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854U - 조형물 기능을 갖는 빗물저수조 - Google Patents
조형물 기능을 갖는 빗물저수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01854U KR20200001854U KR2020190000601U KR20190000601U KR20200001854U KR 20200001854 U KR20200001854 U KR 20200001854U KR 2020190000601 U KR2020190000601 U KR 2020190000601U KR 20190000601 U KR20190000601 U KR 20190000601U KR 20200001854 U KR20200001854 U KR 20200001854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inwater
- storage unit
- collecting pipe
- rainwater collecting
- collected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5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9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2
- 239000003673 ground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651 drink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20188 drinking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ZSJDYOACSA-N Heavy water Chemical compound [2H]O[2H] XLYOFNOQVPJJNP-ZSJDYOAC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5924 Stenocarpus sinuat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35 industrial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47 percep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399 tap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79 tap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rain-water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6—Power conversion systems, e.g. maximum power point track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형물 기능을 갖는 빗물저수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면에 낙하된 빗물이 한 곳으로 모일 수 있도록 종(鍾) 모양으로 이루어진 빗물집수부; 상기 빗물집수부 하단으로 일정길이 형성되되, 상기 빗물집수부에 모인 모인 빗물이 내부로 유입되어 아래 방향으로 흐르도록 중공형으로 이루어진 꽃대 모양의 빗물집수관; 상기 빗물집수관의 하단부가 상면에 관통 형성된 끼움고정구에 삽입 고정되어 상단 빗물집수부에 모인 빗물이 상기 빗물집수관을 경유하여 한 곳으로 모일 수 있도록 중공형으로 이루어져 지면 또는 바닥면에 안정되게 설치되는 빗물저장부; 상기 빗물저장부의 외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한 개 이상 설치되어 빗물저장부 내부에 채워진 빗물을 배출 또는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빗물배출부;가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야외 공원이나 농촌 테마파크, 도시형 텃밭, 정원 등에 설치하여 자연친화전인 이미지를 갖는 조형물을 제공하면서 필요시에 저장된 빗물을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조형물 기능을 갖는 빗물저수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물의 꽃잎과 꽃대를 형상화한 빗물집수부와 빗물집수관을 구성하고, 집물집수관 하단에 빗물배출부가 구비된 빗물저장부를 구성하여 공원이나 농촌테마파크, 도시형 텃밭, 정원 등에 설치하여 자연친화전인 이미지를 갖는 조형물을 제공하면서 필요시에 저장된 빗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조형물 기능을 갖는 빗물저수조에 관한 것이다.
지구의 환경변화로 계절의 변화가 뚜렷하지 않으면서 계절에 관계없이 이상기온 및 기상이 나타나면서 인간의 삶에 많은 변화와 다양한 문제점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산업화가 가속화되고 환경오염이 심각해지면서 식수를 비롯한 농업용수 뿐만 아니라 공업용수 부족 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심각성을 가지고 대처하는 국가나 기관, 국민들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삶의 질이 향상될 수도록 물 사용량은 늘어나고 있고, 기후변화등으로 매년 강우량이 점점 줄어들면서 식수와 생활용수 부족사태가 자주 발생하지만, 대부분 그때만 물의 중요성이나 물부족 심각성을 느낄 뿐 근본적으로 물의 사용량을 줄이거나 절약하려는 노력은 기울이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근래에는 도시의 곳곳에 각종 테마파크나 공원이 조성되어 도시인들의 삶의 질을 높이고자 하는 노력을 하고 있으며, 도시 주변의 유휴지에는 텃밭 등을 만들어 다양한 농작물을 도시인들이 직접 재배하고 수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각종 공원이나 테마파크, 텃밭 등에는 다양한 수목이나 화초, 농작을 경작하는데 필요한 물은 지하수를 이용하기 어렵기 때문에 식수로 사용되는 수돗물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오히려 물사용량의 증가로 물부족문제를 가중시키는 형국이 연출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각종 생활용수의 확보를 위해 공공기관 등에서는 빗물을 모아 각종 생활용수로 사용할려는 사례가 점차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즉, 건물의 옥상이나 지하에 빗물저수조를 설치하여, 강우시 그냥 버려지는 빗물을 한 곳으로 모아서 조경용, 화재진압용 소방수, 화장실용 용수, 청소용 세척수 등으로 재활용하는 시도를 통해 부족한 물을 지혜롭게 사용할려고 하는 노력이 일부 시행되고 있기도 하다.
하지만, 종래와 같이 옥상이나 자하에 빗물저수조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많은 경제적 비용이 소요되고, 각종 건물의 설계단계에서부터 빗물 집수를 위한 방안을 고려하여야만 빗물저수조 설치가 가능한 정도이다.
또한, 종래의 빗물저수조는 직육면체 형상이나 원통형상 등 매우 단조로운 형상으로 이루어져 외부에 노출할 경우 미관상 좋지 않아 비노출형으로 설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그리고, 옥상이나 지하에 빗물저수조를 설치할 경우, 해당 건물에서만 빗물의 재활용이 가능할 뿐 다른 분야에 이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빗물저수조는 폐쇄형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물이 부족하여 빗물을 재활용하고 있다는 것에 대한 물의 중요성 내지는 물부족 현상을 시민들이 느낄 수 있도록 홍보하거나 전파하여 물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개선시키는 효과를 기대하기가 부족할 실정이었다.
한편, 종래 도시의 건축물 및 각종 공원 등에는 다양한 형태의 외부 조형물을 설치하여 공원의 특색을 표현하거나, 공원 이용자의 재미를 향상시키거나, 건축물의 이미지를 부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에 설치되는 대부분의 조형물은 석조물 또는 철구조물 등으로 이루어져 단순한 조형물 역할만 할 뿐 설치에 소요된 막대한 경제적 비용 대비 그 효과는 매우 미미한 실정이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빗물저수조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빗물저수조의 외관미를 향상시켜 조형물로서의 사용과 더불어 빗물의 효율적인 재활용을 통해 물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개선시킬 수 있도록 하는 조형물 기능을 갖는 빗물저수조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고안은 이동과 설치가 간편하고, 주변 환경에 맞는 친환경적 이미지를 갖는 조형물 제작이 가능하도록 하고, 빗물저장기능이 구비되어 조형물이 설치된 주변의 수목이나 화초, 농작물의 급수에 이용 가능하도록 하는 조형물 기능을 갖는 빗물저수조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조형물 기능을 갖는 빗물저수조는 상면에 낙하된 빗물이 한 곳으로 모일 수 있도록 종(鍾) 모양으로 이루어진 빗물집수부; 상기 빗물집수부 하단으로 일정길이 형성되되, 상기 빗물집수부에 모인 모인 빗물이 내부로 유입되어 아래 방향으로 흐르도록 중공형으로 이루어진 꽃대 모양의 빗물집수관; 상기 빗물집수관의 하단부가 상면에 관통 형성된 끼움고정구에 삽입 고정되어 상단 빗물집수부에 모인 빗물이 상기 빗물집수관을 경유하여 한 곳으로 모일 수 있도록 중공형으로 이루어져 지면 또는 바닥면에 안정되게 설치되는 빗물저장부; 상기 빗물저장부의 외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한 개 이상 설치되어 빗물저장부 내부에 채워진 빗물을 배출 또는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빗물배출부;가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빗물집수관은 빗물저장부 상면에 결합되는 메인 빗물집수관과, 복수개로 구성되어 상기 메인 빗물집수관의 내부로 빗물 유입이 가능하도록 메인 빗물집수관 외주연에 분리가능하게 각각 연결되는 보조 빗물집수관으로 구성되며, 상기 보조 빗물집수관의 상단부에는 별도의 빗물집수부가 각각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져 빗물의 집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빗물집수부 표면에는 태양광을 수광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되고, 상기 빗물집수관 또는 빗물저장부의 일측에는 상기 태양전지모듈에서 생산된 전기가 저장되는 충전배터리가 구비되며, 상기 빗물저장부 일측에는 상기 충전배터리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빗물저장부에 구비된 빗물배출구를 통해 빗물저장부에 저장된 빗물을 강제로 분사시키기 위한 빗물배수펌프 및 조작반이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구성 및 구조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조형물 기능을 갖는 빗물저수조는 도심 공원은 물론 농촌 테마공원, 텃밭, 정원 등에 설치하여 주변경관과 어울리는 조형물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여 많은 비용을 들여 설치하는 외부 경관 조형물을 대체할 수 있도록 하고, 강우시에 빗물을 모아 두었다가 급수가 필요한 수목이나 화초, 농작물 등에 급수가 가능하여 어디서나 수목, 화초, 농작물 등의 재배가 가능하도록 한다.
특히, 수도가 공급되지 않은 많은 지역에서 지하수를 이용하여 수목이나 화초, 농작물을 경작할 경우 많은 경제적 비용손실이 발생되었지만, 본 고안에 따른 빗물저수조를 설치하여 빗물을 모아 재사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지하수 고갈을 방지함은 물론 많은 경제적 비용지출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종래와 같이 건물의 옥상이나 지하수, 공공건물 등에 빗물저수 시설을 설치함으로 인해서 발생되었던 많은 비용지출을 줄일 수 있고, 외부에 노출되게 설치하여 누구나 이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빗물의 재활용 및 물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개선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빗물저수조는 그 이동과 설치가 용이하고, 설치할 장소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이 용이하여 이용자의 편리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빗물집수부 표면에 태양전지모듈을 설치하여, 태양전지모듈에서 생산된 전기를 충전배터리에 저장해두었다가 빗물저장부에 채워진 빗물을 사용할 경우, 빗물배수펌프를 이용하여 강제로 빗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빗물의 이용이 더욱 편리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형물 기능을 갖는 빗물저수조의 외관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형물 기능을 갖는 빗물저수조의 평면도와 저면도,
도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형물 기능을 갖는 빗물저수조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형물 기능을 갖는 빗물저수조에서 빗물집수부에 태양전지모듈이 설치된 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형물 기능을 갖는 빗물저수조의 외관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형물 기능을 갖는 빗물저수조의 평면도와 저면도,
도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형물 기능을 갖는 빗물저수조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형물 기능을 갖는 빗물저수조에서 빗물집수부에 태양전지모듈이 설치된 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형물 기능을 갖는 빗물저수조의 외관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조형물 기능을 갖는 빗물저수조(이하, ‘빗물저수조’ 약칭함)는 일반 가정 뿐만 아니라 텃밭이나 공공시설물, 야외 공원 등 어디에나 설치가능하고, 또한 주변 경관에 어울리는 형상이나 구조를 갖는 조형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그냥 버려지는 빗물을 집수해놓고 필요시에 저장된 빗물을 사용하여 화단이나 공원, 텃밭 등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빗물저수조를 제공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빗물저수조는 낙하된 빗물이 한 곳으로 모일 수 있도록 상면에 종(鍾) 모양으로 이루어진 빗물집수부; 상기 빗물집수부 하단으로 일정길이 형성되되, 상기 빗물집수부에 모인 모인 빗물이 내부로 유입되어 아래 방향으로 흐르도록 중공형으로 이루어진 꽃대 모양의 빗물집수관; 상기 빗물집수관의 하단부가 상면에 관통 형성된 끼움고정구에 삽입 고정되어 상단 빗물집수부에 모인 빗물이 상기 빗물집수관을 경유하여 한 곳으로 모일 수 있도록 중공형으로 이루어져 지면 또는 바닥면에 안정되게 설치되는 빗물저장부; 상기 빗물저장부의 외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한 개 이상 설치되어 빗물저장부 내부에 채워진 빗물을 배출 또는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빗물배출부;가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빗물집수관은 빗물저장부 상면에 결합되는 메인 빗물집수관과, 복수개로 구성되어 상기 메인 빗물집수관의 내부로 빗물 유입이 가능하도록 메인 빗물집수관 외주연에 분리가능하게 각각 연결되는 보조 빗물집수관으로 구성되며, 상기 보조 빗물집수관의 상단부에는 별도의 보조 빗물집수부가 각각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져 빗물집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빗물집수부 표면에는 태양광을 수광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되고, 상기 빗물집수관 또는 빗물저장부의 일측에는 상기 태양전지모듈에서 생산된 전기가 저장되는 충전배터리 및 충전배터리의 전력을 관리하는 제어조작부가 구비되며, 상기 빗물저장부 일측에는 상기 충전배터리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빗물저장부에 구비된 빗물배출구를 통해 빗물저장부에 저장된 빗물을 강제로 분사시키기 위한 분사펌프가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빗물저장부에 저장된 빗물을 다양한 용도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저수조(100)의 외관사시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저수조의 평면도와 저면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저수조(100)는 튤립 꽃 모양을 형상화하여 내부가 오목하게 패인 빗물집수부(10)가 상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빗물집수부(10)의 하단으로 꽃대 또는 줄기 모양을 갖는 중공형 구조의 빗물집수관(20)이 일정길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빗물집수관(20)의 하단부에는 원통형 모양의 빗물저장부(30)가 구비되어 상기 빗물집수부(10)에서 모여 빗물집수관(20)을 통과한 빗물이 빗물저장부(30)에 저장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빗물저장부(30)에 모인 빗물을 배출시키거나 인출할 수 있도록 상기 빗물저장부(30)의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빗물배출부(40)가 일정 간격으로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빗물을 모으는 빗물집수부(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뒤집어진 종(種)모양으로 이루어져 내부가 일정 깊이 패인 형태로 이루어져 그 내부에 빗물을 일정량 집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빗물집수부(10)에 모인 빗물을 빗물저장부(30)로 이동시키는 관(管) 형상의 빗물집수관(20)은 꽃 또는 꽃잎 모양을 이루는 빗물집수부(10)를 받쳐주는 구조로 이루어져 상단측 빗물집수부(10)와 하단측 빗물저장부(30)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빗물저장부(30)는 이단구조로 이루어져 상단부보다는 하단부가 더 넓은 표면적, 즉 더 큰 외경을 갖도록 구성되어 그 내부에 빗물이 채워질 경우 지면에 안정된 자세가 유지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빗물저장부(30)의 형상은 원통형 이외에도 다양한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빗물집수부(10)의 내측 중앙부에는 일정 크기의 빗물유입공(15)이 형성되어 그 하단으로 결합되는 빗물집수관(20)으로 빗물이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빗물저장부(30)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빗물저장부(30)의 내측에 저장된 빗물을 배출하거나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빗물배출부(40)는 개폐 가능한 마개가 구비된 배수구나 빗물을 멀리 분사할 수 있는 노즐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빗물저장부(30)의 내외측에 펌프를 설치하여 복수개의 노즐을 통해 외부로 빗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고, 펌프 구동을 위한 전기장치 등은 빗물저장부 외측에 별도로 부착 설치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저수조(100)의 분해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저수조(100)의 빗물집수부(10)는 빗물을 모으기 용이하도록 상단 테두리부가 하단부보다 더 넓은 외경 또는 폭을 갖도록 구성되고, 그 깊이 또한 일정량의 빗물이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뒤집어진 종(種) 모양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빗물집수부(10) 내측으로 모인 빗물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그 바닥면 중앙에 빗물배수공(15)이 일정 크기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빗물집수부(10)의 하단, 즉 빗물배수공(15)에 중공형 관 형상의 빗물집수관(20) 상단부가 결합되며, 상기 빗물집수관(20)의 하단부는 빗물저장부(30)의 상면 중앙에 형성된 끼움고정공(32)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빗물집수관(20)의 상단부와 결합되는 빗물집수부(10)의 빗물배수공(15) 및 빗물집수관(20)의 하단부와 결합되는 빗물저장부(30)의 끼움고정공(32)에는 빗물집수관(20)의 연결과 분리가 용이하도록 나사형 체결수단(도시생략)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막대형상의 빗물집수관(20)의 상하단부 외주연에 나사부를 형성하고, 빗물집수부(10)의 빗물배수공(15) 저면과 빗물저장부(30)의 끼움고정공(32) 상면에 너트형 암나사를 결합시켜 빗물집수관과(20)의 체결과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누구나 쉽게 빗물저수조(10)의 설치와 해체가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5에는 상술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저수조(10)의 빗물집수부(10) 내표면에 태양전지모듈(50)을 설치하고, 상기 빗물집수관(20) 또는 빗물저장부(30)의 일측에는 상기 태양전지모듈(50)에서 생산된 전기가 저장되는 충전배터리(55) 및 충전배터리(55)의 전력을 관리하는 제어조작부(57)가 구비되며, 상기 빗물저장부(30) 일측에는 상기 충전배터리(55)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빗물저장부(30)에 구비된 빗물배출부(40)를 통해 빗물을 강제로 배출 또는 분사시키기 위한 뷴사펌프(60)가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고안에 따른 빗물저수조(100)는 야외에 설치되어 조형물 기능을 갖도록 구성되므로, 강우시에 빗물을 받아 일정량 저장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과 더불어 날씨가 좋은 날에는 태양광 수광이 용이한 빗물집수부(10) 표면에 태양전지모듈을 설치하여 태양광발전을 통해 전기를 생산, 빗물저장부에 저장된 빗물을 사용하는데 전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빗물 사용의 편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빗물저수조가 도시의 건물 사이에 설치될 경우, 주변 건물과 어울리는 조형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면서, 강우시에 빗물을 저장하고 있다가, 건물 주변에 식재된 수목이나 화초에 물을 주거나, 건물의 외벽이나 바닥을 청소하는 세척수가 필요하거나, 화재가 발생하여 방화수(防火水)가 필요할 때 빗물저장부에 저장된 빗물을 이용하여 필요한 급수나 세척수 및 방화수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이때 빗물저장부에 저장된 빗물을 전기를 이용한 분사펌프를 이용하여 외부로 분사 및 배출시킬 수 있게 되므로 빗물의 이용 효율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의 빗물저수조(100)에 추가로 구성되는 태양전지모듈과 관련된 전기장치의 구성이나 제어설비 등은 통상의 공지된 구성을 이용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구현 가능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빗물저수조(100)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빗물저수조(100)는 빗물저장부(30)의 상면 중앙에 메인 빗물집수부(11)가 구비된 메인 빗물집수관(21)이 설치되고, 상기 메인 빗물집수관(21)의 외주면에 한 개의 이상의 보조 빗물집수관(22)이 설치되며, 각각의 보조 빗물집수관(22) 상단부에는 보조 빗물집수부(12)가 구비되어 복수개의 빗물집수부(11,12)를 통해 빗물을 집수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물론, 각각의 보조 빗물집수관(22)은 메인 빗물집수관(21)과 연통되어 각 보조 빗물집수부(12)에 집수된 빗물이 메인 빗물집수관(21)으로 유입되어 빗물저장부(30)에 저장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메인 빗물집수관(21)에 연결 설치되는 보조 빗물집수관(22)은 그 체결과 분리가 용이하도록 상술한 나사구조의 체결방식으로 이루어져 누구나 쉽게 설치와 해체가 용이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빗물집수조(100)는 복수개의 빗뭏집수부와 복수개의 빗물집수관이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져 외관미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조형물로서의 기능도 갖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빗물저수조(100)는 다양한 색상을 입혀 다양한 공간에 배치하여 조형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빗물집수부의 형상 또한 주변의 자연경관이나 수목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 설치할 수 있어 주변의 환경과 일체감을 갖는 조형물로서의 기능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종래의 빗물저수조는 지하에 매립하거나 건물의 옥상 등에 설치하여 사람의 눈에 띄지 않도록 하였으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빗물저수조는 다양한 조형물 형태로 제작되어 사람들의 눈에 쉽게 띄는 공간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토대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와 구조로도 조형물 기능을 갖는 빗물저수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10 : 빗물집수부
11 : 메인 빗물집수부
12 : 보조 빗물집수부 15 : 빗물배수공
20 : 빗물집수관 21 : 메인 빗물집수관
22 : 보조 빗물집수관 30 : 빗물저장부
32 : 끼움고정공 40 : 빗물배출부
50 : 태양전지모듈 55 : 충전배터리
57 : 제어조작부 60 : 분사펌프
100 : 빗물저수조
12 : 보조 빗물집수부 15 : 빗물배수공
20 : 빗물집수관 21 : 메인 빗물집수관
22 : 보조 빗물집수관 30 : 빗물저장부
32 : 끼움고정공 40 : 빗물배출부
50 : 태양전지모듈 55 : 충전배터리
57 : 제어조작부 60 : 분사펌프
100 : 빗물저수조
Claims (3)
- 상면에 낙하된 빗물이 한 곳으로 모일 수 있도록 종(鍾) 모양으로 이루어진 빗물집수부;
상기 빗물집수부 하단으로 일정길이 형성되되, 상기 빗물집수부에 모인 모인 빗물이 내부로 유입되어 아래 방향으로 흐르도록 중공형으로 이루어진 꽃대 모양의 빗물집수관;
상기 빗물집수관의 하단부가 상면에 관통 형성된 끼움고정구에 삽입 고정되어 상단 빗물집수부에 모인 빗물이 상기 빗물집수관을 경유하여 한 곳으로 모일 수 있도록 중공형으로 이루어져 지면 또는 바닥면에 안정되게 설치되는 빗물저장부;
상기 빗물저장부의 외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한 개 이상 설치되어 빗물저장부 내부에 채워진 빗물을 배출 또는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빗물배출부;가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형물 기능을 갖는 빗물저수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집수관은 빗물저장부 상면에 결합되는 메인 빗물집수관과,
복수개로 구성되어 상기 메인 빗물집수관의 내부로 빗물 유입이 가능하도록 메인 빗물집수관 외주연에 분리가능하게 각각 연결되는 보조 빗물집수관으로 구성되며, 상기 보조 빗물집수관의 상단부에는 별도의 보조 빗물집수부가 각각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형물 기능을 갖는 빗물저수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집수부 표면에는 태양광을 수광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되고,
상기 빗물집수관 또는 빗물저장부의 일측에는 상기 태양전지모듈에서 생산된 전기가 저장되는 충전배터리 및 충전배터리의 전력을 관리하는 제어조작부가 구비되고,
상기 빗물저장부 일측에는 상기 충전배터리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빗물저장부에 구비된 빗물배출구를 통해 빗물저장부에 저장된 빗물을 강제로 분사시키기 위한 뷴사펌프가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형물 기능을 갖는 빗물저수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90000601U KR20200001854U (ko) | 2019-02-12 | 2019-02-12 | 조형물 기능을 갖는 빗물저수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90000601U KR20200001854U (ko) | 2019-02-12 | 2019-02-12 | 조형물 기능을 갖는 빗물저수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01854U true KR20200001854U (ko) | 2020-08-21 |
Family
ID=72233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90000601U KR20200001854U (ko) | 2019-02-12 | 2019-02-12 | 조형물 기능을 갖는 빗물저수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00001854U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89980Y1 (ko) | 2002-06-18 | 2002-09-19 | 주식회사 정인기술단 | 도시환경을 위한 빗물 저수조 중수도 시설구조 |
KR101282720B1 (ko) | 2012-01-04 | 2013-07-10 | 민승기 | 지중 매설되는 빗물용 저수조의 조경구조 |
KR101815674B1 (ko) | 2017-07-24 | 2018-01-05 | (주) 디케이금속 | 빗물 저수조 |
-
2019
- 2019-02-12 KR KR2020190000601U patent/KR20200001854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89980Y1 (ko) | 2002-06-18 | 2002-09-19 | 주식회사 정인기술단 | 도시환경을 위한 빗물 저수조 중수도 시설구조 |
KR101282720B1 (ko) | 2012-01-04 | 2013-07-10 | 민승기 | 지중 매설되는 빗물용 저수조의 조경구조 |
KR101815674B1 (ko) | 2017-07-24 | 2018-01-05 | (주) 디케이금속 | 빗물 저수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129000U (ja) | クリーン・エコロジー住宅 | |
US20110093122A1 (en) | Green Wall Lighting and Irrigat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 |
CN201491551U (zh) | 墙面垂直绿化箱 | |
CN212053943U (zh) | 集顶部种植与雨水收集灌溉为一体的景观亭 | |
CN201004853Y (zh) | 一种可拆移式立体绿化棚架 | |
CN210042920U (zh) | 一种园林景观节水装置 | |
KR20200001854U (ko) | 조형물 기능을 갖는 빗물저수조 | |
CN214229248U (zh) | 一种低碳环保园林绿化装置 | |
KR200492478Y1 (ko) | 조형물 기능을 갖는 빗물저수조 | |
CN216844470U (zh) | 一种环保型园林景观灯 | |
CN207269518U (zh) | 一种园林蓄水及灌溉装置 | |
CN206365292U (zh) | 立体景观花柱 | |
CN113317078A (zh) | 一种基于资源培育的园林绿化用幼苗培育装置 | |
CN202354145U (zh) | 城市立体绿化装置 | |
KR100478633B1 (ko) | 공동주택 단지내 옥상 빗물을 이용하는 정원조경 물공급구조 | |
CN113796290A (zh) | 一种园林绿化工程用喷淋系统 | |
CN212306251U (zh) | 一种智能庭院照明灯 | |
CN212715685U (zh) | 一种绿色建筑的生态屋顶 | |
CN212244762U (zh) | 一种多功能景观种植箱 | |
CN218563286U (zh) | 一种带座椅及雨棚的绿化景观围墙 | |
CN205305531U (zh) | 集水花盆 | |
CN214460801U (zh) | 一种园林绿化用雨水收集设备 | |
CN112040764A (zh) | 花卉结构 | |
CN216921519U (zh) | 一种多功能生态休闲廊架 | |
CN201571373U (zh) | 多层叠加组合绿化箱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