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9192B1 - 화장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화장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9192B1
KR101819192B1 KR1020160047328A KR20160047328A KR101819192B1 KR 101819192 B1 KR101819192 B1 KR 101819192B1 KR 1020160047328 A KR1020160047328 A KR 1020160047328A KR 20160047328 A KR20160047328 A KR 20160047328A KR 101819192 B1 KR101819192 B1 KR 101819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reservation
user
terminal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7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9385A (ko
Inventor
정연기
임진구
정란희
변현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브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브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브원
Priority to KR1020160047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9192B1/ko
Publication of KR20170119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9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9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9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실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휴대단말을 통해 화장실 사용현황을 조회하여 화장실 사용을 예약하거나 화장실 불편사항을 접수할 수 있는 화장실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화장실 관리 시스템은 건물 내 화장실로부터 주기적으로 화장실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화장실 사용현황 정보를 제공하는 화장실 관리서버와, 상기 화장실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화장실 사용현황을 조회하고 특정 칸 화장실을 예약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장실 관리 시스템 및 방법{Toile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화장실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화장실 이용자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화장실 사용현황을 조회하여 화장실 사용을 예약하거나 화장실 불편사항을 신고할 수 있는 화장실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장치나 외부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건물 내 화장실의 사용현황을 확인하는 기술은 공지되어 있다. 화장실을 이용하려는 사람은 단말장치나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실시간 화장실 사용현황을 보고 미사용 화장실을 확인하여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건물 내 화장실을 이용하려는 사람이 화장실 위치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상황에서 자신의 단말장치를 통해 미사용 화장실을 확인하여 화장실로 가더라도 화장실 도착 전에 다른 사람이 화장실을 사용하게 되면 화장실에서 대기하거나 다시 자신의 자리로 돌아가야 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화장실 이용자가 화장실을 이용하면서 비데가 고장 나거나 청소가 미흡한 경우 등과 같은 불편사항을 발견하게 되는데, 이러한 불편사항을 담당자에게 알리고 신속한 처리를 요청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일본공개특허 제2009-900208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장실 이용자가 실시간 화장실 사용현황을 조회하면서 미사용 화장실을 선점할 수 있는 화장실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장실 이용자가 화장실 이용 시에 발견한 불편사항을 즉시 신고할 수 있는 화장실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화장실 관리 시스템은 건물 내 화장실로부터 주기적으로 화장실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화장실 사용현황 정보를 제공하는 화장실 관리서버와, 상기 화장실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화장실 사용현황을 조회하고 특정 칸 화장실을 예약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실 관리 방법은 화장실 관리 서버가 화장실 사용현황을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건물 내 화장실로부터 주기적으로 화장실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화장실 사용현황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특정 칸 화장실에 대한 예약 요청이 수신되면 특정 칸 화장실을 예약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실 관리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에서 화장실 사용현황을 조회하고 특정 칸 화장실을 예약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화장실 관리 서버로부터 화장실 사용현황 정보를 수신하여 화장실 사용현황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화장실 사용현황 화면에서 특정 칸 화장실에 대한 예약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화장실 관리 서버로 예약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예약한 특정 칸 화장실에 대하여 예약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폰이나 컴퓨터를 통해 화장실 사용현황을 조회하여 특정 칸 화장실 사용을 예약하거나 화장실 불편사항을 신고할 수 있어서 건물 내 화장실 이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특히 화장실 이용자가 특정 칸 화장실을 예약하면 타인의 단말기 화면에서는 예약한 화장실이 사용중으로 표시되므로 일정시간 타인의 화장실 사용을 방지하고 화장실 예약자가 화장실을 선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화장실 사용현황 조회 시 특정 층 화장실의 청소시간을 확인할 수 있어서 화장실 이용자가 화장실이 청소 중인지 모르고 갔다가 이용하지 못하고 돌아오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화장실 이용 시 발견한 불편사항을 단말기를 통해 즉시 신고할 수 있어서 화장실 불편사항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실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실 관리 시스템에서의 신호 처리 흐름도.
도 3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서 화장실 사용현황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서 사용 가능(미사용) 화장실을 예약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서 사용중인 화장실을 예약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서 화장실 불편사항을 신고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며,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함에 유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실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장실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100), 화장실 관리 서버(200), 관리자 단말기(250), 복수의 화장실(300: 300-1, 300-2, ..., 300-N)을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화장실 관리서버(200)에 접속하여 화장실 사용현황을 조회하고 특정 칸의 화장실을 예약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0)는 화장실 관리서버(200)에 화장실 불편사항을 신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컴퓨터 등이 될 수 있으며, 화장실 관리서버(200)에 접속하여 화장실 관련 웹 또는 앱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기기라라면 어떠한 종류의 기기라도 상관없다.
화장실 관리 서버(200)는 건물 내 복수의 화장실(300)로부터 주기적으로 화장실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화장실 사용현황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화장실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특정 칸의 화장실 예약을 신청받거나 화장실 불편사항을 접수받아 처리한다.
관리자 단말기(250)는 화장실 관리서버(200)에 접속하여 건물 내 화장실을 관리한다. 화장실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기(250)를 통해 화장실 사용현황이나 예약현황을 실시간 확인하며, 화장실 이용자의 화장실 불편사항을 접수받아 즉시 처리할 수 있다.
건물 안에는 층별로 남녀 화장실(300)이 존재한다. 화장실(300)의 각 칸에는 사용중이나 미사용임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설치되어 있으며 센서신호를 화장실 관리서버(200)로 전송하는 통신모듈이 구비되어 있다. 센서로는 화장실 문의 잠금과 열림을 감지하는 스위치나 이용자의 존재를 알 수 있는 적외선 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통신모듈로는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근거리 통신모듈이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실 관리 시스템에서의 처리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단계 S10에서 화장실 관리서버(200)가 건물 내 화장실(300)과 통신하면서 주기적으로 화장실 상태정보를 수집한다.
구체적으로 단계 S10에서, 화장실 관리서버(200)가 복수의 화장실(300)에 대하여 일정 시간마다 상태정보를 요청하면(S12), 각 화장실은 상태정보 요청에 응답하여 칸마다 설치된 센서로부터 받은 신호를 모아 화장실 관리서버(200)로 전송한다(S14).
화장실 관리서버(200)는 복수의 화장실(300)로부터 수신한 상태정보를 처리하여 화장실 사용현황 정보를 생성하고, 웹이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접속한 사용자 단말기(100)에 화장실 사용현황 정보를 제공한다(S16).
사용자 단말기(100)는 화장실 관리서버(200)로부터 화장실 사용현황 정보를 수신하여 화장실 이용자에게 화장실 사용현황 화면을 표시한다.
도 3 내지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실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100)에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사용자 단말기(100) 화면은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의 스마트폰 화면을 상정한 것이나, PC 등의 웹상 화면도 동일한 개념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의 각 단계를 설명하면서 도 3 내지 6의 화면을 참고한다.
화장실 이용자는 건물 내 화장실 사용현황을 조회하기 위해, 도 3의 (a)에서 애플리케이션 실행 후 서버 접속을 위한 로그인을 수행한다. 화장실 이용자는 회원 가입 시 설정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로그인하면 도 3의 (b)와 같이 건물의 각층 화장실 사용현황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의 (b)에서 도면부호 1은 특정 층의 화장실 사용현황을 나타내고 있다. 도면부호 1을 보면, 6층에 5칸의 화장실이 있으며 현재 시각 기준으로 사용 가능한 화장실이 2개 있음을 나타낸다. 화장실 이용자는 손가락을 이용해 앞뒤로 터치 스크롤를 하면서 다른 층의 화장실 사용현황을 조회할 수 있다.
만약 현재 시각 특정 층의 화장실에서 청소를 하고 있는 경우, 도 3의 (c)와 같이 '화장실 청소중'이라는 메시지(2)가 해당 층 화장실 사용현황에 중첩 표시될 수 있다. 화장실 이용자는 이러한 메시지를 통해 현재 어느 층의 화장실이 청소중인지를 확인하여 해당 층의 화장실 이용을 피할 수 있다.
또한 '화장실 청소중' 메시지 외에 화장실 이용자는 각 층의 화장실 청소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즉, 화장실 이용자는 '화장실 청소중' 메시지에 부가된 '더 보기' 버튼이나 별도의 '화장실 청소시간 안내' 버튼을 터치하여, 도 3의 (d)와 같이 모든 층의 화장실 청소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화장실 사용현황을 조회하면서 사용자 단말기(100)는 특정 칸의 화장실에 대한 사용 예약을 요청한다(S20).
이를 위해, 화장실 이용자는 도 3의 화장실 사용현황 화면에서 이용하고자 하는 해당 층의 화장실 사용현황 부분을 터치한다.
예를 들어, 화장실 이용자가 도 3에서 1층 화장실 사용현황을 선택하면, 도 4의 (a)와 같은 화면이 표시된다.
도 4의 (a)에서, 1층 6칸의 화장실 사용현황이 표시되어 있다. 1-1, 1-3, 1-5 칸은 사용 가능 상태이고, 1-2, 1-4, 1-6 칸은 사용중 상태임을 알 수 있다.
여기서, 화면의 우측 상단에 있는 예약 버튼(3)을 누르면 도 4의 (b)와 같은 화면이 표시된다. 도 4의 (b)에서, 화장실 이용자는 칸 선택 창(5)에 표시된 칸 중 원하는 칸의 화장실을 선택한 후 예약을 누르면 선택한 칸에 대한 화장실 예약이 완료된다.
화장실 예약이 완료되면 도 4의 (c)와 같은 화면이 표시된다. 화장실 이용자가 사용 가능 상태인 1-5 칸을 선택하여 예약한 경우, 1-5 칸 화장실은 예약 상태로 설정된다.
이때 예약 표시(6)와 함께 사용 가능 상태는 사용중 상태로 전환되어 표시된다. 이는 예약된 미사용 화장실의 상태를 사용중 상태로 표시함으로써 다른 이용자의 예약을 방지하며 예약 중이라도 타인의 화장실 점유가 가능하므로 이러한 실제적인 화장실 점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에서는 사용 가능 상태 즉, 미사용 화장실에 대한 예약을 설명하였는데, 도 5에서는 사용중 상태인 화장실에 대한 예약을 살펴 본다.
화장실 이용자가 사용중 상태인 1-2 칸의 화장실을 선택하여 예약 완료하면, 도 5의 (a)와 같이 1-2 칸 화장실에 대한 예약 상태가 설정된다. 1-2 칸 화장실에 대한 예약 상태가 설정되면 예약 표시(6)가 나타나고, 1-2 칸 화장실은 현재 사용중 상태이므로 사용 중 표시를 유지한다.
이후 1-2 칸 화장실이 사용 가능 상태가 되면, 도 5의 (b)와 같이 화장실 이용자에게 예약한 칸의 화장실을 사용할 수 있다는 메시지(7)가 표시된다. 이때 1-2 칸 화장실은 사용중 상태 표시를 유지한다. 이는 예약된 사용 중 화장실이 타인의 점유가 끝나 사용 가능 상태로 바뀌었다고 사용 가능 상태로 표시하게 되면 타인의 실제적 점유를 방지할 수 없기 때문에 예약자의 사용을 보장하기 위해 사용중 상태 표시를 유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사용중 화장실이나 사용 가능 화장실을 먼저 예약했다고 하여 화장실 예약자에게 계속하여 사용 권한을 주게 되면, 다른 사람의 화장실 사용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화장실 예약자에게 먼저 사용 권한을 주되, 일정시간 동안 화장실을 사용하지 않으면 다른 사람이 화장실을 사용할 수 있도록 조치한다.
즉, 예약한 특정 칸의 화장실이 사용 가능 화장실이면 예약한 칸 화장실을 사용중 상태로 표시하여 타인의 사용을 막고 예약자에게 화장실을 사용할 기회를 주고, 예약 후 일정 시간이 지났는데도 예약한 칸 화장실의 실제 사용이 없는 경우 사용중 상태를 사용 가능 상태로 전환 표시한다.
예약한 특정 칸의 화장실이 사용중 화장실이면 원래 사용중 화장실이므로 예약한 칸의 화장실을 사용중 상태로 유지하여 표시하고, 예약한 칸의 화장실이 실제 사용 가능 상태가 되더라도 계속 사용중 상태로 표시하여 타인의 사용을 방지하지만, 팝업 창 메시지(7)가 표시된 시점 이후 일정 시간이 지났는데도 예약한 칸 화장실의 실제 사용이 없는 경우 사용중 상태를 사용 가능 상태로 전환 표시한다.
도 2로 돌아가, 지금까지 상술한 동작을 화장실 관리 서버(200)에서 어떻게 처리하는지 그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화장실 예약 신청을 받으면, 화장실 관리서버(200)는 예약한 칸의 화장실이 사용 가능 즉, 미사용 칸 화장실인지 확인한다(S22).
사용자 단말기(100)에 예약한 칸 화장실이 미사용 상태이면, 화장실 관리 서버(200)는 예약한 특정 칸 화장실에 대한 예약 표시와 함께 현재 미사용이나 임시로 사용 중 상태로 표시함으로써 특정 칸에 대한 예약 상태를 설정한다(S24).
만약, 사용자 단말기(100)에 예약한 칸 화장실이 사용 상태이면, 화장실 관리 서버(200)는 예약한 특정 칸 화장실에 대한 예약 표시와 함께 사용중 상태를 유지하여 표시함으로써 특정 칸에 대한 예약 상태를 설정한다(S25).
다음, 화장실 관리서버(200)는 예약한 사용중 칸 화장실이 기 사용자의 사용 완료에 따라 사용 가능 상태로 전환되는지 확인한다(S26). 예약한 사용중 칸 화장실이 사용 가능 상태로 전환되면, 화장실 관리서버(200)는 해당 칸 화장실의 사용중 상태를 유지하면서 사용자 단말기(100)로 해당 칸 화장실을 사용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팝업 창 알림 방식으로 전송한다(S28).
다음, 화장실 관리서버(200)는 미사용 칸 화장실 예약 후 또는 팝업 창 알림 이후 일정시간 동안 예약한 화장실에 대하여 실제 사용이 있는지를 확인한다(S30). 만약 일정시간 동안 화장실이 사용되지 않으면, 화장실 관리서버(200)는 예약을 취소하고(S32), 예약한 칸 화장실의 상태를 사용 가능 상태로 표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2에서 화장실 이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특정 칸의 화장실을 예약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한편,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화장실 이용자는 화장실을 이용하면서 불편사항을 발견하면 사용자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화장실 불편사항을 신고할 수 있다.
도 6에서, 화장실 이용자는 화장실 예약과 함께 특정 칸 화장실의 불편사항을 신고할 수 있다.
도 6의 (a)에서 화면 우측 상단의 'VoC 접수' 버튼(4)을 누르면, 도 6의 (b)와 같은 화면이 표시된다. 화장실 이용자는 칸 선택 창(5)에서 현재 불편사항이 있는 화장실 위치를 선택하고, 아래의 불편사항 내용(8)을 보고 해당하는 불편사항을 선택할 수 있다. 불편사항 내용(8)에는 예를 들어, 화장실 막힘, 비데 고장, 청소 미흡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예시에 나와 있지 않은 불편사항은 화장실 이용자가 직접 입력할 수 있다.
화장실 이용자가 불편사항을 선택하거나 입력한 후 확인 버튼을 누르면, 사용자 단말기(100)는 화장실 위치 및 불편사항 정보를 화장실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게 된다. 화장실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불편사항이 접수되면, 불편사항 내용을 관리자 단말기(250)로 통지함으로써 화장실 관리자가 불편사항 내용을 즉시 확인하여 처리하도록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0: 사용자 단말기 200: 화장실 관리 서버
250: 관리자 단말기 300: 화장실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화장실 관리 서버가 화장실 사용현황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건물 내 화장실로부터 주기적으로 화장실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화장실 사용현황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예약자 단말기로부터 특정 칸 화장실에 대하여 예약 요청이 수신되면 특정 칸 화장실을 예약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예약한 특정 칸 화장실이 예약 시점에 사용 가능 상태이면, 상기 예약자 단말기의 화면에 해당 칸 화장실을 사용중 상태로 변경하여 사용중 상태 및 예약 상태로 함께 표시하는 동시에 상기 예약자 단말기를 제외한 화장실을 이용하려는 이용자 단말기들의 화면에 예약 상태의 표시 없이 사용 중 상태로만 표시하여, 다른 사용자의 화장실 사용을 막는 한편 예약자에게 화장실을 사용할 기회를 제공하고, 예약 시점부터 일정 시간 경과 후 해당 칸 화장실이 실제로 사용 가능 상태를 유지하면 상기 예약자 단말기를 포함한 화장실을 이용하려는 모든 이용자 단말기들의 화면에 다시 사용 가능 상태로 표시하여 누구나 예약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한 특정 칸 화장실이 예약 시점에 사용중 상태이면, 상기 예약자 단말기의 화면에 해당 칸 화장실을 사용중 상태로 유지하여 사용중 상태 및 예약 상태로 함께 표시하는 동시에 상기 예약자 단말기를 제외한 화장실을 이용하려는 이용자 단말기들의 화면에 예약 상태의 표시 없이 사용 중 상태로만 표시하고, 이후 해당 칸 화장실이 실제로 사용 가능 상태가 되더라도 해당 칸 화장실을 상기 예약자 단말기를 포함한 화장실을 이용하려는 모든 이용자 단말기에 사용중 상태로 유지하여 표시하면서 상기 예약자 단말기에만 해당 칸 화장실을 사용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송하여 다른 사용자의 화장실 사용을 막는 한편 예약자에게 화장실을 사용할 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를 전송한 시점부터 일정 시간 경과 후 해당 칸 화장실이 사용 가능 상태를 유지하면 상기 예약자 단말기를 포함한 화장실을 이용하려는 모든 이용자 단말기들의 화면에 다시 사용 가능 상태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자 단말기를 포함한 화장실을 이용하려는 모든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특정 칸 화장실에 대한 불편사항 신고가 수신되면 불편사항 신고 내용을 관리자 단말기로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60047328A 2016-04-19 2016-04-19 화장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819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7328A KR101819192B1 (ko) 2016-04-19 2016-04-19 화장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7328A KR101819192B1 (ko) 2016-04-19 2016-04-19 화장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9385A KR20170119385A (ko) 2017-10-27
KR101819192B1 true KR101819192B1 (ko) 2018-01-16

Family

ID=60300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7328A KR101819192B1 (ko) 2016-04-19 2016-04-19 화장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919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7047A (ko) 2019-03-06 2020-09-16 정훈 공중 화장실 안내시스템
KR20210041344A (ko) 2019-10-07 2021-04-15 엽성식 공중 화장실의 원격제어 관제 시스템
KR102569049B1 (ko) * 2023-03-23 2023-08-23 엘에스아이씨티 주식회사 몰래 카메라 탐지 서비스 기반의 화장실 정보 제공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1969A (ja) * 2001-09-26 2003-06-20 Toto Ltd トイレ利用状況判断装置
JP2003233740A (ja) * 2002-02-08 2003-08-22 Nec Corp 予約システム
JP2003242230A (ja) * 2002-02-20 2003-08-29 Sankyo Danbo Kk トイレ情報システム
KR100881596B1 (ko) * 2008-08-26 2009-02-04 (주)아이리녹스 화장실의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1969A (ja) * 2001-09-26 2003-06-20 Toto Ltd トイレ利用状況判断装置
JP2003233740A (ja) * 2002-02-08 2003-08-22 Nec Corp 予約システム
JP2003242230A (ja) * 2002-02-20 2003-08-29 Sankyo Danbo Kk トイレ情報システム
KR100881596B1 (ko) * 2008-08-26 2009-02-04 (주)아이리녹스 화장실의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7047A (ko) 2019-03-06 2020-09-16 정훈 공중 화장실 안내시스템
KR20210041344A (ko) 2019-10-07 2021-04-15 엽성식 공중 화장실의 원격제어 관제 시스템
KR102569049B1 (ko) * 2023-03-23 2023-08-23 엘에스아이씨티 주식회사 몰래 카메라 탐지 서비스 기반의 화장실 정보 제공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9385A (ko) 2017-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94071B2 (en) Elevator activity level management of mobile device access
JP6414944B1 (ja) 空席予約システム及び空席予約装置
KR101819192B1 (ko) 화장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5813969A (zh) 使用无线可编程装置进行的服务请求
WO2016152426A1 (ja) 被監視者監視システムの端末装置および端末処理方法、被監視者監視システムの中央処理装置および中央処理方法、ならびに、被監視者監視システム
JP7481527B2 (ja) 表示制御方法
CA2995515A1 (en) Method and system for mobile visitor identification and selectively allowing automated elevator usage to the destination selected by the tenant
EP2843614A1 (en) Room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US20110202595A1 (en) At-desk management system, apparatus, and terminal
JP6401069B2 (ja) 集合住宅用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5163244B2 (ja) データ処理システム、その中央管理装置、そ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データ処理方法
JP2016027450A (ja) 見守りシステム及び見守り方法
JP2019185108A (ja) コミュニケーション支援装置及びコミュニケーション支援プログラム
US11611647B2 (en) Hot-water supply system and program
JP2003242230A (ja) トイレ情報システム
US20210142246A1 (en) Scheduling system and method
JP2016128976A (ja) 部屋管理システム
TW201913592A (zh) 使用狀況管理系統
JP2020017162A (ja) 給湯装置、給湯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4127111A (ja) 安否確認システム
JP5953149B2 (ja) 高齢者安否確認方法
JP2014106789A (ja) 賃貸支援システム
KR101869891B1 (ko) 스마트폰 잠금 해제 정보를 이용한 굿모닝 알람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굿모닝 알람 서비스 시스템
CN113228695A (zh) 用于卫生设备的数据收集和监测
JP2002109667A (ja) 生活見守り用管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