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2446B1 - 쓰레기 압축장치 - Google Patents

쓰레기 압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2446B1
KR101812446B1 KR1020170047144A KR20170047144A KR101812446B1 KR 101812446 B1 KR101812446 B1 KR 101812446B1 KR 1020170047144 A KR1020170047144 A KR 1020170047144A KR 20170047144 A KR20170047144 A KR 20170047144A KR 101812446 B1 KR101812446 B1 KR 101812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waste
compression
garbage
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7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2536A (ko
Inventor
한선권
Original Assignee
한선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선권 filed Critical 한선권
Priority to KR1020170047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2446B1/ko
Publication of KR20170052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25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2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2446B1/ko
Priority to PCT/KR2018/004265 priority patent/WO2018190640A1/ko
Priority to US16/300,955 priority patent/US20190152697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05Compressing means incorporat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00Presses, using a press ram, characterised by the features of the drive therefor, pressure being transmitted directly, or through simple thrust or tension members only, to the press ram or platen
    • B30B1/32Presses, using a press ram, characterised by the features of the drive therefor, pressure being transmitted directly, or through simple thrust or tension members only, to the press ram or platen by plungers under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30Feeding material to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32Discharging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3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baling; Compression boxes therefor
    • B30B9/3003Details
    • B30B9/3007Control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3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baling; Compression boxes therefor
    • B30B9/3003Details
    • B30B9/301Feed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3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baling; Compression boxes therefor
    • B30B9/3003Details
    • B30B9/3025Extrusion chambers with adjustable outle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3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baling; Compression boxes therefor
    • B30B9/3003Details
    • B30B9/3028Retaining do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3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baling; Compression boxes therefor
    • B30B9/3042Containers provided with, or connectable to, compactor means
    • B30B9/3046Containers with built-in compacto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fuse filling means, e.g. air-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2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vices facilitating empt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2Pres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8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84Weigh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종이,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와 같은 각종 쓰레기를 압축하여 부피를 최소화함으로써, 쓰레기 수거 및 폐기의 편의성과 그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쓰레기 압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쓰레기의 투입구를 상부에 형성하고, 압축 처리된 쓰레기의 인출구를 하부에 형성한 케이스; 관 형상으로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투입구로 투입된 쓰레기가 인입되는 인입구를 상부에 형성하며, 압축된 쓰레기의 배출구를 하단에 형성한 본체부; 상기 본체부 상단에 설치된 압축실린더와, 상기 압축실린더에 구비되어 상기 압축실린더와 연결된 구동부재를 통해 상기 본체부 내측에서 진퇴 구동하여 투입된 쓰레기를 압축하는 압축피스톤을 포함하는 압축부; 및 상기 압축피스톤의 측면에 밀착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인입구 하측의 상기 본체부 내측면 둘레를 따라 돌출 구비된 게이트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쓰레기 압축장치{Compression apparatus for garbage}
본 발명은 쓰레기 압축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음식물, 종이,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와 같은 각종 쓰레기를 압축하여 부피를 최소화함으로써, 쓰레기 수거 및 폐기의 편의성과 그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쓰레기 압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점, 패스트푸드점, 대형 점포 또는 학교 등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종이,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와 같은 각종 쓰레기는, 국가적인 차원에서 쓰레기 종량제를 법적으로 규정하여 별도로 제작된 쓰레기 봉투를 구입하여 이 쓰레기봉투에 담아 배출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쓰레기 봉투 구입비용을 절감하기 위해서는 배출되는 쓰레기 자체의 양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입한 쓰레기 봉투에는 쓰레기의 부피를 최대한 줄여 많은 양의 쓰레기를 담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렇게 쓰레기 봉투에 담기는 쓰레기의 부피를 줄이는 보편적인 방법은 발이나 손으로 눌러서 최소화시키는 것이나, 이는 쓰레기를 강하게 가압하는 데에 한계가 있어 쓰레기의 부피를 줄이는 효과가 뛰어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압축 후에 쓰레기가 일정부분 복원되어 압축된 부피를 유지하기 힘든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5152호(2006.01.10.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6616호(2007.10.04.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수분함유량이 미미한 음식물, 종이,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와 같은 각종 쓰레기를 한꺼번에 버리더라도, 투입된 쓰레기를 압축하여 그 부피를 최소화함으로써, 쓰레기 봉투의 사용량을 줄여 경제적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쓰레기 수거에 따른 운반 횟수를 줄일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쓰레기 수거 및 폐기의 편의성과 그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쓰레기 압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압축장치는, 쓰레기의 투입구를 상부에 형성하고, 압축 처리된 쓰레기의 인출구를 하부에 형성한 케이스; 관 형상으로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투입구로 투입된 쓰레기가 인입되는 인입구를 상부에 형성하며, 압축된 쓰레기의 배출구를 하단에 형성한 본체부; 상기 본체부 상단에 설치된 압축실린더와, 상기 압축실린더에 구비되어 상기 압축실린더와 연결된 구동부재를 통해 상기 본체부 내측에서 진퇴 구동하여 투입된 쓰레기를 압축하는 압축피스톤을 포함하는 압축부; 및 상기 압축피스톤의 측면에 밀착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인입구 하측의 상기 본체부 내측면 둘레를 따라 돌출 구비된 게이트부;를 포함한다.
상기 압축피스톤은 콘 형상을 이루고, 상기 게이트부는 상기 압축피스톤에 대응하도록 상기 압축피스톤의 구동방향을 기준으로 전협후광의 테이퍼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게이트부는 상기 본체부 내측면 둘레를 따라 돌출된 복수개의 게이트돌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개의 상기 게이트돌기는, 상기 본체부 내측으로 돌출된 부위의 내측 가장자리가 첨예한 삼각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단이 내측 하방으로 경사를 이루며 더 돌출된 차단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부 하부의 내경을 축소하는 조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의 하부는 길이 방향으로 절개되어 복수개의 조임편을 형성하고, 상기 조임부는, 복수개의 상기 조임편을 감싸며 상호 일측 단부가 체결을 이룬 한 쌍의 클램프와, 한 쌍의 상기 클램프 중 어느 하나의 타측 단부에 설치된 조임실린더와, 상기 조임실린더에 구비되어 상기 조임실린더가 설치된 상기 클램프의 타측 단부를 밀어 복수개의 상기 조임편이 조여지도록 하는 조임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며 탄력적으로 회동하여 상기 본체부의 내측면에 돌출 구비된 걸림돌기에 단부가 걸려 상기 배출구를 폐쇄할 수 있다.
상기 투입구, 인출구 및 인입구는 각각을 개폐하는 도어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인입구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1감지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게이트부의 상측 또는 하측 부위에 제2감지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재, 제1감지센서 및 제2감지센서와 연결을 이루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상호 밀착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압축피스톤 및 게이트부와, 압축된 쓰레기를 이미 설정된 시간 동안 본체부 내에서 정체시키는 조임부 또는 개폐부를 통해, 쓰레기의 압축효율이 극대화된 상태에서 수분함유량이 미미한 음식물, 종이,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와 같은 각종 쓰레기를 압축하여 그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쓰레기 봉투의 사용량을 줄여 경제적 부담을 감소시킴은 물론, 쓰레기 수거에 따른 운반 횟수를 줄임과 동시에 쓰레기 수거 및 폐기의 편의성과 그 효율을 배가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내측 가장자리가 첨예한 삼각뿔 형상으로 돌출된 게이트돌기들에 의해 쓰레기의 부피 축소효율을 증가시킴과 더불어, 게이트돌기의 하단 차단면을 통해 압축된 쓰레기들의 형상 복원을 억제해 쓰레기 압축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쓰레기 압축장치 세부구성들의 소형화가 가능함에 있어, 콤팩트한 케이스를 적용하여 많은 사람이 유동하는 거리, 공연장, 운동장, 학교의 매점, 축제거리 또는 캠핑장 등에 용이한 설치를 도모해 미관상의 미려함도 구현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사용과정에서 압축된 쓰레기가 적재되는 쓰레기 취합부재(예를 들어, 쓰레기 종량제 봉투)를 본체부의 하부에 밀폐 결합시킴으로써 악취 누출을 차단하여 위생적으로 청결함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부와 연결된 구동부재, 제1감지센서 및 제2감지센서의 구성을 통해, 자동으로 쓰레기를 압축하여 취합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쓰레기 압축장치의 조작이 쉽고 편리하며, 이미 설정된 조건에서만 구동할 수 있게 됨에 따른 오작동이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렇게 쓰레기 압축장치의 구동을 자동화함으로써, 쓰레기들을 인력으로 압축시켜야 함에 따른 노동을 절감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쓰레기 취합부재의 훼손을 억제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나아가, 투입구, 인출구 및 인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투명창으로 구성할 경우 쓰레기들이 압축되는 정도 또는 쓰레기의 적재량을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고, 제어부와 연결된 별도의 디스플레이부를 케이스에 구비할 경우 쓰레기들의 압축 수준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해 사용과 유지보수의 편리함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압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압축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압축장치의 게이트돌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C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압축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구성과 이들 구성에 따른 작용관계에 대하여 설명하겠으며, 종래와 동일 내지 동일 범주에 있는 기술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많은 사람이 유동하는 거리, 공연장, 운동장, 학교의 매점, 축제거리 또는 캠핑장 등에 설치하여 수분함유량이 미미한 음식물, 종이,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와 같은 각종 쓰레기를 압축하여 부피를 최소화함으로써, 쓰레기 수거 및 폐기의 편의성과 그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쓰레기 압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0), 본체부(20), 압축부(30) 및 게이트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케이스(1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예컨대 그 내측에서 쓰레기의 압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소정의 크기와 높이를 갖는 사각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져 장치의 외형을 이룰 수 있으며, 후술하는 본체부(20), 압축부(30), 쓰레기 취합부재(B) 등이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10)는, 그 내측에 장착됨으로써 쓰레기 압축장치를 이루는 후술할 세부구성들의 소형화가 가능함에 있어, 비교적 콤팩트한 크기로 적용하여 많은 사람이 유동하는 거리, 공연장, 운동장, 학교의 매점, 축제거리 또는 캠핑장 등 장소의 제약 없이 용이한 설치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이에 따른 미관상의 미려함도 구현시킬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케이스(10)는, 상부에 쓰레기를 투입할 수 있는 투입구(11)를 형성하는데, 이 투입구(11)는 후술할 본체부(20)의 인입구(21)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인입구(21)과 연통을 이루어 투입된 쓰레기가 인입구(21)를 통해 본체부(20) 내측으로 투입되도록 한다.
이러한 투입구(11)에 대응되는 케이스(10)의 전면에는 투입구(11)를 개폐하는 도어(D)를 구비하고, 이 도어(D)를 투명창으로 구성할 경우 투입구(11)를 통한 쓰레기의 올바른 투입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인입구(21)의 도어(D)도 투명창으로 구성함에 따른 연통으로 압축피스톤(32)의 진퇴 구동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케이스(10)는, 압축 처리된 쓰레기들이 후술하는 쓰레기 취합부재(B)에 담겨져 인출되는 인출구(12)를 하부에 형성하고, 이러한 인출구(12)에 대응되는 케이스(10)의 전면에는 인출구(12)를 개폐하는 도어(D)를 구비하며, 이 도어(D) 또한 투명창으로 구성할 경우 쓰레기의 적재량을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케이스(10)는, 저면에 복수개의 지지부재(13)를 구비하여 설치장소의 지면에 놓인 케이스(1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지지부재(13)에는 바퀴(13a)를 구비하여 쓰레기 압축장치의 이동을 용이하게 함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케이스(10)는, 투입구(12)를 통한 쓰레기의 투입이 용이할 수 있도록 상부가 경사를 이룸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케이스(10)의 상부 전면에 대응토록 후술하는 본체부(10)의 상부 또한 경사를 이루는 관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케이스(10)는 내측 바닥면에 후술하는 쓰레기 취합부재(B)가 놓이는 저울(15)을 구비하는데, 이러한 저울(15)은 후술하는 제어부(70) 및 디스플레이부(80)와 연결을 이루어 쓰레기가 적재된 쓰레기 취합부재(B)의 무게를 가늠토록 하여 장치를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쓰레기의 수거시기 또한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체부(20)는, 도 1 내지 도 4, 도 6 및 도 7과 같이, 내측이 중공된 관 형상으로 상술한 케이스(10)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부 전면이 경사를 이루는 케이스(10)의 형상에 대응토록 본체부(20)의 상부 또한 경사를 이루는 직진관으로 구성되며, 이는 후술하는 압축부(30)와의 원활한 작동관계에 있어, 수직 또는 수평뿐만 아니라 경사를 이루는 관 형상으로 변경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부(20)의 상부가 케이스(10)의 상부 전면에 대응하는 경사를 이룰 경우, 본체부(20)의 하부 또한 그 상부에 대응하는 경사를 이룰 수 있고, 이때 각각 경사를 이루는 직진관으로 이루어진 본체부(20)의 상부와 하부를 연결하는 통상의 엘보관을 더 구비하여 후술하는 압축부(30)의 구동을 통한 쓰레기의 압축과 압축된 쓰레기의 배출을 원활하게 구현시킬 수 있는 통상의 덕트와 같은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20)의 상부와 대응토록 구성되는 하부도 압축된 쓰레기의 원활한 배출관계에 있어, 수직 또는 수평뿐만 아니라 경사를 이루는 관 형상으로 선택 적용할 수 있고, 이러한 본체부(20)는 분리 가능한 상부와 하부를 통상의 엘보관으로 연결하는 구성이 아닌 상부와 하부가 일체를 이루는 덕트 형상으로도 구비할 수 있다.
더불어, 본체부(20)는, 그 내측면에 별도의 보호부재가 도포되거나 접합을 이루어, 쓰레기가 함유할 수 있는 수분에 의한 부식 등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체부(20)는, 그 상부에서 상술한 투입구(11)에 대응하는 위치에 인입구(21)를 형성하여 투입구(11)와 연통을 이루도록 해, 투입구(11)를 통해 투입된 쓰레기가 본체부(20)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인입구(21)에 대응되는 본체부(20)의 측면에는 인입구(21)를 개폐하는 도어(D)를 구비하고, 이 도어(D)를 투명창으로 구성할 경우 인입구(21)를 폐쇄한 상태에서도 쓰레기의 올바른 투입은 물론, 후술하는 압축피스톤(32)의 진퇴 구동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체부(20)는 인입구(21)에 대응하는 위치에 후술하는 제어부(70)와 연결되는 제1감지센서(25)를 구비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제1감지센서(25)는 인입구(21)의 개폐 여부를 확인하는 것으로, 이미 설정된 인입구(21)의 폐쇄조건에서만 압축부(30)가 구동되도록 설정하였을 때, 보다 견고한 구동을 구현시켜 오작동이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장치의 조작이 더욱 쉽고 편리해질 수 있다.
또한, 본체부(20)는, 그 하단이 개방되어 압축된 쓰레기의 배출구(22)를 하단에 형성하고, 이 배출구(22)에는 쓰레기 취합부재(B, 예를 들어 통상의 쓰레기 종량제 봉투)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후술하는 압축부(30)의 구동에 의해 압축 처리된 쓰레기들이 그 자중에 의해 배출구(22)를 통해 자연스럽게 쓰레기 취합부재(B)로 들어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 쓰레기 취합부재(B)는 배출구(22)에 대응하는 본체부(20)의 하단을 감싸며 묶음 또는 클램핑 등으로 결합을 이룸으로써, 사용과정에서 압축된 쓰레기가 적재되는 쓰레기 취합부재(B)를 본체부(20)의 하부에 밀폐시키게 됨에 따라, 악취 누출을 차단하여 위생적으로 청결함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쓰레기 취합부재(B)는 상술한 저울(15)상에 놓이는 배치를 이루고, 제어부(70) 및 디스플레이부(80)와 연결을 이룬 저울(15)에 의해 이미 설정된 무게에 도달하게 되면, 그것을 인지한 작업자가 인출구(12)를 개방하여 케이스(10) 외부로 수거하게 된다.
더불어, 본체부(20)는, 후술하는 게이트부(40)의 상측 또는 하측 부위에 제2감지센서(26)를 구비할 수 있는데, 이 제2감지센서(26)는 제어부(70)와 연결을 이루어 본체부(30) 내측 상부의 압력을 감지하거나, 후술하는 압축부(30)의 구동에 따른 본체부(30) 내측 하부의 압력을 감지하거나, 또는 압축되어 본체부(30) 내측 하부에 적층된 쓰레기들의 위치를 감지하여 제어부(7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후술할 제어부(70)는 이미 설정된 압력 값의 도달 여부나, 쓰레기들의 위치를 인지하여, 그와 연결된 구동부재(34)를 제어해 후술하는 압축피스톤(32)의 진퇴 구동이 단속될 수 있도록 하고, 이렇게 제어부(70)에 전달된 제2감지센서(26)에 의해 감지된 측정값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80)에 표시됨으로써,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압축부(30)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상술한 본체부(20) 내측에서 인입구(21)를 통해 투입된 쓰레기들이 압착되도록 하는 것으로, 본체부(20) 상단에 설치된 압축실린더(31)와, 이 압축실린더(31)에 구비되어 압축실린더(31)와 연결된 구동부재(34)를 통해 본체부(20) 내측에서 진퇴 구동하여 투입된 쓰레기를 압축하는 압축피스톤(32)을 포함한다.
그리고, 압축부(30)는 압축실린더(31)와 압축피스톤(32)을 연결하는 압축로드(33)를 구비하며, 상술한 구동부재(34)는 배관 또는 호스를 통해 압축실린더(31)와 연결되어 압축실린더(31)에 유압 또는 공압을 공급하는 펌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압축부(30)는 구동부재(34)가 후술할 제어부(70)와 연결을 이룸으로써, 상술한 제1감지센서(25)에 의한 인입구(21)의 폐쇄시 압축피스톤(32)이 전진 구동하여 쓰레기를 압축할 수 있고, 제2감지센서(26)에 의한 본체부(30) 내측 하부의 압력이나 적층된 쓰레기들의 위치에 의해 후퇴 구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동으로 쓰레기를 압축하여 배출구(22)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쓰레기 취합부재(B)를 통해 취합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이러한 쓰레기 압축장치의 조작이 쉽고 편리하며, 이미 설정된 조건에서만 구동할 수 있게 됨에 따른 오작동이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압축장치의 압축피스톤(32)은, 관 형상으로 이루어진 본체부(20)의 내경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측면이 본체부(20)의 내측면에 밀착을 이루며 진퇴 구동하되, 그 진퇴 구동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전협후광의 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이와 함께, 후술하는 게이트부(40)가 상술한 압축피스톤(32)의 측면과 밀착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실질적으로 압력이 작용하는 부위인 인입구(21) 하측의 본체부(20) 내측 부위에서 오목한 형상을 이루는 전방으로 압력이 집중됨에 따라, 쓰레기 압축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를 통해, 쓰레기의 압축효율이 극대화된 상태에서 수분함유량이 미미한 음식물, 종이,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와 같은 각종 쓰레기를 압축하여 그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됨으로써, 쓰레기 봉투의 사용량을 줄여 경제적 부담을 감소시킴은 물론, 쓰레기 수거에 따른 운반 횟수를 줄임과 동시에 쓰레기 수거 및 폐기의 편의성과 그 효율을 배가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압축피스톤(32)은, 그 상단부로부터 직경이 작아지는 전협후광의 형상을 이루다가, 그 하단부에서 후술하는 게이트부(40)가 이루는 내측 공간에 밀착되면서 통과될 수 있는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의해, 게이트부(40)에 밀착되면서 압축되는 쓰레기들이 억지끼움 방식으로 끼워지는 것과 같이, 게이트부(40)가 이루는 내측 공간을 통과하게 됨으로써, 압축된 쓰레기들이 게이트부(40) 상측으로 다시 이동하거나 압축에 의해 축소된 형상이 복원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게이트부(40)는, 도 2 내지 도 5와 같이, 압축피스톤(32)의 측면에 밀착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압축피스톤(32)으로 압축되는 쓰레기가 보다 증가된 효율로 압착을 이루도록 인입구(21) 하측의 본체부(20) 내측면 둘레를 따라 돌출 구비된다.
이러한 게이트부(40)도 압축피스톤(32)과 마찬가지로 압축피스톤(32)의 구동방향을 기준으로 전협후광의 테이퍼 형상을 이루는데, 이를 통해 상술한 바와 같이, 인입구(21) 하측의 본체부(20) 내측 부위에서 오목한 형상을 이루는 전방으로 압력이 집중되어 쓰레기 압축의 효율을 증대된 상태에서, 압축피스톤(32)과 게이트부(40) 사이에 위치한 쓰레기들을 압착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게이트부(40)는 본체부(20) 내측면 둘레를 따라 돌출된 복수개의 게이트돌기(41)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 게이트돌기(41)들이 이루는 내측 공간이 전협후광의 형상을 이루도록 각각의 게이트돌기(41)들의 내측면이 내측 하방으로 테이퍼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복수개의 게이트돌기(41)는, 도 5와 같이, 본체부(20) 내측으로 돌출된 부위의 내측 가장자리가 첨예한 삼각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단이 내측 하방으로 경사를 이루며 더 돌출된 차단면(41a)을 형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이에 의해, 압축피스톤(32)으로 압축되는 쓰레기 가장자리 부위가 게이트돌기(41)들의 내측 가장자리 부위에 압착되면서 배출구(22)를 향해 내려가는 동안, 게이트돌기(41)들의 첨예한 가장자리에 밀착됨에 따라, 쓰레기의 가장자리 부위가 찢어지거나 잘라지는 등의 변형을 이룸으로써, 쓰레기의 부피 축소효율은 더욱 증가함은 물론, 이렇게 가장자리 부위가 찢어지거나 잘라지는 변형을 이룬 쓰레기는 자체적인 형상 복원력을 잃게 되어 압착에 따른 쓰레기의 축소된 부피는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더불어, 상술한 압축피스톤(32)의 하단부에 의해 게이트부(40)가 이루는 내측 공간을 억지끼움 방식으로 통과한 쓰레기들은 게이트돌기(41)들의 하단에 형성된 차단면(41a)에 걸려지게 되어 압착된 쓰레기들의 상측 움직임을 차단함과 동시에, 그 형상 복원을 억제함으로써, 쓰레기 압축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압축장치는, 도 2 및 도 6과 같이, 본체부(20)의 하부에 설치되어 본체부(20) 하부의 내경을 축소하는 조임부(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조임부(50)는, 본체부(20)의 하단을 포함하는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절개 형성된 복수개의 조임편(23)을 감싸며 상호 일측 단부가 체결을 이룬 한 쌍의 클램프(51)와, 한 쌍의 클램프(51) 중 어느 하나의 타측 단부에 설치된 조임실린더(52)와, 조임실린더(52)에 구비되어 조임실린더(52)가 설치된 클램프(51)의 타측 단부를 밀어 복수개의 조임편(23)이 조여지도록 하는 조임로드(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조임실린더(52)는 상술한 구동부재(34)와 연결을 이룰 수 있고, 후술하는 제어부(70)와 연결된 별도의 구동원과 연결을 이룸으로써, 구비된 조임로드(53)를 밀거나 당기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렇게 구성된 조임부(50)를 통해, 클램프(51)의 타측 단부를 밀어 조임편(23)들을 조여 본체부(20) 하부의 내경을 축소시킨 상태에서 쓰레기들의 압축을 계속적으로 진행하게 되면, 축소된 본체부(20) 하부의 내경에 의해 압착된 쓰레기들은 배출구(22)를 통해 배출되지 못한 채, 게이트부(40)와 조임부(50) 사이에서 적층되게 된다.
이에 따라, 게이트부(40)와 조임부(50) 사이에서 정체되면서 적층을 유지하는 쓰레기들을 더욱 강하게 압축할 수 있는 것이고, 이는 쓰레기 압축의 효율을 보다 상승시킬 수 있는 것이며, 나아가 상승된 압축 효율을 통해, 쓰레기의 압착된 상태는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압착된 쓰레기들의 정체와 적층 상태를 유지하다가, 제2감지센서(26)에 의해, 게이트부(40)와 조임부(50) 사이 구간의 압력이, 압축피스톤(32)이 작용하는 압력보다 크게 감지되거나, 적층된 쓰레기들의 높이가 이미 설정된 위치에 도달하였음이 감지될 경우, 후술하는 제어부(70)는 이를 디스플레이부(80)에 표시함과 동시에, 조임로드(53)를 당겨 본체부(20) 하부의 축소된 내경을 복원시킴으로써, 적층된 쓰레기들의 배출을 이루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조임부(50)는 상술한 클램프(51), 조임실린더(52) 및 조임로드(53)를 포함하는 구성 외에, 본체부(20)의 하부를 감싸며 구비된 통상의 밴드 브레이크(미도시, Band brake)로 대체 적용이 가능하고, 이렇게 본체부(20) 하부의 내경을 축소하거나 복원시킬 수 있는 구성이라면 다양하게 선택 적용이 가능함을 밝혀둔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압축장치는, 도 7과 같이, 본체부(20)의 하부에 설치되어 배출구(22)를 개폐하는 개폐부(6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개폐부(60)는 본체부(20)의 내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며 탄력적으로 회동하여 본체부(20) 내측면에 돌출 구비된 걸림돌기(24)에, 그 단부가 걸려져 본체부(20) 하단의 배출구(22)를 폐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렇게 배출구(22)를 일정시간 동안 폐쇄하도록 함에 의해 상술한 게이트부(40)의 하측에서 개폐부(60)상에 압착된 쓰레기들이 정체 및 적층을 이룸으로써 유발되는 효과는 상술한 조임부(40)를 통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한 것으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일정시간 동안 개폐부(60)상에 쓰레기들이 적층을 이루다가, 적층된 쓰레기들의 하중을 개폐부(60)가 견디지 못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개폐부(60)는 하측 회동을 이루게 되고, 적층된 쓰레기들은 개방된 배출구(22)를 향해 내려가 쓰레기 취합부재(B)에 적재될 수 있는 것이며, 적층된 쓰레기들의 배출이 이루어진 개폐부(60)는 자체적인 탄성에 의해 다시 상측으로 회동되어 걸림돌기(24)에 단부가 걸려짐으로써, 배출구(22)를 다시 폐쇄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개폐부(60)의 상측과 하측 회동은, 상술한 바와 같이, 자체적인 탄력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후술하는 제어부(70)와 연결을 이루어 제2감지센서(26)의 압력 또는 쓰레기들의 적층 높이 감지에 의해 구현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제어부(70)는, 상술한 케이스(10)에 장착되어 구동부재(34), 제1감지센서(25) 또는 제2감지센서(26) 등과 연결을 이룸으로써, 쓰레기 압축장치의 구동을 컨트롤하게 된다.
이를 통해, 이미 설정된 조건, 즉 제1감지센서(25) 또는 제2감지센서(26)에 의해 감지된 인입구(21)의 개폐 여부, 압축피스톤(32)의 구동 여부, 쓰레기들이 압축되는 수준, 게이트부(40) 상측과 하측 각각의 압력 또는 적층된 쓰레기들의 높이 등을 바탕으로 구동부재(34)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제1감지센서(25) 또는 제2감지센서(26)에 의해 제어부(70)에 전달된 정보들은 제어부(70)와 연결된 디스플레이부(80)에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쓰레기들을 자동으로 압축하여 취합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쓰레기 압축장치의 조작이 쉽고 편리하며, 이미 설정된 조건에서만 구동할 수 있게 됨에 따른 오작동이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쓰레기 압축장치의 구동을 자동화함으로써, 쓰레기들을 인력으로 압축시켜야 함에 따른 노동을 절감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쓰레기 취합부재(B)의 훼손을 억제할 수 있는 장점도 있는 것이며, 디스플레이부(80)를 통해 쓰레기들의 압축 수준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해 사용과 유지보수의 편리함을 구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시 형태는 하나의 예시로서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이루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0 : 케이스 11 : 투입구
12 : 인출구 13 : 지지부재
13a : 바퀴 14 : 경사면
15 : 저울 20 : 본체부
21 : 인입구 22 : 배출구
23 : 조임편 24 : 걸림돌기
25 : 제1감지센서 26 : 제2감지센서
30 : 압축부 31 : 압축실린더
32 : 압축피스톤 33 : 압축로드
34 : 구동부재 40 : 게이트부
41 : 게이트돌기 41a : 차단면
50 : 조임부 51 : 클램프
52 : 조임실린더 53 : 조임로드
60 : 개폐부 70 : 제어부
80 : 디스플레이부 B : 쓰레기 취합부재
D : 도어

Claims (9)

  1. 쓰레기의 투입구(11)를 상부에 형성하고, 압축 처리된 쓰레기의 인출구(12)를 하부에 형성한 케이스(10);
    관 형상으로 상기 케이스(10)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투입구(11)로 투입된 쓰레기가 인입되는 인입구(21)를 상부에 형성하며, 압축된 쓰레기의 배출구(22)를 하단에 형성한 본체부(20);
    상기 본체부(20) 상단에 설치된 압축실린더(31)와, 상기 압축실린더(31)에 구비되어 상기 압축실린더(31)와 연결된 구동부재(34)를 통해 상기 본체부(20) 내측에서 진퇴 구동하여 투입된 쓰레기를 압축하는 콘 형상의 압축피스톤(32)을 포함하는 압축부(30); 및
    상기 압축피스톤(32)의 측면에 밀착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인입구(21) 하측의 상기 본체부(20) 내측면 둘레를 따라 돌출 구비된 게이트부(40);를 포함하되,
    상기 게이트부(40)는, 상기 압축피스톤(32)에 대응하도록 상기 압축피스톤(32)의 구동방향을 기준으로 전협후광의 테이퍼 형상을 이루고, 상기 본체부(20) 내측면 둘레를 따라 돌출된 복수개의 게이트돌기(41)로 이루어지며,
    복수개의 상기 게이트돌기(41)는, 상기 본체부(20) 내측으로 돌출된 부위의 내측 가장자리가 첨예한 삼각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단이 내측 하방으로 경사를 이루며 더 돌출된 차단면(41a)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압축장치.
  2. 쓰레기의 투입구(11)를 상부에 형성하고, 압축 처리된 쓰레기의 인출구(12)를 하부에 형성한 케이스(10);
    관 형상으로 상기 케이스(10)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투입구(11)로 투입된 쓰레기가 인입되는 인입구(21)를 상부에 형성하며, 압축된 쓰레기의 배출구(22)를 하단에 형성한 본체부(20);
    상기 본체부(20) 상단에 설치된 압축실린더(31)와, 상기 압축실린더(31)에 구비되어 상기 압축실린더(31)와 연결된 구동부재(34)를 통해 상기 본체부(20) 내측에서 진퇴 구동하여 투입된 쓰레기를 압축하는 압축피스톤(32)을 포함하는 압축부(30); 및
    상기 압축피스톤(32)의 측면에 밀착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인입구(21) 하측의 상기 본체부(20) 내측면 둘레를 따라 돌출 구비된 게이트부(40);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부(2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22)를 개폐하는 개폐부(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60)는 상기 본체부(20)의 내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며 탄력적으로 회동하여 상기 본체부(20)의 내측면에 돌출 구비된 걸림돌기(24)에 단부가 걸려 상기 배출구(22)를 폐쇄함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압축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2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부(20) 하부의 내경을 축소하는 조임부(50)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압축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20)의 하부는 길이 방향으로 절개되어 복수개의 조임편(23)을 형성하고,
    상기 조임부(50)는, 복수개의 상기 조임편(23)을 감싸며 상호 일측 단부가 체결을 이룬 한 쌍의 클램프(51)와, 한 쌍의 상기 클램프(51) 중 어느 하나의 타측 단부에 설치된 조임실린더(52)와, 상기 조임실린더(52)에 구비되어 상기 조임실린더(52)가 설치된 상기 클램프(51)의 타측 단부를 밀어 복수개의 상기 조임편(23)이 조여지도록 하는 조임로드(53)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압축장치.
  7. 삭제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11), 인출구(12) 및 인입구(21)는 각각을 개폐하는 도어(D)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20)는, 상기 인입구(21)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1감지센서(25)를 구비하며, 상기 게이트부(40)의 상측 또는 하측 부위에 제2감지센서(26)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압축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34), 제1감지센서(25) 및 제2감지센서(26)와 연결을 이루는 제어부(70)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압축장치.
KR1020170047144A 2017-04-12 2017-04-12 쓰레기 압축장치 KR1018124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7144A KR101812446B1 (ko) 2017-04-12 2017-04-12 쓰레기 압축장치
PCT/KR2018/004265 WO2018190640A1 (ko) 2017-04-12 2018-04-12 쓰레기 압축장치
US16/300,955 US20190152697A1 (en) 2017-04-12 2018-04-12 Garbage compress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7144A KR101812446B1 (ko) 2017-04-12 2017-04-12 쓰레기 압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2536A KR20170052536A (ko) 2017-05-12
KR101812446B1 true KR101812446B1 (ko) 2017-12-26

Family

ID=58740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7144A KR101812446B1 (ko) 2017-04-12 2017-04-12 쓰레기 압축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90152697A1 (ko)
KR (1) KR101812446B1 (ko)
WO (1) WO20181906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84804B (zh) * 2019-12-10 2023-05-16 南华大学 压缩垃圾桶及垃圾压缩方法
CN113147075A (zh) * 2021-05-08 2021-07-23 福州优德居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家具生产用木屑回收压缩装置
CN114084545B (zh) * 2021-11-02 2022-08-30 南京志达环保科技有限公司 智能垃圾分类处理回收系统及清运数据信息采集分析方法
CN114194660B (zh) * 2021-12-16 2023-04-18 无锡升腾金属结构设备有限公司 一种自动化垃圾转运箱
CN114733880B (zh) * 2022-04-15 2023-06-30 合肥白云环卫设备有限公司 一种平台卸料式压垃圾压缩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322B1 (ko) * 2007-07-31 2008-01-11 강명숙 음식물쓰레기의 압착분쇄기
KR200442818Y1 (ko) 2008-09-12 2008-12-12 광림 컴팩 주식회사 쓰레기 압축장치
KR101202992B1 (ko) 2011-12-14 2012-11-21 주식회사 알토스 자동압축쓰레기통
KR101492777B1 (ko) * 2014-09-01 2015-02-12 한선권 음료용기 압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9299U (ko) * 1998-04-08 1999-11-05 안용주 캔 압축기
KR20000000340U (ko) * 1998-06-08 2000-01-15 배영 의료폐기물 폐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322B1 (ko) * 2007-07-31 2008-01-11 강명숙 음식물쓰레기의 압착분쇄기
KR200442818Y1 (ko) 2008-09-12 2008-12-12 광림 컴팩 주식회사 쓰레기 압축장치
KR101202992B1 (ko) 2011-12-14 2012-11-21 주식회사 알토스 자동압축쓰레기통
KR101492777B1 (ko) * 2014-09-01 2015-02-12 한선권 음료용기 압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2536A (ko) 2017-05-12
WO2018190640A1 (ko) 2018-10-18
US20190152697A1 (en) 2019-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2446B1 (ko) 쓰레기 압축장치
AU201820434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eeding in and handling waste material
US8905413B2 (en) Method for compacting solid medical waste
US9533839B2 (en) Material handling system
WO2023035423A1 (zh) 一种医疗垃圾桶
US20030136279A1 (en) Vacuum compacting trash can
CN201553439U (zh) 一种垃圾袋和垃圾桶
JP6527526B2 (ja) 物質搬送システム内の物質を処理するための方法、物質搬送システムの投入点、および物質搬送システム
US3327620A (en) Packer
CN107558545A (zh) 一种用于水槽下水道的二次垃圾处理装置
CN207697586U (zh) 车用环保收纳装置
CN204310084U (zh) 一种松散物料的压缩打包装置
KR101098663B1 (ko) 쓰레기 압축 장치
EP2251189A2 (en) A compactor with collection bag
CN115262455A (zh) 一种带有自动收集与打包垃圾功能的清扫车
WO2007076964A1 (de) Abfallbehälter
CN208731775U (zh) 改良型垃圾桶
JP2005060065A (ja) 容器回収ボックスおよび容器回収方法
KR101668678B1 (ko) 다기능 쓰레기통, 이를 포함하는 쓰레기 분리수거장치, 및 이를 운용하는 방법
KR200173003Y1 (ko) 압축탈수식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
KR20210063594A (ko) 자동개폐식 거리감지 압축기능을 지닌 쓰레기통
US20140318096A1 (en) Active collection disposable lawn and leaf bag
CN205592111U (zh) 便携式抽水机
TW386975B (en) Refuse compactor
CN210593564U (zh) 一种水平出袋垃圾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