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8939B1 - 카메라를 통해 지문을 취득할 때 사용되는 지문 취득 보조 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를 통해 지문을 취득할 때 사용되는 지문 취득 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8939B1
KR101768939B1 KR1020160057409A KR20160057409A KR101768939B1 KR 101768939 B1 KR101768939 B1 KR 101768939B1 KR 1020160057409 A KR1020160057409 A KR 1020160057409A KR 20160057409 A KR20160057409 A KR 20160057409A KR 101768939 B1 KR101768939 B1 KR 101768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print
user
print pattern
polarizing plate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7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인창
박정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젠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젠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젠트
Priority to KR1020160057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89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8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8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06K9/0004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G06V40/1318Sensors therefor using electro-optical elements or layers, e.g. electroluminescent sen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Image Input (AREA)

Abstract

카메라를 통해 지문을 취득할 때 사용되는 지문 취득 보조 장치는 상호 대향하고 지지 강성을 제공하는 복수의 투명 플레이트들, 상기 복수의 투명 플레이트들의 사이에 배치되고 제1 투명 플레이트로부터 유입되는 광을 사용자의 손가락 지문의 특정 방향으로 편광시키는 편광 플레이트, 상기 사용자의 고유식별코드에 해당하는 사용자 식별코드로 구현되고 상기 편광 플레이트에 인쇄된 제1 인쇄패턴 및 상기 사용자의 지문 이미지에 대한 촬상을 보조하기 위한 기준 라인에 해당하고, 상기 제1 인쇄패턴과 겹치지 않게 상기 편광 플레이트에 인쇄된 제2 인쇄패턴을 포함한다. 따라서, 지문 취득 보조 장치는 제1 내지 제3 인쇄패턴들이 인쇄된 편광 플레이트를 통해 선명한 지문 이미지를 취득할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를 통해 지문을 취득할 때 사용되는 지문 취득 보조 장치 {FINGERPRINT ACQUISITION AUXILIARY APPARATUS USED IN ACQUIRING FINGERPRINT BY CAMERA}
본 발명은 지문 취득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를 통해 지문을 취득할 때 사용되는 지문 취득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인용 컴퓨터와 통신망의 급속한 보급과 함께 인허가, 보안이 요구되는 특정 구역의 출입통제, 신용카드를 이용한 상거래, 은행에서의 예금 입출금과 같은 개인신원 확인절차를 요구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개인신원의 확인절차는 열쇠, ID 카드, 비밀번호 등의 보안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열쇠, ID 카드, 비밀번호 등의 보안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 복제가 용이하거나 분실하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
보안장치의 복제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해 최근에는 생체측정보안장치가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생체측정보안장치는 지문, 손바닥, 눈, 얼굴 및 음성 등의 다양한 생체 부위를 이용하고 있으며 이들 생체 부위는 사람이 가지는 유일무이한 신체적 특성을 이용한다. 신체적 특성을 이용하여 개인신원을 확인함으로써 복제나 분실에 의한 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신체적 특성을 이용하여 개인신원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손가락에 형성되는 지문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615540호는 지문영상 취득장치를 구비한 정보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영상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영상감지수단, 사용자로 하여금 일반피사체촬영 모드와 지문촬영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는 모드선택수단, 사용자가 일반 피사체촬영 모드를 선택한 경우에는 일반피사체의 영상을 영상감지수단에 입력시키는 광각렌즈로서 기능하고, 사용자가 지문촬영 모드를 선택한 경우에는 지문 영상을 영상감지수단에 입력시키는 접사렌즈로서 기능하는 렌즈수단, 상기 영상감지수단에서 출력되는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수단; 상기 영상감지수단에서 출력되는 영상데이터를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전송수단을 포함하여, 카메라 내장형 정보단말기의 구성을 크게 변경하지 않고 단순히 접사기능을 부여함으로써 렌즈로부터 떨어져 있는 손가락을 촬영하여 지문영상을 취득하기 위한 정보단말기에 대하여 개시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26753호는 지문 영상 취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지문 영상을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지문 영상으로부터 손가락 구간을 구분하는 단계, 상기 손가락 구간의 폭을 이용하여 임계 값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지문 영역의 크기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지문 영역의 크기와 상기 임계 값의 비교 결과에 따라서 상기 지문 영상을 취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문 영상 취득 기술에 대하여 개시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615540호 (2006.08.17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1426753호 (2014.07.30 등록)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의 투명 플레이트들 사이에 배치된 편광 플레이트를 통해 선명한 지문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지문 취득 보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 내지 제3 인쇄패턴들이 인쇄된 편광 플레이트를 통해 선명한 지문 이미지를 취득하는 지문 취득 보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지문과 연관된 사용자의 고유식별코드에 해당하는 사용자 식별코드를 제공하여 지문 이미지를 식별 가능하게 하는 지문 취득 보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카메라를 통해 지문을 취득할 때 사용되는 지문 취득 보조 장치는 상호 대향하고 지지 강성을 제공하는 복수의 투명 플레이트들, 상기 복수의 투명 플레이트들의 사이에 배치되고 제1 투명 플레이트로부터 유입되는 광을 사용자의 손가락 지문의 특정 방향으로 편광시키는 편광 플레이트, 상기 사용자의 고유식별코드에 해당하는 사용자 식별코드로 구현되고 상기 편광 플레이트에 인쇄된 제1 인쇄패턴 및 상기 사용자의 지문 이미지에 대한 촬상을 보조하기 위한 기준 라인에 해당하고, 상기 제1 인쇄패턴과 겹치지 않게 상기 편광 플레이트에 인쇄된 제2 인쇄패턴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인쇄패턴은 상기 사용자의 지문과 연관된 상기 사용자의 고유식별코드에 해당하고, 문자와 숫자의 조합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바코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 인쇄패턴은 상기 카메라에 의하여 촬상되는 상기 사용자의 지문 이미지의 크기를 결정하도록 상기 기준 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지문 취득 보조 장치는 상기 카메라의 촬상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 마크에 해당하고, 상기 제1 및 제2 인쇄패턴들과 겹치지 않게 상기 편광 플레이트에 인쇄된 제3 인쇄패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3 인쇄패턴은 상기 사용자의 지문이 촬상되는 위치로부터 특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상기 카메라의 초점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문 취득 보조 장치는 상기 복수의 투명 플레이트들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을 제2 투명 플레이트에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카메라를 통해 지문을 취득할 때 사용되는 지문 취득 보조 장치는 지지 강성을 제공하는 투명 플레이트, 상기 투명 플레이트와 접합하고, 상기 투명 플레이트로부터 유입되는 광을 사용자의 손가락 지문의 특정 방향으로 편광시키는 편광 플레이트, 상기 사용자의 고유식별코드에 해당하는 사용자 식별코드로 구현되고 상기 편광 플레이트에 인쇄된 제1 인쇄패턴 및 상기 사용자의 지문 이미지에 대한 촬상을 보조하기 위한 기준 라인에 해당하고, 상기 제1 인쇄패턴과 겹치지 않게 상기 편광 플레이트에 인쇄된 제2 인쇄패턴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인쇄패턴은 상기 사용자의 지문과 연관된 상기 사용자의 고유식별코드에 해당하고, 문자와 숫자의 조합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바코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 인쇄패턴은 상기 카메라에 의하여 촬상되는 상기 사용자의 지문 이미지의 크기를 결정하도록 상기 기준 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지문 취득 보조 장치는 상기 카메라의 촬상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 마크에 해당하고, 상기 제1 및 제2 인쇄패턴들과 겹치지 않게 상기 편광 플레이트에 인쇄된 제3 인쇄패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3 인쇄패턴은 상기 사용자의 지문이 촬상되는 위치로부터 특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상기 카메라의 초점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문 취득 보조 장치는 상기 복수의 투명 플레이트들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을 제2 투명 플레이트에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통해 지문을 취득할 때 사용되는 지문 취득 보조 장치는 복수의 투명 플레이트들 사이에 배치된 편광 플레이트를 통해 선명한 지문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통해 지문을 취득할 때 사용되는 지문 취득 보조 장치는 제1 내지 제3 인쇄패턴들이 인쇄된 편광 플레이트를 통해 선명한 지문 이미지를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통해 지문을 취득할 때 사용되는 지문 취득 보조 장치는 사용자의 지문과 연관된 사용자의 고유식별코드에 해당하는 사용자 식별코드를 제공하여 지문 이미지를 식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 취득 보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문 취득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지문 취득 보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지문 취득 보조 장치의 편광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지문 취득 보조 장치를 이용한 지문 취득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 취득 보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문 취득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있는 지문 취득 보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카메라를 통해 지문을 취득할 때 사용되는 지문 취득 보조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투명 플레이트(110), 편광 플레이트(120) 및 고정 부재(130)를 포함한다. 지문 취득 보조 장치(100)는 지문 취득 장치(200) 또는 지문 취득 장치(200)의 카메라 모듈을 통해 지문을 취득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문 취득 보조 장치(100)는 복수의 투명 플레이트들(111, 112)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지문 취득 보조 장치(100)는 하나의 투명 플레이트(1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a에서, 복수의 투명 플레이트들(110)은 제1 및 제2 투명 플레이트들(111, 112)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투명 플레이트들(110)은 상호 대향하고 지지 강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투명 플레이트들(110)은 편광 플레이트(120)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할 수 있고, 지지 강성을 제공하여 외부 압력에도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투명 플레이트들(110)은 지지 강성을 제공하여 손가락(10)에 의한 수평 압력에도 형상을 유지함으로써, 손가락(10)과 복수의 투명 플레이트들(110)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편광 플레이트(120)는 복수의 투명 플레이트들(110)의 사이에 배치되고 제1 투명 플레이트(111)로부터 유입되는 광을 사용자의 손가락 지문(20)의 특정 방향으로 편광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편광 플레이트(120)의 전후면은 복수의 투명 플레이트들(110)에 의하여 둘러싸일 수 있고, 지문 취득 장치(200)의 방향에서 유입되는 광은 제1 투명 플레이트(111), 편광 플레이트(120) 및 제2 투명 플레이트(112)를 통과하여 지문(20)에 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편광 플레이트(120)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제1 투명 플레이트(111)로부터 유입되는 광을 사용자의 손가락 지문(20)의 수직 방향으로 편광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투명 플레이트(110)는 빛을 투과시킬 수 있는 투명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명 플레이트(110)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투명 유리, 투명 플라스틱 또는 투명 아크릴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투명 플레이트(110)는 빛을 투과시킴과 동시에 지지 강성을 제공하여 손가락(10)에 의한 수평 압력에도 형상을 유지함으로써, 사용자의 지문(20)과 제2 투명 플레이트(112) 또는 편광 플레이트(120)가 접촉하는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고, 최소한의 크기 이상으로 형성된 지문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고정 부재(130)는 복수의 투명 플레이트들(110)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의 손가락(10)을 제2 투명 플레이트(112)에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 부재(130)는 사용자의 손가락(10)에 수평 압력을 가하여 사용자의 지문(20)과 제2 투명 플레이트(112)가 접촉하는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지문 취득 장치(200)는 사용자의 지문(20)과 제2 투명 플레이트(112)가 접촉하는 영역을 촬상하여 지문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의 지문 이미지는 타인의 지문 이미지와 식별되기 위하여 최소한의 크기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고정 부재(130)는 사용자의 지문(20)에 대하여 수평 압력을 가하여 사용자의 지문(20)과 제2 투명 플레이트(112)가 접촉하는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고, 최소한의 크기 이상으로 형성된 지문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지문 취득 보조 장치(100)는 그 구성 및 크기를 최소화하여 간편하게 휴대될 수 있고 제조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부재(130)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탄성력 있는 줄, 끈, 타이, 커버 또는 골무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도 2b에서, 투명 플레이트(110)는 편광 플레이트(120)와 접합하고, 지지 강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투명 플레이트(110)는 지지 강성을 제공하여 외부 압력에도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명 플레이트(110)는 지지 강성을 제공하여 손가락(10)에 의한 수평 압력에도 형상을 유지함으로써, 손가락(10)과 편광 플레이트(120)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편광 플레이트(120)는 투명 플레이트(110)와 접합하고, 투명 플레이트(110)로부터 유입되는 광을 사용자의 손가락 지문(20)의 특정 방향으로 편광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편광 플레이트(120)는 제1 면에서 투명 플레이트(110)와 접합하고, 제1 면의 반대 면에 해당하는 제2 면에서 손가락 지문(20)과 접촉할 수 있으며, 지문 취득 장치(200)의 방향에서 유입되는 광은 투명 플레이트(110) 및 편광 플레이트(120)를 통과하여 지문(20)에 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편광 플레이트(120)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제1 투명 플레이트(111)로부터 유입되는 광을 사용자의 손가락 지문(20)의 수직 방향으로 편광시킬 수 있다.
고정 부재(130)는 투명 플레이트(110)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의 손가락(10)을 편광 플레이트(1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 부재(130)는 사용자의 손가락(10)에 수평 압력을 가하여 사용자의 지문(20)과 편광 플레이트(120)가 접촉하는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지문 취득 장치(200)는 사용자의 지문(20)과 편광 플레이트(120)가 접촉하는 영역을 촬상하여 지문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의 지문 이미지는 타인의 지문 이미지와 식별되기 위하여 최소한의 크기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고정 부재(130)는 사용자의 지문(20)에 대하여 수평 압력을 가하여 사용자의 지문(20)과 편광 플레이트(120)가 접촉하는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고, 최소한의 크기 이상으로 형성된 지문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지문 취득 보조 장치(100)는 그 구성 및 크기를 최소화하여 간편하게 휴대될 수 있고 제조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지문 취득 보조 장치의 편광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편광 플레이트(120)는 제1 내지 제3 인쇄패턴들(310~330)을 포함할 수 있다. 편광 플레이트(120)는 제1 내지 제3 인쇄패턴들(310~330)이 인쇄될 수 있고, 지문 취득 장치(200)는 제1 내지 제3 인쇄패턴들(310~330)을 기초로 선명한 지문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제1 인쇄패턴(310)은 사용자의 고유식별코드에 해당하는 사용자 식별코드(310)로 구현되고, 편광 플레이트(120)에 인쇄될 수 있다. 사용자 식별코드(310)는 사용자의 지문(20)과 일대일 대응하도록 설정될 수 있고, 지문 취득 장치(200)는 사용자 식별코드(310)를 기초로 사용자의 지문(20)을 식별할 수 있다. 즉, 지문 취득 장치(200)는 해당 사용자의 지문 이미지가 저장되지 않은 경우에도, 사용자 식별코드(310)를 통해 해당 사용자의 지문 이미지를 타인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식별코드(310)는 사용자의 지문(20)과 제2 투명 플레이트(112) 또는 편광 플레이트(120)가 접촉하는 영역과 이격되도록 편광 플레이트(120)에 인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식별코드(310)는 제2 인쇄패턴(320)의 외곽에 배치되어 제2 인쇄패턴(320)의 내부에 형성되는 지문 이미지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식별코드(310)는 제3 인쇄패턴(330)으로부터 특정 방향에 대하여 특정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사용자 식별코드(310)는 제3 인쇄패턴(330)을 기준으로 특정 위치에 배치되어 지문 취득 장치(200)에 의하여 인식될 수 있다. 즉, 지문 취득 장치(200)는 제3 인쇄패턴(330)을 기준으로 특정 위치에 배치된 인쇄패턴을 사용자 식별코드(310)로서 인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인쇄패턴(310)은 사용자의 지문(20)과 연관된 사용자의 고유식별코드에 해당하고, 문자와 숫자의 조합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바코드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식별코드(310)는 사용자의 지문 이미지를 타인과 식별하는 고유식별코드에 해당할 수 있고, 사용자마다 다르게 설정되어 사용자의 지문(20)과 일대일 대응할 수 있다.
제2 인쇄패턴(320)은 사용자의 지문 이미지에 대한 촬상을 보조하기 위한 기준 라인(320)에 해당하고, 제1 인쇄패턴(310)과 겹치지 않게 편광 플레이트(120)에 인쇄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준 라인(320)은 사용자의 지문(20)에 대한 방향성을 결정할 수 있고, 사용자는 기준 라인(320)의 영역 내에서 손가락을 제2 투명 플레이트(112) 또는 편광 플레이트(120)와 접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준 라인(320)은 사용자의 지문(20)과 제2 투명 플레이트(112) 또는 편광 플레이트(120)가 접촉하는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라인(320)은 폐쇄된 영역을 형성할 수 있고, 제2 투명 플레이트(112) 또는 편광 플레이트(120)는 형성된 폐쇄된 영역 내에서 사용자의 지문(20)과 접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의 지문을 기준 라인(320) 내에 위치시켜 지문 취득 장치(200)를 통해 지문을 취득할 수 있다. 즉, 기준 라인(320)은 지문 취득 장치(200)에 명확한 기준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한 가이드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인쇄패턴(320)은 카메라(예를 들어, 지문 취득 장치(200)의 카메라 모듈)에 의하여 촬상되는 사용자의 지문 이미지의 크기를 결정하도록 기준 라인(320)을 형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인쇄패턴(또는 기준 라인)(320)은 폐쇄된 영역을 형성할 수 있고, 지문 취득 장치(200)는 기준 라인(320)을 통해 형성된 영역을 기준으로 사용자의 지문 이미지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라인(320)을 통해 형성된 영역은 지문을 둘러싸는 테두리에 해당할 수 있고, 지문 이미지의 크기는 기준 라인(320)을 통해 형성된 영역과의 상대적인 크기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제3 인쇄패턴(330)은 카메라(예를 들어, 지문 취득 장치(200)의 카메라 모듈)의 촬상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 마크(330)에 해당하고, 제1 및 제2 인쇄패턴들(310, 320)과 겹치지 않게 편광 플레이트(120)에 인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인쇄패턴(330)은 제2 인쇄패턴(320)의 외곽에 배치되어 제2 인쇄패턴(320)의 내부에 형성되는 지문 이미지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인쇄패턴(330)은 사용자의 지문(20)이 촬상되는 위치로부터 특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카메라(예를 들어, 지문 취득 장치(200)의 카메라 모듈)의 초점을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3 인쇄패턴(330)은 복수의 기준 마크들(330)을 통해 구현될 수 있고, 지문 취득 장치(200)는 복수의 기준 마크들(330)의 위치를 기초로 카메라 모듈의 초점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지문 취득 장치(200)는 복수의 기준 마크들(330)의 위치를 기초로 지문 이미지와 제1 및 제2 인쇄패턴들(310, 320)을 인식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지문 취득 보조 장치를 이용한 지문 취득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지문 취득 장치(200)는 카메라 모듈(410), 사용자 식별코드 검출 모듈(420), 손가락 지문 보정 모듈(430), 지문 인식 모듈(440) 및 제어 모듈(450)을 포함한다.
카메라 모듈(410)은 지문 취득 보조 장치(100)의 편광 플레이트(120)에 인쇄된 제1 및 제2 인쇄패턴들(310, 320)과 제2 인쇄패턴(320) 내에 있는 손가락 지문(20)을 획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카메라 모듈(410)은 사용자의 지문(20)과 지문 취득 보조 장치(100)가 접촉하는 영역을 촬상하여 지문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고정 부재(130)는 사용자의 지문(20)에 대하여 수평 압력을 가하여 사용자의 지문(20)과 지문 취득 보조 장치(100)가 접촉하는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고, 카메라 모듈(410)은 최소한의 크기 이상으로 형성된 지문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410)은 사용자의 손가락(10)이 고정 부재(130)를 통해 둘러싸이고 지문 취득 보조 장치(100)와 접촉함으로써 형성되는 사용자의 지문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고정 부재(130)는 사용자의 손가락(10)을 둘러싸고 손가락의 지문(20)에 대하여 수평 압력을 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410)은 제1 및 제2 인쇄패턴들(310, 320)과 겹치지 않게 편광 플레이트(120)에 인쇄된 제3 인쇄패턴(330)을 통해 지문의 촬상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3 인쇄패턴(330)은 카메라 모듈(410)의 촬상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 마크(330)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인쇄패턴들(310, 320)과 겹치지 않게 편광 플레이트(120)에 인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카메라 모듈(410)은 제2 인쇄패턴(320)의 외곽에 배치되고 제2 인쇄패턴(320)의 내부에 형성되는 지문 이미지로부터 이격된 제3 인쇄패턴(330)을 통해 지문의 촬상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410)은 지문(20)이 촬상되는 위치로부터 특정 거리만큼 이격된 제3 인쇄패턴(330)을 통해 초점을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3 인쇄패턴(330)은 복수의 기준 마크들(330)을 통해 구현될 수 있고, 카메라 모듈(410)은 복수의 기준 마크들(330)의 위치를 기초로 초점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410)은 복수의 기준 마크들(330)의 위치를 기초로 지문 이미지와 제1 및 제2 인쇄패턴들(310, 320)을 인식할 수 있다.
사용자 식별코드 검출 모듈(420)은 제1 인쇄패턴(310)으로부터 사용자의 고유식별코드에 해당하는 사용자 식별코드(310)를 검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식별코드 검출 모듈(420)은 카메라 모듈(410)을 통해 인식된 제1 인쇄패턴(310)으로부터 사용자 식별코드(310)를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식별코드(310)는 사용자의 지문(20)과 연관된 사용자의 고유식별코드에 해당하고, 문자와 숫자의 조합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바코드로 구현될 수 있다.
손가락 지문 보정 모듈(430)은 제2 인쇄패턴(320)을 기초로 손가락 지문의 방향성을 보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인쇄패턴(또는 기준 라인)(320)은 폐쇄된 영역을 형성할 수 있고, 사용자의 지문(20)은 형성된 폐쇄된 영역 내에서 지문 취득 보조 장치(100)와 접촉할 수 있다. 손가락 지문 보정 모듈(430)은 손가락 지문의 방향성을 보정하여 명확한 기준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제2 인쇄패턴(320)은 카메라 모듈(410)에 의하여 촬상되는 사용자의 지문 이미지의 크기를 결정하도록 기준 라인(320)을 형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인쇄패턴(또는 기준 라인)(320)은 폐쇄된 영역을 형성할 수 있고, 손가락 지문 보정 모듈(430)은 기준 라인(320)을 통해 형성된 영역을 기준으로 사용자의 지문 이미지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라인(320)을 통해 형성된 영역은 지문을 둘러싸는 테두리에 해당할 수 있고, 지문 이미지의 크기는 기준 라인(320)을 통해 형성된 영역과의 상대적인 크기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지문 인식 모듈(440)은 보정된 손가락 지문을 기초로 지문(20)을 인식하여 지문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지문 인식 모듈(440)은 지문 이미지를 생성하여 사용자의 지문(20)을 타인의 지문과 식별할 수 있다.
제어 모듈(450)은 지문 취득 장치(2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카메라 모듈(410), 사용자 식별코드 검출 모듈(420), 손가락 지문 보정 모듈(430) 및 지문 인식 모듈(440) 간의 제어 흐름 또는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카메라를 통해 지문을 취득할 때 사용되는 지문 취득 보조 장치(100)는 복수의 투명 플레이트들(110) 사이에 배치된 편광 플레이트(120)를 통해 선명한 지문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지문 취득 보조 장치(100)는 제1 내지 제3 인쇄패턴들(310~330)이 인쇄된 편광 플레이트(120)를 통해 선명한 지문 이미지를 취득할 수 있고, 사용자의 지문(20)과 연관된 사용자의 고유식별코드에 해당하는 사용자 식별코드(310)를 제공하여 지문 이미지를 식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지문 취득 보조 장치
110: 투명 플레이트 120: 편광 플레이트
130: 고정 부재
200: 지문 취득 장치
410: 카메라 모듈 420: 사용자 식별코드 검출 모듈
430: 손가락 지문 보정 모듈 440: 지문 인식 모듈
450: 제어 모듈

Claims (12)

  1. 상호 대향하고 지지 강성을 제공하는 복수의 투명 플레이트들;
    상기 복수의 투명 플레이트들의 사이에 배치되고 제1 투명 플레이트로부터 유입되는 광을 사용자의 손가락 지문의 특정 방향으로 편광시키는 편광 플레이트;
    상기 사용자의 고유식별코드에 해당하는 사용자 식별코드로 구현되고 상기 편광 플레이트에 인쇄된 제1 인쇄패턴;
    상기 사용자의 지문 이미지에 대한 촬상을 보조하기 위한 기준 라인에 해당하고, 상기 제1 인쇄패턴과 겹치지 않게 상기 편광 플레이트에 인쇄된 제2 인쇄패턴; 및
    카메라의 촬상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 마크에 해당하고, 상기 제1 및 제2 인쇄패턴들과 겹치지 않게 상기 편광 플레이트에 인쇄된 제3 인쇄패턴을 포함하는 카메라를 통해 지문을 취득할 때 사용되는 지문 취득 보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쇄패턴은
    상기 사용자의 지문과 연관된 상기 사용자의 고유식별코드에 해당하고, 문자와 숫자의 조합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바코드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통해 지문을 취득할 때 사용되는 지문 취득 보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쇄패턴은
    상기 카메라에 의하여 촬상되는 상기 사용자의 지문 이미지의 크기를 결정하도록 상기 기준 라인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통해 지문을 취득할 때 사용되는 지문 취득 보조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인쇄패턴은
    상기 사용자의 지문이 촬상되는 위치로부터 특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상기 카메라의 초점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통해 지문을 취득할 때 사용되는 지문 취득 보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투명 플레이트들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을 제2 투명 플레이트에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통해 지문을 취득할 때 사용되는 지문 취득 보조 장치.
  7. 지지 강성을 제공하는 투명 플레이트;
    상기 투명 플레이트와 접합하고, 상기 투명 플레이트로부터 유입되는 광을 사용자의 손가락 지문의 특정 방향으로 편광시키는 편광 플레이트;
    상기 사용자의 고유식별코드에 해당하는 사용자 식별코드로 구현되고 상기 편광 플레이트에 인쇄된 제1 인쇄패턴;
    상기 사용자의 지문 이미지에 대한 촬상을 보조하기 위한 기준 라인에 해당하고, 상기 제1 인쇄패턴과 겹치지 않게 상기 편광 플레이트에 인쇄된 제2 인쇄패턴; 및
    카메라의 촬상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 마크에 해당하고, 상기 제1 및 제2 인쇄패턴들과 겹치지 않게 상기 편광 플레이트에 인쇄된 제3 인쇄패턴을 포함하는 카메라를 통해 지문을 취득할 때 사용되는 지문 취득 보조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쇄패턴은
    상기 사용자의 지문과 연관된 상기 사용자의 고유식별코드에 해당하고, 문자와 숫자의 조합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바코드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통해 지문을 취득할 때 사용되는 지문 취득 보조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쇄패턴은
    상기 카메라에 의하여 촬상되는 상기 사용자의 지문 이미지의 크기를 결정하도록 상기 기준 라인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통해 지문을 취득할 때 사용되는 지문 취득 보조 장치.
  10. 삭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인쇄패턴은
    상기 사용자의 지문이 촬상되는 위치로부터 특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상기 카메라의 초점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통해 지문을 취득할 때 사용되는 지문 취득 보조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을 편광 플레이트에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통해 지문을 취득할 때 사용되는 지문 취득 보조 장치.
KR1020160057409A 2016-05-11 2016-05-11 카메라를 통해 지문을 취득할 때 사용되는 지문 취득 보조 장치 KR101768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7409A KR101768939B1 (ko) 2016-05-11 2016-05-11 카메라를 통해 지문을 취득할 때 사용되는 지문 취득 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7409A KR101768939B1 (ko) 2016-05-11 2016-05-11 카메라를 통해 지문을 취득할 때 사용되는 지문 취득 보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8939B1 true KR101768939B1 (ko) 2017-08-30

Family

ID=59760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7409A KR101768939B1 (ko) 2016-05-11 2016-05-11 카메라를 통해 지문을 취득할 때 사용되는 지문 취득 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893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4260B1 (ko) * 2013-02-07 2013-06-17 인테그레이티드에너지 주식회사 비접촉식 지문 영상 획득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4260B1 (ko) * 2013-02-07 2013-06-17 인테그레이티드에너지 주식회사 비접촉식 지문 영상 획득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22512B2 (en) Contactless fingerprint recognition method using smartphone
AU2015280802B2 (en) User authentication method and system using variable keypad and biometric identification
US8493178B2 (en) Forged face detect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US20050232471A1 (en) Biometric data card and authentication method
US20100246902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combine biometric sensing and other functionality
JP2006331239A (ja) 個人認証装置および個人認証システム
US8351664B2 (en) Biometric authentication device and biometric authentication method
KR101812513B1 (ko) 카메라를 통해 지문을 취득할 때 사용되는 지문 취득 보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문 취득 장치
KR101900719B1 (ko) 얼굴사진이 표출되는 여권인증카드에 의한 위변조 여권 검사방법 및 그 처리시스템
KR101768939B1 (ko) 카메라를 통해 지문을 취득할 때 사용되는 지문 취득 보조 장치
WO2018179723A1 (ja) 顔認証処理装置、顔認証処理方法及び顔認証処理システム
EP3721381B1 (en) Anti-spoofing face id sensing
JP4811873B2 (ja) 認証装置
KR20190129003A (ko) 홍채들로부터의 생체정보 인식 방법
KR101965749B1 (ko) 카메라 기반의 비접촉식 지문인식 장치
JP2011090620A (ja) 生体情報読取ユニット、および個人認証装置
KR102209613B1 (ko) 보조 카메라를 이용한 단말기에서의 홍채 영상 획득 장치 및 그 방법
US20240143713A1 (en) Multimodal motion vision based authentication system a method thereof
KR101788809B1 (ko) 개인 식별 장치
KR102026097B1 (ko) 지문인식과 연동되어 nfc모듈 근거리 무선통신을 작동시키는 융합카드의 인증처리 시스템
JP2007086868A (ja) 認証装置、icカード、及び生体情報認証システム
WO2017188616A1 (ko) 생체인식을 이용한 융합 인증카드
KR20210073931A (ko) 스마트폰 및 atm 에서 본인인증이 가능한 플렉시블 손바닥 생체인증방법 및 그 장치
KR20200053792A (ko) 바이오 신용카드를 이용한 결제 방법 및 시스템
CN112036224A (zh) 具有三维感测机制的指纹感测装置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