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5674B1 - 빗물 저수조 - Google Patents

빗물 저수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5674B1
KR101815674B1 KR1020170093408A KR20170093408A KR101815674B1 KR 101815674 B1 KR101815674 B1 KR 101815674B1 KR 1020170093408 A KR1020170093408 A KR 1020170093408A KR 20170093408 A KR20170093408 A KR 20170093408A KR 101815674 B1 KR101815674 B1 KR 1018156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ainwater
water tank
reservoir
collect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3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동
Original Assignee
(주) 디케이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디케이금속 filed Critical (주) 디케이금속
Priority to KR1020170093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56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5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56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rain-water
    • E03B3/03Special vessels for collecting or storing rain-water for use in the household, e.g. water-but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1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water supply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00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 E03B1/04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supply
    • E03B1/041Greywater supply systems
    • E03B2001/047Greywater supply systems using rainw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빗물 저수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저수조의 상부와 외부 둘레에 상부집수부와 외곽집수부를 형성하여 상부집수부로 받쳐지는 빗물은 상부저수조로 유입되고, 외곽집수부로 받쳐지는 빗물은 하부저수조로 받쳐지게 하며, 상부집수부의 바닥에 형성되는 배수홀의 상면을 솔이 구비된 이물질 밀어냄구로서 외측으로 쓸어내어 나뭇잎과 같은 큰 이물질은 외부로 밀려남과 더불어 흙먼지와 같은 이물질은 이물질모임홈에 모였다가 추후에 제거하도록 하여 배수홀이 막힘없이 상부집수부에 받쳐지는 빗물이 상부저수조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부 일측에 월류부(22)가 설치되고 하부 일측에는 밸브(23)를 구비한 배수관(24)이 설치되는 상부저수조(101)의 상측에 접시형으로 형성되는 상부집수부(10)가 설치되어 상부집수부(10)에 집수되는 빗물이 상부저수조(101)로 유입되게 하는 빗물저수조(100)에 있어서, 상기 상부저수조(101)의 하방에는 상부저수조(101) 보다 폭이 넓으며 펌프(36)를 구비한 배수관(35)이 설치되는 하부저수조(32)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집수부(10)는 중앙에 축관통홀(12)이 형성되며, 이 축관통홀(12)의 외주연 상부집수부(10)의 바닥면에 수개의 배수홀(13)이 관통 형성되고, 배수홀(13) 외주연측 상부집수부(10)의 바닥면 전둘레에는 이물질모임홈(11)이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축관통홀(12)에는 상측에 풍력팬(1)이 설치되는 회전축(2)이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고, 이 축관통홀(12) 상측의 회전축(2)에 고정 설치되는 회전판(16)의 하부에는 회전판(16)의 편심된 위치에서 회전 반대방향으로 솔이 소정의 각도(a)만큼 젖혀지도록 1자형 솔(17)이 간격을 두고 설치된 이물질 밀어냄구(15)가 설치되며, 상기 상부집수부(10) 하측의 상부저수조(101) 외주연 전둘레에는 하부면이 상향 경사진 외곽집수부(30)를 나선형으로 설치하되, 상측은 월류부(22)와 통하고 하측에는 하단부가 하부저수조(32)로 투입되는 낙수관(31)이 하향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빗물 저수조{Rainwater reservoir}
본 발명은 빗물 저수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저수조의 상부와 외부 둘레에 상부집수부와 외곽집수부를 형성하여 상부집수부로 받쳐지는 빗물은 상부저수조로 유입되고, 외곽집수부로 받쳐지는 빗물은 하부저수조로 받쳐지게 하며, 상부집수부의 바닥에 형성되는 배수홀의 상면을 솔이 구비된 이물질 밀어냄구로서 외측으로 쓸어내어 나뭇잎과 같은 큰 이물질은 외부로 밀려남과 더불어 흙먼지와 같은 이물질은 이물질모임홈에 모였다가 추후에 제거하도록 하여 배수홀이 막힘없이 상부집수부에 받쳐지는 빗물이 상부저수조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빗물을 집수하여 재활용하는 종래발명은 특허출원 제10-2001-55541호(발명의 명칭 : 빗물 재활용 저수장치)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에 게재되어 알려지고 있다.
상기 종래발명은 도서, 산간지역 등에 장마철 또는 비올 때에 빗물을 받아서 장기간 저장해두었다가 필요시 재배되는 농산물에 바로 공급해줄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특히, 가뭄 때에 농가 및 일반생활용수로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산소를 공급하여 장기간 저장이 가능하도록 한 빗물 재활용 저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종래의 빗물 재활용 저수장치는, 빗물 배출구를 갖는 빗물 저장통과, 빗물 저장통의 직경보다 넓게 상부측에 형성되며, 빗물을 중심부로 집수하도록 중앙부가 낮게 형성된 접시형 빗물 받이부와, 빗물 받이부의 상부측에 이물질이 인입되지 않도록 형성된 빗물 투과용 걸름망과, 일단부측은 빗물 저장통의 내측 하단부까지 연장되게 형성되며, 보관된 빗물이 장기간동안 썩지 않게 산소를 공급하도록 형성된 산소공급파이프와, 상기 산소공급파이프에 형성되며 산소공급파이프를 따라 무동력에 의해 외부측 산소를 공급하도록 형성된 회전발생기를 갖는 산소공급펌프로 구성된다.
위와 같은 종래발명은 장마철 또는 비올 때에 빗물을 받아서 보관해두었다가 가뭄 시에 사용할 수 있으므로 가뭄을 대처해 나갈 수 있는 효과는 당연한 것이고, 저장통의 상부에 접시형 빗물 받이부를 설치하여 들판이나 처마 밑이나 아무 곳에서나 종래발명을 비치한 뒤에 빗물을 받아두었다가 필요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이는 빗물을 접시형 빗물 받이부로만 받기 때문에 접시형 빗물 받이부의 넓이를 최대한 넓게 제작해야 하므로, 접시형 빗물 받이부의 넓이가 하측의 빗물 저장통 보다 과다하게 너무 크며, 빗물 저장통의 하부면은 지면을 충분히 지지할 면적을 구비하지 못하여 전도의 위험성이 있었다.
특히, 빗물 저장통에 빗물이 담겨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바람이 조금만 강하게 부는 경우에는 그 바람에 의해 종래발명이 넘어지게 되는 구조적인 문제를 지니고 있었다.
특허출원 제10-2001-55541호(발명의 명칭 : 빗물 재활용 저수장치)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부저수조를 상부저수조 보다 넓게 제작 형성하여 빗물 저수조의 전도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하고, 상부저수조의 상부와 외부 둘레에 상부집수부와 외곽집수부를 설치하여 상부집수부로 받쳐지는 빗물은 상부저수조로 유입되고, 외곽집수부로 받쳐지는 빗물은 하부저수조로 받쳐지게 하여 빗물의 저수량을 확대할 수 있게 하며, 상부집수부의 상부에는 상부집수부에 떨어지는 나뭇잎이나 흙먼지 등의 이물질을 배수홀의 외측으로 쓸어내는 이물질 밀어냄구를 설치하여 이물질이 상부저수조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 일측에 월류부가 설치되고 하부 일측에는 밸브를 구비한 배수관이 설치되는 상부저수조의 상측에 접시형으로 형성되는 상부집수부가 설치되어 상부집수부에 집수되는 빗물이 상부저수조로 유입되게 하는 빗물저수조에 있어서; 상기 상부저수조의 하방에는 상부저수조 보다 폭이 넓으며 펌프를 구비한 배수관이 설치되는 하부저수조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집수부는 중앙에 축관통홀이 형성되며, 이 축관통홀의 외주연 상부집수부의 바닥면에 수개의 배수홀이 관통 형성되고, 배수홀 외주연측 상부집수부의 바닥면 전둘레에는 이물질모임홈이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축관통홀에는 상측에 풍력팬이 설치되는 회전축이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고, 이 축관통홀 상측의 회전축에는 배수홀 상면으로 접근하는 이물질을 외측으로 쓸어내는 이물질 밀어냄구가 설치되며; 상기 상부집수부 하측의 상부저수조 외주연 전둘레에는 하부면이 상향 경사진 외곽집수부를 나선형으로 설치하되, 상측은 월류부와 통하고 하측에는 하단부가 하부저수조로 투입되는 낙수관이 하향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빗물 저수조는, 하부저수조를 상부저수조 보다 넓게 제작 형성하여 빗물 저수조의 전도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하는 효과와, 상부저수조의 상부와 외부 둘레에 상부집수부와 외곽집수부를 형성하여 상부집수부로 받쳐지는 빗물은 상부저수조로 유입되고, 외곽집수부로 받쳐지는 빗물은 하부저수조로 받쳐지게 하여 빗물의 저수량을 확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부집수부의 상부에는 상부집수부에 떨어지는 나뭇잎이나 흙먼지 등의 이물질을 배수홀의 외측으로 쓸어내는 이물질 밀어냄구를 설치하여 이물질이 상부저수조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본 발명은 도서, 산간지역, 들판 등은 물론이고 건물의 처마나, 슬라브 지붕에서 내려오는 빗물까지 함께 저수할 수 있는 매우 실용적인 효과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는 동파방지수단이 포함되어 동절기에 동파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하부저수조를 매설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이물질 밀어냄구의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이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삼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삼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8의 (가)는 본 발명의 일, 이실시예를 슬라브지붕 아래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치상태도.
도 8의 (나)는 본 발명의 삼실시예를 슬라브지붕 아래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치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외곽집수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저수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빗물저수조(100)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되고 상부 일측에 월류부(22)가 외향 설치되고 하부에 밸브(23)를 구비한 배수관(24)이 설치되는 상부저수조(101)가 구비되고, 이 상부저수조(101)의 상부에는 접시형 상부집수부(10)가 끼움식으로 분리 가능하게 삽입 설치된다.
상기 상부집수부(10)는 중앙 바닥면이 평평하며 외주연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중앙에는 축관통홀(12)이 형성되며, 이 축관통홀(12)의 외주연 상부집수부(10)의 바닥면에 수개의 배수홀(13)이 관통 형성되고, 배수홀(13) 외주연 상부집수부(10)의 바닥면 전둘레에는 이물질모임홈(11)이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이 이물질모임홈(11)에는 상부가 개방된 수개의 이물질모임통(14)이 분리 가능하게 삽입 설치된다.
이때, 이물질모임홈(11)에는 이물질모임통(14)을 설치하지 않고, 이물질모임홈(11)의 일측 하부에 상부저수조(101)의 외부로 나가는 배수관(44)을 설치하고, 그 배수관(44)에는 밸브(43)를 설치하여 이물질모임홈(11)에 모이는 토사 등의 이물질을 배수관(44)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음을 밝혀둔다.
그리고, 축관통홀(12)에는 회전축(2)을 상하로 관통되게 설치하되, 이 회전축(2)의 상측에 풍력팬(1)이 설치되고 하단부는 상부저수조(101)의 내부 바닥면에 구비되는 축지지부(21)에 회전 지지되고 축지지부(21) 상측의 회전축(2)에는 회전날개(4)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축관통홀(12) 상측의 회전축(2)에는 배수홀(13) 상면으로 접근하는 이물질을 외측으로 쓸어내는 이물질 밀어냄구(15)를 설치하되, 이 이물질 밀어냄구(15)는 도 1, 2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전축(2)에 고정 설치되는 회전판(16)의 하부에는 1자형 솔(17)이 간격을 두고 설치하는데, 이는 1자형 솔(17)을 2~4개를 설치할 수 있으나, 양측에 1개씩 2개만 설치해도 무방하다.
이 솔(17)은 회전판(16)의 편심된 위치에서 회전 반대방향으로 소정의 각도(a)만큼 젖혀지게 설치되어 솔(17)의 회전궤적 내에 위치하는 이물질(102)을 이물질모임통(14)측으로 쓸어 내도록 설치된다.
위에서 상기 솔(17)이 1자형으로 형성되면서 회전판(16)이 회전하는 반대방향으로 젖혀지게 설치되었다고 설명하였으나, 원판형으로 형성되는 회전판(16)의 하부 전체에 링형으로 솔이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회전판(16)의 하부에는 외주연에 베어링(b)이 끼워지는 보스부(16a)가 형성되고, 베어링(b)은 축관통홀(12)의 내주연에 회전 지지되게 설치되며, 축지지부(21)에 회전 지지되는 회전축(2)의 하단부에도 베어링(b)이 끼워져 회전축(2)의 하단부를 회전을 지지한다.
또한, 상기 상부집수부(10)의 바닥면에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이물질모임홈(11)의 외주연은 상부저수조(101)의 상부 내주연에 끼워지게 설치되나, 이물질모임홈(11)과는 무관하게 상부저수조(101)의 상부 외주연에 끼워지는 끼움돌기(10a)를 형성해도 된다.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집수부(10) 하측의 상부저수조(101) 외주연 전둘레에는 하부면이 상향 경사진 외곽집수부(30)를 나선형으로 설치하되, 상측은 월류부(22)와 통하고 하측에는 하단부가 하부저수조(32)로 투입되는 낙수관(31)이 하향 설치되어 외곽집수부(30)에 받혀지는 빗물이 하부저수조(32)로 유입되게 된다.
상기 상부저수조(101)는 상부저수조(101) 보다 넓은 하부저수조(32) 상에 얹히게 설치되고, 이 하부저수조(32)의 하단부에는 펌프(36)를 구비한 배수관(35)이 설치되는데, 이 하부저수조(32)는 도 1에서와 같이 지면(7) 하측에 매설할 수 있으며, 이렇게 하부저수조(32)를 매설하는 경우는 본 발명에 의한 빗물저수조(100)가 비치되는 지면(7) 주변에 배수도랑(37)을 설치하고, 이 배수도랑(37)과 하부저수조(32)의 상부 사이에는 유입관(39)을 연결 설치한다.
상기 하부저수조(32)는 지면(7)에 반드시 매설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도 8에서와 같이 건물(5)이 세워진 지면(7)에 하부저수조(32)를 올려놓아도 무방하다.
도 1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저수조(101)는 동파 방지를 위하여 외부케이스(27)의 내부에 합성수지재와 같이 신축이 가능한 소재로 형성된 내부물탱크(20)를 간격을 두고 삽입 설치하되, 외부케이스(27)와 내부물탱크(20)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25)에 수개의 간격유지구(26)를 간격을 두고 설치하여 추후 내부물탱크(20) 내의 물이 얼어서 부피가 팽창하는 것에 대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하부저수조(32)의 경우에는 하부저수조 본체(33)의 외부면에 보온재(34)를 설치하여 동파에 대비하게 하였으며, 하부저수조(32)의 내부에는 기포발생기(28)를 설치하여 저수된 물의 부패를 최소화하고, 하부저수조(32)의 내부에는 상부저수조(101)의 무게를 지탱하는 수개의 지지대(32a)를 수직 설치하였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집수부(10)의 상부에는 지지대(8a)를 상향 설치하여 지지대(8a)에 모터(8)를 설치한 뒤에 모터(8)의 주축과 회전축(2)을 벨트 또는 체인(18)으로 연결하여 회전축(2)을 회전시킬 수 있고, 상부집수부(10)의 타측에 지지대(9a)를 별도로 설치한 뒤에, 그 지지대(9a)에 태양전지모듈(9)을 설치하여 본 발명에 설치되는 모터와 펌프, 기포발생기(28)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이실시예는 빗물저수조(100) 전체를 사각형으로 형성한 것으로서, 원형으로 형성한 일실시예와는 사각과 원형으로 형상만 다르게 형성하고 구조는 동일하다.
그리고, 도 6, 7 및 도 8의 (나)에 도시한 삼실시예는 빗물저수조(100)를 직사각 형태로 길게 형성하여 건물(5)의 처마 밑이나, 슬라브 지붕아래 설치하되, 일측을 건물(5)의 벽면(5a)에 근접 설치하는 부분에는 상부집수부(10)와 외곽집수부(30)를 "ㄷ"자 형태로 형성하였으며, 외곽집수부(30)를 "ㄷ"자 형태로 형성하되, 양측은 전방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하고, 양전방측의 낮은 부분을 외곽집수부(30)를 구성하는 경사판재를 연결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외곽집수부(30)의 낮은 쪽에 낙수관(31)을 각각 하향 설치하였고, 삼실시예는 건물(5)의 하측에 설치하는 위치에 따라 외곽집수부(30)를 "ㄴ"자로 설치할 수 도 있으며, 위에서 언급한 일실시예와 달라진 부분외의 모든 구조는 일실시예와 동일하다.
즉, 상기 상부집수부(10) 하측의 상부저수조(101) 외부에는 하부면이 상향 경사진 수개의 외곽집수부(30)를 설치하되, 최 상측에 설치되는 외곽집수부(30)의 상측은 월류부(22)와 통하고 하측에는 낙수관(31)이 하향 설치되며, 두 번째부터 그 아래의 외곽집수부(30)는 하측에 낙수관(31)이 하향 설치되어 하측으로 빗물을 낙수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9는 일 내지 삼실시예에 포함되는 외곽집수부(30)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써, 이는 낙수관(31)이 설치되는 외곽집수부(30)의 경사진 하부에 수개의 배수홀(30a)을 높은 쪽에서 낮은 쪽으로 형성하며, 수개의 배수홀(30a)을 형성한 외곽집수부(30)의 경사진 하부에 경사안내부(42)가 낙수관(31)과 통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배수홀(30a) 상측에는 하측에 솔(41)이 회전되게 설치되는 모터(40)를 설치하는데, 이 모터(40)는 외곽집수부(30)의 상부, 또는 그 에 대응하는 상부저수조(101)의 벽면에 설치하여 배수홀(30a)이 이물질에 막히지 않게 한다.
도면 부호중 미설명 부호 "38"은 배수도랑(37)의 상부를 덮는 도랑덮개망이고, "3"은 회전축(2)이 길 경우에 길이가 긴 회전축(2)을 분리형성한 뒤에 이들을 연결하는 축연결구이며, 도랑덮개망(38)의 상부에도 도 9에 도시된 솔(41)이 설치된 모터(40)를 설치하여 솔(41)이 설치된 부분에서의 도랑덮개망(38)이 이물질에 의해 막히는 것을 막을 수 있으며, "6"은 건물의 지붕에서 아래로 빗물이 내려가게 하는 배수관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도 1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빗물저수조(100)는 도 8과 같이 건물(5)의 슬라브 지붕 아래에 본 발명을 설치하거나, 도서, 산간지역, 들판 등 어느 곳에나 설치할 수 있는데, 도 8가 같이 하부저수조(32)를 지면(7)에 매설하지 않고 올려놓거나, 도 1과 같이 하부저수조(32)를 지면(7) 아래에 매설할 수 도 있다.
도 1과 같이 하부저수조(32)를 지면(7) 아래에 매설하는 경우는 하부저수조(32)를 매설하면서 배수관(35)을 상향 설치하여 펌프(36)를 포함한 배수관(35)의 상단부가 지상으로 노출되게 설치해야 하며, 더 많은 빗물을 집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빗물저수조(100)를 매설하는 주변 지면(7)에 배수도랑(37)을 설치하고, 그 배수도랑(37)과 하부저수조(32)의 상부를 유입관(39)으로 연결하면 빗물저수조(100) 주변의 지면(7)으로 흐르는 빗물이 도랑덮개망(38)을 통하여 배수도랑(37)으로 흘러내리고, 뒤이어 유입관(39)을 통해 하부저수조(32)로 유입된다.
이때,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랑덮개망(38)의 상부에 솔이 달린 모터를 설치하면 모터의 회전에 의해 솔이 회전하면서 도랑덮개망(38)의 상부에 얹히는 나뭇잎 등의 이물질이 솔이 회전하는 부분에서는 외측으로 밀어내어 그 부분이 막히지 않아 빗물이 하부저수조(32)로 유입되게 된다.
이렇게 빗물저수조(100)를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장소에 비치하면, 상측의 풍력팬(1)이 바람이 부는 경우에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는 상부저수조(101)와 하부저수조(32)이 빗물이 담겨져 있을 때나, 담겨지지 않은 상태라도 바람만 불면 풍력팬(1)이 회전하게 되고, 이와 같은 풍력팬(1)의 회전에 의해 회전축(2)이 회전하게 된다.
위와 같이 회전축(2)이 회전하면 회전축(2)에 설치된 이물질 밀어냄구(15)와 회전날개(4)가 모두 회전하게 되는데, 이물질 밀어냄구(15)는 상부집수부(10)의 바닥면 상측에서 회전하면서 상부집수부(10)의 바닥면으로 떨어지는 나뭇잎이나 흙먼지 등의 각종 이물질을 빗자루로 쓸듯이 쓸어내게 된다.
이 이물질 밀어냄구(15)는 도 1, 2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전판(16)의 하측에 1자형으로 형성한 한 쌍의 솔(17)이 회전판(16)의 편심된 위치에서 회전 반대방향으로 소정의 각도(a)만큼 젖혀지게 설치되어 솔(17)의 회전궤적 내에 위치하는 이물질(102)을 이물질모임통(14)측으로 쓸어 내게 된다.
이렇게 이물질 밀어냄구(15)가 회전할 때, 솔(17)은 상부집수부(10)의 바닥면에 형성된 배수홀(13)의 상면을 쓸고 지나가기 때문에 배수홀(13)의 상면 주변에 있는 이물질은 솔(17)의 회전궤적 외측으로 밀려나가게 되고, 그 외측의 바닥면에는 이물질모임홈(11) 오목하게 원형테 형태로 형성되고, 그 이물질모임홈(11)에는 상부가 개방된 수개의 이물질모임통(14)이 삽입되어서 솔(17)에 의해 외측으로 쓸려나가는 이물질은 이물질모임통(14)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렇게 이물질모임통(14)측으로 쓸려나가는 이물질 중에 흙먼지와 같이 입자가 작은 것은 이물질모임통(14)으로 들어가나, 이물질모임통(14)의 개구부 보다 큰 나뭇잎과 같은 이물질은 이물질모임통(14)으로 들어가지 않고 외측으로 밀려나가기만 하고 솔(17)이 쓸고 지나가는 배수홀(13)은 막히지 않고 열린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비가 내리게 되면, 상부집수부(10)는 큰 접시형태로 형성되어서 상부집수부(10)의 상부에 빗물이 받쳐지게 되는데, 위에서의 설명에서와 같이 이물질 밀어냄구(15)의 회전에 의해 배수홀(13)이 열린 상태이므로 상부집수부(10)로 받쳐지는 빗물은 배수홀(13)을 통하여 상부저수조(101)의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그리고, 위와 같이 회전축(2)이 회전할 때는 상부저수조(101) 내측 하부의 회전축(2)에 설치된 회전날개(4)도 함께 회전하여 상부저수조(101)에 담겨지는 물을 휘젓게 되어 상부저수조(101)에 담겨진 빗물의 부패를 지연시키게 된다.
또한, 비가 내릴 때는 위에서 아래로 수직하게만 내리는 것이 아니고 바람의 영향으로 빗물이 경사지게 들이치게 되는데, 이렇게 경사지게 들이치는 빗물은 상부저수조(101)의 외벽면측으로 들이치면서 상부저수조(101)의 외면벽에 설치된 외곽집수부(30)로 떨어지게 거나 상부저수조(101)의 외벽면에 부딪친 빗물이 아래로 흘러내리면서 외곽집수부(30)로 유입되게 된다.
이때,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도 5에 도시된 이실시예는 상부저수조(101)의 외주면에 외곽집수부(30)이 나선형으로 설치되어서 상부저수조(101)의 외부측으로 들이치는 빗물은 외곽집수부(30)에 받쳐지게 되고, 외곽집수부(30)로 유입된 빗물은 나선형으로 설치된 외곽집수부(30)의 위에서부터 아래로 흘러내리게 된다.
이러한, 외곽집수부(30)의 하측에는 낙수관(31)이 하향 설치되는데, 낙수관(31)의 하단부가 하부저수조(32)로 삽입되어서 상부저수조(101)의 외측으로 들이치는 빗물은 외곽집수부(30)을 따라 회전미끄럼틀과 같이 하측으로 안내되면서 하부저수조(32)에 담겨지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이 상부집수부(10)로 내리는 빗물이 상부저수조(101)의 내부로 유입되다가 만수위까지 차게 되면, 상부저수조(101)의 상부측 외측에 외향 설치된 월류부(22)가 외곽집수부(30)의 상부와 통하게 되어 상부저수조(101)의 만수위까지 차는데도 빗물이 계속 유입되는 경우에는 월류부(22)로 배수되게 되고, 뒤이어 외곽집수부(30)의 상부에서 하부측으로 흘러내리면서 낙수관(31)을 통하여 하부저수조(32)에 담겨지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외곽집수부(30)에 안내되면서 낙수관(31)으로 빗물이 흘러내릴 때, 외곽집수부(30)로 이물질이 유입되면 낙수관(31)의 상측 입구가 막힐 수 있는데, 이때는 도 9에서와 같이 낙수관(31)이 설치되는 외곽집수부(30)의 경사진 하부에 수개의 배수홀(30a)이 높은 쪽에서 낮은 쪽으로 형성되고, 배수홀(30a) 하측의 외곽집수부(30)의 경사진 하부에 경사안내부(42)가 낙수관(31)과 통하게 설치되며, 배수홀(30a) 상측에는 모터(40)에 의해 회전되는 솔(41)이 설치되어서 배수홀(30a)을 막는 이물질을 외측으로 밀어내어 솔(41)이 회전하는 부분의 배수홀(30a) 막히지 않게 한다.
따라서, 외곽집수부(30)를 따라 내려오는 빗물이 그렇게 열리는 배수홀(30a)을 통하여 경사안내부(42)측으로 유입되고, 뒤이어 낙수관(31)을 통하여 하부저수조(32)로 유입되게 되며, 상기 솔(41)이 회전하지 않는 경우라도 배수홀(30a)이 다수개가 경사지게 연속적으로 형성되어서 배수홀(30a)이 모두 막히지 않는 이상 어느 하나의 배수홀(30a)이 열려있으면 그 열린 배수홀(30a)을 통하여 경사안내부(42)로 유입되어 최종적으로 하부저수조(32)로 빗물이 유입되게 된다.
도 6과 도 7에 도시된 삼실시예는 상부저수조(101)에 일, 이실시예와는 달리 외곽집수부(30)가 상부저수조(101)의 외벽면에 나선형으로 설치되지 않고, 설치하는 건물의 위치에 따라 "ㄷ"자나, "ㄴ"자 형태로 경사지게 다단으로 설치되어있고, 각각의 외곽집수부(30)의 하부에는 낙수관(31)이 각각 개별적으로 설치되어서 상측의 외곽집수부(30)에 받쳐지는 빗물이 그 해당 외곽집수부(30)의 낙수관(31)으로 낙수되면서 그 하측에 설치된 또 다른 외곽집수부(30)로 낙수되며 최종적으로 하부저수조(32)로 유입되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을 이용하여 빗물을 상부저수조(101)와 하부저수조(32)에 저수하는 과정이나,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경우에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물질모임홈(11)에 삽입되어 있는 이물질모임통(14)을 분리하여 그 내측에 담겨진 흙먼지나 토사 등의 이물질을 제거한 뒤에, 그 이물질모임통(14)을 이물질모임홈(11)에 다시 삽입하여서 비교적 오염되지 않은 빗물을 저수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배수관(44)은 이물질모임홈(11)의 하측에서 상부저수조(101)의 외부로 나오게 설치되어서 이물질모임홈(11)에 이물질모임통(14)을 설치하지 않고,이물질모임홈(11)에 모이는 이물질을 배수관(44)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저수조(101)는 동파 방지를 위하여 외부케이스(27)의 내부에 합성수지재와 같이 신축이 가능한 소재로 형성된 내부물탱크(20)를 간격을 두고 삽입 설치하되, 외부케이스(27)와 내부물탱크(20)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25)에 수개의 간격유지구(26)를 간격을 두고 설치하여 추후 내부물탱크(20) 내의 물이 얼어서 부피가 팽창하는 경우에 공간부(25)가 확보되어서 내부물탱크(20)가 팽창하는 것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물이 들어 있는 내부물탱크(20)의 외주연에 공간부(25)가 형성되고 그 외부면에 외부케이스(27)가 설치되어서 단열효과가 있게 되고, 상기 공간부(25)에 신축이 가능한 단열재를 설치하는 경우에 더욱더 우수한 단열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부저수조(32)의 경우에는 하부저수조 본체(33)의 외부면에 보온재(34)를 설치하여 동파에 대비하게 하였으며, 하부저수조(32)의 내부에는 상부저수조(101)의 무게를 지탱하는 수개의 지지대(32a)를 수직 설치하서 상부저수조(101)에 다량의 물이 담겨져서 상부저수조(101)의 무게가 무거운 경우에 하측의 하부저수조(32)는 상기 지지대(32a)에 의해 수직방향으로의 지지력이 증대되어 하부저수조(32)가 받침대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태양전지모듈(9)에서 얻어진 전기로서, 본 발명에 포함되는 모터(8,40)와 펌프(36), 그리고 기포발생기(28)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상부집수부(10)에 설치되는 모터(8)의 주축과 회전축(2)을 벨트 또는 체인(18)으로 연결하여 회전축(2)을 회전시켜서 이물질 밀어냄구(15)와 회전날개(4)를 회전시키게 되고, 도 9의 외곽집수부(30)에 설치된 모터(40)는 솔(41)을 회전시키며, 도 1에 도시된 펌프(36)는 하부저수조(32)를 지면 아래 매설했을 때, 지상으로 상향 설치하는 배수관(35) 상에 노출되게 설치되는 펌프(36)를 동작시킬 수 있고, 하부저수조(32) 내측의 기포발생기(28)도 태양전지모듈(9)에서 얻어지는 전원에 의해 동작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빗물저수조(10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저수조(101)의 상부에서 상부집수부(10)를 분시킬 수 있는 구조로 설치되어서 청소 등의 유지관리가 필요한 경우에는 상부집수부(10)를 상측이 개방된 상부저수조(101)의 상측에서 분리하여 필요로 하는 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 : 풍력팬 2 : 회전축 3 : 축연결구
4 : 회전날개 5 : 건물 6, 24, 35, 44 : 배수관
7 : 지면 8, 40 : 모터 9 : 태양전지모듈
10 : 상부집수부 11 : 이물질모임홈 12 : 축관통홀
13 : 배수홀 14 : 이물질모임통 15 : 이물질 밀어냄구
16 : 회전판 17, 41 : 솔 18 : 벨트 또는 체인
20 : 내부물탱크 21 : 축지지부 22 : 월류부
23, 43 : 밸브 25 : 공간부 26 : 간격유지구
27 : 외부케이스 28 : 기포발생기 30 : 외곽집수부
31 : 낙수관 32 : 하부저수조 33 : 하부저수조 본체
34 : 보온재 36 : 펌프 37 : 배수도랑
38 : 도랑덮개망 39 : 유입관 42 : 경사안내부
100 : 빗물저수조 101 : 상부저수조 102 : 이물질

Claims (6)

  1. 상부 일측에 월류부(22)가 설치되고 하부 일측에는 밸브(23)를 구비한 배수관(24)이 설치되는 상부저수조(101)의 상측에 접시형으로 형성되는 상부집수부(10)가 설치되어 상부집수부(10)에 집수되는 빗물이 상부저수조(101)로 유입되게 하는 빗물저수조(100)에 있어서,
    상기 상부저수조(101)의 하방에는 상부저수조(101) 보다 폭이 넓으며 펌프(36)를 구비한 배수관(35)이 설치되는 하부저수조(32)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집수부(10)는 중앙에 축관통홀(12)이 형성되며, 이 축관통홀(12)의 외주연 상부집수부(10)의 바닥면에 수개의 배수홀(13)이 관통 형성되고, 배수홀(13) 외주연측 상부집수부(10)의 바닥면 전둘레에는 이물질모임홈(11)이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축관통홀(12)에는 상측에 풍력팬(1)이 설치되는 회전축(2)이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고, 이 축관통홀(12) 상측의 회전축(2)에 고정 설치되는 회전판(16)의 하부에는 회전판(16)의 편심된 위치에서 회전 반대방향으로 솔이 소정의 각도(a)만큼 젖혀지도록 1자형 솔(17)이 간격을 두고 설치된 이물질 밀어냄구(15)가 설치되며,
    상기 상부집수부(10) 하측의 상부저수조(101) 외주연 전둘레에는 하부면이 상향 경사진 외곽집수부(30)를 나선형으로 설치하되, 상측은 월류부(22)와 통하고 하측에는 하단부가 하부저수조(32)로 투입되는 낙수관(31)이 하향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저수조.
  2. 상부 일측에 월류부(22)가 설치되고 하부 일측에는 밸브(23)를 구비한 배수관(24)이 설치되는 상부저수조(101)의 상측에 접시형으로 형성되는 상부집수부(10)가 설치되어 상부집수부(10)에 집수되는 빗물이 상부저수조(101)로 유입되게 하는 빗물저수조(100)에 있어서,
    상기 상부저수조(101)의 하방에는 상부저수조(101) 보다 폭이 넓으며 펌프(36)를 구비한 배수관(35)이 설치되는 하부저수조(32)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집수부(10)는 중앙에 축관통홀(12)이 형성되며, 이 축관통홀(12)의 외주연 상부집수부(10)의 바닥면에 수개의 배수홀(13)이 관통 형성되고, 배수홀(13) 외주연측 상부집수부(10)의 바닥면 전둘레에는 이물질모임홈(11)이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축관통홀(12)에는 상측에 풍력팬(1)이 설치되는 회전축(2)이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고, 이 축관통홀(12) 상측의 회전축(2)에 고정 설치되는 회전판(16)의 하부에는 회전판(16)의 편심된 위치에서 회전 반대방향으로 솔이 소정의 각도(a)만큼 젖혀지도록 1자형 솔(17)이 간격을 두고 설치된 이물질 밀어냄구(15)가 설치되며,
    상기 상부집수부(10) 하측의 상부저수조(101) 외부에는 하부면이 상향 경사진 수개의 외곽집수부(30)를 설치하되, 최 상측에 설치되는 외곽집수부(30)의 상측은 월류부(22)와 통하고 하측에는 낙수관(31)이 하향 설치되며, 두 번째부터 그 아래의 외곽집수부(30)는 하측에 낙수관(31)이 하향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저수조.
  3. 삭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모임홈(11)에는 상부가 개방된 수개의 이물질모임통(14)이 분리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고,
    상기 낙수관(31)이 설치되는 외곽집수부(30)의 경사진 하부에 수개의 배수홀(30a)을 높은 쪽에서 낮은 쪽으로 형성하며, 수개의 배수홀(30a)을 형성한 외곽집수부(30)의 경사진 하부에 경사안내부(42)가 낙수관(31)과 통하게 설치되며, 배수홀(30a) 상측 소정위치에는 배수홀(30a)로 접근하는 이물질을 외측으로 밀어내는 솔(41)이 회전되게 설치되는 모터(40)를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저수조.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모임홈(11)의 하부 일측에는 밸브(43)가 구비된 배수관(44)이 상부저수조(101)의 외부로 나가게 설치되고,
    상기 낙수관(31)이 설치되는 외곽집수부(30)의 경사진 하부에 수개의 배수홀(30a)을 높은 쪽에서 낮은 쪽으로 형성하며, 수개의 배수홀(30a)을 형성한 외곽집수부(30)의 경사진 하부에 경사안내부(42)가 낙수관(31)과 통하게 설치되며, 배수홀(30a) 상측 소정위치에는 배수홀(30a)로 접근하는 이물질을 외측으로 밀어내는 솔(41)이 회전되게 설치되는 모터(40)를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저수조.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저수조(101)는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되며, 그 개방된 상부저수조(101)의 상부에 접시형 상부집수부(10)가 끼움식으로 분리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며,
    상기 상부저수조(101)는 동파 방지를 위하여 외부케이스(27)의 내부에 합성수지재와 같이 신축이 가능한 소재로 형성된 내부물탱크(20)를 간격을 두고 삽입 설치하되, 외부케이스(27)와 내부물탱크(20)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25)에 수개의 간격유지구(26)를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 하부저수조(32)는 하부저수조 본체(33)의 외부면에 보온재(34)가 설치되며, 하부저수조(32)의 내부에는 상부저수조(101)의 무게를 지탱하는 수개의 지지대(32a)가 수직 설치되고,
    상기 상부집수부(10)의 상부에는 모터(8)가 설치되는 지지대(8a)가 설치되고, 이 모터(8)의 회전력이 벨트 또는 체인(18)에 의해 회전축(2)을 회전시키게 설치되며, 상부집수부(10)의 타측에는 태양전지모듈(9)을 설치하는 지지대(9a)가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2)의 하단부는 상부저수조(101)의 내부 바닥면에 구비되는 축지지부(21)에 회전 지지되고 축지지부(21) 상측의 회전축(2)에는 회전날개(4)가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저수조.
KR1020170093408A 2017-07-24 2017-07-24 빗물 저수조 KR1018156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3408A KR101815674B1 (ko) 2017-07-24 2017-07-24 빗물 저수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3408A KR101815674B1 (ko) 2017-07-24 2017-07-24 빗물 저수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5674B1 true KR101815674B1 (ko) 2018-01-05

Family

ID=61001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3408A KR101815674B1 (ko) 2017-07-24 2017-07-24 빗물 저수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567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855U (ko) 2019-02-12 2020-08-21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조형물 기능을 갖는 빗물저수조
KR20200001854U (ko) 2019-02-12 2020-08-21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조형물 기능을 갖는 빗물저수조
CN113848296A (zh) * 2021-08-25 2021-12-28 广西先得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一体化水质监测系统
CN116427502A (zh) * 2023-02-14 2023-07-14 上海东方泵业(集团)有限公司 一种无负压二次供水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8135B2 (ja) * 1990-02-26 2000-02-14 ロレアル 物質包装ユニットと包装方法
KR101340799B1 (ko) * 2013-08-06 2013-12-11 수원시 빗물 집수장치 및 상기 집수장치를 이용한 집수활용시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8135B2 (ja) * 1990-02-26 2000-02-14 ロレアル 物質包装ユニットと包装方法
KR101340799B1 (ko) * 2013-08-06 2013-12-11 수원시 빗물 집수장치 및 상기 집수장치를 이용한 집수활용시설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855U (ko) 2019-02-12 2020-08-21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조형물 기능을 갖는 빗물저수조
KR20200001854U (ko) 2019-02-12 2020-08-21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조형물 기능을 갖는 빗물저수조
CN113848296A (zh) * 2021-08-25 2021-12-28 广西先得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一体化水质监测系统
CN113848296B (zh) * 2021-08-25 2023-10-31 广西先得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一体化水质监测系统
CN116427502A (zh) * 2023-02-14 2023-07-14 上海东方泵业(集团)有限公司 一种无负压二次供水设备
CN116427502B (zh) * 2023-02-14 2023-11-21 上海东方泵业(集团)有限公司 一种无负压二次供水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5674B1 (ko) 빗물 저수조
CN209082291U (zh) 一种海绵城市道路排水系统
KR101145104B1 (ko) 저수 가능한 태양광 발전용 블럭
CN110439059B (zh) 绿色建筑屋顶节水系统
CN214302102U (zh) 一种市政道路排水结构
KR101230572B1 (ko) 옥상 식재용 빗물 채수 및 저수 설비와 그 시공 방법
KR101927603B1 (ko) 자연유하식 산지 빗물 집수 시스템
CN111149557A (zh) 一种绿色长廊
CN213639137U (zh) 一种用于风景园林的景观装置
CN214116794U (zh) 一种矿山生态修复用绿植蓄水筒
KR20190020455A (ko) 빗물 집수판 및 이를 이용한 집수장치
CN213062304U (zh) 一种海绵城市蓄水循环系统
JP2002371597A (ja) 雨水集水方法
CN208329398U (zh) 能够收集雨水用于绿色植物种植的屋顶
CN109169183A (zh) 一种抗洪蓄水的灌溉系统
CN110344487B (zh) 一种海绵城市雨水收集系统
RU2027066C1 (ru) Энергетическая установка
CN115005054B (zh) 一种城市园林绿化用雨水储集灌溉器
CN206070639U (zh) 一种雨水收集/调蓄装置
CN204850020U (zh) 一种市政排水装置
CN220598577U (zh) 一种用于风景园林工程中的雨水收集装置
CN215630335U (zh) 一种园林绿化蓄水装置
CN214338852U (zh) 一种雨水花坛
CN216380294U (zh) 用于屋顶檐口排水的铝板结构
CN214430513U (zh) 一种海绵城市规划用的屋顶绿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