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3998A - 항균 기능성 코팅필름 - Google Patents

항균 기능성 코팅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3998A
KR20120063998A KR1020100125931A KR20100125931A KR20120063998A KR 20120063998 A KR20120063998 A KR 20120063998A KR 1020100125931 A KR1020100125931 A KR 1020100125931A KR 20100125931 A KR20100125931 A KR 20100125931A KR 20120063998 A KR20120063998 A KR 201200639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no
silver
weight
solution
antimicrob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5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인수
Original Assignee
박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인수 filed Critical 박인수
Priority to KR1020100125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3998A/ko
Publication of KR20120063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3998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6Coating with compositions not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5Bioc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C08K2003/0806Silv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5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particle size in gener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1Nanostructured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10Transparent films; Clear coatings; Transparent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정보통신 단말기에 적용되어 액정 디스플레이 표면을 보호하기 위해 제안된 점착형 코팅필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적 요인으로 인해 발생되기 쉬운 디스플레이 표면의 손상을 최소화하여 항상 선명한 화면상태 유지를 위한 점착형 코팅필름에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지속성이 우수한 항균 조성물을 첨가시키므로 각종 병원성 유해균의 증식을 차단하여 언제 어디서나 위생적인 사용을 가능케 한 폴리 계열의 항균 기능성 코팅필름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입경 0.1 내지 50nm의 은(Ag) 나노입자를 저 중점도의 UV용액 100중량%에 대하여 0.03 내지 1.45중량%로 혼합 첨가시킨 항균액을 폴리 계열의 코팅필름에 적어도 3㎛ 두께층으로 코팅시킴을 그 기술적 사상의 주된 특징으로 삼는다.

Description

항균 기능성 코팅필름{Antimicrobial Composite Film}
본 발명은 휴대용 정보통신 단말기에 적용되어 액정 디스플레이 표면을 보호하기 위해 제안된 점착형 코팅필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적 요인으로 인해 발생되기 쉬운 디스플레이 표면의 손상을 최소화하여 항상 선명한 화면상태 유지를 위한 점착형 코팅필름에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지속성이 우수한 항균 조성물을 첨가시키므로 각종 병원성 유해균의 증식을 차단시켜 언제 어디서나 위생적인 사용을 가능케 한 폴리 계열의 항균 기능성 코팅필름에 관한 것이다.
이른바, 휴대폰으로 대표되는 각종 휴대용 정보통신 단말기는 각종 정보의 입출력이 액정 강화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구현되는 관계로 화상 패널의 외표면 손상은 정보의 입출력 활동에 현저한 지장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시각적인 의미에서 단말기의 전체적인 외관 품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게 된다.
특히 디스플레이 패널은 외부의 환경이나 충격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어 각종 유해성 물질이나 먼지 또는 자외선 등으로부터 직접적인 영향을 받을 뿐만 아니라 긁힘 등의 현상도 발생하게 되어 이를 방지할 수단을 갖지 못하면 심각한 사용자 불만족의 원인이 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종래에는 박막상의 정전기 점착형 코팅필름을 마련하여 디스플레이 외표면에 부착시켜 표면 손상을 방지케하는 수단을 채택하곤 하였는데, 이러한 수단은 현재까지도 매우 유효하게 활용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한편, 대부분의 휴대용 정보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의 타액과 기도분비물 또는 부유하는 주변의 각종 유해 병원균 예컨대, 바이러스 대장균과 메티실린 내성균 등에 노출되어 상기 유해 세균이 기생하는 환경이 자연스럽게 조성되므로 사용자의 건강을 해치고 있다는 문제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 제기에도 불구하고 이를 해소할 적절한 방안은 현재까지도 전혀 마련되고 있지 못한 상태에 있다.
다만 용도에 따라 부분적으로 폴리 계열의 코팅필름 제조시 가공 제올라이트에 은, 아연, 구리 등을 화학반응시킨 무기 항균제를 수지에 혼련시킨 항균필름이 생산되고는 있으나, 그 제조공정이 매우 까다로워 과다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마스터배치에 의한 무기 항균제가 충분히 분쇄되지 못할 경우 입경이 큰 항균제가 혼련되어 항균필름의 표면품질을 저해한다는 문제점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언급된 문제점의 해결을 위해 오랫동안 항진균, 항세균 및 항조류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진 은(Ag)을 가공하여 코팅필름에 일체화함으로 코팅필름 고유의 기능과 동시에 유해 병원균 살균에 탁월한 효용성을 갖도록 배려하여 사용자의 만족감을 구현하는 항균 기능성 코팅필름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입경 0.1 내지 50nm의 은(Ag) 나노입자를 저 중점도의 UV용액 100중량%에 대하여 0.03 내지 1.45중량%로 혼합 첨가한 후 폴리계열의 코팅필름에 적어도 3㎛ 두께층으로 코팅하여 제공되는 항균 기능성 코팅필름을 통해 충분히 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우수한 항균력의 장점을 지닌 은 나노 입자로 인해 휴대용 정보통신 단말기의 액정 디스플레이 표면에 부착된 코팅필름이 충분한 투명도를 유지한 채 사용자의 타액과 기도분비물 및 주변의 부유하는 유해균으로 인해 기생하는 각종 세균의 생성과 번식을 효과적으로 차단시키므로 위생적인 단말기 사용은 물론 무독성과 무자극성에 의해 피부 알러지나 트러블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만족감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는 유용성을 갖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은 나노 입자는 현재까지의 실험결과 대부분의 단세포 병원균을 짧은 시간에 소멸시키는 것으로 발표되고 있는데, 특히 0.1 내지 50nm 입경의 초미립자 형태로 유해균에 직접 작용할 경우 유해균의 세포막을 녹이고 전자 전달계를 방해하는 등 그 생성을 막아 일반 대장균, 황색 포도상 구균, 살모넬라균, 비브리오균, 이질균, 폐렴균, 장티푸스균 등에 탁월한 효용성을 갖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순도 99.9%의 은을 초미립자 형태로 나노화하여 전기 영동방법이나 액상 환원법 등을 통해 안정화되고 입경이 균일한 나노입자를 추출한 후 저 중점도의 UV용액 100중량%에 대하여 0.03 내지 1.45중량%로 혼합 첨가시킨 항균액을 제조하였다.
이때 은 나노 입자가 0.03중량% 미만으로 혼합될 경우 경우에 따라 세균 및 곰팡이에 대한 항균효과가 기대치에 미달할 우려가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한편, 휴대용 정보통신 단말기의 액정 디스플레이 표면에 적용되는 공지의 폴리계열 수지조성물의 코팅필름은 필름의 소재인 고분자 재료를 용매에 녹여 필름을 제조하거나 혹은 용매 없이 고분자 그 자체를 용융하여 필름을 제조하는 용융방법 등이 고루 사용되어 제조되는데, 이러한 제조공정상의 완성단계에서 전술한 은 나노 항균액을 적어도 3㎛ 두께층으로 균질하게 코팅하여 건조시키는데, 침적이나 분사방식 등 어느 것도 제한없이 유효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결과 은 나노 항균액의 코팅에도 불구하고 충분히 높은 투명도가 유지되었음은 물론 기타 다른 물성에도 전혀 영향이 없고, 항균력은 물론 인체에 대한 안정성이 우수한 코팅필름을 수득할 수 있었다.

Claims (1)

  1. 입경 0.1 내지 50nm의 은(Ag) 나노입자를 저 중점도의 UV용액 100중량%에 대하여 0.03 내지 1.45중량%로 혼합 첨가시킨 항균액을 폴리계열의 코팅필름에 적어도 3㎛ 두께층으로 코팅하여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기능성 코팅필름.
KR1020100125931A 2010-12-08 2010-12-08 항균 기능성 코팅필름 KR201200639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5931A KR20120063998A (ko) 2010-12-08 2010-12-08 항균 기능성 코팅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5931A KR20120063998A (ko) 2010-12-08 2010-12-08 항균 기능성 코팅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3998A true KR20120063998A (ko) 2012-06-18

Family

ID=46684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5931A KR20120063998A (ko) 2010-12-08 2010-12-08 항균 기능성 코팅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63998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2521B1 (ko) * 2020-04-20 2020-10-06 박건호 터치패널용 항균필름
KR102219267B1 (ko) 2020-07-14 2021-02-25 엔트리움 주식회사 항균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20018375A (ko) 2020-08-06 2022-02-15 주식회사 이에스디코리아 항균 및 방오특성을 가지는 보호필름
KR102368574B1 (ko) 2021-08-17 2022-02-28 주식회사 퀀텀바이오닉스 항균, 항바이러스 및 탈취 효과를 가진 항균막 및 그 제조방법
KR102498874B1 (ko) * 2021-12-13 2023-02-14 율촌화학 주식회사 항균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2521B1 (ko) * 2020-04-20 2020-10-06 박건호 터치패널용 항균필름
KR102219267B1 (ko) 2020-07-14 2021-02-25 엔트리움 주식회사 항균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20018375A (ko) 2020-08-06 2022-02-15 주식회사 이에스디코리아 항균 및 방오특성을 가지는 보호필름
KR102368574B1 (ko) 2021-08-17 2022-02-28 주식회사 퀀텀바이오닉스 항균, 항바이러스 및 탈취 효과를 가진 항균막 및 그 제조방법
KR102498874B1 (ko) * 2021-12-13 2023-02-14 율촌화학 주식회사 항균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ingh et al. Chitin membranes containing silver nanoparticles for wound dressing application
KR20120063998A (ko) 항균 기능성 코팅필름
Huang et al. Recent advances in antimicrobial polymers: a mini-review
Kong et al. Antibacterial properties of novel poly (methyl methacrylate) nanofiber containing silver nanoparticles
Nguyen et al. In vivo study of the antibacterial chitosan/polyvinyl alcohol loaded with silver nanoparticle hydrogel for wound healing applications
Alavi et al. Functionalized carbon-based nanomaterials and quantum dots with antibacterial activity: a review
Kubacka et al. High-performance dual-action polymer− TiO2 nanocomposite films via melting processing
US10278390B2 (en) Antimicrobial transparent plastic in the form of film or extruded shape
Jena et al. Toxicity and antibacterial assessment of chitosancoated silver nanoparticles on human pathogens and macrophage cells
Maillard et al. Silver as an antimicrobial: facts and gaps in knowledge
Cohen et al. In vitro analysis of a nanocrystalline silver-coated surgical mesh
Hernández-Rangel et al. Fabrication and in vitro behavior of dual-function chitosan/silver nanocomposites for potential wound dressing applications
Tan et al. Core–shell AgCl@ SiO2 nanoparticles: Ag (I)-based antibacterial materials with enhanced stability
US20090068089A1 (en) Novel method of manufacture of silver oxide nano particles
Yañez-Macías et al. Combinations of antimicrobial polymers with nanomaterials and bioactives to improve biocidal therapies
US20200306400A1 (en) Silver nanoparticles impregnated covers for electronic devices to combat nosocomial infections
KR102198915B1 (ko) 구리-철 합금의 나노분말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 및 항균용 조성물
CN102449063A (zh) 树脂成形体和显示器用保护板
US20120189534A1 (en) Method of manufacture of silver oxide nano particles
CN105565670A (zh) 一种陶瓷或搪瓷杀菌釉面材料及其制备方法及其应用
CN106110362A (zh) 一种空气净化剂
Chen et al. Antimicrobial coating: Tracheal tube application
Fauzi et al. Nanocomposites based on biocompatible polymers and graphene oxide for antibacterial coatings
Harun et al. The bactericidal potential of LLDPE with TiO2/ZnO nanocomposites against multidrug resistant pathogens associated with hospital acquired infections
Nqoro et al. Wound healing potential of sodium alginate-based topical gels loaded with a combination of essential oils, iron oxide nanoparticles and tranexamic ac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