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0246B1 -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제품 - Google Patents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제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20246B1 KR101820246B1 KR1020160121882A KR20160121882A KR101820246B1 KR 101820246 B1 KR101820246 B1 KR 101820246B1 KR 1020160121882 A KR1020160121882 A KR 1020160121882A KR 20160121882 A KR20160121882 A KR 20160121882A KR 101820246 B1 KR101820246 B1 KR 10182024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polymer
- weight
- resin composition
- thermoplastic resin
- produc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8L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0/10—Esters
- C08F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4—Copolymers of styrene with unsaturated est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carboxyl- and the hydroxy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00/00—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of obtained polyolefins; Use thereof
- C08F2500/12—Melt flow index or melt flow ratio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특정 상용화제의 조합을 통해 내후성, 고광택 및 고충격 특성을 만족하며, 웰드 라인과 흐름 자국이 발생하지 않고, 나아가 적당한 충격강도를 가지면서 실제 제품에 적용 시 요구되는 내스크레치성을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제품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50~80중량%; 스티렌-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부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10~30중량%;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 5~20중량%;를 포함하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제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제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스크레치성, 내후성, 고광택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제품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외장용으로는 최근 고광택 질감을 갖는 제품 개발을 위해 주로 도장 공정을 거치고 있으나, 여러 단계의 공정이 수반되어야 하며 불량율 및 유해 휘발 성분의 발생률이 높고 비용 상승 등의 문제가 있어, 무도장용 소재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자동차 외장재에 무도장 적용 고광택-고충격-내스크레치 열가소성 수지를 적용한 예는 아직 없으며, 일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나 PMMA/IR(impact rubber) 제품이 외장 부품에 적용중이나, PMMA 특성상 충격이 매우 낮고, 외부 이물 및 세차 방법에 따라 표면 스크레치가 크게 발생하고 있으며, PPMMA/ASA(Acrylic Styrene Acrylonitrile) 제품은 충격강도는 높으나, 표면 외관이 ASA의 특징으로 무광표면을 나타내므로, 자동차 외장재에 확대 적용하기에는 한계를 보여 자동차 메이터에서는 내후성, 고광택, 고충격의 열가소성 수지 개발을 요청 중에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6-0086194호는 EP(D)M을 스티렌계와 아크릴로니트릴계 모노머가 용해된 혼합용액의 일정량을 그라프트 공중합하여 AES 수지를 만드는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나, 실제 폴리카보네이트(PC)에 적용 시 강성 및 내스크레치 저하로 무도장 적용 시 문제가 발생한다.
한국공개특허 제2009-0110129호는 ASA/PMMA 컴파운드 제품을 자동차 외장재에 적용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으나, 내열성 및 충격강도가 낮으며 기계적 물성이 낮은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2-0055277호는 PC 및 PC/실록산 제품에 폴리알킬 아릴 실록산을 첨가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으나, 자동차 외장용 내후성 테스트를 통과하기에는 많이 부족하며, 내스크레치성도 약한 측면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1-0108464호는 스티렌 코어와 아크릴레이트 고무 셸을 포함하는 가교 고무 기재를 포함하는 그래프트된 고무와 이에 그래프트된 그래프트상,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과 같은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매트릭스, 그리고 방향족 (코)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블렌드를 포함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으나, 광택도 및 내스크레치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9-0096775호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칩과 미량의 저분자량의 PMMA를 혼합 후 용융방사하고 고배율로 연신하는 고강력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를 베이스 수지로 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6-0015998호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에 에틸렌글리콜로 개질된 폴리에스터 또는 PMMA 중에서 선택된 수지를 블렌딩하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을 얻고, 상기 수지 조성물을 프리폼으로 사출 성형 후 연신 블로잉 고정을 거쳐 성형품을 제조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으나, 역시 PET를 베이스 수지로 하고 있다.
PMMA와 PET는 투명 열가소성 수지이나, 굴절율이 다르고, 혼합 시 상용성이 떨어져 내열성이 증가하지 않고, 오히려 내충격성이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기존에는 상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ABS)를 적용하여 웰드 라인(weld line) 및 흐름 자국에 의한 불량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나, ABS 특성상 내후성이 급격하게 떨어지기 때문에 무도장 외장재에는 적용이 불가능하다. 또한 기본적으로 자동차 무도장 부품 및 전기전자제품에 사용하기 위하여는 일반 PMMA와 같이 연필경도가 최소 2H 이상의 품질 수준이 되어야 적용이 가능하다. 만약 연필경도가 H 이하일 경우에는 반드시 최소한 클리어(clear) 도장으로 경도를 높여야 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연필경도가 H일 경우에는 대부분 생활기스로 인하여 적용이 불가능하다.
이에, 본 발명은 특정 상용화제의 조합을 통해 내후성, 고광택 및 고충격 특성을 만족하며, 웰드 라인과 흐름 자국이 발생하지 않고, 나아가 적당한 충격강도를 가지면서 실제 제품에 적용 시 요구되는 내스크레치성을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제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50~80중량%; 스티렌-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부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10~30중량%;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 5~20중량%;를 포함하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수지 흐름성(MFR, 230℃, 3.8㎏f)이 0.1~50g/10m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스티렌-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부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부틸-아크릴레이트 함량이 10~3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는 디올 성분으로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이 0.5~5몰% 공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또 다른 과제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품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제품은, 상용화제로서 ABS 대신에 일반적인 PMMA의 내충격보강제인 스티렌-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부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와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CHDM)이 공중합된 저결정성 PET를 최적 함량 적용하여, 내스크레치성, 내후성, 고광택성 및 얇은 두께에서의 내충격성을 만족하며, 웰드 라인과 흐름 자국이 발생하지 않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열가소성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자들은 종래 PMMA와 PET의 혼합 시 상용성이 떨어져 내열성이 증가하지 않고, 오히려 내충격성이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에 직시하고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상용화제로 스티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와 저결정성 PET를 적용할 경우, 웰드 라인과 플로우 마크가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내후성, 고광택 및 고충격을 만족하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50~80중량%; 스티렌-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부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10~30중량%;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 5~20중량%;를 포함하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개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에 따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각 구성 성분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A)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통상적인 괴상, 유화 및 현탁 중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를 중합개시제에 의한 부가반응으로 얻어지는 고분자량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수지 흐름성(MFR, 230℃, 3.8㎏f)이 0.1~50g/10min인 것이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0.5~10g/10min, 더욱 바람직하게는 1~5g/10min인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수지 흐름성이 낮을 경우에는 흐름성 저하로 제품 표면 및 크기에 따라 양호한 제품을 얻기 어려울 수 있으며, 과도할 경우에는 흐름성은 좋아지나 충격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성형성 및 충격강도를 더욱 고려하여 고유동성을 지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0~150,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80,000~120,000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50~80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55~65중량%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적당한 충격강도를 만족시키기 어려울 수 있고, 8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내충격성이 좋지 않아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B) 스티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본 발명에서 상용화제로 사용되는 스티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최종 수지 조성물에서 10~30중량%, 바람직하게는 20~30중량% 함량으로 포함되어, 웰드 라인 및 플로우 마크 발생을 방지하면서 특히, 종래 ABS 사용에 따른 내후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스티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부틸-아크릴레이트를 주원료로 하는 다층 구조의 파우더 형태의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부틸-아크릴레이트가 10~30중량% 함량으로 포함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C)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
본 발명에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는 상기 스티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와 함께 사용되는 상용화제로, 바람직하게는 CHDM 글리콜 변성 PET가 사용될 수 있으며, CHDM이 디올(diol) 성분에 대하여 0.5~5몰% 공중합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더욱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CHDM 글리콜 변성 PET는 저결정성 PET로서 상기 스티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와 함께 상용화제로서 PMMA에 사용될 경우 내충격성이 저하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웰드 라인과 플로우 마크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게 된다.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의 제조는 당 업계의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이 적용되 수 있으며, 예컨대 테레프탈산을 포함하는 디카르복실산 성분과 에틸렌글리콜과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을 포함하는 디올 성분을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슬러리 반응물을 형성하고, 상기 반응물을 에스테르화 반응시킨 후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 생성물을 중축합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는 전체 수지 조성물에서 5~20중량% 포함되고, 바람직하게는 10~20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 함량이 5중량% 미만일 경우 내화학성이 저하될 수 있고, 20중량%를 초과할 경우 내스크레치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그 목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각각의 용도에 따라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첨가제로는 산화방지제, 충격보강제, 열안정제, 이형제, 핵제, 대전방지제, 무기 첨가제, 자외선 안정제, 염료, 안료 등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범위에서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되어 추가로 첨가될 수 있으며,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열가소성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1~10중량부로 첨가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비롯한 성분의 사양은 다음과 같다.
1)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공중합체
수지 흐름성(MFR, 230℃, 3.8㎏f)이 2g/10min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VH12, 대산 MMA)를 사용하였다.
2) 스티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상용화된 제품인 MRC사의 IR-441(코아-쉘 구조)을 사용하였다.
3)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
디올 성분이 에틸렌글리콜 100몰%로 이루어진 일반 PET(롯데케미칼)와 디올 성분 중 CHDM이 약 2~4몰% 공중합된 저결정성 PET(롯데케미칼)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69중량%, 스티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25중량% 및 저결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 6중량% 비율로 정량하여 혼합하고, 280℃로 가열된 이축압출기(TEM-26SS, Toshiba사)를 이용하여 용융 온도 300℃, 주입 속도 12㎏/hr, 스크류 회전 속도 200rpm 조건으로 혼합물을 칩 형태로 제조 후 사출기(170MT, 우진세렉스) 및 ASTM 시편 모양을 가진 금형을 이용하여 시편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66중량%, 스티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25중량% 및 저결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 9중량% 비율로 정량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편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60중량%, 스티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25중량% 및 저결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 15중량% 비율로 정량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편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55중량%, 스티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25중량% 및 저결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 20중량% 비율로 정량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편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100중량% 비율로 정량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편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75중량% 및 스티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25중량% 비율로 정량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편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1에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65중량%, 스티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25중량% 및 일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 10중량% 비율로 정량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편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4
실시예 1에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72중량%, 스티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25중량% 및 저결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 3중량% 비율로 정량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편을 제작하였다.
시험예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물성을 평가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시편에 대하여 하기의 방법에 따라 기계적 물성, 충격강도, 광택 특성 등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측정방법]
(1) IZOD 충격강도 : ASTM D256에 따라 측정하였다.
(2) 열변형온도(HDT) : ASTM D648에 따라 1.82㎫, 120℃/hr 조건하에서 측정하였다.
(3) 연필경도 : JIS K-6301에 따라 10㎜/20초 조건하에서 측정하였다.
(4) 광택도 : 시편에 대해 DRLANGE사의 REFO60 광택도 측정장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5) 사출시편 표면 : 물성측정용 금형을 이용하여 사출 시 성형품의 플로우 마크 및 웰드 라인을 관찰하였다.
(6) 사출제품 수축품질 : 시편에 대하여 두께 6.4mm 굴곡시편의 표면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시편 설계상의 단면적 대비 10% 이상일 경우 '불량', 5~10%일 경우 '양호', 5% 이하일 경우 '우수'로 판정하였다.
(7) 내광성 : 시편에 대해 ATLAS UV cone 장비를 이용하여, UV 광선에 약 48시간 연속 노출시켰으며, 노출 전후의 시편의 델타 color E 값을 측정하였다.
(8) 내화학성 : 시편에 대하여 두께 3.2mm 인장시편을 ESCR 지그(Strain : 1.0%)에 적용하여 썬크림 50+SPF을 도포하여 24시간 이후에 크랙 유무를 측정하여 상대적으로 평가하였다.
표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에 상용화제로 스티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틸-아크릴레이트 및 저결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를 최적 함량으로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될 경우 높은 광택도, 우수한 내광성 및 사출시편 표면을 가지고, 특히 IZOD 충격강도가 4.0㎏·㎝/㎝ 수준으로 자동차 외장재에 적용 시 충분한 강도를 만족시키면서 연필경도 2H 이상의 우수한 내스크레치성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반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만으로 제조될 경우(비교예 1) 내광성 및 내화학성이 좋지 못하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하지 않을 경우(비교예 2) 내화학성이 좋지 못하고 내스크레치성이 만족스럽지 않으며, 일반 PET를 사용할 경우(비교예 3) 내충격성, 사출제품 수축품질 및 내스크레치성이 만족스럽지 않고, 저결정성 PET를 사용하더라도 적정 함량에 미치지 못할 경우(비교예 4) 내화학성이 충분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50~80중량%;
스티렌-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부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10~30중량%;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 5~20중량%;
를 포함하되,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는 디올 성분으로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이 0.5~5몰% 공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수지 흐름성(MFR, 230℃, 3.8㎏f)이 0.1~50g/10m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부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부틸-아크릴레이트 함량이 10~3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삭제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품.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21882A KR101820246B1 (ko) | 2016-09-23 | 2016-09-23 |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제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21882A KR101820246B1 (ko) | 2016-09-23 | 2016-09-23 |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제품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20246B1 true KR101820246B1 (ko) | 2018-02-28 |
Family
ID=61401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21882A KR101820246B1 (ko) | 2016-09-23 | 2016-09-23 |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제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20246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6675802A (zh) * | 2023-06-05 | 2023-09-01 | 扬州市祥华新材料科技有限公司 | 电致发光型微胶囊壳材及其制备方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67428B1 (ko) * | 2006-04-14 | 2007-10-17 | 제일모직주식회사 | 내스크래치성을 갖는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
2016
- 2016-09-23 KR KR1020160121882A patent/KR10182024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67428B1 (ko) * | 2006-04-14 | 2007-10-17 | 제일모직주식회사 | 내스크래치성을 갖는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6675802A (zh) * | 2023-06-05 | 2023-09-01 | 扬州市祥华新材料科技有限公司 | 电致发光型微胶囊壳材及其制备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393422B2 (ja) | 自動車無塗装外装材用ポリカーボネート系熱可塑性樹脂造成物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製品。 | |
KR101474802B1 (ko)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
KR101926740B1 (ko)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 | |
KR101192949B1 (ko) |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용 유동성 향상제, 이것을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성형품 | |
EP3170862A1 (en) | Thermoplastic abs composition reinforced with natural fibres | |
KR20110079466A (ko)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 |
EP3658622B1 (en) | Scratch-resistant styrene copolymer composition containing modified organopolysiloxane compounds | |
EP3658624B1 (en) | Impact modified styrene copolymer composition comprising polysiloxane additive having improved abrasion characteristics | |
KR101466148B1 (ko) | 아크릴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 |
KR20130078747A (ko)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
TWI582163B (zh) | 聚碳酸酯摻合物及生產其之方法 | |
KR101796879B1 (ko) | 폴리카보네이트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제품 | |
JP7220792B2 (ja) |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から製造された成形品 | |
KR101820246B1 (ko) |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제품 | |
JP6622704B2 (ja) | 高分子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品 | |
KR101950060B1 (ko)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 |
KR20180068567A (ko)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품 | |
JP2022550104A (ja) |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含む成形品 | |
JP6161539B2 (ja) | 熱可塑性組成物、その生産方法およびそれから作製される物品 | |
KR101899638B1 (ko)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 |
CN112126189B (zh) | 一种抗划伤亚克力材料及其制备方法 | |
KR101583223B1 (ko)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 |
TW201815840A (zh) | 環氧變性乙烯系共聚物、包含此之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其之成形品 | |
JPS6245639A (ja) | 熱可塑性樹脂組成物 | |
CN118344693A (zh) | 树脂组合物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