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3633B1 - 우수한 투명도와 신선도 유지효과를 갖는 합성수지 플라스틱 포장봉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우수한 투명도와 신선도 유지효과를 갖는 합성수지 플라스틱 포장봉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3633B1
KR101813633B1 KR1020170025530A KR20170025530A KR101813633B1 KR 101813633 B1 KR101813633 B1 KR 101813633B1 KR 1020170025530 A KR1020170025530 A KR 1020170025530A KR 20170025530 A KR20170025530 A KR 20170025530A KR 101813633 B1 KR101813633 B1 KR 101813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density polyethylene
low density
freshness
lamin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5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인철
전세라
이강영
Original Assignee
(주)대림그린팩
전세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림그린팩, 전세라 filed Critical (주)대림그린팩
Priority to KR1020170025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36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3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36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005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2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02Wrappers or flexible covers
    • B65D65/16Wrappers or flexible covers with provision for excluding or admitting light
    • B65D65/18Wrappers or flexible covers with provision for excluding or admitting light with some areas transparent and others opa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0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04Polymers of ethylene
    • B29K2023/06PE, i.e. polyethylene
    • B29K2023/0608PE, i.e. polyethylene characterised by its density
    • B29K2023/0625LLDPE, i.e.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511/00Use of natural products or their composit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9K2401/00 - B29K2509/00, as fi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 B29L2031/7128Bags, sacks, sach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플라스틱 포장봉투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80∼90 중량%와 신선도 유지제 10∼20 중량%를 혼합하여 마스터배치 칩을 제조하고,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70 중량%, 상기 마스터배치 칩 15∼30 중량%, 및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0∼15 중량%를 혼합한 혼합물로부터 취입(blowing) 성형에 의하여 내지(內紙) 평판 원단(‘LLDPE 원단’)을 제조하고, 상기 내지 평판 원단과 별도로 제조된 외지(外紙) 평판 원단을 라미네이팅을 통하여 봉투 원단을 제조하여 제조된다. 상기 제조된 봉투 원단을 가공하여 각종 포장봉투를 완성한다. 상기 외지 평판 원단으로는 폴리에스테르(PET), 폴리프로필렌(PP), 나일론(Nylon)과 같은 합성수지 필름이 바람직하게 사용되며, 포장봉투로서 필요한 사항들이 미리 인쇄되어 있다. 상기 라미네이팅은 드라이라미네이팅 또는 T-다이라미네이팅에 의하여 바람직하게 행해질 수 있다.

Description

우수한 투명도와 신선도 유지효과를 갖는 합성수지 플라스틱 포장봉투 및 그 제조방법{Plastic Packing Bag Having Excellent Transparency and Freshness and Process of Preparing Same}
본 발명은 과일이나 야채, 수산물을 포장하기 위한 합성수지 플라스틱 포장봉투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포장된 과일이나 야채, 수산물의 신선도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도록 신선도 유지효과가 우수하고, 투명도가 우수하여 육안으로 내용물을 선명하게 볼 수 있는 플라스틱 포장봉투(일명 ‘비닐 포장봉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포장봉투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도 포함한다.
과일이나 야채 또는 수산물은 소매 거래를 위하여 일정량씩 포장봉투에 포장하여 대형마트나 슈퍼마켓 등을 통하여 소비자에게 판매된다. 사과, 배, 감, 포도, 복숭아, 키위 등과 같은 과일을 비롯하여, 상추, 버섯, 파프리카, 쑥갓, 깻잎, 열무, 토마토, 당근, 양파 등과 같은 야채가 합성수지 포장봉투에 일정량씩 포장되어 거래되고 수산물인 생선이나 굴 등을 소량 포장하는 데에도 이 포장봉투가 사용된다.
과일이나 야채, 수산물을 신선하게 유지하기 위한 기술은 포장봉투 분야에서 매우 중요하게 취급된다. 포장 내용물의 신선도를 유지할 목적으로 각종 신선도 유지제를 비롯하여 각종 포장용기가 다양하게 개발되어 왔다. 특허출원 제2005-14275호는 과망간산칼륨을 5~10wt% 용액상태로 압지(blotting paper)에 접착시켜 건조한 신선도 유지제를 개시한다. 특허출원 제2007-24976호에는, 항균성 필름을 이용하여 신선도를 유지하는 필름형 신선도 유지제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신선도 유지제들은 실제 포장봉투에 적용되어 우수한 신선도를 부여하는데 효과적이지 못하였다.
과일이나 야채의 신선도는 노화를 촉진시키는 주원인인 에틸렌 가스에 의해 저해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포장된 내용물로부터 생성되는 에틸렌 가스의 생성을 억제하거나 생성된 에틸렌 가스를 제거하면 신선도를 더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다.
식물은 빛을 이용하여 이산화탄소와 물을 산소와 유기물로 만들어내는 광합성을 하는 한편, 산소를 이산화탄소로 만들어내는 광호흡을 한다. 광호흡은 지상의 강력한 빛으로부터 식물의 몸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광호흡 작용이 약화된 식물일수록 쉽게 말라 죽는다. 광호흡이 활발한 과일이나 야채는 잘 마르지 않는다. 반면 광호흡을 그다지 하지 않는 과일이나 야채는 빛이 닿으면 광합성이 촉진된다. 이때에는 광호흡은 진행되지 않는다. 이렇게 되면 이산화탄소를 소비만하고 생산은 하지 못한다. 결국 이산화탄소의 공급은 점점 부족해지고 빛에너지도 남아돌게 된다. 남아돌게 된 빛에너지는 활성산소를 만들어낸다. 이 활성산소가 과일이나 야채를 말라버리게 한다. 광호흡을 한다면 광호흡으로 만든 이산화탄소를 계속해서 광합성으로 돌릴 수 있어, 강한 빛에서도 활성산소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렇게 활성산소의 발생을 억제하면 과일이나 채소의 신선도를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과일이나 야채의 포장봉투에서 발생하는 활성산소를 억제하면 신선도를 개선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당귀, 송진, 소엽, 옻, 어성초, 진피, 및 함초의 추출물로 이루어진 신선도 유지제 및 이를 이용한 포장용기를 개발하여 특허 제1548244호로 특허받은 바 있다. 나아가, 본 발명자들은 상기 특허받은 신선도 유지제를 이용하여 투명도와 신선도 유지효과가 우수한 플라스틱 포장봉투 및 그 제조방법을 개발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과일이나 야채의 신선도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는 새로운 플라스틱 포장봉투(‘비닐 포장봉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과일이나 야채 등을 포장하는 투명도가 우수한 비닐 포장봉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과일이나 야채 등과 같은 포장 내용물의 신선도, 포장지의 투명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부수적으로 원적외선을 방출하고, 항균성과 무독성을 갖기 때문에 포장봉지로서의 적합한 물성을 갖는 플라스틱 포장봉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우수한 투명도와 신선도 유지효과를 갖는 상기 포장봉투를 제조하는 방법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상세히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투명도와 신선도 유지효과가 우수한 플라스틱 포장봉투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특허 제1548244호에서 특허받은 신선도 유지제가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즉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신선도 유지제는 다른 설명이 없는 한 특허 제1548244호의 신선도 유지제를 의미한다. 이 신선도 유지제는 당귀, 송진, 소엽, 옻, 어성초, 진피, 및 함초의 추출물로서, 나트늄(Na) 10~14wt%, 마그네슘(Mg) 8~13wt%, 알루미늄(Al) 0.1~2wt%, 실리콘(Si) 15~21wt%, 황(S) 2~4wt%, 칼륨(K) 6~9wt%, 칼슘(Ca) 25~30wt%, 망간(Mn) 0.001~0.5wt%, 철(Fe) 0.1~0.5wt%, 스트론튬(Sr) 0.08~0.15wt%, 및 나머지 함량의 물로 구성된다.
우선, 본 발명의 플라스틱 포장봉투를 제조하는 방법은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80∼90 중량%와 신선도 유지제 10∼20 중량%를 혼합하여 마스터배치 칩을 제조하고,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70 중량%, 상기 마스터배치 칩 15∼30 중량%, 및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0∼15 중량%를 혼합한 혼합물로부터 취입(blowing) 성형에 의하여 내지(內紙) 평판 원단(‘LLDPE 원단’)을 제조하고, 상기 내지 평판 원단과 별도로 제조된 외지(外紙) 평판 원단을 라미네이팅을 통하여 봉투 원단을 제조한다. 상기 제조된 봉투 원단을 가공하여 각종 포장봉투를 완성한다.
상기 외지 평판 원단과 라미네이팅을 하기 위한 신선도 유지제가 함유된 내지 평판 원단(‘LLDPE 원단’)은 보통 30~50㎛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지 평판 원단으로는 폴리에스테르(PET), 폴리프로필렌(PP), 나일론(Nylon)과 같은 합성수지 필름이 바람직하게 사용되며, 포장봉투로서 필요한 사항들이 미리 인쇄되어 있다.
상기 라미네이팅은 드라이라미네이팅 또는 T-다이라미네이팅에 의하여 바람직하게 행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플라스틱 포장봉투는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70 중량%,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80∼90 중량%와 신선도 유지제 10∼20 중량%를 혼합하여 제조된 마스터배치 칩 15∼30 중량%, 및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0∼15 중량%를 혼합한 혼합물로부터 취입 성형에 의하여 제조된 내지(內紙) 평판 원단(‘LLDPE 원단’)과 폴리에스테르(PET), 폴리프로필렌(PP), 또는 나일론(Nylon)으로 이루어진 외지(外紙) 평판 원단을 라미네이팅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과일이나 야채의 신선도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고, 투명도가 우수한 비닐 포장봉지를 제공하며, 부수적으로 원적외선을 방출하고, 항균성과 무독성을 갖기 때문에 포장봉지로서의 적합한 물성을 갖는 플라스틱 포장봉투를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과일이나 야채, 수산물을 포장하기 위한 합성수지 플라스틱 포장봉투에 관한 것으로, 포장된 과일이나 야채, 수산물의 신선도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도록 신선도 유지효과가 우수하고, 투명도가 우수하여 육안으로 내용물을 선명하게 볼 수 있는 플라스틱 포장봉투에 관한 것이다.
과일이나 야채, 수산물을 포장하는 종래의 플라스틱 포장봉투는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을 주성분으로 하는 내지 평판 원단과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또는 나일론으로 이루어진 외지 평판 원단을 라미네이팅하여 제조된다.
포장봉투에는 여러 가지 필요한 사항들이 인쇄되어야 하는데, 이 인쇄되는 내용들은 모두 외지 평판 원단에 인쇄된다. 즉 외지 평판 원단은 내지 평판 원단과 라미네이팅에 의하여 합지(合紙)되기 전에 필요한 사항이 미리 인쇄된다. 그리고 내지 평판 원단은 포장봉투로서의 각종 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각종 성분들이 함유된다. 따라서 내지 평판 원단은 투명하지 않고 혼탁해질 가능성이 있다. 이를 탁도(haze)로 나타내기도 하는데, 원단이 탁해지면 투명도가 좋지 않아 포장된 내용물이 선명하게 보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포장봉투로서의 각종 기능을 유지하면서 투명도를 양호하게 유지해야 할 필요가 있다.
종래의 신선도 유지제 포장봉투들은 대부분 무기물에서 추출한 신선도 유지제이기 때문에 불투명한 상태로서 제품의 구분이 어려워 과일이나 야채 또는 수산물을 포장하는 봉투로는 적합하지 못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신선도 유지제는 당귀, 송진, 소엽, 옻, 어성초, 진피, 및 함초의 추출물로서 투명한 액상 성분이기 때문에 투명도가 우수한 포장봉투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신선도 유지제는 당귀, 송진, 소엽, 옻, 어성초, 진피, 및 함초의 추출물로서, 나트늄(Na) 10~14wt%, 마그네슘(Mg) 8~13wt%, 알루미늄(Al) 0.1~2wt%, 실리콘(Si) 15~21wt%, 황(S) 2~4wt%, 칼륨(K) 6~9wt%, 칼슘(Ca) 25~30wt%, 망간(Mn) 0.001~0.5wt%, 철(Fe) 0.1~0.5wt%, 스트론튬(Sr) 0.08~0.15wt%, 및 나머지 함량의 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플라스틱 포장봉투를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80∼90 중량%와 신선도 유지제 10∼20 중량%를 혼합하여 마스터배치 칩을 제조한다. 마스터배치 칩은 펠렛 형태의 칩으로 제조되며, 신선도 유지제는 작업성과 신선도 효과를 고려하여 10∼20 중량% 범위가 바람직하다.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시판되는 LDPE를 사용한다.
신선도 유지제의 함량은 포장하고자 하는 물품에 보존기간에 따라 적절히 변화시킬 수 있다. 포도나 상추와 같이 신선도가 급격히 저하되는 과일이나 채소인 경우에는 더 많은 양의 신선도 유지제를 사용하고, 사과나 당근 등과 같이 신선도가 오래 유지되는 과일이나 채소의 경우에는 더 적은 양의 신선도 유지제를 사용한다. 통상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봉투 전체에 대하여 신선도 유지제를 최소 1.5% 이상 약 6 % 이하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높은 신선도를 요하는 특수 용도를 고려하더라도 최대 10% 이하가 바람직하다. 하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70 중량%,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0∼15 중량%, 및 상기에서 제조된 마스터배치 칩 15∼30 중량%를 혼합하여 혼합물로부터 취입(blowing) 성형에 의하여 내지 평판 원단(‘LLDPE 원단’)을 압출한다. 마스터배치 칩 15∼30 중량%는 종래에 사용되던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일부를 대체한 것으로, LDPE가 사용되지 않고 상기 마스터배치 칩만을 사용할 수도 있다. 마스터배치 칩의 함량도 신선도를 고려하여 15∼30 중량% 범위 내에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지 평판 원단과 별도로 제조된 외지(外紙) 평판 원단을 라미네이팅을 통하여 봉투 원단을 제조한다. 상기 라미네이팅은 드라이라미네이팅 또는 T-다이라미네이팅에 의하여 바람직하게 행해질 수 있다. 라미네이팅 공정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상기 제조된 봉투 원단을 가공하여 각종 포장봉투를 완성한다. 라미네이팅하여 합지된 봉투 원단으로 가공작업을 통해 낱개의 포장봉지로 제조한다. 종래의 가공 공정에 따라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외지 평판 원단과 라미네이팅을 하기 위한 신선도 유지제가 함유된 내지 평판 원단(‘LLDPE 원단‘)은 보통 30~50㎛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지 평판 원단으로는 폴리에스테르(PET), 폴리프로필렌(PP), 나일론(Nylon)과 같은 합성수지 필름이 바람직하게 사용되며, 포장봉투로서 필요한 사항들이 미리 인쇄되어 있다.
본 발명의 플라스틱 포장봉투는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70 중량%,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80∼90 중량%와 신선도 유지제 10∼20 중량%를 혼합하여 제조된 마스터배치 칩 15∼30 중량%, 및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0∼15 중량%를 혼합한 혼합물로부터 취입 성형에 의하여 제조된 내지 평판 원단(‘LLDPE 원단’)과 폴리에스테르(PET), 폴리프로필렌(PP), 또는 나일론(Nylon)으로 이루어진 외지 평판 원단을 라미네이팅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재될 뿐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한정하거나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실시예
저밀도 폴리에틸렌 85 중량%와 신선도 유지제 15 중량%를 혼합하여 마스터배치 칩을 제조하였다.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70 중량%, 상기 마스터배치 칩 20 중량%, 및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10 중량%를 혼합한 혼합물로부터 취입(blowing) 성형에 의하여 내지 평판 원단(‘LLDPE 원단’)을 제조하였다. 상기 내지 평판 원단과 별도로 제조된 외지 평판 원단을 드라이 라미네이팅을 통하여 봉투 원단을 제조하였다. 외지 평판 원단으로는 폴리에스테르(PET) 필름 원단을 사용하였다.
비교실시예
마스터배치 칩을 사용하지 않고,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70 중량% 및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30 중량%를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봉투 원단을 제조하였다.
합성수지 포장봉투 시험
상기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에서 제조된 포장봉투를 각각 사용하여 상추와 사과를 각각 포장한 후 상온에 방치하여 신선도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관찰결과, 상추의 경우, 비교실시예의 포장봉투로 포장한 것은 3~4일 경과 후부터 변질되기 시작하였다. 하지만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포장봉투로 포장한 것은 7~8일 경과 후부터 변질되기 시작하였다. 사과의 경우, 종래의 포장봉투로 포장한 것은 10일 경과 후부터 변질되기 시작하였다. 하지만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포장봉투로 포장한 것은 30일 경과 후부터 변질되기 시작하였다.
보다 구체적인 결과를 얻기 위하여, 원적외선 방출시험, 항균시험, 항곰팡이시험, 딸기 노화시험, 사과 노화시험, 사과 신선도 시험을 하였다. 이들 시험은 한양대학교 에리카 이학연구소에서 하였으며(과제번호: 16용역01), 시험결과, 실시예에서는 90% 이상의 매우 많은 양의 원적외선이 방출되었고, 항균효과와 항곰팡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딸기 시험에서는 육안으로의 판단은 구분이 어려웠으나 과윤 내 수질성분 측정결과 실시예가 비교실시예보다 수분이탈의 억제효과가 더 우수하였고, 사과 노화시험에서는 실시예가 비교실시예보다 유기산의 소실이 더 적었으며, 사과 신선도 시험에서는 실시예가 비교실시예보다 에틸렌 가스의 발생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봉투로 사과, 배, 감, 포도, 복숭아, 키위 등과 같은 과일을 비롯하여, 상추, 쑥갓, 깻잎, 열무, 토마토, 당근, 양파 등과 같은 야채를 포장하여 신선도 더 길게 유지하고, 투명도를 비롯한 기타 물성들도 양호하여 유익한 발명의 효과를 누릴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6)

  1.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80∼90 중량%와 당귀, 송진, 소엽, 옻, 어성초, 진피, 및 함초의 추출물로서, 나트늄(Na) 10~14wt%, 마그네슘(Mg) 8~13wt%, 알루미늄(Al) 0.1~2wt%, 실리콘(Si) 15~21wt%, 황(S) 2~4wt%, 칼륨(K) 6~9wt%, 칼슘(Ca) 25~30wt%, 망간(Mn) 0.001~0.5wt%, 철(Fe) 0.1~0.5wt%, 스트론튬(Sr) 0.08~0.15wt%, 및 나머지 함량의 물로 구성되는 신선도 유지제 10∼20 중량%를 혼합하여 마스터배치 칩을 제조하고;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70 중량%, 상기 마스터배치 칩 15∼30 중량%, 및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0∼15 중량%를 혼합한 혼합물로부터 취입(blowing) 성형에 의하여 내지(內紙) 평판 원단(‘LLDPE 원단’)을 제조하고;
    상기 내지 평판 원단과 별도로 제조된 외지(外紙) 평판 원단을 라미네이팅을 통하여 봉투 원단을 제조하고; 그리고
    상기 제조된 봉투 원단을 가공하여 각종 포장봉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포장봉투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팅은 드라이라미네이팅 또는 T-다이라미네이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포장봉투의 제조 방법.
  3. 삭제
  4.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70 중량%,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80∼90 중량%와 당귀, 송진, 소엽, 옻, 어성초, 진피, 및 함초의 추출물로서, 나트늄(Na) 10~14wt%, 마그네슘(Mg) 8~13wt%, 알루미늄(Al) 0.1~2wt%, 실리콘(Si) 15~21wt%, 황(S) 2~4wt%, 칼륨(K) 6~9wt%, 칼슘(Ca) 25~30wt%, 망간(Mn) 0.001~0.5wt%, 철(Fe) 0.1~0.5wt%, 스트론튬(Sr) 0.08~0.15wt%, 및 나머지 함량의 물로 구성되는 신선도 유지제 10∼20 중량%를 혼합하여 제조된 마스터배치 칩 15∼30 중량%, 및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0∼15 중량%를 혼합한 혼합물로부터 취입 성형에 의하여 제조된 30~50㎛ 두께의 내지(內紙) 평판 원단(‘LLDPE 원단’); 및
    폴리에스테르(PET), 폴리프로필렌(PP), 또는 나일론(Nylon)으로 이루어진 외지(外紙) 평판 원단;
    을 라미네이팅하여 제조된 봉투 원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플라스틱 포장봉투.
  5. 삭제
  6. 삭제
KR1020170025530A 2017-02-27 2017-02-27 우수한 투명도와 신선도 유지효과를 갖는 합성수지 플라스틱 포장봉투 및 그 제조방법 KR1018136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5530A KR101813633B1 (ko) 2017-02-27 2017-02-27 우수한 투명도와 신선도 유지효과를 갖는 합성수지 플라스틱 포장봉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5530A KR101813633B1 (ko) 2017-02-27 2017-02-27 우수한 투명도와 신선도 유지효과를 갖는 합성수지 플라스틱 포장봉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3633B1 true KR101813633B1 (ko) 2018-01-03

Family

ID=61002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5530A KR101813633B1 (ko) 2017-02-27 2017-02-27 우수한 투명도와 신선도 유지효과를 갖는 합성수지 플라스틱 포장봉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36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5901A (ko) 2020-12-30 2022-07-07 이폴리텍 주식회사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생분해성 신선식품 보관용 봉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8244B1 (ko) * 2015-01-19 2015-09-07 주식회사 대림물산 신선도 유지제, 이를 이용한 우수한 신선도 유지효과를 갖는 합성수지 포장용기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8244B1 (ko) * 2015-01-19 2015-09-07 주식회사 대림물산 신선도 유지제, 이를 이용한 우수한 신선도 유지효과를 갖는 합성수지 포장용기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5901A (ko) 2020-12-30 2022-07-07 이폴리텍 주식회사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생분해성 신선식품 보관용 봉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16496A2 (en) Gas Generating Polymers
CN103988892A (zh) 一种猕猴桃鲜果保鲜方法
JP2017140008A (ja) 青果物の鮮度保持用に好適な防曇性に優れた包装容器、及びそれを用いた包装体
KR101813633B1 (ko) 우수한 투명도와 신선도 유지효과를 갖는 합성수지 플라스틱 포장봉투 및 그 제조방법
WO2017090567A1 (ja) 包装容器、及びそれを用いた包装体
Purbey et al. Advances in packaging of litchi fruit to maintain the quality
JP6636980B2 (ja) 青果物の鮮度保持に適した包装体、及び青果物の鮮度保持方法
JP2019069817A (ja) 鮮度保持用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及び包装材
KR101548244B1 (ko) 신선도 유지제, 이를 이용한 우수한 신선도 유지효과를 갖는 합성수지 포장용기 및 그 제조방법
JP7296608B2 (ja) 青果物の鮮度保持用収納袋
JP2017141058A (ja) 内容物の鮮度保持用に好適な防曇性に優れた包装容器、及びそれを用いた包装体
CN107006593B (zh) 一种果蔬用抗菌减震泡沫
JP6636981B2 (ja) 青果物の鮮度保持性能に優れた包装体、及び青果物の鮮度保持方法
JP2022132509A (ja) 青果物を収納した包装体、及び青果物の鮮度保持方法
CN109169883A (zh) 一种百香果的保鲜方法
JP6644018B2 (ja) ダイコンを含む青果物の鮮度保持性能に優れた包装体、及び青果物の鮮度保持方法
Hosseinnia et al. Zeolite‐based polymer composite films for vegetables and fruits packaging: A review
JP2012144278A (ja) 青果物用包装袋及び青果物包装体
JPS6211049A (ja) 青果物の鮮度保持方法
JP2020048415A (ja) 菌増殖の抑制方法、青果物の鮮度保持用に好適な包装容器、及びそれを用いた包装体、並びに青果物の鮮度保持方法
JP6636988B2 (ja) ダイコンを含む青果物の鮮度保持に適した包装体、及び青果物の鮮度保持方法
Giuggioli et al. Packaging in the fresh fruit and vegetable supply chain: innovation and sustainability
Kim et al. Physicochemical changes of electron beam-irradiated Korean kiwifruits at low dose levels
JP2024062284A (ja) 鮮度保持用包装容器
JP2018199500A (ja) 小松菜を含む青果物の鮮度保持性能に優れた包装体、及びその青果物の鮮度保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