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2513B1 - 카메라를 통해 지문을 취득할 때 사용되는 지문 취득 보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문 취득 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를 통해 지문을 취득할 때 사용되는 지문 취득 보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문 취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2513B1
KR101812513B1 KR1020160057408A KR20160057408A KR101812513B1 KR 101812513 B1 KR101812513 B1 KR 101812513B1 KR 1020160057408 A KR1020160057408 A KR 1020160057408A KR 20160057408 A KR20160057408 A KR 20160057408A KR 101812513 B1 KR101812513 B1 KR 1018125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print
user
finger
print pattern
identification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7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7159A (ko
Inventor
황인창
박정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젠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젠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젠트
Priority to KR1020160057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2513B1/ko
Publication of KR20170127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71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2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25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G06V40/1318Sensors therefor using electro-optical elements or layers, e.g. electroluminescent sensing
    • G06K9/000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17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171Identification of persons based on the shapes or appearances of their bodies or parts thereof
    • A61B5/1172Identification of persons based on the shapes or appearances of their bodies or parts thereof using fingerpri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9/183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22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 G06V30/224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of printed characters having additional code marks or containing code marks
    • G06V30/2247Characters composed of bars, e.g. CMC-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 Image Input (AREA)

Abstract

카메라를 통해 지문을 취득할 때 사용되는 지문 취득 보조 장치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전후면을 둘러싸서 상기 손가락에 수평 압력을 가하는 손가락 클립, 상기 사용자의 고유식별코드에 해당하는 사용자 식별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손가락 클립의 제1 면에 인쇄된 제1 인쇄패턴 및 상기 사용자의 지문에 대한 방향성을 결정하기 위한 기준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인쇄패턴과 겹치지 않게 상기 손가락 클립의 제1 면에 인쇄된 제2 인쇄패턴을 포함한다. 따라서, 지문 취득 보조 장치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전후면을 둘러싸서 손가락에 수평 압력을 가하여 사용자의 지문과 손가락 클립의 제1 면이 접촉하는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를 통해 지문을 취득할 때 사용되는 지문 취득 보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문 취득 장치{FINGERPRINT ACQUISITION AUXILIARY APPARATUS USED IN ACQUIRING FINGERPRINT BY CAMERA AND FINGERPRINT ACQUISI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지문 취득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전후면을 둘러싸고 손가락에 수평 압력을 가하여 카메라를 통해 지문을 취득하는 지문 취득 보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문 취득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인용 컴퓨터와 통신망의 급속한 보급과 함께 인허가, 보안이 요구되는 특정 구역의 출입통제, 신용카드를 이용한 상거래, 은행에서의 예금 입출금과 같은 개인신원 확인절차를 요구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개인신원의 확인절차는 열쇠, ID 카드, 비밀번호 등의 보안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열쇠, ID 카드, 비밀번호 등의 보안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 복제가 용이하거나 분실하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
보안장치의 복제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해 최근에는 생체측정보안장치가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생체측정보안장치는 지문, 손바닥, 눈, 얼굴 및 음성 등의 다양한 생체 부위를 이용하고 있으며 이들 생체 부위는 사람이 가지는 유일무이한 신체적 특성을 이용한다. 신체적 특성을 이용하여 개인신원을 확인함으로써 복제나 분실에 의한 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신체적 특성을 이용하여 개인신원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손가락에 형성되는 지문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615540호는 지문영상 취득장치를 구비한 정보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영상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영상감지수단, 사용자로 하여금 일반피사체촬영 모드와 지문촬영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는 모드선택수단, 사용자가 일반 피사체촬영 모드를 선택한 경우에는 일반피사체의 영상을 영상감지수단에 입력시키는 광각렌즈로서 기능하고, 사용자가 지문촬영 모드를 선택한 경우에는 지문 영상을 영상감지수단에 입력시키는 접사렌즈로서 기능하는 렌즈수단, 상기 영상감지수단에서 출력되는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수단; 상기 영상감지수단에서 출력되는 영상데이터를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전송수단을 포함하여, 카메라 내장형 정보단말기의 구성을 크게 변경하지 않고 단순히 접사기능을 부여함으로써 렌즈로부터 떨어져 있는 손가락을 촬영하여 지문영상을 취득하기 위한 정보단말기에 대하여 개시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26753호는 지문 영상 취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지문 영상을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지문 영상으로부터 손가락 구간을 구분하는 단계, 상기 손가락 구간의 폭을 이용하여 임계 값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지문 영역의 크기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지문 영역의 크기와 상기 임계 값의 비교 결과에 따라서 상기 지문 영상을 취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문 영상 취득 기술에 대하여 개시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615540호 (2006.08.17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1426753호 (2014.07.30 등록)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전후면을 둘러싸서 손가락에 수평 압력을 가함으로써 카메라를 통해 지문을 취득할 때 사용되는 지문 취득 보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지문 취득 보조 장치의 손가락 클립에 인쇄된 제1 및 제2 인쇄패턴들과 제2 인쇄패턴 내에 있는 손가락 지문을 획득하는 지문 취득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지문과 연관된 사용자의 고유식별코드에 해당하는 사용자 식별코드를 통해 취득한 지문 이미지를 식별하는 지문 취득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카메라를 통해 지문을 취득할 때 사용되는 지문 취득 보조 장치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전후면을 둘러싸서 상기 손가락에 수평 압력을 가하는 손가락 클립, 상기 사용자의 고유식별코드에 해당하는 사용자 식별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손가락 클립의 제1 면에 인쇄된 제1 인쇄패턴 및 상기 사용자의 지문에 대한 방향성을 결정하기 위한 기준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인쇄패턴과 겹치지 않게 상기 손가락 클립의 제1 면에 인쇄된 제2 인쇄패턴을 포함한다.
상기 손가락 클립은 그 상부의 양단에서 절곡되어 상기 손가락의 전후면을 둘러쌀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식별코드는 상기 사용자의 지문과 연관된 상기 사용자의 고유식별코드에 해당하고, 문자와 숫자의 조합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바코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 인쇄패턴은 상기 카메라에 의하여 촬상되는 상기 사용자의 지문 이미지의 크기를 결정하도록 상기 기준 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지문 취득 보조 장치는 상기 카메라의 촬상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 마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인쇄패턴들과 겹치지 않게 상기 손가락 클립의 제1 면에 인쇄된 제3 인쇄패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인쇄패턴은 상기 사용자의 지문이 촬상되는 위치로부터 특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상기 카메라의 초점을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지문 취득 장치는 방법은 지문 취득 보조 장치의 손가락 클립에 인쇄된 제1 및 제2 인쇄패턴들과 상기 제2 인쇄패턴 내에 있는 손가락 지문을 획득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제1 인쇄패턴으로부터 사용자의 고유식별코드에 해당하는 사용자 식별코드를 검출하는 사용자 식별코드 검출 모듈, 상기 제2 인쇄패턴을 기초로 상기 손가락 지문의 방향성을 보정하는 손가락 지문 보정 모듈 및 상기 보정된 손가락 지문을 기초로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 인식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손가락 클립을 통해 둘러싸이고 상기 손가락 클립의 제1 면과 접촉함으로써 형성되는 상기 사용자의 지문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식별코드는 상기 사용자의 지문과 연관된 상기 사용자의 고유식별코드에 해당하고, 문자와 숫자의 조합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바코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 인쇄패턴은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의하여 촬상되는 상기 사용자의 지문 이미지의 크기를 결정하도록 기준 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제1 및 제2 인쇄패턴들과 겹치지 않게 상기 손가락 클립의 제1 면에 인쇄된 제3 인쇄패턴을 통해 상기 지문의 촬상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지문이 촬상되는 위치로부터 특정 거리만큼 이격된 상기 제3 인쇄패턴을 통해 초점을 결정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통해 지문을 취득할 때 사용되는 지문 취득 보조 장치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전후면을 둘러싸서 손가락에 수평 압력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 취득 장치는 지문 취득 보조 장치의 손가락 클립에 인쇄된 제1 및 제2 인쇄패턴들과 제2 인쇄패턴 내에 있는 손가락 지문을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 취득 장치는 사용자의 지문과 연관된 사용자의 고유식별코드에 해당하는 사용자 식별코드를 통해 취득한 지문 이미지를 식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 취득 보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문 취득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지문 취득 보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지문 취득 보조 장치의 제1 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지문 취득 보조 장치를 이용한 지문 취득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 취득 보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문 취득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지문 취득 보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있는 지문 취득 보조 장치의 제1 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카메라를 통해 지문을 취득할 때 사용되는 지문 취득 보조 장치(100)는 손가락 클립(110), 제1 인쇄패턴(120), 제2 인쇄패턴(130) 및 제3 인쇄패턴(140)을 포함한다.
손가락 클립(110)은 사용자의 손가락(10)의 전후면을 둘러싸서 손가락(10)에 수평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손가락 클립(110)은 손가락(10)에 수평 압력을 가하여 사용자의 지문(20)과 손가락 클립(110)의 제1 면이 접촉하는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지문 취득 장치(200)는 사용자의 지문(20)과 손가락 클립(110)의 제1 면이 접촉하는 영역을 촬상하여 지문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의 지문 이미지는 타인의 지문 이미지와 식별되기 위하여 최소한의 크기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손가락 클립(110)은 사용자의 지문(20)에 대하여 수평 압력을 가하여 사용자의 지문(20)과 손가락 클립(110)이 접촉하는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고, 최소한의 크기 이상으로 형성된 지문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지문 취득 보조 장치(100)는 그 구성 및 크기를 최소화하여 간편하게 휴대될 수 있고 제조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손가락 클립(110)은 그 상부의 양단에서 절곡되어 손가락(10)의 전후면을 둘러쌀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손가락 클립(110)은 그 측단면이 [ㄷ]자 또는 [U]자로 형성될 수 있다. 손가락 클립(110)은 육방면(전면, 후면, 좌면, 우면, 상면, 하면) 중 일면이 개방되어, 개방된 면을 통해 손가락을 출입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인쇄패턴(120), 제2 인쇄패턴(130) 및 제3 인쇄패턴(140)이 인쇄되는 손가락 클립(110)의 제1 면은 육방면 중 일면에 해당할 수 있고, 사용자의 지문(20)이 향하는 방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손가락 클립(110)은 빛이 통과할 수 있는 유리 필름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손가락 클립(110)의 두께는 손가락(10)에 수평 압력을 가할 수 있고 빛의 굴절을 최소화할 수 있는 두께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a에서, 손가락 클립(110)은 그 상부의 양단이 직각으로 절곡되어 측단면이 [ㄷ]자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b에서, 손가락 클립(110)은 그 상부의 양단이 완만하게 절곡되어 측단면이 [U]자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손가락 클립(110)은 도 2a 및 도 2b에 기재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의 손가락(10)의 전후면을 둘러싸고 손가락의 지문(20)에 대하여 수평 압력을 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인쇄패턴(120)은 사용자의 고유식별코드에 해당하는 사용자 식별코드(120)를 포함하고, 손가락 클립(110)의 제1 면에 인쇄될 수 있다. 사용자 식별코드(120)는 사용자의 지문(20)과 일대일 대응하도록 설정될 수 있고, 지문 취득 장치(200)는 사용자 식별코드(120)를 기초로 사용자의 지문(20)을 식별할 수 있다. 즉, 지문 취득 장치(200)는 해당 사용자의 지문 이미지가 저장되지 않은 경우에도, 사용자 식별코드(120)를 통해 해당 사용자의 지문 이미지를 타인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식별코드(120)는 사용자의 지문(20)과 손가락 클립(110)이 접촉하는 영역과 이격되도록 손가락 클립(110)의 제1 면에 인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식별코드(120)는 제2 인쇄패턴(130)의 외곽에 배치되어 제2 인쇄패턴(130)의 내부에 형성되는 지문 이미지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식별코드(120)는 제3 인쇄패턴(140)으로부터 특정 방향에 대하여 특정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사용자 식별코드(120)는 제3 인쇄패턴(140)을 기준으로 특정 위치에 배치되어 지문 취득 장치(200)에 의하여 인식될 수 있다. 즉, 지문 취득 장치(200)는 제3 인쇄패턴(140)을 기준으로 특정 위치에 배치된 인쇄패턴을 사용자 식별코드(120)로서 인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식별코드(120)는 사용자의 지문(20)과 연관된 사용자의 고유식별코드에 해당하고, 문자와 숫자의 조합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바코드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식별코드(120)는 사용자의 지문 이미지를 타인과 식별하는 고유식별코드에 해당할 수 있고, 사용자마다 다르게 설정되어 사용자의 지문(20)과 일대일 대응할 수 있다.
제2 인쇄패턴(130)은 사용자의 지문(20)에 대한 방향성을 결정하기 위한 기준 라인(130)을 포함하고, 제1 인쇄패턴(120)과 겹치지 않게 손가락 클립(110)의 제1 면에 인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준 라인(130)은 사용자의 지문(20)과 손가락 클립(110)의 제1 면이 접촉하는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라인(130)은 폐쇄된 영역을 형성할 수 있고, 손가락 클립(110)은 형성된 폐쇄된 영역 내에서 사용자의 지문(20)과 접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의 지문을 기준 라인(130) 내에 위치시켜 지문 취득 보조 장치(100)를 사용할 수 있다. 즉, 기준 라인(130)은 지문 취득 장치(200)에 명확한 기준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한 가이드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인쇄패턴(130)은 카메라(예를 들어, 지문 취득 장치(200)의 카메라 모듈)에 의하여 촬상되는 사용자의 지문 이미지의 크기를 결정하도록 기준 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인쇄패턴(또는 기준 라인)(130)은 폐쇄된 영역을 형성할 수 있고, 지문 취득 장치(200)는 기준 라인(130)을 통해 형성된 영역을 기준으로 사용자의 지문 이미지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라인(130)을 통해 형성된 영역은 지문 이미지의 테두리에 해당할 수 있고, 지문 이미지의 크기는 기준 라인(130)을 통해 형성된 영역과의 상대적인 크기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제3 인쇄패턴(140)은 카메라(예를 들어, 지문 취득 장치(200)의 카메라 모듈)의 촬상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 마크(140)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인쇄패턴들(120, 130)과 겹치지 않게 손가락 클립(110)의 제1 면에 인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인쇄패턴(140)은 제2 인쇄패턴(130)의 외곽에 배치되어 제2 인쇄패턴(130)의 내부에 형성되는 지문 이미지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인쇄패턴(140)은 사용자의 지문(20)이 촬상되는 위치로부터 특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카메라(예를 들어, 지문 취득 장치(200)의 카메라 모듈)의 초점을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3 인쇄패턴(140)은 복수의 기준 마크들(140)을 통해 구현될 수 있고, 지문 취득 장치(200)는 복수의 기준 마크들(140)의 위치를 기초로 카메라 모듈의 초점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지문 취득 장치(200)는 복수의 기준 마크들(140)의 위치를 기초로 지문 이미지와 제1 및 제2 인쇄패턴들(120, 130)을 인식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지문 취득 보조 장치를 이용한 지문 취득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지문 취득 장치(200)는 카메라 모듈(410), 사용자 식별코드 검출 모듈(420), 손가락 지문 보정 모듈(430), 지문 인식 모듈(440) 및 제어 모듈(450)을 포함한다.
카메라 모듈(410)은 지문 취득 보조 장치(100)의 손가락 클립(110)에 인쇄된 제1 및 제2 인쇄패턴들(120, 130)과 제2 인쇄패턴(130) 내에 있는 손가락 지문(20)을 획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카메라 모듈(410)은 사용자의 지문(20)과 손가락 클립(110)의 제1 면이 접촉하는 영역을 촬상하여 지문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손가락 클립(110)은 사용자의 지문(20)에 대하여 수평 압력을 가하여 사용자의 지문(20)과 손가락 클립(110)이 접촉하는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고, 카메라 모듈(410)은 최소한의 크기 이상으로 형성된 지문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410)은 사용자의 손가락(10)이 손가락 클립(110)을 통해 둘러싸이고 손가락 클립(110)의 제1 면과 접촉함으로써 형성되는 사용자의 지문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손가락 클립(110)은 사용자 손가락(10)의 전후면을 둘러싸고 손가락의 지문(20)에 대하여 수평 압력을 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410)은 제1 및 제2 인쇄패턴들(120, 130)과 겹치지 않게 손가락 클립(110)의 제1 면에 인쇄된 제3 인쇄패턴(140)을 통해 지문의 촬상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3 인쇄패턴(140)은 카메라 모듈(410)의 촬상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 마크(140)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인쇄패턴들(120, 130)과 겹치지 않게 손가락 클립(110)의 제1 면에 인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카메라 모듈(410)은 제2 인쇄패턴(130)의 외곽에 배치되고 제2 인쇄패턴(130)의 내부에 형성되는 지문 이미지로부터 이격된 제3 인쇄패턴(140)을 통해 지문의 촬상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410)은 지문(20)이 촬상되는 위치로부터 특정 거리만큼 이격된 제3 인쇄패턴(140)을 통해 초점을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3 인쇄패턴(140)은 복수의 기준 마크들(140)을 통해 구현될 수 있고, 카메라 모듈(410)은 복수의 기준 마크들(140)의 위치를 기초로 초점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410)은 복수의 기준 마크들(140)의 위치를 기초로 지문 이미지와 제1 및 제2 인쇄패턴들(120, 130)을 인식할 수 있다.
사용자 식별코드 검출 모듈(420)은 제1 인쇄패턴(120)으로부터 사용자의 고유식별코드에 해당하는 사용자 식별코드(120)를 검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식별코드 검출 모듈(420)은 카메라 모듈(410)을 통해 인식된 제1 인쇄패턴(120)으로부터 사용자 식별코드(120)를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식별코드(120)는 사용자의 지문(20)과 연관된 사용자의 고유식별코드에 해당하고, 문자와 숫자의 조합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바코드로 구현될 수 있다.
손가락 지문 보정 모듈(430)은 제2 인쇄패턴(130)을 기초로 손가락 지문의 방향성을 보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인쇄패턴(또는 기준 라인)(130)은 폐쇄된 영역을 형성할 수 있고, 손가락 클립(110)은 형성된 폐쇄된 영역 내에서 사용자의 지문(20)과 접촉할 수 있다. 손가락 지문 보정 모듈(430)은 손가락 지문의 방향성을 보정하여 명확한 기준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제2 인쇄패턴(130)은 카메라 모듈(410)에 의하여 촬상되는 사용자의 지문 이미지의 크기를 결정하도록 기준 라인(130)을 형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인쇄패턴(또는 기준 라인)(130)은 폐쇄된 영역을 형성할 수 있고, 손가락 지문 보정 모듈(430)은 기준 라인(130)을 통해 형성된 영역을 기준으로 사용자의 지문 이미지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라인(130)을 통해 형성된 영역은 지문 이미지의 테두리에 해당할 수 있고, 지문 이미지의 크기는 기준 라인(130)을 통해 형성된 영역과의 상대적인 크기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지문 인식 모듈(440)은 보정된 손가락 지문을 기초로 지문을 인식하여 지문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지문 인식 모듈(440)은 지문 이미지를 생성하여 사용자의 지문(20)을 타인의 지문과 식별할 수 있다.
제어 모듈(450)은 지문 취득 장치(2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카메라 모듈(410), 사용자 식별코드 검출 모듈(420), 손가락 지문 보정 모듈(430) 및 지문 인식 모듈(440) 간의 제어 흐름 또는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카메라를 통해 지문을 취득할 때 사용되는 지문 취득 보조 장치(100)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전후면을 둘러싸서 손가락에 수평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지문 취득 장치(200)는 지문 취득 보조 장치(100)의 손가락 클립에 인쇄된 제1 및 제2 인쇄패턴들과 제2 인쇄패턴 내에 있는 손가락 지문을 획득할 수 있고, 사용자의 지문과 연관된 사용자의 고유식별코드에 해당하는 사용자 식별코드를 통해 취득한 지문 이미지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지문 취득 보조 장치
110: 손가락 클립 120: 제1 인쇄패턴
130: 제2 인쇄패턴 140: 제3 인쇄패턴
200: 지문 취득 장치
410: 카메라 모듈 420: 사용자 식별코드 검출 모듈
430: 손가락 지문 보정 모듈 440: 지문 인식 모듈
450: 제어 모듈

Claims (12)

  1. 빛이 통과할 수 있는 물질로 구현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의 전후면을 둘러싸서 상기 손가락에 수평 압력을 가하는 손가락 클립;
    상기 사용자의 고유식별코드에 해당하는 사용자 식별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손가락 클립의 제1 면에 인쇄된 제1 인쇄패턴; 및
    상기 사용자의 지문에 대한 방향성을 결정하기 위한 기준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인쇄패턴과 겹치지 않게 상기 손가락 클립의 제1 면에 인쇄된 제2 인쇄패턴을 포함하는 카메라를 통해 지문을 취득할 때 사용되는 지문 취득 보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클립은
    그 상부의 양단에서 절곡되어 상기 손가락의 전후면을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통해 지문을 취득할 때 사용되는 지문 취득 보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식별코드는
    상기 사용자의 지문과 연관된 상기 사용자의 고유식별코드에 해당하고, 문자와 숫자의 조합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바코드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통해 지문을 취득할 때 사용되는 지문 취득 보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쇄패턴은
    상기 카메라에 의하여 촬상되는 상기 사용자의 지문 이미지의 크기를 결정하도록 상기 기준 라인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통해 지문을 취득할 때 사용되는 지문 취득 보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의 촬상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 마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인쇄패턴들과 겹치지 않게 상기 손가락 클립의 제1 면에 인쇄된 제3 인쇄패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통해 지문을 취득할 때 사용되는 지문 취득 보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인쇄패턴은
    상기 사용자의 지문이 촬상되는 위치로부터 특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상기 카메라의 초점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통해 지문을 취득할 때 사용되는 지문 취득 보조 장치.
  7. 지문 취득 보조 장치의 빛이 통과할 수 있는 물질로 구현된 손가락 클립에 인쇄된 제1 및 제2 인쇄패턴들과 상기 제2 인쇄패턴 내에 있는 손가락 지문을 획득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제1 인쇄패턴으로부터 사용자의 고유식별코드에 해당하는 사용자 식별코드를 검출하는 사용자 식별코드 검출 모듈;
    상기 제2 인쇄패턴을 기초로 상기 손가락 지문의 방향성을 보정하는 손가락 지문 보정 모듈; 및
    상기 보정된 손가락 지문을 기초로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 인식 모듈을 포함하는 지문 취득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손가락 클립을 통해 둘러싸이고 상기 손가락 클립의 제1 면과 접촉함으로써 형성되는 상기 사용자의 지문 이미지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 취득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식별코드는
    상기 사용자의 지문과 연관된 상기 사용자의 고유식별코드에 해당하고, 문자와 숫자의 조합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바코드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 취득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쇄패턴은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의하여 촬상되는 상기 사용자의 지문 이미지의 크기를 결정하도록 기준 라인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 취득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제1 및 제2 인쇄패턴들과 겹치지 않게 상기 손가락 클립의 제1 면에 인쇄된 제3 인쇄패턴을 통해 상기 지문의 촬상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 취득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지문이 촬상되는 위치로부터 특정 거리만큼 이격된 상기 제3 인쇄패턴을 통해 초점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 취득 장치.
KR1020160057408A 2016-05-11 2016-05-11 카메라를 통해 지문을 취득할 때 사용되는 지문 취득 보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문 취득 장치 KR1018125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7408A KR101812513B1 (ko) 2016-05-11 2016-05-11 카메라를 통해 지문을 취득할 때 사용되는 지문 취득 보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문 취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7408A KR101812513B1 (ko) 2016-05-11 2016-05-11 카메라를 통해 지문을 취득할 때 사용되는 지문 취득 보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문 취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7159A KR20170127159A (ko) 2017-11-21
KR101812513B1 true KR101812513B1 (ko) 2017-12-28

Family

ID=60808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7408A KR101812513B1 (ko) 2016-05-11 2016-05-11 카메라를 통해 지문을 취득할 때 사용되는 지문 취득 보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문 취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25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3453B1 (ko) * 2019-03-15 2021-12-02 에코스솔루션(주) 지문 및 얼굴 영상을 이용한 스마트폰 기반 신원확인 방법
KR102529513B1 (ko) * 2019-03-15 2023-05-09 에코스솔루션(주) 스마트폰을 이용한 신원확인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20493A (ja) * 2011-12-07 2013-06-17 Pocket Co Ltd タッチパネルへの情報入力用具
KR101596298B1 (ko) * 2015-03-20 2016-02-24 이상훈 스마트폰을 활용한 비접촉식 지문인식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20493A (ja) * 2011-12-07 2013-06-17 Pocket Co Ltd タッチパネルへの情報入力用具
KR101596298B1 (ko) * 2015-03-20 2016-02-24 이상훈 스마트폰을 활용한 비접촉식 지문인식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7159A (ko) 2017-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22512B2 (en) Contactless fingerprint recognition method using smartphone
JP4704185B2 (ja) 生体認証システム及び生体認証方法
JP5451540B2 (ja) 生体認証装置および生体認証方法
JP5816677B2 (ja) 生体認証装置および生体認証方法
JP4957514B2 (ja) ガイド装置、撮像装置、撮像システム、ガイド方法
CN102194100B (zh) 手指静脉认证装置
US20160180146A1 (en) Fingerprint authentication using touch sensor data
US8493178B2 (en) Forged face detect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JP4686284B2 (ja) 生体情報登録装置
EP1589491A2 (en) Biometric data card and authentication method
JP4596026B2 (ja) 認証装置及び認証システム
KR20130043188A (ko) 생체 측정 인증 디바이스 및 방법
JP2006331239A (ja) 個人認証装置および個人認証システム
JP2007148968A (ja) 顔認証装置、セキュリティ強度変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351664B2 (en) Biometric authentication device and biometric authentication method
KR20090011127U (ko) 다중 생체인식 장치
JP4833115B2 (ja) 掌紋認証装置、携帯電話端末、プログラム、および掌紋認証方法
KR101812513B1 (ko) 카메라를 통해 지문을 취득할 때 사용되는 지문 취득 보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문 취득 장치
KR101768939B1 (ko) 카메라를 통해 지문을 취득할 때 사용되는 지문 취득 보조 장치
CN110753925A (zh) 登记指纹的方法
JP2019032640A (ja) 生体認証装置、制御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174199B2 (ja) 血管像読取装置
US20190347483A1 (en) Method for biometric recognition from irises
JP4254418B2 (ja) 個人認証装置及び方法並びに携帯通信端末
KR101965749B1 (ko) 카메라 기반의 비접촉식 지문인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