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8149B1 - 귀마개 겸용 마스크 - Google Patents

귀마개 겸용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8149B1
KR101818149B1 KR1020170030910A KR20170030910A KR101818149B1 KR 101818149 B1 KR101818149 B1 KR 101818149B1 KR 1020170030910 A KR1020170030910 A KR 1020170030910A KR 20170030910 A KR20170030910 A KR 20170030910A KR 101818149 B1 KR101818149 B1 KR 101818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
face frame
mask
cover
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0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수
Original Assignee
박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수 filed Critical 박상수
Priority to KR1020170030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81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8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8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11/06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 A61F11/14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external, e.g. earcaps or earmuff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Otolaryngology (AREA)
  • Psyc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크와 귀마개가 일체로 형성되어 착용이 용이하고, 착용 프레임으로부터 착용 커버가 분리되어 세탁이 용이하며, 귀마개 부분이 접혀 보관 및 휴대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귀마개의 위치 조절로 누구나 자신의 얼굴 크기에 맞게 조절하여 착용할 수 있는 귀마개 겸용 마스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콧등을 지나 안면을 감싸는 탄성재질의 안면 프레임과, 상기 안면 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고 귀를 덮을 수 있도록 캡으로 된 귀 덮개부가 형성된 착용 프레임부; 코와 입, 턱을 덮는 마스크 부분과 귀를 덮는 귀마개 부분을 일체로 형성하되 후면 양측에 상기 귀 덮개부가 수용되는 귀 덮개 수용부가 양측에 마련되고, 상기 안면 프레임을 수용하여 마스크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결속부가 상기 귀 덮개 수용부 사이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마련되는 착용 커버;로 구성되고, 상기 안면 프레임은 가운데에 체결공이 천공되고, 상기 착용 커버의 결속부 내측에는 상기 체결공에 대응하여 체결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안면 프레임이 상기 착용 커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귀 덮개부는 외주면에 소정 간격으로 집게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안면 프레임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미착용 상태에서 상기 안면 프레임과 수평상태로 접히도록 구비되고, 상기 안면 프레임은 상기 집게 돌기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고, 안면 프레임의 단부에는 상기 집게 돌기 중 어느 하나와 맞물리는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안면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귀 덮개부의 위치를 전후로 가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귀마개 겸용 마스크{Ear plug dual use mask}
본 발명은 귀마개 겸용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스크와 귀마개가 일체로 형성되어 착용이 용이하고, 착용 프레임으로부터 착용 커버가 분리되어 세탁이 용이하며, 귀마개 부분이 접혀 보관 및 휴대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귀마개의 위치 조절로 누구나 자신의 얼굴 크기에 맞게 조절하여 착용할 수 있는 귀마개 겸용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스크는 코와 입을 가려 병균이나 먼지 따위의 유입을 막거나 재채기할 때 타액의 비산 방지, 방한(防寒) 등의 목적으로 착용한다.
마스크를 방한의 목적으로 착용하는 경우에는 귀마개도 겸하여 착용하게 되는데, 귀에 걸친 마스크 끈과 귀마개가 서로 겹치게 되어 마스크를 쓰고 벗는데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따라, 코와 입을 가려 병균이나 먼지 따위의 유입을 막고 귀가 시리지 않도록 귀를 덮을 수 있는 귀마개 겸용 마스크가 다수 제안되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84980호(2009. 8. 6. 공개)는 필요에 따라 귀마개의 장착을 가능하게 하여 귀마개를 따로 착용해야 하는 불편함을 없도록 한 귀마개를 갖는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는 길이를 갖는 하나의 와이어부재로부터 중간을 U자형으로 절곡하고 그 U자형 절곡부의 좌우 양 끝단을 링형상으로 절곡한 형상을 이루어, U자형 절곡부를 턱선을 따라 끼운 후 귀에 링형상의 절곡부를 걸어 얼굴에 착용되는 마스크 프레임; 마스크 프레임의 U자형 절곡부에 설치되며, 마스크 프레임을 따라 얼굴에 착용되어 코와 입, 뺨을 덮는 마스크부재; 및 마스크 프레임의 링형상의 절곡부에 탈착되게 끼움 설치되며, 마스크부재를 착용한 얼굴의 귀를 덮는 귀마개부재를 포함하는 귀마개를 갖는 마스크의 구성과, 상기 마스크 프레임은 천재질의 피복부재로 더 피복되는 귀마개를 갖는 마스크의 구성과, 상기 마스크부재는 제1스폰지패드와 그 제1스폰지패드를 덮는 천재질의 외피로 이루어진 2개의 덮개부재를 수평으로 맞댄 후 그 대면 부위를 따라 재봉함으로써 형성되고, 덮개부재들은 마스크부재가 U자형 절곡부에서 재봉선을 중심으로 V자로 절곡된 형상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귀마개를 갖는 마스크의 구성과, 상기 마스크부재의 상부에는 V자 형상을 더 지지하기 위한 형상유지부재가 설치되는 귀마개를 갖는 마스크의 구성과, 상기 마스크부재에는 통기공이 더 형성되고, 그 통기공은 재봉선의 중간에 형성되는 귀마개를 갖는 마스크의 구성과, 상기 마스크부재의 내측에는 천재질의 시트부재가 탈착되게 더 장착되는 귀마개를 갖는 마스크의 구성과, 상기 시트부재는 마스크부재의 내측 하부로부터 돌설되는 천재질의 돌부와 마스크부재와의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탈착되게 장착되는 귀마개를 갖는 마스크의 구성 및 상기 귀마개부재는 2개의 천부재들을 포갠 후 그 테두리를 따라 개구가 형성되도록 재봉함으로써 형성되고, 그 벌어진 개구를 통해서 천부재들 사이에 링형상의 절곡부를 끼워 장착되는 귀마개를 갖는 마스크의 구성 및 상기 천부재들의 일면에는 귀마개부재의 내측으로 구멍을 갖는 제2스폰지패드가 더 적층되는 귀마개를 갖는 마스크의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귀마개를 갖는 마스크는 필요에 따라 귀마개의 장착을 가능하게 하여 귀마개를 따로 착용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는 작용효과가 있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기술은 마스크의 경우 위생상 자주 세탁하여야 하는데 마스크 프레임과 마스크 부재가 일체로 결합되어 세탁이 불편하다는 점, 링형상의 절곡부가 접혀지지 않아 착용 전과 착용 후 마스크 프레임이 동일한 형상을 유지함으로써 휴대 및 보관이 불편하다는 점, 마스크 프레임에 링형상의 절곡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얼굴 크기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의 마스크 프레임이 구비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여전히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마스크와 귀마개가 일체로 형성되어 착용이 용이하고, 착용 프레임으로부터 착용 커버가 분리되어 세탁이 용이하며, 귀마개 부분이 접혀 보관 및 휴대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귀마개의 위치 조절로 누구나 자신의 얼굴 크기에 맞게 조절하여 착용할 수 있는 귀마개 겸용 마스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콧등을 지나 안면을 감싸는 탄성재질의 안면 프레임과, 상기 안면 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고 귀를 덮을 수 있도록 캡으로 된 귀 덮개부가 형성된 착용 프레임부; 코와 입, 턱을 덮는 마스크 부분과 귀를 덮는 귀마개 부분을 일체로 형성하되 후면 양측에 상기 귀 덮개부가 수용되는 귀 덮개 수용부가 양측에 마련되고, 상기 안면 프레임을 수용하여 마스크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결속부가 상기 귀 덮개 수용부 사이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마련되는 착용 커버;로 구성되고, 상기 안면 프레임은 가운데에 체결공이 천공되고, 상기 착용 커버의 결속부 내측에는 상기 체결공에 대응하여 체결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안면 프레임이 상기 착용 커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귀 덮개부는 외주면에 소정 간격으로 집게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안면 프레임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미착용 상태에서 상기 안면 프레임과 수평상태로 접히도록 구비되고, 상기 안면 프레임은 상기 집게 돌기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고, 안면 프레임의 단부에는 상기 집게 돌기 중 어느 하나와 맞물리는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안면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귀 덮개부의 위치를 전후로 가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의 착용 커버의 후면 마스크 부분에는 스냅단추를 매개로 방진시트가 탈착 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그리고 상기의 안면 프레임은 단부에 일정 간격으로 걸림공이 천공된 슬라이드관이 형성되고, 상기의 귀 덮개부는 귀를 덮을 수 있도록 캡이 형성되고, 캡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중공의 슬라이드편에 일정 간격으로 걸림공이 천공되며, 양단에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슬라이드관과 슬라이드편 사이에 삽입 설치되는 길이조절부재가 구비되어 걸림돌기가 양측의 걸림공 중 어느 하나에 걸려 안면 프레임으로부터 귀 덮개부의 위치를 전후로 가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스크와 귀마개가 일체로 형성되어 착용이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착용 프레임부로부터 착용 커버가 분리됨에 따라 세탁이 용이하는 등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귀마개 부분이 수평상태로 접혀 휴대 및 보관이 간편하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귀마개의 위치를 전후(앞뒤)로 조절할 수 있어 누구나 자신의 얼굴 크기에 맞게 조절하여 착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귀마개 겸용 마스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귀마개 겸용 마스크의 착용 프레임부와 착용 커버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귀마개 겸용 마스크의 착용 프레임부와 착용 커버의 결합 과정을 보인 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귀마개 겸용 마스크의 또 다른 착용 프레임부 구조를 보인 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귀마개 겸용 마스크의 착용 프레임부와 착용 커버 사이의 결속 구조를 보인 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귀마개 겸용 마스크의 또 다른 착용 프레임부와 착용 커버 사이의 결속 구조를 보인 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귀마개 겸용 마스크에 방진기능이 구비된 구성을 보인 도,
도 8 내지 10은 본 발명에 따른 귀마개 겸용 마스크의 귀 덮개부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구성을 보인 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귀마개 겸용 마스크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귀마개 겸용 마스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귀마개 겸용 마스크의 착용 프레임부와 착용 커버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귀마개 겸용 마스크의 착용 프레임부와 착용 커버의 결합 과정을 보인 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귀마개 겸용 마스크(100)는 콧등을 지나 안면을 감싸는 탄성재질의 안면 프레임(10)과 안면 프레임(10)으로부터 연장되어 귀를 덮기 위한 귀 덮개부(20)가 형성된 착용 프레임부(30)와, 코와 입, 턱을 덥는 마스크 부분과 귀를 덮는 귀마개 부분을 일체로 형성하되 후면 양측에 귀 덮개부(20)가 수용되는 귀 덮개 수용부(40)가 마련되고 안면 프레임(10)을 수용하여 마스크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결속부(50)가 귀 덮개 수용부(40) 사이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마련되어 착용 프레임부(30)와 서로 분리 가능한 착용 커버(60)가 구비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착용 프레임부(30)는 안면 프레임(10)과 귀 덮개부(20)로 이루어지는데, 안면 프레임(10)은 U자 형상으로 성형되어 재질의 탄성력에 의해 안면을 감쌀 수 있도록 와이어, 금속편, 합성수지재 등으로 제작된다.
착용 커버(60)는 마스크 부분이 면재질 또는 부직포 등 병균이나 먼지 따위를 막기 위한 재질로 제작되고, 귀마개 부분은 마스크 부분과 동일한 재질 또는 폴리에스터, 합성섬유 등 방한재질로 제작되어 마스크 부분과 일체로 접합하여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또 착용 커버(60)의 후면 양측에는 귀 덮개부(20)를 수용하기 위한 귀 덮개 수용부(40)가 마련되는데, 귀 덮개 수용부(40)는 귀 덮개부(20)를 내측에서 외측으로 삽입시켜 수용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상태로, 귀 덮개부(20) 양측을 모두 수용할 경우 착용 커버(60)는 안면 프레임(10)의 형상에 따라 U자 형상으로 변형되어 얼굴에 착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안면 프레임(10)은 착용 커버(60)의 후면 귀 덮개 수용부(40) 사이에 연장 형성된 결속부(50)에 수용되어 귀마개 겸용 마스크의 형상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안면 프레임(10)의 탄성력에 의해 귀 덮개부(20)가 귀를 가압한 상태이고 착용 커버(60)의 하단이 턱에 의해 걸쳐진 상태이므로 착용한 상태에서 귀마개 겸용 마스크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착용 커버(60)와 착용 프레임부(30)가 서로 분리가능한 상태이므로 착용 커버(60)를 분리 세탁하는 등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다음, 첨부된 도 4는 착용 프레임부의 다른 실시 예로서, 전술한 안면 프레임(10)은 탄성재질의 와이어로 안면 프레임(10)의 양단을 링 형상으로 라운드지게 가공하여 귀 덮개부(20)를 형성하고, 안면 프레임(10)의 비틀림에 의해 미착용 상태에서 귀 덮개부(20)가 안면 프레임(10)과 수평상태로 접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서, 안면 프레임(10)과 귀 덮개부(20)는 모두 하나의 와이어로 제작되어 안면 프레임(10)의 양단을 원형으로 라운드지게 가공하여 귀를 덮을 수 있도록 귀 덮개부(20)를 구성한다. 이때, 귀 덮개부(20)는 안면 프레임(10)과 수평상태를 이룬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얼굴에 착용하기 위해서는 귀 덮개부(20)가 서로 마주보게 외측으로 회전시켜 안면 프레임(10)을 비튼 상태에서 얼굴에 착용하게 되는데, 착용 프레임부(30)에 착용 커버(60)가 결합된 경우에는 귀마개를 겸한 상태에서 마스크로 착용할 수 있고, 벗은 상태에서는 와이어의 탄성력에 의해 귀 덮개부(20)가 안면 프레임(10)과 수평상태로 접히게 된다.
따라서 귀마개 겸용 마스크의 부피를 줄임으로써 휴대 및 보관이 간편하다.
다음, 첨부된 도 5는 착용 프레임부와 착용 커버 사이의 결속 구조를 보인 도로서, 상기의 안면 프레임(10)은 가운데에 체결공(11)이 천공되고, 착용 커버(60)는 체결공(11)에 대응하여 결속부(50) 내측에 체결돌기(51)가 형성되어 안면 프레임(10)이 착용 커버(6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착용 커버(60)는 후면 양측에 귀 덮개부(20)가 수용되는 귀 덮개 수용부(40)가 마련되고 안면 프레임(10)을 수용하여 결속하기 위한 결속부(50)가 귀 덮개 수용부(40) 사이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마련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안면 프레임(10)은 착용 커버(60)의 결속부(50)에 수용된 상태로 결속되는데, 결속부(50)에 수용된 상태에서 탈착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안면 프레임(10) 가운데에 체결공(11)이 천공되고, 이에 대응하여 결속부(50) 내측에 체결돌기(51)가 부착되어 체결공(11)을 통해 안면 프레임(10)을 체결돌기(51)에 체결함에 따라 안면 프레임(10)이 결속부(50)에 수용된 상태에서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게 된다. 여기서, 안면 프레임(10)은 체결공(11)을 형성할 수 있도록 가운데 부분이 판상으로 가공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안면 프레임(10)에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결속부(50) 내측에 체결공이 부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착용 커버(60)로부터 안면 프레임(10)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첨부된 도 6은 착용 프레임부와 착용 커버 사이의 또 다른 결속 구조를 보인 도로서, 상기의 결속부(50)는 안면 프레임(10)을 수용한 상태에서 결속할 수 있도록 결속부(50) 내측면과 착용 커버 후면에 벨크로(52)가 구비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한 쌍의 벨크로(52)를 통해 결속부(50)를 개폐함으로써 수용된 안면 프레임(1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첨부된 도 7은 착용 커버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전술한 착용 커버의 후면 마스크 부분에는 스냅단추(61,71)를 매개로 방진시트(70)가 탈착 가능하게 구비된다. 물론 스냅단추(61,71)는 균등한 벨크로로 대체될 수도 있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서, 스냅단추(똑딱단추)는 암수(61,71)로 이루어져 방진시트(70)의 모서리 부분에 암 또는 수단추가, 마스크 부분에 수 또는 암단추가 부착되어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방진시트(70)는 미세먼지를 걸러낼 수 있는 극세사 소재 등으로 양호하게 구현할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코와 입을 덮기 위한 마스크 부분에 방진시트(70)를 탈착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통상의 마스크 또는 방진 기능이 구비된 마스크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전술한 도 5를 참조하면 귀 덮개부(20)는 귀를 덮을 수 있도록 캡(21)으로 형성되고, 안면 프레임(10)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미착용 상태에서 안면 프레임(10)과 수평상태로 접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귀 덮개부(20)는 귀를 필요 이상으로 가압하지 않고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오목한 캡(21) 형상으로 이루어져 귀가 수용되게 된다.
또한 귀 덮개부(20)는 안면 프레임(10)의 단부가 삽입되어 회동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는 장착공(22)이 구비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귀 덮개부(20)가 귀를 감싸 귀 주변을 가압한 상태로 귀마개 겸용 마스크를 착용할 수 있어 귀가 눌리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고, 벗은 상태에서 귀 덮개부(20)를 내측으로 회전시켜 접어 둠으로써 휴대 및 보관이 간편하다는 작용효과가 있다.
다음, 첨부된 도 8은 사용자의 얼굴 크기에 따라 귀 덮개부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구성을 보인 도로서, 귀 덮개부(20)는 귀를 덮을 수 있도록 캡(21)으로 형성되고, 캡(21) 외주면에는 소정 간격으로 집게 돌기(23)가 형성되며, 안면 프레임(10)은 집게 돌기(23)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고 그 단부에 집게 돌기(23) 중 어느 하나와 맞물리는 돌기(12)가 형성되어 안면 프레임(10)으로부터 귀 덮개부(20)의 위치를 가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서, 귀 덮개부(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귀를 압박하지 않도록 내측으로 오목한 캡(21)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캡(21) 외주면에 소정 간격으로 집게 돌기(23)가 형성된다.
집게 돌기(23)는 링 돌기에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일측이 절개된 구조로, 집게 돌기(23)의 내경보다 가느다란 안면 프레임(10)이 삽입될 경우에는 확장되지 않고 반대로 내경보다 두꺼운 안면 프레임의 돌기(12)가 삽입될 경우에는 확장되어 탄성력에 의해 안면 프레임(10)을 잡아주게 된다.
따라서 안면 프레임의 돌기(12)가 어느 집게 돌기에 맞물리느냐에 따라 전후로 귀 덮개부(20)의 위치를 가변할 수 있게 되고, 사용자가 자신의 얼굴 크기에 맞게 귀 덮개부(20)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안면과 착용 커버(60) 사이의 틈을 최소화한 상태에서 귀마개 겸용 마스크를 착용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첨부된 도 9는 사용자의 얼굴 크기에 따라 귀 덮개부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다른 구성을 보인 도로서, 안면 프레임(10)은 양단이 비틀 수 있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고 그 단부에 내측으로 절곡된 ㄱ자 형상의 절곡부(13)가 형성되며, 귀 덮개부(20)는 귀를 덮을 수 있도록 캡(21)으로 형성되고, 캡(21) 외주면에 ㄱ자 형상의 절곡부(13)가 끼움 결합되는 절곡홈(24)이 일정 간격으로 연속되게 형성되어 ㄱ자 형상의 절곡부(13)가 절곡홈 중 어느 하나에 끼움 결합되어 안면 프레임(10)으로부터 귀 덮개부(20)의 위치를 가변할 수 있고 귀 덮개부(20)를 마주보게 외측으로 벌려 얼굴에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서, 안면 프레임(10)은 와이어 등 탄성재질로 이루어지고 양 단부에 안면 프레임(10)과 수평상태를 이루는 ㄱ자 형상으로 절곡된 절곡부(13)가 형성된다.
또한 귀 덮개부(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귀를 압박하지 않도록 내측으로 오목한 캡(21)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캡(21) 외주면에 ㄱ자 형상의 절곡부(13)에 대응하는 절곡홈(24)이 일정 간격으로 연속되게 형성된다. 물론 절곡홈(24)은 ㄱ자 형상의 절곡부(13)를 끼워 결합한 상태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홈 개구에 ㄱ자 형상의 절곡부(13)를 잡아주기 위한 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안면 프레임(10)의 ㄱ자 형상의 절곡부(13)가 어느 절곡홈에 끼워 결합되느냐에 따라 전후로 귀 덮개부(20)의 위치를 가변할 수 있게 되고, 사용자가 자신의 얼굴 크기에 맞게 귀 덮개부(20)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안면과 착용 커버(60) 사이의 틈을 최소화한 상태에서 귀마개 겸용 마스크를 착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귀마개 겸용 마스크를 착용하기 위해서는 귀 덮개부(20)가 서로 마주보게 외측으로 회동시켜 안면 프레임(10)을 비틀게 되는데, 귀마개 겸용 마스크를 벗은 상태에서는 안면 프레임(10)의 비틀림에 의해 귀 덮개부(20)가 원상태로 회전하여 접히게 되어 귀마개 겸용 마스크를 간편하게 휴대 및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첨부된 도 10은 사용자의 얼굴 크기에 따라 귀 덮개부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또 다른 구성을 보인 도로서, 귀 덮개부(20)는 귀를 덮을 수 있도록 캡(21)으로 형성되고, 캡(21)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비틀 수 있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되 안면 프레임(10)과 결속할 수 있도록 선단에 ㄱ자 형상으로 절곡된 걸고리(25)가 형성되며, 안면 프레임(10)은 단부 상면에 걸고리(25)를 끼워 결속할 수 있도록 소정 간격으로 걸고리 홈(14)이 형성되고, 걸고리 홈(14)에 걸고리(25)가 끼워진 상태에서 잡아주기 위한 가드돌기(15)가 형성되어 걸고리(25)를 걸고리 홈 중 어느 하나에 끼워 결속함에 따라 안면 프레임(10)으로부터 귀 덮개부(20)의 위치를 가변할 수 있고 귀 덮개부(20)를 마주보게 외측으로 벌려 얼굴에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서, 귀 덮개부(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귀를 압박하지 않도록 내측으로 오목한 캡(21)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캡(21)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비틀 수 있는 와이등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ㄱ자 형상으로 절곡된 걸고리(25)가 형성된다. 물론 걸고리(25)가 형성된 걸고리부는 귀 덮개부(2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도 있다.
안면 프레임(10)은 플라스틱 등 합성수지재로 성형되어 단부 상면에 걸고리 홈(14)이 형성되고, 상면 양측에 걸고리(25)를 잡아주기 위한 가이드 돌기(25)가 엇갈리게 형성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귀 덮개부의 걸고리(25)가 안면 프레임(10)의 어느 걸고리 홈에 끼워 결합되느냐에 따라 전후로 귀 덮개부(20)의 위치를 가변할 수 있게 되고, 사용자가 자신의 얼굴 크기에 맞게 귀 덮개부(20)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안면과 착용 커버(60) 사이의 틈을 최소화한 상태에서 귀마개 겸용 마스크를 착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귀마개 겸용 마스크를 착용하기 위해서는 귀 덮개부(20)가 서로 마주보게 외측으로 회동시켜 걸고리(25)가 형성된 걸고리부를 비틀게 되는데, 귀마개 겸용 마스크를 벗은 상태에서는 걸고리부의 비틀림에 의해 귀 덮개부(20)가 원상태로 접히게 되어 귀마개 겸용 마스크를 간편하게 휴대 및 보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첨부된 도 11은 사용자의 얼굴 크기에 따라 귀 덮개부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또 다른 구성을 보인 도로서, 안면 프레임(10)은 단부에 일정 간격으로 걸림공(17)이 천공된 슬라이드관(16)이 형성되고, 귀 덮개부(20)는 귀를 덮을 수 있도록 캡(21)이 형성되고, 캡(21)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중공의 슬라이드편(26)에 일정 간격으로 걸림공(27)이 천공되며, 양단에 걸림돌기(81)가 형성되고 슬라이드관(16)과 슬라이드편(26) 사이에 삽입 설치되는 길이조절부재(80)가 구비되어 걸림돌기(81)가 양측의 걸림공(17,27) 중 어느 하나에 걸려 안면 프레임(10)으로부터 귀 덮개부(20)의 위치를 가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길이조절부재(80)는 일측이 안면 프레임의 슬라이드관(16)에 삽입되고 타측이 귀 덮개부의 슬라이드편(17)에 삽입되는데, 길이조절부재(80)의 양단에 걸림돌기(81)가 형성되고 안면 프레임의 슬라이드관(16)과 귀 덮개부의 슬라이드편(26)에 일정 간격으로 걸림공(17,27)이 천공되어 걸림돌(81)기가 어느 걸림공에 걸리느냐에 따라 전후로 귀 덮개부(20)의 위치를 가변할 수 있게 되고, 사용자가 자신의 얼굴 크기에 맞게 길이조절부재(80)를 통해 귀 덮개부(20)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안면과 착용 커버(60) 사이의 틈을 최소화한 상태에서 귀마개 겸용 마스크를 착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실시 예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이에 기재된 사항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안면 프레임
20: 귀 덮개부
30: 착용 프레임부
40: 귀 덮개 수용부
50: 결속부
60: 착용 커버
70: 방진 시트
80: 길이조절부재

Claims (10)

  1. 콧등을 지나 안면을 감싸는 탄성재질의 안면 프레임과, 상기 안면 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고 귀를 덮을 수 있도록 캡으로 된 귀 덮개부가 형성된 착용 프레임부;
    코와 입, 턱을 덮는 마스크 부분과 귀를 덮는 귀마개 부분을 일체로 형성하되 후면 양측에 상기 귀 덮개부가 수용되는 귀 덮개 수용부가 양측에 마련되고, 상기 안면 프레임을 수용하여 마스크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결속부가 상기 귀 덮개 수용부 사이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마련되는 착용 커버;로 구성되고,
    상기 안면 프레임은 가운데에 체결공이 천공되고, 상기 착용 커버의 결속부 내측에는 상기 체결공에 대응하여 체결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안면 프레임이 상기 착용 커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귀 덮개부는 외주면에 소정 간격으로 집게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안면 프레임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미착용 상태에서 상기 안면 프레임과 수평상태로 접히도록 구비되고,
    상기 안면 프레임은 상기 집게 돌기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고, 안면 프레임의 단부에는 상기 집게 돌기 중 어느 하나와 맞물리는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안면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귀 덮개부의 위치를 전후로 가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마개 겸용 마스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 커버의 후면 마스크 부분에는 스냅단추를 매개로 방진시트가 탈착 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마개 겸용 마스크.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면 프레임은 단부에 일정 간격으로 걸림공이 천공된 슬라이드관이 형성되고,
    상기 귀 덮개부는 귀를 덮을 수 있도록 캡이 형성되고, 상기 캡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중공의 슬라이드편에 일정 간격으로 걸림공이 천공되며,
    양단에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관과 상기 슬라이드편 사이에 삽입 설치되는 길이조절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걸림돌기가 양측의 걸림공 중 어느 하나에 걸려 상기 안면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귀 덮개부의 위치를 전후로 가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마개 겸용 마스크.
KR1020170030910A 2017-03-11 2017-03-11 귀마개 겸용 마스크 KR101818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910A KR101818149B1 (ko) 2017-03-11 2017-03-11 귀마개 겸용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910A KR101818149B1 (ko) 2017-03-11 2017-03-11 귀마개 겸용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8149B1 true KR101818149B1 (ko) 2018-01-12

Family

ID=61001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0910A KR101818149B1 (ko) 2017-03-11 2017-03-11 귀마개 겸용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81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5642B1 (ko) * 2020-10-21 2021-04-27 김태형 마스크 가이드
KR20220010345A (ko) * 2020-07-17 2022-01-25 (주)케이인벤티오 우수한 착용감을 갖는 마스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1419Y1 (ko) 2006-11-02 2008-08-14 강윤이 다용도 귀마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1419Y1 (ko) 2006-11-02 2008-08-14 강윤이 다용도 귀마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0345A (ko) * 2020-07-17 2022-01-25 (주)케이인벤티오 우수한 착용감을 갖는 마스크
KR102502771B1 (ko) 2020-07-17 2023-03-24 (주)케이인벤티오 우수한 착용감을 갖는 마스크
KR102245642B1 (ko) * 2020-10-21 2021-04-27 김태형 마스크 가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46215A (en) Detachable earmuffs for headsets
JP2001333484A (ja) イヤホン
KR101818149B1 (ko) 귀마개 겸용 마스크
KR20160024766A (ko) 마스크
JP2022030049A (ja) マスク用補助具
KR20170028685A (ko) 안경용 기능성 보조기구
KR102317939B1 (ko) 마스크 착용밴드
KR102282711B1 (ko) 귀편한 착탈식 마스크
EP3981273A1 (en) Face mask retention system
KR102322682B1 (ko) 마스크 착용장치
KR20180113798A (ko) 귀마개 겸용 마스크
TWM394479U (en) Earplug fixer
JP3623444B2 (ja) フード
JP7030314B1 (ja) 衛生マスク用サポート
JP2005254022A (ja) 耳栓付きアイマスク
JP3238172U (ja) 頭部装着具の装着補助具
KR102287848B1 (ko) 방한용 귀마개
JP3776282B2 (ja) 安全帽
JP4460478B2 (ja) 衛生キャップ
CN213549831U (zh) 隐形瘦脸面罩
JP7042953B1 (ja) 眼鏡
JP7315762B1 (ja) イヤーウォーマー
EP4356883A1 (en) Eye mask
KR20190071321A (ko) 분리형 땀흐름 방지밴드
JP2001249307A (ja) 眼 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