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2777B1 - 음료용기 압축장치 - Google Patents

음료용기 압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2777B1
KR101492777B1 KR20140115179A KR20140115179A KR101492777B1 KR 101492777 B1 KR101492777 B1 KR 101492777B1 KR 20140115179 A KR20140115179 A KR 20140115179A KR 20140115179 A KR20140115179 A KR 20140115179A KR 101492777 B1 KR101492777 B1 KR 1014927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container
case
piston
container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15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선권
Original Assignee
한선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선권 filed Critical 한선권
Priority to KR20140115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27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2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2777B1/ko
Priority to PCT/KR2015/009169 priority patent/WO201603609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3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consolidating scrap metal or for compacting used c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용기 압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음료용기 압축장치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투입 장착공이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에 배치되고 압축된 음료용기를 수거 및 배출하는 수납함;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장착되고 각종 기능을 관리하는 제어부; 상기 케이스의 투입 장착공에 설치되고 음료용기가 삽입장착되는 투입수단;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장착되고, 상기 제어부의 작동에 따라 투입수단에 삽입된 음료용기를 압축하여, 상기 수납함에 배출하는 압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스에 장착되는 투입수단과 압축수단을 통해 음료용기를 간단히 압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폐문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압력센서와 피스톤에 전달되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 및 작동실린더의 피스톤과 접촉하는 감지수단을 통해 정확한 조건에서만 작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음료용기 압축장치{Beverage container compression device}
본 발명은 음료용기 압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폐기할 음료수용 캔이나 플라스틱 용기를 압축하여 수거할 수 있도록 한 음료용기 압축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물자 절약과 재활용에 관한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음료 캔이나 음료 플라스틱과 같은 용기 재활용이 크게 대두되고 있으며, 특히 음료 캔의 연간 총 생산량 중에서 극히 일부만이 사용 이후에 회수되고 있을 뿐이고 거의 대부분이 쓰레기로 폐기 처리되고 있음을 감안할 때, 음료 캔의 재활용은 물자 절약에 있어서 필연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그리고 종래 캔 형태의 용기에 들어있는 각종 음료나 주류 등을 마시고 난 빈 캔은 그대로 버려져 분리수거가 되지 않아 자원의 재활용이 불가능하게 되는 한편 이로 인한 환경 공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버려지는 쓰레기 중 재활용 가능 여부에 따라 하나의 쓰레기통에서 재활용할 수 있는 캔이나 병 등을 분리하여 수거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 경우에도 분리 수거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분리 수거된 빈 캔의 경우에는 그 부피가 상당하여 보관, 운반 등 처리에 있어 큰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재활용 가능한 빈 캔을 효율적으로 수거, 보관, 운반 및 재생 등 처리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 투입구에 빈 캔을 투입하면 자동으로 투입된 빈 캔을 압축시켜 부피를 최소화한 상태에서 처리할 수 있는 각종 캔 압축장치가 제시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캔 압축장치 중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71307에 의하면 캔을 수집하는 곳이 제품 내부에 있는 것이 아니라 밖으로 드러나 있어 미관상의 문제나 악취발생 등 관리에 많은 문제가 있어서 실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1999-0033446에 의하면 캔을 압축하는 방식이 모터에 회전과 크랭크암의 수직운동으로 압착판이 캔을 눌러 압축하는 방식인데 이 경우에는 모터에 의한 압축이므로 소음이 크고 회전 운동이 다시 크랭크 암의 수직운동으로 전환되므로 동력손실이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5-0078384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3-007208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케이스에 장착되는 투입수단과 압축수단을 통해 음료용기를 간단히 압축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개폐문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압력센서와 피스톤에 전달되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 및 작동실린더의 피스톤과 접촉하는 감지수단을 통해 작동을 관리하면서도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음료용기 압축장치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투입 장착공이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에 배치되고 압축된 음료용기를 수거 및 배출하는 수납함;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장착되고 각종 기능을 관리하는 제어부; 상기 케이스의 투입 장착공에 설치되고 음료용기가 삽입장착되는 투입수단;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장착되고, 상기 제어부의 작동에 따라 투입수단에 삽입된 음료용기를 압축하여, 상기 수납함에 배출하는 압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투입수단은 상기 투입 장착공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되며, 하부에는 압축된 음료용기를 수납함에 전달할 수 있도록 배출공이 형성되는 피스톤 작동부; 상기 피스톤 작동부의 하부에 장착되고 음료용기의 하부를 지지하는 용기 지지부; 상기 피스톤 작동부의 상부 양측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차단판; 상기 투입 장착공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개폐문; 상기 개폐문의 개방 또는 폐쇄를 여부를 확인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용기 지지부의 전면에는 용기 지지부에 위치하는 압축된 음료용기를 막대기나 바를 통해 수납함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가압 지지공이 관통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수단은 상기 투입수단을 구성하는 피스톤 작동부를 따라 전·후진 작동하는 가압 피스톤이 구비되는 작동실린더; 상기 작동실린더에 유압 또는 공압을 공급하는 구동펌프; 상기 작동실린더와 구동펌프를 연결하는 배관에 설치되고 상기 가압 피스톤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에는 압축수단을 구성하는 작동실린더의 작동에 따른 구동펌프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감지수단이 장착되되, 상기 감지수단은 수용공간에 장착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일 측이 고정되고 반대 측이 투입수단을 구성하는 피스톤 작동부의 안내공에 배치되어 가압 피스톤의 접촉에 따라 구동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회전작동바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스에 장착되는 투입수단과 압축수단을 통해 음료용기를 간단히 압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작업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개폐문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압력센서와 피스톤에 전달되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 및 작동실린더의 피스톤과 접촉하는 감지수단을 통해 정확한 조건에서만 작동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오작동 및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 압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 압축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 압축장치의 구성하는 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 압축장치를 구성하는 수납함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 압축장치를 구성하는 투입수단을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 압축장치를 구성하는 피스톤 작동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 압축장치를 구성하는 차단판과 수납함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 압축장치를 구성하는 압축수단을 나타낸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 압축장치를 구성하는 감지수단을 나타낸 도면.
도 10 내지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 압축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개략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 압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 압축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 압축장치의 구성하는 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 압축장치를 구성하는 수납함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 압축장치를 구성하는 투입수단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 압축장치를 구성하는 피스톤 작동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 압축장치를 구성하는 차단판과 수납함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 압축장치를 구성하는 압축수단을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 압축장치를 구성하는 감지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원발명인 음료용기 압축장치(10)는 케이스(20)와, 상기 케이스(20)의 수용공간(21)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수납함(30)과, 상기 케이스(20)의 상부에 장착되는 제어부(40)와, 상기 케이스(20)의 상부에 장착되고 음료용기(1)가 삽입되는 투입수단(50)과, 상기 케이스(20)의 수용공간(21)에 장착되고 투입수단(50)에 삽입된 음료용기(1)를 압축하여 수납함(30)에 배출하는 압축수단(60)과, 상기 케이스(20)의 수용공간(21)에 장착되는 감지수단(7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20)는 소정의 크기와 높이를 가지며, 내부에는 수용공간(21)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원활한 이동을 위하여 간격을 두고 바퀴(22)가 장착되며, 상부에는 투입 장착공(23)이 형성된다.
즉 상기 케이스(20)는 내부에 수납함(30), 투입수단(50), 압축수단(60)을 구비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21)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원하는 곳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간격을 두고 바퀴(22)가 장착되며, 상부에는 상기 투입수단(50)의 장착을 위한 투입 장착공(23)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20)의 형상은 여러 가지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원발명에서 상기 케이스(20)는 원활한 작업을 위하여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사각박스의 상부에 투입 장착공(23)이 형성된 경사면(24)이 일체로 형성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20)의 하부 전면에는 수납함(30)의 삽입과 배출을 위하여 수납 도어(25)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때 상기 수납 도어(25)에는 수납함(30)에 수거되는 압축된 음료용기(1)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창(26)이 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 케이스(20)의 수용공간(21)에 삽입 또는 배출되는 수납함(30)은 소정의 크기를 가지며, 상부는 개방되고, 내부에는 압축된 음료용기(1)를 수거하는 음료 저장공간(31)이 형성된다.
즉 상기 수납함(30)은 수용공간(21)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투입수단(50)과 압축수단(60)을 통해 압축된 음료용기(1)를 수거한 후 배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납함(30)의 전면에는 수용공간(21)으로 원활한 삽입과 배출을 위하여 손잡이(32)가 형성되고 그 하부에는 내부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투시공(33)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20)의 상부에 장착되는 제어부(40)는 음료용기 압축장치(10)의 각종 기능을 관리하게 된다.
즉 상기 제어부(40)는 음료용기 압축장치(10)의 온/오프 작동, 투입수단(50)을 통한 압축수단(60)의 작동, 감지수단(70)을 통한 압축수단(60) 등의 작동을 관리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케이스(20)의 상부에 장착되는 투입수단(50)은 케이스(20)를 구성하는 경사면(24)의 투입 장착공(23)에 장착되고 내부에는 폐기할 음료용기(1)가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투입수단(50)은 투입 장착공(23)의 내측에 형성되면서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에는 압축된 음료용기(1)를 수납함(30)에 전달할 수 있도록 배출공(52)이 형성되는 피스톤 작동부(51)와, 상기 피스톤 작동부(51)의 하부에 장착되고 음료용기(1)의 하부를 지지하는 용기 지지부(53)와, 상기 피스톤 작동부(51)의 상부 양측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차단판(54)과, 상기 투입 장착공(23)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개폐문(55)와, 상기 개폐문(55)의 개방 또는 폐쇄를 여부를 확인하는 감지센서(56)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투입수단(50)은 투입 장착공(23)의 내측으로 배출공(52)과 용기 지지부(53)가 구비되는 피스톤 작동부(51)를 장착하고, 상기 피스톤 작동부(51)의 양측에는 차단판(54)을 장착하며, 상기 투입 장착공(23)에는 회전 가능한 개폐문(55)과 상기 개폐문(55)의 개방 또는 폐쇄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56)를 장착한 것이다.
이를 좀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투입수단(50)은 개폐문(55)의 회전작동을 통해 피스톤 작동부(51)에 폐기할 음료용기(1)를 삽입하고 상기 피스톤 작동부(51)의 양측에는 압축시 폐기할 음료용기(1)에 수용된 음료에 따른 내부 구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차단판(54)을 장착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 작동부(51)는 원통 형상으로 상부 일부가 개방되고, 상기 용기 지지부(53)와 대응하는 하부에는 압축된 음료용기(1)를 수납함(30)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배출공(52)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피스톤 작동부(51)는 원활한 작동을 위하여 수직 또는 수평뿐만 아니라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본원발명에서 상기 피스톤 작동부(51)는 압축된 음료용기(1)가 자중에 의해 수납함(30)에 수거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더불어 상기 피스톤 작동부(51)에는 압축수단(60)을 구성하는 피스톤 작동부의 작동을 감지하는 감지수단(70)의 회전작동바의 장착 및 작동을 위한 안내공(57)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피스톤 작동부(51)는 내부에 삽입되는 캔 음료용기나 플라스틱 음료용기 등에 따라 크기와 함께 배출공(52) 및 용기 지지부(53)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음을 밝힌다.
또한 상기 피스톤 작동부(51)의 하부에 형성되는 용기 지지부(53)는 삽입되는 폐기할 음료용기(1)의 하부를 지지하고, 전면에는 상기 용기 지지부(53)의 위치하고 압축된 음료용기(1)를 가압하여, 상기 수납함(30)에 배출할 수 있도록 가압 지지공(53a)이 형성된다.
이를 좀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용기 지지부(53)의 가압 지지공(53a)은 압축된 음료용기(1)가 수납함(30)에 배출되지 않고 배출공(52) 주변에 위치할 때, 상기 가압 지지공(53a)에 막대기나 바를 통해 압축된 음료용기(1)를 배출공(52)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도시된 도 12 참조)
또한 상기 피스톤 작동부(51)의 양측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차단판(54)은 소정의 두께와 길이를 가지며, 여러 가지 형상으로 형성되어, 압축시 폐기할 음료용기(1)에 배출되는 음료에 따른 내부 구성의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투입 장착공(23)에 장착되는 감지센서(56)는 회전 작동하는 개폐문(55)의 개방 또는 폐쇄를 여부를 감지한 후 상기 제어부(40)에 전달하게 된다.
즉 상기 감지센서(56)는 개폐문(55)의 개폐 여부를 제어부(40)에 전달하여 상기 개폐문(55)의 개방시 압축수단(60)이 작동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개폐문(55)은 내부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부(55a)가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 케이스(20)의 수용공간(21)에 장착되는 압축수단(60)은 투입수단(50)에 삽입된 음료용기(1)를 압축하여 수납함(30)에 배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압축수단(60)은 투입수단(50)의 피스톤 작동부(51)를 따라 전·후진 작동하는 가압 피스톤(62)이 구비되는 작동실린더(61)와, 상기 작동실린더(61)에 유압 또는 공압을 공급하는 구동펌프(63)와, 상기 작동실린더(61)와 구동펌프(63)를 연결하는 배관(64)이나 호스에 설치되고 상기 가압 피스톤(62)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64)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압축수단(60)은 피스톤 작동부(51)의 내부에 삽입된 음료용기(1)를 제어부(40)의 작동 신호에 따라 작동실린더(61)의 가압 피스폰(62)을 전진작동시켜, 상기 피스톤 작동부(51)의 내부에 위치한 음료용기(1)를 압축한 후, 상기 가압 피스톤(62)의 후진작동시 압축된 음료용기(1)가 자중에 의하여 배출공(52)을 통해 수납함(30)에 수거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가압 피스톤(62)은 배관(64)에 장착되는 압력센서(64)를 통해 전·후진 작동구간이 제어될 수 있다.
이를 좀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압력센서(64)는 제어부(40)를 통해 설정된 압력을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40)에서 설정된 압력 값에 도달하면, 상기 가압 피스톤(62)을 작동을 멈춘 후 후퇴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케이스(20)의 수용공간(21)에 장착되는 감지수단(70)은 압축수단(60)을 구성하는 작동실린더(61)의 작동에 따른 구동펌프(63)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감지수단(70)은 수용공간(21)에 장착되는 고정부(71)와 상기 고정부(71)에 일 측이 간격조절된 후 고정되고, 반대 측이 상기 투입수단(50)을 구성하는 피스톤 작동부(51)의 안내공(57)에 배치되어, 상기 가압 피스톤(62)의 접촉에 따라 회전작동하면서도 구동펌프(63)의 작동을 제어하는 회전작동바(72)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감지수단(70)은 고정부(71)를 기준으로 가압 피스톤(62)의 후진작동시 접촉하면서 회전작동하는 회전작동바(72)를 통해 구동펌프(63)을 온/오프작동시켜 가열에 따른 구동펌프(63)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음료용기 압축장치의 실시 예를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사각박스의 상부에 투입 장착공(23)이 형성된 경사면(24)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수용공간(21)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간격을 두고 바퀴(22)가 장착되고, 하부 전면에는 투명창(26)이 구비된 수납 도어(25)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케이스(20)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20)의 경사면(24)에 제어부(40)를 장착한 후 상기 케이스(20)의 수용공간(21) 하부에 소정의 크기를 가지면서 상부는 개방되고, 내부에는 압축된 음료용기(1)를 수거하는 음료 저장공간(31)이 형성되며, 전면에는 손잡이(32)와 다수개의 투시공(33)이 형성되는 수납함(30)을 삽입한다.
다음으로 상기 경사면(24)의 투입 장착공(23)에 투입 장착공(23)의 내측에 형성되면서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에는 압축된 음료용기(1)를 수납함(30)에 전달할 수 있도록 배출공(52)이 형성되는 피스톤 작동부(51)와, 상기 피스톤 작동부(51)의 하부에 장착되고 음료용기(1)의 하부를 지지하는 용기 지지부(53)와, 상기 피스톤 작동부(51)의 상부 양측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차단판(54)과, 상기 투입 장착공(23)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개폐문(55)와, 상기 개폐문(55)의 개방 또는 폐쇄를 여부를 확인하는 감지센서(56)로 이루어진 투입수단(50)을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20)의 수용공간(21)으로 투입수단(50)의 피스톤 작동부(51)를 따라 전·후진 작동하는 피스톤(62)이 구비되는 작동실린더(61)와, 상기 작동실린더(61)에 유압 또는 공압을 공급하는 구동펌프(63)와, 상기 작동실린더(61)와 구동펌프(63)를 연결하는 배관(64)이나 호스에 설치되고 상기 피스톤(62)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64)로 이루어진 압축수단(60)을 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케이스(20)의 수용공간(21)으로 고정부(71)와 상기 고정부(71)에 일 측이 고정되고 반대 측이 투입수단(50)을 구성하는 피스톤 작동부(51)의 안내공(57)에 배치되어 가압 피스톤(62)의 접촉에 따라 구동펌프(63)의 작동을 제어하는 회전작동바(72)로 이루어진 감지수단(70)을 장착하면 음료용기 압축장치(10)의 조립은 완료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음료용기 압축장치의 조립 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구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음료용기 압축장치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케이스(20)를 구성하는 수납 도어(25)를 개방한 후, 상기 케이스(20)의 수용공간(21)에 수납함(30)을 삽입한 다음, 상기 수납 도어(25)를 폐쇄한다.
그리고 상기 투입수단(50)의 개폐문(55)을 개방한 후, 상기 피스톤 작동부(51)의 내부에 폐기할 음료용기(1)를 삽입한 다음, 상기 음료용기(1)의 하부 끝단이 용기 지지부(53)에 지지되도록 한 후, 상기 개폐문(55)를 폐쇄한다.
이때 상기 개폐문(55)의 폐쇄 여부는 감지센서(56)를 통해 실시간으로 측정되므로 상기 개폐문(55)의 개방 여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40)를 조작하여, 상기 압축수단(60)을 작동시키면, 상기 작동실린더(61)의 가압 피스톤(62)은 피스톤 작동부(51)를 따라 경사진 하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음료용기(1)를 가압하여 압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40)는 압력센서(63)를 통해 전달되는 가압 피스톤(62)의 압력을 제어부(40)에 실시간으로 전달하여, 상기 작동실린더(61)의 가압 피스톤(62)을 제어하고, 작업자는 상기 개폐문(55)의 투명부(55a)를 통해 작업상태를 육안으로 실시간 확인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 피스톤(62)은 음료용기(1)의 압축 후 상기 피스톤 작동부(51)를 따라 상부로 이동하고 압축된 음료용기(1)는 자중에 의해 배출공(52)을 따라 수거함(30)에 수거된다.
다음으로 상기 피스톤 작동부(51)를 따라 상부로 이동하는 가압 피스톤(62)은 감지수단(70)의 회전작동바(72)와 접촉하고, 상기 구동펌프(63)는 회전작동바(72)의 작동에 따른 정지신호를 제어부(40)를 통해 전달받은 후 멈추면서 가압 피스톤(62)의 작동을 멈추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납함(30)에 수거된 음료용기(1)를 외부로 배출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케이스(20)의 수납 도어(25)를 개방한 후, 상기 수납함(30)의 손잡이(32)를 이용하여 외부로 배출하면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또 다른 음료용기(1)를 압축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적으로 거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원발명인 음료용기 압축장치는 음료수용 캔이나 플라스틱 용기를 용이하게 압축하면서도 수거할 수 있는 장점을 얻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음료용기 압축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음료용기 압축장치, 20 : 케이스,
21 : 수용공간, 22 : 바퀴,
23 : 투입 장착공, 24 : 경사면,
25 : 수납 도어, 26 : 투명창,
30 : 수납함, 31 : 음료 저장공간,
32 : 손잡이, 33 : 투시공,
40 : 제어부, 50 : 투입수단,
51 : 피스톤 작동부, 52 : 배출공,
53 : 용기 지지부, 54 : 차단판,
55 : 개폐문, 56 : 감지센서,
57 : 안내공, 60 : 압축수단,
61 : 작동실린더, 62 : 가압 피스톤,
63 : 구동펌프, 64 : 압력센서,
70 : 감지수단.

Claims (5)

  1.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투입 장착공이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에 배치되고 압축된 음료용기를 수거 및 배출하는 수납함;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장착되고 각종 기능을 관리하는 제어부;
    상기 케이스의 투입 장착공에 설치되고 음료용기가 삽입장착되는 투입수단;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장착되고, 상기 제어부의 작동에 따라 투입수단에 삽입된 음료용기를 압축하여, 상기 수납함에 배출하는 압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투입수단은,
    상기 투입 장착공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되며, 하부에는 압축된 음료용기를 수납함에 전달할 수 있도록 배출공이 형성되는 피스톤 작동부;
    상기 피스톤 작동부의 하부에 장착되고 음료용기의 하부를 지지하는 용기 지지부;
    상기 피스톤 작동부의 상부 양측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차단판;
    상기 투입 장착공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개폐문;
    상기 개폐문의 개방 또는 폐쇄를 여부를 확인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음료용기 압축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지지부의 전면에는 용기 지지부에 위치하는 압축된 음료용기를 막대기나 바를 통해 수납함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가압 지지공이 관통형성되는 음료용기 압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수단은,
    상기 투입수단을 구성하는 피스톤 작동부를 따라 전·후진 작동하는 가압 피스톤이 구비되는 작동실린더;
    상기 작동실린더에 유압 또는 공압을 공급하는 구동펌프;
    상기 작동실린더와 구동펌프를 연결하는 배관에 설치되고 상기 가압 피스톤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음료용기 압축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에는 압축수단을 구성하는 작동실린더의 작동에 따른 구동펌프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감지수단이 장착되되,
    상기 감지수단은 수용공간에 장착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일 측이 고정되고 반대 측이 투입수단을 구성하는 피스톤 작동부의 안내공에 배치되어 가압 피스톤의 접촉에 따라 구동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회전작동바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음료용기 압축장치.
KR20140115179A 2014-09-01 2014-09-01 음료용기 압축장치 KR1014927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15179A KR101492777B1 (ko) 2014-09-01 2014-09-01 음료용기 압축장치
PCT/KR2015/009169 WO2016036098A1 (ko) 2014-09-01 2015-09-01 음료용기 압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15179A KR101492777B1 (ko) 2014-09-01 2014-09-01 음료용기 압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2777B1 true KR101492777B1 (ko) 2015-02-12

Family

ID=52593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15179A KR101492777B1 (ko) 2014-09-01 2014-09-01 음료용기 압축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92777B1 (ko)
WO (1) WO201603609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2446B1 (ko) * 2017-04-12 2017-12-26 한선권 쓰레기 압축장치
KR20190093345A (ko) 2018-02-01 2019-08-09 방일형 음료용기의 압축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7318A (ko) * 2009-12-14 2011-06-22 주식회사바벨 부탄가스용기 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6964Y1 (ko) * 2001-05-29 2001-10-17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폐스프레이캔 처리장치
JP2003154492A (ja) * 2001-11-20 2003-05-27 Aisin Seiki Co Ltd スプレー缶処理方法及びスプレー缶処理装置
KR200362512Y1 (ko) * 2004-07-07 2004-09-18 주식회사 이륜 캔 압착장치
KR101044850B1 (ko) * 2009-03-06 2011-06-28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금속음료용기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7318A (ko) * 2009-12-14 2011-06-22 주식회사바벨 부탄가스용기 처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2446B1 (ko) * 2017-04-12 2017-12-26 한선권 쓰레기 압축장치
WO2018190640A1 (ko) * 2017-04-12 2018-10-18 한선권 쓰레기 압축장치
KR20190093345A (ko) 2018-02-01 2019-08-09 방일형 음료용기의 압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36098A1 (ko) 2016-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167056A1 (en) Organizational recycling assembly and method of use
US668476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ushing and sorting cans
EP1564159B1 (en) A unit for separately collecting urban waste
KR101617000B1 (ko) 음식물 쓰레기통에 부착된 음식물의 제거가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량
CN102730212A (zh) 可用于采制样行业的打包机
KR101492777B1 (ko) 음료용기 압축장치
SE1351064A1 (sv) Hanteringssystem för torrt avfall
CN102730211B (zh) 可用于采制样产品打包机上的自动压盖装置
JP2006327718A (ja) 軟質廃棄物の減容袋詰め装置
US5488899A (en) Apparatus for preparation of cans for recycling
KR20090119593A (ko) 재활용품 분리압축장치
CN211416062U (zh) 一种塑料破碎上料装置
KR101044850B1 (ko) 금속음료용기 처리장치
KR102318620B1 (ko)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KR101685576B1 (ko) 톱밥 및 분쇄물 운반차량
CN111924379B (zh) 智能垃圾分类装置
KR20180125762A (ko) 음료용기 압축 처리장치
KR101107054B1 (ko) 재활용 대상물의 압착장치
JP2001079685A (ja) リサイクル材の減容装置
CN218196294U (zh) 一种制袋机的余料回收装置
CN112539644A (zh) 一种真空带式干燥机连续出料装置及连续出料方法
JP2004136588A (ja) ペットボトル処理装置
CN210706187U (zh) 一种市政园林用的易拉罐处理装置
CN217714516U (zh) 一种全自动注脂压盖机
CN217755160U (zh) 人感式垃圾回收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