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1840B1 -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1840B1
KR101811840B1 KR1020160015612A KR20160015612A KR101811840B1 KR 101811840 B1 KR101811840 B1 KR 101811840B1 KR 1020160015612 A KR1020160015612 A KR 1020160015612A KR 20160015612 A KR20160015612 A KR 20160015612A KR 101811840 B1 KR101811840 B1 KR 101811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martphone
mart
wearable device
trans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5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4810A (ko
Inventor
박효범
김승주
하지현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15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1840B1/ko
Publication of KR20170094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4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1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1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store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H04W4/00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에 착용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근거리통신을 수행하며, 이동통신망 및 인터넷망에 접속가능한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스마트폰을 등록하고, 스마트폰에서 전송된 정보에 대응하여 운동정보, 식단정보, 상품정보, 마트정보, 위치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서비스서버와, 상품정보, 마트정보, 위치정보를 서비스서버 또는 스마트폰으로 제공하는 마트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운동정보에 대응하여 식단정보를 제공하므로 건강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식단정보에 대응하여 마트정보도 제공하므로 상품구매의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마트내에서 상품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므로 해당 상품을 용이하게 찾을 수 있을 뿐 아니라, 해당 상품의 정보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B2B 운용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장착된 제품으로부터 생성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마트 등의 마케팅에 활용함으로써 B2B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BY WEARABLE DEVICE AND SYSTEM}
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활용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측정된 운동정보를 마케팅과 연계시키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 가능한 컴퓨팅 장치로써, 인체에 착용하면서 활동성을 함께 제공할 뿐 아니라 다양한 컴퓨팅 기술 및 센싱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현재 세계 일류 IT 기업들이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에 진출하고 있으며, 클라우드와 빅데이터를 근간으로 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확산이 점점 가속화되고 있다.
컴퓨터 학자들에 의하면, 스마트폰이 컴퓨팅 기기의 혁명을 가져왔다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생활 혁명을 가져올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많은 부분에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기술력에 있어 이미 검증된 것도 있다.
그러나, 현재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인체정보를 획득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이동단말(스마트폰)과의 연동정도의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이에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더 대중화시키기 위해서는 이와 연관된 많은 아이템들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10053호(공개일 2015.10.02.)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측정된 운동정보를 이용하여 식단안내 및 마트안내 등에 활용함으로써 개인정보를 획득할 수 있을 뿐 아니라 B2B 활성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압력에 대응하여 압력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압력감지센서; 상기 압력감지신호를 전송 제어 처리함과 아울러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입력된 입력신호를 전송 제어 처리하는 마이컴; 및 상기 압력감지신호 또는 상기 입력신호를 스마트폰으로 송수신하는 근거리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력감지센서는 신발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근거리통신부는 NFC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마이컴은 상기 스마트폰으로 상기 압력감지신호 또는 상기 입력신호를 전송하는 블루투스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근거리통신부를 통해 전송된 압력감지신호 또는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근거리통신부; 상기 압력감지신호에 대응하여 운동정보, 식단정보, 상품정보, 마트정보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며,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하여 상품정보 및 위치정보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제어부; 상기 운동정보, 식단정보, 상품정보, 마트정보, 위치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운동정보, 식단정보, 상품정보, 마트정보, 위치정보 각각에 대해 외부 서버와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입출력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에 착용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근거리통신을 수행하며, 이동통신망 및 인터넷망에 접속가능한 스마트폰;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스마트폰을 등록하고, 상기 스마트폰에서 전송된 정보에 대응하여 운동정보, 식단정보, 상품정보, 마트정보, 위치정보를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서비스서버; 및 상기 상품정보, 마트정보, 위치정보를 서비스서버 또는 스마트폰으로 제공하는 마트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운동정보에 대응하여 식단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서비스서버 또는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식단안내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은, 서비스서버가 마트서버로부터 상품정보, 해당 마트정보, 마트위치와 상품위치를 포함한 위치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시키는 단계;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압력감지신호가 생성되어 근거리통신을 통해 스마트폰으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스마트폰에서 압력감지신호에 대응한 정보를 서비스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서버에서 압력감지신호를 분석하여 운동정보 및 식단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식단정보에 대응하는 상품정보 및 마트정보를 서비스서버로 요청하는 것에 대응하여 서비스서버에서 상품정보, 해당 마트정보, 위치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트 방문 후, 신발에 장착된 근거리통신부는 마트에 설치된 NFC 모듈로부터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입력신호가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스마트폰으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스마트폰에서는 입력신호를 마트서버로 전송하는 것에 대응하여 마트서버에서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한 해당 상품정보와 위치정보를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폰에서 네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B2B 운용 시스템은, 사용자에 착용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근거리통신을 수행하며, 이동통신망 및 인터넷망에 접속가능한 스마트폰;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포함된 신발정보를 서비스서버로 전송하는 신발제조사 서버; 식자재 및 음식정보를 서비스서버로 전송하는 식단안내서버; 상품정보를 서비스서버로 전송하는 마트서버; 및 상기 신발정보, 식자재 및 음식정보, 상품정보를 공유하여 거래를 중재하는 서비스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B2B 운용 방법은, 마트서버에서 신발제조사 서버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장착된 신발을 주문하는 단계;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장착된 신발을 마트에 납품하고, 사용자의 구입에 대응하여 생성된 압력감지신호를 서비스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서버에서 운동정보를 생성하여 식단안내서버로 전송하고, 식단안내서버에서 식단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서비스서버 및 마트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마트서버에서 상기 식단정보에 근거하여 필요한 상품을 상기 식단안내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운동정보에 대응하여 식단정보를 제공하므로 건강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식단정보에 대응하여 마트정보도 제공하므로 상품구매의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마트내에서 상품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므로 해당 상품을 용이하게 찾을 수 있을 뿐 아니라, 해당 상품의 정보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B2B 운용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장착된 제품으로부터 생성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마트 등의 마케팅에 활용함으로써 B2B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B2B 운용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B2B 운용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과 B2B 운용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는, 신발에 형성될 수 있으며, 신발의 깔창에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가 신발에 형성된 일례를 제시하고 있으나, 사람이 착용 및 부착하는 모든 상품에 적용될 수 있으며, 웨어러블 디바이스(1)가 적용되는 상품의 특징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정보를 이용하여 B2B에 연계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는, 압력에 대응하여 압력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압력감지센서와, 압력감지신호를 전송 제어 처리함과 아울러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입력된 입력신호를 전송 제어 처리하는 마이컴과, 압력감지신호 또는 입력신호를 스마트폰(2)으로 송수신하는 근거리통신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근거리통신부로는 NFC 모듈을 이용할 수 있으며, 근거리통신부로 NFC 모듈을 이용할 경우, 마이컴은 스마트폰(2)으로 압력감지신호 또는 입력신호를 전송하는 블루투스 모듈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웨어러블 디바이스(1)는, 신발에 적용되어 사용자의 운동정보를 생성한다. 즉, 사용자의 보행 및 운동 등에 대응하여 생성된 압력감지신호를 스마트폰(2)으로 전송하여 스마트폰(2)에서 대응제어(식단안내, 마트안내 등)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마트에 설치된 NFC 모듈로부터 입력된 입력신호를 근거리통신부를 통해 수신하여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스마트폰(2)으로 전송하여 마트에 진열된 상품정보를 확인하거나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스마트폰(2)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의 근거리통신부를 통해 전송된 압력감지신호 또는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근거리통신부와, 압력감지신호에 대응하여 운동정보, 식단정보, 상품정보, 마트정보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며, 입력신호에 대응하여 상품정보 및 위치정보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제어부와, 운동정보, 식단정보, 상품정보, 마트정보, 위치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와, 운동정보, 식단정보, 상품정보, 마트정보, 위치정보 각각에 대해 외부 서버와 송수신하는 통신부와, 입출력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스마트폰(2)은, 압력감지신호가 수신되는 것에 대응하여 운동정보를 생성하거나 외부 서버로 전송하여 분석을 요청하여 운동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고, 또한 식단정보도 출력한다. 그리고, 식단정보에 대응하는 상품정보(식자재, 음식) 및 해당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마트정보도 출력한다. 이후, 마트를 방문하여 해당 상품을 찾을 경우, 신발에 설치된 근거리통신부(NFC 모듈)와 마트에 설치된 NFC 모듈을 통해 위치정보를 스마트폰(2)을 통해 제공하며, 또한 해당 상품의 위치를 스마트폰(2)을 통해 안내한다. 그리고, 신발을 해당 상품에 근접시키면, NFC 모듈간 통신에 의해 상품정보가 스마트폰(2)으로 수신되고, 스마트폰(2)과 마트서버(4)간 연동을 통해 해당 상품정보를 스마트폰(2)에서 수신하여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에 착용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와, 웨어러블 디바이스(1)와 근거리통신을 수행하며, 이동통신망 및 인터넷망에 접속가능한 스마트폰(2)과, 웨어러블 디바이스(1) 및 스마트폰(2)을 등록하고, 스마트폰(2)에서 전송된 정보에 대응하여 운동정보, 식단정보, 상품정보, 마트정보, 위치정보 등을 스마트폰(2)으로 전송하는 서비스서버(3)와, 상품정보, 마트정보, 위치정보를 서비스서버(3) 또는 스마트폰(2)으로 제공하는 마트서버(4)를 포함한다.
여기에, 본 발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은, 운동정보에 대응하여 식단정보를 생성하여 서비스서버(3) 또는 스마트폰(2)으로 전송하는 식단안내서버(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를 장착한 상태에서 근거리통신을 통해 압력감지신호가 스마트폰(2)으로 전송되면, 스마트폰(2)에서는 서비스서버(3)로 압력감지신호를 전송한다. 이에 압력감지신호에 대한 분석을 통해 운동정보, 식단정보, 상품정보, 마트정보, 위치정보 등을 생성하여 스마트폰(2)으로 전송한다. 물론, 스마트폰(2)에 설치된 앱(App)을 통해 운동정보, 식단정보, 상품정보, 마트정보, 위치정보 등을 얻을 수도 있을 것이다. 이 때, 식단정보는 식단안내서버(5)를 통해 얻을 수 있으며, 또한 상품정보, 마트정보, 위치정보는 마트서버(4)를 통해 얻을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들은 서비스서버(3)를 경유하거나 스마트폰(2)에서 직접 얻을 수 있다.
그러면, 여기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시스템을 이용한 본 발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서비스서버(3)는 마트서버(4)로부터 상품정보(식자재, 음식), 해당 마트정보, 위치정보(마트위치, 상품위치)를 데이터베이스화시킨다(S1).
사용자의 보행 및 운동 등에 대응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1)에서 압력감지신호가 생성되고(S2), 압력감지신호는 근거리통신을 통해 스마트폰(2)으로 전송된다(S3). 이 때, 스마트폰(2)에 앱(App)이 설치된 경우에는 운동정보, 식단정보, 상품정보, 마트정보, 위치정보 등을 생성 및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서비스서버(3)를 경유하여 처리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스마트폰(2)에서 압력감지신호에 대응한 정보를 서비스서버(3)로 전송한다(S4).
이에 서비스서버(3)에서는 압력감지신호를 분석하여 운동정보 및 식단정보를 생성한다(S5). 이 때, 식단정보는 서비스서버(3)에서 제공된 운동정보에 근거하여 식단안내서버(5)에서 생성한 식단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을 것이다.
서비스서버(3)는 운동정보와 식단정보를 스마트폰(2)으로 전송한다(S6).
운동정보와 식단정보를 스마트폰(2)을 통해 확인하고, 사용자가 식단정보에 대응하는 상품정보(식자재, 음식) 및 마트정보를 서비스서버(3)로 요청하면(S7), 서비스서버(3)에서는 스마트폰(2)으로 상품정보, 해당 마트정보, 위치정보를 전송한다(S8).
한편, 스마트폰(2) 사용자가 마트를 방문하면, 신발에 장착된 근거리통신부는 마트에 설치된 NFC 모듈로부터 입력신호를 수신한다(S9). 마트에 설치된 NFC 모듈은 입구 뿐 아니라 이동 경로, 각 상품 등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위치정보 및 상품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근거리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입력신호는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스마트폰(2)으로 전송한다(S10).
스마트폰(2)에서는 입력신호를 마트서버(4)로 전송하고(S11), 이에 마트서버(4)에서는 입력신호에 대응하여 해당 상품정보와 위치정보를 스마트폰(2)으로 전송한다(S12).
이에 스마트폰(2)에서 네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네비게이션은 서비스서버(3)로부터 제공된 사용자정보로부터 상품정보(식자재, 음식)에 대응하여 최단 거리를 안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B2B 운용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B2B 운용 시스템은, 사용자에 착용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와, 웨어러블 디바이스(1)와 근거리통신을 수행하며, 이동통신망 및 인터넷망에 접속가능한 스마트폰(2)과, 웨어러블 디바이스(1)가 포함된 신발정보를 서비스서버(3)로 전송하는 신발제조사 서버(6)와, 식자재 및 음식정보를 서비스서버(3)로 전송하는 식단안내서버(5)와, 상품정보를 서비스서버(3)로 전송하는 마트서버(4)와, 신발정보, 식자재 및 음식정보, 상품정보를 공유하여 거래를 중재하는 서비스서버(3)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B2B 운용 시스템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가 장착된 신발과 관련되어 신발제조사, 식자재 및 음식 제공사, 마트를 연계시켜 B2B 활성화를 이룰 수 있다. 즉, 신발에 장착된 웨어러블 디바이스(1)로부터 출력된 압력감지신호로부터 생성된 운동정보, 식단정보, 상품정보, 마트정보, 위치정보를 서비스서버(3)에서 신발제조사, 식자재 및 음식 제공사, 마트에서 공유하도록 하여 기업간 거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신발제조사, 식자재 및 음식 제공사는 마트에서 요구하는 상품을 납품하고, 마트에서는 필요한 상품을 신발제조사, 식자재 및 음식 제공사에 요청하여 기업간 거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러면, 여기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시스템을 이용한 본 발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B2B 운용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B2B 운용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제시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신발을 구입해야 하므로 해당 마트측에서는 이러한 신발의 유용성을 판단하여 신발제조사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가 장착된 신발을 주문하게 될 것이다(S21).
이에 신발제조사에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가 장착된 신발을 마트에 납품할 수 있을 것이다(S22).
이를 통해 서비스서버(3)에서 운동정보를 생성하면(S23), 이를 식단안내서버(5)로 전송한다(S24).
이에 식단안내서버(5)에서는 식단정보를 생성하여(S25) 서비스서버(3)로 전송함과 아울러, 마트서버(4)로 전송한다(S26).
마트에서는 식단정보에 근거하여 필요한 상품을 확인하고, 이를 식단안내서버(5)로 전송한다(S27).
이에 식단안내서버(5)에서는 마트로 해당 상품의 납품이 이루어질 수 있다(S28).
이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1)가 장착된 신발을 통해 다양한 방면으로 B2B가 활성화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신발의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형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에 대하여 다양한 B2B 활성화가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몇 가지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1 : 웨어러블 디바이스 2 : 스마트폰
3 : 서비스서버 4 : 마트서버
5 : 식단안내서버 6 : 신발제조사 서버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사용자에 착용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근거리통신을 수행하며, 이동통신망 및 인터넷망에 접속가능한 스마트폰;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스마트폰을 등록하고, 상기 스마트폰에서 전송된 정보에 대응하여 운동정보, 식단정보, 상품정보, 마트정보, 마트위치정보 및 상품위치 정보를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서비스서버;
    상기 상품정보, 마트정보, 마트위치정보 및 상품위치 정보를 서비스서버 또는 스마트폰으로 제공하는 마트서버; 및
    상기 서비스서버에서 제공된 운동정보에 대응하여 식단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서비스서버 또는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식단안내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6. 삭제
  7. 서비스서버가 마트서버로부터 상품정보, 해당 마트정보, 마트위치정보 및 상품위치정보를 제공받아 데이터베이스화시키는 단계;
    사용자의 보행 및 운동에 대응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압력감지신호가 생성되어 근거리통신을 통해 스마트폰으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스마트폰에서 압력감지신호에 대응한 정보를 서비스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서버에서 압력감지신호를 분석하여 운동정보 및 식단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식단정보에 대응하는 상품정보 및 마트정보를 서비스서버로 요청하는 것에 대응하여 서비스서버에서 상품정보, 해당 마트정보, 마트위치정보 및 상품위치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마트 방문 후, 신발에 장착된 근거리통신부는 마트에 설치된 NFC 모듈로부터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입력신호가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스마트폰으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스마트폰에서는 입력신호를 마트서버로 전송하는 것에 대응하여 마트서버에서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한 해당 상품정보와 위치정보를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폰에서 네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9. 삭제
  10. 삭제
KR1020160015612A 2016-02-11 2016-02-11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811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5612A KR101811840B1 (ko) 2016-02-11 2016-02-11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5612A KR101811840B1 (ko) 2016-02-11 2016-02-11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4810A KR20170094810A (ko) 2017-08-22
KR101811840B1 true KR101811840B1 (ko) 2017-12-26

Family

ID=59757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5612A KR101811840B1 (ko) 2016-02-11 2016-02-11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18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0772B1 (ko) * 2018-01-29 2020-07-06 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딥러닝을 이용한 음식인식 및 식단관리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68877A (ja) * 2006-05-22 2006-10-05 Kyocera Corp ナビゲーション情報提供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68877A (ja) * 2006-05-22 2006-10-05 Kyocera Corp ナビゲーション情報提供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4810A (ko) 2017-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95007B1 (en) Health monitoring and communications device
US11150828B2 (en) Device configured for dynamic software change
US20140273857A1 (en) Systems and methods to secure short-range proximity signals
US10653359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walking path guidance service based on measurement of motion of user
US20170103166A1 (en) Wearable device for providing service according to measurement of blood alcohol level and management server therefor
CA2953125C (en) Computing distances of devices
CN106462825A (zh) 数据网格平台
CN104737082A (zh) 基于可穿戴传感器的推荐
US1050257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a route traversed by a portable device
CN109767281B (zh) 信息提供装置及控制方法
US20160117726A1 (en) Tracking, storing, and analyzing abandonment pattern data to improve marketing tools available on a network-based e-commerce system
US2017016944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consumer analytics
CN108305143A (zh) 电子设备和使用该电子设备的电子购买方法
US20140019254A1 (en) Location-based data procurement
KR102453807B1 (ko) 사용자 움직임 측정에 따른 보행 경로 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26210A (ko) 리타게팅 광고 상품 추천 사용자 장치와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광고 상품 추천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WO2014199971A1 (ja) 特典付与システム、サーバ装置及び特典付与方法
KR101811840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WO2018131222A1 (ja)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サーバ、及び情報提供方法
KR20170049219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결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결제 정보 제공 방법
US20220077885A1 (en) Health, wellness and activity monitor
KR102211924B1 (ko) 근거리에서의 게임 아이템 교환 장치 및 방법
JP2022140656A (ja)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提供方法、及び情報提供プログラム
KR20170048922A (ko) 오프라인 매장의 회원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02915A (ko) 신발,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