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6354B1 - 종이 질감을 구현할 수 있는 식품 포장재용 코팅 조성물 - Google Patents

종이 질감을 구현할 수 있는 식품 포장재용 코팅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6354B1
KR101816354B1 KR1020150140397A KR20150140397A KR101816354B1 KR 101816354 B1 KR101816354 B1 KR 101816354B1 KR 1020150140397 A KR1020150140397 A KR 1020150140397A KR 20150140397 A KR20150140397 A KR 20150140397A KR 101816354 B1 KR101816354 B1 KR 101816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ating composition
paper
additive
sol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0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1001A (ko
Inventor
윤태경
조경식
박광수
이용일
김동일
박동휘
Original Assignee
씨제이제일제당 (주)
(주)성보잉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제일제당 (주), (주)성보잉크 filed Critical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to KR1020150140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6354B1/ko
Priority to US15/285,657 priority patent/US10179977B2/en
Publication of KR20170041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1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6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6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9/00Coated paper; Coating material
    • D21H19/10Coatings without pigments
    • D21H19/14Coatings without pigments applied in a form other than the aqueous solution defined in group D21H19/12
    • D21H19/24Coatings without pigments applied in a form other than the aqueous solution defined in group D21H19/12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21H19/26Aminoplas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20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04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8L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Compositions of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9/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08L29/04Polyvinyl alcohol; Partially hydrolysed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7/001
    • C09D7/125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20Diluents or 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9/00Coated paper; Coating material
    • D21H19/10Coatings without pigments
    • D21H19/14Coatings without pigments applied in a form other than the aqueous solution defined in group D21H19/12
    • D21H19/18Coatings without pigments applied in a form other than the aqueous solution defined in group D21H19/12 comprising wax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9/00Coated paper; Coating material
    • D21H19/10Coatings without pigments
    • D21H19/14Coatings without pigments applied in a form other than the aqueous solution defined in group D21H19/12
    • D21H19/20Coatings without pigments applied in a form other than the aqueous solution defined in group D21H19/12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9/00Coated paper; Coating material
    • D21H19/10Coatings without pigments
    • D21H19/14Coatings without pigments applied in a form other than the aqueous solution defined in group D21H19/12
    • D21H19/20Coatings without pigments applied in a form other than the aqueous solution defined in group D21H19/12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21H19/22Polyalkenes, e.g. polystyrene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9/00Coated paper; Coating material
    • D21H19/10Coatings without pigments
    • D21H19/14Coatings without pigments applied in a form other than the aqueous solution defined in group D21H19/12
    • D21H19/24Coatings without pigments applied in a form other than the aqueous solution defined in group D21H19/12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21H19/28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10Packing pap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aper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Wra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이 질감을 구현할 수 있는 식품 포장재용 코팅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지 혼합물, 첨가제, 용제를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폴리에틸렌계 왁스 3 내지 12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질감을 구현할 수 있는 식품 포장재용 코팅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종이 질감을 구현할 수 있는 식품 포장재용 코팅 조성물{coating composition capable of embodying paper feel for food packing paper}
본 발명은 종이 질감을 구현할 수 있는 식품 포장재용 코팅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존의 종이가 가지고 있는 느낌을 부여한 포장재들이 가지고 있던 안전성, 가공성, 가격 등의 문제를 해결하고, 종이가 가지고 있는 시각적 느낌뿐만 아니라 촉감까지 부여할 수 있는 식품 포장재용 코팅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품 포장재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각종 과일, 야채, 생육 및 가공식품 등의 포장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식품 포장재에는 식료품 매장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백, 봉지, 파우치, 랩 등이 있는데, 이것들은 어떤 크기나 형태의 물건도 쉽게 담아서 밀봉할 수 있기 때문에 유연 포장재라고도 불린다. 이 유연 포장재는 플라스틱 필름으로 생산한 재질, 종이, 알루미늄 호일 및 섬유 등의 유연성을 가진 재료를 복층 또는 다층의 형태로 만들어 내용물의 특성에 맞게 봉투나 필름 형태로 제작한 것이다.
최근 천연(natural), 유기농(organic), 친환경성(environment friendly) 등을 추구하는 소비자들이 증가함에 따라, 유연 포장재의 분야에서도 이러한 트렌드를 반영하여 다양한 기능성을 가지는 포장재들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10-0666528호는 항균성 식품 포장용 종이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천연펄프를 지료(紙料)로 사용하면서 초지공정 및 원지제조공정에서 에멀젼 로진 사이즈제를 다량 첨가하며, 여기에 외첨 사이즈제를 첨가하여 내수성을 강화시키고, 포장지의 외면이 되는 원지의 일면에는 피그먼트 코팅을 수행하여 외관상의 미려함을 보강하고, 내면이 되는 원지의 또 다른 일면에는 산화전분과 내유제의 혼합용액에 이온상태가 아닌 금속 입자 상태이면서 미세한 은나노 입자를 분산시킨 항균용액을 도포 후 건조시키므로써 균일한 항균막 형성으로 식품 포장지에 식품이 직접 접촉되더라도 인체에 무해하며 안정화된 은나노 입자에 의해 지속적인 살균력이 발현되는 항균성 식품 포장용 종이 및 그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기능성 이외에도 종이 및 유사 재질을 사용하거나 무광 코팅액 등을 사용한 가공법을 통하여 종이가 가지고 있는 느낌을 포장재에 부여함으로써 이와 같은 트렌드를 반영하고자 하는 노력이 있었다.
그러나 기존의 종이가 가지고 있는 느낌을 부여한 포장재들은 안전성, 가공성 및 가격 등의 면에서 여러 단점이 존재하여 실제 적용이 쉽지 않으며 그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종래에는 종이 유사재질로서 종이/플라스틱 필름 라미네이트 또는 유산지를 사용하거나, 무광코팅액으로 코팅하는 가공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종이/플라스틱 필름 라미네이트의 경우 플라스틱 외면 또는 중간에 실제 종이를 라미네이션하지만, 복잡한 가공과정 및 높은 가격의 문제가 있었고, 플라스틱 필름을 종이와 같은 제조공정으로 제작하는 유산지의 경우 플라스틱 필름의 성질과 종이 느낌을 모두 가지고 있지만 높은 가격과 제한적인 인쇄의 문제점이 있었으며, 무광코팅액으로 코팅하는 가공법의 경우 시각적으로 종이의 무광 효과를 부여하지만, 종이의 촉감을 부여하지는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의 트렌드를 반영하면서도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식품 포장재에 종이 질감을 구현할 수 있는 코팅 조성물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KR 10-0666528 B1 (공고일 2007.01.19)
이에 본 발명자들은 기존의 식품 포장재에 종이 질감을 구현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한 결과, 표면에 무광 효과를 주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기존의 무광 코팅에 촉감을 부여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계 왁스를 첨가함으로써 식품 포장재에 종이와 같은 시각적인 느낌뿐만 아니라 촉감 또한 부여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이 질감을 구현할 수 있는 식품 포장재용 코팅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지 혼합물, 첨가제, 용제를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폴리에틸렌계 왁스를 3 내지 12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질감을 구현할 수 있는 식품 포장재용 코팅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은 종이와 같은 시각적 느낌뿐만 아니라 종이 질감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게 하므로, 기존의 종이가 가지고 있는 느낌을 부여한 포장재에 비하여 안전성, 가공성, 경제성 등이 뛰어난 종이 질감을 가지는 식품 포장재를 제공하는데 유용하다.
도1은 제조예 1에 따른 본 발명의 종이 질감을 구현할 수 있는 식품 포장재(100)의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아래에서부터 기재층(110), 인쇄층(120) 및 종이 질감을 구현할 수 있는 코팅층(130)을 포함하는 식품 포장재를 도시한 것이다.
도2는 종이질감을 구현한 종래의 식품 포장재를 나타낸 것으로, 도2a 는 종이 유사재질로서 아래에서부터 기재층(211), 접착제층(212) 및 종이층(213)을 포함하는 종이/플라스틱 필름 라미네이트(210)를 도시한 것이고, 도2b는 유산지(220)를 도시한 것이고, 도2c는 아래에서부터 기재층(231), 인쇄층(232) 및 무광코팅액으로 형성된 무광코팅층(233)을 포함하는 무광코팅액으로 코팅한 식품 포장재(230)를 도시한 것이다.
도3은 제조예 1에 따른 본 발명의 종이 질감을 구현할 수 있는 식품 포장재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4는 제조예 1에 따른 본 발명의 종이 질감을 구현할 수 있는 식품 포장재의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첫 번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수지 혼합물, 첨가제, 용제를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폴리에틸렌계 왁스 3 내지 12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질감을 구현할 수 있는 식품 포장재용 코팅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수지 혼합물은 코팅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19.5 내지 38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 혼합물은 용제에 녹아 유동성을 갖춘 상태에서 충분히 분산된 안료를 입자별로 각각 코팅하는 것으로, 이렇게 이루어진 코팅 조성물은 도포 대상면에 도포되면 상기 수지 혼합물이 갖는 부착성에 의해 도포 대상면 상에 밀착된다. 상기 수지 혼합물의 함량이 19.5 중량% 미만일 경우 종이 질감을 구현할 수 있는 식품 포장재용 코팅 조성물이 도포 대상면에 밀착되지 않아 코팅층(130)이 갈라지거나 박리될 수 있고, 상기 수지 혼합물의 함량이 38 중량%를 초과하면 코팅 조성물이 쉽게 응고되어 도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수지 혼합물은 폴리비닐 부티랄(polyvinyl butyral), 비닐 클로라이드-비닐 알코올비닐 공중합체(vinyl chloride-vinyl alcoholvinyl copolymer), 아크릴 중합체(acrylic polymer),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로진변성말레인산 및 폴리에스테르 폴리올(polyester polyol)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지 혼합물은 코팅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폴리비닐 부티랄 1 내지 3 중량%, 비닐 클로라이드-비닐 알코올비닐 공중합체 1 내지 5 중량%, 아크릴 중합체 1 내지 3 중량%, 폴리우레탄 15 내지 20 중량%, 로진변성말레인산 1 내지 5 중량% 및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0.5 내지 2 중량%을 포함한다.
상기 첨가제는 코팅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4.9 내지 19.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첨가제는 폴리에틸렌계 왁스, 실리카 겔(silica gel), 염소처리 폴리프로필렌(chlorinated polypropylene), 침전방지제, 소포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계 왁스는 폴리에틸렌 왁스(polyethylene wax),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왁스(polytetrafluoroehylene wax)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첨가제는 폴리에틸렌계 왁스 3 내지 12 중량%, 실리카겔 1 내지 5 중량%, 염소처리 폴리프로필렌 0.5 내지 1 중량%, 침전방지제 0.2 내지 0.5 중량% 및 소포제 0.2 내지 1 중량%를 포함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에틸렌계 왁스는 폴리에틸렌 왁스 1 내지 4 중량%,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왁스 2 내지 8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폴리에틸렌계 왁스는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에 3 내지 12 중량% 포함됨으로써 내마모성, 내슬립성, 내열성과 종이의 질감을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라미네이션 과정(드라이 및 티 다이)에서 문제가 될 수 있는 가이드 롤 및 실리콘 롤에 묻는 현상이 해결된다. 또한, 상기 폴리에틸렌계 왁스를 3 중량% 미만으로 사용하는 경우 종이 질감을 구현할 수 없고, 12 중량% 초과하여 사용하는 경우 종이 질감의 촉감성은 향상되나 코팅침전이 빨라 코팅 보존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용제는 코팅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43 내지 7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제는 수지 혼합물을 용해하거나 희석시키는 것이다. 상기 용제의 함량이 43 중량% 미만일 경우 도포공정이 용이하지 않고, 상기 용제의 함량이 75 중량%를 초과하면 도포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용제로 케톤계 용제, 아세테이트계 용제, 알코올계 용제, 글리콜에테르계 용제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톤계 용제는 메틸 에틸 케톤(methyl ethyl ketone)이고, 상기 아세테이트계 용제는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이고, 상기 알코올계 용제는 이소프로필 알코올(isopropyl alcohol)이며, 상기 글리콜에테르계 용제는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propylene glycol methyl ether)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제는 메틸 에틸 케톤 15 내지 30 중량%, 에틸 아세테이트 20 내지 33 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5 내지 7 중량%,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3 내지 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코팅 조성물은 목적하는 기능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필요에 따라서, 코팅의 인쇄 작업성을 개선하고 인쇄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보조제로서 소포제, 분산제, 라벨링제, 희석제, 슬리핑제, 가소제, 커플링제, 자외선 흡수제, 드라이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코팅 조성물은 수지 혼합물로서 폴리비닐 부티랄 1 내지 3 중량%, 비닐 클로라이드-비닐 알코올비닐 공중합체 1 내지 5 중량%, 아크릴 중합체 1 내지 3 중량%, 폴리우레탄 15 내지 20 중량%, 로진변성말레인산 1 내지 5 중량%,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0.5 내지 2 중량%를 포함하고, 첨가제로서 폴리에틸렌 왁스 1 내지 4 중량%,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왁스 2 내지 8 중량%, 실리카 겔 1 내지 5 중량%, 염소처리 폴리프로필렌 0.5 내지 1 중량%, 침전방지제 0.2 내지 0.5 중량% 및 소포제 0.2 내지 1 중량%를 포함하며, 용제로서 메틸 에틸 케톤 15 내지 30 중량%, 에틸 아세테이트 20 내지 33 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5 내지 7 중량%,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3 내지 5 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코팅 조성물은 180 내지 260 센티스토크(cSt), 바람직하게는 192.4 내지 251.6 cSt 점도를 가질 수 있다. 180 센티스토크 미만인 경우 접착성과 결합력이 낮아 인쇄품질이 떨어질 수 있고 260 센티스토크를 초과하는 경우 점도가 높아 도포공정이 용이하지 않다.
상기 코팅 조성물의 입도는 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코팅 조성물의 입도가 3㎛를 초과하는 경우 왁스입자 크기로 인해 도포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하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으며,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코팅 조성물의 제조
본원발명은 하기 표1의 기재와 같은 성분 및 함량으로 수지 혼합물, 첨가제 및 용제를 배합 조성하여, 코팅의 점도는 20±2 SEC (25에서 리고사 잔컵(RIGOSHA ZHAN CUP) #4로 측정)이고, 또한 코팅의 평균 입도는 3㎛ 이하인 코팅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본원발명의 코팅 조성물의 배합 성분 및 함량)
구성 성분 실시예1
(중랑%)
수지혼합물 폴리비닐 부티랄 1
비닐 클로라이드-비닐 알코올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1
아크릴 중합체 1
폴리우레탄 15
로진변성말레인산 1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0.5
첨가제 폴리에틸렌 왁스 1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TFE) 왁스 5
실리카 겔 1
염소처리 폴리프로필렌(CPP) 0.5
침전방지제 0.2
소포제 0.2
용제 메틸 에틸 케톤(MEK) 30
에틸 아세테이트 32.6
이소프로필 알코올 5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5
제조예 1: 본 발명에 따른 종이 질감을 구현하는 식품 포장재의 제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 질감을 구현하는 식품 포장재의 제조는 기재층(OPP, PET, NYLON FILM)에 인쇄하고, 실시예 1 에서 제조된 코팅 조성물을 도포(드라이라미네이션)하여 종이 질감을 구현하는 식품 포장재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종이 질감을 구현하는 식품 포장재는 도3과 같은 적층 구조를 가지고 및 도4는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종이 질감을 구현하는 식품포장재의 실제 사진과 같이 본 발명의 종이 질감을 구현하는 식품 포장재용 코팅 조성물을 적용한 종이 질감을 구현하는 식품 포장재는 무광효과 및 종이와 유사한 질감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실제 종이와 광택, 거칠기를 비교한 결과 하기의 표와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00 : 본 발명의 종이질감을 구현할 수 있는 식품 포장재
110, 211, 231 : 기재층 120, 232 : 인쇄층
130 : 코팅층 210 : 종이/플라스틱 필름 라미네이트
212 : 접착제층 213 : 종이층
220 : 유산지 230 : 무광코팅액으로 코팅한 식품 포장재
233 : 무광코팅층

Claims (11)

  1. 비닐 클로라이드-비닐 알코올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vinyl chloride-vinyl alcoholvinyl acetate copolymer), 폴리비닐 부티랄 (polyvinyl butyral), 아크릴 중합체(acrylic polymer),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로진변성말레인산 및 폴리에스테르 폴리올(polyester polyol)를 포함하는 수지 혼합물, 첨가제, 용제를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폴리에틸렌계 왁스를 조성물 총 중량 대비 3 내지 12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질감을 구현할 수 있는 식품 포장재용 코팅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혼합물은 코팅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19.5 내지 38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재용 코팅 조성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혼합물은 코팅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폴리비닐 부티랄 1 내지 3 중량%, 비닐 클로라이드-비닐 알코올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1 내지 5 중량%, 아크릴 중합체 1 내지 3 중량%, 폴리우레탄 15 내지 20 중량%, 로진변성말레인산 1 내지 5 중량% 및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0.5 내지 2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재용 코팅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코팅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4.9 내지 19.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재용 코팅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폴리에틸렌 왁스(polyethylene wax),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왁스(polytetrafluoroethylene wax), 실리카 겔(silica gel), 염소처리 폴리프로필렌(chlorinated polypropylene), 침전방지제, 소포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재용 코팅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폴리에틸렌 왁스 1 내지 4 중량%,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왁스 2 내지 8 중량%, 실리카 겔 1 내지 5 중량%, 염소처리 폴리프로필렌 0.5 내지 1 중량%, 침전방지제 0.2 내지 0.5 중량% 및 소포제 0.2 내지 1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재용 코팅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제는 코팅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43 내지 7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재용 코팅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제는 메틸 에틸 케톤, 에틸 아세테이트, 이소프로필 알코올 및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재용 코팅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용제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메틸 에틸 케톤 15 내지 30 중량%, 에틸 아세테이트 20 내지 33 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5 내지 7 중량%,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3 내지 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재용 코팅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조성물은 180 내지 260 센티스토크의 점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재용 코팅 조성물.

KR1020150140397A 2015-10-06 2015-10-06 종이 질감을 구현할 수 있는 식품 포장재용 코팅 조성물 KR101816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0397A KR101816354B1 (ko) 2015-10-06 2015-10-06 종이 질감을 구현할 수 있는 식품 포장재용 코팅 조성물
US15/285,657 US10179977B2 (en) 2015-10-06 2016-10-05 Coating composition capable of embodying paper feel for food packing pap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0397A KR101816354B1 (ko) 2015-10-06 2015-10-06 종이 질감을 구현할 수 있는 식품 포장재용 코팅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1001A KR20170041001A (ko) 2017-04-14
KR101816354B1 true KR101816354B1 (ko) 2018-01-08

Family

ID=58446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0397A KR101816354B1 (ko) 2015-10-06 2015-10-06 종이 질감을 구현할 수 있는 식품 포장재용 코팅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179977B2 (ko)
KR (1) KR1018163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3383A (ko) 2018-05-23 2019-12-03 주식회사 삼성잉크 거친 표면 질감을 구현할 수 있는 그라비어 인쇄용 잉크 조성물
KR102102715B1 (ko) 2019-07-15 2020-04-22 주식회사 에스피씨팩 거친 표면 질감을 구현할 수 있는 그라비어 인쇄용 잉크 조성물, 이를 이용한 포장재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48120B1 (en) 2016-09-16 2019-04-02 Amazon Technologies, Inc. Navigable path networks for autonomous vehicles
US10388652B2 (en) 2017-11-14 2019-08-20 Globalfoundries Inc. Intergrated circuit structure including single diffusion break abutting end isolation region, and methods of forming same
US10403548B2 (en) 2017-11-14 2019-09-03 Globalfoundries Inc. Forming single diffusion break and end isolation region after metal gate replacement, and related structure
KR102219267B1 (ko) * 2020-07-14 2021-02-25 엔트리움 주식회사 항균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05859B1 (ko) * 2020-10-19 2022-06-09 파워팩 주식회사 금속나노분말을 포함하는 항균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12156A (ja) 1997-07-30 2001-08-21 ローディア シミ つや消し又は梨地のコーティングを得るために有益な組成物、この組成物の使用、及びこれによって得られたコーティング
JP2002220562A (ja) * 2001-01-29 2002-08-09 Toyo Ink Mfg Co Ltd 艶消し材組成物
JP2011252120A (ja) 2010-06-04 2011-12-15 Toyo Ink Sc Holdings Co Ltd 紫外線遮断コーティング樹脂組成物と、それを用いた包装材
KR101470611B1 (ko) * 2014-04-02 2014-12-15 (주)인코켐 실리콘계 고무 표면 처리용 도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18533A (en) * 1969-07-18 1974-06-25 Alustikin Prod Inc Treated paper and non-woven material for wiping surfaces and method therefor
KR100666528B1 (ko) 2005-07-18 2007-01-19 한솔제지주식회사 항균성 식품 포장용 종이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12156A (ja) 1997-07-30 2001-08-21 ローディア シミ つや消し又は梨地のコーティングを得るために有益な組成物、この組成物の使用、及びこれによって得られたコーティング
JP2002220562A (ja) * 2001-01-29 2002-08-09 Toyo Ink Mfg Co Ltd 艶消し材組成物
JP2011252120A (ja) 2010-06-04 2011-12-15 Toyo Ink Sc Holdings Co Ltd 紫外線遮断コーティング樹脂組成物と、それを用いた包装材
KR101470611B1 (ko) * 2014-04-02 2014-12-15 (주)인코켐 실리콘계 고무 표면 처리용 도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3383A (ko) 2018-05-23 2019-12-03 주식회사 삼성잉크 거친 표면 질감을 구현할 수 있는 그라비어 인쇄용 잉크 조성물
KR102102715B1 (ko) 2019-07-15 2020-04-22 주식회사 에스피씨팩 거친 표면 질감을 구현할 수 있는 그라비어 인쇄용 잉크 조성물, 이를 이용한 포장재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1001A (ko) 2017-04-14
US20170096777A1 (en) 2017-04-06
US10179977B2 (en) 201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6354B1 (ko) 종이 질감을 구현할 수 있는 식품 포장재용 코팅 조성물
KR102579398B1 (ko) 압출 가공이 가능한 김서림방지 코폴리에스테르 열 밀봉 수지
KR20160067191A (ko) 산소 포집 필름
JP2021038390A (ja) コーティング剤、抗菌性積層体、抗菌性積層体の製造方法、および抗菌性積層体を用いたフィルムまたはシート、包装容器、包装袋、蓋材
JP2009536231A5 (ko)
JP2017137481A (ja) 抗菌コーティング剤、抗菌性積層体、抗菌性積層体の製造方法、および抗菌性積層体を用いたフィルムまたはシート、包装容器、包装袋、蓋材
JP7235775B2 (ja) 水性エチレン-ビニルアルコールコポリマー分散体及び前記分散体でコーティングされた酸素バリア多層フィルム
WO2018003978A1 (ja) 包装シート及び包装体
JP6932566B2 (ja) 包装材料
CN106414620B (zh) 表面涂层
CN104497915A (zh) 一种多层共挤软管用的粘结树脂
JP7292047B2 (ja) 合成樹脂フィルム、および、その合成樹脂フィルムからなる包装袋
JP2006137149A (ja) 帯電防止フィルム
CN113621146A (zh) 一种防雾抗菌防霉聚乳酸母粒及其薄膜和制备方法
JP2017218228A (ja) 堅果類製品の品質劣化防止用紫外線遮断透明包装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4022298B2 (ja) 抗菌性フィルム
JPH0550565A (ja) 易引裂性多層フイルム
JP2003176467A (ja) コーティング剤
JP2022074464A (ja) 抗菌性積層体、抗菌性包装袋、及び抗菌性積層体の製造方法
WO2022102490A1 (ja) ガスバリア性積層体、包装材
JP2017040013A (ja) 紙用塗料、ヒートシール性を有する紙製品、紙製包装容器、及び、紙製品の製造方法
JP2023037348A (ja) 抗ウィルス性積層体及び包装材料
CN116922914A (zh) 一种高光泽低雾度塑料膜及其制备方法
CN114771064A (zh) 新型耐高低温不变形包装膜及其制备方法
JP2008074888A (ja) ガスバリア性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