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2915A - 신발,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신발,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2915A
KR20170002915A KR1020150092853A KR20150092853A KR20170002915A KR 20170002915 A KR20170002915 A KR 20170002915A KR 1020150092853 A KR1020150092853 A KR 1020150092853A KR 20150092853 A KR20150092853 A KR 20150092853A KR 20170002915 A KR20170002915 A KR 201700029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fitting
foot
outsole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2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동규
신승용
가호경
안현진
김재동
이학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2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2915A/ko
Publication of KR20170002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9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A43B3/0005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nt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에서 센싱된 신호에 기초하여, 신발 피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신발,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와, 신발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커뮤니케이션부와, 수신된 입력 신호를 토대로, 신발의 갑피에 대한 제 1 피팅(fitting) 정보, 신발의 인솔(insole)에 대한 제 2 피팅 정보, 그리고 신발의 아웃솔(outsole)에 대한 제 3 피팅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제 1, 제 2, 제 3 피팅 정보에 대한 신발 피팅 평가 정보를 생성하여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신발,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A SHOES, A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신발에서 센싱된 신호에 기초하여, 신발 피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신발,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한편, 기존에는 신발을 구매할 때, 신발의 제조 회사 및 제품 종류마다 크기가 달라서 신발 구매자가 신발을 직접 착용하여 구매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신발 착용시, 편안함을 느끼는 정도가 개인마다 다르고, 객관적인 피팅 수치가 정해지지 않으므로, 신발 구매자에게 신발 추천에 대한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향후, 객관화된 신발 피팅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는 단말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신발에서 센싱된 신호에 기초하여, 신발 피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신발,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산출된 신발 피팅 정보를 미리 설정된 피팅 기준값과 비교하여 자동으로 신발 피팅 평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신발,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객관적인 신발 피팅 평가 정보와 주관적인 사용자 평가 정보를 모두 포함하여 최적의 신발 피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신발,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신발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와, 신발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커뮤니케이션부와, 수신된 입력 신호를 토대로, 신발의 갑피에 대한 제 1 피팅(fitting) 정보, 신발의 인솔(insole)에 대한 제 2 피팅 정보, 그리고 신발의 아웃솔(outsole)에 대한 제 3 피팅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제 1, 제 2, 제 3 피팅 정보에 대한 신발 피팅 평가 정보를 생성하여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갑피, 인솔 및 아웃솔을 포함하는 신발에 있어서, 갑피로부터 제 1 입력 신호를 센싱하는 제 1 센싱부와, 인솔로부터 제 2 입력 신호를 센싱하는 제 2 센싱부와, 아웃솔로부터 제 3 입력 신호를 센싱하는 제 3 센싱부와, 제 1, 제 2, 제 3 입력 신호를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커뮤니케이션부와,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신발 피팅 정보 요청 신호에 따라, 센싱되는 제 1, 제 2, 제 3 입력 신호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 1, 제 2, 제 3 센싱부 및 커뮤니케이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신발을 제공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신발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신발 피팅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사용자 피팅 신발에 대한 피팅 기준값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피팅 기준값이 존재하면, 신발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입력 신호와 피팅 기준값를 토대로, 신발의 갑피에 대한 제 1 피팅 정보, 신발의 인솔에 대한 제 2 피팅 정보, 그리고 신발의 아웃솔에 대한 제 3 피팅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와, 산출된 제 1, 제 2, 제 3 피팅 정보에 대한 신발 피팅 평가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와, 신발 피팅 평가 정보에 대한 사용자 평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획득한 사용자 평가 정보와 상기 신발 피팅 평가 정보를 포함하는 신발 피팅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신발,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신발에서 센싱된 신호에 기초하여, 신발 피팅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온라인상으로도 적합한 신발을 구매할 수 있고, 신발 구매자에게 적합한 신발을 추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산출된 신발 피팅 정보를 미리 설정된 피팅 기준값과 비교하여 자동으로 신발 피팅 평가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개인의 활동 패턴에 편안한 신발을 확보하여 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객관적인 신발 피팅 평가 정보와 주관적인 사용자 평가 정보를 모두 포함하여 최적의 신발 피팅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개인이 느끼는 편안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신발 구매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의족이나 하이힐과 같은, 높낮이 조절이 필요한 신발을 구매하는데, 편리하게 이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신발에 배치된 센서 구동을, 발의 동작 패턴에 따라, 제어할 수 있어,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신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신발을 분해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갑피에 배치되는 센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인솔에 배치되는 센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아웃솔에 배치되는 센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신발과 이동 단말기의 연결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신발 피팅 평가 정보를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 내지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신발 피팅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신발 피팅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신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신발(100)은, 센싱부(110), 커뮤니케이션부(120), 제어부(130) 및 저장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은 스마트 신발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스마트 신발은 상술한 구성 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센싱부(110)는 사용자의 다양한 입력 및 신발의 환경을 센싱하여, 제어부(130)가 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센싱 결과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센싱부(110)는 신발 내 정보, 신발을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10)는 이동 단말기의 센싱부와 달리, 발을 통해 센싱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센싱부(110)는 신장 센서, 압력 센서, 모션 센서, 기압 센서, PPG(photoplethysmogram) 센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압력 센서와 모션 센서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먼저, 모션 센서는 신발의 움직임을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션 센서는 자이로 센서 및 가속도 센서 등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는 각속도를 검출하여, 신발의 기울기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가속도 센서는 신발의 움직이는 방향과 가속도를 센싱할 수 있다. 압력 센서는 신발에 가해지는 압력을 센싱하는 장치이고, 기압 센서는 기압의 변화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현재 위치의 높이를 센싱할 수 있다. PPG 센서는 광센서를 이용하여 빛의 투과량을 측정하여 심장 박동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신장 센서(strain gage)는 신발의 움직임에 따른 신발의 변형률을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본 발명의 센싱부(110)는, 제 1, 제 2, 제 3 센싱부(112, 114, 11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센싱부(112)는, 신발의 갑피로부터 제 1 입력 신호를 센싱하고, 제 2 센싱부(114)는, 신발의 인솔로부터 제 2 입력 신호를 센싱하며, 제 3 센싱부(116)는, 신발의 아웃솔로부터 제 3 입력 신호를 센싱할 수 있다.
일 예로, 제 1 입력 신호는, 걸음에 따른 갑피의 가속도를 포함하는 제 1 센싱 신호, 걸음에 따른 갑피의 변형률을 포함하는 제 2 센싱 신호, 그리고 발과 갑피와의 접촉 횟수를 포함하는 제 3 센싱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제 3 센싱 신호는, 발의 측면과 갑피와의 접촉 횟수를 포함하는 제 1 신호, 발의 새끼 발가락과 갑피와의 접촉 횟수를 포함하는 제 2 신호, 및 발의 엄지 발가락과 갑피와의 접촉 횟수를 포함하는 제 3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도 있다.
그리고, 제 2 입력 신호는, 발 동작 패턴에 따른 발 부위별 충격량을 포함하는 제 4 센싱 신호와, 발 동작 패턴에 따른 가속도를 포함하는 제 5 센싱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어, 제 3 입력 신호는, 수직 압력이 발생하는 동안에, 아웃솔의 미끄러짐에 따른 가속도를 포함하는 제 6 센싱 신호일 수 있다. 여기서, 제 6 센싱 신호는, 아웃솔의 발 뒷꿈치 영역의 미끄러짐에 따른 제 1 가속도, 아웃솔의 발 아치 영역의 미끄러짐에 따른 제 2 가속도, 아웃솔의 발 앞바닥 영역의 미끄러짐에 따른 제 3 가속도, 아웃솔의 발가락 영역의 미끄러짐에 따른 제 4 가속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 1 센싱부(112)는, 가속도 센서, 신장 센서, 및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속도 센서는, 갑피 후단 하부에 배치되어, 걸음에 따른 갑피의 가속도를 센싱할 수 있고, 신장 센서는, 갑피 전단 상부에 배치되어, 걸음에 따른 갑피의 변형률을 센싱할 수 있으며, 압력 센서는, 갑피 전단 측부에 배치되어, 발과 갑피와의 접촉 횟수를 센싱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센싱부(114)는, 인솔의 전방부, 중앙부, 후방부에 각각 배치되어, 발 동작 패턴에 따른 발 부위별 충격량을 센싱하는 다수의 압력 센서들과, 인솔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발 동작 패턴에 따른 가속도를 센싱하는 가속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 제 3 센싱부(116)는, 아웃솔의 발 뒷꿈치 영역에 배치되어, 아웃솔의 발 뒷꿈치 영역의 미끄러짐에 따른 제 1 가속도를 센싱하는 제 1 가속도 센서와, 아웃솔의 발 아치 영역에 배치되어, 아웃솔의 발 아치 영역의 미끄러짐에 따른 제 2 가속도를 센싱하는 제 2 가속도 센서와, 아웃솔의 발 앞바닥 영역에 배치되어, 아웃솔의 발 앞바닥 영역의 미끄러짐에 따른 제 3 가속도를 센싱하는 제 3 가속도 센서와, 아웃솔의 발가락 영역에 배치되어, 아웃솔의 발가락 영역의 미끄러짐에 따른 제 4 가속도를 센싱하는 제 4 가속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커뮤니케이션부(120)는, 이동 단말기, 외부 디바이스와 다양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커뮤니케이션부(12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컨텐츠 등의 디지털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뮤니케이션부(120)는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위치 정보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WiBro, HSDPA, HSUPA, GSM, CDMA, WCDMA, LTE, LTE-A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신발과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신발과 다른 신발 사이, 또는 신발과 다른 신발이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은 신발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신발은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신발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신발은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신발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 모듈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신발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커뮤니케이션부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은 신발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신발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 실시예로서, 커뮤니케이션부(120)는 신발에서 센싱된 입력 신호를 이동 단말기 또는 외부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로서, 커뮤니케이션부(120)는 이동 단말기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틱 모듈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130)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햅틱 모듈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c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햅틱 모듈은 사용자에게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신발(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부(140)는 신발(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신발(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센싱부(110)로부터 센싱된 제 1, 제 2, 제 3 입력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제어부(130)는 스마트 신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신발 피팅 정보 요청 신호에 따라, 센싱되는 제 1, 제 2, 제 3 입력 신호를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 1, 제 2, 제 3 센싱부(112, 114, 116) 및 커뮤니케이션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어부(130)는,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센싱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30)는, 압력 센서 구동시, 가속도 센서에 인가되는 구동 전류를 최소화하도록 제어하고, 가속도 센서 구동시, 가속도 센서의 센싱값에 따라, 일부 압력 센서만 구동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스마트 신발의 구동시, 모든 센서들을 동시에 구동시키지 않고, 발 동작 패턴에 따라, 필수적으로 구동해야 하는 센서들만 선별적으로 구동시킴으로써,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신발(100)은 전원 공급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는 제어부(13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신발(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 공급부는 배터리를 포함하고,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전원 공급부는 연결포트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예로서, 전원 공급부는 무선 방식으로 배터리를 충적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원 공급부는 외부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로부터 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 방식이나 전자기적 공진 현상에 기초한 공진 결합(Magnetic Resonance Coupling)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신발(100)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발(100)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 방법은 저장부(14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해 신발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신발에서 수행하는 동작들은 제어부(13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편의를 위해, 도면 및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러한 동작들을 통칭하여 신발이 수행/제어하는 것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신발을 분해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신발(200)은, 갑피(210), 인솔(220) 및 아웃솔(230)을 포함할 수 있다.
갑피(210)는, 사용자의 발등을 보호하고, 신발 내부의 습기 제거를 위해 공기가 통하고 방수가 가능한 재질로 구성되어, 사용자 발의 편안한 접촉감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갑피(210)는, 갑피의 변형률에 대한 피팅 평가도와, 발과 갑피와의 접촉에 따른 갑피의 크기에 대한 피팅 평가도에 따라, 편안함 정도가 결정될 수 있다.
인솔(220)은, 신발의 내부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발바닥에 편안함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인솔(220)은, 사용자의 발 사이즈에 기초하여 다양한 사이즈로 제작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발바닥과 인솔(220)은, 맞닿게 제작된다. 따라서, 인솔(220)은, 발 동작 패턴에 따른 최대 충격량과, 최대 충격량의 도달 횟수에 따른 피로도에 따라, 편안함 정도가 결정될 수 있다.
아웃솔(230)은, 신발의 외부에 구비되어, 신발 전체의 충격을 완화하여 편안함을 증가시키고 피로감을 줄일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아웃솔(230)은, 아웃솔의 미끄러짐에 대한 피팅 평가도에 따라, 편안함 정도가 결정될 수 있고, 아웃솔의 교체 주기가 결정될 수도 있다.
도 3은 도 2의 갑피에 배치되는 센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의 갑피(210)는, 신발 피팅시, 갑피에 대한 편안한 느낌을 수치적으로 산출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들을 센싱하기 위한 다수의 센서들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갑피(210)는, 가속도 센서(310), 신장 센서(320) 및 압력 센서(33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가속도 센서(310)는, 갑피(210) 후단 하부에 배치되어, 걸음에 따른 갑피의 가속도를 센싱할 수 있다. 그리고, 신장 센서(320)는, 갑피(210) 전단 상부에 배치되어, 걸음에 따른 갑피의 변형률을 센싱할 수 있다. 이어, 압력 센서(330)는, 갑피(210) 전단 측부에 배치되어, 발과 갑피와의 접촉 횟수를 센싱할 수 있다. 여기서, 압력 센서(330)는, 발의 측면과 갑피와의 접촉 횟수를 센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압력 센서(332), 발의 새끼 발가락과 갑피와의 접촉 횟수를 센싱하는 제 2 압력 센서(334), 발의 엄지 발가락과 갑피와의 접촉 횟수를 센싱하는 제 3 압력 센서(336)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갑피(210)의 신장 센서(320)는, n번의 걸음 동안, 갑피의 변형 각도 β를 센싱하여, 걸음에 따른 갑피의 변형률을 측정할 수 있다. 갑피(210)의 가속도 센서(310)는, n번의 걸음 동안, 지면과 갑피의 하부면 사이의 각도 α를 센싱하여, 걸음에 따른 갑피의 가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는, 갑피(210)로부터, 갑피의 변형율과 갑피의 가속도를 수신하면, 이를 이용하여, n번의 걸음 동안, 가속도에 대한 갑피의 변형률을 측정하여, 갑피의 변형률에 대한 제 1 피팅 평가도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갑피(210)의 압력 센서(330)는, 갑피(210)의 내부에 배치되어, 발과 갑피(210)와의 접촉 횟수 및 접촉 시간 등을 센싱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는, 갑피(210)의 압력 센서(330)로부터, 발과 갑피와의 접촉 횟수를 수신하면, 이를 이용하여, n번의 걸음 동안, 발과 갑피와의 접촉 횟수를 토대로, 갑피의 크기에 대한 제 2 피팅 평가도를 산출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인솔에 배치되는 센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의 인솔(220)은, 서기, 걷기, 뛰기 등과 같은 발 동작 패턴에 따른 최대 충격량과, 최대 충격량에 따른 피로도를 수치적으로 산출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들을 센싱하기 위한 다수의 센서들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인솔(220)은, 다수의 압력 센서(410)와 가속도 센서(420)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다수의 압력 센서(410)는, 인솔(220)의 전방부(222), 중앙부(224), 후방부(226)에 각각 배치되어, 발 동작 패턴에 따른 발 부위별 충격량을 센싱할 수 있다. 일 예로, 다수의 압력 센서(410)는, 인솔(220)의 전방부(222)에 배치되는 5개의 압력 센서(411 - 415)와, 인솔(220)의 중앙부(224)에 배치되는 1개의 압력 센서(416)와, 인솔(220)의 후방부(226)에 배치되는 2개의 압력 센서(417 - 418)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가속도 센서(420)는, 인솔(220)의 중앙부(224)에 배치되어, 발 동작 패턴에 따른 가속도를 센싱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는, 압력 센서(410) 구동시, 가속도 센서(420)에 인가되는 구동 전류를 최소화하고, 가속도 센서(410) 구동시, 가속도 센서(420)의 센싱값에 따라, 일부 압력 센서(410)만 구동시킴으로써,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솔(220)의 압력 센서(410)와 가속도 센서(420)는, 발 동작 패턴에 따른 발 부위별 충격량과, 발 동작 패턴에 따른 가속도를 센싱하고, 이동 단말기는, 인솔(220)로부터, 발 동작 패턴에 따른 발 부위별 충격량과, 발 동작 패턴에 따른 가속도를 수신하면, 이를 이용하여, 일정 시간, 발 동작 패턴에 따른 최대 충격량의 도달 횟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발 동작 패턴에 따른 최대 충격량의 도달 횟수로부터, 발 부위별로 최대 충격량의 도달 횟수를 분류하여, 발 부위에 따른 피로도를 수치적으로 산출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아웃솔에 배치되는 센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의 아웃솔(230)은, 서기, 걷기, 뛰기 등과 같은 발 동작 패턴에서, 수직 압력이 발생하는 동안, 미끄러짐 정도 및 교체 주기를 수치적으로 산출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들을 센싱하기 위한 다수의 센서들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아웃솔(230)은, 수직 압력이 발생하는 동안에, 아웃솔(230)의 미끄러짐에 따른 가속도를 센싱하기 위한 다수의 가속도 센서(510)들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다수의 가속도 센서(510)는, 아웃솔(230)의 발 뒷꿈치 영역(232)에 배치되는 제 1 가속도 센서(512), 아웃솔(230)의 발 아치 영역(234)에 배치되는 제 2 가속도 센서(514), 아웃솔(230)의 발 앞바닥 영역(236)에 배치되는 제 3 가속도 센서(516), 그리고 아웃솔(230)의 발가락 영역(238)에 배치되는 제 4 가속도 센서(518)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가속도 센서(512)는, 아웃솔(230)의 발 뒷꿈치 영역(232)의 미끄러짐(a)에 따른 제 1 가속도를 센싱하고, 제 2 가속도 센서(514)는, 아웃솔(230)의 발 아치 영역(234)의 미끄러짐(b)에 따른 제 2 가속도를 센싱하며, 제 3 가속도 센서(516)는, 아웃솔(230)의 발 앞바닥 영역(236)의 미끄러짐(c)에 따른 제 3 가속도를 센싱하고, 제 4 가속도 센서(518)는, 아웃솔(230)의 발가락 영역(238)의 미끄러짐(d)에 따른 제 4 가속도를 센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아웃솔(230)의 가속도 센서(510)들은, 수직 압력이 발생하는 동안에, 아웃솔 각 부위별로 미끄러짐에 따른 가속도를 센싱하고, 이동 단말기는, 아웃솔(230)로부터 미끄러짐에 따른 가속도를 수신하면, n번의 걸음 동안, 아웃솔(230)의 최대 미끄러짐 횟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최대 미끄러짐 횟수로부터, 아웃솔(230)의 영역별로 최대 미끄러짐 횟수를 분류하여, 아웃솔(230)의 미끄러짐에 대한 피팅 평가도를 산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600)는, 디스플레이부(610), 커뮤니케이션부(620), 제어부(630) 및 저장부(6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은 이동 단말기(6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600)는 상술한 구성 요소들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 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610)는 이동 단말기(6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610)는 이동 단말기(6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디스플레이부(610)는, 신발에서 센싱된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되는 기 설정된 기능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600)는, 센싱부를 포함할 수 있는데, 센싱부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는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 마이크로폰(microphone),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커뮤니케이션부(620)는,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위치 정보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6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WiBro, HSDPA, HSUPA, GSM, CDMA, WCDMA, LTE, LTE-A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이동 단말기(6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200)와 다른 이동 단말기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600)와 다른 이동 단말기(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이동 단말기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6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가 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이동 단말기(600) 주변에, 상기 이동 단말기(600)와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630)는 상기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6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이동 단말기(6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6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600)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이동 단말기(600)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치정보 모듈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이동 단말기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 모듈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커뮤니케이션부(620)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 실시예로서, 커뮤니케이션부(620)는, 신발 또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커뮤니케이션부(620)는, 신발 또는 외부 디바이스에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640)는, 이동 단말기(6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부(640)는, 이동 단말기(6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6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6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6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저장부(64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6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63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저장부(64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6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저장부(64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로, 저장부(640)는, 신발로부터 수신된 입력 신호로부터 신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640)는, 사용자 피팅 신발의 갑피에 대한 제 1 피팅 기준값, 사용자 피팅 신발의 인솔에 대한 제 2 피팅 기준값, 그리고 사용자 피팅 신발의 아웃솔에 대한 제 3 피팅 기준값을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640)는, 신발로부터 수신된 입력 신호를 토대로, 산출되는, 신발 피팅 평가 정보와 사용자 평가 정보를 포함하는 신발 피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630)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6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63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저장부(64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30)는 저장부(64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에서 상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63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6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어부(630)는, 수신된 입력 신호를 토대로, 신발의 갑피에 대한 제 1 피팅(fitting) 정보, 신발의 인솔(insole)에 대한 제 2 피팅 정보, 그리고 신발의 아웃솔(outsole)에 대한 제 3 피팅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제 1, 제 2, 제 3 피팅 정보에 대한 신발 피팅 평가 정보를 생성하여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61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630)는, 신발의 갑피로부터 제 1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제 1 입력 신호를 토대로, 갑피의 변형률에 대한 제 1 피팅 평가도와, 갑피의 크기에 대한 제 2 피팅 평가도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입력 신호는, 걸음에 따른 갑피의 가속도를 포함하는 제 1 센싱 신호, 걸음에 따른 갑피의 변형률을 포함하는 제 2 센싱 신호, 그리고 발과 갑피와의 접촉 횟수를 포함하는 제 3 센싱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630)는, n번의 걸음 동안, 가속도에 대한 갑피의 변형률을 측정하여, 갑피의 변형률에 대한 제 1 피팅 평가도를 산출하고, 번의 걸음 동안, 발과 갑피와의 접촉 횟수를 측정하여, 갑피의 크기에 대한 제 2 피팅 평가도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30)는, 신발의 인솔로부터 제 2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제 2 입력 신호를 토대로, 발 동작 패턴에 따른 최대 충격량과, 상기 최대 충격량의 도달 횟수에 따른 피로도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입력 신호는, 발 동작 패턴에 따른 발 부위별 충격량을 포함하는 제 4 센싱 신호와, 발 동작 패턴에 따른 가속도를 포함하는 제 5 센싱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630)는, 일정 시간 동안, 발 동작 패턴에 따른 최대 충격량의 도달 횟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발 동작 패턴에 따른 최대 충격량의 도달 횟수로부터, 발 부위별로 최대 충격량의 도달 횟수를 분류하여, 발 부위에 따른 피로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어, 제어부(630)는, 신발의 아웃솔로부터 제 3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제 3 입력 신호를 토대로, 아웃솔의 미끄러짐에 대한 피팅 평가도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 3 입력 신호는, 수직 압력이 발생하는 동안에, 아웃솔의 미끄러짐에 따른 가속도를 포함하는 제 6 센싱 신호일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630)는, n번의 걸음 동안, 아웃솔의 최대 미끄러짐 횟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최대 미끄러짐 횟수로부터, 아웃솔의 영역별로 최대 미끄러짐 횟수를 분류하여, 아웃솔의 미끄러짐에 대한 피팅 평가도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저장부(64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이동 단말기가 수행하는 동작들은 제어부(63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편의를 위해, 도면 및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러한 동작들을 통칭하여 이동 단말기가 수행/제어하는 것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신발과 이동 단말기의 연결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신발(710)은, 갑피(711), 인솔(712) 및 아웃솔(713)을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신발(710)은, 갑피(710)로부터 제 1 입력 신호를 센싱하는 제 1 센싱부, 인솔(712)로부터 제 2 입력 신호를 센싱하는 제 2 센싱부, 그리고 아웃솔(713)로부터 제 3 입력 신호를 센싱하는 제 3 센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센싱부들은, 스마트 신발(710) 이외에도, 피팅용 의족(720)과 피팅용 하이힐(730)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는, 스마트 폰(810), 스마트 워치(820) 및 노트북(8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는, 신발의 갑피로부터 제 1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제 1 입력 신호를 토대로, 갑피의 변형률에 대한 제 1 피팅 평가도와, 갑피의 크기에 대한 제 2 피팅 평가도를 산출하고, 신발의 인솔로부터 제 2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제 2 입력 신호를 토대로, 발 동작 패턴에 따른 최대 충격량과, 최대 충격량의 도달 횟수에 따른 피로도를 산출하며, 신발의 아웃솔로부터 제 3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제 3 입력 신호를 토대로, 아웃솔의 미끄러짐에 대한 피팅 평가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는, 이들을 토대로, 신발 피팅 평가 정보를 생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신발과 이동 단말기는, 입력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페어링은 신발 및 이동 단말기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연결을 나타낸다. 페어링을 수행하는 경우, 신발 및 이동 단말기는, 통신 접속을 수행하여, 양방향으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다. 페어링은 블루투스,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는, 신발로부터 수신된 입력 신호를 토대로, 산출되는, 신발 피팅 평가 정보와 사용자 평가 정보를 포함하는 신발 피팅 정보를 저장하고, 외부 서버(900)에 전송하여 신발 피팅 정보를 제공 및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서버(900)로부터 신발 피팅 정보의 산출을 위하여, 필요한 정보들을 수집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 이동 단말기는, 외부 서버(900)와 페어링을 수행하거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외부 서버(900)는, 맞춤형 신발 제조업체, 의족 제조업체 등의 서버일 수도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신발 피팅 정보 요청이 있으면, 미리 저장되거나 설정된 사용자 피팅 신발에 대한 피팅 기준값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고, 피팅 기준값이 존재하면, 신발과 페이링을 수행하여 신발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는, 수신된 입력 신호와 피팅 기준값를 토대로, 신발의 갑피에 대한 제 1 피팅 정보, 신발의 인솔에 대한 제 2 피팅 정보, 그리고 신발의 아웃솔에 대한 제 3 피팅 정보를 산출한 후, 산출된 제 1, 제 2, 제 3 피팅 정보에 대한 신발 피팅 평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어, 이동 단말기는, 신발 피팅 평가 정보에 대한 사용자 평가 정보를 획득한 다음, 획득한 사용자 평가 정보와 신발 피팅 평가 정보를 포함하는 신발 피팅 정보를 저장하고, 외부 서버(9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신발 피팅 평가 정보를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신발의 갑피에 대한 편안함 관련 피팅 평가도를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 내지 도 13은 신발의 인솔에 대한 피로도 관련 피팅 평가도를 산출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4 내지 도 16은 신발의 아웃솔에 대한 미끄러짐 관련 피팅 평가도를 산출하기 위한 도면이다.
신발의 갑피에 대한 편안함 관련 피팅 평가도는, 도 8과 같이, 갑피(1000)의 변형률에 대한 제 1 피팅 평가도와, 도 9 및 도 10과 같이, 갑피(1100)의 크기에 대한 제 2 피팅 평가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는, 도 8과 같이, 신발의 갑피(1000)로부터 걸음에 따른 갑피(1000)의 가속도와 걸음에 따른 갑피(1000)의 변형률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걸음에 따른 갑피의 가속도는, 신발의 갑피(1000) 후단 하부에 배치되는 가속도 센서(1020)로부터 입력되고, 걸음에 따른 갑피(1000)의 변형률은, 신발의 갑피(1000) 전단 상부에 배치되는 신장 센서(1010)로부터 입력될 수 있다.
갑피(1000)의 신장 센서(1010)는, n번의 걸음 동안, 갑피의 변형 각도 β를 센싱하여, 걸음에 따른 갑피의 변형률을 측정할 수 있다. 갑피(1000)의 가속도 센서(1020)는, n번의 걸음 동안, 지면과 갑피의 하부면 사이의 각도 α를 센싱하여, 걸음에 따른 갑피의 가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는, 갑피(1000)로부터, 갑피의 변형율과 갑피의 가속도를 수신하면, 이를 이용하여, n번의 걸음 동안, 가속도에 대한 갑피의 변형률을 측정하고, 측정된 갑피의 변형률이 미리 설정된 피팅 기준값에 도달하는 횟수에 따라, 갑피의 변형률에 대한 제 1 피팅 평가도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측정된 갑피의 변형률이 미리 설정된 피팅 기준값에 도달하는 횟수가 증가할수록, 갑피에 대한 발의 편안함이 크고, 측정된 갑피의 변형률이 미리 설정된 피팅 기준값에 도달하는 횟수가 감소할수록, 갑피에 대한 발의 불편함이 크다는 피팅 평가도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는, 도 9 및 도 10과 같이, 신발의 갑피(1100)로부터 걸음에 따른 발과 갑피(1100)와의 접촉 횟수 및 접촉 시간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걸음에 따른 발과 갑피(1100)와의 접촉 횟수 및 접촉 시간 등은, 갑피(1100)의 내부에 배치된 다수의 압력 센서(1110, 1120, 1130)로부터 입력될 수 있다.
다수의 압력 센서들 중, 제 1 압력 센서(1110)는, 발의 측면과 갑피와의 접촉을 센싱하고, 제 2 압력 센서(1120)는, 발의 새끼 발가락과 갑피와의 접촉을 센싱하며, 제 3 압력 센서(1130)는, 발의 엄지 발가락과 갑피와의 접촉을 센싱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는, 갑피(1100)의 제 1 압력 센서(1110)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발의 측면과 갑피와의 접촉 횟수를 산출하고, n번의 걸음 동안, 발의 측면과 갑피와의 접촉 횟수가 미리 설정된 개별 피팅 기준값에 도달하는 횟수에 따라, 갑피의 측면 영역의 크기에 대한 제 2 피팅 평가도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는, 갑피(1100)의 제 2 압력 센서(1120)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발의 새끼 발가락과 갑피와의 접촉 횟수를 산출하여, n번의 걸음 동안, 발의 새끼 발가락과 갑피와의 접촉 횟수가 미리 설정된 개별 피팅 기준값에 도달하는 횟수에 따라, 갑피의 새끼 발가락 영역의 크기에 대한 제 2 피팅 평가도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는, 갑피(1100)의 제 3 압력 센서(1130)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발의 엄지 발가락과 갑피와의 접촉 횟수를 산출하여, n번의 걸음 동안, 발의 엄지 발가락과 갑피와의 접촉 횟수가 미리 설정된 개별 피팅 기준값에 도달하는 횟수에 따라, 갑피의 엄지 발가락 영역의 크기에 대한 제 2 피팅 평가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처럼, 이동 단말기는, 발의 부분 영역들을 개별적으로 갑피의 편안함에 대한 피팅 평가도를 산출할 수 있다.
도 10과 같이, 이동 단말기는, 개별 피팅 기준값에 따른 발의 부위별 접촉 횟수들을 통합하여, 발과 갑피와의 접촉 횟수가 미리 설정된 전체 피팅 기준값에 도달하는 횟수에 따라, 갑피의 전체 발 영역의 크기에 대한 피팅 평가도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측정된 발과 갑피와의 접촉 횟수가 미리 설정된 피팅 기준값에 도달하는 횟수가 증가할수록, 갑피에 대한 발의 편안함이 크고, 측정된 발과 갑피와의 접촉 횟수가 미리 설정된 피팅 기준값에 도달하는 횟수가 감소할수록, 갑피에 대한 발의 불편함이 크다는 피팅 평가도를 산출할 수 있다.
신발의 인솔에 대한 피로도 관련 피팅 평가도는, 도 11 및 도 12와 같이, 발 동작 패턴에 따른 최대 충격량과, 도 13과 같이, 최대 충격량의 도달 횟수에 따른 피로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는, 도 11과 같이, 신발의 인솔(1200)로부터 발 동작 패턴에 따른 발 부위별 충격량과 발 동작 패턴에 따른 가속도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발 부위별 충격량은, 인솔(1200)의 전방부, 중앙부, 후방부에 각각 배치되는 다수의 압력 센서(1210)로부터 입력되고, 가속도는, 인솔(1200)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가속도 센서로부터 입력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는, 서기, 걷기, 뛰기, 계단 오르기 등과 같이 다양한 발 동작 패턴에 따른 개별 최대 충격량을 분류하여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걷기와 같은 발 동작 패턴에서는, 1번, 7번 및 8번 센서에 최대 충격량이 측정되고, 걷기에서의 최대 충격량은, 체중의 1,5배로 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걷기에서, 1번, 7번 및 8번 센서가 위치하는 영역에 많은 힘을 가하면서 걷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는, 도 12와 같이, 일정 시간 동안, 발 동작 패턴에 따른 최대 충격량의 도달 횟수를 산출하고, 도 13과 같이, 산출된 발 동작 패턴에 따른 최대 충격량의 도달 횟수로부터, 발 부위별로 최대 충격량의 도달 횟수를 분류하여, 발 부위에 따른 피로도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는, 일정 시간 동안, 1번 센서의 최대 충격량 횟수가 서기 동작에서만 100회로 산출되고, 서기 동작을 포함한 전체 동작에서, 1번 센서의 최대 충격량 횟수가 200회로 산출되었다면, 일정 시간 동안, 1번 센서에 걸리는 피로도는, 약 20%로 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 단말기는, 신발의 인솔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된 입력 신호를 토대로, 발 동작 패턴에 따른 최대 충격량과, 최대 충격량의 도달 횟수에 따른 피로도를 산출하여, 인솔에 대한 피팅 평가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신발의 아웃솔에 대한 피로도 관련 피팅 평가도는, 도 14 내지 도 16과 같이, 아웃솔의 미끄러짐에 대한 피팅 평가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는, 도 14와 같이, 아웃솔에 수직 압력이 발생하는 동안, 아웃솔의 미끄러짐에 따른 가속도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아웃솔(1300)의 발 뒷꿈치 영역의 미끄러짐 A에 따른 제 1 가속도는, 아웃솔(1300)의 발 뒷꿈치 영역에 배치되는 제 1 가속도 센서(1311)로부터 입력되고, 아웃솔(1300)의 발 아치 영역의 미끄러짐 B에 따른 제 2 가속도는, 아웃솔(1300)의 발 아치 영역에 배치되는 제 2 가속도 센서(1312)로부터 입력되며, 아웃솔(1300)의 발 앞바닥 영역의 미끄러짐 C에 따른 제 3 가속도는, 아웃솔(1300)의 발 앞바닥 영역에 배치되는 제 3 가속도 센서(1313)로부터 입력되고, 아웃솔(1300)의 발가락 영역의 미끄러짐 D에 따른 제 4 가속도는, 아웃솔(1300)의 발가락 영역에 배치되는 제 4 가속도 센서(1314)로부터 입력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는, 도 15와 같이, 아웃솔(1300)의 제 1 가속도(1311)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발 뒷꿈치 영역의 미끄러짐 횟수를 산출하고, n번의 걸음 동안, 발 뒷꿈치 영역의 미끄러짐 횟수가 미리 설정된 개별 피팅 기준값에 도달하는 횟수에 따라, 발 뒷꿈치 영역의 미끄러짐에 대한 피팅 평가도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는, 아웃솔(1300)의 제 2 가속도(1312)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발 아치 영역의 미끄러짐 횟수를 산출하고, n번의 걸음 동안, 발 아치 영역의 미끄러짐 횟수가 미리 설정된 개별 피팅 기준값에 도달하는 횟수에 따라, 발 아치 영역의 미끄러짐에 대한 피팅 평가도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는, 아웃솔(1300)의 제 3 가속도(1313)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발 앞바닥 영역의 미끄러짐 횟수를 산출하고, n번의 걸음 동안, 발 앞바닥 영역의 미끄러짐 횟수가 미리 설정된 개별 피팅 기준값에 도달하는 횟수에 따라, 발 앞바닥 영역의 미끄러짐에 대한 피팅 평가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어, 이동 단말기는, 아웃솔(1300)의 제 4 가속도(1314)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발가락 영역의 미끄러짐 횟수를 산출하고, n번의 걸음 동안, 발가락 영역의 미끄러짐 횟수가 미리 설정된 개별 피팅 기준값에 도달하는 횟수에 따라, 발가락 영역의 미끄러짐에 대한 피팅 평가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처럼, 이동 단말기는, 아웃솔의 부분 영역들을 개별적으로 미끄러짐에 대한 피팅 평가도를 산출할 수 있다.
도 16과 같이, 이동 단말기는, 개별 피팅 기준값에 따른 아웃솔의 부위별 미끄러짐 횟수들을 통합하여, 아웃솔의 미끄러짐 횟수가 미리 설정된 전체 피팅 기준값에 도달하는 횟수에 따라, 아웃솔의 전체 미끄러짐에 대한 피팅 평가도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측정된 아웃솔의 미끄러짐 횟수가 미리 설정된 피팅 기준값에 도달하는 횟수가 증가할수록, 아웃솔의 미끄러짐에 대한 발의 편안함이 크고, 측정된 아웃솔의 미끄러짐 횟수가 미리 설정된 피팅 기준값에 도달하는 횟수가 감소할수록, 아웃솔의 미끄러짐에 대한 발의 불편함이 크다는 피팅 평가도를 산출할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신발 피팅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400)는, 신발 피팅 아이콘(1420)을 포함한 다수의 아이콘들을 디스플레이 화면(1410)에 제공하고,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의해, 신발 피팅 아이콘(1420)이 선택되면, 신발 피팅 정보를 산출하기 위한 신발 데이터를 수집한다. 여기서, 신발 데이터는, 사용자의 발 동작 패턴에 따른 모든 신발 데이터로서, 일 예로, 사용자 피팅 신발의 갑피에 대한 제 1 피팅 기준값, 사용자 피팅 신발의 인솔에 대한 제 2 피팅 기준값, 그리고 사용자 피팅 신발의 아웃솔에 대한 제 3 피팅 기준값 등이 미리 이동 단말기에 저장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피팅 기준값 등과 같은 신발 데이터는, 외부 서버에 저장될 수도 있어, 이동 단말기에 신발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으면, 이동 단말기는, 외부 서버로부터 신발 데이터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이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40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의해, 신발 피팅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페어링 준비중이란 메시지(1430)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며, 주변에 위치하는 스마트 신발(1500)과 페어링을 수행한다. 여기서, 페어링은 신발(1500) 및 이동 단말기(1400)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연결을 나타낸다. 페어링을 수행하는 경우, 신발(1500) 및 이동 단말기(1400)는, 통신 접속을 수행하여, 양방향으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다. 페어링은, 블루투스,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400)는, 페어링된 스마트 신발(1500)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400)는, 스마트 신발(710)의 갑피(710)로부터 제 1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스마트 신발(710)의 인솔(712)로부터 제 2 입력 신호를 수신하며, 스마트 신발(710)의 아웃솔(713)로부터 제 3 입력 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서, 제 1 입력 신호는, 걸음에 따른 갑피의 가속도를 포함하는 제 1 센싱 신호, 걸음에 따른 갑피의 변형률을 포함하는 제 2 센싱 신호, 그리고 발과 갑피와의 접촉 횟수를 포함하는 제 3 센싱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고, 제 2 입력 신호는, 발 동작 패턴에 따른 발 부위별 충격량을 포함하는 제 4 센싱 신호와, 발 동작 패턴에 따른 가속도를 포함하는 제 5 센싱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며, 제 3 입력 신호는, 수직 압력이 발생하는 동안에, 아웃솔의 미끄러짐에 따른 가속도를 포함하는 제 6 센싱 신호일 수 있다.
다음,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는, 신발의 갑피로부터 제 1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제 1 입력 신호를 토대로, 갑피의 변형률에 대한 제 1 피팅 평가도와, 갑피의 크기에 대한 제 2 피팅 평가도를 산출하고, 신발의 인솔로부터 제 2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제 2 입력 신호를 토대로, 발 동작 패턴에 따른 최대 충격량과, 최대 충격량의 도달 횟수에 따른 피로도를 산출하며, 신발의 아웃솔로부터 제 3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제 3 입력 신호를 토대로, 아웃솔의 미끄러짐에 대한 피팅 평가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400)는, 이들을 토대로, 신발 피팅 평가 정보(1440)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신발 피팅 평가 정보(1440)는, 걷기 등과 같은 발 동작 패턴 항목, 발 접촉, 발 구부러짐, 발 피로도, 미끄러짐 등과 같은 피팅 분석 항목, 각 항목에 따른 부위별 분류 세부 항목, 각 세부 항목에 따른 자동 피팅 평가 항목, 그리고 자동 피팅 평가에 대한 사용자 평가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평가 항목은, 자동 피팅 평가 항목에 대한 사용자의 추가적인 평가로서, 예 버튼과 아니오 버튼과 같은 사용자 평가 확인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는, 새끼 발가락의 발 접촉 관련 자동 피팅 평가가 편안함으로 산출되어도, 아니오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주관적인 사용자 평가로 수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 평가를 반영하여 신발 피팅 평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이동 단말기는, 신발 피팅 평가 정보의 미끄러짐에 대한 평가 산출을 통해, 아웃솔의 교체 주기에 대한 정보도 제공할 수 있다.
다음,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400)는, 신발로부터 수신된 입력 신호를 토대로, 산출되는, 신발 피팅 평가 정보(1440)와 사용자 평가 정보를 포함하는 신발 피팅 정보를 저장하거나, 또는 외부 서버(1500)에 전송하여 신발 피팅 정보를 제공 및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400)는, 외부 서버(1500)로부터 신발 피팅 정보의 산출을 위하여, 필요한 정보들을 수집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 이동 단말기(1400)는, 외부 서버(1500)와 페어링을 수행하거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외부 서버(1500)는, 맞춤형 신발 제조업체, 의족 제조업체 등의 서버일 수도 있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신발 피팅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는, 신발 피팅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S11), 미리 저장되거나 설정된 사용자 피팅 신발에 대한 피팅 기준값의 존재 여부를 확인한다.(S13) 이어, 이동 단말기는, 피팅 기준값이 존재하면, 신발과 페이링을 수행한다(S15). 여기서, 이동 단말기는, 피팅 기준값이 존재하지 않으면, 외부 서버로부터, 피팅 기준값을 획득할 수 있다.(S26) 다음, 이동 단말기는, 신발과 페어링이 이루어지면, 페어링된 신발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17) 그리고, 이동 단말기는, 수신된 입력 신호와 피팅 기준값를 토대로, 신발의 갑피에 대한 제 1 피팅 정보, 신발의 인솔에 대한 제 2 피팅 정보, 그리고 신발의 아웃솔에 대한 제 3 피팅 정보를 산출한다(S19) 이어, 이동 단말기는, 산출된 제 1, 제 2, 제 3 피팅 정보에 대한 신발 피팅 평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21) 이어, 이동 단말기는, 신발 피팅 평가 정보에 대한 사용자 평가 정보를 획득한다.(S23) 다음, 이동 단말기는, 획득한 사용자 평가 정보와 신발 피팅 평가 정보를 포함하는 신발 피팅 정보를 저장한다.(S25)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신발에서 센싱된 신호에 기초하여, 신발 피팅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온라인상으로도 적합한 신발을 구매할 수 있고, 신발 구매자에게 적합한 신발을 추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산출된 신발 피팅 정보를 미리 설정된 피팅 기준값과 비교하여 자동으로 신발 피팅 평가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개인의 활동 패턴에 편안한 신발을 확보하여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객관적인 신발 피팅 평가 정보와 주관적인 사용자 평가 정보를 모두 포함하여 최적의 신발 피팅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개인이 느끼는 편안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신발 구매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의족이나 하이힐과 같은, 높낮이 조절이 필요한 신발을 구매하는데, 편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신발에 배치된 센서 구동을, 발의 동작 패턴에 따라, 제어할 수 있어,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신발 110: 센싱부
120: 커뮤니케이션부 130: 제어부
140: 저장부
600: 이동 단말기 610: 디스플레이부
620: 커뮤니케이션부 630: 제어부
640: 저장부

Claims (20)

  1. 신발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
    상기 신발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커뮤니케이션부; 그리고,
    상기 수신된 입력 신호를 토대로, 상기 신발의 갑피에 대한 제 1 피팅(fitting) 정보, 상기 신발의 인솔(insole)에 대한 제 2 피팅 정보, 그리고 상기 신발의 아웃솔(outsole)에 대한 제 3 피팅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제 1, 제 2, 제 3 피팅 정보에 대한 신발 피팅 평가 정보를 생성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의 갑피에 대한 제 1 피팅 정보는,
    상기 갑피의 변형률에 대한 제 1 피팅 평가도와, 상기 갑피의 크기에 대한 제 2 피팅 평가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발의 갑피로부터 제 1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 1 입력 신호를 토대로, 상기 갑피의 변형률에 대한 제 1 피팅 평가도와, 상기 갑피의 크기에 대한 제 2 피팅 평가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입력 신호는,
    걸음에 따른 갑피의 가속도를 포함하는 제 1 센싱 신호, 걸음에 따른 갑피의 변형률을 포함하는 제 2 센싱 신호, 그리고 발과 갑피와의 접촉 횟수를 포함하는 제 3 센싱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n번의 걸음 동안, 상기 가속도에 대한 갑피의 변형률을 측정하여, 상기 갑피의 변형률에 대한 제 1 피팅 평가도를 산출하고,
    상기 n번의 걸음 동안, 상기 발과 갑피와의 접촉 횟수를 측정하여, 상기 갑피의 크기에 대한 제 2 피팅 평가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의 인솔에 대한 제 2 피팅 정보는,
    발 동작 패턴에 따른 최대 충격량과, 상기 최대 충격량의 도달 횟수에 따른 피로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발의 인솔로부터 제 2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 2 입력 신호를 토대로, 상기 발 동작 패턴에 따른 최대 충격량과, 상기 최대 충격량의 도달 횟수에 따른 피로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입력 신호는,
    상기 발 동작 패턴에 따른 발 부위별 충격량을 포함하는 제 4 센싱 신호와, 상기 발 동작 패턴에 따른 가속도를 포함하는 제 5 센싱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일정 시간 동안, 상기 발 동작 패턴에 따른 최대 충격량의 도달 횟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발 동작 패턴에 따른 최대 충격량의 도달 횟수로부터, 발 부위별로 최대 충격량의 도달 횟수를 분류하여, 상기 발 부위에 따른 피로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의 아웃솔에 대한 제 3 피팅 정보는,
    상기 아웃솔의 미끄러짐에 대한 피팅 평가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발의 아웃솔로부터 제 3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 3 입력 신호를 토대로, 상기 아웃솔의 미끄러짐에 대한 피팅 평가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입력 신호는,
    수직 압력이 발생하는 동안에, 상기 아웃솔의 미끄러짐에 따른 가속도를 포함하는 제 6 센싱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n번의 걸음 동안, 상기 아웃솔의 최대 미끄러짐 횟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최대 미끄러짐 횟수로부터, 상기 아웃솔의 영역별로 최대 미끄러짐 횟수를 분류하여, 상기 아웃솔의 미끄러짐에 대한 피팅 평가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발 피팅 평가 정보 생성시, 상기 신발의 갑피에 대한 제 1 피팅 정보, 상기 신발의 인솔에 대한 제 2 피팅 정보, 그리고 상기 신발의 아웃솔에 대한 제 3 피팅 정보에 대한 사용자 평가 확인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갑피, 인솔 및 아웃솔을 포함하는 신발에 있어서,
    상기 갑피로부터 제 1 입력 신호를 센싱하는 제 1 센싱부;
    상기 인솔로부터 제 2 입력 신호를 센싱하는 제 2 센싱부;
    상기 아웃솔로부터 제 3 입력 신호를 센싱하는 제 3 센싱부;
    상기 제 1, 제 2, 제 3 입력 신호를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커뮤니케이션부; 그리고,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신발 피팅 정보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센싱되는 제 1, 제 2, 제 3 입력 신호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제 1, 제 2, 제 3 센싱부 및 커뮤니케이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입력 신호는,
    걸음에 따른 갑피의 가속도를 포함하는 제 1 센싱 신호, 걸음에 따른 갑피의 변형률을 포함하는 제 2 센싱 신호, 그리고 발과 갑피와의 접촉 횟수를 포함하는 제 3 센싱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센싱부는,
    상기 갑피 후단 하부에 배치되어, 걸음에 따른 갑피의 가속도를 센싱하는 가속도 센서;
    상기 갑피 전단 상부에 배치되어, 걸음에 따른 갑피의 변형률을 센싱하는 신장 센서; 그리고,
    상기 갑피 전단 측부에 배치되어, 발과 갑피와의 접촉 횟수를 센싱하는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입력 신호는,
    발 동작 패턴에 따른 발 부위별 충격량을 포함하는 제 4 센싱 신호와, 상기 발 동작 패턴에 따른 가속도를 포함하는 제 5 센싱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센싱부는,
    상기 인솔의 전방부, 중앙부, 후방부에 각각 배치되어, 발 동작 패턴에 따른 발 부위별 충격량을 센싱하는 다수의 압력 센서; 그리고,
    상기 인솔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상기 발 동작 패턴에 따른 가속도를 센싱하는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 센서 구동시, 상기 가속도 센서에 인가되는 구동 전류를 최소화하고,
    상기 가속도 센서 구동시, 상기 가속도 센서의 센싱값에 따라, 일부 압력 센서만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입력 신호는,
    수직 압력이 발생하는 동안에, 상기 아웃솔의 미끄러짐에 따른 가속도를 포함하는 제 6 센싱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19.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센싱부는,
    상기 아웃솔의 발 뒷꿈치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아웃솔의 발 뒷꿈치 영역의 미끄러짐에 따른 제 1 가속도를 센싱하는 제 1 가속도 센서;
    상기 아웃솔의 발 아치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아웃솔의 발 아치 영역의 미끄러짐에 따른 제 2 가속도를 센싱하는 제 2 가속도 센서;
    상기 아웃솔의 발 앞바닥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아웃솔의 발 앞바닥 영역의 미끄러짐에 따른 제 3 가속도를 센싱하는 제 3 가속도 센서; 그리고,
    상기 아웃솔의 발가락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아웃솔의 발가락 영역의 미끄러짐에 따른 제 4 가속도를 센싱하는 제 4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20. 신발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신발 피팅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 피팅 신발에 대한 피팅 기준값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피팅 기준값이 존재하면, 상기 신발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입력 신호와 피팅 기준값를 토대로, 상기 신발의 갑피에 대한 제 1 피팅 정보, 상기 신발의 인솔에 대한 제 2 피팅 정보, 그리고 상기 신발의 아웃솔에 대한 제 3 피팅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제 1, 제 2, 제 3 피팅 정보에 대한 신발 피팅 평가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신발 피팅 평가 정보에 대한 사용자 평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획득한 사용자 평가 정보와 상기 신발 피팅 평가 정보를 포함하는 신발 피팅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20150092853A 2015-06-30 2015-06-30 신발,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029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2853A KR20170002915A (ko) 2015-06-30 2015-06-30 신발,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2853A KR20170002915A (ko) 2015-06-30 2015-06-30 신발,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915A true KR20170002915A (ko) 2017-01-09

Family

ID=57811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2853A KR20170002915A (ko) 2015-06-30 2015-06-30 신발,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291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8080A (ko) * 2018-11-19 2020-05-27 (의료)길의료재단 신발 사이즈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2234796B1 (ko) * 2019-11-26 2021-04-02 솔티드 주식회사 스마트 풋웨어를 이용한 피로도 완화 방법 및 사용자 단말의 동작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8080A (ko) * 2018-11-19 2020-05-27 (의료)길의료재단 신발 사이즈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2234796B1 (ko) * 2019-11-26 2021-04-02 솔티드 주식회사 스마트 풋웨어를 이용한 피로도 완화 방법 및 사용자 단말의 동작 방법
WO2021107358A1 (ko) * 2019-11-26 2021-06-03 솔티드 주식회사 스마트 풋웨어를 이용한 피로도 완화 방법 및 사용자 단말의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4511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axial orientation and location of a user's wrist
US10674951B2 (en) Portable device for determining physical strength of a user during exercise
KR20160104938A (ko) 이동 단말기, 무선충전장치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
KR101861608B1 (ko) 의류 및 위치 정보 시스템
EP3238012B1 (en) Device for controlling wearable device
US10952667B2 (en)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wearable device
KR101447652B1 (ko) 신발 인솔, 이를 구비하는 신발 및 걸음걸이 형태 교정 시스템
KR20160145981A (ko) 인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35394A (ko) 센서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JP6742380B2 (ja) 電子装置
KR20160142128A (ko) 와치형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78164A (ko) 착용형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80057233A (ko) 스마트 밴드 및 스마트 밴드 관리 서버
KR20150107529A (ko) 데이터 소스 결정 방법
KR20170010704A (ko) 와치 타입 단말기
KR20190056132A (ko) 웨어러블 기기
JP2020125947A (ja) 体重測定システム
KR20170002915A (ko) 신발,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13246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53541A (ko) 자세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36722A (ko) 전자 장치의 낙상 이벤트 타입 판단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80073795A (ko) 스마트 의복과 연동하는 전자 장치, 그 동작 방법 및 시스템
KR20170004590A (ko) 인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125139A (ko) 걸음걸이 교정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210108275A (ko) 정보 송수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