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3874B1 - 부하 시험 장치, 부하 시험 장치의 캡 - Google Patents

부하 시험 장치, 부하 시험 장치의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3874B1
KR101813874B1 KR1020177029985A KR20177029985A KR101813874B1 KR 101813874 B1 KR101813874 B1 KR 101813874B1 KR 1020177029985 A KR1020177029985 A KR 1020177029985A KR 20177029985 A KR20177029985 A KR 20177029985A KR 101813874 B1 KR101813874 B1 KR 1018138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stor
wall
terminal
cover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9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40198A (ko
Inventor
토요시 콘도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다쓰미료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다쓰미료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다쓰미료키
Publication of KR20170140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01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3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3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40Testing power suppl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20Modifications of basic electric elements for use in electric measuring instruments; Structural combinations of such elements with such instruments
    • G01R1/203Resistors used for electric measuring, e.g. decade resistors standards, resistors for comparators, series resistors, shu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4Testing dynamo-electric machin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20Modifications of basic electric elements for use in electric measuring instruments; Structural combinations of such elements with such instruments
    • G01R1/206Switches for connection of measuring instruments or electric motors to measuring loa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55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 G01R31/2872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related to electrical or environmental aspects, e.g. temperature, humidity, vibration, nuclear radiation
    • G01R31/2879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related to electrical or environmental aspects, e.g. temperature, humidity, vibration, nuclear radiation related to electrical aspects, e.g. to voltage or current supply or stimuli or to electrical loa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sts Of Circuit Breakers, Generators, And Electric Motors (AREA)
  •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nd Detecting Electric Faults (AREA)

Abstract

단락을 방지하면서, 프레임 바디로부터 돌출되는 저항기의 일부분을 보호 가능한 부하 시험 장치 등을 제공한다.
부하 시험 장치는, 시험 대상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복수의 저항기(R)와, 복수의 저항기(R) 각각의 양단을 유지하는 벽(프레임(21))을 가지는 저항 유닛을 구비한다. 저항 유닛을 유지하는 토대부에 장착되어, 저항기(R)의 단자(63)로서 벽으로부터 돌출되는 부분과 벽(프레임(21))을 보호하는 커버(11)를 구비한다. 저항기(R)의 단자(63)로서 벽으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에 장착된 절연성 캡(70)을 구비한다. 커버(11)는 도전성 재료로 구성되고, 캡(70)은 커버(11)와, 저항기(R)의 단자(63)로서 벽으로부터 돌출되어 노출되는 부분 사이에 배치된다.

Description

부하 시험 장치, 부하 시험 장치의 캡
본 발명은 부하 시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특허문헌 1과 같이 발전기의 부하 시험을 수행하는 건식 부하 시험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공개특허공보 2010-25752 호
건식 부하 시험 장치에서는, 복수의 저항기가 프레임 바디에 유지되지만, 단자 등 저항기의 일부는 프레임 바디로부터 돌출된다.
프레임 바디로부터 돌출된 부분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커버가 필요해지지만, 커버와 단자가 접촉되면 단락(短絡)의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락을 방지하면서 프레임 바디로부터 돌출되는 저항기의 일부분의 보호가 가능한 부하 시험 장치 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부하 시험 장치는, 시험 대상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복수의 저항기와 복수의 저항기 각각의 양단을 유지하는 벽을 가지는 저항 유닛과, 저항 유닛을 유지하는 토대부에 장착되어, 저항기의 단자로서 벽으로부터 돌출되어 노출되는 부분과 벽을 보호하는 커버와, 저항기의 단자로서 벽으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에 장착된 절연성 캡을 구비하고, 커버는 도전성 재료로 구성되며, 캡은 커버와 저항기의 단자로서 벽으로부터 돌출되는 부분 사이에 배치된다.
절연 부재로 구성된 캡이 저항기의 단자에 씌워져 있으므로, 장착 위치의 어긋남 등에 의해 단자의 일방이 커버에 접근했다 하더라도 단자와 커버 사이의 절연을 유지할 수 있다.
저항기가 어긋나도 절연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나무와 플라스틱 등 비도전성 재료로 구성된 경우에 비해서, 깨짐 등 파손이 발생하기 어려운 알루미늄과 철 등의 도전성 재료를 커버로 사용할 수 있다.
이로써 저항기와 커버 사이의 단락을 방지하고, 프레임 바디(벽)로부터 돌출되는 저항기(의 단자)의 일부분을 보호하여, 안전하게 부하 시험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바람직하게는 캡은, 저항기의 단자로서 벽으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의 측면을 덮는 통부(筒部)와, 통부의 일방 단부에 설치된 덮개부를 가지고, 통부의 표면은 주름을 가진다.
주름에 의해, 축적된 먼지가 이어져서 저항기와 커버가 단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캡은, 저항기의 단자로서 벽으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의 측면을 덮는 통부와, 통부의 일방 단부에 설치된 덮개부와, 저항기에 장착된 단락 바의 적어도 커버와 대향하는 측을 덮는 바 덮개부를 가진다.
저항선과 도통(導通)되고 있는 단락 바와 단자가,절연 부재로 구성된 캡으로 덮이기 때문에, 단락 바와 단자 주위에 먼지가 축적되어 저항기와 커버 사이에 전기적인 단락이 발생할 가능성을 낮게 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바 덮개부는, 주요부와 바 배면 덮개부를 포함한다. 바 배면 덮개부는 주요부로부터 절곡된다. 단락 바의 일측은 벽과 대향하고, 바 배면 덮개부는 단락 바의 일측을 덮는다.
단락 바와 벽 사이에 먼지가 축적되어도 저항기와 커버 사이에 전기적인 단락이 발생할 가능성을 낮게 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캡은, 저항기의 단자로서 벽으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의 측면을 덮는 통부와, 통부의 일방 단부에 설치된 덮개부를 가지고, 통부의 내벽 높이는, 저항기의 단자로서 벽으로부터 돌출되는 일부분의 길이와 동등하며, 또한 벽에 장착된 저항기의 단자의 선단과, 토대부에 장착된 커버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는 제 1 거리보다 길다.
제 2 거리(내벽 높이)가 제 1 거리보다 길면, 캡을 단자에 장착하고 커버를 토대부에 장착했을 때, 진동 등에 의해 캡이 단자로부터 벗겨지려고 해도 커버가 캡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덮개부의 두께분만큼, 커버와 단자 사이를 이격시키는 것이 가능해져서, 저항기의 장착 위치 어긋남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 1 거리는 3 cm 이상이다.
부하 시험 장치가, 정격 전압이 400 V인 삼상 교류 발전기의 부하 시험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부하 시험 장치에서 사용되는 캡은, 시험 대상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복수의 저항기와 복수의 저항기 각각의 양단을 유지하는 벽을 가지는 저항 유닛과, 저항 유닛을 유지하는 토대부에 장착되어, 저항기의 단자로서 벽으로부터 돌출되는 부분과 벽을 보호하는 것으로, 도전성 재료로 구성된 커버를 구비하는 부하 시험 장치에 있어서, 저항기의 단자로서 벽으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에 장착된 절연성 캡으로서, 커버와, 저항기의 단자로서 벽으로부터 돌출되어 노출되는 부분 사이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캡은, 저항기의 단자로서 벽으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의 측면을 덮는 통부와, 통부의 일방 단부에 설치된 덮개부를 구비하고, 통부의 표면은 주름을 가진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캡은, 저항기의 단자로서 벽으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의 측면을 덮는 통부와, 통부의 일방 단부에 설치된 덮개부와, 저항기에 장착된 단락 바의 적어도 커버와 대향하는 측을 덮는 바 덮개부를 구비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캡은, 저항기의 단자로서 벽으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의 측면을 덮는 통부와, 통부의 일방 단부에 설치된 덮개부를 구비하고, 통부의 내벽 높이는, 저항기의 단자로서 벽으로부터 돌출되는 일부분의 길이와 동등하고, 또한 벽에 장착된 저항기의 단자의 선단과, 토대부에 장착된 커버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는 제 1 거리보다 길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단락을 방지하면서, 프레임 바디로부터 돌출되는 저항기의 일부분을 보호 가능한 부하 시험 장치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부하 시험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부하 시험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의 부하 시험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4는 캡이 장착되기 전의 저항부의 일방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캡이 장착되기 전의 저항부의 타방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캡이 장착되기 전의 저항기의 단자 주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캡이 장착되기 전의 저항기와 프레임과 커버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8은 커버가 장착되기 전의 부하 시험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9는 캡이 장착된 후의 저항부의 일방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캡이 장착된 후의 저항부의 타방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캡이 장착된 후의 저항기의 단자 주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캡이 장착된 후의 저항기와 프레임과 커버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13은 주름이 부착된 통부를 포함하는 캡이 장착된 후의 저항기와 프레임과 커버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14는 바 덮개부를 포함하는 캡이 장착되기 전의 저항기의 단자 주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바 덮개부를 포함하는 캡이 장착된 후의 저항기의 단자 주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바 배면 덮개부를 포함하는 캡이 장착된 후의 저항기와 프레임과 커버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이하, 본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건식 부하 시험 장치(1)는 토대부(10), 저항부(20), 냉각부(30), 접속 절환부(40)를 구비한다(도 1 ~ 도 12).
또한 방향을 설명하기 위해서, 접속 절환부(40)와 토대부(10)가 배열되는 수평 방향을 x 방향, x 방향에 수직한 수평 방향을 y 방향, x 방향과 y 방향에 수직한 연직 방향을 z 방향으로서 설명한다.
또한 구조를 알기 쉽게 설명하기 위해서 도 7, 도 12, 도 13, 도 16의 단면 구성도에서는, 저항선(61)과 방열용 핀(fin)(69)에 대해서는 단면이 아니라, 측면으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낸다.
토대부(10)는, 상단에 저항부(20)를 수용하고, 하단에 냉각부(30)를 수납한다. 또한 토대부(10)의 측부에는 접속 절환부(40)가 설치되고, 하부에는 캐스터가 설치된다.
토대부(10)의 측면(저항부(20)를 구성하는 저항기(R)의 단자(63)가 보이는 면)에는 단자(63)와, 단자(63)에 접속된 케이블과 단락 바와, 저항기(R)를 유지하는 프레임(21)을 보호하는 커버(11)가 설치된다(도 2 참조).
커버(11)는 철과 알루미늄 등의 도전성 재료로 구성된다.
저항부(20)는, y 방향에 평행한 막대상의 저항기(R)가 x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 배열된 저항기열이, z 방향으로 복수단 배열된 것으로, 단자 접속부(43)를 통하여 접속된 발전기 등 시험 대상 전원의 부하 시험을 수행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저항기(R)는 시험 대상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저항기(R)는, x 방향으로 9개 배열된 저항기열이, z 방향으로 13단 배열된다. 단 각 저항기열에 배열되는 저항기(R)의 개수와, 저항기열이 중첩하여 쌓이는 단 수는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적어도 1단의 저항기열(도 4와 도 5에서 도시한 예에서는, 최상단의 저항기열)의 저항기(R)는, 다른 저항기(R)가 고장난 경우의 교환 등 예비용으로, 다른 단의 저항기열을 구성하는 저항기(R)가, 제 1 저항기군(G1) ~ 제 12 저항기군(G12)을 구성하는 저항기(R)로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항부(20)를 구성하는 저항기(R)에서, 근접한 6개 또는 12개의 저항기(R)를 1개의 저항기군으로 하고, 시험 대상 전원으로부터의 전압 인가를 수행하는 저항기군의 수를 바꾸면서 부하 시험을 수행한다.
또한 부하 시험 대상의 전원 종류에 따라서 저항기군 내의 접속(저항기군 내의 저항기(R)의 접속 상태)을 바꾼다.
저항부(20)는, 제 1 저항기군(G1) ~ 제 12 저항기군(G12)을 가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정격 전압: 400 V이고 정격 용량: 167 W인 저항기(R)를 6개 가지는 제 1 저항기군(G1, 정격 용량: 1 kW), 정격 전압: 116 V, 정격 용량: 334 W의 저항기(R)를 6개 가지는 제 2 저항기군(G2, 정격 용량: 2 kW, 제 3 저항기군(G3)도 동일), 정격 전압: 116 V, 정격 용량: 834 W의 저항기(R)를 6개 가지는 제 4 저항기군(G4, 정격 용량: 5 kW), 정격 전압: 116 V, 정격 용량: 1.67 kW의 저항기(R)를 6개 가지는 제 5 저항기군(G5, 정격 용량: 10kW, 제 6 저항기군(G6)도 동일), 정격 전압: 116 V, 정격 용량: 1.67 kW의 저항기(R)를 12개 가지는 제 7 저항기군(G7, 정격 용량: 20 kW, 제 8 저항기군(G8) ~ 제 12 저항기군(G12)도 동일)이 설치된 예를 도시한다. 단 저항기군(G)의 수와 각각의 정격 전압과 정격 용량은 상술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저항기(R)는 저항선(61), 저항선(61)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저항선(61)의 양단에 설치된 단자(63), 제 1 절연 부재(65a)를 통하여 단자(63)를 유지하며 저항선(61)과 단자(63)의 일부(프레임(21)을 구성하는 벽으로부터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는 부분) 측면을 덮는 원통부(67)를 가진다(도 6, 도 7, 도 11, 도 12 참조).
원통부(67)의 측면에는, 방열용 핀(fin)(69)이 설치된다.
저항기(R)의 단자(63)는, 다른 저항기(R)의 단자(63)와 단락 바로 접속되거나, 케이블을 통하여 단자 접속부(43)와 계전기(relay)에 접속된다.
저항기(R)는, 4개의 벽으로 구성된 프레임(21)으로 측면이 덮인다.
프레임(21)에 장착된 단자(63)의 선단과 토대부(10)에 장착된 커버(11)의 거리가, 제 1 거리(d1)만큼 떨어진 상태가 되는 것과 같은 위치 관계이고, 저항기(R)에서 단자(63)와 도통되지 않는 부분(제 1 절연 부재(65a)를 통하여, 단자(63)를 유지하는 원통부(67)의 양단 근방 등)이, 제 2 절연 부재(65b)를 통하여, 상기 프레임(21)을 구성하는 벽에 유지된다.
도 6과 도 11은, 프레임(21)에 유지된 4개의 저항기(R)의 단부로서, 그 중에서 2개는 단락 바를 통하여 단자(63)끼리 접속된 것을 도시한다.
제 1 거리(d1)는 커버(11)와 단자(63) 사이로, 이격에 의해 절연할 수 있는 길이로, 예를 들면 부하 시험 장치(1)가, 정격 전압이 400 V인 삼상 교류 발전기의 부하 시험을 수행하기 위한 것인 경우에는, 제 1 거리(d1)가 3 cm 이상이 되도록 각 부의 치수가 결정된다.
또한 프레임(21)은, 하부에 설치된 냉각부(30)로부터의 냉풍을 상부로 흘려보내기 위해서 상면과 하면이 개구된다.
저항기(R)의 단자(63)로서, 프레임(21)을 구성하는 벽으로부터 돌출되어 노출되는 부분에는, 고무 등 절연 부재로 구성된 캡(보호 커버, 70)이 씌워진다.
캡(70)은, 단자(63)로서 프레임(21)을 구성하는 벽으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의 측면을 덮는 통부(71)와, 통부(71)의 일방 단부에 설치되어 단자(63)의 선단과 대향하는 덮개부(73)를 가지고, 통부(71)의 내벽 높이(제 2 거리(d2))는, 프레임(21)을 구성하는 벽으로부터 노출되는 단자(63)의 일부분의 길이와 동등하다.
통부(71)의 표면(외측으로 노출되는 면)은, 축적된 먼지가 이어져서 저항기(R)와 커버(11)가 전기적으로 단락되지(도통되지) 않도록 주름상으로 형성되는(주름(71a)을 가진다) 것이 바람직하다(도 13 참조).
냉각부(30)에 의한 냉각을 효율 좋게 수행하기 위해서, 저항기열을 구성하는 저항기(R)와 상기 저항기(R)와 x 방향으로 인접하는 저항기(R)의 중간 위치에, z 방향으로 인접하는 저항기열의 저항기(R)가 배치되도록, 각 저항기열의 저항기(R)가 배열된다.
저항부(20)의 하부(토대부(10)의 하단)에는, 냉각 팬을 가지는 냉각부(30)가 설치된다.
냉각부(30)와, 저항부(20)의 저항기군마다 설치되고, 시험 대상 전원으로부터 저항기군 중 어느 것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계전기는, 시험 대상 전원과는 별도의 전원(부하 시험 장치 구동용 전원)으로 구동된다(도 3 참조).
접속 절환부(40)는 조작부(41), 단자 접속부(43)를 가진다(도 2, 도 3, 도 8 참조). 단자 접속부(43)는, 조작부(41)와 떨어진 위치(예를 들면 조작부(41)의 배면 등)에 배치되는 형태여도 된다.
조작부(41)는, 모드 절환 스위치(41a), 저항 절환 스위치(41b)를 가진다.
모드 절환 스위치(41a)는 로터리식 조작 스위치로, 부하 시험 장치(1)의 온오프와, 시험 대상의 전원 종류를 선별(모드 절환)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저항 절환 스위치(41b)는 슬라이드식(또는 토글식 또는 누름 버튼식) 조작 스위치로, 제 1 저항기군(G1) ~ 제 12 저항기군(G12) 각각의 계전기의 온오프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제 1 조작 스위치(S1)를 온 상태로 하면 제 1 저항기군(G1)의 계전기가 온 상태(도통 상태)로 되고, 단자 접속부(43)를 통하여 부하 시험 장치(1)에 접속된 시험 대상 전원으로부터의 전류가 제 1 저항기군(G1)에 흐를 수 있는 상태로 된다. 제 2 조작 스위치(S2) ~ 제 12 조작 스위치(S12)도 마찬가지로, 온 상태로 하면 대응되는 저항기군의 계전기가 온 상태(도통 상태)로 되고, 단자 접속부(43)를 통하여 부하 시험 장치(1)에 접속된 시험 대상 전원으로부터의 전류가 상기 저항기군에 흐를 수 있는 상태로 된다.
모드 절환 스위치(41a)의 회전 위치를, 시험 대상 전원의 종류에 대응된 회전 위치(동작 모드)에 맞춘 경우, 냉각부(30)의 냉각 팬은 구동되고, 저항 절환 스위치(41b)의 조작 상태에 기초하여 제 1 저항기군(G1) ~ 제 12 저항기군(G12) 각각의 계전기의 온오프 제어가 수행된다.
또한 주전원 스위치를 설치하여, 주전원 스위치가 온 상태이고 또한 모드 절환 스위치(41a)의 회전 위치를 시험 대상 전원의 종류에 대응된 회전 위치(동작 모드)에 맞춘 경우, 냉각 팬의 구동과 제 1 저항기군(G1) ~ 제 12 저항기군(G12) 각각의 계전기의 온오프 제어가 수행되는 형태여도 된다.
단자 접속부(43)는 시험 대상의 전원을 접속하기 위한 단자로, 단자 접속부(43)를 통하여, 시험 대상 전원과 제 1 저항기군(G1) ~ 제 12 저항기군(G12)이 접속 가능한 상태로 된다.
단자(63)와 커버(11) 사이에 제 1 거리(d1)의 이격이 설치되므로, 제 1 거리(d1)의 길이가 충분하고 또한 저항기(R)가 소정 장착 위치에서 프레임(21)을 구성하는 벽에 유지되는 한, 캡(70)이 씌워지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단자(63)와 커버(11) 사이의 절연은 유지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진동 등에 의해, 저항기(R)가 소정 장착 위치로부터 어긋나서, 단자(63)의 일방이 커버(11)에 너무 가까워지는 것이 생각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절연 부재로 구성된 캡(70)이 저항기(R)의 단자(63)에 씌워져 있기 때문에, 장착 위치 어긋남 등에 의해 단자(63)의 일방이 커버(11)에 가까워졌다고 하더라도 단자(63)와 커버(11) 사이의 절연을 유지할 수 있다.
저항기(R)가 어긋나도 절연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나무와 플라스틱 등 비도전성 소재로 구성된 경우에 비해서, 깨짐 등 파손이 발생하기 어려운 알루미늄과 철 등의 도전성 소재를 커버(11)에 사용할 수 있다.
이로써 저항기(R)와 커버(11) 사이의 단락을 방지하고, 프레임 바디(프레임(21)을 구성하는 벽)로부터 돌출되는 저항기(R)(의 단자(63))의 일부분을 보호하여, 안전하게 부하 시험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 2 거리(d2)가 제 1 거리(d1)보다 길어지도록, 각 부의 치수가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거리(d2)가 제 1 거리(d1)보다 길면, 캡(70)을 단자(63)에 장착하고 커버(11)를 토대부(10)에 장착했을 때, 진동 등에 의해 캡(70)이 단자(63)로부터 벗겨지려고 해도 커버(11)가 캡(70)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덮개부(73)의 두께분(y 방향의 치수분)만큼 커버(11)와 단자(63) 사이를 이격시키는 것이 가능해져서, 저항기(R)의 장착 위치 어긋남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캡(70)이 단자(63)만 덮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인접하는 단자(63)끼리를 접속하는 단락 바도 포함하여 덮는 형태여도 된다(도 14 ~ 도 16 참조).
예를 들면 단락 바와 단자(63)를 덮는 캡(70)은, 단자(63)를 덮기 위한 통부(71)와 덮개부(73), 단락 바를 덮기 위한 바 덮개부(75)를 가진다.
이 경우, 통부(71)와 덮개부(73)는, 단락 바가 장착된 복수의 단자(63)를 덮도록 1개의 캡(70)에 복수 세트(도 14 ~ 도 16에서는 2세트) 설치되는 형태여도 된다.
저항선(61)과 도통되고 있는 단락 바와 단자(63)가, 절연 부재로 구성된 캡(70)으로 덮이기 때문에 단락 바와 단자(63) 주위에 먼지가 축적되어, 저항기(R)와 커버(11) 사이에 전기적인 단락이 발생할(저항기(R)와 커버(11)가 도통될) 가능성을 낮게 할 수 있다.
바 덮개부(75)는, 단락 바의 표면(커버(11)와 대향하는 측)뿐만 아니라 배면(프레임(21)을 구성하는 벽과 대향하는 측)도 덮어서 숨길 수 있도록, 단락 바의 표면을 덮는 부분부터 절곡되어, 배면을 덮는 바 배면 덮개부(75a)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단락 바와 프레임(21)을 구성하는 벽 사이에 먼지가 축적되어도 저항기(R)와 커버(11) 사이에 전기적인 단락이 발생할(저항기(R)와 커버(11)가 도통될) 가능성을 낮게 할 수 있다.
1: 부하 시험 장치 10: 토대부
11: 커버 20: 저항부
21: 프레임 30: 냉각부
40: 접속 절환부 41: 조작부
41a: 모드 절환 스위치 41b: 저항 절환 스위치
43: 단자 접속부 61: 저항선
63: 단자 65a: 제 1 절연 부재
65b: 제 2 절연 부재 67: 원통부
69: 방열용 핀 70: 캡
71: 통부 71a: 주름
73: 덮개부 75: 바 덮개부
75a: 바 배면 덮개부
G1 ~ G12: 제 1 저항기군 ~ 제 12 저항기군
R: 저항기

Claims (10)

  1. 시험 대상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복수의 저항기와, 상기 복수의 저항기 각각의 양단을 유지하는 벽을 가지는 저항 유닛과,
    상기 저항 유닛을 유지하는 토대부에 장착되고, 상기 저항기의 단자로서 상기 벽으로부터 돌출되어 노출되는 부분과 상기 벽을 보호하는 커버와,
    상기 저항기의 단자로서 상기 벽으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에 장착된 절연성 캡을 구비하고,
    상기 커버는 도전성 재료로 구성되고,
    상기 캡은, 상기 커버와, 상기 저항기의 단자로서 상기 벽으로부터 돌출되는 부분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 시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저항기의 단자로서 상기 벽으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의 측면을 덮는 통부와, 상기 통부의 일방 단부에 설치된 덮개부를 가지고,
    상기 통부의 표면은 주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 시험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저항기의 단자로서 상기 벽으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의 측면을 덮는 통부와, 상기 통부의 일방 단부에 설치된 덮개부와, 상기 저항기에 장착된 단락 바의 적어도 상기 커버와 대향하는 측을 덮는 바 덮개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 시험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 덮개부는, 주요부와 바 배면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 배면 덮개부는 상기 주요부로부터 절곡되고, 상기 단락 바의 일측은 상기 벽과 대향하고, 상기 바 배면 덮개부는 상기 단락 바의 상기 일측을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 시험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저항기의 단자로서 상기 벽으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의 측면을 덮는 통부와, 상기 통부의 일방 단부에 설치된 덮개부를 가지고,
    상기 통부의 내벽 높이는, 상기 저항기의 단자로서 상기 벽으로부터 돌출되는 일부분의 길이와 동등하고, 또한 상기 벽에 장착된 상기 저항기의 단자의 선단과, 상기 토대부에 장착된 커버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는 제 1 거리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 시험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거리는 3 c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 시험 장치.
  7. 시험 대상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복수의 저항기와, 상기 복수의 저항기 각각의 양단을 유지하는 벽을 가지는 저항 유닛과, 상기 저항 유닛을 유지하는 토대부에 장착되고, 상기 저항기의 단자로서 상기 벽으로부터 돌출되는 부분과 상기 벽을 보호하는 것으로, 도전성 재료로 구성된 커버를 구비하는 부하 시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항기의 단자로서 상기 벽으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에 장착된 절연성 캡으로서,
    상기 커버와, 상기 저항기의 단자로서 상기 벽으로부터 돌출되어 노출되는 부분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기의 단자로서 상기 벽으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의 측면을 덮는 통부와, 상기 통부의 일방 단부에 설치된 덮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통부의 표면은 주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기의 단자로서 상기 벽으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의 측면을 덮는 통부와, 상기 통부의 일방 단부에 설치된 덮개부와, 상기 저항기에 장착된 단락 바의 적어도 상기 커버와 대향하는 측을 덮는 바 덮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기의 단자로서 상기 벽으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의 측면을 덮는 통부와, 상기 통부의 일방 단부에 설치된 덮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통부의 내벽 높이는, 상기 저항기의 단자로서 상기 벽으로부터 돌출되는 일부분의 길이와 동등하고, 또한 상기 벽에 장착된 상기 저항기의 단자의 선단과, 상기 토대부에 장착된 커버 사이의 거리를 나타낸 제 1 거리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KR1020177029985A 2015-05-11 2016-02-23 부하 시험 장치, 부하 시험 장치의 캡 KR1018138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96151A JP5805905B1 (ja) 2015-05-11 2015-05-11 負荷試験装置、負荷試験装置のキャップ
JPJP-P-2015-096151 2015-05-11
PCT/JP2016/055155 WO2016181680A1 (ja) 2015-05-11 2016-02-23 負荷試験装置、負荷試験装置のキャップ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0198A KR20170140198A (ko) 2017-12-20
KR101813874B1 true KR101813874B1 (ko) 2018-01-04

Family

ID=54545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9985A KR101813874B1 (ko) 2015-05-11 2016-02-23 부하 시험 장치, 부하 시험 장치의 캡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885756B2 (ko)
EP (1) EP3296756B1 (ko)
JP (1) JP5805905B1 (ko)
KR (1) KR101813874B1 (ko)
CN (1) CN107533104B (ko)
PH (1) PH12017501931A1 (ko)
WO (1) WO20161816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85790B2 (ja) * 2018-09-18 2022-06-17 株式会社辰巳菱機 負荷抵抗器
CN111665439B (zh) * 2019-03-05 2022-11-22 日本电产增成机器装置(浙江)有限公司 马达测试用组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40817A1 (fr) 1999-12-02 2001-06-07 Tatsumi Corporation Appareil d'essai de charge a bas niveau
JP2015040710A (ja) 2013-08-20 2015-03-02 株式会社辰巳菱機 負荷試験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62306A (ja) * 1986-01-13 1987-07-1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皮膜抵抗器
JPH117853A (ja) * 1997-06-19 1999-01-12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限流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限流型高圧クランプ碍子
JP5265264B2 (ja) * 2008-07-18 2013-08-14 株式会社辰巳菱機 乾式負荷試験装置
JP3160347U (ja) * 2010-02-16 2010-06-24 株式会社サンケイ通商 負荷試験装置
JP5211198B2 (ja) * 2011-06-09 2013-06-12 株式会社辰巳菱機 負荷システム
CN102412042B (zh) * 2011-06-15 2013-04-24 王爱民 一种电阻器
CN202975291U (zh) * 2012-12-13 2013-06-05 吴江市华诚电子有限公司 一种负载箱
CN202975062U (zh) * 2012-12-13 2013-06-05 吴江市华诚电子有限公司 一种单相大功率非线性负载箱
WO2014192042A1 (ja) * 2013-05-30 2014-12-04 株式会社辰巳菱機 負荷試験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40817A1 (fr) 1999-12-02 2001-06-07 Tatsumi Corporation Appareil d'essai de charge a bas niveau
JP2015040710A (ja) 2013-08-20 2015-03-02 株式会社辰巳菱機 負荷試験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805905B1 (ja) 2015-11-10
CN107533104A (zh) 2018-01-02
PH12017501931B1 (en) 2018-03-19
WO2016181680A1 (ja) 2016-11-17
PH12017501931A1 (en) 2018-03-19
KR20170140198A (ko) 2017-12-20
US9885756B2 (en) 2018-02-06
EP3296756B1 (en) 2022-08-03
US20170322259A1 (en) 2017-11-09
EP3296756A1 (en) 2018-03-21
EP3296756A4 (en) 2018-12-05
JP2016211974A (ja) 2016-12-15
CN107533104B (zh) 2018-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65264B2 (ja) 乾式負荷試験装置
KR100996791B1 (ko) 진공차단기의 주회로 단자 어셈블리
US9488694B2 (en) Load testing apparatus and coupling switch unit for load testing apparatus
US6653928B1 (en) Dry load test apparatus
KR101413141B1 (ko) 부하시험기
KR101689646B1 (ko) 부하 시험기
US10186928B2 (en) Electric motor with a thermal switch positioned at a distance from a stator for household appliances
KR101813874B1 (ko) 부하 시험 장치, 부하 시험 장치의 캡
JP2018049779A5 (ko)
JP2020169966A (ja) 負荷試験装置
JP3718874B2 (ja) 発電機通電試験用負荷抵抗器
TW201727247A (zh) 護套加熱器及負載測試裝置
JP3653520B2 (ja) 乾式高圧抵抗装置及び同装置連鎖断線防止方法
KR102182224B1 (ko) 전력저장장치
KR102182222B1 (ko) 전력저장장치
KR20150135486A (ko) 밀봉 구조의 서지 피뢰기
CN104569543B (zh) 电压感测系统和方法
KR102674082B1 (ko) 진공 차단기
KR101165412B1 (ko) 스마트 커패시터
KR102182228B1 (ko) 전력저장장치
KR102182219B1 (ko) 전력저장장치
KR102182221B1 (ko) 전력저장장치
JP3842760B2 (ja) 乾式高圧抵抗装置及び同装置アーク放電防止方法
KR100215225B1 (ko) 발전기등통전 시험용 부하 저항체 및 저항기
WO2019176132A1 (ja) 負荷試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