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9267B1 - 항균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항균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9267B1
KR102219267B1 KR1020200086987A KR20200086987A KR102219267B1 KR 102219267 B1 KR102219267 B1 KR 102219267B1 KR 1020200086987 A KR1020200086987 A KR 1020200086987A KR 20200086987 A KR20200086987 A KR 20200086987A KR 102219267 B1 KR102219267 B1 KR 1022192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ating composition
antibacterial film
copper particles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6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원
김관규
이민철
정세영
Original Assignee
엔트리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트리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트리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86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92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9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92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5Bioc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58Bioc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205Compounds containing groups, e.g. carbam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4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sulfur in the ring
    • C08K5/46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sulfur in the ring with oxygen or nitrogen in the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6Organo-metallic compounds, i.e.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metal-to-carbon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C08K2003/085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5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particle size in gener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재층 및 코팅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코팅층을 포함하는 항균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코팅층은 구리 입자, 윤활 첨가제 및 항균제를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로 형성됨으로써 이를 포함하는 항균 필름의 항균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항균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ANTIBACTERIAL FILM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항균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일상생활에서 광범위하게 노출되어 있는 다양한 물품들의 항균 처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은 물론, 현금인출기나 승강기 버튼과 같은 접촉 작동식 기기들은 대량의 세균에 노출되므로 이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항균 방식이 필요하다.
항균 필름은 이러한 접촉 작동식 기기에 부착되어 세균이 자라거나 번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함으로써 무균상태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 대한 세균의 접촉을 차단하여 세균으로부터 사용자를 안전하게 보호하고 사용자들간의 세균 전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잡한 공정 없이 필요한 위치에 항균 필름을 간편하게 부착함으로써 항균성을 부여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물품에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항균 필름은 필요에 따라 유연성, 투명성, 수명 등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기능성 물질을 첨가하여 제조되고 있는데, 이러한 기능성 물질들이 고르게 분산되지 않아 항균성이 저하되거나, 항균의 신뢰성이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유연성, 투명성, 수명 등의 성능을 가질 수 있으면서 분산성도 우수하여 높은 항균성 및 신뢰성을 갖는 항균 필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일례로, 한국 공개특허 제2012-0063998호는 항균 지속성 및 외부 손상 방지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UV 용액 및 은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항균액을 이용하여 제조된 항균 기능성 코팅 필름을 개시하고 있으나, 저 중점도의 UV용액에 은 나노 입자가 고르게 분산되지 않으므로 신뢰성이 낮을 수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2012-0063998호
따라서, 본 발명은 복잡한 공정 없이 분산성을 향상시켜 우수한 항균성 및 신뢰성을 가지며, 표면에 요철을 가짐으로써 심미감을 구현하고, 종이 질감이 나도록 촉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항균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항균 필름은 기재층 및 코팅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코팅 조성물이 구리 입자, 윤활 첨가제 및 항균제를 포함하고, 상기 윤활 첨가제의 함량이 상기 코팅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중량% 내지 20 중량%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항균 필름의 제조 방법은 구리 입자, 윤활 첨가제 및 항균제를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기재층의 일면에 상기 코팅 조성물을 도포 및 건조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항균 필름은 윤할 첨가제 및 구리 입자를 포함함으로써, 분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우수한 항균성 및 신뢰성을 갖는다.
나아가,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여 심미감을 구현하고, 종이 질감이 나도록 촉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항균 필름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항균 필름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실시예 1의 항균 필름의 코팅층의 AFM(Atomic Force Microscopy)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비교예 1의 항균 필름의 코팅층의 AFM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된 내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발명의 요지가 변경되지 않는 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구성성분의 양, 반응 조건 등을 나타내는 모든 숫자 및 표현은 특별한 기재가 없는 한 모든 경우에 "약"이라는 용어로써 수식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각 층 등의 "상(on)" 또는 "하(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on)"과 "하(under)"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개재하여(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도면에서의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적용되는 크기와 다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고,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항균 필름을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1은 기재층(110) 및 상기 기재층의 일면에 위치한 코팅층(120)을 포함하는 항균 필름(100)의 구조를 예시하고 있다.
상기 코팅층(120)은 윤활성 첨가제를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로 형성됨으로써, 코팅층(120)의 일면, 구체적으로 상기 기재층(110)과 접하지 않는 코팅층(120)의 상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종이 재질의 시각적 느낌과 촉각을 가질 수 있으므로, 우수한 심미적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항균 필름은 상기 기재층(110)의 타면에 점착층(130) 및 이형층(140)을 포함함으로써, 보관이 용이함은 물론, 손잡이 부재나 휴대용 모바일 기기, 승강기 버튼, 현금인출기와 같이 접촉이 많은 다양한 물품의 원하는 위치에 용이하게 부착 및 제거할 수 있다.
항균 필름
일 실시예에 따른 항균 필름은 기재층 및 코팅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코팅층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코팅 조성물은 구리 입자, 윤활 첨가제 및 항균제를 포함하고, 이때 포함된 상기 윤활 첨가제의 함량은 상기 코팅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중량% 내지 20 중량%이다.
우선, 상기 기재층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및 폴리아미드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재층은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기재층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기재층의 두께는 4 ㎛ 내지 500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재층의 두께는 4 ㎛ 내지 400 ㎛, 5 ㎛ 내지 350 ㎛, 5 ㎛ 내지 300 ㎛, 7 ㎛ 내지 200 ㎛, 10 ㎛ 내지 180 ㎛, 25 ㎛ 내지 130 ㎛, 35 ㎛ 내지 100 ㎛ 또는 40 ㎛ 내지 80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층은 표면에 코팅층 또는 점착층이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일면 또는 양면이 프라이머 처리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프라이머 처리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처리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재층의 일면 또는 양면은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프라이머 처리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코팅층은 코팅 조성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팅 조성물은 구리 입자, 윤활 첨가제 및 항균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팅 조성물은 구리 입자, 윤활 첨가제, 항균제, 고분자 수지 및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상기 구리 입자의 순도는 99% 이상, 99.5% 이상 또는 99.9%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리 입자의 입경은 0.03 ㎛ 내지 30 ㎛일 수 있고, 상기 구리 입자의 함량은 상기 코팅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5 중량% 내지 25 중량%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리 입자의 입경은 0.05 ㎛ 내지 25 ㎛, 0.1 ㎛ 내지 20 ㎛, 0.5 ㎛ 내지 13 ㎛ 또는 1 ㎛ 내지 10 ㎛일 수 있고, 상기 구리 입자의 함량은 상기 코팅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6 중량% 내지 25 중량% 또는 17 중량% 내지 22 중량%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구리 입자는 서로 다른 2종의 구리 입자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구리 입자는 입경이 3 ㎛ 내지 30 ㎛인 제 1 구리 입자 및 입경이 0.03 ㎛ 내지 2.5 ㎛인 제 2 구리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구리 입자의 입경은 3 ㎛ 내지 25 ㎛, 3 ㎛ 내지 20 ㎛, 3.5 ㎛ 내지 15 ㎛, 3.5 ㎛ 내지 13 ㎛, 3.5 ㎛ 내지 10 ㎛ 또는 3.5 ㎛ 내지 8 ㎛일 수 있고, 상기 제 2 구리 입자의 입경은 0.05 ㎛ 내지 2.5 ㎛, 0.1 ㎛ 내지 2.5 ㎛, 0.5 ㎛ 내지 2.3 ㎛, 1 ㎛ 내지 2.3 ㎛ 또는 1.5 ㎛ 내지 2.3 ㎛일 수 있다. 상기 코팅 조성물이 상기 입경 범위를 각각 만족하는 제 1 구리 입자 및 제 2 구리 입자를 포함함으로써, 분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항균성 및 신뢰성이 우수하다.
상기 제 1 구리 입자의 함량은 상기 코팅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중량% 내지 20 중량%일 수 있고, 상기 제 2 구리 입자의 함량은 상기 코팅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3 중량% 내지 8.5 중량%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구리 입자의 함량은 상기 코팅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중량% 내지 18 중량% 또는 11 중량% 내지 17 중량%일 수 있고, 상기 제 2 구리 입자의 함량은 상기 코팅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3 중량% 내지 8 중량% 또는 3.5 중량% 내지 7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제 1 구리 입자 및 제 2 구리 입자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분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항균성 및 신뢰성이 우수하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구리 입자는 덴드라이트(dendrite) 형상을 갖는 제 3 구리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팅 조성물은 구형이나 불규칙한 플레이크 형상에 비하여 비표면적이 넓은 나뭇가지 같은 모양인 덴드라이트 형상을 갖는 제 3 구리 입자를 포함함으로써, 분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항균성 및 신뢰성이 우수하다.
상기 제 3 구리 입자의 입경은 2.5 ㎛ 내지 14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3 구리 입자의 입경은 3 ㎛ 내지 12 ㎛, 3 ㎛ 내지 10 ㎛ 또는 5 ㎛ 내지 10 ㎛일 수 있다. 제 3 구리 입자의 입경이 상기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분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항균성 및 신뢰성이 우수하다.
또한, 상기 제 3 구리 입자의 함량은 상기 코팅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6 중량% 내지 25 중량%, 18 중량% 내지 22 중량% 또는 18.5 중량% 내지 21 중량%일 수 있다. 제 3 구리 입자의 입경이 상기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분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항균성 및 신뢰성이 우수하다.
상기 코팅 조성물이 상기 제 1 구리 입자 및 제 2 구리 입자를 포함하는 경우, 제 3 구리 입자를 포함하는 경우에 비하여 비용면에서 유리한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구리 입자는 서로 상이한 3종의 구리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리 입자는 상기 제 1 구리 입자 내지 상기 제 3 구리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구리 입자 내지 상기 제 3 구리 입자의 입경 범위는 전술한 바와 같다.
또한, 상기 제 1 구리 입자, 상기 제 2 구리 입자 및 상기 제 3 구리 입자의 중량비는 2 : 0.5 내지 1.5 : 2.5 내지 3.5 또는 2 : 0.7 내지 1.3 : 2.7 내지 3.3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 : 1 : 3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코팅 조성물은 윤활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윤활 첨가제는 폴리에틸렌 왁스, 폴리프로필렌 왁스, 폴리올레핀 왁스, 올리고에스테르 왁스, 모노에스테르 왁스, 올리고에테르 왁스 및 모노에테르 왁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윤활 첨가제는 폴리에틸렌 왁스, 폴리프로필렌 왁스 및 폴리올레핀 왁스와 같은 탄화수소 왁스가 바람직하고, 폴리에틸렌 왁스가 표면에 요철을 형성시켜 심미감을 구현할 수 있으면서 종이 질감이 나도록 촉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점에서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코팅 조성물은 상기 코팅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중량% 내지 20 중량%의 윤활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윤활 첨가제의 함량은 상기 코팅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중량% 내지 18 중량%, 0.5 중량% 내지 15 중량%, 0.5 중량% 내지 12 중량%, 1 중량% 내지 10 중량%, 1 중량% 내지 8 중량%, 1.5 중량% 내지 6 중량%, 1.5 중량% 내지 3 중량%, 0.5 중량% 내지 2.5 중량%일 수 있다. 윤활 첨가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코팅 조성물로 형성된 코팅층의 일면에 평균 표면 거칠기가 증가함으로써 요철을 형성시켜 심미감 및 종이 질감의 촉감을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 항균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코팅 조성물로 형성된 코팅층의 평균 표면 거칠기(Rt)가 0.6 nm 내지 50 nm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코팅층의 평균 표면 거칠기(Rt)는 0.6 nm 내지 40 nm, 0.8 nm 내지 25 nm, 0.8 nm 내지 15 nm, 1 nm 내지 13 nm, 1.5 nm 내지 10 nm, 2 nm 내지 10 nm, 2.5 nm 내지 8 nm일 수 있다. 코팅층의 평균 표면 거칠기(Rt)가 상기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종이 질감의 촉감을 가지면서 우수한 항균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평균 표면 거칠기(Rt)는 원자 현미경(Atomic Force Microscopy, AFM)의 Contact mode를 사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항균제는 메틸카바메이트, 에틸카바메이트, 프로필카바메이트, 부틸카바메이트, 비닐카바메이트, 아이오도프로필부틸카바메이트, 자일릴메틸카바메이트, 클로로페닐메틸카바메이트, 아연피리치온(zinc pyrithione) 및 산화아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아연피리치온 및 산화아연이 항균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항균제의 함량은 상기 코팅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중량% 내지 5 중량%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코팅 조성물은 상기 코팅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중량% 내지 4.5 중량%, 0.1 중량% 내지 4 중량%, 0.15 중량% 내지 3.5 중량%, 0.2 중량% 내지 3 중량%, 0.2 중량% 내지 2.5 중량% 또는 0.25 중량% 내지 2 중량%의 항균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 조성물은 고분자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분자 수지는 아크릴 폴리올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및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폴리우레탄 수지 및 아크릴 폴리올 수지가 분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면에서 바람직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고분자 수지의 함량은 상기 코팅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중량% 내지 50 중량%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코팅 조성물은 상기 코팅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중량% 내지 45 중량%, 10 중량% 내지 40 중량%, 12 중량% 내지 35 중량% 또는 12.5 중량% 내지 35 중량%의 고분자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 조성물은 메틸에틸케톤, 톨루엔, 에틸아세테이트, 자일렌(xylene), 부틸아세테이트, 셀루소브(cellosove)계, 알코올계, 메틸이소부틸부틸케톤,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아세테이트 및 벤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매의 함량은 상기 코팅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30 중량% 내지 70 중량%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코팅 조성물은 상기 코팅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32 중량% 내지 70 중량%, 32 중량% 내지 68 중량% 또는 34 중량% 내지 65 중량%의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 조성물은 경화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및 pH 조절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화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에폭시계, 금속 킬레이트 및 아지리딘(aziridi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상기 분산제는 실리콘계 또는 인산 에스테르계 일 수 있다.
상기 첨가제의 함량은 상기 코팅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중량% 내지 10 중량%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코팅 조성물은 상기 코팅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3 중량% 내지 8 중량%, 0.5 중량% 내지 5 중량% 또는 1 중량% 내지 3 중량%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의 두께는 3 ㎛ 내지 500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코팅층의 두께는 3 ㎛ 내지 400 ㎛, 3 ㎛ 내지 250 ㎛, 5 ㎛ 내지 200 ㎛, 5 ㎛ 내지 150 ㎛, 7 ㎛ 내지 100 ㎛, 10 ㎛ 내지 80 ㎛ 또는 10 ㎛ 내지 60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층 및 상기 코팅층의 두께비는 2 내지 5 : 1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재층 및 상기 코팅층의 두께비는 2.5 내지 4.5 : 1 또는 3 내지 4.2 : 1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항균 필름은 점착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점착층은 아크릴 수지, 실리콘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및 폴리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수지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점착층의 점도는 10 cps 내지 30,000 cps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점착층의 점도는 15 cps 내지 28,000 cps, 50 cps 내지 25,000 cps 또는 100 cps 내지 25,000 cps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층의 두께는 3 ㎛ 내지 200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점착층의 두께는 3 ㎛ 내지 180 ㎛, 5 ㎛ 내지 150 ㎛ 또는 10 ㎛ 내지 130 ㎛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향균 필름은 이형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항균 필름은 상기 점착층의 일면에 이형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항균 필름은 상기 이형층, 상기 점착층, 상기 기재층 및 상기 코팅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상기 점착층 및 상기 이형층을 추가로 포함함으로써 보관이 용이함은 물론, 항균이 필요한 물품의 원하는 위치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고, 수명이 다한 후에 제거하기에 용이하다.
상기 이형층의 두께는 15 ㎛ 내지 300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형층의 두께는 15 ㎛ 내지 250 ㎛, 20 ㎛ 내지 250 ㎛ 또는 25 ㎛ 내지 200 ㎛일 수 있다.
상기 항균 필름의 총 두께는 70 ㎛ 내지 100 ㎛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항균 필름의 총 두께는 75 ㎛ 내지 95 ㎛ 또는 80 ㎛ 내지 95 ㎛일 수 있다.
항균 필름의 제조 방법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항균 필름의 제조 방법은 구리 입자, 윤활 첨가제 및 항균제를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기재층의 일면에 상기 코팅 조성물을 도포 및 건조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구리 입자, 윤활 첨가제 및 항균제를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을 제조한다(단계 1).
상기 단계 1은 구리 입자를 용매와 혼합하는 단계 1-1 및 상기 혼합물에 윤활 첨가제 및 항균제를 투입하는 단계 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리 입자, 상기 윤활 첨가제 및 상기 항균제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단계 1-1에서 구리 입자와 용매를 혼합한다. 구체적으로, 서로 상이한 제 1 구리 입자 및 제 2 구리 입자를 용매와 혼합하거나 제 3 구리입자를 용매와 혼합하면 콜로이드 상태를 유지하면서 균일하게 분포 및 분산되므로, 분산성, 항균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후, 상기 단계 1-2에서 상기 혼합물에 윤활 첨가제 및 항균제를 투입하여 코팅 조성물을 제조한다. 상기 단계 1-2에서는 고분자 수지 및 첨가제를 추가로 투입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수지 및 상기 첨가제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후, 기재층의 일면에 상기 코팅 조성물을 도포 및 건조하여 코팅층을 형성한다(단계 2).
상기 단계 2는 콤마롤, 슬로다이, 마이크로롤, 롤토롤 또는 스크린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건조 단계는 50℃ 내지 200℃에서 10초 내지 40초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건조 단계는 55℃ 내지 190℃ 또는 60℃ 내지 185℃의 온도 범위로 구성된 챔버롤에서 10 m/min 내지 20 m/min 또는 10 m/min 내지 18 m/min의 속도로 10초 내지 35초 또는 10초 내지 30초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단계 2 이후에, 상기 기재층의 일면에 점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3 및 상기 점착층의 일면에 이형층을 형성하는 단계 4를 추가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단계 3은 점착 조성물을 상기 기재층의 일면에 도포한다.
상기 점착 조성물은 아크릴 수지, 실리콘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및 폴리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50 중량% 내지 9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점착 조성물은 아크릴 수지, 실리콘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및 폴리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55 중량% 내지 90 중량%, 60 중량% 내지 85 중량% 또는 65 중량% 내지 8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 조성물은 메틸에틸케톤, 톨루엔, 에틸아세테이트, 자일렌(xylene), 부틸아세테이트, 셀루소브(cellosove)계, 알코올계, 메틸이소부틸부틸케톤,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아세테이트 및 벤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를 포함할 수 있고, 이소시아네이트계, 에폭시계, 금속 킬레이트 및 아지리딘(aziridi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경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 3은 콤마롤, 슬로다이, 마이크로롤, 롤토롤 또는 스크린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단계 4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또는 폴리에틸렌 필름을 상기 점착층에 부착하여 이형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내용을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실시예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입경이 4 ㎛인 제 1 구리 입자 13.7 중량%, 입경이 2 ㎛인 제 2 구리 입자 6.8 중량% 및 메틸에틸케톤(MEK) 용매 59.8 중량%를 혼합했다. 상기 혼합물에 윤활 첨가제로서 폴리에틸렌 왁스(PE) 2 중량%, 항균제(At 50, 제조사: 엔아이씨) 1 중량%, 고분자 수지로서 열경화 폴리우레탄 수지(TPU, 제조사: 엔아이씨) 13.7 중량%, 경화제(N100, 제조사: NIC㈜) 1.2 중량% 및 분산제(BYK-111, 제조사: BYK) 1.71 중량%를 투입하여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기재층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두께 50㎛)의 일면에 상기 코팅 조성물을 도포하고, 170℃에서 15초 동안 건조하여 두께가 12 ㎛인 코팅층을 형성하여, 총 두께가 85 ㎛인 항균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내지 5 및 비교예 1
각각의 구성 및 함량을 하기 표 1 및 2와 같이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항균 필름을 제조하였다.
제 1 구리 입자 제 2 구리 입자 제 3 구리 입자
입경(㎛) 함량(중량%) 입경(㎛) 함량(중량%) 입경(㎛) 함량(중량%)
실시예 1 4 13.7 2 6.8 - -
실시예 2 4 13.5 2 6.8 - -
실시예 3 4 12.1 2 6.1 - -
실시예 4 - - - - 8 20.5
실시예 5 4 16.4 2 4.1 - -
비교예 1 4 13.7 2 6.8 - -
윤활 첨가제 항균제 고분자 수지 경화제 분산제 용매
실시예 1 PE
2 중량%
AT 50
1 중량%
TPU
13.7 중량%
1.3 중량% BYK-111
1.7 중량%
MEK
59.8 중량%
실시예 2 PE
2 중량%
ZnO
0.4 중량%
AC
33.8 중량%
8.1 중량% - MEK
35.4 중량%
실시예 3 PE
2 중량%
ZnO
0.4 중량%
AC
30.4 중량%
7.3 중량% - MEK
41.7 중량%
실시예 4 PE
2 중량%
AT 50
1 중량%
TPU
13.7 중량%
2.4 중량% - MEK
60.4 중량%
실시예 5 PE2 중량% AT 50
1 중량%
TPU
13.7 중량%
1.3 중량% BYK-111
1.7 중량%
MEK
59.8 중량%
비교예 1 - AT 50
1 중량%
TPU
13.7 중량%
1.3 중량% BYK-111
1.7 중량%
MEK
61.8 중량%
* AC: 아크릴 폴리올 수지(제조사: 애경화학)
* ZnO: 산화아연 항균제(SUNZNO, 제조사: 선진뷰티사이언스)
<평가예>
평가예 1: 표면 거칠기
원자 현미경(Atomic Force Microscopy, AFM)의 Contact mode를 사용하여 기재층과 접하지 않는 코팅층의 상면의 표면 거칠기를 측정하였다.
도 3은 실시예 1의 항균 필름의 코팅층의 AFM(Atomic Force Microscopy)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비교예 1의 항균 필름의 코팅층의 AFM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평가예 2: 항균성
FITI 시험연구원의 항균 테스트법(KS M 0146)에 따라 황색 포도균주 및 대장균에 대한 항균 필름의 항균성을 평가하였다.
표면 거칠기(nm) 항균성
실시예 1 3.330 황색 포도균주: 99.99 %
대장균: 99.91 % %
비교예 1 0.586 황색 포도균주: 99.99 %대장균: 70.91 %
상기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항균 필름은 비교예 1의 항균 필름에 비하여 종이 질감을 갖는 표면 거칠기를 가지며 항균성이 우수했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의 항균 필름은 구리 입자 및 윤활 첨가제로서 폴리에틸렌 왁스를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로 형성된 코팅층을 포함함으로써, 종이 질감을 심미감 및 촉감을 나타낼 수 있는 표면 거칠기를 가지면서 황색 포도균주 및 대장균에 대한 항균성이 모두 우수했다. 반면, 비교예 1의 항균 필름은 표면 거칠기가 매우 낮고, 대장균에 대한 항균력도 낮았다.
100: 항균 필름
110: 기재층 120: 코팅층
130: 점착층 140: 이형층

Claims (17)

  1. 기재층, 및 코팅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코팅 조성물이 구리 입자, 윤활 첨가제 및 항균제를 포함하고,
    상기 윤활 첨가제의 함량이 상기 코팅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중량% 내지 20 중량%이고,
    상기 구리 입자의 함량이 상기 코팅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5 중량% 내지 25 중량%이고,
    상기 구리 입자가 (i) 입경이 3 ㎛ 내지 30 ㎛인 제 1 구리 입자 및 입경이 0.03 ㎛ 내지 2.5 ㎛인 제 2 구리 입자를 포함하거나, (ii) 입경이 2.5 ㎛ 내지 14 ㎛이고, 덴드라이트(dendrite) 형상을 갖는 제 3 구리 입자를 포함하는, 항균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 첨가제가 폴리에틸렌 왁스, 폴리프로필렌 왁스, 폴리올레핀 왁스, 올리고에스테르 왁스, 모노에스테르 왁스, 올리고에테르 왁스 및 모노에테르 왁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항균 필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의 평균 표면 거칠기(Rt)가 0.6 nm 내지 50 nm인, 항균 필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조성물이 상기 코팅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중량% 내지 5 중량%의 항균제, 10 중량% 내지 50 중량%의 고분자 수지 및 30 중량% 내지 70 중량%의 용매를 포함하는, 항균 필름.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중량% 내지 20 중량%의 제 1 구리 입자 및 3 중량% 내지 8.5 중량%의 제 2 구리 입자를 포함하는, 항균 필름.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제가 메틸카바메이트, 에틸카바메이트, 프로필카바메이트, 부틸카바메이트, 비닐카바메이트, 아이오도프로필부틸카바메이트, 자일릴메틸카바메이트, 클로로페닐메틸카바메이트, 아연피리치온(zinc pyrithione) 및 산화아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항균 필름.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조성물이 경화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및 pH 조절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항균 필름.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이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및 폴리아미드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항균 필름.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의 두께가 4 ㎛ 내지 500 ㎛이고,
    상기 코팅층의 두께가 3 ㎛ 내지 500 ㎛인, 항균 필름.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 필름이 점착층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점착층이 아크릴 수지, 실리콘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및 폴리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항균 필름.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의 점도가 10 cps 내지 30,000 cps이고,
    상기 점착층의 두께가 3 ㎛ 내지 200 ㎛인, 항균 필름.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 필름이 이형층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이형층의 두께가 15 ㎛ 내지 300 ㎛인, 항균 필름.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층, 상기 점착층, 상기 기재층 및 상기 코팅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며,
    상기 항균 필름의 총 두께가 70 ㎛ 내지 100 ㎛인, 항균 필름.
  16. 구리 입자, 윤활 첨가제 및 항균제를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기재층의 일면에 상기 코팅 조성물을 도포 및 건조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구리 입자의 함량이 상기 코팅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5 중량% 내지 25 중량%이고,
    상기 구리 입자는 (i) 입경이 3 ㎛ 내지 30 ㎛인 제 1 구리 입자 및 입경이 0.03 ㎛ 내지 2.5 ㎛인 제 2 구리 입자를 포함하거나, (ii) 입경이 2.5 ㎛ 내지 14 ㎛이고, 덴드라이트(dendrite) 형상을 갖는 제 3 구리 입자를 포함하는, 항균 필름의 제조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단계가 50℃ 내지 200℃에서 10초 내지 40초 동안 수행되는, 항균 필름의 제조 방법.
KR1020200086987A 2020-07-14 2020-07-14 항균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192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6987A KR102219267B1 (ko) 2020-07-14 2020-07-14 항균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6987A KR102219267B1 (ko) 2020-07-14 2020-07-14 항균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9267B1 true KR102219267B1 (ko) 2021-02-25

Family

ID=74731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6987A KR102219267B1 (ko) 2020-07-14 2020-07-14 항균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926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8485B1 (ko) 2021-03-12 2021-08-09 박문극 항균 수축튜브재료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항균 수축튜브
KR20230029133A (ko) * 2021-08-23 2023-03-03 주식회사 알앤에프케미칼 항균성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성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원단
KR20230037394A (ko) * 2021-09-09 2023-03-16 주식회사 코인텍 구리 분말을 포함하는 항균 시트, 그의 제조방법 및 칠판 시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3998A (ko) 2010-12-08 2012-06-18 박인수 항균 기능성 코팅필름
KR20170041001A (ko) * 2015-10-06 2017-04-14 씨제이제일제당 (주) 종이 질감을 구현할 수 있는 식품 포장재용 코팅 조성물
KR102096213B1 (ko) * 2019-10-15 2020-04-02 강준기 항균성이 우수한 플라스틱재 가구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3998A (ko) 2010-12-08 2012-06-18 박인수 항균 기능성 코팅필름
KR20170041001A (ko) * 2015-10-06 2017-04-14 씨제이제일제당 (주) 종이 질감을 구현할 수 있는 식품 포장재용 코팅 조성물
KR102096213B1 (ko) * 2019-10-15 2020-04-02 강준기 항균성이 우수한 플라스틱재 가구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8485B1 (ko) 2021-03-12 2021-08-09 박문극 항균 수축튜브재료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항균 수축튜브
KR20230029133A (ko) * 2021-08-23 2023-03-03 주식회사 알앤에프케미칼 항균성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성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원단
KR102654080B1 (ko) 2021-08-23 2024-04-03 주식회사 알앤에프케미칼 항균성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성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원단
KR20230037394A (ko) * 2021-09-09 2023-03-16 주식회사 코인텍 구리 분말을 포함하는 항균 시트, 그의 제조방법 및 칠판 시트
KR102560952B1 (ko) 2021-09-09 2023-07-28 주식회사 코인텍 구리 분말을 포함하는 항균 시트, 그의 제조방법 및 칠판 시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9267B1 (ko) 항균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JP7168704B2 (ja) 抗菌性ガラス組成物、それを含むガラス、およびポリマー物品
KR101334283B1 (ko) 항균 플라스틱 소재, 항균 플라스틱, 항균 플라스틱 제조용 마스터배치, 및 항균 플라스틱의 제조방법
CN1961032B (zh) 积层聚酯薄膜及其制造方法
KR101766735B1 (ko) 우레탄 수지 조성물, 코팅제 및 접착제, 및 그것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경화물 및 경화물의 제조 방법
CN101486591B (zh) 水溶性光固化型防带电组合物及涂敷该组合物的传导性瓷砖材
WO2014100778A1 (en) Regeneration of antimicrobial coatings containing metal derivatives upon exposure to aqueous hydrogen peroxide
US6475505B1 (en) Biocide-polyester concentrates and biocidal compositions prepared therefrom
KR101976473B1 (ko) 항균 코팅 조성물
WO2005035680A3 (en) Adhesive articles comprising a nanoparticle primer and methods for preparing same
JP6847961B2 (ja) 固体表面製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3364762B1 (en) Method of making antimicrobial polymer composite articles comprising copper-containing second phase particles
WO2015179325A1 (en) Antibacterial composition, antibacterial cases and accessories for handheld electronics, and method of making antibacterial cases for handheld electronics
KR101964092B1 (ko)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포함하는 하드코팅 조성물, 하드코팅층 및 이를 포함하는 바닥재
CN108047910A (zh) 抗紫外线的水性涂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20220004875A (ko) 교차오염 및 교차감염 방지를 위한 다층 항균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99171B1 (ko) 유성 항균 조성물
WO2012078923A3 (en) Waterborne polyisocyanate composition that provides a low friction coating
CN104955487A (zh) 含金属衍生物的抗菌涂层通过暴露在水性过氧化氢下再生
CN105745074B (zh) 带抗菌层的基材、抗菌片、放射线摄影装置、触控面板
US10519272B2 (en) Absorbent polymeric material,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uses thereof
CN106164198A (zh) 粘合片及粘合片的制造方法
KR102220488B1 (ko) 음식 포장을 위한 친환경 일회용 용기
EP3176225B1 (en) Functional material, preparation method therefor,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panel
KR101449564B1 (ko) 코팅용 항균 조성물, 이를 이용한 항균성 패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항균성 패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