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0199B1 - 콘택트렌즈 제조 공정의 정전기 제거 방법 - Google Patents

콘택트렌즈 제조 공정의 정전기 제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0199B1
KR101810199B1 KR1020170030076A KR20170030076A KR101810199B1 KR 101810199 B1 KR101810199 B1 KR 101810199B1 KR 1020170030076 A KR1020170030076 A KR 1020170030076A KR 20170030076 A KR20170030076 A KR 20170030076A KR 101810199 B1 KR101810199 B1 KR 101810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ic electricity
contact lens
removing static
mold
lower mol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0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춘
박상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터로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터로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터로조
Priority to KR1020170030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01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0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0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038Production of contact lenses
    • B29D11/00125Auxiliary operations, e.g. removing oxygen from the mould, conveying moulds from a storage to the production line in an inert atmosphe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793/00Shaping techniques involving a cutting or machining operation
    • B29C2793/0081Shaping techniques involving a cutting or machining operation before sha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택트렌즈 제조 공정 중 발생하는 정전기를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합성 수지 재질의 상측 몰드에 정전기를 제거하는 제 1단계와 합성 수지 재질의 하측 몰드에 정전기를 제거하는 제 2단계와 상, 하측 몰드를 가 조립하는 제 3단계와 가 조립된 상, 하측 몰드에 정전기를 제거하는 제 4단계와 가 조립된 상, 하측 몰드를 분해하는 제 5단계로 이루어져 이를 완료한 뒤, 하측 몰드에 콘택트렌즈 성형액을 주입 후 상측 몰드를 조립하고 콘택트렌즈 성형액을 경화시키는 단계로 구성되어 상, 하측 몰드 사이에 액체 상태의 콘택트렌즈 조성물을 주입하여 경화하는 공정 시 발생하는 정전기를 차단하여 품질 및 생산성 향상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콘택트렌즈 제조 공정의 정전기 제거 방법{Method For Removing Static Electricity During Production Process Of Contact Lens}
본 발명은 콘택트렌즈 제조 공정 중 발생하는 정전기를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합성수지 재질의 상, 하측 몰드 사이에 액체 상태의 콘택트렌즈 조성물을 주입하여 경화하는 과정 중 상, 하측 몰드 사이에 발생하는 정전기를 제거하는 하는 콘택트렌즈 제조 공정의 정전기 제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택트렌즈를 포함한 다양한 제품의 제조 공정 중 제조를 위한 부품들 간 마찰이나 이송 중 마찰 등에 의하여 정전기가 발생하여 생산성 저해를 유발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89819호에서는 전압인가시 코로나방전에 의해 이온을 생성시키도록 침상부분이 2mm의 곡률반경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침상전극을 약 20~30mm간격으로 일렬로 배열하여 형성되는 방전전극부와, 전압이 인가된 방전전극부로부터 이온발생을 유도하기 위한 접지전극부와, 고주파의 교류 고전압을 생성시켜 상기 방전전극부의 각 침상전극에 인가하는 고주파 고전압 발생부로 구성되어 생성이온의 교번속도를 대전물체의 이동속도에 상응하도록 상승시켜 정전기 제거효과를 높힌 고주파 교류 고전압을 이용한 정전기 제거 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며, 이외에도 제조 공정 중 발생하는 정전기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와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합성수지 재질의 상, 하측 몰드 사이에 액체 상태의 콘택트렌즈 조성물을 주입하여 경화하는 과정 중 상, 하측 몰드 사이에 발생하는 정전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각 부품. 즉, 상, 하측 몰드에 정전기를 상기한 바와 같이 공지되어 있는 장치나 다양한 방법들을 통하여 1차적으로 제거하더라도, 콘택트렌즈 조성물을 주입하고 상, 하측 몰드를 조립하는 경우 이들 몰드 간의 마찰로 인하여 정전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로 인하여 콘택트렌즈 조성물이 경화 중 기포가 발생하기도 하며 공기 중에 이물질이 몰드에 점착되어 콘택트렌즈 품질 저하를 발생시킨다. 또한, 콘택트렌즈 조성물이 경화가 완료되어 몰드에서 이탈시키는 경우 정전기에 의하여 콘택트렌즈가 몰드에 점착되어 이탈이 어려울 뿐 아니라 이탈 시 가해지는 힘에 의하여 잦은 파손이 발생하며, 조성액이 균일하게 몰드 사이를 채우지 못하여 미성형, 렌즈 편심 등의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89819호(2005.05.06)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원발명에서는 콘택트렌즈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 중 합성수지 재질의 상, 하측 몰드 사이에 액체 상태의 콘택트렌즈 조성물을 주입하여 경화하는 공정 시 발생하는 정전기를 차단하여 생산성 향상 및 콘택트렌즈의 품질 개선을 위한 콘택트렌즈 제조 공정의 정전기 제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으로는 합성 수지 재질의 상측 몰드에 정전기를 제거하는 제 1단계와 합성 수지 재질의 하측 몰드에 정전기를 제거하는 제 2단계와 상, 하측 몰드를 가 조립하는 제 3단계와 가 조립된 상, 하측 몰드에 정전기를 제거하는 제 4단계와 가 조립된 상, 하측 몰드를 분해하는 제 5단계로 이루어져 이를 완료한 뒤, 하측 몰드에 콘택트렌즈 성형액을 주입 후 상측 몰드를 조립하고 콘택트렌즈 성형액을 경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는 상기의 제 1단계와 제 2단계의 순서 변경이 가능하고 제 4단계를 수행하지 않고 제 3단계를 완료한 후 제 5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는 각각의 단계에서 정전기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코로나 방전, 브러쉬 방전 중 하나를 적용할 수 있으며, 상기의 각 단계 사이에 소요되는 시간은 3 ~ 20초이며, 각 단계 완료 후 하측 몰드에 콘택트렌즈 성형액을 주입 후 상측 몰드를 조립하는 공정 간의 소요 시간이 5 ~ 60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택트렌즈 제조 공정의 정전기 제거 방법은 합성수지 재질의 상, 하측 몰드 사이에 액체 상태의 콘택트렌즈 조성물을 주입하여 경화하는 공정 시 발생하는 정전기를 차단하여 콘택트렌즈 조성물이 경화 중 기포 발생을 차단하는 것은 물론 공기 중에 이물질이 몰드에 점착되어 발생하는 콘택트렌즈 품질 저하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콘택트렌즈 조성물이 경화가 완료되어 몰드에서 이탈시키는 경우 정전기에 의하여 콘택트렌즈가 몰드에 점착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몰드에서 콘택트렌즈의 이탈을 용이하게 하며 미성형, 렌즈 편심 등의 불량을 최소화하여 콘택트렌즈의 품질 및 생산성 향상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택트렌즈 제조 공정의 정전기 제거 방법의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택트렌즈 제조 공정의 정전기 제거 방법의 실시도.
도 1과 2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콘택트렌즈 제조 공정의 정전기 제거 방법의 순서도 및 실시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원발명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콘택트렌즈를 제조하는 공정 중 정전기 제거 방법에 있어서, 합성 수지 재질의 상측 몰드(10)에 정전기를 제거하는 제 1단계(S10);와 합성 수지 재질의 하측 몰드(20)에 정전기를 제거하는 제 2단계(S20);와 상, 하측 몰드(10, 20)를 가 조립하는 제 3단계(S30);와 가 조립된 상, 하측 몰드(10, 20)에 정전기를 제거하는 제 4단계(S40);와 가 조립된 상, 하측 몰드(10, 20)를 분해하는 제 5단계(S50);를 완료한 후, 하측 몰드(10)에 콘택트렌즈 성형액을 주입 후 상측 몰드(20)를 조립하고 콘택트렌즈 성형액을 경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제조 공정의 정전기 제거 방법이다.
상기의 제 1단계(S10) 및 제 2단계(S20)에서 각각의 몰드(10, 20)가 이송되거나 제조 중 발생한 정전기를 1차적으로 제거하고, 상기의 제 3단계(S30)에서 수행하는 가 조립을 통하여 상, 하측 몰드(10, 20)에 마찰에 의하여 발생하는 정전기를 2차적으로 수행하고 이를 다시 분해하는 제 5단계(S50)를 수행하고 하측 몰드(10)에 콘택트렌즈 성형액을 주입 후 상측 몰드(20)를 조립하고 콘택트렌즈 성형액을 경화하는 공정이 수행됨으로 콘택트렌즈 미성형, 렌즈편심 불량 등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의 제 1단계(S10)와 제 2단계(S20)의 순서가 역순으로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의 제 4단계(S40)를 수행하지 않고 제 3단계(S30)를 완료한 후 제 5단계(S50)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 1, 2, 4단계(S10, S20, S40)에서 각각 정전기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코로나 방전, 브러쉬 방전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인 방법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89819호에 개시되어 있는 정전기 제거 장치를 이용하여 몰드(10, 20) 일 측에 침상전극을 접촉 또는 접근시켜 정전기를 제거하는 방법을 적용하는 것은 물론 기타 공지되어 있는 정전기 제거 장치의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의 각 단계(S10, S20, S30, S40, S50) 사이에 소요되는 시간은 3 ~ 20초이며, 각 단계(S10, S20, S30, S40, S50) 완료 후 하측 몰드(10)에 콘택트렌즈 성형액을 주입 후 상측 몰드(20)를 조립하는 공정 간의 소요 시간이 5 ~ 60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 하측 몰드(10, 20) 재질이나 정전기 발생량에 따라, 상기의 제 3 내지 5단계(S30, S40, S50)을 2회 이상 반복하는 것이 가능하며 제 1 내지 5단계(S10, S20, S30, S40, S50)를 반복하여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의 제 1 내지 5단계(S10, S20, S30, S40, S50) 중 온도는 16 ~ 26℃이고, 습도는 40 ~ 60%이며, 가습기 분무랭은 2.0 ~ 2.8L/hr이고, 공기 소비량은 24 ~ 34NL/Min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 및 적용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E. 전극 10. 상측 몰드
20. 하측 몰드 S10. 제 1단계
S20. 제 2단계 S30. 제 3단계
S40. 제 4단계 S50. 제 5단계

Claims (8)

  1. 콘택트렌즈를 제조하는 공정 중 정전기 제거 방법에 있어서,
    합성 수지 재질의 상측 몰드(10)에 정전기를 제거하는 제 1단계(S10);와
    합성 수지 재질의 하측 몰드(20)에 정전기를 제거하는 제 2단계(S20);와
    상, 하측 몰드(10, 20)를 가 조립하는 제 3단계(S30);와
    가 조립된 상, 하측 몰드(10, 20)에 정전기를 제거하는 제 4단계(S40);와
    가 조립된 상, 하측 몰드(10, 20)를 분해하는 제 5단계(S50);를 완료한 후,
    하측 몰드(10)에 콘택트렌즈 성형액을 주입 후 상측 몰드(20)를 조립하고 콘택트렌즈 성형액을 경화시키되,
    상기의 제 1단계(S10)와 제 2단계(S20)의 순서는 역순으로 변경 가능하고, 상기의 제 4단계(S40)는 생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제조 공정의 정전기 제거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제 1, 2, 4단계(S10, S20, S40)에서 각각 정전기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코로나 방전, 브러쉬 방전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제조 공정의 정전기 제거 방법.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의 각 단계(S10, S20, S30, S40, S50) 사이에 소요되는 시간은 3 ~ 20초이며, 각 단계(S10, S20, S30, S40, S50) 완료 후 하측 몰드(10)에 콘택트렌즈 성형액을 주입 후 상측 몰드(20)를 조립하는 공정 간의 소요 시간이 5 ~ 60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제조 공정의 정전기 제거 방법.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의 제 1 내지 5단계(S10, S20, S30, S40, S50) 중 온도는 16 ~ 26℃이고, 습도는 40 ~ 60%이며, 가습기 분무량은 2.0 ~ 2.8L/hr이고, 공기 소비량은 24 ~ 34NL/M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제조 공정의 정전기 제거 방법.
KR1020170030076A 2017-03-09 2017-03-09 콘택트렌즈 제조 공정의 정전기 제거 방법 KR101810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076A KR101810199B1 (ko) 2017-03-09 2017-03-09 콘택트렌즈 제조 공정의 정전기 제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076A KR101810199B1 (ko) 2017-03-09 2017-03-09 콘택트렌즈 제조 공정의 정전기 제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0199B1 true KR101810199B1 (ko) 2017-12-18

Family

ID=60922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0076A KR101810199B1 (ko) 2017-03-09 2017-03-09 콘택트렌즈 제조 공정의 정전기 제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01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95065A (zh) * 2021-09-08 2022-01-07 深圳市大仕城光学科技有限公司 隐形眼镜制造方法及隐形眼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2195A (ja) 2005-08-31 2007-03-15 Waizu:Kk 生産設備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2195A (ja) 2005-08-31 2007-03-15 Waizu:Kk 生産設備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95065A (zh) * 2021-09-08 2022-01-07 深圳市大仕城光学科技有限公司 隐形眼镜制造方法及隐形眼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0199B1 (ko) 콘택트렌즈 제조 공정의 정전기 제거 방법
CN103958167A (zh) 用于模制眼用透镜的模具的至少一个半模的透镜成形表面的处理方法
JP2006337985A (ja) ハイサグレンズの製作方法及びこれを利用し製作されたレンズ
TW200700208A (en) Method for fabricating soft mold
TWI558570B (zh) 顯示裝置及其組裝方法以及光學膠
US20160339654A1 (en) Method and mold for fabricating contact lens and controlling excess material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mold
JP6013935B2 (ja) 射出成形工程の間に繊維の配列を制御する方法及び装置
TW201725618A (zh) 基板切斷方法
KR20160118276A (ko) 필름을 위한 절단 패턴
KR101726076B1 (ko) 이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타이어 금형의 표면처리 방법
ATE345589T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optischen vorrichtung mittels eines replikationsverfahrens
JP2006263975A (ja) 光学素子の製造方法
JP2016197190A (ja) 配向膜の塗布方法、およびカラーフィルタ基板
CN102873816A (zh) 一体化注塑成型胶水筛选方法
JP5154675B2 (ja) 樹脂成形装置および樹脂成形方法
ATE387299T1 (de) Verfahren zur behandlung eines formwerkzeuges oder einer formhälfte für die herstellung von ophthalmischen linsen
US10564451B2 (en)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TWI425463B (zh) 可撓式顯示面板之製造方法
RS52477B (en) PROCEDURE AND TIRE MANAGEMENT PLANT
KR101807956B1 (ko) 도체를 구비한 고무롤 제조방법
US20150174840A1 (en) Method for avoiding entrapment of air bubbles in a lens forming material and apparatus for carrying out the method
CN203592689U (zh) 在玻璃钢表面使多色胶衣logo一次成型的模具
JPH04123002A (ja) レンズアレイ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JP2000250052A (ja) 液晶パネルの製造方法
JPH10161139A (ja)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