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2812B1 - 송풍기 허브와 함께 이용하기 위한 보강 부재, 송풍기 허브 및 이를 이용한 송풍기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송풍기 허브와 함께 이용하기 위한 보강 부재, 송풍기 허브 및 이를 이용한 송풍기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2812B1
KR101812812B1 KR1020117025812A KR20117025812A KR101812812B1 KR 101812812 B1 KR101812812 B1 KR 101812812B1 KR 1020117025812 A KR1020117025812 A KR 1020117025812A KR 20117025812 A KR20117025812 A KR 20117025812A KR 101812812 B1 KR101812812 B1 KR 101812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er
hub
reinforcing member
section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5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3356A (ko
Inventor
헨리크 비트
Original Assignee
더블유 앤 에스 매니지먼트 지엠비에이치 앤 씨오 케이 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블유 앤 에스 매니지먼트 지엠비에이치 앤 씨오 케이 지 filed Critical 더블유 앤 에스 매니지먼트 지엠비에이치 앤 씨오 케이 지
Publication of KR20120013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3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2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2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3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3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 F04D29/325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for axial flow fans
    • F04D29/329Details of the hub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2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 F04D29/023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axial pumps
    • F04D29/648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axi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300/00Materials; Properties thereof
    • F05D2300/10Metals, alloys or intermetallic compounds
    • F05D2300/17Alloys
    • F05D2300/171Steel allo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300/00Materials; Properties thereof
    • F05D2300/70Treatment or modification of materials
    • F05D2300/702Reinforc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229Prime mover or fluid pump making
    • Y10T29/49236Fluid pump or compressor making
    • Y10T29/49245Vane type or other rotary, e.g., fan

Abstract

송풍기 샤프트와의 연결을 위한 수단(2, 3)과, 복수의 송풍기 블레이드를 위한 반경 방향 수용부들(6)을 구비한 원통형인 고정 섹션(4)을 포함하는 송풍기 허브(1)에 있어서, 고정 섹션(4)은 터널 화재 시 발생할 수 있는 것과 같은 높은 온도에서도 충분한 인장력으로 송풍기 블레이드들의 고정을 보장하는 내부 측면 표면(5)을 포함하되, 큰 질량은 포함하지 않는 상기 송풍기 허브(1)를 제공하기 위해서, 송풍기 블레이드들의 고장력 고정용 수단(10)을 포함하여 고정 섹션(4)으로부터 분리되어 구성되고 환형으로 폐쇄되는 보강 부재(7)를 상기 송풍기 허브에 장착하는 점이 제안된다.

Description

송풍기 허브와 함께 이용하기 위한 보강 부재, 송풍기 허브 및 이를 이용한 송풍기 제조방법{REINFORCING ELEMENT FOR USE WITH A VENTILATOR HUB}
본 발명은, 송풍기 샤프트와의 연결을 위한 수단과, 복수의 송풍기 블레이드를 위한 반경 방향 수용부들(radial receptacle)을 구비한 원통형인 고정 섹션(fastening section)을 포함하는 송풍기 허브에 있어서, 고정 섹션은 내부 측면 표면(inner lateral surface)을 포함하는 상기 송풍기 허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송풍기 허브와 함께 이용하기 위한 보강 부재에 있어서, 복수의 송풍기 블레이드의 고장력 고정(high-tensile fastening)용 수단을 포함하는 상기 보강 부재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송풍기 허브를 포함하는 송풍기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하철 또는 터널 지하 주차장처럼 폐쇄된 차량 건물을 위한 송풍기는 매우 오랜 사용 수명에 걸쳐서 매우 상이한 부하 및 환경 조건에서 확실하게 작동해야 한다. 전형적으로 지하철 또는 터널 지하 주차장 내 송풍기 시설은 수년 또는 수십 년에 걸친 작동에 적합하게 설계된다. 지하철 또는 터널에서 배연 송풍기(smoke extracting ventilator)로서 송풍기를 이용할 경우, 지하철 또는 터널 운영자의 측에서는 화재 사건에서 발생할 수 있는 것처럼 높은 온도의 조건에서 송풍기의 작동성에 대한 요건이 존재한다. 이런 요건은 부분적으로 법적으로 규정되어 있다.
다른 한편으로 대개 통상적인 바와 같이 송풍기를 가능한 저가 및 재료 절감 방식으로 제조하고자 하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대개 송풍기는 자체 기본 구성에 따라 송풍기 허브(ventilator hub)로 구성되고, 이 송풍기 허브에는 반경 방향으로 복수의 송풍기 블레이드가 장착된다. 송풍기 블레이드들의 고정은 예컨대 볼트와 같은 고정 수단들에 따라 이루어진다.
앞서 언급한 송풍기에 대한 요건의 배경에서 다양한 송풍기 허브가 공지되었다. 질량을 작게 유지하기 위해,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육중하게(massively) 구성되는 송풍기 허브가 공지되었다. 그러나 알루미늄으로 제조된 송풍기 허브의 경우 단점으로는 약 300℃ 이상의 온도에서 송풍기 허브의 교환성이 제한된다는 점에 있다. 왜냐하면, 알루미늄의 인장 강도가 상기 온도에서 강하게 감소하므로써 알루미늄은 점차 유동을 개시하기 때문이다. 특별한 알루미늄 합금이라도 상기 결점을 향상시킬 수 없다. 이처럼 알루미늄의 바람직하지 못한 성질의 결과로서 송풍기 블레이드들은 예컨대 화재 시에 발생할 수 있는 것처럼 높은 온도에서 알루미늄으로 제조된 송풍기 허브로부터 떨어질 수 있다.
알루미늄으로 제조되는 송풍기 허브의 상기 결점으로 인해, 배연 송풍기에 대한 종래 기술에서는, 높은 부하 시에 다시 말해 회전 속도가 높고, 블레이드 길이가 긴 경우, 강철로 육중하게 제조된 송풍기 허브가 이용된다. 그러나 강철 소재의 송풍기 허브는 매우 큰 질량을 보유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최초에 언급한 유형의 송풍기 허브에 있어서, 터널 화재 시 발생할 수 있는 것과 같이 높은 온도에서도 충분한 인장력을 보유한 송풍기 블레이드들의 고정을 보장하면서도, 이때 큰 질량은 포함하지 않는 상기 송풍기 허브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최초에 언급한 유형의 송풍기 허브와 함께 이용하기 위한 보강 부재에 있어서, 종래 기술의 단점이 방지될 수 있게 하는 상기 보강 부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항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송풍기 허브를 포함하는 송풍기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최초에 언급한 유형의 송풍기 허브와 관련한 상기 목적은, 송풍기 블레이드들의 고장력 고정용 수단을 포함하여 고정 섹션으로부터 분리되고 환형(ring-shape)으로 폐쇄되는 보강 부재가 제공됨으로써 달성된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송풍기 허브에 추가 부품의 형태로 보강 부재가 추가된다.
본 발명에 따라 보강 부재가 환형으로 구성됨으로써, 보강 부재는 반경 방향 힘을 흡수할 수 있고, 예컨대 알루미늄으로 제조된 축 방향 휠 허브(axial wheel hub)로부터 완전하게 이격될 수 있다. 송풍기가 균형을 이루는 경우, 보강 부재는 송풍기 허브에 어떠한 힘도 가하지 않는다. 그럼으로써 송풍기 허브 및 보강 부재로 이루어진 유닛의 열간 인장 강도(hot tensile strength)는 보강 부재의 재료에 의해서만 결정된다. 이처럼 송풍기 허브에서 송풍기 블레이드들의 고장력 고장의 목적을 위해 최적화된 소재가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동시에 송풍기 허브에 대해 최적화된 소재도 선택될 수 있다. 높은 온도에서 높은 열간 인장 강도 및 우수한 크리프 파단 특성(creep rupture properties)을 보유하는 소재로 이루어진 보강 부재가 선택될 수 있다. 동시에 본 발명에 따라 송풍기 허브를 위해 경량인 소재가 선택될 수 있으면서도, 그로 인해 송풍기의 열간 인장 강도도 전체적으로 저하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 보강 부재는 서로 용접될 수 있는 2개 이상의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강 부재를 구비하는 송풍기 허브의 제조는 상기 조치를 바탕으로 간단하게 전개된다. 열간 인장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통상적인 유형의 축 방향 휠 허브에 본 발명에 따른 보강 부재를 장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구현예에 따라, 세그먼트의 개수는 수용될 송풍기 블레이드의 개수의 절반에 상응한다. 예컨대 휠이 4개인 경우, 다시 말해 총 4개의 송풍기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송풍기의 경우, 2개의 세그먼트가 제공될 수 있다. 휠이 6개라면, 3개의 세그먼트가 제공될 수 있다. 휠이 8개라면, 그에 상응하게 4개의 세그먼트가 제공될 수 있다.
송풍기 허브에서 본 발명에 따른 보강 부재의 고정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 보강 부재가 평면인 섹션을 하나 이상 포함하고 이 평면 섹션의 표면 법선은 규정에 따른 사용 시에 송풍기 허브의 반경 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을 때 더욱 향상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보강 부재의 구현예에 따라, 평면 섹션의 개수는 수용될 송풍기 블레이드의 개수의 두 배에 상응한다. 따라서 이런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 휠이 4개인 경우 8개의 평면 섹션이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회전하는 상부 구조의 대칭성을 바탕으로, n 각형에 상응하는, 실제로 환형인 보강 부재의 횡단면 표면이 형성된다. 대응하는 방식으로 6개 휠은 12개의 평면 섹션을, 8개 휠은 16개의 평면 섹션을, 그리고 12개 휠은 24개의 평면 섹션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강 부재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라, 보강 부재는 강철로 제조된다. 강철의 열간 인장 강도 및 크리프 파단 특성은 예컨대 300℃ 이상의 온도에서도 탁월하다. 상기 온도에서 열간 인장 강도는 알루미늄 소재의 보강 부재보다 훨씬 더 우수하다.
본 발명의 기초가 되는 목적은, 송풍기 샤프트 또는 허브 코어와 연결하기 위한 수단과, 복수의 송풍기 블레이드를 위한 반경 방향 수용부들을 구비하고 원통형인 고정 섹션을 포함하는 송풍기 허브에 있어서, 고정 섹션이, 송풍기 블레이드들의 고장력 고정용 수단을 구비하여 이 고정 섹션으로부터 분리되어 형성되고 환형으로 폐쇄되는 보강 부재가 구비된 내부 측면 표면을 포함하는, 상기 송풍기 허브에 의해 달성된다. 환형인 고정 섹션은 송풍기 허브보다 더 높은 고장력의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고정 섹션은 굽혀진 강철 벨트의 형태를 보유할 수 있다. 송풍기 블레이드들의 고장력 고정용 수단은 가장 간단한 경우 나사산이 있거나 그렇지 않은 보어부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송풍기 허브는, 보강 부재가 고정 섹션의 내부 측면 표면을 따라 배치될 때 더욱 향상된다. 송풍기 허브의 내부 공간부는 대개 상부 구조로부터 자유롭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라 보강 부재가 굽혀진 강철 벨트의 형태로 장착될 수 있으면서도, 휠 허브의 구조적인 조정은 요구되지 않는다.
그 외에 송풍기의 불균형 시에도, 허브의 원통형 고정 섹션은 비상 시 보강 부재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추가의 반경 방향 힘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축 방향 힘을 흡수하기 위한, 보강 부재와 송풍기 허브 사이의 적합하고 견고한 고정은, 본 발명에 따른 송풍기 허브의 개선 실시예에 따라, 내부 측면 표면이 하나 이상의 반경 방향 수용부 둘레의 영역에 평면인 영역을 포함하고 이 평면 영역의 표면 법선이 송풍기 허브의 반경 방향으로 배향될 때 제공된다. 평면 영역들은 예컨대 리밍 가공(reaming)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주에서 송풍기 허브가 알루미늄으로 제조된다. 알루미늄은 중량의 이유에서 축 방향 휠 허브에 대한 재료이다. 본 발명에 따라 알루미늄으로 제조된 송풍기 허브는 열간 인장 강도를 고려할 때 알루미늄의 바람직하지 못한 성질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에 따른 보강 부재와 결부되어 요구되는 열간 인장 강도를 나타낼 수 있다. 왜냐하면, 보강 부재는 동시에 본 발명의 범주에서 강철로 제조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송풍기 허브의 구현예의 경우 보강 부재는 청구항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형성된다.
본 발명의 기초가 되는 방법과 관련한 목적은, 청구항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송풍기 허브를 포함하는 송풍기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고장력 고정용 수단이 원통형 고정 섹션의 반경 방향 수용부들과 반경 방향 및 축 방향으로 일치하는 방식으로, 보강 부재의 각각의 세그먼트가 송풍기 허브의 고정 섹션의 내부 측면 표면에 접근되고,
b. 이어서 고정될 송풍기 블레이드들의 나사 볼트들이 원통형 고정 섹션의 반경 방향 수용부 내에, 그리고 고장력 고정용 수단 내에 삽입되고,
c. 이어서 보강 부재의 각각의 세그먼트가 각각의 고정될 송풍기 블레이드의 나사 볼트에 의해 송풍기 허브의 원통형 고정 섹션과 나사 결합되며,
d. 송풍기 허브의 원통형 고정 섹션과 나사 결합된 보강 부재의 세그먼트들이 서로 용접되면서, 연접되고 환형으로 폐쇄되는 보강 부재를 형성하는,
상기 제조 방법을 통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보강 부재를 포함하는 송풍기를 위한, 알루미늄으로 제조된 종래의 축 방향 휠 허브 또는 기타 허브의 차후 장착을 가능하게 한다. 강철 부재의 환형이 허브와 보강 부재의 개별 세그먼트들의 고정 후에 상기 개별 세그먼트들의 용접을 통해 비로소 형성되는 것을 통해서, 예컨대 알루미늄으로 제조된 송풍기 허브가 가령 긁힘에 의해 손상될 수도 있고 상황에 따라서는 문제가 되는 일체형 보강 부재의 장착 고정 공정은 생략된다. 그 외에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에 의해서는 개별 세그먼트들로 구성되는 보강 부재를 이용하여 송풍기 허브의 내부 측면 표면에 대한 보강 부재의 최적의 밀착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과 관련한 실시예에 따라 예시로서 설명되되, 추가의 상세 내용은 도면의 도들에서 확인될 수 있다.
기능상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도면 부호로 식별 표시된다.
본 발명의 송풍기 허브 및 이를 이용한 송풍기 제조방법은 터널 화재 시 발생할 수 있는 높은 온도에서도 충분한 인장력을 보유한 송풍기 블레이드들의 고정을 보장하면서도, 경량화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면의 도들은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부품으로서 알루미늄으로 제조된 축 방향 휠 허브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에서 (a)는 본 발명에 따른 강철 보강 벨트를 절단하여 도시한 방사 단면도이고, (b)는 부분도 (a)에 따른 본원의 보강 벨트를 통해 보충될 수 있는 도 1에 따른 축 방향 휠 허브를 절단하여 도시한 방사 단면도이며, 단면은 도 1의 절단선 II-II를 따라 연장된다.
도 3은 도 2(a)에 따른 본원의 보강 부재의 다양한 구현예를 각각 개략적으로 도시한 축 방향 평면도이다.
도 1에는 축 방향 휠 허브(1)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축 방향 휠 허브(1)는 종래 기술에 따른 허브에 상응한다. 축 방향 휠 허브는 미도시한 송풍기 샤프트와, 경우에 따라 미도시된 허브 코어를 통해 연결되기 위한 중심 보어부(2)를 포함한다. 중심 보어부(2) 둘레에는, 미도시된 송풍기 샤프트와의 고정을 위한 미도시된 허브 코어와 플랜지 결합부를 형성하기 위해 원주에 배치되는 고정 보어부들(3)이 제공된다.
그 외에도 축 방향 휠 허브(1)는 원통형 고정 섹션(4)을 포함한다. 고정 섹션(4)은 내부 측면 표면(5)을 포함한다. 원통형 고정 섹션(4) 내에는 반경 방향 수용 보어부들(6)이 상호 간에 동일한 각도 간격으로 제공된다. 도 1에 따른 개략도에는 송풍기의 무하중 작동(load-free operation)을 위해 실제로 소요되는 모든 수용 보어부(6)가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수용 보어부들(6)은 미도시된 송풍기 블레이드들의 단부에 장착되는 블레이드 볼트들에 따라 미도시된 송풍기 블레이드들을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종래 기술에서 송풍기 블레이드들의 고정은, 축 방향 휠 허브(1)의 원통형 고정 섹션(4) 내 반경 방향 수용 보어부들(6) 내에 블레이드 볼트들을 삽입하고 이어서 내부 측면 표면(5)에 안착되는 너트에 따라 나사산이 구비된 블레이드 볼트를 나사 결합하는 것을 통해 이루어진다. 반경 방향 수용 보어부들(6)을 구비한 원통형 고정 섹션(4)에는 원추 테이퍼형 외부 섹션(11)(conical-tapered outer section)이 이어진다.
그러나 축 방향 휠 허브(1)가 알루미늄으로 제조되는 점에 한해서, 상기 배치 구조는 예컨대 터널 화재 시 발생할 수 있는 것과 같은 온도, 다시 말해 300℃ 내지 400℃에서 충분하지 않은 인장 강도를 나타내게 된다.
도 2에 따라서는 본 발명의 범주에서 축 방향 휠 허브(1)의 경우 알루미늄으로 제조되는 축 방향 휠 허브(1)의 불충분한 열간 인장 강도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이 설명된다. 도 2의 부분도 (a)에는 도 1의 절단선 II-II에 따른 단면 방향에 상응하는 방사 단면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보강 벨트(7)가 도시되어 있다.
보강 벨트(7)는 굽힘선들(8)에서 각각 동일한 각도(α)(도 3 참조)만큼 굽혀진다. 도 2(a)에 따른 관점에서 굽힘은 도면 평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간주된다. 굽힘선들(8) 사이에서는 보강 벨트(7)가 각각 굽혀지지 않은 평면 섹션(9)의 형태로 연장된다. 굽혀지지 않은 섹션들(9)은 본 실시예에 따라 각각 동일한 길이와 폭을 보유한다. 그리고 각각 세 번째 평면 섹션(9)에는 보어부(10)가 구비된다. 도 3 (a')에 따라 하기에서 추가로 기재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는 보다 긴 섹션들(9)이 각각 더욱 짧은 섹션들(9')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또한, 도 2 (a)에서는 보강 벨트(7)가 세그먼트들(7a, 7b)로 구성되는 점을 추가로 알 수 있다. 세그먼트들(7a, 7b)은 용접 솔기(12)를 따라 서로 연결된다. 용접 솔기(12)는 동시에 굽힘선(8)의 의미에서 굽힘선이 된다.
도 2 (b)에는 도 1에 사시도로 도시된 축 방향 휠 허브(1)처럼 구성되는 축 방향 휠 허브(1)가 도 2의 부분도 (a)와 동일한 관점의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도 2 (b)에는 그 외에도 내부 측면 표면(5)의 특별한 구성을 확인할 수 있다. 내부 측면 표면(5)에는 서로 축 방향으로 배향되는 평면 표면들(13)이 배치된다. 평면 표면들(13)은 축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대략 보강 벨트(7)의 평면 섹션들(9)과 동일한 치수를 보유한다.
도 3에는 보강 벨트(7)의 다양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이 축 방향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도 3 (a)에는 4개 휠을 위한, 다시 말해 총 4개의 송풍기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휠을 위한 축 방향 휠 허브(1)에서 이용하기 위한 보강 벨트(7)가 도시되어 있다. 보강 벨트(7)는 2개의 세그먼트(7a, 7b)로 구성된다. 세그먼트들(7a, 7b)은 용접 솔기(12)를 따라 연결되거나 연결될 수 있다.
도 3 (a')에는 도 3 (a)에 따른 본원의 보강 벨트의 대체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a)에 따른 보강 벨트와 일치하는 점으로서 도 3 (a')에 도시된 보강 벨트는 총 4개의 송풍기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휠을 위한 축 방향 휠 허브에서의 이용을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도 3 (a)에 따른 실시예와의 차이점은 굽혀지지 않은 섹션들(9)이 쌍을 이루면서 반경 방향으로 서로 다른 길이를 보유한다는 점에 있다. 도 3 (a')에서 알 수 있듯이, 굽혀지지 않은 인접한 섹션들(9 및 9')이 각각 반경 방향으로 서로 다른 길이를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반경 방향에서 서로 마주보는 섹션들(9, 9')은 각각 동일한 반경 방향 길이를 보유한다. 이와 같은 구조 형태에서 상대적으로 더욱 긴 섹션들(9)은 송풍기 허브와 접촉하지 않는다.
도 3 (b)에는 6개 휠을 위한 본 발명에 다른 보강 벨트(7)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b)에 따른 보강 벨트(7)는 용접 솔기들(12)에서 서로 연결되거나 연결될 수 있는 3개의 세그먼트로 구성된다.
도 3 (c)에는 4개의 세그먼트(7a, 7b, 7c, 7d)로 구성되는, 8개 휠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보강 벨트(7)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d)에는 12개 휠에 적합하면서 마찬가지로 4개의 세그먼트로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보강 벨트(7)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그 밖의 점에서, 도 3 (c) 및 (d)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은 도 (a) 및 (b)에 따른 실시예들에 상응한다.
도 1 또는 도 2 (b)에 따른 축 방향 휠 허브에 본 발명에 따른 보강 벨트(7)를 제공하기 위해, 각각의 세그먼트(7a, 7b, ...)는 축 방향 휠 허브(1)의 내부 측면 표면(5)에서 나사 결합된다. 이를 위해 고정될 송풍기 블레이드들의 블레이드 볼트가 반경 방향 수용 보어부(6)를 통해 축 방향 휠 허브(1)의 원통형 고정 섹션(4) 내로, 그런 다음 수용 보어부(6)와 일치하는 보강 벨트(7) 내 구멍(10)을 통과하도록 삽입된다. 이때 보강 벨트(7)의 평면 섹션들(9)은 허브(1)의 고정 섹션(4)의 내부 측면 표면(5)에 형성된 함몰부들(13) 내에 맞물린다.
그런 다음 보강 벨트(7)의 세그먼트와 축 방향 휠 허브(1)로 이루어진 유닛은 로크 너트(lock nut)에 따라 통상적인 방식으로 나사 결합된다. 보강 벨트(7)의 세그먼트들(7a, 7b, ...) 각각이 기재된 방식으로 축 방향 휠 허브(1)의 원통형 고정 섹션(4)의 내부 측면 표면(5)에 나사 결합된 후에는, 보강 벨트(7)의 개별 세그먼트들(7a, 7b)이 축 방향 휠 허브(1)의 내부에서 용접 솔기(12)를 따라 서로 용접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라, 경량이면서 지하철 또는 터널에서 화재 시에 발생할 수 있는 높은 온도에서도 인장 강도를 보유하는 축 방향 휠 허브(1)가 제공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라 보강 벨트를 강철로, 예컨대 S235JR과 같은 구조강으로 제조하고 축 방향 허브(1)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조하면서 달성할 수 있다.
1: 축 방향 휠 허브(axial wheel hub)
2: 보어부(bore)
3: 고정 보어부
4: 원통형 고정 섹션(cylindrical fastening section)
5: 내부 측면 표면(inner lateral surface)
6: 반경 방향 수용 보어부(radial receiving bore)
7: 보강 벨트
7a: 세그먼트
7b: 세그먼트
8: 굽힘선
9: 평면 섹션(plane section)
10: 보어부
11: 원추 테이퍼형 외부 섹션(conical-tapered outer section)
12: 용접 솔기
13: 평면 표면
α: 굽힘 각도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송풍기 샤프트 및 허브 코어와의 연결을 위한 수단(2, 3)과, 복수의 송풍기 블레이드를 위한 반경 방향 수용부들(6)을 구비하고 원통형인 고정 섹션(4)을 포함하는 송풍기 허브(1)로서, 상기 고정 섹션(4)은 내부 측면 표면(5)을 포함하는, 상기 송풍기 허브에서,
    송풍기 허브에는, 송풍기 블레이드들의 고장력 고정용 수단(10)을 포함하여 상기 고정 섹션(4)으로부터 분리되어 구성되고 환형으로 폐쇄되는 보강 부재(7)가 장착되는 것으로 구성하고, 상기 송풍기 허브의 구성에 따르는 송풍기 허브(1)를 포함하는 송풍기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고장력 고정용 수단이 원통형 고정 섹션(4)의 반경 방향 수용부들(6)과 반경 방향 및 축 방향으로 일치하는 방식으로, 보강 부재(7)의 각각의 세그먼트(7a, 7b)가 상기 송풍기 허브(1)의 상기 고정 섹션(4)의 내부 측면 표면에 접근되고,
    b. 고정될 송풍기 블레이드들의 나사 볼트들이 상기 원통형 고정 섹션(4)의 반경 방향 수용부(6) 내에 고장력 고정용 수단(10) 내로 삽입되고,
    c. 상기 보강 부재(7)의 각각의 세그먼트(7a, 7b)가 각각의 고정될 송풍기 블레이드의 나사 볼트에 의해 상기 송풍기 허브(1)의 원통형 고정 섹션(4)과 나사 결합되며,
    d. 상기 송풍기 허브(1)의 원통형 고정 섹션(4)과 나사 결합된 보강 부재의
    세그먼트들(7a, 7b)이 서로 용접되면서, 연접되고 환형으로 폐쇄되는 보강 부재(7)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KR1020117025812A 2009-04-11 2010-04-09 송풍기 허브와 함께 이용하기 위한 보강 부재, 송풍기 허브 및 이를 이용한 송풍기 제조방법 KR1018128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9017307A DE102009017307A1 (de) 2009-04-11 2009-04-11 Verstärkungselement zur Verwendung mit einer Ventilatornabe
DE102009017307.2 2009-04-11
PCT/EP2010/002222 WO2010115637A1 (de) 2009-04-11 2010-04-09 Verstärkungselement zur verwendung mit einer ventilatornab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7907A Division KR101941391B1 (ko) 2009-04-11 2010-04-09 송풍기 허브와 함께 이용하기 위한 보강 벨트, 송풍기 허브 및 이를 이용한 송풍기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3356A KR20120013356A (ko) 2012-02-14
KR101812812B1 true KR101812812B1 (ko) 2017-12-27

Family

ID=4273328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7907A KR101941391B1 (ko) 2009-04-11 2010-04-09 송풍기 허브와 함께 이용하기 위한 보강 벨트, 송풍기 허브 및 이를 이용한 송풍기 제조방법
KR1020117025812A KR101812812B1 (ko) 2009-04-11 2010-04-09 송풍기 허브와 함께 이용하기 위한 보강 부재, 송풍기 허브 및 이를 이용한 송풍기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7907A KR101941391B1 (ko) 2009-04-11 2010-04-09 송풍기 허브와 함께 이용하기 위한 보강 벨트, 송풍기 허브 및 이를 이용한 송풍기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8876480B2 (ko)
EP (1) EP2417360B1 (ko)
KR (2) KR101941391B1 (ko)
CN (1) CN102362075B (ko)
AU (1) AU2010234251B9 (ko)
DE (1) DE102009017307A1 (ko)
DK (1) DK2417360T3 (ko)
ES (1) ES2745856T3 (ko)
PL (1) PL2417360T3 (ko)
PT (1) PT2417360T (ko)
WO (1) WO20101156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21295B1 (fr) * 2014-05-21 2016-05-13 Snecma Moyeu raidi pour helice non carenee a pales a calage variable de turbomachine.
CN110469527A (zh) * 2019-09-02 2019-11-19 李�诚 一种直联混流风机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16921A (en) * 1955-07-11 1959-07-22 Air Control Installations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xial flow fans
US2541098A (en) * 1948-06-14 1951-02-13 Westinghouse Electric Corp Gas turbine propeller apparatus
GB826519A (en) * 1957-05-10 1960-01-13 Air Control Installations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xial flow fans
DE1428111B2 (de) * 1962-01-20 1971-06-16 Laufrad fuer einen axialluefter
DE1503628B2 (de) * 1965-10-22 1974-06-27 Turbon Ventilatoren- Und Apparatebau Gmbh, 1000 Berlin Flügelrad
BE757014A (ko) * 1969-10-04 1971-03-16 Schloz Motor Condensator
US3647317A (en) * 1970-03-19 1972-03-07 Fluor Prod Co Inc Fiberglass fan assembly
DE2313070C3 (de) * 1973-03-16 1982-09-16 Aktiengesellschaft Kühnle, Kopp & Kausch, 6710 Frankenthal Wälzlagerung für Schwenkbewegungen unter großer Axiallast
DE2704429C3 (de) * 1977-02-03 1979-10-11 Voith Getriebe Kg, 7920 Heidenheim Vorrichtung zum Verstellen der Laufradflügel von Ventilatoren
US4863352A (en) * 1984-11-02 1989-09-05 General Electric Company Blade carrying means
JPH02246897A (ja) * 1988-12-29 1990-10-02 General Electric Co <Ge> 航空機推進装置及び方法
US5112191A (en) * 1989-04-11 1992-05-12 General Electric Company Rotating cowling
DE3941612C2 (de) * 1989-12-16 1997-04-17 Behr Gmbh & Co Lüfterrad aus Kunststoff
DE4234292A1 (de) * 1992-10-12 1994-04-14 Behr Gmbh & Co Axiallüfter mit Kuststoffschaufeln
JP3713337B2 (ja) * 1996-08-09 2005-11-09 臼井国際産業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ファン
US6848887B2 (en) * 2001-08-23 2005-02-01 Lg Electronics Inc. Turbofan and mold thereof
FR2951435B1 (fr) * 2009-10-15 2012-02-03 Snecma Dispositif adapte pour etre pourvu de pales d'hel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17360B1 (de) 2019-06-26
AU2010234251B2 (en) 2015-01-29
KR20120013356A (ko) 2012-02-14
CN102362075A (zh) 2012-02-22
AU2010234251A1 (en) 2011-11-10
WO2010115637A8 (de) 2011-10-13
AU2010234251B9 (en) 2015-04-30
KR20170092616A (ko) 2017-08-11
ES2745856T3 (es) 2020-03-03
PT2417360T (pt) 2019-08-30
WO2010115637A1 (de) 2010-10-14
US8876480B2 (en) 2014-11-04
PL2417360T3 (pl) 2019-12-31
US20120034099A1 (en) 2012-02-09
DE102009017307A1 (de) 2010-10-14
EP2417360A1 (de) 2012-02-15
KR101941391B1 (ko) 2019-01-22
CN102362075B (zh) 2015-02-04
DK2417360T3 (da) 2019-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15137B1 (en) Windmill blade
ES2616288T3 (es) Cojinete de rodamientos en forma de tonel
US7481624B2 (en) Butt connection for hollow profile members
KR101820828B1 (ko) 팬 블레이드 및 이를 위한 고정 수단
JP6775671B2 (ja) タワーセグメント、タワー部分、タワー、風力タービン、およびタワーセグメントの製造方法、タワーセグメントの接続方法
JP2004011616A (ja) 風力発電機の風車ブレード構造
US9273732B2 (en) Bearing with a supporting element and method of supporting a first ring of a bearing
KR101812812B1 (ko) 송풍기 허브와 함께 이용하기 위한 보강 부재, 송풍기 허브 및 이를 이용한 송풍기 제조방법
ES2930441T3 (es) Un elemento de brida, una conexión de brida que comprende tales elementos de brida y una estructura de torre
US5458465A (en) Fan impeller
US11053703B2 (en) Support structure for a wind turbine
US11667148B2 (en) Rim reinforcement fitting
US9869325B2 (en) Fan blade
JP4386804B2 (ja) 既設鉄塔の耐震補強構造
KR20200033296A (ko) 풍력 터빈-타워용 풍력 터빈-강철 타워 섹션 및 그 제조 방법
JP2006265853A (ja) スクリュー翼付きコンクリート杭
JP5876455B2 (ja) 橋梁添架用ケーブル保護管の補修管材及びソケット
KR101359159B1 (ko) 흙막이벽 지지용 강관 버팀보의 이음부재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벽 지지용 강관 버팀보의 이음구조
ES2226013T3 (es) Revestimiento para construcciones cilindricas subterraneas en suelos de escasa estabilidad.
JP5563527B2 (ja) 鋼管鉄塔の補強構造
JP4945294B2 (ja) セグメント
JP4711722B2 (ja) トンネル内面保護・補強用のセグメントおよびトンネル内面保護・補強構造ならびに保護・補強構造の構築方法
CN217129062U (zh) 用于加固混凝土构件的防劈裂套管装置
CN107574760B (zh) 装配式变距钢管柱联接杆及其安装方法
JP6305057B2 (ja) 斜材の補強具及び補強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