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3265B1 - 시트 커버 래핑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시트 커버 래핑 방법 - Google Patents

시트 커버 래핑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시트 커버 래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3265B1
KR101813265B1 KR1020160116669A KR20160116669A KR101813265B1 KR 101813265 B1 KR101813265 B1 KR 101813265B1 KR 1020160116669 A KR1020160116669 A KR 1020160116669A KR 20160116669 A KR20160116669 A KR 20160116669A KR 101813265 B1 KR101813265 B1 KR 1018132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cushion
seat
cover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6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용
김선공
Original Assignee
성용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용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성용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6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32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3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32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8SADDLERY; UPHOLSTERY
    • B68GMETHODS, EQUIPMENT, OR MACHINES FOR USE IN UPHOLSTERING; UPHOLSTE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8G7/00Making upholstery
    • B68G7/05Covering or enveloping cores of pads
    • B68G7/051Mattress-filling devices, i.e. sliding a tick or preformed cover over a cushion or sliding a cushion into a tick or preformed cover, e.g. by means of a press or of a depression 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0Loose or removable furniture covers
    • A47C31/11Loose or removable furniture cover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B60N2/5816Seat coverings attachmen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B60N2/60Removable protective cove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8SADDLERY; UPHOLSTERY
    • B68GMETHODS, EQUIPMENT, OR MACHINES FOR USE IN UPHOLSTERING; UPHOLSTE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8G15/00Auxiliary devices and tools specially for upholstery
    • B68G15/005Worktables or work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 커버 래핑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시트 커버 래핑 방법에 관한 것으로, 쿠션을 감싸는 시트 커버를 기계적인 와인딩(와이어를 팽팽하게 당기는 것을 말함)을 통해 래핑 작업하여 커버가 쿠션으로부터 들뜨지 않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과 착석감 및 생산성을 향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시트 커버 래핑 지그는,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의 상면에 형성되며 시트를 지지하는 시트 받침과; 상기 시트 받침에 설치되며 상기 시트 받침에 안착된 시트의 쿠션을 가압하여 수축시키는 쿠션 압축수단과; 상기 시트의 쿠션을 감싸는 커버의 가장자리에 삽입되며 양측이 상기 커버의 개방부를 통해 상기 커버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와이어를 팽팽하게 당겨 상기 커버가 상기 쿠션을 조이도록 하는 와이어 텐션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시트 커버 래핑 지그를 이용한 시트 커버 래핑 방법은, 시트 커버 래핑 지그의 시트 받침에 커버로 감싸진 쿠션으로 이루어진 시트를 거치하되, 상기 쿠션이 노출되고 상기 커버의 가장자리가 상부를 향하도록 시트를 거치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를 통해 상기 테이블에 거치된 시트의 쿠션을 쿠션 압축수단에 의해 가압하여 수축시키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 이후 상기 와이어 텐션수단을 통해 작업자에 의해 상기 시트의 커버를 조이는 와이어를 제공받아 클램핑한 후 상기 와이어를 팽팽하게 당겨 작업자에 의해 상기 와이어의 매듭부를 고정하도록 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를 통해 와이어의 매듭부가 고정된 후 상기 와이어의 클램핑을 풀고 상기 쿠션 압축수단을 상승에 의해 상기 시트의 쿠션으로부터 떨어뜨리는 제4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시트 커버 래핑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시트 커버 래핑 방법{SEAT COVER WRAPPING JIG AND METHOD FOR WRAPPING SEAT CEVER USING THIS SAME}
본 발명은 시트 커버 래핑 지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쿠션을 감싸는 시트 커버를 기계적인 와인딩(와이어를 팽팽하게 당기는 것을 말함)을 통해 래핑 작업하는 시트 커버 래핑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시트 커버 래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의자(자동차용 시트, 책상용 시트 등)는 다리와 시트 및 등받이로 구성된다.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시트(1)는 쿠션(2) 및 커버(3)로 구성된다.
쿠션(2)은 착석감을 좋게 하기 위한 다양한 쿠션재가 사용되고 평평한 육면체 형태이다.
커버(3)는 쿠션(2)을 감싸는 피복으로서 천, 가죽 등 다양한 소재가 사용되고, 쿠션(2)의 상면과 사방의 옆면을 덮고 가장자리가 쿠션(2)의 저면쪽에 배치되도록 쿠션(2)을 감싸고 있다. 커버(3)는 일측에 개방부가 형성되는 주머니 형태로서 이 개방부를 통해 쿠션(2)을 감싸고 개방부를 통해 벗겨지지 않도록 가장자리에 몰딩(4)과 와이어(5)가 적용된다. 와이어(5)는 커버(3)에 재봉이나 접착 등으로 고정되는 몰딩(4) 내부에 수용되어 커버(3)의 개방부를 조임으로써 커버(3)가 쿠션(2)에서 벗겨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종래 기술에 의한 시트의 제조 과정을 설명하면, 커버(3)의 몰딩(4)에는 와이어(5)를 내부에 삽입하기 위한 홀(6)이 형성되며, 와이어(5)는 길이방향의 양측이 홀(6)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커버(3)의 개방부를 통해 쿠션(2)을 커버(3) 안에 넣고 와이어(5)의 길이방향 양측을 잡아당긴 후 예를 들어 타카핀(7)으로 와이어(5)를 고정하는 방법을 통해 시트(1)를 제조한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하면, 작업자가 와이어(5)를 당겨 고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커버(3)가 쿠션(2)에서 벗겨지지 않도록 하는 것일 뿐이며, 따라서, 작업자가 와이어를 당기는 힘이 약할 경우 커버(3)가 쿠션(2)에 밀착되지 못하여 쿠션(2)이 커버(3) 안에서 움직이고 반대로 커버(3)가 미끄러지게 되어 착석감이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작업자에 따라 와이어를 당기는 힘이 달라 제품의 신뢰성이 떨어진다. 또한. 품질뿐만 아니라 수작업에 의해 생산성도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등록특허 제10-1055851호)은 본 발명의 배경기술을 알 수 있는 것으로, 개구부를 통해 삽입된 대상물을 감싸는 중공형상의 몸체부; 및 상기 개구부의 단부에서 몸체부 외측으로 결합된 탄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는 탄성도가 상이한 각 탄성끈이 병렬로 적층 배치되며, 상기 개구부와 개구부에 접한 탄성끈과의 사이 또는 각 탄성끈간의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는 중공의 스트링터널이 구비되고, 상기 스트링터널 내부에는 스트링이 삽입되는 것이며, 사용자가 수작업에 의해 탄성끈을 조작하면서 의자 커버를 씌우는 것이다.
등록특허 제10-1055851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쿠션을 감싸는 시트 커버를 기계적인 와인딩(와이어를 팽팽하게 당기는 것을 말함)을 통해 래핑 작업하여 커버가 쿠션으로부터 들뜨지 않고 밀착되도록 하는 시트 커버 래핑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시트 커버 래핑 방법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시트 커버 래핑 지그는,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의 상면에 형성되며 시트를 지지하는 시트 받침과; 상기 시트 받침에 설치되며 상기 시트 받침에 안착된 시트의 쿠션을 가압하여 수축시키는 쿠션 압축수단과; 상기 시트의 쿠션을 감싸는 커버의 가장자리에 삽입되며 양측이 상기 커버의 개방부를 통해 상기 커버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와이어를 팽팽하게 당겨 상기 커버가 상기 쿠션을 조이도록 하는 와이어 텐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시트 커버 래핑 지그를 이용한 시트 커버 래핑 방법은, 시트 커버 래핑 지그의 시트 받침에 커버로 감싸진 쿠션의 시트를 거치하되, 상기 쿠션이 노출되고 상기 커버의 가장자리가 상부를 향하도록 시트를 거치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를 통해 상기 베이스에 거치된 시트의 쿠션을 쿠션 압축수단에 의해 가압하여 수축시키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 이후 텐션수단을 통해 작업자에 의해 상기 시트의 커버를 조이는 와이어를 제공받아 클램핑한 후 상기 와이어를 팽팽하게 당겨 작업자에 의해 상기 와이어의 매듭부를 고정하도록 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를 통해 와이어의 매듭부가 고정된 후 상기 와이어의 클램핑을 풀고 상기 쿠션 압축수단을 상승에 의해 상기 시트의 쿠션으로부터 떨어뜨리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시트 커버 래핑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시트 커버 래핑 방법에 의하면, 기계적인 힘(공압실린더 등)을 통해 와이어를 최적의 텐션으로 와인딩하여 커버와 쿠션이 들뜸없이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커버의 들뜸과 움직임을 없애 착석감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고, 작업자가 와이어를 거치하는 용이한 작업만을 통해 커버의 래핑 작업이 완료되어 단위 시간당 생산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으며, 모든 시트의 커버를 동일한 텐션으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쿠션을 압축한 후 와이어를 와인딩 작업하여 와이어를 더욱 큰 텐션으로 와인딩하고, 더불어 쿠션의 자체 탄성력을 통해 쿠션과 커버 간의 밀착성이 극대화되어 시트의 품질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시트 커버 래핑 지그에 적용되는 시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시트 커버 래핑 지그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시트 커버 래핑 지그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시트 커버 래핑 지그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시트 커버 래핑 지그에 적용된 와이어 텐션수단의 확대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시트 커버 래핑 지그에 적용된 와이어 텐센수단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시트 커버 래핑 지그에 의한 시트 커버의 와이어의 상태를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시트 커버 래핑 지그에 의한 시트 커버의 래핑 공정 중 쿠션 압축 공정을 보인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시트 커버 래핑 지그에 의한 시트 커버의 래핑 공정 중 와이어 클램핑 공정을 보인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시트 커버 래핑 지그에 의한 시트 커버의 래핑 공정 중 와이어 당김 공정을 보인 측면도.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 1>
도 2 내지 도 4에서 보이는 것처럼, 본 실시예에 의한 시트 커버 래핑 지그는, 지면에 지지되는 테이블(10), 테이블(10)의 상판에 거치되며 시트(1)가 거치되는 시트 받침(20), 시트 받침(20)에 거치된 시트(1)의 쿠션(2)을 가압에 의해 수축시키는 쿠션 압축수단(30), 시트(1)의 쿠션(2)을 감싸는 커버(시트 커버)(3)의 가장자리에 있는 와이어(5)를 팽팽하게 당기는 와이어 텐션수단(40)으로 구성되며, 쿠션 압축수단(30)에 의해 시트(1)의 쿠션(2)을 압축한 상태에서 텐션수단(40)을 통해 커버(3)의 와이어(5)를 팽팽하게 당겨 작업자에 의해 와이어(5)를 풀리지 않도록 고정하고, 완료 후 쿠션(2)에 가해지던 힘을 풀어 쿠션(2)이 복원되고 이 복원력에 의해 커버(3)가 팽팽하게 쿠션(2)을 래핑(wrapping)하도록 하는 것이다.
테이블(10)은 다수의 다리(11)와 이들 다리(11) 위에 설치되는 상판(12)으로 구성되고, 용이한 이동성을 위하여 다리(11)에는 바퀴(13)가 적용된다.
시트 받침(20)은 테이블(10)의 상판(12)에 탑재되어 시트(1)를 지지하는 것으로, 쿠션 압축수단(30)에 의해 시트(1)의 쿠션(2)이 압축될 때 쿠션(2)이 손상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탄성 재질(고무, 폴리우레탄 등)로 이루어진다.
시트 받침(20)은 테이블(10)의 상판(12)에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후자의 경우 시트 받침(20)을 돌려 작업자가 시트(2)의 둘레부를 따라 이동하는 불편함 없이 제자리에서 시트(2)의 모든 부분을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시트 받침(20)은 저부에 바퀴(21)가 설치되어 테이블(10)의 상판(12)을 회전할 수 있고, 이때, 테이블(10)의 상판(12)에는 바퀴(21)가 이동하는 원형의 트랙이 구성될 수 있으며, 물론 원형의 트랙을 이용하지 않고 시트 받침(20)이 자유롭게 이동하는 것도 포함된다.
시트 받침(20)은 반드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선택되어 사용되는 것이고, 시트 받침(20)이 사용되지 않으면 시트(1)는 테이블(10)의 상판(12)에 거치된다.
시트 받침(20) 또는 테이블(10)에는 와이어 매듭부[와이어(5)가 관통되는 홀(7) 부분]를 와이어(5)의 당김 위치로 거치하도록 시트 기준표시가 갖추어질 수 있다. 즉, 시트(1)를 거치할 때 홀(7)이 상기 시트 기준표시와 일치되도록 거치함으로써 와이어(5)를 더욱 팽팽하게 당길 수 있다.
쿠션 압축수단(30)은 쿠션(2)을 압축에 의해 부피를 줄여 와이어(5)를 더욱 팽팽하게 고정하도록 함으로써 쿠션(2)과 커버(3)를 밀착시키는 효과가 있고,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쿠션(2)을 압축한 상태에서 쿠션(2)으로부터 힘을 제거하면 쿠션(2)이 자체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고 이 과정에서 쿠션(2)이 커버(3)를 팽창시키게 되어 커버(3)가 울지 않고 쿠션(2)에 밀착된다.
쿠션 압축수단(30)은 테이블(10)의 지지대(14)를 통해 시트 받침(20)의 상부에 설치된다.
쿠션 압축수단(30)이 설치되는 지지대(14)는 테이블(10)의 상판(12)에 체결구를 통해 고정되는 판상의 고정부, 상기 고정부 위에 세워지는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의 단부에서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부로 구성되며 다양한 자재의 사용이 가능하다.
쿠션 압축수단(30)은 지지대(14)의 수평부에 상하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압축용 실린더(31), 압축용 실린더(31)의 로드(32)의 단부에 조립되는 가압판(33)으로 구성된다.
압축용 실린더(31)는 지지대(14)의 수평부 위에 로드(32)가 하부를 향하도록 세워져 설치되며, 로드(32)는 지지대(14)의 수평부에 상하로 관통된 홀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공압 실린더와 유압 실린더 모두가 가능하다. 또한, 압축용 실린더는 래크와 피니언 등 다양한 액추에이터로 대체 가능하다.
가압판(33)은 압축용 실린더(31)의 로드(32)의 단부에 체결구를 통해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며 압축용 실린더(31)에 의해 승강한다.
가압판(33)이 직접 시트(1)의 쿠션(2)을 압축하는 경우 가압판(33)은 탄성재질의 판재가 적용된다.
가압판(33)을 통해 시트(1)의 쿠션(2)을 직접 압축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별도의 가압봉(34)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가압봉(34)은 가압판(33)의 저부에 상호 간에 일정 거리를 두고 상단부가 가압판(33)에 볼팅 등을 통해 고정되어 세워지며 하단부가 쿠션(2)을 가압한다.
가압봉(34)은 단부에 롤러가 탄성재질의 캡이 적용되어 쿠션(2)의 압축시 쿠션(2)의 손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쿠션 압축수단(30)에 따르면, 쿠션(2)을 압축하여 원상태로 복원되려는 힘을 부여함으로써 와이어(5)를 고정한 후 쿠션(2)에 가해지는 힘을 없애면 쿠션(2)이 자체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 복원하고 이 과정에서 커버(3)가 쿠션(2)에 의해 팽팽해지는 효과가 있다.
와이어 텐션수단(40)은 커버(3)의 가장자리에 삽입된 와이어(5)를 팽팽하게 당겨 커버(3)와 쿠션(2)을 밀착시킴으로써 착석시 커버(3)와 쿠션(2)이 서로 흔들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며, 와이어(5)의 양쪽을 조이는 방향으로 당기는 방식이 가능하다.
도 3과 도 5와 도 6에서 보이는 것처럼, 이 방식의 와이어 텐션수단(40)은 와이어(5)의 양측을 각각 고정하는 클램프(41), 클램프(41)를 전후진시켜 와이어(5)가 당겨지도록 하는 전후진 액추에이터(직선 왕복 이동형)로서 텐션용 실린더(42)(공압/유압 모두 가능)로 구성된다.
클램프(41)는 텐션용 실린더(42)의 로드(42a)에 연결되는 클램프 베이스(41a), 클램프 베이스(41a)의 단부에 형성되며 와이어(5)를 지지하는 와이어 지지부(41b), 클램프 베이스(41a)에 장착되는 클램핑 액추에이터(41c), 클램핑 액추에이터(41c)에 의해 와이어 지지부(41b)를 향해 전진하여 와이어(5)를 와이어 지지부(41b)에 밀착시켜 클램핑하는 클램핑 블록(41d)로 구성된다.
클램프 베이스(41a)는 텐션용 실린더(42)의 로드(42a)의 단부에 고정되며, 예를 들어 로드(42a)에 고정되는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의 하부에서 상기 고정부보다 얇은 두께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에 와이어 지지부(41b) 등이 설치되도록 하는 수평부로 구성된다.
와이어 지지부(41b)는 이동체인 클램핑 블록(41d)의 반대쪽[와이어(5) 기준]에서 와이어(5)를 지지하는 것이며, 원형 고정봉의 형태, 회전형 원형 롤러의 형태 모두가 가능하고, 후자의 경우 와이어(5)를 걸 때 마찰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클램핑 액추에이터(41c)는 클램핑 블록(41d)을 와이어 지지부(41b)를 향해 전진 반대로 후진시킬 수 있는 모든 것이 가능하고, 실린더(공압/유압 모두 가능)가 가능하다.
클램핑 블록(41d)은 클램핑 액추에이터(41c)의 로드에 연결되며 상기 로드의 인출에 의해 와이어 지지부(41b)를 향해 전진하여 와이어 지지부(41b)에 걸린 와이어(5)를 와이어 지지부(41b)에 밀착시켜 클램핑하고, 와이어(5)의 고정 완료 후 와이어 지지부(41b)로부터 후진하여 와이어(5)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클램프(41)는 실린더에 의해 오므라들거나 반대로 벌어지는 집게형도 가능하다.
텐션용 실린더(42)는 가압판(33)에 세워진 브래킷(35)에 볼팅 등을 통해 고정 설치되며, 와이어(5)의 당김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당김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로드(42a)의 단부로 가면서 시트(1)를 향해 하향 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따라 클램프(41)도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다.
도면에서처럼, 와이어 텐션수단(40)은 와이어(5)의 길이방향 양측을 각각 당기도록 2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르게는 와이어(5)의 일측을 고정하고 타측을 당기는 방식도 가능하다.
와이어 텐션수단은 와이어(5)를 당기는 방식외에 와이어(5)를 감는 권취형 방식도 가능하다.
권취형은 구동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와이어를 드럼에 감아 와이어를 팽팽하게 하는 것이다.
와이어(5)를 와이어 텐션수단(40)에 고정할 때 와이어(5)의 경로를 길게 하여 클램프(41)의 적은 후진에 의해서도 와이어(5)를 팽팽하게 당길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가이드 롤러(50)가 적용된다.
가이드 롤러(50)는 와이어 텐션수단(40)에 하나씩이 적용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며, 와이어의 매듭부[와이어(5)가 인출되는 홀(7) 부분]와 클램프(41) 사이로서 와이어 매듭부와 클램프(41)를 연결하는 직선 경로를 벗어난 곳[이 직선 경로에서 멀수록 와이어(5)의 경로가 길어짐]에 설치되며 가압판(33)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가이드 롤러(50)는 와이어(5)의 이탈을 일으키지 않도록 둘레부에 예컨대 "V"형태의 홈이 형성되고, 와이어(5)의 경로에 맞춰 경사지게 배치된다.
쿠션 압축수단(40)와 와이어 텐션수단(50)은 작업자의 스위치 조작(가동/정지 스위치)에 의한 수동식 제어, 메모리를 통해 가동과 정지를 미리 저장하여 가동 스위치의 조작만을 통해 일련의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동 제어 모두가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의한 시트 커버 래핑 지그를 이용한 시트 커버 래핑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시트 거치.
시트 받침(20) 위에 시트(1)를 거치한다. 시트(1)는 전술한 것처럼, 커버(3)의 가장자리가 상부로 노출되도록 뒤집힌 상태이다(도 3참고). 또한, 도 7에서처럼커버(3)의 와이어(5)는 양측이 홀(7)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있고, 작업자가 와이어(5)의 양측을 서로 교차시킨 후 한번 묶어 와이어(5)의 양측 단부를 서로 반대쪽으로 한 상태이다. 와이어(5)는 1회만 묶인 것이기 때문에 외력에 의해 텐션이 조절된다.
2. 쿠션 압축.
스위치를 조작하여 쿠션 압축수단(30)의 압축용 실린더(31)를 가동하며, 도 8에서 보이는 것처럼, 로드(32)가 하강하면서 가압봉(34)을 통해 시트(1)의 쿠션(2)을 압축시킨다. 쿠션(2)의 압축에 의해 쿠션(2)과 커버(3) 사이에는 여유 공간이 만들어진다.
이때, 시트 받침(20)이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쿠션(2)이 압축될 때 쿠션(2)을 통해 전가되는 힘에 의해 시트 받침(20)이 탄성 변형되어 쿠션(2)의 손상을 막아준다.
3. 와이어 클램핑.
별도의 스위치를 선택하거나 타이머에 의한 제어를 통해 와이어 텐션수단(40)의 텐션용 실린더(42)가 가동하여 로드(42a)가 인출되어 클램프(41)가 와이어 클램핑 위치로 전진한다. 클램프(41)는 클램핑 블록(41d)이 후진하여 와이어 지지부(41b)와의 사이에 와이어(5)를 거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도 3은 클램프(41)가 와이어(5)의 클램핑 위치로 전진한 상태이다.
작업자는 와이어(5)의 양측을 잡고 가이드 롤러(50)에 걸은 후 와이어 지지부(41b)에 걸쳐 놓으며, 이어서, 클램핑 액추에이터(41c)가 가동하여 클램핑 블록(41d)이 전진하여 와이어 지지부(41b)에 걸린 와이어(5)를 눌러 클램핑한다. 클램핑 액추에이터(41c)의 가동은 작업자의 스위치 조작이나 타이머에 의한 자동 제어에 의해 이루어진다(도 9 참고).
4. 와이어 당김.
와이어(5)의 클램핑이 완료되면 작업자의 스위치 조작 또는 자동 제어를 통해 와이어(5)를 당기는 공정이 진행되며, 도 10에서처럼, 텐션용 실린더(42)의 로드(42a)가 삽입되고 이를 통해 클램프(41)가 와이어(5)를 당기게 되어 와이어(5)가 팽팽하게 조절된다. 와이어(5)가 팽팽하게 당겨지면서 커버(3)의 가장자리[몰딩(4)측]를 조이게 된다.
전 공정을 통해 쿠션(2)은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여 쿠션(2)과 커버(3) 사이에는 여유 공간이 있으며, 작업자가 커버(3)의 가장자리인 몰딩(4)을 중심을 향해 잡아당겨 커버(3)가 쿠션과 뜨지 않고 더욱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5. 와이어 고정.
와이어(5)의 당김이 완료되면 작업자가 소위 타카라 불리는 공구를 이용하여 와이어(5)의 매듭부에 타카핀을 꽂아 와이어(5)가 당겨진 상태로 커버(3)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로써, 커버(5)의 래핑이 완료되며, 다음 작업을 위하여 본 발명의 지그는 초기로 복귀하고, 복귀 공정은 클램프(41) 후퇴 - 쿠션 압축수단(30) 상승으로 이루어지며, 일련의 공정은 작업자의 수동 제어와 자동 제어 모두 가능하다.
클램프 후퇴 공정은, 클램핑 액추에이터(41c)에 의해 클램핑 블록(41d)이 와이어 지지부(41b)로부터 후퇴하는 것이며, 따라서, 와이어(5)가 자유상태로 풀리게 된다.
쿠션 압축수단(30) 상승 공정은, 압축용 실린더(31)에 의해 로드(32)가 삽입되어 가압판(33)과 가압봉(34)이 상승하는 것이며, 따라서 쿠션(2)에 가해지던 힘이 없어져 쿠션(2)은 자체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팽창 복원된다. 이와 같이 쿠션(2)이 압축 상태에서 팽창하면서 커버(3)를 팽팽하게 벌리게 되어 쿠션(2)과 커버(3)의 밀착성이 더욱 높아지게 된다.
타카핀을 꽂은 후 와이어 매듭부에 있는 와이어(5)를 절단하여 마감한다.
<실시예 2>
본 실시예에 의한 시트 커버 래핑 지그는, 전술한 실시예 1에서 쿠션 압축수단없이 와이어 텐션수단만이 적용된 것이며, 즉 실시예 1의 쿠션 압축 공정없이 와이어를 팽팽하게 당겨 고정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와이어 텐션수단은 실시예 1의 와이어 텐션수단과 동일하며, 텐션용 실린더는 테이블에 형성되는 지지대에 고정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의한 래핑 방법은 시트 거치 - 와이어 클램핑 - 와이어 당김(와이어 매듭부 고정) - 초기 복원의 공정으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공정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시트, 2 : 쿠션
3 : 커버, 4 : 몰딩
5 : 와이어,
10 : 테이블, 20 : 시트 받침
30 : 쿠션 압축수단, 31 : 압축용 실린더
32 : 로드, 33 : 가압판
34 : 가압봉,
40 : 와이어 텐션수단, 41 : 클램프
42 : 텐션용 실린더,
50 : 가이드 롤러,

Claims (14)

  1.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의 상면에 회전 또는 바퀴를 통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시트를 지지하는 쿠션재질의 시트 받침과;
    상기 테이블에 설치되며 상기 시트 받침에 거치된 시트의 쿠션을 가압하여 압축시키는 쿠션 압축수단과;
    상기 시트의 쿠션을 감싸는 커버의 가장자리에 삽입되며 상기 커버의 홀로부터 후진하여 양측이 상기 커버의 홀을 통해 상기 커버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와이어를 팽팽하게 당겨 상기 커버가 상기 쿠션을 조이도록 하는 와이어 텐션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쿠션 압축수단은 상기 테이블의 상판에 체결구를 통해 고정되는 판상의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 위에 세워지는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의 단부에서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부로 이루어지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로드가 상기 시트의 쿠션을 향해 하강 및 반대로 상승하도록 설치되는 압축용 실린더, 상기 압축용 실린더의 로드에 연결되어 승강하며 상기 시트의 쿠션을 압축하는 가압판 및 상기 가압판의 저부에 하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시트의 쿠션을 가압하는 다수의 가압봉을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 텐션수단은,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로드가 인출 또는 삽입되는 2개의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로드에 연결되며 상기 와이어의 양측을 고정하는 클램프, 상기 가압판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의 배선을 안내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 롤러로 이루어지되, 상기 가이드 롤러는 상기 와이어의 매듭부와 상기 클램프 사이로서 상기 와이어 매듭부와 클램프를 연결하는 직선 경로를 벗어난 곳에 설치되며, 상기 클램프를 통해 상기 와이어를 고정한 후 상기 로드의 삽입을 통해 상기 와이어를 당기는 것이며,
    상기 클램프는 상기 실린더의 로드에 연결되는 클램프 베이스, 상기 클램프 베이스의 단부에 형성되며 와이어를 지지하는 와이어 지지부, 상기 클램프 베이스에 장착되는 클램핑 액추에이터, 상기 클램핑 액추에이터에 의해 상기 와이어 지지부를 향해 전진하여 상기 와이어를 상기 와이어 지지부에 밀착시켜 클램핑하는 클램핑 블록으로 구성되고,
    상기 와이어 텐션수단은 상기 쿠션 압축수단의 가압판에 설치되며 상기 가압판과 함께 하강하여 상기 시트의 쿠션이 상기 쿠션 압축수단과 시트 받침에 의해 압축된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을 당겨 텐션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커버 래핑 지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청구항 1에 의한 시트 커버 래핑 지그를 이용한 시트 커버 래핑 방법으로서,
    상기 시트 커버 래핑 지그의 시트 받침 위에 커버로 감싸진 쿠션으로 이루어진 시트를 거치하되, 상기 쿠션이 노출되고 상기 커버의 가장자리가 상부를 향하도록 시트를 거치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를 통해 상기 테이블에 거치된 시트의 쿠션을 쿠션 압축수단에 의해 가압하여 압축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 이후 작업자에 의해 상기 시트의 커버를 조이는 와이어를 상기 쿠션 압축수단의 가압판과 함께 하강하는 와이어 텐션수단을 통해 제공받아 클램핑한 후 상기 와이어를 팽팽하게 당겨 작업자에 의해 상기 와이어의 매듭부를 고정하도록 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를 통해 와이어의 매듭부가 고정된 후 상기 와이어의 클램핑을 풀고 상기 쿠션 압축수단과 상기 와이어 텐션수단을 상승에 의해 상기 시트의 쿠션으로부터 떨어뜨려 상기 시트의 쿠션이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상기 시트의 커버와 팽팽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커버 래핑 지그를 이용한 시트 커버 래핑 방법.
  14. 삭제
KR1020160116669A 2016-09-09 2016-09-09 시트 커버 래핑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시트 커버 래핑 방법 KR1018132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6669A KR101813265B1 (ko) 2016-09-09 2016-09-09 시트 커버 래핑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시트 커버 래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6669A KR101813265B1 (ko) 2016-09-09 2016-09-09 시트 커버 래핑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시트 커버 래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3265B1 true KR101813265B1 (ko) 2017-12-29

Family

ID=60939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6669A KR101813265B1 (ko) 2016-09-09 2016-09-09 시트 커버 래핑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시트 커버 래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32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83970A (zh) * 2020-04-17 2020-08-04 安吉县盛信办公家具有限公司 一种座垫自动拼装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7353B2 (ja) * 1991-06-20 1997-03-05 ギレム クリスティアン 柔軟な被覆体によって対象物を被覆する方法、この方法を実施する際に使用する装置及び得られる製品
JP3533165B2 (ja) * 2000-09-25 2004-05-31 津田駒工業株式会社 糸シート巻取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7353B2 (ja) * 1991-06-20 1997-03-05 ギレム クリスティアン 柔軟な被覆体によって対象物を被覆する方法、この方法を実施する際に使用する装置及び得られる製品
JP3533165B2 (ja) * 2000-09-25 2004-05-31 津田駒工業株式会社 糸シート巻取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83970A (zh) * 2020-04-17 2020-08-04 安吉县盛信办公家具有限公司 一种座垫自动拼装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95312B2 (en) Film clamp and relate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wrapping loads
CN110723347B (zh) 一种单面贴膜装置
CA2550097C (en) Assembly apparatus and process for a chair back
US20070151211A1 (en) Device and method for wrapping unit loads or packaged goods
US9346152B2 (en) Furniture assembly jig
KR101813265B1 (ko) 시트 커버 래핑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시트 커버 래핑 방법
EP1741630B1 (en) Assembly and method for mattress packing
KR101687665B1 (ko) 등받이망 고정을 위한 등받이프레임 지그 및 이를 이용한 등받이 제조 방법
US7111373B2 (en) Apparatus for facilitating assembling of a covering sheet onto a cushioned padding
JP3083996B2 (ja) 畳表張りタッカ框止め装置
WO1991012174A1 (en) Cushion compression machin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ressing and cushioning and applying covers to cushions
JPH05247827A (ja) 刺しゅう機に材料を保持して案内する装置
CN114701889B (zh) 一种捆绑器织带自动卷带捆带机
JP2581912B2 (ja) 原反枠
JP2673645B2 (ja) スピーカーグリルの製法と装置
JPH04306392A (ja) 網戸用網張り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10222047A (ja) バンド掛け梱包機におけるバンド引き締め方法およびバンド引き締め装置
JPH07500059A (ja) 二次成形方法および装置
JPH0737785Y2 (ja) 切断機における束ねバイス装置
CN214645887U (zh) 一种新型覆膜装置
US2054602A (en) Rotary bundle binding and tying machine
EP0511458A1 (en) An apparatus for tightening bands, in particular bands as fitted to furniture frames
WO199101299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lling cushions
JP2740139B2 (ja) タオル類梱包機
CH393505A (fr) Procédé de calage des enroulements dans les encoches d&#39;une machine électrique tournan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