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4938A - 이동 단말기, 무선충전장치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무선충전장치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4938A
KR20160104938A KR1020150027876A KR20150027876A KR20160104938A KR 20160104938 A KR20160104938 A KR 20160104938A KR 1020150027876 A KR1020150027876 A KR 1020150027876A KR 20150027876 A KR20150027876 A KR 20150027876A KR 20160104938 A KR20160104938 A KR 201601049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user
wearable device
mobile termin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7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상현
임국찬
심홍조
지주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7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4938A/ko
Priority to EP15002248.1A priority patent/EP3061386B1/en
Priority to US14/827,124 priority patent/US10350138B2/en
Priority to CN201510629198.4A priority patent/CN105933501B/zh
Publication of KR20160104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49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3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 A43B3/35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with electric he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3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 A43B3/48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with transmitting devices, e.g. GSM or Wi-Fi®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4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5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 A43B7/14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provided with acupressure points or means for foot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earthing or groun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7Measuring of profi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2Global tracking of patients, e.g. by using G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36Diagnosis combined with treatment in closed-loop systems or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12Orthopaedic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29Foot or ank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5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ion of battery packs and other power supplies such as fuel cells or integrated AC adap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53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 A61H2201/1261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combined with active exercising of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71Pressure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2F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30/00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1H2230/80Weight
    • A61H2230/805Weight used as a control parameter for the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30/00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1H2230/82Height, e.g. length
    • A61H2230/825Height, e.g. length used as a control parameter for the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30/00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1H2230/85Contour of the body
    • A61H2230/855Contour of the body used as a control parameter for the apparat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Physiolo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신발의 내측 바닥에 위치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위치하며 사용자가 걸을 때 선택적으로 압력이 가해지는 압력 감지부; 상기 압력 감지부에 압력이 가해지면 사용자의 발에 압력을 가하는 지압부; 및 외부 단말기와 동기화 하는 무선통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무선충전장치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MOBILE TERMINAL, WIRELESS CHARGER AND WEARABLE DEVICE}
본 발명은 지압기능이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이를 충전하는 무선충전장치 및 상기 지압기능이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활용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한편 사용자의 몸에 착용되어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취득하거나, 사용자의 신체에 영향을 주는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최근에 개발되고 있다. 평상시에 착용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반드시 정지된 상태에서만 할 수 있던 검사나 치료, 처치 등이 가능하게 된다는 점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형태는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본 발명은 지압기능이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이를 충전하는 무선충전장치 및 지압기능이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동기화 하여 상기 지압기능이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신발의 내측 바닥에 위치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위치하며 사용자가 걸을 때 선택적으로 압력이 가해지는 압력 감지부; 상기 압력 감지부에 압력이 가해지면 사용자의 발에 압력을 가하는 지압부; 및 외부 단말기와 동기화 하는 무선통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압력 감지부는 유체가 내부에 수용된 플렉서블한 쿠션, 상기 쿠션내부와 연결되어 상기 지압부까지 연결되는 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지압부는 상기 사용자의 복숭아뼈에 상응하는 위치의 신발 내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유로와 연결되어 유체가 이동시 돌출되는 지압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압돌기는 링 형상으로 복사뼈의 둘레 부분에 위치하거나, 복사뼈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의 발목 측면에 위치하는 곡률측정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곡률측정장치의 곡률 변화를 감지하여 곡률이 큰 지점으로 상기 지압돌기가 위치하도록 위치를 조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베이스에 위치하며, 외부 자기장에 놓여지면 전류가 흘러 충전되는 무선충전 코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신발의 발목 부분에 결합하며 상기 지압부와 힌지 결합하는 고정부; 상기 지압부의 사용자 발목을 향하는 제1 측에 돌출된 지압돌기; 및 일단은 상기 지압부의 상기 제1 측과 반대 방향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압력 감지부에 결합되는 와이어를 더 포함하고, 사용자가 걸을 때 상기 와이어는 인장력을 받으며 상기 지압부가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지압돌기가 사용자의 발목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신발의 뒤축에 결합하고, 상기 지압부는 상기 고정부의 양측에 한 쌍 구비되며, 상기 지압돌기는 사용자의 복사뼈와 아킬레스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압력 감지부와 상기 지압부는 복수개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 감지부에서 가해진 압력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복수개의 지압부 중 선택적으로 돌출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력 감지부와 상기 지압부를 포함하는 지압모듈은 상기 베이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되고, 상기 압력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압력의 변화의 순서가 기 설정된 순서와 상이한 경우 상기 지압모듈 중 하나의 지압부가 돌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압부는 전압이 가해지면 형상이 변화하는 전기활성 고분자(ElectroActive Polymers)이고, 상기 지압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지압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압부의 제1 높이변화량에 상응하는 제1 크기의 전압을 상기 지압부에 인가하며, 상기 압력 감지부에서 감지한 압력변화로부터 상기 지압부의 제2 높이변화량을 측정하고, 상기 제1 높이변화량과 상기 제2 높이변화량이 상이한 경우 상기 제1 높이변화량과 상기 제2 높이변화량의 차에 상응하는 크기의 조정전압을 산출하며, 상기 조정전압만큼 압력을 조절하여 상기 지압부에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무선 충전장치는 무선 전력송신 코일을 구비하고, 상면에 올라간 사용자의 중량을 측정하는 무선충전패널; 상기 무선충전 패널의 위쪽 천장에 위치하며 상기 무선충전 패널에 사용자가 서면 상기 사용자의 현재 신장을 측정하는 신장측정 센서; 및 상기 신장측정 센서에서 측정한 현재 신장과 상기 무선충전 패널에서 측정한 체중에 관한 데이터를 외부 단말기에 전송하는 무선통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신장측정 센서가 상기 사용자의 현재 신장을 측정시에 상기 무선전력 송신 코일의 자기장이 변화하면, 상기 측정한 현재 신장을 보정하여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현재 신장을 입력 받는 신장 입력부; 걸을 때 지압하는 기능이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동기화 하는 무선통신부; 걷기 목표거리 및 걷기 목표기간을 입력 받는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현재 신장, 걷기 목표거리 및 걷기 목표기간을 기초로 예상 신장을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지피에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피에스에서 수신한 위치정보의 변화를 기초로 사용자의 이동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이동거리가 상기 걷기 목표거리의 1일 분량과 차이가 있는 경우 상기 이동거리 예상 신장을 수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재 신장이 갱신되는 경우 상기 예상 신장을 조정할 수 잇다.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발목 측면을 가압하는 지압부 및 사용자의 발목 측면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걸을 때 발생하는 곡률변화를 감지하는 곡률측정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곡률측정장치의 곡률변화를 기초로 정확한 복숭아뼈 위치를 산출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상기 지압부의 위치를 조정하는 명령을 전송하도록 상기 무선통신부를 제어할 수 잇다.
상기 사용자의 현재신장을 기초로 보폭을 산정하여 상기 목표거리를 걸음수로 산출하고, 상기 걸음수를 기초로 상기 예상 신장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상태를 표시하는 인디게이터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상태는, 걷는 중, 충전중, 배터리 부족, 동기화여부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1일간 이동한 거리가 상기 걷기 목표거리의 1일 분량에 미달시 사용자 또는 외부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 발바닥을 가압하는 복수개의 지압부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동기화 하는 무선통신부; 및 사용자의 발바닥 중 지압부위를 설정하는 메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설정된 지압부위의 지압부를 구동하는 지압명령을 송신하도록 상기 무선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압기능이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활용하도록 가이드하여 성장 촉진 및 스트레스 해소가 가능하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상태를 이동 단말기에서 확인 가능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의 편의성을 높이고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압력 감지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지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의 곡률측정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다른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실장된 지압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실장된 지압모듈의 회로구성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실장된 지압모듈의 조정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정상적인 걸음걸이와 비정상적인 걸음걸이의 일 예를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걸음 걸이를 교정하는 방법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5은 본 발명의 무선충전장치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6b 및 16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8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기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 내지 도 2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키 성장 어플리케이션의 세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1일 목표거리를 달성하도록 도와주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인디게이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와치타입 이동 단말기를 초기에 세팅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 이외의 제3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등록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은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 이외의 제3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확인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은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와 제3자의 이동 단말기 사이의 연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8은 도 8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같이 지압부를 복수개 구비한 경우 이를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사용자의 발에 착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신발 또는 신발 내측에 장착하는 안창 형태 모두 포함된다.
사용자 발바닥에 위치하는 베이스(210), 상기 베이스(210)에 위치하며 사용자가 걸을 때 선택적으로 압력이 가해지는 압력 감지부(220) 및 상기 압력 감지부(220)에 압력이 가해지면 사용자의 발에 압력을 가하는 지압부(230)를 포함한다.
베이스(210)는 신발의 내측 바닥에 위치하는 안창일 수 있으며, 발바닥 전체 크기에 상응하는 형상도 가능하고, 일부분에만 대응하는 형상도 가능하다.
사람은 걷거나 뛸 때 체중을 싣는 발바닥의 위치가 변화한다. 따라서 가만히 서있을 때에는 고르게 분포하는 체중이 걷거나 뛰기 시작하면 특정 위치에 강한 압력이 가해지게 된다.
압력 감지부(220)는 사용자의 걷기 동작에 따른 발바닥의 압력변화에 따라 형상이 변화하거나 전기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압력 감지부(220)는 발 뒤쪽부분에 위치하며, 압력 감지부(220)는 발 압쪽에도 위치할 수 있으며, 설명의 편의상 뒤쪽에 위치하는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걷는 동작에서 사용자가 처음 발을 바닥에 딛는 때에, 발꿈치 쪽에 위치하는 압력 감지부(220)에 가장 큰 힘이 인가된다.
본 실시예의 압력 감지부(220)는 유체가 내부에 주입된 플렉서블한 재질로 된 쿠션을 포함한다. 상기 쿠션은 실리콘이나 고무와 같이 소정의 탄성 재질이 있어 원래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쿠션 내부(225)에 주입된 유체는 공기와 같은 기체가 될 수도 있고, 겔 형태의 액상이 주입될 수도 있다.
쿠션의 좌우에는 유로(226)가 연결되어 있어 사용 자가 발은 바닥에 딛는 때에, 압력 감지부(220)에 힘이 가해지면 쿠션 내부(225)의 유체가 밀려 유로(226)로 이동한다. 유체가 공기인 경우 바깥쪽으로 연결된 유로(227)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외부와 연통되는 유로(227)로 인해 쿠션이 터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유로(226)는 사용자의 발목까지 연장된 지압부(230)를 따라 연장된다.
지압부(230)의 단부에는 압력 감지부(220)의 쿠션과 같이 탄성 재질로 된 지압돌기(235)가 위치한다. 상기 쿠션 내부(225)의 유체가 유로(226)를 따라 이동하여 지압돌기(235)에 이르면, 지압돌기(235)가 팽창하며 사용자의 발을 지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지압부(230)는 사용자의 발목 부근을 지압하며, 더 구체적으로 복사뼈 근처에 압력을 가한다. 복사뼈 근처에는 생장점이 위치하여 지압하면 생장을 촉진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지압부(23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일 실시예의 곡률 측정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지압돌기(235)는 복사뼈 근처를 가압하는 링형상이거나, 복사뼈 하측부에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지압돌기(235)는 발목의 내측과 외측에 모두 위치하며, 한 쌍의 지압돌기(235)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같은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복사뼈의 위치는 사용자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에 사용자의 발목 측면, 도 5와 같이 복사뼈 부근을 감싸는 곡률 측정장치(216)를 구비하여 복사뼈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복사뼈가 위치하는 부분은 돌출되기 때문에 곡률이 크게 나타나는 바, 해당 위치가 복사뼈가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지압돌기(235)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지압부(230)와 지압돌기(235)는 반드시 복사뼈 근처가 아니라 발가락 사이, 발바닥 또는 발등에 위치할 수 있다. 걸을 때마다 자연적으로 지압이 되어 사용자의 생장을 촉진하거나 스트레스 해소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무선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어, 외부 단말기와 연결되어 현재 상태를 체크할 수 있다. 지압횟수를 전송할 수 있고, 본 실시예와 같이 기구적인 구조의 지압방법 이외에 외부 단말기의 제어에 따라 지압이 조절되는 경우 외부 단말기와 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무선통신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배터리 상태나, 충전상태에 대한 정보도 외부 단말기에 전송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상태를 체크할 수 있다. 도면 상으로는 베이스(210)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지압부(230) 부분에 형성될 수도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상기 무선통신부와 같은 전력이 필요한 부품을 포함하는 경우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배터리(290)를 포함해야 하며, 상기 배터리(290)를 충전하기 위해 충전케이블이 연결되는 인터페이스가 필요하다. 그러나, 발에 착용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물이나, 오염물질에 노출되기 쉬워 충전 케이블과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외측으로 노출시키기 어렵다. 또한, 내측으로 형성하면 연결이 어려운 바, 무선 충전방식으로 충전할 수 있다.
무선충전을 위해 무선충전 코일(250)이 베이스(210)에 형성되며, 무선 전력송신 코일(420)을 구비한 충전기(400)에 근접하면 무선 전력송신 코일(420)이 형성하는 자기장의 변화에 따라 전류가 흘러 충전된다. 무선충전 코일(250)과 무선통신을 위한 안테나(240)는 가능한 중첩되지 않게 배치하여 안테나(240)의 성능 및 무선충전 코일(250)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신발의 뒤축 부분에 결합하여 지압부(230)와 힌지결합하는 고정부(260)를 포함하고, 고정부(260)를 신발에서 분리하면 신발 안창 형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신발에서 분리 가능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고정부(260)의 좌우에 힌지축(265)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지압부(230)는 도면상으로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한쪽에만 구현하거나 더 많은 개수의 지압부(230)가 고정부(260)와 힌지결합 할 수 있다. 고정부(260)는 신발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힌지축(265)을 중심으로 지압부(230)가 회전하고 지압부(230)의 전면(사용자의 발이 위치하는 방향)에 돌출된 지압돌기(235)가 사용자의 발을 지압한다.
발목 중에 아킬레스건과 복사뼈 사이의 오목한 부분(생장점)을 지압시 성장에 도움이 된다. 본 실시예의 지압부(230)는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생장점을 지압하여 성장을 촉진할 수 있다. 지압부(230)의 길이에 따라 지압하는 위치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다른 위치의 생장점을 지압할 수 도 있다.
지압부(230)가 회전하도록 힘을 가하기 위해 지압부(230)와 신발의 안창(210)의 뒤꿈치 부분과 와이어(238)로 연결한다. 신발의 안창 뒤꿈치 부분이 압력 감지부(220)가 되며, 사용자의 뒤꿈치가 바닥에 닿을 때, 압력 감지부(220)를 누른다.
사용자의 뒤꿈치가 바닥에 닿으면 아킬레스건이 늘어나고, 뒤꿈치가 떨어지고 발가락 부분으로 지지할 때에는 아킬레스건이 줄어든다. 즉, 걷는 동작 중에 반복적으로 신발의 뒤축과 발꿈치의 거리가 변화하는 바, 안창(베이스)(210)와 지압부(230)의 거리도 변화하게 된다.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와이어(238)의 일단은 지압부(230)에 연결하고 와이어(238)의 타단은 신발의 베이스(210)의 뒤꿈치 부분에 연결되어 바닥에 뒤꿈치가 닿으면 와이어(238)는 지압부(230)에 인장력을 가하고 뒤꿈치가 떨어지고 발가락 부분으로 지지할 때에는 와이어(238)의 인장력이 사라져 지압부(230)는 원래 위치로 복원된다.
상기 인장력이 가해질 때 지압부(230)의 지압돌기(235) 부분이 사용자의 발목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와이어(238)는 지압돌기(235)가 형성된 방향의 반대 방향에 연결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신발의 내측 바닥에 위치하는 베이스(210)에 지압모듈(270)이 배치될 수 있다. 지압모듈(270)은 압력 감지부(220)와 지압부(230)로 구성되며, 압력 감지부(220)에서 압력의 변화를 감지하면 이를 제어부에 전달하고, 지압부(230)는 제어부(245)의 제어에 따라 돌출되어 사용자의 발바닥을 가압한다.
압력 감지부로서 압력감지 저항(Force SensignResistor)를 이용할 수 있다. 압력이 인가되면 저항이 변화하여 압력변화를 신호로 전환 가능하다. 지압부(230)로서 전기활성 고분자(ElectroActive Polymers)를 이용할 수 있다. 전기활성 고분자는 전압을 인가하면 전압의 크기에 따라 형상이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압모듈(270)의 개수와 위치는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지압하고자 하는 목적 및 부위에 따라 다르게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장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발가락 사이를 지압하거나, 어깨 결림 손 저림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두 번째 발가락에서 다섯 번째 발가락까지 발가락 뿌리 부분을 지압하면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 실장된 지압모듈(27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압부(230) 보다 더 돌출되어 위치한다. 지압부(230)는 지압돌기(235)를 포함하며, 지압돌기(235)만 돌출되는 방식도 가능하고, 지압부(230) 자체의 길이가 변화하여 사용자의 발바닥 방향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지압부(230)는 지압이 필요한 부분에 선택적으로 돌출되며 (b)와 같이 조금 돌출되거나 (c)와 같이 더 많이 돌출될 수도 있다. 돌출 정도는 사용자가 설정할 수도 있고, 압력 감지부(220)에 가해지는 압력의 세기에 따라 다르게 조절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이미 압력 감지부(220)에 압력이 많이 가해지는 부분은 지압부(230)가 많이 돌출되지 않더라도 압력이 크게 가해지므로 압력 감지부(220)의 압력이 약한 부분의 지압부(230)만 더 돌출시킬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실장된 지압모듈(270)의 회로구성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압력 감지부(220)에서 압력이 인가시에 변화하는 저항을 감지하는 ADC(Analog Digital Converter)를 통해 제어부에 전달되고, 제어부는 AMP(amplifier)를 통해 지압부(230)에 승압(booster)된 전압을 인가한다.
지압부(230)의 형상 변화에 따라 압력 감지부(220)에서 감지되는 압력은 변화하므로, 이를 기초로 지압부(230)의 형상변화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지압부(230)는 반복적으로 형상이 변화함에 따라 열화되어 동일한 전압이 인가되더라도 형상 변화량이 차이가 날 수 있다.
지압부(230)에 인가되는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는 외부 충전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하여 충전할 수 있으며, 또는 압전소자를 구비하여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압전소자란 압력을 가하면 판의 양면에 외력에 비례하는 전하가 나타나며 이를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가 걸으면서 신발의 바닥면 또는 깔창에 압력이 가해지거나, 바닥면의 곡률이 변화하며 압전소자에 압력을 가하게 된다. 이때 발생하는 에너지를 추후 지압부(230)의 변형을 위한 전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실장된 지압모듈의 조정방법을 도시한 도면으로, 지압부의 열화에 따른 오차를 압력 감지부(220)를 통해 보정할 수 있다.
도 11과 같이 지압부에 소정 크기의 전압이 인가된다(S110). 상기 소정크기의 전압은 제어부(245)에서 연산한 지압돌기가 돌출되어야 하는 높이에 상응하게 지압부(230)가 변화할 수 있는 크기의 전압이다. 압력 감지부(220)에서는 지압부(230)의 형상 변화에 따른 압력변화를 감지한다. 지압부(230)가 돌출된 양에 따라 압력 감지부(220)에서 감지되는 압력의 크기는 감소한다. 압력 감지부에서 변화한 압력을 기초로 제어부는 지압부의 팽창량을 산출할 수 있다(S130). 산출된 지압부의 팽창량(산출 팽창량)이 원래 소정의 크기의 전압에 따른 팽창량(예상 팽창량)과 같지 않는 경우(S140) 열화 되었다고 판단하여 그 차인 조정 팽창량(S150)을 산출한다. 상기 조정 팽창량에 상응하는 크기의 전압(조정전압)을 산출하고(S160), 기존에 지압부에 인가하는 전압의 크기를 조정전압만큼 조정하여 지압부에 인가한다(S170). 이와 같이 조정하면 열화된 지압부(230)도 지속적으로 사용 가능한 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수명이 길어지는 장점이 있다.
도 12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압력 감지부(220)와 지압부(230)를 포함하는 지압모듈(270)과 상기 지압모듈(270)에서 감지한 압력을 수신하고 지압부(230)를 제어하는 제어부(245)를 포함한다.
도 13은 정상적인 걸음걸이와 비정상적인 걸음걸이의 일 예를 도면이다. (a)와 같이 발 뒤꿈치부터 발가락까지 순서대로 바닥에 닿도록 걷는 것이 올바른 순서며, 사람의 발모양은 가운데 안쪽 부분은 바닥에서 떨어져 있는 형상이므로 걸을 때에도 바깥쪽에 더 큰 압력이 가해지게 걷는 것이 정상적인 걷는 방법이다.
걷는 습관이 잘못된 경우 (b)와 같이 발가락부터 닿도록 걷거나, 발의 안쪽에 힘을 주어 걷게 된다. 도 12과 같이 걸을 때 압력이 가해져야 하는 올바른 지점을 따라 지압모듈(270)이 배치되어 압력이 정확한 지점에 지정된 순서에 따라 가해지는 지 감지하고, 예상 압력보다 약한 압력이 감지되면 제어부(245)는 사용자가 잘못 걷는 것으로 판단한다. 잘못 걷는 경우 이를 경고하기 위해 지압부(230)를 돌출시켜 사용자의 발에 압력을 가한다. 압력이 가해지면 사용자는 걷는 자세가 잘못된 것을 파악하고 자세를 고쳐서 걸을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걸음 걸이를 교정하는 방법 도시한 순서도인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N번째 지압모듈의 압력 감지부에서 감지한 압력이 기준값보다 크면(S210) 사용자가 발을 디딘 것으로 판단하여 압력이 감지된 시간 정보(Time #N)를 저장한다(S220). 지압모듈의 순서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 뒤꿈치부터 순서대로 번호를 부여한다.
즉, 정상적인 걸음걸이(도 13의 (a))인 경우 N이 증가하는 순서로 압력이 감지되나, 비정상적인 걸음걸이(도 13의 (b))인 경우 N이 증가하는 순서와 다른 순서로 압력이 감지될 수 있다.
즉, 뒤꿈치 쪽에 위치하는 지압모듈의 시간정보(Time #N-1)가 발가락 쪽에 위치하는 지압모듈의 시간정보(Time #N)보다 크면 N-1번째 지압모듈이 N번째 지압모듈보다 나중에 압력이 가해진 것인바, 비정상적인 걸음걸이로 판단할 수 있다(S230). 이를 사용자에게 경고하기 위해 다음에 압력이 가해질 부분의 지압모듈(N+1번째 지압모듈)의 지압부를 활성화 하여 정확한 방식으로 걷도록 교정할 수 있다(S240).
지압모듈(270)은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의 압력이 가해지는 위치를 따라 이격하여 배치될 수도 있고, 도 12의 (b)와 같이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무선통신부(240)를 이용하여 외부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240)를 구비한 경우 상기 제어부(245) 반드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 구비될 필요는 없고, 외부 단말기의 제어부에서 지압모듈(270)을 제어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는 단순히 압력 감지부(220)에서 감지한 압력값을 외부 단말기로 전달하고 와 외부 단말기에서 지압부(230)의 돌출을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5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무선충전장치(4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무선충전장치(400)는 무선 전력송신 코일(420)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무선 전력송신 코일(420)에 전원이 인가되면 전류가 흐르면서 주변의 자기장을 변화시킨다. 상기 자기장 내에 무선충전 코일(250)이 위치하면 무선충전 코일(250)의 전자가 자기장에 의해 이동하면서 전력이 생성된다.
상기 무선충전장치(400)에 전술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위치하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베이스(210)에 위치하는 무선충전 코일(250)에 전류가 흘러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발에 착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사용자가 신은 채로 무선충전장치(400) 위에 올라가면 무선충전장치(400)는 사용자의 몸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무게에 대한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경우 해당 무게만큼 체중에서 제할 수 있다.
또한, 무선충전장치(400)의 수직 위쪽에 위치하는 적외선 센서(450)를 이용하여 무선충전장치(400) 위에 선 사용자의 키를 측정할 수 있다. 적외선 센서(450)는 천장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다.
천장에 부착된 적외선 센서(450)는 초기 세팅시 무선충전장치(400)까지의 거리를 기록하고 사용자가 무선충전장치(400) 위에 올라오면 줄어든 거리를 사용자의 키로 산출할 수 있다.
적외선 센서(450)는 무선충전장치(4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무선충전장치(400)에서 감지한 무게가 변화하거나 자기장의 변화가 나타나면 사용자가 무선충전장치(400) 위에 올라간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적외선 센서(450)를 가동한다.
적외선 센서(450)가 구동하여 무선충전장치(400) 위에 서있는 사용자의 머리위로 적외선을 사출하고 반사된 적외선을 수신하여 사용자의 키를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만 무선충전장치(400) 위에 올린 경우 적외선 센서(450)는 신발의 높이만을 측정하거나 키를 측정하지 못한다. 측정된 키가 기준키보다 작은 경우 사람이 서있지 않다고 판단하여 센서가 감지한 값을 무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발에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높이에 대한 값을 갖고 있으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높이를 제하고 키를 산출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신은 경우 무선충전기의 무선 전력송신 코일(420)의 자기장이 변화하는 바, 자기장의 변화가 감지되면 적외선 센서(450)가 측정한 값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바닥 높이만큼 뺀 후에 신장을 산출할 수 있다.
몸무게 및 키를 측정하는 중에는, 측정 중이니 움직이지 말라는 안내음이 출력될 수 있으며, 측정이 완료된 후에는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알림음, 램프(411) 또는 디스플레이(41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무선충전장치(400)가 외부 단말기와 연동되어 있는 경우 외부 단말기로 측정한 사용자의 키와 몸무게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6a 내지 도 16c를 참조하면, 도 16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16b 및 16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6a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1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1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이동 단말기(100) 주변에,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과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압력 감지부(220)에서 사용자가 발로 가압한 횟수를 이동 단말기(100)(10)에 전송하여 지압 횟수를 카운팅 할 수 있다. 또는, 도 8와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압력 감지부(220)에서 감지한 압력의 세기를 전송받아 이동 단말기(100)에서 사용자의 걷는 자세를 파악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사용자의 자세교정이나 특정 부분의 지압을 위해 지압부(230)를 구동시키는 제어명령을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웨어러블 단말기(200)에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 내 정보, 이동 단말기(100)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 패널(200),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6a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100)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이동 단말기(100)를 통하여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살펴보기에 앞서,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도 1a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무선 통신부(110)에 대하여 살펴보면, 무선 통신부(110)의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WiBro, HSDPA, HSUPA, GSM, CDMA, WCDMA, LTE, LTE-A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이동 단말기(100)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가 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이동 단말기(100) 주변에,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이동 단말기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115)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110)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정보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입력부(120)는 영상 정보(또는 신호), 오디오 정보(또는 신호), 데이터,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영상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 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메라(121)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되는 복수의 카메라(121)는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는 카메라(121)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에는 다양한 각도 또는 초점을 갖는 복수의 영상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카메라(121)는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좌 영상 및 우 영상을 획득하도록, 스트레오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폰(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3)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123)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23)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고, 이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부(180)는 이러한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구동 또는 동작을 제어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처리,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다. 센싱부(140)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센서 중 대표적인 센서들의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이러한 근접 센서(141)는 위에서 살펴본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 근접 센서(141)는 전도성을 갖는 물체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물체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센서) 자체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명명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명명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물체가 근접 터치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물체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위와 같이, 근접 센서(141)를 통해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데이터(또는 정보)를 처리하며, 나아가, 처리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각적인 정보를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 상의 동일한 지점에 대한 터치가, 근접 터치인지 또는 접촉 터치인지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 또는 데이터(또는 정보)가 처리되도록 이동 단말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자기장 방식 등 여러 가지 터치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또는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터치(또는 터치입력)을 감지한다.
일 예로서,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를 가하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면적, 터치 시의 압력, 터치 시의 정전 용량 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 센서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포인터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터치 제어기는, 제어부(180)와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 있고, 제어부(180) 자체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스크린 이외에 구비된 터치키)을 터치하는,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거나,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할지 또는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지는, 현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상태 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살펴본 터치 센서 및 근접 센서는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터치 스크린에 대한 숏(또는 탭) 터치(short touch), 롱 터치(long touch), 멀티 터치(multi touch), 드래그 터치(drag touch), 플리크 터치(flick touch), 핀치-인 터치(pinch-in touch), 핀치-아웃 터치(pinch-out 터치), 스와이프(swype) 터치, 호버링(hovering) 터치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터치를 센싱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광 센서와 복수의 초음파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정보를 통해, 파동 발생원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파동 발생원의 위치는, 광이 초음파보다 매우 빠른 성질, 즉, 광이 광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이 초음파가 초음파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보다 매우 빠름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을 기준 신호로 초음파가 도달하는 시간과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파동 발생원의 위치가 산출될 수 있다.
한편, 입력부(120)의 구성으로 살펴본, 카메라(121)는 카메라 센서(예를 들어, CCD, CMOS 등), 포토 센서(또는 이미지 센서) 및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카메라(121)와 레이저 센서는 서로 조합되어,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감지대상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포토 센서는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층될 수 있는데, 이러한 포토 센서는 터치 스크린에 근접한 감지대상의 움직임을 스캐닝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토 센서는 행/열에 Photo Diode와 TR(Transistor)를 실장하여 Photo Diode에 인가되는 빛의 양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포토 센서 위에 올려지는 내용물을 스캔한다. 즉, 포토 센서는 빛의 변화량에 따른 감지대상의 좌표 계산을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입체 디스플레이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에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안경 방식),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무안경 방식), 프로젝션 방식(홀로그래픽 방식) 등의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3)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3)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틱 모듈(153)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햅틱 모듈(153)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c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는 이동 단말기(100)의 광원의 빛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이 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가 출력하는 신호는 이동 단말기가 전면이나 후면으로 단색이나 복수색의 빛을 발광함에 따라 구현된다. 상기 신호 출력은 이동 단말기가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을 감지함에 의하여 종료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port),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등이 인터페이스부(160)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 있다.
메모리(17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7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7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한편,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과,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 상태를 실행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하거나, 터치 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 상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90)는 연결포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16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원공급부(190)는 상기 연결포트를 이용하지 않고 무선방식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원공급부(190)는 외부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 방식이나 전자기적 공진 현상에 기초한 공진 결합(Magnetic Resonance Coupling)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단말기는 와치타입 이동 단말기(300)로서,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하여 휴대할 수 있으며,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와 동기화 하면 무선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거나 연결된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300)는 디스플레이부(351)를 구비하는 본체(301) 및 본체(301)에 연결되어 손목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밴드(302)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300)는 도1a 내지 도 1c의 이동 단말기(100)의 특징 또는 그와 유사한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301)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는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제1케이스(301a) 및 제2케이스(301b)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되어 유니 바디의 이동 단말기(3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300)는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본체(301)에는 상기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안테나는 케이스를 이용하여 그 성능을 확장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라운드 영역 또는 방사 영역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체(301)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3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351)에는 터치센서가 구비되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351)의 윈도우(351a)는 제1 케이스(301a)에 장착되어 제1 케이스(301a)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301)에는 음향 출력부(352), 카메라(321), 마이크로폰(322), 사용자 입력부(323)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51)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 입력부(323)로 기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체(301)에 별도의 키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밴드(302)는 손목에 착용되어 손목을 감싸도록 이루어지며, 착용이 용이하도록 플렉서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예로서, 밴드(302)는 가죽, 고무, 실리콘, 합성수지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밴드(302)는 본체(301)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사용자가 취향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밴드로 교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밴드(302)는 안테나의 성능을 확장시키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밴드에는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라운드 영역을 확장시키는 그라운드 확장부(미도시)가 내장될 수 있다.
밴드(302)에는 파스너(fastener; 302a)가 구비될 수 있다. 파스너(302a)는 버클(buckle), 스냅핏(snap-fit)이 가능한 후크(hook) 구조, 또는 벨크로(velcro; 상표명) 등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신축성이 있는 구간 또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파스너(302a)가 버클 형태로 구현된 예를 제시하고 있다.
도 18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동기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동 단말기(100)는 화장실을 가거나 잊어버리고 놓고 가는 경우 가 있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와 이동 단말기(100)의 거리가 멀어지면 이동 단말기(100)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모니터링하기 힘들다. 그러나 와치타입 이동 단말기(300)는 착용 이후에 고의로 벗지 않는 이상 계속 휴대하기 때문에 와치타입 이동 단말기(300)와 이동 단말기(100)를 동시에 이용하면 보다 정확하게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활용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와 동기화 하기 위해 이동 단말기(100) 또는 와치타입 이동 단말기(3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소정거리 내로 근접하면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감지하고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와의 동기화를 확인하거나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의 고유번호의 입력을 요구할 수 있다.
신발 또는 신발 내측 바닥에 까는 안창 형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를 사용하고 있거나, 와치타입 이동 단말기(300)를 착용하고 경우에 근거리 무선통신 가능한 거리 내가 되어 자동으로 동기화 될 수 있다.
이때,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압력 감지부(220)의 압력 감지횟수 또는 지압횟수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배터리의 잔량 등에 대한 정보를 이동 단말기(100) 또는 와치타입 이동 단말기(3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 및 와치타입 이동 단말기(3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압력감지 감도를 조절하거나,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지압부(230)를 제어하여 특정 부위를 지압할 수 있다.
도 19 내지 도 2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키 성장 어플리케이션의 세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와 이동 단말기(100)가 동기화 되면 해당 프로그램이 활성화 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사용자의 이름, 나이, 몸무게, 현재 키등을 입력하여 기초 세팅(1511) 을 할 수 있다. 그 외에 추가적으로 부모의 키, 과거의 성장 기록, 섭취한 영양소 등을 더 입력할 수 있다.
현재 키와 몸무게는 전술한 무선충전장치(400)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잇다. 도 2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착용하고 올라가면 자동으로 측정되어 이동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몸무게와 현재 키를 측정한 이후에는 이동 단말기(100)를 통해 또는 무선충전장치(400) 자체의 알람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측정 완료 사실을 알릴 수 있다.
도 20b와 같이 측정이 완료되면, 누적된 데이터를 그래프를 이용하여 보여줄 수 있으며, 사용자의 키와 몸무게를 주기적으로 기록하기 위해 이동 단말기(100)를 통해 주기적으로 키와 몸무게를 측정하도록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측정이 완료되고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무선충전장치(400) 위에 놓고 사용자만 내려오도록 이동 단말기(100) 또는 무선충전장치(400)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가이드 할 수 있다.
무선충전장치(400)는 무게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 상응하는 무게만 남게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만 거치된 것으로 판단하고 전력송신을 시작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충전량을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충전 완료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충전이 되지 않으면서, 압력감지부(220)에 아무런 압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사용자가 무선충전장치(400) 위가 아닌 장소에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벗어놓은 것으로 판단한다. 이 경우, 무선충전장치(400)에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거치할 것을 이동 단말기(100)(또는 와치타입 이동 단말기(300))를 통해 사용자에게 경고할 수 있다.
도 2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일목표거리와 목표일자를 입력하여, 몸무게와 현재 키를 기초로 목표일자의 예상 키를 산출할 수 있다. 1일목표거리만큼 반복적으로 목표일자까지 걷는 경우 생장점 자극 횟수를 기초로 성장을 산출할 수 있다. 사용자의 몸무게와 현재 키 이외에, 부모의 키, 과거의 성장 기록, 섭취 영양소 등을 기초로 보다 더 정확한 예상 키를 산출할 수 있다.
도 21의 (b)와 같이 일정기간 이상 1일 목표거리에 도달하지 못하여 1일 평균 이동 거리와 1일 목표거리가 소정크기 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 예상 키는 변경될 수 있다. 또는 키와 몸무게와 같은 키를 결정하는 인자가 변화하는 경우에도, 예상 키를 조금씩 조절할 수 있다.
주기적으로 키를 측정하기 위해서 일정 시기가 되면 키를 측정하라는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착용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충전이 되고 있지 않으면, 무선충전장치(400)에 거치하도록 알림 메시지를 출력할 수도 있다.
도 22은 1일 목표거리를 달성하도록 도와주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의 (a)와 같이 지정된 시간(예를 들어 오후 4시)에 목표한 1일 목표거리에 소정 수준(예를 들어 60%)에 못 미치는 경우 사용자에게 더 걸을 것을 요구할 수 있다.
사용자에게 (b)와 같이 산책코스를 추천하여 목표량을 채울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선호하는 산책코스를 선택하면 선택된 산책코스를 따라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며, 흥미를 유발하기 산책코스에 있는 건물에 관한 설명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는 사용자의 스케줄이 등록되어 있는 경우 도 22의 (c)와 같이 등록된스케줄을 기초로 추천코스를 구성할 수도 있다. 다음 스케줄을 위해 이동시에 걷도록 유도하고, 응원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3는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상태를 표시하는 인디게이터를 도시한 것이다. 인디게티터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상태를 표시하는 것으로 동기화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a)와 같이 어두운 색에서 동기화가 되면 (b)와 같이 색상이 변화거나 이미지가 변화한다.
걷기 시작하면 압력 감지부(220)가 압력을 감지한 지점을 표시하고, 지압부(230)가 지압하는 지점을 표시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사용자가 걷고 있어 지압횟수가 누적되고 있음을 표시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무선충전장치(400) 위에 거치하면 충전이 되면서, 충전상태임을 인디게이터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그 외에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충전이 되고 있지 않으면, 별도의 팝업창으로 충전을 유도할 수도 있으나, 인디케이터를 통해 충전이 필요함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와치타입 이동 단말기를 초기에 세팅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일단 세팅이 완료되면 소정 거리 내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와 와치타입 이동 단말기(300)가 근접하게되면 자동으로 동기화 할 수 있다.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제어 기능을 활성화 하면(351-1), 무선통신부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소정 거리내에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유무를 검색한다(351-2). 검색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이를 승인하면, 사용자의 키와 몸무게를 입력하기 위해 무선충전장치(400)를 이용하여 키와 몸무게를 측정하도록 가이드 한다(351-4, 351-5). 초기 설정이 완료되면 사용자에게 세팅이 완료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351-6).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 이외의 제3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등록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제3자는 사용자의 성장을 관리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사용자의 엄마가 될 수 있다.
엄마의 이동 단말기(100')는 아이의 이동 단말기(100) 또는 와치형 단말기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잇다.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근거리 무선통신만 가능한 경우, 통신사를 통해 무선통신을 수행하지 않기 때문에 멀리 떨어져 있는 엄마의 단말기(100')와 직접 동기화 할 수 없으므로 아이의 이동 단말기(100)와 엄마의 이동 단말기(100)가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최초로 연결하기 위해 웨어러블 단말기(200)가 인접한 위치에 없더라도 (151'-1)과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고유번호를 입력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관리하는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고유번호를 입력하면 해당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와 연결된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100) 또는 와치타입 이동 단말기(300)와 무선통신하거나 서버를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 관한 정보를 받아올 수 있다(151'-2). 해당 정보가 부족한 경우 추가적으로 엄마의 이동 단말기(100')에서 이를 입력할 수 있다(151'-3).
도 26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사용자 이외의 제3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확인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때,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와 동기화된 아이의 이동 단말기(100)는 와치타입 단말기로 상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와치타입의 이동 단말기(300)는 화면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자세한 내용을 디스플레이 하지 않고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상태와 1일 목표거리대비 달성거리를 이미지로 표시할 수 있다.
도 26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와치타입 이동 단말기(300) 디스플레이부의 외각을 따라 폐곡선의 상태표시 이미지(3514)가 표시되며 전체가 1일 목표거리를 나타낸다. 사용자가 걸을수록 상태표시 이미지(3514)의 색상이 변화한 영역이 점점 증가하면서, 목표거리에 이르면 전체 색상이 변화하여 목표거리를 달성했음을 표시한다.
도 27은 아이의 이동 단말기(100)와 엄마의 이동 단말기(100') 사이의 연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엄마의 단말기(100')는 아이의 단말기(100)로부터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상태 정보 및 아이의 1일 목표거리 달성 여부를 수신할 뿐만 아니라 그에 대한 피드백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엄마의 단말기(100')에 아이가 목표량만큼 걸은 정보가 전달되면 아이에게 그에 대한 보상으로 아이의 단말기(100)에 메시지를 보내거나, 1일 목표거리만큼 걷지 못한 경우 격려하는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또한, 예상 키가 실제 키에 많이 못 미치는 경우 성장촉진을 위한 추가적인 방안을 안내하거나, 병원을 방문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28은 도 8의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와 같이 지압부를 복수 개 구비한 경우 이를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발을 지압하기 위해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의 발의 위치에 따라 신체의 각 부분과 연관된다. 신체중 건강하지 못한 기관을 위해 발바닥의 연관된 부위를 지압하면 개선되므로, 사용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특정 위치의 지압부가 돌출되어 지압될 수 있도록 이동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불편한 신체 부위를 선택하면 자동으로 그에 대응하는 발바닥 위치를 지압할 수 있으며, 지압시간과 부위별 지압 순서를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다.
도 28에는 개선하고자하는 신체 부위를 선택하여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100)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와 관련 없이 발바닥의 특정 부위의 지압부(230)만 돌출되어 지압하도록 발바닥 상의 지압부(230)를 선택하여 제어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압기능이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활용하도록 가이드하여 성장 촉진 및 스트레스 해소가 가능하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상태를 이동 단말기에서 확인 가능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의 편의성을 높이고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이동 단말기 110: 무선통신부
120: 입력부 140: 센싱부
150: 출력부 160: 인터페이스부
170: 메모리 180: 제어부
190: 전원공급부
200: 웨어러블 디바이스 210: 베이스
220: 압력 감지부 230: 지압부
235: 지압돌기 240: 안테나
245: 제어부 250: 무선충전 코일
260: 고정부 270: 지압모듈
290: 배터리
300: 와치타입 이동 단말기 400: 무선충전장치
420: 무선 전력송신 코일 450: 적외선 센서

Claims (20)

  1. 신발의 내측 바닥에 위치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위치하며 사용자가 걸을 때 선택적으로 압력이 가해지는 압력 감지부;
    상기 압력 감지부에 압력이 가해지면 사용자의 발에 압력을 가하는 지압부; 및
    외부 단말기와 동기화 하는 무선통신부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감지부는 유체가 내부에 수용된 플렉서블한 쿠션, 상기 쿠션내부와 연결되어 상기 지압부까지 연결되는 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지압부는 상기 사용자의 복숭아뼈에 상응하는 위치의 신발 내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유로와 연결되어 유체가 이동시 돌출되는 지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압돌기는
    링 형상으로 복사뼈의 둘레 부분에 위치하거나, 복사뼈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발목 측면에 위치하는 곡률측정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곡률측정장치의 곡률 변화를 감지하여 곡률이 큰 지점으로 상기 지압돌기가 위치하도록 위치를 조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베이스에 위치하며, 외부 자기장에 놓여지면 전류가 흘러 충전되는 무선충전 코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신발의 발목 부분에 결합하며 상기 지압부와 힌지 결합하는 고정부;
    상기 지압부의 사용자 발목을 향하는 제1 측에 돌출된 지압돌기; 및
    일단은 상기 지압부의 상기 제1 측과 반대 방향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압력 감지부에 결합되는 와이어를 더 포함하고
    사용자가 걸을 때 상기 와이어는 인장력을 받으며 상기 지압부가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지압돌기가 사용자의 발목방향으로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신발의 뒤축에 결합하고,
    상기 지압부는 상기 고정부의 양측에 한 쌍 구비되며,
    상기 지압돌기는 사용자의 복사뼈와 아킬레스건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감지부와 상기 지압부는 복수개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 감지부에서 가해진 압력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복수개의 지압부 중 선택적으로 돌출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감지부와 상기 지압부를 포함하는 지압모듈은 상기 베이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되고,
    상기 압력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압력의 변화의 순서가 기 설정된 순서와 상이한 경우 상기 지압모듈 중 하나의 지압부가 돌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압부는 전압이 가해지면 형상이 변화하는 전기활성 고분자(ElectroActive Polymers)이고,
    상기 지압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지압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압부의 제1 높이변화량에 상응하는 제1 크기의 전압을 상기 지압부에 인가하며,
    상기 압력 감지부에서 감지한 압력변화로부터 상기 지압부의 제2 높이변화량을측정하고,
    상기 제1 높이변화량과 상기 제2 높이변화량이 상이한 경우 상기 제1 높이변화량과 상기 제2 높이변화량의 차에 상응하는 크기의 조정전압을 산출하며,
    상기 조정전압만큼 압력을 조절하여 상기 지압부에 전압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1. 무선 전력송신 코일을 구비하고, 상면에 올라간 사용자의 중량을 측정하는 무선충전패널;
    상기 무선충전 패널의 위쪽 천장에 위치하며 상기 무선충전 패널에 사용자가 서면 상기 사용자의 현재 신장을 측정하는 신장측정 센서; 및
    상기 신장측정 센서에서 측정한 현재 신장과 상기 무선충전 패널에서 측정한 체중에 관한 데이터를 외부 단말기에 전송하는 무선통신부를 포함한 무선충전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측정 센서가 상기 사용자의 현재 신장을 측정시에 상기 무선전력 송신 코일의 자기장이 변화하면, 상기 측정한 현재 신장을 보정하여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장치.
  13. 사용자의 현재 신장을 입력 받는 신장 입력부;
    걸을 때 지압하는 기능이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동기화 하는 무선통신부;
    걷기 목표거리 및 걷기 목표기간을 입력 받는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현재 신장, 걷기 목표거리 및 걷기 목표기간을 기초로 예상 신장을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지피에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피에스에서 수신한 위치정보의 변화를 기초로 사용자의 이동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이동거리가 상기 걷기 목표거리의 1일 분량과 차이가 있는 경우 상기 이동거리 예상 신장을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재 신장이 갱신되는 경우 상기 예상 신장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발목 측면을 가압하는 지압부 및 사용자의 발목 측면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걸을 때 발생하는 곡률변화를 감지하는 곡률측정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곡률측정장치의 곡률변화를 기초로 정확한 복숭아뼈 위치를 산출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상기 지압부의 위치를 조정하는 명령을 전송하도록 상기 무선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현재신장을 기초로 보폭을 산정하여 상기 목표거리를 걸음수로 산출하고,
    상기 걸음수를 기초로 상기 예상 신장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상태를 표시하는 인디게이터을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상태는,
    걷는 중, 충전중, 배터리 부족, 동기화여부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1일간 이동한 거리가 상기 걷기 목표거리의 1일 분량에 미달시
    사용자 또는 외부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람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0. 사용자 발바닥을 가압하는 복수개의 지압부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동기화 하는 무선통신부; 및
    사용자의 발바닥 중 지압부위를 설정하는 메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설정된 지압부위의 지압부를 구동하는 지압명령을 송신하도록 상기 무선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50027876A 2015-02-27 2015-02-27 이동 단말기, 무선충전장치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 KR20160104938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7876A KR20160104938A (ko) 2015-02-27 2015-02-27 이동 단말기, 무선충전장치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
EP15002248.1A EP3061386B1 (en) 2015-02-27 2015-07-29 Shoe for acupressure with pressure sensors
US14/827,124 US10350138B2 (en) 2015-02-27 2015-08-14 Mobile terminal, wireless charger and wearable device
CN201510629198.4A CN105933501B (zh) 2015-02-27 2015-09-28 可穿戴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7876A KR20160104938A (ko) 2015-02-27 2015-02-27 이동 단말기, 무선충전장치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4938A true KR20160104938A (ko) 2016-09-06

Family

ID=54011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7876A KR20160104938A (ko) 2015-02-27 2015-02-27 이동 단말기, 무선충전장치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350138B2 (ko)
EP (1) EP3061386B1 (ko)
KR (1) KR20160104938A (ko)
CN (1) CN105933501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8102A1 (ko) * 2020-11-05 2022-05-12 솔티드 주식회사 무선 충전이 가능한 인솔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KR20220088270A (ko) * 2020-12-18 2022-06-27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의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가 구비된 스마트 신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8613B1 (ko) * 2016-03-17 2019-12-23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를 이용한 휴대 기기의 충전 장치 및 방법
US20170296096A1 (en) * 2016-04-13 2017-10-19 Hepta 7291 LLC Wearable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reflective zones using sensors
CN106562769A (zh) * 2016-10-28 2017-04-19 深圳市中柏电脑技术有限公司 一种家用智能看护方法
CN106248400B (zh) * 2016-10-28 2018-10-16 北京新能源汽车股份有限公司 汽车踏板测试装置
US11418049B2 (en) * 2016-12-07 2022-08-16 Huawei Technologies Co., Ltd. Wireless charging/discharging method and wireless charging and discharging device
KR102661490B1 (ko) 2016-12-23 2024-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충전 장치
KR101880039B1 (ko) * 2016-12-28 2018-07-19 김범경 무선 전자기기 충전 신발
CN108806207A (zh) * 2017-05-04 2018-11-1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健康装置
CN107395855A (zh) * 2017-06-05 2017-11-24 努比亚技术有限公司 终端防护方法、防护装置、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8378452A (zh) * 2018-01-25 2018-08-10 安徽梵玉康体教育咨询有限公司 一种带有智能缓冲鞋垫的运动鞋及其工作方法
CN108968210A (zh) * 2018-08-15 2018-12-11 朱玉珍 一种智能鞋及其控制方法
US11382383B2 (en) 2019-02-11 2022-07-12 Brilliant Sole, Inc. Smart footwear with wireless charging
KR101983723B1 (ko) * 2019-03-21 2019-05-29 이청근 혈류개선과 관절보호에 도움이 되는 기능성 건강신발
CN111543732A (zh) * 2020-04-28 2020-08-18 广东足行健健康科技有限公司 充气按摩鞋
CN112089592B (zh) * 2020-05-22 2023-05-23 未来穿戴技术有限公司 一种通讯请求提示方法、颈部按摩仪以及移动设备
CN111887540A (zh) * 2020-07-28 2020-11-06 河南邦尼生物工程有限公司 一种基于磁石的具有保健功能的按摩鞋垫
DE102021211608A1 (de) * 2021-10-14 2023-04-20 Adidas Ag Anatomische Polster für einen Schuh
CN114089397B (zh) * 2022-01-24 2022-04-12 中通服建设有限公司 一种智能定位方法、装置和设备
CN114938875A (zh) * 2022-05-13 2022-08-26 广东科学技术职业学院 一种基于智能运动鞋的运动系统及运动鞋
CN117529867A (zh) * 2022-06-13 2024-02-06 华为数字能源技术有限公司 可穿戴无线电力接收器和能被踩踏的电力发射器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13142A (en) * 1996-02-09 1998-09-29 Demon; Ronald S. Shoe sole with an adjustable support pattern
US6434859B1 (en) * 1999-09-30 2002-08-20 Joo Tae Kim Insole for shoes designed to increase a therapeutic effect based on reflex zone therapy
AT408825B (de) * 2000-04-03 2002-03-25 Evoluzione Srl Vorrichtung zur massage der vena perforantis
US6430843B1 (en) * 2000-04-18 2002-08-13 Nike, Inc. Dynamically-controlled cushioning system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7188439B2 (en) * 2003-03-10 2007-03-13 Adidas International Marketing B.V. Intelligent footwear systems
US7631382B2 (en) * 2003-03-10 2009-12-15 Adidas International Marketing B.V. Intelligent footwear systems
TW587420U (en) * 2003-05-15 2004-05-11 Chiou-Fu Jang Structure of flexible massage mat
WO2006016369A2 (en) * 2004-08-11 2006-02-16 Andante Medical Devices Ltd. Sports shoe with sensing and control
US7163517B2 (en) * 2004-08-16 2007-01-16 Chieh-Lin Liu Electro-stimulation feet acupuncture channel physiotherapy shoe
JP4545108B2 (ja) * 2005-04-14 2010-09-15 ジー−マン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機能性履物
EP2019601A1 (en) * 2006-05-03 2009-02-04 Ashton Walter Bishop Footwear with colour indicating means to indicate a variety of conditions
KR100669125B1 (ko) * 2006-08-09 2007-01-16 안광우 신장 성장 촉진을 위한 자극부재가 구비된 기능성 신발
US8322055B1 (en) * 2008-02-26 2012-12-04 Patrick Saint-Cyr Footwear with integral massager
FR2940892B1 (fr) * 2009-01-09 2011-04-08 Quo Vadis Piece de chaussure munie d'un dispositif vibratoire
FR2949051B1 (fr) * 2009-08-14 2011-09-23 David Benjoar Dispositif de massage
KR20110057726A (ko) * 2009-11-25 2011-06-01 이재한 지압신발
KR101119904B1 (ko) * 2010-11-02 2012-02-29 이진욱 보행진단용 밑창 시트, 이를 이용한 보행 진단용 신발 시스템 및 보행자세 진단 서비스 시스템
US9161591B2 (en) * 2010-12-31 2015-10-20 Alexander Landau Autonomous balance-enhanced insert for footwear
US20120186101A1 (en) * 2011-01-21 2012-07-26 Sanchez Roy C Vibrating insole with Bluetooth wireless, rechargeable battery, and vibrate motors integrated
CN102742960A (zh) * 2011-04-18 2012-10-24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保健鞋
EP2581701B1 (en) * 2011-10-11 2013-05-29 King Saud University An apparatus for determining a dimension of a selected surface of an object
US9041602B2 (en) * 2011-11-14 2015-05-26 Earl W. McCune, Jr. Phased array transmission methods and apparatus
US9030335B2 (en) * 2012-04-18 2015-05-12 Frampton E. Ellis Smartphones app-controlled configuration of footwear soles using sensors in the smartphone and the soles
KR101537926B1 (ko) * 2013-12-06 2015-07-31 (주)에스제이메디언스 발착용형태의 성장자극기기
US9955749B2 (en) * 2014-01-14 2018-05-01 Nike, Inc. Footwear having sensory feedback outsole
CN104248837A (zh) * 2014-09-16 2014-12-31 华南理工大学 一种基于压力传感的运动员运动分析系统
US20160116327A1 (en) * 2014-10-22 2016-04-28 LaTanya McCaskill Scaling system
CN204581896U (zh) * 2015-03-20 2015-08-26 绍兴市中医院 足动仪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8102A1 (ko) * 2020-11-05 2022-05-12 솔티드 주식회사 무선 충전이 가능한 인솔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KR20220060775A (ko) * 2020-11-05 2022-05-12 솔티드 주식회사 무선 충전이 가능한 인솔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KR20220088270A (ko) * 2020-12-18 2022-06-27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의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가 구비된 스마트 신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933501B (zh) 2020-04-17
US10350138B2 (en) 2019-07-16
US20160250099A1 (en) 2016-09-01
CN105933501A (zh) 2016-09-07
EP3061386A2 (en) 2016-08-31
EP3061386A3 (en) 2016-11-23
EP3061386B1 (en) 2018-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04938A (ko) 이동 단말기, 무선충전장치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
EP3327520B1 (en) Watch-type terminal
KR20170049280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5011262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6007626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50088599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50138727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1613957B1 (ko)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80044686A (ko) Hmd 디바이스
KR20160142128A (ko) 와치형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49279A (ko) 이동 단말기
KR20160145284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42055A (ko) Hmd 디바이스
KR20170009589A (ko) 웨어러블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20180024684A1 (en) Watch type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80043118A (ko) Hmd 디바이스
KR20170096499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11518A (ko) 손목 스탭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KR2016008615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73307A (ko) 근력 증진을 위한 모바일 피트니스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22690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02915A (ko) 신발,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2115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149489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02916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