형성시키고 이를 광학필름형성단계(S50)에서 취합하여 광학필름을 형성시키는 것 또한 충분히 가능하다는 것이다.
아울러 이상에서의 설명은 제1패턴필름의 제1패턴과 제2패턴필름의 제2패턴이 서로 다른 형태 또는 다른 소재로 된 경우를 기본으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제1패턴과 제2패턴이 동일한 형태 또는 동일한 소재로 된 것으로서 굳이 별도로 구별하여 형성시킬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간단하게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도 있다.
즉, 베이스몰딩필름 상에 패턴형틀을 형성시킴으로써 형틀필름을 형성시키는 형틀필름형성단계와,
형틀필름형성단계에서 형성된 형틀필름의 패턴형틀에 대응되는 패턴을 베이스필름에 형성시킴으로써 패턴필름을 형성시키는 패턴필름형성단계 및
패턴필름형성단계에서 형성시킨 패턴필름 2장을 결합시키되, 패턴필름 2장 사이의 면간격이 일정하도록 패턴필름 2장 사이에 자외선수지를 개재하여 2장의 상기 패턴필름을 결합시킴으로써 멀티레이어 광학필름을 형성시키는 광학필름형성단계 를 포함하는 광학필름 제조방법으로 설명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형틀필름형성단계는 앞서 설명한 제1형틀필름형성단계(S10)과 대동소이하며, 패턴필름형성단계는 앞서 설명한 제1패턴필름형성단계(S30)과 대동소이하고, 광학필름형성단계는 앞서 설명한 광학필름형성단계(S50)에서와 대동소이 하다고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멀티레이어 광학필름이 적용되는 차량용 조명장치에 대해서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조명장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레이어 광학필름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차량용 멀티레이어 광학필름과 LED 광원 및 하우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LED광원(300)은, 차량내 배터리나 발전기 등과 같은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서 빛을 발광하여 차량용 멀티레이어 광학필름(1100, 1200, 1300) 측으로 빛을 조사한다. 이러한 LED 광원은 필요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하우징(400)은 외부로부터 LED광원(300)을 보호하는 보호공간을 형성하며, 보호공간 내에 LED광원(300)이 위치하고, 차량용 멀티레이어 광학필름(1100, 1200, 1300)과 적어도 일부분에서 결합되어 차량용 멀티레이어 광학필름(1100, 1200, 1300)을 지지한다. 도 5에서는 하우징(400)의 일부분(410)인 광투과성이 있는 수지에 광학필름(1100, 1200, 1300)이 결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그리고 차량용 멀티레이어 광학필름(1100, 1200, 1300) 은 LED광원(300)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하우징(400)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멀티레이어 광학필름이 적용된 차량용 조명장치의 예시적 모습을 도 8 및 도 9에 나타내었다.
도 8 및 도 9에서의 사진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멀티레이어 광학필름이 자동차 브레이크등과 같은 차량용 조명장치에 적용되면 다양하고도 미세한 광학패턴의 형상 또는 간섭무늬패턴으로 빛을 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멀티레이어 광학필름 제조방법에 따르면, 미세한 패턴이 형성된 패턴필름을 멀티레이어로 구성한 멀티레이어 광학필름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세밀한 발광무늬패턴을 구현할 수 있게되어 보다 다양한 발광무늬패턴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멀티레이어 광학필름을 조명장치에 적용시킴으로써 조명장치의 슬림화가 가능하며,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는 장점 또한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 : 글라스마스크 20 : 제1베이스몰딩필름
30 : 자외선수지층 31 : 제1패턴형틀
100 : 제1형틀필름 110 : 제1베이스필름
120 : 자외선레진 130, 140 : 자외선조사
125 : 제1패턴 225 : 제2패턴
1000 : 멀티레이어 광학필름
1100 : 제1패턴필름 1200 : 제2패턴필름
1300 : 자외선수지

Claims (14)

  1. 제1베이스몰딩필름 상에 제1패턴형틀을 형성시킴으로써 제1형틀필름을 형성시키는 제1형틀필름형성단계;
    상기 제1형틀필름형성단계에서 형성된 상기 제1형틀필름의 상기 제1패턴형틀에 대응되는 제1패턴을 제1베이스필름에 형성시킴으로써 제1패턴필름을 형성시키는 제1패턴필름형성단계;
    제2베이스몰딩필름 상에 제2패턴형틀을 형성시킴으로써 제2형틀필름을 형성시키는 제2형틀필름형성단계;
    상기 제2형틀필름형성단계에서 형성된 상기 제2형틀필름의 상기 제2패턴형틀에 대응되는 제2패턴을 제2베이스필름에 형성시킴으로써 제2패턴필름을 형성시키는 제2패턴필름형성단계; 및
    상기 제1패턴필름형성단계에서 형성시킨 상기 제1패턴필름과 상기 제2패턴필름형성단계에서 형성시킨 상기 제2패턴필름을 결합시킴으로써 멀티레이어 광학필름을 형성시키는 광학필름형성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광학필름형성단계는,
    상기 제1패턴필름형성단계에서 형성된 제1패턴필름이 감겨있는 회전롤러가 풀리면서 인출되는 제1패턴필름과 상기 제2패턴필름형성단계에서 형성된 제2패턴필름이 감겨있는 다른 회전롤러가 풀리면서 인출되는 제2패턴필름 사이에 자외선수지가 개재되는 자외선수지개재단계; 및
    상기 자외선수지개재단계에서 상기 제1패턴필름과 상기 제2패턴필름 사이에 개재된 상기 자외선수지가 경화되도록 상기 자외선수지 측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조사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패턴필름과 상기 제2패턴필름 사이의 간격은
    상기 자외선수지개재단계에서 상기 제1패턴필름이 감겨있는 회전롤러와 상기 제2패턴필름이 감겨있는 다른 회전롤러 사이의 간격이 조절됨으로써 이루어지며,
    상기 자외선수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패턴과 상기 제2패턴이 서로 대향하도록 상기 멀티레이어 광학필름을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레이어 광학필름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형틀필름형성단계는,
    글라스기판 상면에 소정의 마스크패턴을 형성시킴으로써 글라스마스크를 마련하는 글라스마스크준비단계;
    상기 글라스마스크준비단계에서 마련된 상기 글라스마스크의 상면에 제1베이스몰딩필름을 형성시키는 베이스몰딩필름형성단계;
    상기 베이스몰딩필름형성단계에서 형성된 상기 제1베이스몰딩필름의 상면에 자외선수지층을 형성시키는 자외선수지층형성단계;
    상기 자외선수지층형성단계에서 상기 글라스마스크에 형성된 상기 자외선수지층으로 자외선이 조사되는 노광단계;
    상기 노광단계에서 자외선이 조사된 상기 자외선수지층을 현상시킴으로써 제1패턴형틀을 상기 제1베이스몰딩필름 상측 면에 형성시키는 현상단계; 및
    상기 현상단계에서 현상된 상기 제1패턴형틀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제1패턴형틀을 경화시키는 제1패턴형틀경화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레이어 광학필름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이스몰딩필름 또는 상기 제2베이스몰딩필름의 소재는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레이어 광학필름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턴필름형성단계는,
    상기 제1형틀필름형성단계에서 형성된 상기 제1형틀필름과 상기 제1베이스필름 사이에 자외선레진을 개재(介在)시키는 레진인서트단계; 및
    상기 레진인서트단계에서 상기 제1형틀필름과 상기 제1베이스필름 사이에 개재된 상기 자외선레진에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상기 자외선레진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제1패턴형틀에 대응되는 제1패턴으로 고상화시키는 레진고상화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레이어 광학필름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레진고상화단계에서 고상화된 상기 자외선레진의 상기 제1패턴이 경화되도록 상기 자외선레진에 자외선을 조사시키는 레진경화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레이어 광학필름 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형틀필름형성단계는,
    글라스기판 상면에 소정의 마스크패턴을 형성시킴으로써 글라스마스크를 마련하는 글라스마스크준비단계;
    상기 글라스마스크준비단계에서 마련된 상기 글라스마스크의 상면에 제2베이스몰딩필름을 형성시키는 베이스몰딩필름형성단계;
    상기 베이스몰딩필름형성단계에서 형성된 상기 제2베이스몰딩필름의 상면에 자외선수지층을 형성시키는 자외선수지층형성단계;
    상기 자외선수지층형성단계에서 상기 글라스마스크에 형성된 상기 자외선수지층으로 자외선이 조사되는 노광단계;
    상기 노광단계에서 자외선이 조사된 상기 자외선수지층을 현상시킴으로써 제2패턴형틀을 상기 제2베이스몰딩필름 상측 면에 형성시키는 현상단계; 및
    상기 현상단계에서 현상된 상기 제2패턴형틀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제2패턴형틀을 경화시키는 제2패턴형틀경화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레이어 광학필름 제조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패턴필름형성단계는,
    상기 제2형틀필름형성단계에서 형성된 상기 제2형틀필름과 상기 제2베이스필름 사이에 자외선레진을 개재(介在)시키는 레진인서트단계; 및
    상기 레진인서트단계에서 상기 제2형틀필름과 상기 제2베이스필름 사이에 개재된 상기 자외선레진에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상기 자외선레진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제2패턴형틀에 대응되는 제2패턴으로 고상화시키는 레진고상화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레이어 광학필름 제조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레진고상화단계에서 고상화된 상기 자외선레진의 상기 제2패턴이 경화되도록 상기 자외선레진에 자외선을 조사시키는 레진경화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레이어 광학필름 제조방법.
  9. 삭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턴과 상기 제2패턴 사이의 간격이, 상기 제1패턴의 높이 또는 상기 제2패턴의 높이보다 작도록 상기 제1패턴필름 및 상기 제2패턴필름 사이에 상기 자외선수지가 개재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레이어 광학필름 제조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턴필름과 상기 제2패턴필름 사이에 개재되는 상기 자외선수지의 굴절률(refractive index)은,
    상기 제1패턴의 굴절률 또는 상기 제2패턴과의 굴절률과 0.15 내지 0.2 만큼 차이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레이어 광학필름 제조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턴 또는 상기 제2패턴은 다수의 렌즈가 배열된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레이어 광학필름 제조방법.
  13. 삭제
  14. 제 1항 내지 제 8항, 제 10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차량용 멀티레이어 광학필름;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서 빛을 발광하여 상기 차량용 멀티레이어 광학필름 측으로 빛을 조사하는 LED 광원; 및
    외부로부터 상기 LED 광원을 보호하는 보호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보호공간 내에 상기 LED 광원이 위치하고, 상기 차량용 멀티레이어 광학필름과 적어도 일부분에서 결합되어 상기 멀티레이어 광학필름을 지지하는 하우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KR1020160107875A 2016-08-24 2016-08-24 차량용 멀티레이어 광학필름 제조방법 및 이의 광학필름을 포함하는 조명장치 KR101820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7875A KR101820901B1 (ko) 2016-08-24 2016-08-24 차량용 멀티레이어 광학필름 제조방법 및 이의 광학필름을 포함하는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7875A KR101820901B1 (ko) 2016-08-24 2016-08-24 차량용 멀티레이어 광학필름 제조방법 및 이의 광학필름을 포함하는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0901B1 true KR101820901B1 (ko) 2018-01-22

Family

ID=61094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7875A KR101820901B1 (ko) 2016-08-24 2016-08-24 차량용 멀티레이어 광학필름 제조방법 및 이의 광학필름을 포함하는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090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6716A (ja) 2006-06-29 2008-01-17 Fujifilm Corp 凹凸状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装置
JP2009020946A (ja) 2007-07-11 2009-01-29 Hitachi Ltd 多層情報記録媒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443734B1 (ko) * 2012-12-17 2014-09-26 주식회사 세코닉스 이중 광학시트를 이용한 조명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6716A (ja) 2006-06-29 2008-01-17 Fujifilm Corp 凹凸状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装置
JP2009020946A (ja) 2007-07-11 2009-01-29 Hitachi Ltd 多層情報記録媒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443734B1 (ko) * 2012-12-17 2014-09-26 주식회사 세코닉스 이중 광학시트를 이용한 조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73561B2 (ja) 相異するようにパターン硬化された微細構造化物品を作製する方法
JP6737613B2 (ja) 光学体及び発光装置
JP2019507206A5 (ko)
TWI532583B (zh) 轉印設備及導光膜片的製造方法
WO2012164824A1 (ja) 微細構造体の製造方法および微細構造金型
KR102288981B1 (ko) 임프린트 템플레이트 및 임프린트 패턴 형성 방법
JP2004258071A (ja) 光学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画像投影スクリーン
KR101820901B1 (ko) 차량용 멀티레이어 광학필름 제조방법 및 이의 광학필름을 포함하는 조명장치
KR101273272B1 (ko) 높이 단차를 갖는 육각 셀 병합 패턴이 구비된 광학 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광학 필름
JP2009155710A (ja) 微細構造体の製造方法
KR101187751B1 (ko) 광학필름 제조방법
KR101751683B1 (ko) 고분자 나노 구조체의 제조 방법
KR101202960B1 (ko) 도광판과 그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JP2011059529A (ja) 光学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とバックライトモジュール
JP3665836B2 (ja) フィルムスクリーン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H09311204A (ja) レンチキュラーレンズシートとその製造方法
KR101906906B1 (ko) 도광판용 몰드 프레임과 이의 제조방법 및 도광판용 몰드 프레임을 이용한 도광판의 패턴 형성방법
US10883676B2 (en) Optical body having a concave-convex structur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optical body, and light emitting device
WO2019111530A1 (ja) 加飾成形品の製造方法、加飾成形品の製造装置及び加飾成形品
TW201311431A (zh) 光學膜片製作裝置
JPH09311202A (ja) レンチキュラーレンズシートとその製造方法
TWI298815B (en) Eqip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enticular lens sheet
JP3718218B2 (ja) フィルムスクリーン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TWI392898B (zh) An optical diaphragm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of
CN116954017A (zh) 使用金属模板的紫外纳米压印方法和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